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010B1 - Drainage apparatus for decreasing underground water level and drainage system - Google Patents

Drainage apparatus for decreasing underground water level and draina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010B1
KR101492010B1 KR20130027455A KR20130027455A KR101492010B1 KR 101492010 B1 KR101492010 B1 KR 101492010B1 KR 20130027455 A KR20130027455 A KR 20130027455A KR 20130027455 A KR20130027455 A KR 20130027455A KR 101492010 B1 KR101492010 B1 KR 101492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
drainage
water
drain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74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2849A (en
Inventor
김현태
Original Assignee
김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태 filed Critical 김현태
Priority to KR20130027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010B1/en
Publication of KR2014011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8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0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지의 표면이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유입부의 하부에 배수로가 형성되어, 토지로 유입되는 물과 토지 내부의 물을 배수할 수 있으므로, 지하수위가 감소될 수 있고, 복수의 암거에 의하여 유입부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며 작물 재배를 위한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ainage channel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flow part formed by recessing the surface of the land,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land and the water inside the land can be drained so that the groundwater level can be reduced, Since the depth of the inflow portion can be relatively reduced, the construction can be simplified and the area for crop cultivation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지하수위 저하용 배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시스템{DRAINAGE APPARATUS FOR DECREASING UNDERGROUND WATER LEVEL AND DRAINAGE SYSTE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system for lowering groundwater level and a drainage system including the drainage system.

본 발명은 작물 재배를 위한 토지의 지하수위를 낮추기 위한 배수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device for lowering the groundwater level of a land for crop cultivation.

본 발명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토지의 함유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생육기에 비가 많은 지형으로 토지의 함유되는 물의 양이 많아질 수 있다. 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배수가 불량하면 초기 수세조절에 어려움이 많아지고 식물에 병이 발생하기 쉽다. 배수장치에 의하여 토지의 내부 및 외부에 흐르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device for draining water contained in a land for cultivating a plant. In our country, it is a terrain with a lot of rain during the growing season, so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land can be increased. If the drainage is poor to grow the plant, it becomes difficult to control the initial flushing and the plant is likely to develop a disease.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and out of the land shall be controlled by the drainage system.

또한, 토지에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지하수위의 저하가 필요하다. 지하수위는 지면에서 지하 수면까지의 깊이를 의미하고, 토지의 지표면에서는 우물의 측점에서의 깊이로 측정된다.Also, in order to cultivate various kinds of crops on land,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groundwater level. The groundwater depth means the depth from the ground to the underground water surface and is measured as the depth at the point of the well at the land surface of the land.

상기 지하 수위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지하토지가 함유하는 물을 한곳으로 모아 흐르게 하기 위한 배수로를 형성한다. 상기 배수로는 지표로부터 기 설정된 깊이로 굴착되어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로로 고인물이 일 방향을 향하여 흐르도록 형성된다.A drainage duct for collecting and flow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underground land into one place is formed as a method for lowering the groundwater level. The drainage channel is formed by excavation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drainage channel, and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one direction and flow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toward the one direction.

토지에 다양한 작물을 심어 재배하기 위하여 지하 수위가 좀 더 낮아져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이 경우, 상기 지하 수위를 좀 더 낮추기 위하여 상기 배수로의 깊이를 깊게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There is a need to lower the groundwater level in order to plant and plant various crops on the land. In this case, there is a method in which the depth of the drainage path is formed deep to further lower the groundwater level.

다만, 상기 배수로의 깊이를 깊게 하기 위해서, 상기 토지를 파내는 과정에서 상기 지표로부터 굴착되는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상기 굴착부가 넓어지면, 토지의 재배목적 으로 활용되는 영역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또한, 배수로의 측면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깊이를 깊게 형성하는 시공은 난해하며 시공비도 비싼 단점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deepen the depth of the drainage channel, the area excavated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is widened in the process of digging the land. When the excavation section is widened, the area utilized for cultivation of the land is gradually reduced.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onstruction to form a deep depth is difficult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expensive, while preventing collapse of the sides of the drainage channel.

