KR20140112849A - Drainage apparatus for decreasing underground water level and drainage system - Google Patents
Drainage apparatus for decreasing underground water level and drainag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12849A KR20140112849A KR1020130027455A KR20130027455A KR20140112849A KR 20140112849 A KR20140112849 A KR 20140112849A KR 1020130027455 A KR1020130027455 A KR 1020130027455A KR 20130027455 A KR20130027455 A KR 20130027455A KR 20140112849 A KR20140112849 A KR 201401128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nd
- drainage
- water
- drain
- f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Sew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물 재배를 위한 토지의 지하수위를 낮추기 위한 배수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device for lowering the groundwater level of a land for crop cultivation.
본 발명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토지의 함유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생육기에 비가 많은 지형으로 토지의 함유되는 물의 양이 많아질 수 있다. 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배수가 불량하면 초기 수세조절에 어려움이 많아지고 식물에 병이 발생하기 쉽다. 배수장치에 의하여 토지의 내부 및 외부에 흐르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device for draining water contained in a land for cultivating a plant. In our country, it is a terrain with a lot of rain during the growing season, so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land can be increased. If the drainage is poor to grow the plant, it becomes difficult to control the initial flushing and the plant is likely to develop a disease.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and out of the land shall be controlled by the drainage system.
또한, 토지에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지하수위의 저하가 필요하다. 지하수위는 지면에서 지하 수면까지의 깊이를 의미하고, 토지의 지표면에서는 우물의 측점에서의 깊이로 측정된다.Also, in order to cultivate various kinds of crops on land,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groundwater level. The groundwater depth means the depth from the ground to the underground water surface and is measured as the depth at the point of the well at the land surface of the land.
상기 지하 수위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지하토지가 함유하는 물을 한곳으로 모아 흐르게 하기 위한 배수로를 형성한다. 상기 배수로는 지표로부터 기 설정된 깊이로 굴착되어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로로 고인물이 일 방향을 향하여 흐르도록 형성된다.A drainage duct for collecting and flow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underground land into one place is formed as a method for lowering the groundwater level. The drainage channel is formed by excavation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drainage channel, and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one direction and flow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toward the one direction.
토지에 다양한 작물을 심어 재배하기 위하여 지하 수위가 좀 더 낮아져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이 경우, 상기 지하 수위를 좀 더 낮추기 위하여 상기 배수로의 깊이를 깊게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There is a need to lower the groundwater level in order to plant and plant various crops on the land. In this case, there is a method in which the depth of the drainage path is formed deep to further lower the groundwater level.
다만, 상기 배수로의 깊이를 깊게 하기 위해서, 상기 토지를 파내는 과정에서 상기 지표로부터 굴착되는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상기 굴착부가 넓어지면, 토지의 재배목적 으로 활용되는 영역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또한, 배수로의 측면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깊이를 깊게 형성하는 시공은 난해하며 시공비도 비싼 단점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deepen the depth of the drainage channel, the area excavated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is widened in the process of digging the land. When the excavation section is widened, the area utilized for cultivation of the land is gradually reduced.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onstruction to form a deep depth is difficult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expensive, while preventing collapse of the sides of the drainage channel.
