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409A - 개선된 변경 가능한 폐색 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변경 가능한 폐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409A
KR20140112409A KR1020140026876A KR20140026876A KR20140112409A KR 20140112409 A KR20140112409 A KR 20140112409A KR 1020140026876 A KR1020140026876 A KR 1020140026876A KR 20140026876 A KR20140026876 A KR 20140026876A KR 20140112409 A KR20140112409 A KR 20140112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aneurysm
pore features
closure device
microme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2440B1 (ko
Inventor
커크 존슨
쥬안 에이. 로렌조
로버트 슬레자즈
Original Assignee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798,818 external-priority patent/US20130204288A1/en
Application filed by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엘엘씨 filed Critical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112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68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 A61B17/12177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comprising additional materials, e.g. thrombogenic, having filaments, having fibers or bein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27Type of occlusion
    • A61B17/12031Type of occlusion complete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7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with a frangible part, e.g. by reduced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3Stents, different from stent-grafts, adapted to cover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2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porosity
    • A61F2250/002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porosity made from both porous and non-porous parts, e.g. adjacent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환자의 모관의 영역 내의 동맥류의 혈관내 치료에 적합한 폐색 장치는,모관 내의 동맥류의 영역에 도달하도록 환자의 혈관구조 내로 삽입하기에 적합한 치수들을 갖고 미리설정된 기공 특징부들을 갖는 구조물을 포함한다. 본 장치는 기공 특징부들과 연관된 부서지기 쉬운 재료로서, 초기에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통한 흐름에 대한 실질적인 장벽을 제공하고, 천공지관의 하류에서의 허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기간 내에 모관과 연통하는 천공지관의 소공에서 발생하는 압력차의 존재 하에서 국소적 파열 및 국소적 침식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한,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선된 변경 가능한 폐색 장치{IMPROVED MODIFIABLE OCCLUSION DEVICE}
관련 출원과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2011년 3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3/076,47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신체의 관 내의 임플란트(implant)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소적 압력차에 기초하여 비가역적으로 변형되는 스텐트(stent)를 포함하는 폐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맥류(aneurysm) 및 다른 동-정맥 기형부(arterio-venous malformation)와 같은 혈관 장애 및 결손은 중요 조직(critical tissue) 부근에 위치된 때 또는 기형부로의 용이한 접근이 불가한 경우에 특히 치료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두 어려움의 요인은 특히 뇌동맥류(cranial aneurysm)에 적용된다. 두개 혈관(cranial blood vessel)을 둘러싸는 민감한 뇌 조직과 제한된 접근으로 인해, 두개 혈관구조(vasculature)의 결손을 수술적으로 치료하는 것은 매우 도전적이고 흔히 위험하다.
혈관내(endovascular) 방법에 의한 동맥류의 치료에서, 목표는 동맥 혈압 및 혈류로부터 동맥류 성낭(aneurysm sac)의 내부 체적을 배제시키는 것이다. 동맥류의 내부 벽에 혈압 및/또는 혈류가 가해지는 한, 동맥류 파열(rupturing)의 위험성이 있다.
비-수술적 치료는 카테터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여 전개되는 색전 코일과 같은 혈관 폐색 장치를 포함한다. 뇌동맥류를 치료하기 위한 현재의 바람직한 시술에서, 색전 코일 전달 카테터의 원위 단부는 전형적으로 서혜부 내의 대퇴 동맥을 통해 환자의 비-두개 혈관구조 내로 초기에 삽입되고, 두개 내의 소정의 전달 부위로 안내된다. 이어서, 동맥류 성낭이 혈압 및 혈류로부터 벽을 보호하는 고형 혈전 덩어리(solid, thrombotic mass)를 형성하는 색전 물질로 채워진다.
색전 치료에 대한 한 가지 내재적인 단점은 동맥류 체적이 그들 내에 이식된 고형 색전 덩어리로 인해 영구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동맥류 벽에 대한 혈압 및 혈류 충돌이 완화된 후에도, 벽은 완전하게 치유되거나, 덜 확장된 형태로 재형상화되거나, 모관(parent vessel) 벽 내로 다시 재통합될 수 없다. 또한, 동맥류의 크기가 뇌에 대한 임의의 "종괴 효과(mass effect)" 유형의 손상을 생성하였다면, 이식된 색전 덩어리는 동맥류가 치료 후에 상당하게 수축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동맥류를 치료하기 위한 넥-폐색(neck-occlusive) 접근법을 사용할 때, 동맥류의 입구 또는 "넥"이 동맥류 체적 자체를 대신하여 치료된다. 넥을 가로지르는 혈액의 이동이 최소화될 수 있을 경우, 동맥류 체적 내의 울혈은 색전 물질의 이식 없이 자연적인 혈전 덩어리의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자연적인 혈전 덩어리가 바람직한데, 이 이유는 그것이 동맥류 벽의 감소된 확장을 포함하는 치유의 증가된 수준, 및 가능하게는 동맥류의 넥의 평면을 따른 원래의 모관 형상으로의 동맥류의 가능한 재통합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넥 평면은 모동맥(parent artery)의 내막(intima)이 동맥류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있을 가상 표면이다.
