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847A -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 - Google Patents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847A
KR20140112847A KR1020130027450A KR20130027450A KR20140112847A KR 20140112847 A KR20140112847 A KR 20140112847A KR 1020130027450 A KR1020130027450 A KR 1020130027450A KR 20130027450 A KR20130027450 A KR 20130027450A KR 20140112847 A KR20140112847 A KR 20140112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line
hydraulic fluid
control valv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준
Original Assignee
김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준 filed Critical 김원준
Priority to KR102013002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2847A/ko
Publication of KR20140112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05Filling or draining of 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펌프에 의해 유압 엑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유압유체의 압력을 회수라인을 통해 신속하게 제어하여 유압 엑추에이터 또는 각종 유압기기의 정비를 위한 분해조립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 라인을 갖는 유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압유체 탱크(91)에 저장된 유압유체를 흡입,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유압펌프(90)와, 유압펌프(90)에서 토출되어 이동하는 유압유체의 이동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제어밸브(40)와, 방향제어밸브(40)를 통과한 유압유체에 의해 동작하여 유압기기에 유압동력을 공급하는 유압 엑추에이터(10)와, 일단이 유압펌프(90)와 연결되고 타단이 방향제어밸브(40)와 연결되어 유압펌프(90)에서 토출되는 유압유체가 방향제어밸브(40)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공급라인(20)과, 일단이 유압유체 탱크(91)와 연결되고 타단이 방향제어밸브(40)와 연결되어 방향제어밸브(40)에서 토출되는 유압유체가 유압유체 탱크(91)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배출라인(30)과, 방향제어밸브(40) 일측과 유압 엑추에이터(10) 일측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유압유체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 이송라인(50)과, 방향제어밸브(40) 타측과 유압 엑추에이터(10) 타측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유압유체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2 이송라인(60)과, 제1 이송라인(50)과 제2 이송라인(6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제1 이송라인(50)과 제2 이송라인(60)을 이동하는 각 유압유체가 양측방에서 각각 유입되도록 단속하여 합류시키는 제1 회수라인(70) 및 상기 제1 회수라인(70)과 배출라인(3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제1 회수라인(70)을 통해 합류된 유압유체를 단속하여 배출라인(30)을 통해 유압유체 탱크(91)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 회수라인(80)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with a return line hydraulic oil pressure control hydraulic circuit}
본 발명은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유압펌프에 의해 유압 엑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유압유체의 압력을 회수라인을 통해 신속하게 제어하여 유압 엑추에이터 또는 유압기기의 정비를 위한 분해조립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 라인을 갖는 유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실린더 또는 유압모터 등의 유압 엑추에이터는 유압펌프에 의해 설정된 압력으로 공급되는 유압유체를 공급, 배출, 이송라인과 제어밸브 및 각종 부속장치 등을 통해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각종 유압기기에 유압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압기기에 유압동력을 공급하는 유압회로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25979호 "2 조의 유압회로계통을 갖춘 유압기기의 내부합류장치"와,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11718호 "홀딩밸브를 갖는 압력보상형 유압회로"와,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1995-0001842호 "유체의 압력 단계적 제어용 유압회로" 등이 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유압회로와 관련된 종래기술에 있어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11718호의 "홀딩밸브를 갖는 압력보상형 유압회로"는 제1,2유압펌프; 상기 제1유압펌프에 연결되고, 각각의 제어밸브 절환시 제1유압펌프로 부터 작동유 공급으로 구동되는 주행모터와, 버킷실린더와, 붐실린더; 상기 제2유압펌프에 연결되고, 각각의 제어밸브 절환시 제2유압펌프로 부터 작동유 공급으로 구동되는 주행모터와, 아암실린더와, 스윙모터; 상기 아암실린더용 제어밸브와 아암실린더사이의 유로, 상기 붐실린더용 제어밸브와 붐실린더사이의 유로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고, 아암실린더 또는 붐실린더에 발생되는 