상기 배수로의 굴착부가 넓어지면, 작물재배면적은 줄어들고 시설관리면적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또한, 배수로 측면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소요깊이를 깊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시공이 어렵고,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If the excavation part of the drainage channel is widened, the crop cultivation area is reduced and the facility management area is relatively increased. In addition, in order to form a deep depth with a required depth while preventing collapse of the side surface of the drainage channel,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nd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작물재배를 위한 토지의 면적을 최대화면서 지하수위를 효율적으로 낮추기 위한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n view of this poi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inage device for efficiently lowering the groundwater level while maximizing the area of land for crop cultivation.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배수장치는 토지의 표면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깊이로 리세스되어 상기 물이 모이는 하면을 포함하는 유입부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입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로에 수용되는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로와 상기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토지의 내부에 삽입되며, 토지 내부의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제1 유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거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drainage apparatu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an inflow portion including a bottom surface where the water is collect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surfac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to allow water to flow in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Wherein the drainage device includes a drainage path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flow section and configured to allow water to be received in the drainage path to be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path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one direction, And at least one culvert comprising a first perforation to allow water to ent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암거의 일단부는 상기 내부 배수로와 연결되고, 상기 물이 내부 배수로를 향하여 흐르도록 기울어져 배치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ne end of the culvert is connected to the inner drain, and the water is inclinedly arranged to flow toward the inner drai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로와 상기 하면 사이는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배수로는 상기 배수로의 외면과 인접한 상기 유입부에 모인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유공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ainage passage and the lower surfa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drainage passage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hole so that the water collected in the inlet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age passage can be introduc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로는 적어도 일면이 상기 토층의 외부공간으로 개구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개거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수로의 개구부가 연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ainage channel is formed in an open-type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surface opened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soil layer, and the inlet portion and the opening portion of the drainage passag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배수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작물이 식재되는 토지, 상기 토지의 표면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깊이로 리세스되어 상기 물이 모이는 하면을 포함하는 유입부와 상기 수위저하용 배수장치를 포함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age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land on which crops are planted, an inflow section comprising a bottom surface recessed from the surface by a predetermined depth to allow water to flow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And a drain for lowering the water leve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식물이 식생되도록 표면에 식생종자가 포함되는 토목섬유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flow portion includes geosynthetics in which vegetation seeds are included on the surface so that plants are veget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면과 상기 토목섬유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토목섬유의 표면에서부터 상기 내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침투하여 고정시키는 고화형 침투제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geoscientific fiber, a solidifying type penetrating agent is further included to penetrate and fix the geosynthetic fi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from the surface of the geosynthetic fib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목섬유를 상기 표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토목섬유를 관통하여 상기 토양내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토양과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핀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구조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ing pin including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soil through the geotextile in order to fix the geotextile on the surface.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soil, at least one One protrusion structure is formed.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부의 하부에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배수장치가 설치되므로 물이 토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지하수위가 저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a drainage device capable of allowing water to flow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flow portion is installed, the groundwater level is lowered because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land.

또한, 복수의 암거에 의하여 토지 내부에서 유동되는 물이 배수되므로 지하수위가 저하되므로, 유입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작물재배를 위한 토지의 면적을 확보하고 배수장치의 시공이 단순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land is drained by the plurality of culverts, the groundwater level is lowered, so that the size of the inflow portion can be reduced, so that the area of the land for crop cultivation can be secured and the construction of the drainage apparatus can be simplified.

또한, 유입부의 측면에 식물이 식재되어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nt can be pla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inflow portion, so that the aesthetic appearance can be made beautiful.

도 1은 배수장치가 설치된 토지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토지에 설치된 배수장치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a는 도 2의 B영역의 확대도.
도 3b는 도 3a의 토목섬유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a는 도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B영역의 확대도.
도 4b는 도 4a의 토목섬유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토지에 설치된 배수장치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and on which a drainage device is installe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ainage device installed in the land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aken along AA. FIG.
FIG. 3A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B in FIG. 2; FIG.
FIG. 3B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fixing the geo-fibers in FIG. 3A. FIG.
FIG. 4A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2; FIG.
FIG. 4B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fixing the geoscientific fibers of FIG. 4A.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a drainage device installed in the land of FI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수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rainage apparatus and a drainage system having the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배수장치가 설치된 토지(10)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토지에 설치된 배수장치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and 10 in which a drainage device is installe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ainage device installed in the land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along a line A-A.