많은 현재의 넥-폐색 기술에 대한 중요한 도전은 모관 내의 동맥류 넥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면서도, 모관으로부터 분지되고 직경이 매우 작으며 일부 해부학적 위치들에서 다수이고 또한 임상적으로 중요한 영역에, 특히 뇌 내에서 공급하는 천공지(perforator)-유형 혈관(작은 분지관(small branch vessel)으로서 또한 지칭됨)들 내로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일례는 뇌저 동맥(basilar artery)이며, 이는 모 뇌저 동맥으로부터 교뇌(pons) 및 상부 뇌줄기(upper brain stem)에 공급하는 많은 천공지관(perforator vessel)을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동맥 내에서의 비-차별적 넥 폐색 장치의 사용은 천공지관의, "소공(ostia)"으로 알려진 개구가 차단된 경우 환자에 의도하지 않게 심각한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넥-폐색 장치의 전형적인 기본 구성은 튜브형의 스텐트형 구조이다. 이들 구조는 다양한 섬유들로부터 직조되거나 감기거나, 금속으로부터 레이저-절단되거나, 다양한 다른 방식들로 제조될 수 있다. 다수는 내부 스트럿(strut) 또는 스캐폴드(scaffold)를 갖는다. 대부분이 공통으로 갖는 것은 반경방향 대칭성이며, 이는 그들이 동맥의 일 부분, 측면 또는 반경방향 섹터(sector)를 다른 섹터보다 더 또는 덜 다공성으로 덮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들의 대칭적 구성, 및 그에 따른 동맥 벽의 적용범위는, 내부 스트럿이 마이크로-수준 관점으로부터 다공도(porosity)를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는 곳을 제외하고는, 임의의 주어진 횡방향 슬라이스(slice) 또는 단면 둘레에서 비교적 균질하다.
관내 혈관 보형물(endoluminal vascular prosthesis)의 몇몇 실시예들이, 예를 들어 분기하는 동맥과 정렬될 수 있는 고정된 관류 포트(perfusion port)를 갖는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샤올리안(Shaolian) 등의 미국 특허 제6,187,036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보형물은 인접한 관과의 관류 포트의 신중한 정렬을 요구한다.
인접한 관으로의 흐름을 허용하면서 동맥류를 밀봉하는 것에 관한 폐색 장치의 일례가 존스(Jones) 등의 미국 특허 제7,156,871호에 개시되어 있다. 확장 가능한 스텐트가, 정상적으로는 혈액 중에서 분해성이지만 활성제에 의해 국소적으로 활성화될 때 활성화된 곳에서 분해에 저항하는 커버링(covering)을 갖는다. 이러한 장치는 별도의 활성제의 정밀한 전달을 요구한다.
동맥류 폐색 시스템의 다른 유형이 측분지관(side branch vessel)에서의 유체 압력차에 응답하여 확장하는 것으로 알려진 복수의 미리형성된 간극들 또는 기공들을 갖는 보스(Bose) 등의 미국 특허 공보 제2007/0239261호에 기술되어 있다. 굽힘 가능한 요소, 예컨대 작은 패들(paddle)의 편향, 기공의 탄성 연신, 및 증가된 압력차에 의한 표면 장력의 무력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능성들이 언급되어 있다.
따라서, 모관과 연통하는 천공지관 내로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고서 모관 내의 동맥류의 넥 또는 다른 동-정맥 기형부를 효과적으로 폐색시키는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관 내의 동맥류 내로의 흐름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천공지관 내로 침투하는 흐름을 허용하도록 천공지관의 소공에서의 압력차에 신속하게 순응하는 폐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맥류의 넥과 천공지관의 소공 사이의 구별되는 특성에 민감한 폐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오직 차압에 기초하여, 변형을 포함하여 비가역적으로 침식(erode) 또는 파열되는, 기공(pore)들과 연관된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갖는 장치를 제공하고 천공지관 내로 유체 흐름을 침투시킴으로써, 모관과 연통하는 천공지관과 같은 인접 관을 또한 폐색시키지는 않으면서 모관 내의 동맥류의 넥이 폐색될 수 있다는 인식으로부터 기인한다. 장치는 천공지관의 소공의 존재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기공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소공 내로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그 자체를 변형시키며, 그럼으로써 동맥류 내로의 흐름을 실질적으로 계속 차단하면서 허혈(ischemia)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은, 환자의 모관의 영역 내의 동맥류의 혈관내 치료에 적합한 폐색 장치로서, 모관 내의 동맥류의 영역에 도달하도록 환자의 혈관구조 내로 삽입하기에 적합한 치수들을 갖고 미리설정된 기공 특징부(pore feature)들을 갖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폐색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장치는 기공 특징부들과 연관된 부서지기 쉬운 재료로서, 초기에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통한 흐름에 대한 실질적인 장벽을 제공하는 기공 특징부들을 위한 제1 상태를 발생시키고, 적어도 기공 특징부들 대부분에 대해, 모관과 연통하는 천공지관의 소공에서 발생하는 국소적 압력차의 존재 하에 국소적 파열 및 국소적 침식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여 천공지관의 하류에서의 허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소적 압력차를 겪는 기공 특징부들을 위한 제2 상태를 단기간 내에 발생시키는,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조물은 금속 스트럿들을 포함하며,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셀룰로오스, 알기네이트, 우레탄,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글리콜산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얇은 필름을 포함한다. 다수의 실시예들에서, 기공 특징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기공 특징부들 중 다른 것들의 기하학적 형상들과는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들을 갖는다.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들은 원, 타원체, 및 사다리꼴을 포함한다. 기공들의 기하학적 형상의 크기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조물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길이를 따라 변한다. 기공들의 개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조물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길이를 따라 변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생분해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조물은 고화된 다공성 우레탄과 같은 실질적으로 비-생분해성인 다공성 폼(foam)을 포함하며,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폼의 기공들 중 적어도 일부분을 통하여 산재된, 폴리카프로락톤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생분해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1 내지 50 mm Hg와 등가인 압력차에 응답할 수 있고, 단기간은 10분 미만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환자에의 이식 전에 직경이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개구들을 한정하며,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의 모관 내의 동맥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표현될 수 있는데, 이 방법은 환자의 혈관구조 내로 삽입하기에 적합한 치수들을 갖고 미리설정된 기공 특징부들을 갖는 구조물을 구비하고, 기공 특징부들과 연관된 부서지기 쉬운 재료로서, 초기에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통한 흐름에 대해 실질적인 장벽을 제공하는 기공 특징부들을 위한 제1 상태를 발생시키고, 모관과 연통하는 천공지관의 소공에서 발생하는 국소적 압력차의 존재 하에 국소적 파열 및 국소적 침식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여 천공지관의 하류에서의 허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소적 압력차를 겪는 기공 특징부들을 위한 제2 상태를 단기간 내에 발생시키는,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폐색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모관 내의 동맥류의 영역에 도달하도록 폐색 장치를 환자의 혈관구조 내로 삽입하는 단계, 및 폐색 장치를 동맥류 내로의 흐름을 폐색시키도록 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면들 및 사진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도 1은 지지체 위에 놓이고 동맥류 아래 및 천공지관 위에서 모관 내에 위치된 필름을 갖는 본 발명의 폐색 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2>
도 2는 지지체 위에 놓인 전기-방사된 섬유(electro-spun fiber)들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폐색 장치의 유사한 개략 측면도.