부하압력으로 인해 자연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홀딩밸브; 상기 홀딩밸브 하류측에 설치되고, 외부로 부터 파일럿 신호압 인가시 절환되어 아암실린더 또는 붐실린더의 부하를 해제시키는 보조 스플; 및 상기 홀딩밸브의 상류측 라인과 보조 스플의 하류측 라인사이에 설치되고, 보조 스플 절환시 아암실린더로 부터 유압탱크로 드레인되는 유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1995-0001842호의 "유체의 압력 단계적 제어용 유압회로"를 살펴보면 통상적으로 압력제어 유압회로를 구성함에 있어서, 펌프와 메인밸브가 직렬 연결되고, 그 사이로는 액츄에이터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라인이 연결되고, 이와 유압라인을 통해 일정압력이 설정되어 있는 압력제어밸브와 밸브의 온/어프 제어용 솔레노이드밸브가 직렬 연결구성되고 상기 유압라인은 탱크와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유압회로에 있어서 유압실린더, 유압모터 등의 유압 엑추에이터 또는 유압기기 등의 고장발생으로 배관 라인을 분해조립할 시 유압유체의 압력에 의해 배관 라인의 분해가 어렵고, 억지로 배관 라인을 분해할 시 고압으로 토출되는 유압유체에 의해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25979호 (1999.07.23) "2 조의 유압회로계통을 갖춘 유압기기의 내부합류장치"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11718호 (2006.08.04) "홀딩밸브를 갖는 압력보상형 유압회로"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1995-0001842호 (1995.03.16) "유체의 압력 단계적 제어용 유압회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유압유체가 이동하는 이송라인과 배출라인을 회수라인으로 상호 연결하고, 회수라인 상에는 체크밸브와 콕크밸브를 설치하며, 유압 엑추에이터 등의 고장발생시 콕크밸브를 간단히 개방 조작하여, 이송라인을 이동하는 유압유체가 회수라인으로 유입되어 배출라인을 통해 유압유체 탱크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라인을 이동하는 유압유체의 설정된 압력이 낮아지거나 제거되어, 유압 엑추에이터 또는 유압기기의 정비를 위한 분해조립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유압유체 탱크에 저장된 유압유체를 흡입,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에서 토출되어 이동하는 유압유체의 이동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제어밸브; 및 방향제어밸브를 통과한 유압유체에 의해 동작하여 유압기기에 유압동력을 공급하는 유압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유압펌프와 방향제어밸브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방향제어밸브로 유압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라인과; 유압유체 탱크와 방향제어밸브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유압유체 탱크로 유압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라인과; 방향제어밸브 일측과 유압 엑추에이터 일측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유압유체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 이송라인과; 방향제어밸브 타측과 유압 엑추에이터 타측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유압유체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2 이송라인과; 제1 및 제2 이송라인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제1 및 제2 이송라인을 이동하는 각 유압유체가 양측방에서 각각 유입되도록 단속하여 합류시키는 제1 회수라인과; 제1 회수라인과 배출라인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제1 회수라인을 통해 합류된 유압유체를 단속하여 배출라인을 통해 유압유체 탱크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 회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회수라인은 양측방에 제1 이송라인과 제2 이송라인을 이동하는 각 유압유체가 제1 회수라인의 중심부로 유입되어 합류되도록 단속하는 제1 체크밸브와 제2 체크밸브가 결합되고, 제2 회수라인은 일단이 제1 체크밸브와 제2 체크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회수라인 상에 연결되고, 제2 회수라인 상에는 합류된 유압유체를 배출라인을 통해 유압유체 탱크로 배출되도록 단속하는 콕크밸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회수라인과 방향제어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이송라인과 제2 이송라인 상에는 각각 파일럿 조작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유압 엑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유압유체의 유압과 유압 엑추에이터에서 배출되는 유압유체의 유압이 설정된 압력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방향제어밸브는 공급라인과 배출라인 및 제1 이송라인과 제2 이송라인의 끝단부에 각각 포트가 설치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되, 공급라인을 이동하는 유압유체가 제1 이송라인과 제2 이송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인가되도록 하고, 제1 이송라인과 제2 이송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동하는 유압유체가 배출라인으로 인가되도록 하여 유압 엑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에 의하면, 유압유체가 유압펌프(90)에 의해 설정된 압력으로 이동하는 제1 이송라인(50)과 제2 이송라인(60)을 제1 회수라인(70)으로 연결하고, 제1 회수라인(70)과 배출라인(30)을 제2 회수라인(80)으로 연결하며, 제1 회수라인(70) 상에는 제1 및 제2 체크밸브(71)(72)를 설치하고, 상기 제2 회수라인(80) 상에는 콕크밸브(81)를 설치하여, 유압 엑추에이터(10) 또는 유압 