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088A -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088A
KR20140112088A KR1020147023016A KR20147023016A KR20140112088A KR 20140112088 A KR20140112088 A KR 20140112088A KR 1020147023016 A KR1020147023016 A KR 1020147023016A KR 20147023016 A KR20147023016 A KR 20147023016A KR 20140112088 A KR20140112088 A KR 20140112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sing
lever
key
powd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0613B1 (ko
Inventor
마르틴 헤르더
게르하르트 루다넥
잉고 메트
요아힘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알미랄,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5317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11208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알미랄,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알미랄,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40112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6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dose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1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inhalation check valves
    • A61M15/0016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inhalation check valves located downstream of the dispenser, i.e. traversed by the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61M15/0026Hinged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3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1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5Preventing manual activation in absence of inha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6Hindering inhalation before activation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61M2205/584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having a color c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6Rotating swirling helical flow, e.g. by tangential inf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4Force
    • F04C2270/042Force radial
    • F04C2270/0421Controlled or regu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분말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말 저장부로부터 분말 투여량을 반복적으로 정량하기 위한 정량 수단, 분말 투여량을 수용하기 위한 충전 위치로부터 분말 채널 내로의 상기 분말 투여량을 배출하기 위한 비움 위치로 상기 정량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메카니즘, 상기 환자에 의한 수동 작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 장치로서, 상기 이송 메카니즘에 작동 연결되어 작동 시에 1 회 분말 투여량이 정량되고, 상기 환자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이송 메카니즘 상에 작용하는 투여 키 (5) 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 장치를 포함하는 흡입에 의해 발생된 에어 스트림으로써 환자에 의해 수용되도록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압될 때 상기 투여 키 (5) 는 상기 이송 메카니즘과 일시적으로만 맞물림하여 상기 투여 키 (5) 가 눌려진 조건으로 유지될지라도 정량 사이클이 완료되고 상기 이송 메카니즘 및/또는 상기 정량 수단이 리셋되는,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Description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INHALATION DEVICE FOR POWDERED DRUGS}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분말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말 저장부로부터 분말 투여량을 반복적으로 정량하기 위한 정량 수단, 분말 투여량을 수용하기 위한 충전 위치로부터 분말 채널 내로의 상기 분말 투여량을 배출하기 위한 비움 위치로 상기 정량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메카니즘 및, 상기 환자에 의한 수동 작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 장치로서, 상기 이송 메카니즘에 작동 연결되어 작동 시에 1 회 분말 투여량이 정량되고, 상기 환자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이송 메카니즘 상에 작용하는 투여 키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 장치를 포함하는 흡입에 의해 발생된 에어 스트림으로써 환자에 의해 수용되도록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관련된 종류의 분말 흡입기는 예를 들면 EP 1 616 592 B9 에 개시되어 있다.
약물이 기도를 거쳐 작용될 수 있는 기관지성 질병들 및 다른 질병들을 치료하는 분야에서, 분말 형태로 약제들을 인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물론, 종래 기술 분야에서 또한 흡입 가능한 에어졸들을 제공하도록 현탁 용액들을 미립자화하기 위한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분말화된 약학제들을 위해 카트리지 상에 또는 흡입기에 제공된 투여 카운팅 또는 인덱싱 수단을 갖는 복수회-투여량의 건조 분말 흡입기의 형태로 분말화된 약학제들을 투약하기 위한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류의 흡입기는 EP 1 616 592 B9 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인용 문헌은 약제가 흡인으로써 유도되야만 하는 에어 스트팀으로써 환자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단일한 저장부 공간으로부터 환자에 의해 마우스 피스로 약학 분말 약제의 다수의 투여량을 제공하기 위한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관련된 종류의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5,840,279 에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특허는 다수의 약학 분말 투여량들을 위한 약제 저장소를 수용하기 위한 분말 흡입기용 약학 분말 카트리지로서, 사전 결정된 양의 약학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량 공동을 포함하고 약학 분말의 유동 방향에 대해 거의 가로질러 비움 위치 내로 충전 위치로부터 적어도 이동될 수 있는 일체형 정량 장치를 갖는 상기 분말 흡입기용 약학 분말 카트리지 및 분말화된 약제들을 위한 흡입기에 관한 것이고, 상기 흡입기에는 약제가 에어 스트림으로써 환자에 의해 수용될 수 있고 상기 흡입기는 그러한 약학 분말 카트리지를 위한 리셉터클을 갖는다.