<도 3>
도 3은 지지체를 덮는 침식 가능한 다공성 구조물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폐색 장치의 유사한 개략 측면도.
<도 4a>
도 4a는 내구성 있는 다공성 구조물을 갖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의 일부분의,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도시되고 확대된 개략 사시도.
<도 4b>
도 4b는 선택적으로 분해되는 충전제 물질로 함침된 후의, 도 4a의 내구성 있는 다공성 구조물의 도면.
<도 5>
도 5는 복수의 기공 특징부들을 한정하고 동맥류 아래 및 2개의 천공지관들 위에서 모관 내에 위치된 구조물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폐색 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6>
도 6은 부서지기 쉬운 필름-유형 물질을 포함하는 기공 특징부의 개략 단면도.
<도 7a>
도 7a는 일 구성에서는 분해성 폼(foam)을 포함하는 기공 특징부의 개략 단면도이고, 다른 구성에서는 도 6의 필름의 초기 파열 또는 침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 7b>
도 7b는 기공 특징부 내부에서의 추가적인 침식을 도시하는, 도 7a와 유사한 도면.
<도 8a 및 도 8b>
도 8a 및 도 8b는 상이한 침식량들을 나타내는 오프셋된 비대칭의 부서지기 쉬운 물질을 갖는 기공 특징부의 개략 단면도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지지 구조물, 예를 들어 금속 스트럿들 또는 다공성 폼, 및 구조물에 의해 한정되는 기공 특징부들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갖는, 환자의 모관의 영역 내의 동맥류의 혈관내 치료에 적합한 폐색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조물은 모관 내의 동맥류의 영역에 도달하도록 환자의 혈관구조 내로의 삽입에 적합한 치수를 갖는다.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초기에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통한 흐름에 대한 실질적인 장벽을 제공하고, 천공지관의 하류에서의 허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기간 내에 모관과 연통하는 천공지관의 소공에서 발생하는 압력차의 존재 하에서 국소적 파열 및 국소적 침식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의 현재 바람직한 구성들이 도 3 내지 도 8b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기술된다.
동맥계를 비-압축성 유체 배관계로서 고려할 때, 동맥류는 배관계의 저압 정맥측에 연결됨으로써 배액되지 않는 데드 레그(dead leg)이다. 동맥류 체적의 성장 또는 수축을 고려함이 없이, 단기적인 시각에 의하면, 넥 평면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임의의 유체 체적은 동맥류로부터 다시 모관 내로 동일한 양의 유체 체적을 변위시켜야 한다. 결과는 동맥류에 대한 넥 평면을 가로지르는 순-제로 이동(net-zero transference)이다.
천공지관은, 천공지관이 배관계의 저압측 내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배액시키지 않기 때문에, 동맥류와 상이하다. 소공 평면을 가로지르는 순-양 이동(net-positive transference)이 존재하는데, 그 이유는 그의 소공 평면을 횡단하는, 즉 천공지관으로 그의 소공을 통해 들어가는 주어진 양의 유체 체적이 배관계의 고압측으로부터 소실되고 동맥류가 그러하듯이 동일한 양을 다시 모관 내로 가압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한 비-압축성 유체계에서, 넥 평면을 가로지르는 순-제로 이동은 넥 평면을 가로지르는 제로의 차압을 일으킨다. 비교하면, 소공 평면을 가로지르는 순-양 이동은 소공 평면을 가로지르는 양의 차압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차압은 동맥류의 넥과 천공지관의 소공을 구별하기 위해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이다. 스텐트형 넥 폐색 장치가 넥 평면과 소공 평면 둘 모두를 동일한 방식으로 덮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내부로부터 외부로 그 벽을 가로지르는 차압의 존재에 따라 그 흐름-방해 특성을 변화시키는 넥 폐색 장치가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도 1은 상부 동맥류(A) 및 하부 천공지관(P)을 갖는 모관(PV) 내에 이식된 신규한 튜브형의 스텐트형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장치(10)는 실질적으로 튜브형이며, 미리선택된 차압이 달성되는 곳 어디에서도 파열될 수 있는 필름형 물질을 포함하는 부서지기 쉬운 커버 재료(14)를 지지하고 비교적 큰 개구(13)들을 한정하는 금속 스트럿(12)들과 같은 구조물을 갖는다. 부서지기 쉬운 재료(14)는, 차압에 의해 파열되어 생성된 필름 플랩(16, 18)이 천공지관(P)의 소공 내로 약간 연장되는 곳을 제외하고는, 동맥류 넥(N)을 가로지르는 것을 포함하여 스트럿(12)의 외부 전체를 따라 온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모관(PV)으로부터 천공지관(P) 내로 유체 흐름이 침투하는 것이 화살표(20, 22, 24)들로 예시되어 있다.
부서지기 쉬운 커버 재료(14)는 그렇지 않을 경우 동맥류(A) 내로 발생할 흐름을 중단시키고, 그럼으로써 동맥류(A) 내에 혈전이 형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부서지기 쉬운 커버 재료(14)는 또한 혈액이 천공지관(P) 내로 흘러서 그 혈관에 의해 공급받는 하류 조직에 계속하여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그러한 하류 조직 내에서의 허혈을 최소화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서지기 쉬운 커버 재료(14)는 장치(10) 위에서의 내피 성장(endothelial growth)을 허용하도록 적어도 8주 내지 12주 동안 넥(N)에서 흐름 장벽을 제공한다.