엑추에이터(10)의 유압동력을 전달받는 유압기기의 고장발생시 제2 회수라인(80) 상에 설치된 콕크밸브(81)를 간단히 개방 조작하여 제1 및 제2 이송라인(50)(60)을 이동하는 유압유체가 제1 및 제2 회수라인(70)(80)을 경유하여 배출라인(30)을 통해 유압유체 탱크(91)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 이송라인(50)(60)을 이동하는 유압유체의 설정된 압력이 낮아지거나 제거되어, 유압 엑추에이터(10) 또는 유압기기의 정비를 위한 분해조립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70)(80)을 갖는 유압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70)(80)을 갖는 유압회로에 있어서, 유압 엑추에이터(10)가 유압모터(12)인 것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것인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또는 동일한 부호를 병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70)(80)을 갖는 유압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유압유체 탱크(91)에 저장된 유압유체를 흡입,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유압펌프(90)가 구비되고, 유압펌프(90)에서 토출되어 이동하는 유압유체의 이동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제어밸브(40)가 마련되며, 방향제어밸브(40)를 통과한 유압유체에 의해 동작하여 유압기기(도시생략)에 유압동력을 공급하는 유압 엑추에이터(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유압 엑추에이터(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11) 또는 유압모터(12)이며, 유압펌프(90)는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자에 의해 유압유체 탱크(91)의 유압유체가 흡입되면서 압축되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기어펌프, 베인펌프, 나사펌프와 같은 용적형 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일단이 유압펌프(90)와 연결되고 타단이 방향제어밸브(40)와 연결되어 유압펌프(90)에서 토출되는 유압유체가 방향제어밸브(40)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공급라인(20)이 마련되며, 일단이 유압유체 탱크(91)와 연결되고 타단이 방향제어밸브(40)와 연결되어 방향제어밸브(40)에서 토출되는 유압유체가 유압유체 탱크(91)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배출라인(30)이 구비된다.
또한, 방향제어밸브(40) 일측과 유압 엑추에이터(10) 일측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유압유체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 이송라인(50)이 마련되며, 방향제어밸브(40) 타측과 유압 엑추에이터(10) 타측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유압유체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2 이송라인(60)이 구비된다.
한편, 제1 이송라인(50)과 제2 이송라인(6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제1 이송라인(50)과 제2 이송라인(60)을 이동하는 각 유압유체가 양측방에서 각각 유입되도록 단속하여 합류시키는 제1 회수라인(70)이 마련되고, 상기 제1 회수라인(70)과 배출라인(3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제1 회수라인(70)을 통해 합류된 유압유체를 단속하여 배출라인(30)을 통해 유압유체 탱크(91)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 회수라인(80)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제1 회수라인(70)은 양측방에 제1 이송라인(50)과 제2 이송라인(60)을 이동하는 각 유압유체가 제1 회수라인(70)의 중심부로 유입되어 합류되도록 단속하는 제1 체크밸브(71)와 제2 체크밸브(72)가 구비된다.
또한, 제2 회수라인(80)은 일단이 제1 체크밸브(71)와 제2 체크밸브(7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회수라인(70) 상에 연결되고, 제2 회수라인(80) 상에는 제1 회수라인(70)에 의해 합류된 유압유체를 배출라인(30)을 통해 유압유체 탱크(91)로 배출되도록 단속하는 콕크밸브(81)가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에 있어서, 제1 회수라인(70)과 방향제어밸브(4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이송라인(50)과 제2 이송라인(60) 상에는 각각 파일럿 조작 체크밸브(51)를 설치하여, 유압 엑추에이터(10)에 공급되는 유압유체의 유압과 유압 엑추에이터(10)에서 배출되는 유압유체의 유압이 설정된 압력값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에 있어서, 방향제어밸브(40)는 공급라인(20)과 배출라인(30) 및 제1 이송라인(50)과 제2 이송라인(60)의 끝단부에 각각 포트가 설치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4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41)는 공급라인(20)을 이동하는 유압유체가 제1 이송라인(50)과 제2 이송라인(6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인가되도록 하고, 제1 이송라인(50)과 제2 이송라인(6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동하는 유압유체가 배출라인(30)으로 인가되도록 하여 유압 엑추에이터(1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의 작동과정을 이하 살펴보기로 한다.
유압 엑추에이터(10)의 작동을 위해 유압펌프(90)를 가동시키면 유압펌프(90)는 유압유체 탱크(91)에 저장된 유압유체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공급라인(20)으로 토출하게 된다.
공급라인(20)으로 토출된 유압유체는 방향제어밸브(40)에 의해 제1 이송라인(50)으로 이동하여 유압 엑추에이터(10)의 일측으로 공급되고, 유압 엑추에이터(10)가 작동하게 된다.