상기 배수로의 굴착부가 넓어지면, 작물재배면적은 줄어들고 시설관리면적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또한, 배수로 측면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소요깊이를 깊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시공이 어렵고,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If the excavation part of the drainage channel is widened, the crop cultivation area is reduced and the facility management area is relatively increased. In addition, in order to form a deep depth with a required depth while preventing collapse of the side surface of the drainage channel,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nd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작물재배를 위한 토지의 면적을 최대화면서 지하수위를 효율적으로 낮추기 위한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n view of this poi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inage device for efficiently lowering the groundwater level while maximizing the area of land for crop cultivation.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배수장치는 토지의 표면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깊이로 리세스되어 상기 물이 모이는 하면을 포함하는 유입부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입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로에 수용되는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로와 상기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토지의 내부에 삽입되며, 토지 내부의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제1 유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거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drainage apparatu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an inflow portion including a bottom surface where the water is collect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surfac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to allow water to flow in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Wherein the drainage device includes a drainage path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flow section and configured to allow water to be received in the drainage path to be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path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one direction, And at least one culvert comprising a first perforation to allow water to ent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암거의 일단부는 상기 내부 배수로와 연결되고, 상기 물이 내부 배수로를 향하여 흐르도록 기울어져 배치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ne end of the culvert is connected to the inner drain, and the water is inclinedly arranged to flow toward the inner drai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로와 상기 하면 사이는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배수로는 상기 배수로의 외면과 인접한 상기 유입부에 모인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유공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ainage passage and the lower surfa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drainage passage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hole so that the water collected in the inlet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age passage can be introduc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로는 적어도 일면이 상기 토층의 외부공간으로 개구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개거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수로의 개구부가 연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ainage channel is formed in an open-type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surface opened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soil layer, and the inlet portion and the opening portion of the drainage passag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배수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작물이 식재되는 토지, 상기 토지의 표면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깊이로 리세스되어 상기 물이 모이는 하면을 포함하는 유입부와 상기 수위저하용 배수장치를 포함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age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land on which crops are planted, an inflow section comprising a bottom surface recessed from the surface by a predetermined depth to allow water to flow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And a drain for lowering the water leve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식물이 식생되도록 표면에 식생종자가 포함되는 토목섬유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flow portion includes geosynthetics in which vegetation seeds are included on the surface so that plants are veget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면과 상기 토목섬유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토목섬유의 표면에서부터 상기 내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침투하여 고정시키는 고화형 침투제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geoscientific fiber, a solidifying type penetrating agent is further included to penetrate and fix the geosynthetic fi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from the surface of the geosynthetic fib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목섬유를 상기 표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토목섬유를 관통하여 상기 토양내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토양과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핀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구조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ing pin including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soil through the geotextile in order to fix the geotextile on the surface.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soil, at least one One protrusion structure is formed.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부의 하부에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배수장치가 설치되므로 물이 토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지하수위가 저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a drainage device capable of allowing water to flow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flow portion is installed, the groundwater level is lowered because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land.
또한, 복수의 암거에 의하여 토지 내부에서 유동되는 물이 배수되므로 지하수위가 저하되므로, 유입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작물재배를 위한 토지의 면적을 확보하고 배수장치의 시공이 단순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land is drained by the plurality of culverts, the groundwater level is lowered, so that the size of the inflow portion can be reduced, so that the area of the land for crop cultivation can be secured and the construction of the drainage apparatus can be simplified.
또한, 유입부의 측면에 식물이 식재되어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nt can be pla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inflow portion, so that the aesthetic appearance can be made beautiful.
도 1은 배수장치가 설치된 토지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토지에 설치된 배수장치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a는 도 2의 B영역의 확대도.