WO 2006/106367 에는 흡입기로부터 분배될 약제의 복수의 투여량들을 수용할 수 있는 흡입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약제의 투여량의 분배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방지 수단 및 약제의 미리 분배된 투여량의 흡입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관련된 종류의 또 다른 흡입 장치는 US 2006/0037612 A1 에 개시되어 있다.
복수회-투여량 흡입기들에 대해 중요한 구성적 양상은 장치의 정량 정확성이다.
상기 관련된 종류의 흡입 장치의 또 다른 중요한 구성적 양상은 장치의 사용 특성이다.
흡입 장치는 장치가 흡입에 대해 준비되었는 지 그리고 장치가 소정 및 충분한 나머지량의 분말 투여량들을 갖고 있는 지를 사용자가 명백히 알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만 한다. 추가로, 장치는 사용자의 작동 실수들에 대해 안전하고 충분한 고장 안전성을 가져야만 한다. 예를 들면 이중 투여는 정량 기술의 적절한 구성에 의해 임의의 경우에도 방지되어야만 한다.
특히, EP 1 616 592 B9 는 사전 결정된 수의 정량 사이클들 다음에 흡입기의 동작 장치 및/또는 이송 메카니즘을 잠금하는 잠금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공지된 흡입 장치는 환자에 투약될 약제의 투여량을 반복적으로 정량하기 위해 환자에 의한 수동 맞물림을 위한 동작 장치, 약제의 투여량이 환자로의 투약을 위해 배출되도록 동작 장치가 환자에 의해 맞물림될 때마다 카운팅 또는 인덱싱 수단을 전진시키기 위한 전진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카운팅 또는 인덱싱 수단은 인덱스를 포함하고, 인덱스는 흡입기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 가능하고, 검출 수단은 잠금 메카니즘에 커플링되고, 흡입기의 동작 장치 및/또는 임의의 이송 메카니즘을 블록킹하는 잠금 메카니즘은 인덱스의 검출 이후에 사전 결정된 수의 정량 사이클들에 의해 지연된다. 동작 장치는 흡입기의 블록킹 상태를 표시하는 작동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서 저지된다. 이러한 배열은 간단하고 값싼 그리고 신뢰성 있는 메카니즘으로써 저장부 공간에 남겨진 적절한 수의 투여량들 또는 저장부 공간으로부터 투여량들의 수를 제거한 후 흡입기의 추가의 사용을 블록킹하는 것을 허용하여 흡입기를 사용하는 환자에 대해 개선된 안정성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요구되는 약물의 비적절한 결여를 발생시키는 빈 저장부 공간으로부터 환자가 투여하려는 시도가 방지된다. 지금까지, 공지된 흡입 장치는 강화된 사용성을 제공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흡입기는 이송 메카니즘에 연결된 투여-키의 형태로 환자에 의한 수동 맞물림을 위한 동작 장치를 포함한다. 이송 메카니즘은 충전 위치로부터 분말 채널 내로의 약제 분말의 투여량을 배출하기 위한 비움 위치로 이송되는 정량 수단에 연결된다. 분말 채널로부터 환자는 환자에 의해 발생된 에어 스트림을 통해 마우스 피스를 거쳐 약제 분말을 흡입할 수 있어서 약제의 흡입 및 투여를 위한 키의 가압은 환자에 의해 조정될 필요가 없다. 임의의 경우에, 환자는 흡입을 통해 정량된 분말 투여량을 수용할 수 있다. EP 1 616 592 에 개시된 바와 같은 흡입기의 정량 및 이송 메카니즘은 환자가 흡입 전에 투여 키를 해제하기만 한다면 적절히 리셋될 것이다.