상기 배수장치는 유입부(100), 배수홀(200), 내부 배수로(300) 및 암거(400)를 포함한다. The drainage device includes an inlet 100, a drainage hole 200, an internal drainage passage 300, and a culvert 400.

상기 유입부(100)는 상기 토지(10)의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토지(10)의 표면 상 및 상기 토지(10)의 내부로 흐르는 물이 상기 유입부(100)로 유입된다. 상기 배수로(100)는 상기 토지(10)의 내부로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inlet (100)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10). Water flowing on the surface of the land (10) and into the interior of the land (10) flows into the inlet (100). The drainage path 100 may be formed so as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inside of the land 10.

즉, 상기 유입부(100)의 단면은 평행사변형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00)의 내부면은 서로 마주보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측면(102)과 상기 경사면을 연결하는 하면(101)으로 구성된다. 상기 토지(10)의 표면으로 흐르는 물은 상기 측면(102)을 따라 상기 유입부(100)로 유입될 수 잇다. That is, the cross section of the inflow section 100 may be formed in a parallelogram shape. The inner surface of the inflow part 100 includes a side surface 102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a bottom surface 101 connecting the inclined surface. Water flowing to the surface of the land 10 may flow into the inlet 100 along the side 102.

또한, 상기 토지(10)의 내부에서 유동하던 물이 상기 측면(102)을 따라 흘러나올 수 있다. 상기 토지(10) 내부에서 상기 측면(102)으로 물이 모일 수 있으므로, 상기 토지(10) 내부의 지하수위가 저하될 수 있다. In addition, water that has been flowing inside the land 10 can flow along the side 102. Since the water can collect into the side surface 102 within the land 10, the groundwater level inside the land 10 can be lowered.

상기 측면(102)을 따라 유입된 물은 상기 하면(101)에 모이게 된다. 상기 유입부(100)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100)의 하면(101)에 모아진 물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흐른다.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흐른 물이 한곳에 모이도록 형성된다. The water introduced along the side surface 102 is collected on the lower surface 101. The inlet 100 is forme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Water collected on the lower surface 101 of the inflow portion 100 flows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And water flow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is collected in one place.

다만, 상기 하면(101)에 모인 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토지(10)의 내부로 흡수될 수 있다. 상기 토지(10)의 내부로 흡수된 물은 상기 내부 배수로(300)로 모이게 된다. However,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collected on the lower surface 101 may be absorbed into the land 10. The water absorbed into the interior of the land 10 is collected in the internal drainage passage 300.

즉, 상기 유입부(100)의 하부에 내부 배수로(300)가 형성된다. 상기유입부(100)의 하면(102)과 상기 내부 배수로(300)는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배수로(30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내부 배수로(300)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면(102)의 하부로 흐르는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 배수로(300)에 모아진 물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흘러 한곳에 모일 수 있다.That is, an internal drainage passage 30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flow section 100. The lower surface 102 of the inflow section 100 and the inner drain passage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internal drainage passage 300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inner drain line 300 is formed to flow in the first direction D1 so that water flow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102 flows. The water collected in the inner drain canal 300 may be collected in a place flow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유입부(100)와 상기 내부 배수로(300)에 모여 한 곳에서 모아진 물은 토지의 작물재배를 위한 급수로 활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gathered at the inlet 100 and the inner drainage 300 can be used as a water supply for growing crops in the land.

상기 내부 배수로(300)는 상기 하면(102)와 마주보는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공(30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유공(301)을 통하여 상기 물이 유입된다. 상기 제1 유공(301)이 형성되는 내부 배수로(300)는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짜임이 큰 포장재로 도포되고, 물의 배수가 빠르도록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자갈(11) 등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내부 배수로(300)의 하부에는 상기 물이 모여 일정한 영역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공(301)이 형성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drainage path 300 includes at least one first hole 301 formed in a region facing the lower surface 102. And the water flows through the first hole (301). The inner drainage path 300 in which the first holes 301 are formed is coated with a large packing material to allow water to flow therein and may be surrounded by relatively large gravels 11 such that drainage of water is fast .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hrough holes 301 are not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ner drain line 300 so that the water can flow to a certain region.