도 3b는 도 3a의 토목섬유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a는 도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B영역의 확대도.
도 4b는 도 4a의 토목섬유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토지에 설치된 배수장치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and on which a drainage device is installe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ainage device installed in the land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aken along AA. FIG.
FIG. 3A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B in FIG. 2; FIG.
FIG. 3B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fixing the geo-fibers in FIG. 3A. FIG.
FIG. 4A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2; FIG.
FIG. 4B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fixing the geoscientific fibers of FIG. 4A.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a drainage device installed in the land of FI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수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rainage apparatus and a drainage system having the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배수장치가 설치된 토지(10)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토지에 설치된 배수장치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상기 배수장치는 유입부(100), 배수홀(200), 내부 배수로(300) 및 암거(400)를 포함한다. The drainage device includes an
상기 유입부(100)는 상기 토지(10)의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토지(10)의 표면 상 및 상기 토지(10)의 내부로 흐르는 물이 상기 유입부(100)로 유입된다. 상기 배수로(100)는 상기 토지(10)의 내부로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inlet (100)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10). Water flowing on the surface of the land (10) and into the interior of the land (10) flows into the inlet (100). The
즉, 상기 유입부(100)의 단면은 평행사변형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00)의 내부면은 서로 마주보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측면(102)과 상기 경사면을 연결하는 하면(101)으로 구성된다. 상기 토지(10)의 표면으로 흐르는 물은 상기 측면(102)을 따라 상기 유입부(100)로 유입될 수 잇다. That is, the cross section of the
또한, 상기 토지(10)의 내부에서 유동하던 물이 상기 측면(102)을 따라 흘러나올 수 있다. 상기 토지(10) 내부에서 상기 측면(102)으로 물이 모일 수 있으므로, 상기 토지(10) 내부의 지하수위가 저하될 수 있다. In addition, water that has been flowing inside the
상기 측면(102)을 따라 유입된 물은 상기 하면(101)에 모이게 된다. 상기 유입부(100)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100)의 하면(101)에 모아진 물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흐른다.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흐른 물이 한곳에 모이도록 형성된다. The water introduced along the
다만, 상기 하면(101)에 모인 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토지(10)의 내부로 흡수될 수 있다. 상기 토지(10)의 내부로 흡수된 물은 상기 내부 배수로(300)로 모이게 된다. However,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collected on the
즉, 상기 유입부(100)의 하부에 내부 배수로(300)가 형성된다. 상기유입부(100)의 하면(102)과 상기 내부 배수로(300)는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배수로(30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내부 배수로(300)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면(102)의 하부로 흐르는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 배수로(300)에 모아진 물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흘러 한곳에 모일 수 있다.That is, an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유입부(100)와 상기 내부 배수로(300)에 모여 한 곳에서 모아진 물은 토지의 작물재배를 위한 급수로 활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gathered at the
상기 내부 배수로(300)는 상기 하면(102)와 마주보는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공(30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유공(301)을 통하여 상기 물이 유입된다. 상기 제1 유공(301)이 형성되는 내부 배수로(300)는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짜임이 큰 포장재로 도포되고, 물의 배수가 빠르도록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자갈(11) 등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내부 배수로(300)의 하부에는 상기 물이 모여 일정한 영역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공(301)이 형성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암거(400)의 일 단부는 상기 내부 배수로(30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암거(400)는 상기 토지(10)의 내부에 상기 토지(1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지(10)의 표면과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배수로(300)로 향할수록 토지(10)의 표면과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중력에 의하여 물이 상기 내부 배수로(300)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One end of the
상기 암거(400)는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거(400)는 상기 내부 배수로(300)를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암거(40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유공(40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유공(401)을 통하여 상기 토지(10) 내부에 흐르는 물이 상기 암거(4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제2 유공(401)을 포함하는 상기 암거(400)는 포장재로 도포되고, 큰 자갈(11) 등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지(10) 내부의 물이 상기 암거(400)로 모아지므로 상기 토지(10)의 지하수위가 저하될 수 있다. The
상기 암거(400)는 상기 토지(10)의 내부에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배수로(300)와 멀어질수록 상기 토지(10)의 지면과 인접하도록 기울어진다. 상기 암거(400)로 유입된 물은 중력에 의하여 상기 내부 배수로(300)를 향하여 흐르고, 상기 물은 상기 내부 배수로(300)로 모이게 된다. The
상기 배수홀(200)은 상기 유입부(100)와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배수홀(200)의 상기 토지(10)의 표면과 인접한 상면은 상기 물이 흘러들어오도록 뚫린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홀(200)은 상기 유입된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빈공간을 구비한다.The drain hole (20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inlet (100). An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배수홀(2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거(400) 및 상기 내부 배수로(300)와 연통될 수 있다. Further, the
토지(10)의 표면으로부터 형성되는 유입부(100)와 상기 토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배수로(300)에 의하여, 상기 토지(10)의 표면에서 흐르는 물이 유실되지 않고 모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지(10)의 표면에서 유입되는 물에 의하여 상기 토지의 지하수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The water flowing from the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내부 배수로(300)와 연통되는 복수의 암거(400)에 의하여 상기 유입부(100)를 깊게 형성하지 않고도 상기 토지 내부의 지하수위를 감소시킬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작물의 재배에 유리하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또한, 상기 내부 배수로(300)와 상기 암거(400)는 상기 토지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상기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토지의 면적이 증가한다. In addition, since the
상기 유입부(100)의 표면에 흐르는 물을 이용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102)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이하, 식물이 식재되는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Plants may be planted on the
도 3a는 도 2의 B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토목섬유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3A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B in Fig. 2, and Fig. 3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fixing the geo-fibers in Fig. 3A.