에어졸 흡입기들로부터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환자는 투여 키가 분말 투여량을 완전히 배출하기 위해서는 눌려진 채로 유지되야 한다고 믿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환자는 투여 키를 물리적으로 및/또는 정신적으로 해제할 수 없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성에 대해 추가로 강화되고 궁극적인 오작동의 관점에서 추가로 강화된 상기 관련된 종류의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및 다른 목적들은 제 1 항에 따른 흡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들은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관련된 목적들은 적어도 하나의 분말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말 저장부로부터 분말 투여량을 반복적으로 정량하기 위한 정량 수단, 분말 투여량을 수용하기 위한 충전 위치로부터 분말 채널 내로 상기 분말 투여량을 배출하기 위한 비움 위치로 상기 정량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메카니즘 및, 상기 환자에 의한 수동 작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 장치로서, 상기 이송 메카니즘에 작동 연결되어 작동 시에 1 회 분말 투여량이 정량되고, 상기 환자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이송 메카니즘 상에 작용하는 투여 키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 장치를 포함하고, 가압될 때 상기 투여 키는 상기 이송 메카니즘과 일시적으로만 맞물림하여 상기 투여 키가 눌려진 조건으로 유지될지라도 정량 사이클이 완료되고 상기 이송 메카니즘 및/또는 상기 정량 수단이 리셋되는, 흡입에 의해 발생된 에어 스트림으로써 환자에 의해 수용되도록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출원의 사상에서 용어 "리셋" 은 정량 수단/이송 메카니즘의 완료 동작 후에 투여 키의 위치에 관계없이, 이송 메카니즘 및 정량 수단이 투여 키 복귀의 위치로부터 그 처음 위치/시작 위치로 복귀되고 추가로 정량 사이클에 대해 준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동작 및 흡입을 어떻게든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믿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수로 투여 키를 완전히 누르는 상태를 유지할 지라도, 그러한 작동은 그와 같이 정량 사이클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물론, 투여 키의 동작 시에 분말 투여량은 분말 채널 내로 완전히 배출되고 상기 메카니즘은 분말 투여량의 흡입 시에 적절히 리셋될 것이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는 상기 투여 키가 이송 메카니즘의 투여 레버와 일시적으로 맞물림하는 편향 가능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편향 가능한 요소는 가요성이고 제 1 비편향된 위치에서 투여 레버와 맞물림 해제되고 제 2 편향된 위치에서 투여 레버와 맞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향 가능한 요소는 액츄에이터 블레이드 또는 리프 스프링의 형태 뿐만 아니라 굽힘 가능한 및/또는 가요성 못 또는 핀 또는 스파이크의 형태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사상에서 "액츄에이터 블레이드" 는 블레이드형 굽힘 가능한 및/또는 가요성 요소, 예를 들면 금속 요소 또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작된 요소일 수 있는 일종의 리프 스프링을 의미한다. 액츄에이터 블레이드는 결과적으로 인젝션 몰딩된 부품일 수 있는 투여 키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편향 가능한 요소는 투여 키에 부착되는 가요성/굽힘 가능한 금속 리프 스프링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액츄에이터 블레이드는 가요성 아암 또는 가요성 레그이다.