유압 엑추에이터(10)가 작동하면서 유압 엑추에이터(10) 타측의 유압유체는 제2 이송라인(60)을 이동하여 방향제어밸브(40)에 의해 배출라인(30)으로 이동한 후 유압유체 탱크(91)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후 공급라인(20)으로 토출되는 유압유체는 방향제어밸브(40)에 의해 제2 이송라인(60)으로 공급되어 이동하면서 유압 엑추에이터(10)의 타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유압유체가 제2 이송라인(60)을 이동하여 유압 엑추에이터(10)의 타측으로 공급되면, 유압 엑추에이터(10)의 일측 유압유체는 다시 제1 이송라인(50)을 이동하여 방향제어밸브(40)에 의해 배출라인(30)으로 이동한 후 유압유체 탱크(91) 내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유압회로의 작동과정이 반복되면서 유압 엑추에이터(10)는 유압기기에 유압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작동과정에서 방향제어밸브(40)는 공급라인(20)과 배출라인(30) 및 제1 이송라인(50)과 제2 이송라인(60)의 끝단부에 각각 포트가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41)의 작동에 의해 유압유체의 방향을 변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41)는 공급라인(20)을 이동하는 유압유체가 제1 이송라인(50)과 제2 이송라인(6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인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이송라인(50)과 제2 이송라인(6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동하는 유압유체가 배출라인(30)으로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유압 엑추에이터(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회수라인(70)과 방향제어밸브(4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이송라인(50) 및 제2 이송라인(60) 상에는 각각 파일럿 조작 체크밸브(51)이 설치되어, 유압 엑추에이터(10)에 공급되는 유압유체의 유압과 유압 엑추에이터(10)에서 배출되는 유압유체의 유압이 설정된 압력값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는 유압 엑추에이터(10) 또는 유압 엑추에이터(10)의 유압동력을 전달받는 유압기기의 고장발생시 제2 회수라인(80) 상에 설치된 콕크밸브(81)를 개방 조작한다.
제2 회수라인(80) 상의 콕크밸브(81)를 개방 조작하게 되면 제1 이송라인(50)을 이동하던 유압유체는 제1 회수라인(70) 상에 설치된 제1 체크밸브(71)를 통과하여 제1 회수라인(70) 중앙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2 이송라인(60)을 이동하던 유압유체는 제1 체크밸브(71)와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제1 회수라인(70) 상에 설치된 제2 체크밸브(72)를 통과하여 제1 회수라인(70) 중앙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체크밸브(71)(72)를 통과한 제1 및 제2 이송라인(50)(60)의 각 유압유체는 제1 회수라인(70)의 중앙부에서 합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콕크밸브(81)의 개방 조작시 제1 및 제2 이송라인(50)(60)의 각 유압유체가 제1 및 제2 체크밸브(71)(72)를 각각 통과하게 되는 과정을 좀 더 설명하면, 콕크밸브(81)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제1 및 제2 이송라인(50)(60)을 이동하는 유압유체의 설정 압력은 제1, 제2 회수라인(70)(80) 및 배출라인(30)의 내부 압력보다 높은 상태이고, 콕크밸브(81)를 개방 조작하게 되면 압력이 높은 상태의 제1 및 제2 이송라인(50)(60)의 각 유압유체가 제1 및 제2 체크밸브(71)(72)를 개방 동작시키면서 제1 회수라인(70) 중앙부로 진입하여 합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회수라인(70)의 중앙부에 합류된 유압유체는 제1 회수라인(70) 중앙부에 일단이 연결된 제2 회수라인(80)으로 진입하여 콕크밸브(81)를 경유한 후 제2 회수라인(80) 타단과 연결된 배출라인(30)을 통해 유압유체 탱크(91)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콕크밸브(81)의 개방 조작에 의해 유압유체가 배출됨으로써, 제1 이송라인(50)과 제2 이송라인(60)을 이동하는 유압유체의 설정된 압력이 낮아지거나 제거되어, 유압 엑추에이터(10) 또는 유압기기의 정비를 위한 분해조립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유압 엑추에이터, 11:유압 실린더, 12:유압모터
20:공급라인
30:배출라인
40:방향제어밸브, 41:솔레노이드 밸브
50:제1 이송라인, 51:파일럿 조작 체크밸브
60:제2 이송라인, 61:파일럿 조작 체크밸브
70:제1 회수라인, 71:제1 체크밸브, 72:제2 체크밸브
80:제2 회수라인, 81:콕크밸브
90:유압펌프, 91:유압유체 탱크

Claims (4)

  1. 유압유체 탱크에 저장된 유압유체를 흡입,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되어 이동하는 유압유체의 이동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제어밸브; 및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통과한 유압유체에 의해 동작하여 유압기기에 유압동력을 공급하는 유압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방향제어밸브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방향제어밸브로 유압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라인과; 상기 유압유체 탱크와 상기 방향제어밸브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압유체 탱크로 유압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라인과;
    상기 방향제어밸브 일측과 상기 유압 엑추에이터 일측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유압유체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 이송라인과; 상기 방향제어밸브 타측과 상기 유압 엑추에이터 타측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유압유체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2 이송라인과;