장치(10)는 몇몇 전형적인 스텐트 제조 방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제조된 스캐폴드형 지지 구조체(12)를 갖고서, 자가-확장(self-expanding)되거나 벌룬 확장(balloon expanded)될 수 있다. 스트럿(12) 자체는 고형체, 전형적으로 금속이고, 동맥류 넥 또는 분지관의 소공을 가로지르는 차압의 구별되는 특징에 따라 거동이 변경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트럿(12)은 스트럿의 패턴을 니티놀(NiTi) 튜브로 레이저-절단함으로써 제조된 자가-확장 스캐폴드로서 역할한다. 이러한 구조적 구성요소의 주 목적은 필름 또는 다른 부서지기 쉬운 커버 재료(14)의 목표 혈관에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고, 일단 전개되면 커버 재료(14)를 관 벽과 병렬로 유지하는 것이다. 커버링(14)이 단독으로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동맥 내의 위치를 유지하기에 구조적으로 충분한 경우, 이러한 스캐폴드(12)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스캐폴드(12) 내의 개방 영역(13)은 그 벽 두께를 가로질러 감지되는 차압의 수준에 따라 응답하는 필름(14)에 의해 후속적으로 덮인다. 분지관의 소공을 가로질러 전형적으로 1 내지 50 mm Hg 범위의 순 양의 차압이 존재하고, 동맥류의 넥을 가로질러서는 차압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필름(14)은 그것이 미리선택된 충분한 차압의 존재 하에서의 부서짐성(frangibility) 및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의 최소의 특성을 갖는 한 다수의 물질들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부서지기 쉬운 재료(14)에 적합한 생체적합성 조성물은 셀룰로오스, 알기네이트, 가교결합된 겔의 필름 또는 매트릭스, 및 우레탄 및/또는 폴리-글리콜산과 같은 물질의 매우 얇은 중합체 필름을 포함한다. 필름(14)은 침식성이거나 생체흡수성일 필요는 없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필름의 벽-두께를 가로지르는 증가된 흐름의 영구적인 국소적 변형을 생성하는, 충분한 차압의 존재 하에서의 파열의 작용이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아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는 것과 같은 평균 직경을 갖는 미소 기공 또는 다른 개구가 필름(14) 내에 형성될 수 있지만, 필름(14)이 재료의 연속적인 시트인 것이 허용 가능한데, 그 이유는 파열이 작용이 파열을 야기하기에 충분한 차압에 의해 감지됨에 따른 필요한 곳의 흐름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필름 층의 두께는 그의 원하는 파열 강도에 의해 결정되지만, 모관을 통한 정상적인 유체 흐름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맥 내에서 상당한 양의 단면적을 점유하지 않아야 한다. 5% 미만의 면적 점유가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는 천공지관의 하류에서의 허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기간 내에 최소의 차압에서 원하는 부서짐성을 달성하도록 선택된다. 일부 구성에서, 단기간은 바람직하게는, 전형적인 상태, 즉 저체온 또는 인위적으로 약해진 혈압 상태를 포함하지 않는 상태 하에 있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10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분 미만의 기간 내이다. 파열 강도는 필름이 목표 동맥 내로의 전달 및 배치를 이겨내기에 충분히 강하도록, 그러나 작은 분지관의 소공을 가로지르는 지속적인 순-양의 차압의 존재 하에서 파열되기에 충분히 약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파열 강도는 1 내지 50 mm Hg 차압의 범위인 것으로 예상된다.
도 2의 대안적인 신규한 튜브형 장치(30)는 도 1의 스트럿(12)들과 유사하고 도 2의 비교적 큰 개구(33)들을 한정하는 스트럿(32)들을 갖는다. 장치(30)는 다공성 메시(mesh) 또는 매트(matte) 외부 층을 형성하는 이러한 구성에서 매우 얇은 섬유(35)로 형성된 부서지기 쉬운 재료(34)를 추가로 포함한다. 부서지기 쉬운 재료(34)는 동맥류(A) 내에 울혈을 생성하여 혈전이 그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넥(N)에서의 정상적인 유체 흐름을 중단시키기에 충분한 밀도를 가지면서도, 임계 압력차가 초과될 때 천공지관(P)의 소공에 개구(36)를 형성하여 혈액이 화살표(40, 41)들로 예시된 바와 같이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분할되거나 분리되는 충분한 수의 섬유(35)들을 갖는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이들 섬유(35)는 "전기-방사(electro-spinning)"를 통해 적용되며, 여기서 분배기 팁을 빠져나오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와 같은 액화 중합체가 그에 인가되는 전압을 갖고, 이는 1 나노미터 내지 최대 약 10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스트랜드(strand) 두께 또는 직경을 갖는 매우 미세한 스트랜드를 생성한다. 개별 스트랜드의 두께, 적용되는 스트랜드의 총 수, 스트랜드가 튜브형 스캐폴드 상에 놓이는 각도, 및 서로 교차하는 스트랜드들 사이의 각도와 같은 섬유 층의 구성에 대해 다수의 제어가 조정될 수 있다. 노턴(Norton)의 미국 특허 제2,048,651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다양한 전기-방사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전기-방사 기술이, 예를 들어 쿨리(Cooley)의 미국 특허 제692,631호, 모턴(Morton)의 미국 특허 제705,691호, 및 폼할즈(Formhals)의 미국 특허 제1,975,504호 및 제2,349,950호에 기술되어 있다. 제조된 섬유 층의 생성된 특징은, 이식 전에, 덮인 백분율 면적, 평균 기공 또는 개구 크기, 총 벽 두께, 및 층을 가로지르는 소정의 액체, 이 경우 혈액의 체적 유량의 총계 측정을 제공하는 유체 투과성(hydraulic permeability)을 포함한다. 일부 구성에서, 재료(34)의 총 층 두께는 약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500 마이크로미터, 더 바람직하게는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이다. 섬유들 사이의 평균 개구 직경은, 재료(35)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을 따른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로부터 측정될 때, 바람직하게는 환자에의 이식 전에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이다. 약 10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개구는 적혈구를 포함하는 소량의 전혈(whole blood)이 장치(30)의 측벽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여 주변 조직에 약간의 영양물을 제공하는 동시에, 초기에 재료(34)를 통한 흐름에 대한 실질적인 장벽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섬유가 충분한 차압의 존재 하에서, 예컨대 천공지관(P)의 소공에서 파열됨에 따라, 개구(36)는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5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더 전형적으로는 100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가 되도록 형성된다.