환언하면, 사용자에 의해 투여 키의 누름 시에, 투여 키의 가요성 아암/레그는 굽혀져 이송 메카니즘의 투여 레버와 맞물림할 것이다. 투여 키의 추가의 누름 시에, 편향 가능한 요소는 투여 레버와 맞물림 해제되는 그 처음 위치로 스냅 백되어 투여 레버는 투여 키의 위치로부터 독립적으로 리셋 이동을 완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는 비가압된 위치로부터 가압된 위치로의 투여 키의 이동 중에 제 2 편향된 위치 내로 편향 가능한 요소를 밀어붙이고 그 후 완전히 눌려진 위치로의 투여 키의 추가의 이동 중에 제 1 비편향된 위치에서 액츄에이터 블레이드를 해제하는, 즉 투여 키에 대해 정적인 정적 편향 프로파일을 특징으로 한다. 편향 프로파일은 예를 들면 흡입기의 정적 부품으로써 베벨형 에지 또는 베벨형 프로파일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흡입기의 또 다른 정적 부품 또는 밸브 챔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편향 프로파일은 흡입기의 정적 부품의 캠 프로파일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투여 키는 그 비작동된 위치에서 스프링 바이어스되어 유지될 수 있어서 투여 키는 작동자/사용자에 의해 해제된다면 그 시작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이송 메카니즘이 상기 정량 수단 상에 작용하는 투여 레버를 포함한다면 특히 유리하고, 상기 투여 레버는 투여 키가 눌려진 후에 상기 정량 수단의 흡입 위치에서 잠금되고, 상기 투여 레버는 투여 키가 해제되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흡입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흡입기는 에어 덕트에서 흡입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밸브는 상기 투여 레버에 작동 연결되어 투여 레버는 흡입 중에 환자에 의해 발생되는 흡인에 의해 시작된 밸브의 작용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에어 덕트는 바람직하게 분말 채널과 소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이송 메카니즘 및/또는 정량 수단은 분말 채널 내로 배출되는 분말 투여량의 흡입 후에만 완전히 리셋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중 투여는 효과적으로 방지될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투여 레버는 후속하여 제 1 및 제 2 잠금된 위치로 될 수 있다. 투여 키가 사용자에 의해 너무 빠르게 해제된 결과로써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투여 레버는 제 2 잠금된 위치에서 잠금된 후에만 흡입에 의해서 해제될 수 있다. 투여 키가 항상 아래로 가압되지 않을 때는 투여 레버가 그 시작 위치로 복귀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어떠한 부가적인 투여량도 저장부로부터 분배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투여 레버는 상기 투여 키가 소정 정도로 눌려질 때만, 즉 상기 투여 키의 추가의 누름 시에 상기 액츄에이터 블레이드가 해제되고 스냅 백될 때까지 상기 제 2 잠금된 위치로 될 수 있다.
상기 편향 가능한 요소는 상기 투여 키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여 키는 열가소성 재료의 인젝션 몰딩으로 형성될 수 있고, 편향 가능한 요소의 바이어싱 특징은 그 형상으로 인해 그리고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다는 사실로 인해 본질적인 것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써 개시된다:
도 1 은 개방된 마우스 피스 캡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장치의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흡입기를 절단한 부분적인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흡입기의 또 다른 종단면 컷 스루를 도시하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투여 키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 은 투여 키의 비동작 상태에서 흡입기의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7a 및 도 7b 는 투여 키가 부분적으로 가압된 도 6 에 도시된 도면에 상응하는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8a 는 투여 키가 완전히 눌려지는 도 6 및 도 7 에 따른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8b 는 플랩 밸브 내로 투여 레버의 맞물림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투여 레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에어 덕트를 폐쇄하는 흡입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의 제 1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1a 는 도 10 에 따른 흡입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의 또 다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1b 는 제 2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흡입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의 후방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2 는 그 하우징이 없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3 은 후방도로서 도 12 의 확대된 상세도를 도시하고,
도 14a 는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흡입기의 흡입에 의해 작동 가능한 플랩 밸브와 투여 레버 사이에 맞물림의 확대된 상세를 도시하고,
도 14b 는 제 1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밸브와 투여 레버 사이에 맞물림의 확대된 상세를 도시하고,
도 14c 는 제 2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밸브와 투여 레버 사이의 맞물림의 확대된 상세를 도시하고,
도 15 는 흡입기를 절단한 또 다른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분말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7 은 흡입기 하우징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8 은 카운터 링의 치형부를 걸쳐 안내하는 카운터 슬라이드의 상세를 도시하고,
도 19 는 카트리지의 잠금 래칫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잠금 레버) 의 상세를 도시하고,
도 20 은 잠금 레버와 투여 키 및 카운터 링과의 그 맞물림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20 에 도시된 흡입기 (1) 는 분말 카트리지의 형태로 리셉터클로부터 약학 분말 약제의 다수의 투여량을 제공하기 위한 분말화된 약제들용 흡입기이다. 분말 카트리지 (3) 는 약학 분말/분말화된 의약품의 다수의 투여량들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부 (2) 를 규정한다. 설명된 실시형태에서, 하나의 분말 카트리지 (3) 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전형적인 회수의 투여량들은 30 내지 60 투여량들의 범위일 수 있다.