상기 암거(400)의 일 단부는 상기 내부 배수로(30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암거(400)는 상기 토지(10)의 내부에 상기 토지(1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지(10)의 표면과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배수로(300)로 향할수록 토지(10)의 표면과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중력에 의하여 물이 상기 내부 배수로(300)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ulter 40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drainage passage 300. The culter 400 is installed inside the land 10 so as to be spaced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10 and extends along a second direction D2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D1. And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rface of the land 10 as shown. In other words, it is formed so as to be distant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10 toward the inner drainage path 300, so that water can be installed to move to the inner drainage path 300 by gravity.

상기 암거(400)는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거(400)는 상기 내부 배수로(300)를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culter 40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mber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The culter 400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the inner drainage passage 300.

상기 암거(40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유공(40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유공(401)을 통하여 상기 토지(10) 내부에 흐르는 물이 상기 암거(4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제2 유공(401)을 포함하는 상기 암거(400)는 포장재로 도포되고, 큰 자갈(11) 등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지(10) 내부의 물이 상기 암거(400)로 모아지므로 상기 토지(10)의 지하수위가 저하될 수 있다. The culter 400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hole 401. Water flowing into the land (10) through the second hole (401)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culter (400). The culter 400 including the second hole 401 is coated with a packing material and may be surrounded by a large gravel 11 or the like. Therefore, since the water inside the land 10 is collected by the culter 400, the groundwater level of the land 10 may be lowered.

상기 암거(400)는 상기 토지(10)의 내부에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배수로(300)와 멀어질수록 상기 토지(10)의 지면과 인접하도록 기울어진다. 상기 암거(400)로 유입된 물은 중력에 의하여 상기 내부 배수로(300)를 향하여 흐르고, 상기 물은 상기 내부 배수로(300)로 모이게 된다. The culter 40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side the land 10. In other words, as the distance from the internal drainage path 300 increases, it is inclined to be adjacent to the ground surface of the land 10. Water flowing into the culvert 400 flows toward the inner drainage path 300 by gravity, and the water is collected in the inner drainage path 300.

상기 배수홀(200)은 상기 유입부(100)와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배수홀(200)의 상기 토지(10)의 표면과 인접한 상면은 상기 물이 흘러들어오도록 뚫린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홀(200)은 상기 유입된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빈공간을 구비한다.The drain hole (20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inlet (100). An upper surface of the drain hole 200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land 10 includes a shape opened to allow the water to flow therethrough. The drain hole 200 has an empty space for receiving the inflow water.

또한, 상기 배수홀(2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거(400) 및 상기 내부 배수로(300)와 연통될 수 있다. Further, the drain hole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at least one culvert 400 and the internal drain line 300.

토지(10)의 표면으로부터 형성되는 유입부(100)와 상기 토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배수로(300)에 의하여, 상기 토지(10)의 표면에서 흐르는 물이 유실되지 않고 모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지(10)의 표면에서 유입되는 물에 의하여 상기 토지의 지하수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The water flowing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10 can be collected without being lost by the inlet 100 formed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10 and the internal drain 300 installed inside the land 1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groundwater level of the land due to the water flowing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10.

또한, 상기 내부 배수로(300)와 연통되는 복수의 암거(400)에 의하여 상기 유입부(100)를 깊게 형성하지 않고도 상기 토지 내부의 지하수위를 감소시킬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작물의 재배에 유리하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ulter 400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drainage path 300 can reduce the groundwater level inside the land without forming the inlet 100 deeply, which is advantageous for growing various kinds of crops .

또한, 상기 내부 배수로(300)와 상기 암거(400)는 상기 토지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상기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토지의 면적이 증가한다. In addition, since the inner drainage path 300 and the culter 400 are installed inside the land, the area of the land where the crop can be grown is increased.

상기 유입부(100)의 표면에 흐르는 물을 이용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102)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이하, 식물이 식재되는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Plants may be planted on the side surface 102 to utilize water flowing on the surface of the inflow section 100 and to enhance the appearance. 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plants being plan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a는 도 2의 B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토목섬유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3A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B in Fig. 2, and Fig. 3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fixing the geo-fibers in Fig. 3A.