충분한 수의 이들 섬유가 충분한 차압의 존재 하에서 "분할" 또는 분리되는 메커니즘은 주로 개별 섬유들이 더 높은 유체 흐름의 국소적 영역에서 파단, 즉 파열될 것이라는 것이다. 대안적인 구성에서, 생물학적으로 내구성 있고 분해성 재료들의 혼합물이 섬유에 이용된다. 분지관의 소공을 덮는 섬유 메시의 영역에서, 국소 차압은 순 양이고 층의 벽 두께를 통한 지속적인 흐름을 야기한다. 분지관의 소공을 덮는 층의 영역 내에 있는 이들 파단된 섬유는 동맥류 넥을 덮는 영역과 비교할 때 그 분지관으로의 혈류를 우선적으로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의 부서지기 쉬운 섬유 층(34)의 구성에서의 제어 가능한 인자들은, 섬유(35)들이 1 내지 50 mm Hg의 임계 파열 압력이도록 미리선택된 차압을 갖는 영역들에서 파단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섬유 층의 두께는 그의 파열 강도에 의해 결정되지만, 동맥 내에서 상당한 양의 단면적을 점유하지 않아야 한다. 5% 미만의 면적 점유가 바람직하다. 일부 구성에서, 충분한 수의 섬유가, 천공지관의 하류에서의 허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형적인 상태, 즉 저체온 또는 인위적으로 약해진 혈압 상태를 포함하지 않는 상태 하에 있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바람직하게는 10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분 미만의 기간 내인 단기간 내에 파단되거나 침식된다.
도 3의 튜브형 장치(50)는 개방 영역들 또는 셀(53)들을 한정하는 스캐폴드로서 배열된 스트럿(52)들로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이러한 스캐폴드(52)는 몇몇 전형적인 제조 방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제조되어 자가-확장되거나 벌룬 확장될 수 있다. 스캐폴드(52)는 이어서, 매우 미세한 기공(55)을 갖고 순 양의 차압의 존재 하에서 벽 두께를 가로지르는 제한된 양의 흐름을 허용하는 층(54)으로 덮인다. 이러한 층(54)은 많은 방법, 예를 들어 발포(foaming), 동결건조(lyophilization), 기체 추출(gaseous extraction), 에칭(etching), 소결(firing), 또는 침착(deposition)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층(54)의 재료는 유체 흐름으로 인한 침식 및/또는 살아 있는 세포에 의한 소비를 포함하는 생체흡수로 인한 침식을 받기 쉬운 임의의 생체적합성 재료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폴리카프로락톤(PCL)이 다소 성긴 매트릭스에 침착되어 그것이 벌크 재료로서 다공성으로 되게 한다. 다른 잠재적인 재료는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다당류, 콜로이드 화합물, 및 일부 지질 생성물을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안적인 구성에서, 내구성 있고 비-침식성이며 비-생체흡수성인 재료의 구조물(60)이 먼저 구성된다. 이러한 가요성의 탄성 구조물, 예컨대 고화된 우레탄 폼 또는 확장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은 비교적 큰 기공(62)을 가져서, 구조물(60) 단독으로 개방 영역을 너무 적게 덮고, 너무 큰 평균 기공 크기를 가지며, 동맥류 내로의 흐름을 충분히 방해하거나 제한하기에는 너무 큰 유체 투과성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금속 스트럿으로 보강될 수 있는 구조물(6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위한 최대 다공도를 달성한다. 예시의 간략함을 위해 기공(62)이 통로(72)와 같은 비교적 직선의 통로를 갖는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많은 구성에서 통로는 더 복잡하고 뒤얽혀 있다. 기공(62)들은 바람직하게는 구조물 재료(60)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을 따른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로부터 측정될 때, 평균 직경이 5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더 전형적으로는 평균 직경이 100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가 되도록 형성된다.
구조물(60)을 제조한 후에, 침식 가능한 제2 물질(64)이 구조물(60)과 침입식으로 조합되어 도 4b의 장치(66)를 형성한다. PCL 또는 상기 열거된 다른 물질과 같은 제2 물질(64)은 바람직하게는 입자 또는 미공성 폼으로서 침착되어, 물질(64) 자체가 원하는 수준의 다공도를 갖게 되는데, 즉 이것은 비투과성 벌크 재료가 아니다. 소정의 구성에서, 물질(64)은 환자에의 이식 전에 바람직하게는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평균 직경을 갖는 개구를 한정한다. 약 10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개구는 적혈구를 포함하는 소량의 전혈이, 통로(72) 내로 들어가는 내부 흐름 화살표(68) 및 통로(72)로부터 나오는 외부 흐름 화살표(70)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66)의 측벽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여, 주변 조직에 약간의 영양물을 제공하는 동시에, 초기에 장치(66)를 통한 흐름에 대한 실질적인 장벽을 제공한다. 순 양의 차압의 영역에서, 분지관의 소공 위에서, 조합된 층의 벽을 통해 침투하는 지속적인 흐름은 제2 물질(64)이 하나 이상의 기공(62) 내에서 더 급속히, 전형적으로 생분해를 포함하여 우선적으로 침식됨으로써 응답하게 할 것이다. 구조물 재료(60)의 제1 목적은, 제2 물질(64) 전부가 제거된 후의 구조물(60) 자체의 것까지의, 다공도 및 그에 따른 흐름의 증가에 대한 상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의 제2 목적은 분지관에 의해 제공되는 차압을 더 작은 다공성 영역 내로 집중시킴으로써 제2 물질(64)의, 전형적으로 생분해를 포함하여, 침식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는 장치(66)의 조합된 층이 동맥류 넥 위를 포함하여 장치의 전체 본체에서보다 더 신속하게 분지관 위에서 침식되게 하는 우선적 특성을 개선시킬 것이다.