저장부 (2) 는 도 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드 (4) 에 의해 밀봉식으로 덮혀진다. 리드는 비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조립된 상태로 흡입기의 카트리지 본체 (3a) 에 고정된다.
분말 약제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즉 흡인에 의해 유도된 에어 스트림으로써 환자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기는 투여 레버 (6) 및 잠금 레버 (7) 를 포함하는 이송 메카니즘에 연결된 투여 키 (5) 의 형태로 환자에 의해 수동 맞물림을 위한 동작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투여 레버 (6) 는 분말 투여량을 수용하기 위한 충전 위치로부터 비움 위치 내로 이동 가능하고, 사이클론 (16) 에서 분말의 미립화를 위해 사이클론 (16) 의 분말 그루브 (16a) 내로 상기 분말 투여량을 배출하기 위한 정량 수단으로서 투여 슬라이드 (8) 상에 작용한다. 분말 그루브 (16a) 로부터 환자는 환자에 의해 생성된 에어 스트림을 통해 마우스 피스 (10) 를 통과하는 분말화된 의약품을 흡입할 수 있다. 사용 중이지 않다면, 마우스 피스 (10) 는 마우스 피스 커버 (11) 에 의해 먼지로부터 보호된다. 마우스 피스 커버 (11) 는 흡입기 하우징에 고정식으로, 즉 분리 불가능하게 부착된다.
사이클론 (16) 의 분말 그루브 (16a) 는 종래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분해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사이클론 (16) 을 통해 분말 채널의 일부를 형성한다. 환자에 의해 수용되도록 분말 약제는 접착성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접착성 혼합물들은 그 표면 상에 마이크로화된 의약품 입자들을 보유하는 상대적으로 큰 결정들, 일반적으로 α-락토오스-모노하이브리드로 이루어진다. 분해 시스템에서, 건조 분말은 분말 조제로부터 의약품 입자들을 배출하기 위해 미립화될 것이다. 사이클론 (16), 즉 분해 수단은 일반적으로 순환 챔버에 접선식으로 진입하는 몇개의 에어 공급 채널들 뿐만 아니라 에어 순환 챔버를 포함하여 원형의 에어 유동 패턴이 순환 챔버 내측에서 생성된다. 따라서 흡입기를 통한 전체 호흡 유동이 분말 그루브에서 분말 투여량을 가로지르고 순환 챔버 내로 분말을 끌어 당기기 (dragging) 위한 이송 에어 유동, 순환 챔버로 접선식으로 진입하는 사이클론 에어 유동 뿐만 아니라 결국 소위 클린 에어의 쉬스 (sheath) 유동을 생성하기 위한 우회 에어 유동을 포함한다. 분해 수단에 대해 가능한 구성은 예를 들면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 03/000325 에 개시되어 있고 상기 개시는 본원에서 그 전체가 참조로써 원용된다. 다음에 오히려 보다 간소화된 형태인 분해 수단은 사이클론로서 칭해진다. 또한 다음에 오히려 보다 간소화된 형태인 분말 그루브 (16a) 로부터 마우스 피스 개구로의 에어 경로는 분말 채널로서 칭해진다. 그러나, "분말 채널" 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하나의 별개의 단일한 분말 채널을 칭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채널 시스템을 칭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기 (1) 는 해제 불가능한 방식으로 스냅 피트 연결을 통해 쉘들 (12 및 13) 상에 수용된 커버 (14) 뿐만 아니라 쉘들 (12 및 13) 을 포함하는 세개의 부품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흡입기 (1) 의 심장부는 카트리지 본체 (3a) 및 사이클론 (16) 을 포함하는 밸브 챔버 (15) 에 의해 형성된다.