도 2 및 도 3a을 검토하면, 상기 측면(102) 상에 토목섬유(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목섬유(110)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의 종자가 포함되는 종자포설형 토목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지(10)의 측면(102)에 식물(111)이 식재될 수 있다. 2 and 3A, a geosynthetic fiber 110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102. [ The geosynthetic fibers 110 may be formed of seed-laid geosynthetics containing seeds of at least one plant. That is, plants 111 may be planted on the side 102 of the land 10.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토지(10)의 측면(102)으로 물이 흐르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식물(111)에 별도의 수분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간편하다. 상기 식물(111)을 상기 유입부(100)에 형성하여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Since water is formed to flow on the side surface 102 of the land 10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no additional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 111, which is convenient. The plant 111 may be formed in the inflow section 100 to improve the appearance.

상기 토목섬유(110)는 고정부재(120)에 의하여 상기 측면(102)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토목섬유(110)를 관통하여 상기 토지(10)의 내부까지 침투하는 방식으로 상기 토목섬유(110)를 고정한다.The geosynthetic fiber 110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102 by a fixing member 120. The fixing member 120 fixes the geoscientific fibers 110 by penetrating the geosynthetic fibers 110 and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land 10.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토목섬유(110) 상에 배치되는 부착판(121)과 상기 토지의 내부로 침투하는 침투제(122)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3B, the fixing member 120 includes an attachment plate 121 disposed on the geosynthetic fiber 110 and a penetrating agent 122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land.

상기 측면(102) 상에 상기 토목섬유(110)를 안착한다. 상기 토목섬유(110) 상에 상기 부착판(121)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판(121)의 상부에서부터 상기 토지(10)의 내부로 상기 침투제(122)를 주입한다. 상기 침투제(122)는 상기 부착판(121)과 상기 토목섬유(110)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토지(10)에 도달한다.And the geosynthetic fiber (110) is seated on the side surface (102). The attachment plate 121 is formed on the geosynthetic fiber 110 and the penetrating agent 122 is injected into the land 10 from the top of the attachment plate 121. The penetrating agent 122 passes through the attachment plate 121 and the geosynthetic fiber 110 in order and reaches the land 10. [

상기 침투제(122)는 고화형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지(10)의 내부로 침한 침투제(122)는 상기 토지(10)를 구성하는 흙과 모래등과 합쳐져 암석을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토목섬유(110)가 상기 측면(10)과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즉, 비교적 견고하지 못한 토지(10)에 상기 고화형 침투제(122)를 이용하여 상기 토목섬유(110)를 고정할 수 있다.The penetrating agent 122 may be formed of a solidifying material. That is, the penetrating agent 122 dipped into the land 10 is combined with the soil and sand constituting the land 10 to form a rock. Therefore, the geoscientific fibers 110 are fix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side surface 10. That is, the geosynthetic fibers 110 can be fixed to the relatively unstable land 10 using the solidification type penetrating agent 122.

또한, 상기 부착판(121)은 상기 식물(111)이 자랄 수 있도록 필요한 양분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tachment plate 121 may include nutrients necessary for the plant 111 to grow.

도 4a는 도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B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4a는 도 4a의 토목섬유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FIG. 4A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2, and FIG. 4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fixing the geotextiles of FIG. 4A.

도 2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110)는 상기 토목섬유(110)로부터 상기 토지(10)의 내부까지 삽입되는 고정핀(123)을 이용하여 상기 측면(102)에 고정된다. 고정방법을 제외하고 도 3a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2 and 4B, the geosynthetic fib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102 by using the fixing pin 123 inserted from the geoscientific fiber 110 to the inside of the land 10, Respectively. 3A, except for the fixing method, and thus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123)은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두 단부를 연결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4B, the fixing pin 123 includes two insertion portions extending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fixing portion connecting the two ends of the insertion portion.

상기 측면(102)에 상기 토목섬유(110)를 배치하고, 상기 토목섬유(110) 상에 고정판(121)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핀(123)은 상기 부착판(131)의 상부로부터 상기 토목섬유(110)를 관통하여 상기 토지(10)로 삽입된다. 상기 고정핀(123)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판(121)에 접하여 고정될 때까지 삽입된다.The geosynthetic fiber 110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102 and the fixing plate 121 is formed on the geosynthetic fiber 110. The fixing pin 123 is inserted into the land 10 through the geosynthetic fiber 110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ttachment plate 131. The fixing part of the fixing pin 123 is inserted until it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121.