도 5의 튜브형 장치(100)는 복수의 기공 특징부(104)들을 한정하는, 내구성의,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인 구조물(102)을 가지며, 넥(N)을 갖는 동맥류(A) 아래 및 2개의 천공지관(P1, P2)들 위에서 모관(PV) 내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치(100)는 붕괴 상태에서 모관(PV)을 통해 삽입되고 나서, 장치(100)가 동맥류 넥(N)에 걸쳐 위치된 때 자가-확장에 의해 또는 벌룬 확장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원들로 나타내어진 기공 특징부(104)들은 미리설정된 다공도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부서지기 쉬운 재료(106)는, 몇몇 실질적으로 개방된 기공 특징부(108, 110)들을 제외하고는, 각각의 기공 특징부(104) 내에서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공 특징부(104)들과 연관되는데, 여기서 혈류(112)는 기공 특징부(108, 110)들이 각각 천공지관(P1, P2)들 내로의 얼마간의 흐름(점선 화살표(114, 116)들)을 허용하게 하였다. 다시 말하면, 부서지기 쉬운 재료(106)는 초기에, 예를 들어 넥 영역(N)에서, 부서지기 쉬운 재료(106)를 통한 흐름에 대한 실질적인 장벽을 제공하는 기공 특징부(104)들을 위한 제1 상태를 발생시키고, 적어도 기공 특징부(104)들 대부분에 대해, 모관(PV)과 연통하는 천공지관(P1 및/또는 P2)의 소공에서 발생하는 국소적 압력차의 존재 하에 국소적 파열 및 국소적 침식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여, 충분한 혈액이 천공지관들 내로 흘러서 이들 천공지관들의 하류 조직 구역들에 공급하게 함으로써 천공지관들의 하류에서의 허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소적 압력차를 겪는 기공 특징부(108, 110)들을 위한 제2 상태를 단기간 내에 발생시킨다.
다수의 구성들에서, 기공 특징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기공 특징부들 중 다른 것들의 기하학적 형상들과는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들을 갖는다.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들은 원, 타원체, 및 사다리꼴을 포함한다. 기공들의 기하학적 형상의 크기는 일부 구성들에서 구조물(102)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다른 구성들에서는 길이를 따라 변한다. 기공들의 개수는 일부 구성들에서 구조물(102)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다른 구성들에서는 길이를 따라 변한다.
도 6은 제1 상태에서의 부서지기 쉬운 필름-유형 물질(124)을 포함하는 기공 특징부(120)를 한정하는 구조물(120)의 개략 단면도이다. 물질(124)은 동맥류 넥이 아닌 천공지관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은 충분한 차압의 존재 하에 파열된다. 물질(124)은 일부 구성들에서 생체흡수성 또는 생분해성이다.
도 7a는 일 구성에서는 분해성 폼(124a)을 포함하는 기공 특징부(122a)의 개략 단면도이고, 다른 구성에서는 도 6의 필름(124)의 초기 파열 또는 침식을 도시한다. 다시 말하면, 도 7a는 기공 특징부(122a)를 통해 최소의 유체 흐름(125)을 갖는, 제1 구성에서의 제1 상태를 나타내고, 다른 구성에서는 도 6에 대한 제2 상태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기공 구조물(122a)의 초기 다공도는 기공 구조물의 벽을 통한 천공지관의 소공으로의 최소 흐름량을 허용하지만 동맥류 넥으로는 전혀 흐름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어서, 소정 기간에 걸쳐, 차압(및 따라서 혈류)을 받는 기공들을 형성하는 재료는 결국 침식되어 더 크게 되어서, 증가된 혈류를 허용할 것이다. 시간 주기 및 재료의 내침식성은 바람직하게는, 울혈이 생성되기 전에 그리고 동맥류에 혈전이 형성되기 전에 동맥류 넥을 가로지른 매우 작은 이동으로 인해 침식되지 않도록, 충분히 높다. 그러나, 시간 주기 및 내침식성은 천공지관의 지속적인 차압이 결국 소공 부근에서 재료를 침식 제거하도록 충분히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는 화살표(126, 128)들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더 큰 흐름을 허용하도록 기공 특징부(122a) 내에서의 추가의 침식을 도시하는, 도 7a와 유사한 도면이다. 다시 말하면, 도 7a가 제1 상태를 나타내고, 도 7b가 제2 상태를 나타내며, 도 7a가 도 6의 장치를 위한 제2 상태의 시작을 나타내는 경우, 도 7b는 제2 상태에서 천공지관에 대해 증가된 다공도 및 증가된 혈류(126, 128)를 나타낸다.