환자에 의한 흡입기 (1) 의 수동 작동은 투여 키 스프링 (17) 의 바이어싱력에 대항해 환자에 의해 눌러질 때 투여 슬라이드 (8) 에 연결된 투여 레버 (6) 상에 작용하는 투여 키 (5) 를 통해 기능한다 (도 15 를 참조).
예를 들면 도 15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투여 슬라이드 (8) 는 카트리지 본체 (3a) 내의 저장부 (2) 아래로 연장되는 투여 슬라이드 통로 (18) 내에서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투여 슬라이드 (8) (정량 수단) 는 분말화된 의약품의 정량된 투여량을 수용하기 위한 투여 공동 (19) 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 (3a) 는 분말화된 의약품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부 (2) 을 규정할 뿐만 아니라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카운팅 및 인덱싱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및 저장부 (2) 아래로 연장되는 투여 슬라이드 통로 (18) 를 규정한다는 것이 언급되어야만 한다.
투여 슬라이드 (8) 는 투여 공동 (19) 이 사이클론 (16) 의 분말 그루브 (16a) 와 소통하는 밸브 챔버 (15) 에서의 개구 (20) 와 정렬되는 그 비움 위치로 도 15 에 도시된다. 투여 슬라이드 (8) 는 흡입/비움 위치와 투여 공동 (19) 이 카트리지 본체 (3a) 내에서의 저장부 (2) 의 개구 (21) 와 정렬되는 충전 위치 사이에서 투여 레버 (6) 를 통해 이동 가능하다. 충전 위치에서, 투여 공동 (19) 은 정량된 양의 분말을 수용한다. 투여 키 (5) 의 동작시에, 투여 슬라이드 (8) 는 도 15 에 도시된 위치로 전진함으로써, 개구 (20) 를 통해 분말 그루브 (16a) 내로 분말 투여량을 배출할 것이다.
도 15 에 도시된 이러한 위치에서, 흡입기는 흡입에 대해 준비된다. 환자가 마우스 피스 (10) 를 통해 흡인을 인가하는 경우에, 이는 에어 덕트 (9) 의 바로 그 단부에서 플랩 밸브 (22) 를 개방식으로 스윙시켜 에어 유동이 에어 덕트 (9) 의 개방된 단부로부터 사이클론의 분말 그루브 (16a) 및 밸브 챔버 (15) 에 의해 규정된 분말 채널을 거쳐 마우스 피스 내로 자유롭게 순환될 수 있다. 플랩 밸브 (22) 는 개시된 실시형태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플랩 (22a) 및 샤프트 (22b) 를 포함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밸브 (22) 는 도 10 및 도 11a 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그 단부들에서 플랩 밸브 (22) 의 샤프트 (22b) 는 밸브 챔버 (15) 내에서 피봇 장착된다.
또한 도 15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 위치에서 플랩 밸브 (22) 는 투여 레버 (6) 의 체결 후크 (23) 에 의해 맞물려진다.
플랩 밸브 (22) 의 후방 측면도가 예를 들면 도 10 에 도시된다. 플랩 (22) 은 세개의 레그들 (22c, 22d 및 22e) 을 포함하는 각진/굽혀진 프로파일을 갖고, 장착 위치에서 제 1 레그 (22c) 는 플랩 밸브 (22) 의 폐쇄 방향을 향해 경사지고, 제 2 레그 (22d) 는 후향으로 경사지고 제 3 레그 (22e) 는 전방 방향으로 그리고 플랩 밸브 (22) 의 회전 이동에 대해 거의 접선식으로 연장된다.