상기 고정핀(123)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구조(124)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구조(124)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토지(10)와 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쐐기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토지(10)의 내부로 쉽게 삽입되지만, 분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는바, 상기 토목섬유(11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At least one protrusion structure 124 is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fixing pin 123. The protrusion structure 124 is formed in a region of the fix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and 10, and is formed in a wedge shape. Therefore, it is easily inserted into the land 10, but it is not easy to separate it, so that the geoscientific fiber 110 can be more firmly fixed.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장치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1 taken along line A-A.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장치는 내부 배수로를 제외하고 도 2의 배수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2 and 5, the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substantially the same components as the drainage apparatus of FIG. 2 except for the internal drainage passage.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수장치는 유입부(100), 배수홀(200), 개거형 배수로(300') 및 암거(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2 and 5, the drainage apparatus includes an inlet 100, a drainage hole 200, a canopy drainage passage 300 ', and a culvert 400.

상기 개거형 배수로(300')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입부(100)와 연통되도록 토지(10)의 표면과 인접한 일면이 뚫린 개구부를 구비한다. 즉, 상기 측면(102)으로 흘러내려온 물은 상기 개거형 배수로(300')의 개구부를 통하여 개거형 배수로(300')의 내부에 수용된다. The open drainage path 300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has an opening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land 10 is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land 10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100. That is, the water flowing down to the side surface 102 i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opened drainage path 300 'through the opening of the opened drainage path 300'.

또한, 상기 개거형 배수로(300')는 제3 유공(301')이 형성되는 유공벽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 유공(301')은 자갈(11) 등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유공(301')으로 상기 토지(10) 내부의 유동되는 물이 상기 개거형 배수로(300')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토지(10)의 지하수위가 감소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ning type water drainage passage 300 'is constituted by a porous wall in which the third through-hole 301' is formed. The third perforations 301 'may be surrounded by gravel 11 or the like. Accordingly, water flowing into the land 10 through the third hole 301 'flows into the open drainage path 300'. Thus, the groundwater level of the land 10 can be reduced.

상기 개거형 배수로(300')는 상기 유입부(100)에 일면에 노출되도록수납하면 되므로, 상대적으로 시공이 단순하고, 상기 유입부(100)의 너비를 넓힐 필요성이 없으므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면적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gutter-type drainage path 300 'can be housed so as to be exposed on one side of the inflow section 100, it is relatively simple to construct and there is no need to increase the width of the inflow section 100, A decrease in area can be prevented.

또한, 측면(102)을 따라 흐르는 물이 직접적으로 수용되므로, 물의 유실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water flowing along the side surface 102 is directly accommodated, water loss can be reduced.

상기와 같이 설명된 구조의 유입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로를 포함하는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수시스템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drainage system including the drainage channel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le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the drainage system having the drainage system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ly applied,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Claims (8)