    상기 제1 및 제2 이송라인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송라인을 이동하는 각 유압유체가 양측방에서 각각 유입되도록 단속하여 합류시키는 제1 회수라인과; 상기 제1 회수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수라인을 통해 합류된 유압유체를 단속하여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유압유체 탱크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 회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수라인은 양측방에 상기 제1 이송라인과 제2 이송라인을 이동하는 각 유압유체가 상기 제1 회수라인의 중심부로 유입되어 합류되도록 단속하는 제1 체크밸브와 제2 체크밸브가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수라인은 일단이 상기 제1 체크밸브와 제2 체크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회수라인 상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수라인 상에는 상기 합류된 유압유체를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유압유체 탱크로 배출되도록 단속하는 콕크밸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수라인과 상기 방향제어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이송라인와 상기 제2 이송라인 상에는 각각 파일럿 조작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유압 엑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유압유체의 유압과 상기 유압 엑추에이터에서 배출되는 유압유체의 유압이 설정된 압력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공급라인과 배출라인 및 제1 이송라인과 제2 이송라인의 끝단부에 각각 포트가 설치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라인을 이동하는 유압유체가 상기 제1 이송라인과 제2 이송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이송라인과 제2 이송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동하는 유압유체가 상기 배출라인으로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유압 엑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
KR1020130027450A 2013-03-14 2013-03-14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 KR20140112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450A KR20140112847A (ko) 2013-03-14 2013-03-14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450A KR20140112847A (ko) 2013-03-14 2013-03-14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847A true KR20140112847A (ko) 2014-09-24

Family

ID=5175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450A KR20140112847A (ko) 2013-03-14 2013-03-14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28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7951B2 (en) 2017-02-02 2019-03-12 Woodward, Inc. Limited flow thrust reverser actua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7951B2 (en) 2017-02-02 2019-03-12 Woodward, Inc. Limited flow thrust reverser actuating
US11067034B2 (en) 2017-02-02 2021-07-20 Woodward, Inc. Limited flow thrust reverser actua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20233B (zh) 用于施工机械的液压控制阀
US20130333367A1 (en) Hydraulic circuit for pipe layer
EP2687764B1 (en) Control valve
CN103671364B (zh) 用于遥控装载机的转向电液控制系统
EP1795657A3 (en) Hydraulic circuit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JP2017514079A (ja) 液圧式の作業機械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
KR20130086120A (ko) 건설기계의 유압제어밸브
JP5523261B2 (ja) 油圧式作業機
JP6714499B2 (ja) 油圧アクチュエータを含む電動油圧システム
KR102026550B1 (ko) 유체압 제어 장치
CN102588373A (zh) 工程机械及其支腿液压控制装置
KR101641270B1 (ko)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시스템
KR20140112847A (ko) 유압유체 압력 제어용 회수라인을 갖는 유압회로
JP5969952B2 (ja) 油圧試験機
US9067620B2 (en) Emergency steering system of construction equipment
CN104029722A (zh) 工程机械液压转向系统
KR101692696B1 (ko)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
KR101844170B1 (ko) 건설 기계의 유체압 제어 장치
CN103438266A (zh) 一种自动兼手动控制的液压驱动闸阀
CN109231031B (zh) 卷扬伸缩液压控制回路及应用其的工程机械
CN107620746B (zh) 一种水平定向钻机回拖力瞬间提升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2344084A (zh) 全自动液压换向装置
CN201802691U (zh) 一种顺序控制阀
CN112879369B (zh) 比例阀控制方法
KR100668444B1 (ko) 밸브 개폐용 유압식 조작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