도 2 및 도 3a을 검토하면, 상기 측면(102) 상에 토목섬유(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목섬유(110)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의 종자가 포함되는 종자포설형 토목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지(10)의 측면(102)에 식물(111)이 식재될 수 있다. 2 and 3A, a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토지(10)의 측면(102)으로 물이 흐르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식물(111)에 별도의 수분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간편하다. 상기 식물(111)을 상기 유입부(100)에 형성하여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Since water is formed to flow on the
상기 토목섬유(110)는 고정부재(120)에 의하여 상기 측면(102)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토목섬유(110)를 관통하여 상기 토지(10)의 내부까지 침투하는 방식으로 상기 토목섬유(110)를 고정한다.The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토목섬유(110) 상에 배치되는 부착판(121)과 상기 토지의 내부로 침투하는 침투제(122)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3B, the fixing member 120 includes an
상기 측면(102) 상에 상기 토목섬유(110)를 안착한다. 상기 토목섬유(110) 상에 상기 부착판(121)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판(121)의 상부에서부터 상기 토지(10)의 내부로 상기 침투제(122)를 주입한다. 상기 침투제(122)는 상기 부착판(121)과 상기 토목섬유(110)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토지(10)에 도달한다.And the geosynthetic fiber (110) is seated on the side surface (102). The
상기 침투제(122)는 고화형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지(10)의 내부로 침한 침투제(122)는 상기 토지(10)를 구성하는 흙과 모래등과 합쳐져 암석을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토목섬유(110)가 상기 측면(10)과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즉, 비교적 견고하지 못한 토지(10)에 상기 고화형 침투제(122)를 이용하여 상기 토목섬유(110)를 고정할 수 있다.The penetrating
또한, 상기 부착판(121)은 상기 식물(111)이 자랄 수 있도록 필요한 양분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4a는 도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B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4a는 도 4a의 토목섬유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FIG. 4A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2, and FIG. 4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fixing the geotextiles of FIG. 4A.
도 2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110)는 상기 토목섬유(110)로부터 상기 토지(10)의 내부까지 삽입되는 고정핀(123)을 이용하여 상기 측면(102)에 고정된다. 고정방법을 제외하고 도 3a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2 and 4B, the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123)은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두 단부를 연결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4B, the fixing
상기 측면(102)에 상기 토목섬유(110)를 배치하고, 상기 토목섬유(110) 상에 고정판(121)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핀(123)은 상기 부착판(131)의 상부로부터 상기 토목섬유(110)를 관통하여 상기 토지(10)로 삽입된다. 상기 고정핀(123)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판(121)에 접하여 고정될 때까지 삽입된다.The
상기 고정핀(123)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구조(124)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구조(124)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토지(10)와 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쐐기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토지(10)의 내부로 쉽게 삽입되지만, 분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는바, 상기 토목섬유(11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At least one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장치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1 taken along line A-A.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장치는 내부 배수로를 제외하고 도 2의 배수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2 and 5, the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substantially the same components as the drainage apparatus of FIG. 2 except for the internal drainage passage.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수장치는 유입부(100), 배수홀(200), 개거형 배수로(300') 및 암거(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2 and 5, the drainage apparatus includes an
상기 개거형 배수로(300')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입부(100)와 연통되도록 토지(10)의 표면과 인접한 일면이 뚫린 개구부를 구비한다. 즉, 상기 측면(102)으로 흘러내려온 물은 상기 개거형 배수로(300')의 개구부를 통하여 개거형 배수로(300')의 내부에 수용된다. The open drainage path 300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has an opening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개거형 배수로(300')는 제3 유공(301')이 형성되는 유공벽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 유공(301')은 자갈(11) 등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유공(301')으로 상기 토지(10) 내부의 유동되는 물이 상기 개거형 배수로(300')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토지(10)의 지하수위가 감소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ning type water drainage passage 300 'is constituted by a porous wall in which the third through-hole 301' is formed. The third perforations 301 'may be surrounded by
상기 개거형 배수로(300')는 상기 유입부(100)에 일면에 노출되도록수납하면 되므로, 상대적으로 시공이 단순하고, 상기 유입부(100)의 너비를 넓힐 필요성이 없으므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면적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gutter-type drainage path 300 'can be housed so as to be exposed on one side of the
또한, 측면(102)을 따라 흐르는 물이 직접적으로 수용되므로, 물의 유실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water flowing along the
상기와 같이 설명된 구조의 유입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로를 포함하는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수시스템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drainage system including the drainage channel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le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the drainage system having the drainage system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ly applied,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Claims (8)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입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로에 수용되는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로; 및
상기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토지의 내부에 삽입되며, 토지 내부의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제1 유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저하용 배수장치.A drainage devic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an inflow portion including a bottom surface where the water is collected by being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so as to allow water to flow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A drain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flow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one direction so that water contained in the drain can be introduced; And
And at least one culvert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one direction and including a first hol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land, the first hole being formed to allow water to flow in the land.
상기 암거의 일단부는 상기 내부 배수로와 연결되고, 상기 물이 내부 배수로를 향하여 흐르도록 기울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저하용 배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culvert is connected to the inner drain, and the water is arranged to be inclined so as to flow toward the inner drain.
상기 배수로와 상기 하면 사이는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배수로는 상기 배수로의 외면과 인접한 상기 유입부에 모인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유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저하용 배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ainage passage and the lower surfa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drainage passage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hole for allowing water collected in the inlet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age passage to flow.