토지의 표면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깊이로 리세스되어 상기 물이 모이는 하면을 포함하는 유입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입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로에 수용되는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로; 및
상기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중력에 의하여 물이 상기 배수로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토지의 내부에서 상기 배수로와 멀어질수록 상기 토지의 지면과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토지 내부의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제2 유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거; 및
상기 유입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암거로부터 유입된 물이 고이고,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저하용 배수장치.
A drainage devic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an inflow portion including a bottom surface where the water is collected by being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so as to allow water to flow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A drain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flow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one direction so that water contained in the drain can be introduced; And
Wherein the water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ground surface of the land as the water moves away from the drainage path from the inside of the land so that water moves toward the drainage path by gravity, At least one culvert comprising a second perforation to be formed; And
And a drain hole disposed adjacent to the inflow section and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drain line, the water flowing from the culvert is high.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와 상기 하면 사이는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배수로는 상기 배수로의 외면과 인접한 상기 유입부에 모인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유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저하용 배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ainage passage and the lower surfa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drainage passage includes at least one first hole so that the water collected in the inlet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age passage can flow into the drainage pass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는 적어도 일면이 상기 토층의 외부공간으로 개구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개거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수로의 개구부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저하용 배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ainage passage is formed in an open-type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surface of which is opened to an external space of the soil layer,
And the inlet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portion of the drainage passage.
적어도 하나의 작물이 식재되는 토지;
상기 토지의 표면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깊이로 리세스되어 상기 물이 모이는 하면을 포함하는 유입부; 및
상기 토지의 표면 및 내부에서 유동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해당되는 수위저하용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배수시스템.
A land on which at least one crop is planted;
An inflow portion including a bottom surface of the land which i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to allow water to flow from the surface of the land; And
The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ich is installed to drain the water flowing on the surface and inside of the la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식물이 식생되도록 표면에 식생종자가 포함되는 토목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egetation seeds are included in the surface of the inflow section so that vegetation is veget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flow s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과 상기 토목섬유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토목섬유의 표면에서부터 상기 내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침투하여 고정시키는 고화형 침투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solidifying penetrator for penetrating and fixing the surface of the geosynthetic fi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from the surface of the geosynthetic fib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geosynthetic fi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섬유를 상기 표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토목섬유를 관통하여 상기 토양내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토양과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핀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soil through the geoscientific fiber to fix the geoscientific fiber on the surface,
Wherein at least one protrusion structur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xing pin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soil.
KR20130027455A 2013-03-14 2013-03-14 Drainage apparatus for decreasing underground water level and drainage system KR1014920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7455A KR101492010B1 (en) 2013-03-14 2013-03-14 Drainage apparatus for decreasing underground water level and drain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7455A KR101492010B1 (en) 2013-03-14 2013-03-14 Drainage apparatus for decreasing underground water level and drainag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849A KR20140112849A (en) 2014-09-24
KR101492010B1 true KR101492010B1 (en) 2015-02-10

Family

ID=5175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7455A KR101492010B1 (en) 2013-03-14 2013-03-14 Drainage apparatus for decreasing underground water level and drainag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0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944B1 (en) 2020-11-03 2022-06-27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A groundwater level restora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clogg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052Y1 (en) * 2003-08-19 2003-11-12 (주)서영기술단 A mole drainage
KR100920027B1 (en) * 2007-08-03 2009-10-06 주식회사 벽진지오테크닉스 Vegetation Method Reinforced Soil Slopes with Geotextile Curtain Wall combined with steel buckel and anchor Nai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052Y1 (en) * 2003-08-19 2003-11-12 (주)서영기술단 A mole drainage
KR100920027B1 (en) * 2007-08-03 2009-10-06 주식회사 벽진지오테크닉스 Vegetation Method Reinforced Soil Slopes with Geotextile Curtain Wall combined with steel buckel and anchor Na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849A (en)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353B1 (en) Side gutter for mountain 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CN105706555A (en) Saline-alkali soil greening engineering original soil improv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34266B1 (en)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method of ditch type by considering geological properties
KR101003720B1 (en) Nature-friendly diversion drain at top of slope
KR101025260B1 (en) Slope stabilization method which uses prefabricated shore protection block and coir mat
KR101659168B1 (en) Rock cutting slope revegetation method
KR101492010B1 (en) Drainage apparatus for decreasing underground water level and drainage system
KR100961174B1 (en) Drain belt and apparatus for channelling groundwater using the same
CN109618884B (en) Shallow groundwater seepage flow collection hidden pipe structure
KR100946760B1 (en) Method for planting a tree on the reclaimed land
KR20080099937A (en) Subsurface water distribution system for terraced flower bed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663207B1 (en) Breast wall of building
KR101018247B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improving reclaimed land for fruit growing
JP4134070B2 (en) Underground irrigation drainage underdrain
KR101280027B1 (en) A construction method of planted retaing wall using planting bag
KR101628201B1 (en) Ecological block structure
KR200446723Y1 (e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with vegetation function of vine plants and shrub plants
KR101818562B1 (en) Reinforced retaina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H11152785A (en) Infiltration, facility having water-retention structure
JP3464620B2 (en) Vegetation block and stacking method of the block
JP2007077771A (en) Seeding and planting retaining wall block
KR101105407B1 (en) a breast wall structure with eco-friendly of moisture transmitter
KR100938140B1 (en) Structure for cut slope of mine area and method
KR101309427B1 (en) Method of making landscape artificial ground drainage system
CN219508605U (en) Ecological structure that gives attention to drainage of restoring green of rock side sl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