부서지기 쉬운 물질의 초기 다공도는 일부 구성들에서 기공들 내에서의 물질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제어되고, 다른 구성들에서는 재료 흡수율에 의해 주로 제어된다. 도 8a 및 도 8b는 시간에 걸쳐 상이한 침식량들을 나타내는 오프셋된 비대칭의 부서지기 쉬운 물질(132)을 갖는 기공 특징부(130)의 개략 단면도들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8a의 기공 특징부(130)는 이식 직후에 천공지관으로의 최소 흐름량을 허용하지만, 넥 평면을 가로지른 순-제로 압력 이동으로 인해 그리고 기계적으로도 동맥류 넥 내로의 흐름을 제한한다. 이어서, 시간에 걸쳐, 차압(및 따라서 혈류)을 받는 재료는 결국 분해되어 더 크게 되어서, 증가된 혈류를 허용할 것이다. 시간 주기 및 재료의 내침식성은 바람직하게는, 울혈이 생성되기 전에 그리고 동맥류에 혈전이 형성되기 전에 동맥류 넥을 가로지른 매우 작은 이동으로 인해 침식되지 않도록, 충분히 높다. 그러나, 시간 주기 및 내침식성은 천공지관의 지속적인 차압이 결국 소공 부근에서 재료를 침식 제거하도록 충분히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제조 기술에서, 구조물(120)이 수직으로 배향되어, 재료(132)가 기공 구조물(130)들의 실질적으로 일 측에 축적된다. 다른 제조 기술들에서, 대부분의 기공들에서의 채널 또는 다른 개구가 레이저, 워터젯, 또는 다른 천공 기술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이 도시되고 설명되며 적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도시된 장치의 형태 및 세부 사항과 그 작동 측면에서의 다양한 생략, 대체 및 변경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이들 요소 및/또는 단계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명백히 의도된다. 기술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의 요소의 대체도 또한 충분히 의도되고 고려된다. 또한, 도면들은 반드시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며 이들은 단지 본질적으로 개념적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단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지시되는 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모든 허여된 특허, 계류 중인 특허 출원, 공보, 저널 기사, 서적 또는 본 명세서에 인용된 임의의 다른 참고문헌은 각각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다.

Claims (31)

  1. 환자의 모관(parent vessel)의 영역 내의 동맥류(aneurysm)의 혈관내 치료(endovascular treatment)에 적합한 폐색 장치(occlusive device)로서,
    상기 모관 내의 상기 동맥류의 상기 영역에 도달하도록 상기 환자의 혈관구조(vasculature) 내로 삽입하기에 적합한 치수들을 갖고, 미리설정된 기공 특징부(pore feature)들을 갖는 구조물; 및
    상기 기공 특징부들과 연관된 부서지기 쉬운 재료로서, 초기에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통한 흐름에 대한 실질적인 장벽을 제공하는 상기 기공 특징부들을 위한 제1 상태를 발생시키고, 적어도 상기 기공 특징부들 대부분에 대해, 상기 모관과 연통하는 천공지관(perforator vessel)의 소공(ostium)에서 발생하는 국소적 압력차의 존재 하에 국소적 파열 및 국소적 침식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여 상기 천공지관의 하류에서의 허혈(ischemia)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국소적 압력차를 겪는 상기 기공 특징부들을 위한 제2 상태를 단기간 내에 발생시키는,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포함하는, 폐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금속 스트럿(strut)들을 포함하는, 폐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얇은 필름을 포함하는, 폐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셀룰로오스, 알기네이트, 우레탄,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글리콜산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폐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의 표면적의 적어도 상당한 양이 상기 환자에의 이식 전에 직경이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개구들을 한정하는, 폐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상기 환자에의 이식 전에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두께를 갖는, 폐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 특징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공 특징부들 중 다른 것의 기하학적 형상들과는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들을 갖는, 폐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 특징부들은 상기 구조물의 길이를 따라 규칙적으로 이격되는, 폐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생분해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폐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기공 특징부들을 한정하는 다공도(porosity)를 갖는 다공성 폼(foam)을 포함하는, 폐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상기 폼의 상기 다공도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산재된 적어도 하나의 생분해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폐색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폼은 다공성 우레탄을 포함하는, 폐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재료는 폴리카프로락톤을 포함하는, 폐색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1 내지 50 mm Hg와 등가인 압력차에 응답할 수 있는, 폐색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기간은 10분 미만인, 폐색 장치.
  16. 환자의 모관 내의 동맥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의 혈관구조 내로 삽입하기에 적합한 치수들을 갖고 미리설정된 기공 특징부들을 갖는 구조물, 및 상기 기공 특징부들과 연관된 부서지기 쉬운 재료로서, 초기에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통한 흐름에 대해 실질적인 장벽을 제공하는 상기 기공 특징부들을 위한 제1 상태를 발생시키고, 상기 모관과 연통하는 천공지관의 소공에서 발생하는 국소적 압력차의 존재 하에 국소적 파열 및 국소적 침식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여 상기 천공지관의 하류에서의 허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국소적 압력차를 겪는 상기 기공 특징부들을 위한 제2 상태를 단기간 내에 발생시키는,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포함하는 폐색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모관 내의 상기 동맥류의 영역에 도달하도록 상기 폐색 장치를 상기 환자의 상기 혈관구조 내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폐색 장치를 상기 동맥류 내로의 흐름을 폐색시키도록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금속 스트럿들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얇은 필름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의 표면적의 적어도 상당한 양이 상기 환자에의 이식 전에 직경이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개구들을 한정하는, 방법.
  20. 제16에 있어서, 상기 기공 특징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공 특징부들 중 다른 것의 기하학적 형상들과는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들을 갖는,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생분해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기공 특징부들을 한정하는 다공도를 갖는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상기 폼의 상기 다공도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산재된 적어도 하나의 생분해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1 내지 50 mm Hg와 등가인 압력차에 응답할 수 있는, 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기간은 10분 미만인, 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재료는 상기 환자에의 이식 전에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두께를 갖는, 방법.