상기 배수로는 적어도 일면이 상기 토층의 외부공간으로 개구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개거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수로의 개구부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저하용 배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ainage passage is formed in an open-type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surface of which is opened to an external space of the soil layer,
And the inlet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portion of the drainage passage.
상기 토지의 표면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깊이로 리세스되어 상기 물이 모이는 하면을 포함하는 유입부; 및
상기 토지의 표면 및 내부에서 유동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해당되는 수위저하용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배수시스템.A land on which at least one crop is planted;
An inflow portion including a bottom surface of the land which i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to allow water to flow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And
The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ich is installed to drain the water flowing on the surface and inside of the land.
상기 유입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식물이 식생되도록 표면에 식생종자가 포함되는 토목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egetation seeds are included in the surface of the inflow section so that vegetation is veget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flow section.
상기 내면과 상기 토목섬유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토목섬유의 표면에서부터 상기 내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침투하여 고정시키는 고화형 침투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solidifying penetrator for penetrating and fixing the surface of the geosynthetic fi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from the surface of the geosynthetic fib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geosynthetic fiber.
상기 토양과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핀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soil through the geoscientific fiber to fix the geoscientific fiber on the surface,
Wherein at least one protrusion structur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xing pin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soi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27455A KR101492010B1 (en) | 2013-03-14 | 2013-03-14 | Drainage apparatus for decreasing underground water level and drainag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27455A KR101492010B1 (en) | 2013-03-14 | 2013-03-14 | Drainage apparatus for decreasing underground water level and drainage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2849A true KR20140112849A (en) | 2014-09-24 |
KR101492010B1 KR101492010B1 (en) | 2015-02-10 |
Family
ID=5175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27455A KR101492010B1 (en) | 2013-03-14 | 2013-03-14 | Drainage apparatus for decreasing underground water level and drainag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201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9699A (en) | 2020-11-03 | 2022-05-10 |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 A groundwater level restora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clogging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3052Y1 (en) * | 2003-08-19 | 2003-11-12 | (주)서영기술단 | A mole drainage |
KR100920027B1 (en) * | 2007-08-03 | 2009-10-06 | 주식회사 벽진지오테크닉스 | Vegetation Method Reinforced Soil Slopes with Geotextile Curtain Wall combined with steel buckel and anchor Nails |
-
2013
- 2013-03-14 KR KR20130027455A patent/KR10149201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9699A (en) | 2020-11-03 | 2022-05-10 |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 A groundwater level restora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clogg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2010B1 (en) | 2015-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73271C (en) | System engineering method for modifying alkaline land by use of pipe drainage method | |
US8632273B2 (en) | Water draining pipe and draining method thereof | |
KR101567353B1 (en) | Side gutter for mountain 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659168B1 (en) | Rock cutting slope revegetation method | |
KR101025260B1 (en) | Slope stabilization method which uses prefabricated shore protection block and coir mat | |
CN105706555A (en) | Saline-alkali soil greening engineering original soil improv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334266B1 (en) |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method of ditch type by considering geological properties | |
KR100961174B1 (en) | Drain belt and apparatus for channelling groundwater using the same | |
KR101003720B1 (en) | Nature-friendly diversion drain at top of slope | |
KR101492010B1 (en) | Drainage apparatus for decreasing underground water level and drainage system | |
KR20080099937A (en) | Subsurface water distribution system for terraced flower bed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CN109618884B (en) | Shallow groundwater seepage flow collection hidden pipe structure | |
KR100946760B1 (en) | Method for planting a tree on the reclaimed land | |
KR100663207B1 (en) | Breast wall of building | |
KR101818562B1 (en) | Reinforced retaina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018247B1 (en) | Method and structure for improving reclaimed land for fruit growing | |
CN211816760U (en) | Assembled greenbelt structure convenient to vegetation is grown | |
JP4134070B2 (en) | Underground irrigation drainage underdrain | |
KR101280027B1 (en) | A construction method of planted retaing wall using planting bag | |
KR100549498B1 (en) | Construction assembly breast wall pul lek establishment structure | |
KR101105407B1 (en) | a breast wall structure with eco-friendly of moisture transmitter | |
JPH11152785A (en) | Infiltration, facility having water-retention structure | |
KR100938140B1 (en) | Structure for cut slope of mine area and method | |
JP3464620B2 (en) | Vegetation block and stacking method of the block | |
KR101309427B1 (en) | Method of making landscape artificial ground drainag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