  27. 환자의 모관의 영역 내의 동맥류의 혈관내 치료에 적합한 폐색 장치로서,
    상기 모관 내의 상기 동맥류의 상기 영역에 도달하도록 상기 환자의 혈관구조 내로 삽입하기에 적합한 치수들을 갖고, 미리설정된 기공 특징부들을 갖는 구조물; 및
    적어도 대부분의 상기 기공 특징부들을 통하여 산재된 생분해성 재료로서, 초기에 상기 생분해성 재료를 통한 흐름에 대한 실질적인 장벽을 제공하고, 천공지관의 하류에서의 허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기간 내에 상기 모관과 연통하는 상기 천공지관의 소공에서 발생하는 압력차의 존재 하에서 적어도 국소적 침식이 가능한, 상기 생분해성 재료를 포함하는, 폐색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재료의 표면적의 적어도 상당한 양이 상기 환자에의 이식 전에 직경이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개구들을 한정하는, 폐색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생분해성 재료가 그를 통하여 분산되게 하는 상기 기공 특징부들을 한정하는 실질적으로 비-생분해성인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폐색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폼은 상기 환자에의 이식 전에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두께를 갖는, 폐색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폼의 상기 기공 특징부들은 50 마이크로미터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평균 직경을 갖는 기공들을 한정하는, 폐색 장치.
KR1020140026876A 2013-03-13 2014-03-07 개선된 변경 가능한 폐색 장치 KR102232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98,818 US20130204288A1 (en) 2011-03-31 2013-03-13 Modifiable occlusion device
US13/798,818 2013-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409A true KR20140112409A (ko) 2014-09-23
KR102232440B1 KR102232440B1 (ko) 2021-03-26

Family

ID=5034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876A KR102232440B1 (ko) 2013-03-13 2014-03-07 개선된 변경 가능한 폐색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2777544B1 (ko)
JP (2) JP6388775B2 (ko)
KR (1) KR102232440B1 (ko)
CN (1) CN104042356B (ko)
AU (1) AU2014201229B2 (ko)
BR (1) BR102014005930A2 (ko)
CA (1) CA2845651A1 (ko)
DK (1) DK2777544T3 (ko)
IN (1) IN2014DE005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8086B (zh) * 2015-04-20 2016-08-17 湖南埃普特医疗器械有限公司 脑动脉瘤腔内血管重建装置
CN108882976B (zh) * 2016-03-24 2021-06-04 柯惠有限合伙公司 用于血管流动转向的薄壁配置
CN108210134B (zh) * 2018-02-27 2024-05-10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血管支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5649A (ja) * 2010-09-03 2012-03-22 National Cerebral & Cardiovascular Center 動脈瘤治療用ステント
EP2505149A1 (en) * 2011-03-31 2012-10-03 Codman & Shurtleff, Inc. Modifiable occlusion device
EP2777543A1 (en) * 2013-03-12 2014-09-17 DePuy Synthes Products, LLC Method of fabricating modifiable occlu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631A (en) 1899-10-06 1902-02-04 Charles S Farquhar Apparatus for electrically dispersing fluids.
US705691A (en) 1900-02-20 1902-07-29 William James Morton Method of dispersing fluids.
FR707191A (fr) 1929-12-07 1931-07-03 Ver Fur Chemische Ind Ag Procédé pour fabriquer des fils artificiels
US2048651A (en) 1933-06-23 1936-07-21 Massachusetts Inst Technolog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US2349950A (en) 1937-08-18 1944-05-30 Formhals Anton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ning
US6187036B1 (en) 1998-12-11 2001-02-13 Endologix, Inc. Endoluminal vascular prosthesis
US6613074B1 (en) * 1999-03-10 2003-09-02 Cordis Corporation Endovascular aneurysm embolization device
US8313504B2 (en) * 2000-09-18 2012-11-20 Cordis Corporation Foam matrix embolization device
US20030139802A1 (en) * 2001-12-06 2003-07-24 Wulfman Edward I. Medical device
US7156871B2 (en) * 2004-10-28 2007-01-02 Cordis Neurovascular, Inc. Expandable stent having a stabilized portion
US20070239261A1 (en) 2006-04-07 2007-10-11 Arani Bose Aneurysm occlusion system and method
US8100960B2 (en) * 2008-03-20 2012-01-24 Medtronic Vascular, Inc. Bloused stent-graft and fenestr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5649A (ja) * 2010-09-03 2012-03-22 National Cerebral & Cardiovascular Center 動脈瘤治療用ステント
EP2505149A1 (en) * 2011-03-31 2012-10-03 Codman & Shurtleff, Inc. Modifiable occlusion device
US20120253377A1 (en) * 2011-03-31 2012-10-04 Codman & Shurtleff, Inc. Modifiable occlusion device
KR20120112272A (ko) * 2011-03-31 2012-10-11 코드만 앤드 셔틀리프, 인코포레이티드 변형가능한 폐색 장치
EP2777543A1 (en) * 2013-03-12 2014-09-17 DePuy Synthes Products, LLC Method of fabricating modifiable occlu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7544A2 (en) 2014-09-17
IN2014DE00518A (ko) 2015-06-12
JP6388775B2 (ja) 2018-09-12
BR102014005930A2 (pt) 2014-12-30
JP2018110910A (ja) 2018-07-19
AU2014201229A1 (en) 2014-10-02
JP6657281B2 (ja) 2020-03-04
EP2777544B1 (en) 2019-04-24
DK2777544T3 (da) 2019-07-08
CN104042356A (zh) 2014-09-17
CN104042356B (zh) 2018-03-09
KR102232440B1 (ko) 2021-03-26
AU2014201229B2 (en) 2018-11-08
JP2014176659A (ja) 2014-09-25
EP2777544A3 (en) 2015-03-18
CA2845651A1 (en) 2014-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744B1 (ko) 변형가능한 폐색 장치
US20130204288A1 (en) Modifiable occlusion device
AU2013304936B2 (en) Implant
JP6472597B2 (ja) 可変多孔性の血管内インプラント及び製造方法
US8357180B2 (en) Thin film metallic device for plugging aneurysms or vessels
KR102273599B1 (ko) 변형 가능한 폐색 장치의 제조 방법
JP6657281B2 (ja) 改善された変化可能な閉塞装置
US20130190805A1 (en) Method of fabricating modifiable occlusion device
CN116568242A (zh) 用于治疗动脉瘤的医用植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