플랩 (22a) 의 제 1 레그 (22c) 의 후방측 상에는, 래칭 리브 (47) 는 흡입 위치에서 투여 레버 (6) 의 체결 후크 (23) 에 의해 맞물림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투여 레버 (6) 의 체결 후크 (23) 에는 그 선단 단부에서 경사진 면 (51) 을 갖는 가시형 돌출부 (50) 가 제공된다. 플랩 밸브 (22) 는 상기 샤프트 (22b) 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플랩 밸브 레버 (31) 를 포함한다. 플랩 밸브 레버 (31) 의 말단부에는 디플렉터 표면 (53) 이 제공된다. 투여 키 (5) 의 동작 및 투여 레버 (6) 의 이어진 동작 및 하향으로 이동시에, 투여 레버 (6) 의 후크 (23) 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래치 (29) 의 상응하는 디플렉터 표면 (53') 은 플랩 밸브 레버 (31) 의 디플렉터 표면 (53) 과 접하게 된다. 투여 레버의 후크 뿐만 아니라 플랩 밸브 레버 (31) 는 이로써 양쪽이 약간 편향되고, 즉 투여 레버 (6) 의 후크 (23) 의 추가의 하향으로의 이동시에 그 처음 위치에서 한쪽으로 굽혀지고 스냅 백된다. 후크 (23) 의 추가의 하향으로의 이동시에, 가시형 돌출부 (50) 의 경사진 면 (51) 은 래칭 리브 (47) 의 하나의 에지에 접한다. 이로써 후크 (23) 는 그 재료의 탄성으로 인해 한쪽으로 굽혀지고 그 단부 위치에서 래칭 리브 (47) 뒤로 스냅 백됨으로써 플랩 밸브 (22) 와 맞물림하고 플랩 밸브 (22) 의 흡입으로 트리거링된 피봇 이동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된다.
특히 플랩 (22a) 의 확대된 종방향의 컷 스루 (cut through) 를 도시하는 도 14b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크 (23) 의 가시형 돌출부 (50) 는 래칭 리브 (47) 와 맞물린다. 흡입기 (1) 가 흡입에 대해 준비될 때, 래칭 리브 (47) 는 가시형 돌출부 (50) 를 마주보는 만곡된 베어링 표면 (54) 을 포함한다. 캠 표면을 규정하는 베어링 표면 (54) 은 후크 (23) 의 가시형 돌출부 (50) 와 래칭 리브 (47) 사이에서 거의 선 접촉을 제공하여 래칭 리브 (47) 와 후크 (23) 사이에 접촉력은 구성 요소들의 허용 오차들로부터 거의 독립적으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크의 가시형 돌출부 (50) 의 평면의 표면은 만곡된 베어링 표면 (54) 과 접선식으로만 맞물려서 실제적으로 흡입기의 부품들의 허용 오차들로 인해 접촉 표면의 편위는 축방향으로만 가능하지만, 그러나 이는 요구되는 트리거링 힘들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요구되는 트리거링 힘들은 최소한의 변화들만을 받게되어 플랩 밸브 (22) 의 트리거링은 충분히 재현 가능하다. 플랩 (22a) 이 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면, 후크 (23) 는 거의 순간적으로 해제된다는 것이 도 15 로부터 아주 명백하다. 그 결과로서, 투여 레버는 투여 레버 스프링 (25) 의 힘에 의해 상향으로 구동되어 스윙될 수 있다. 이러한 상향으로의 이동은 투여 슬라이드 (8) 를 그 분말 수용 위치로 복귀시키게 할 것이다.
플랩 밸브 (22) 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도 11b 및 도 14c 에 도시된다. 플랩 밸브 (22) 의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밸브 (22) 는 그 자체로 굽혀지거나 또는 각지지 않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평평한 플랩 (22a) 을 포함한다.
도 14c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 후크 (23) 는 흡입기 (1) 가 흡입에 대해 준비될 때 플랩 밸브 (22) 의 샤프트 (22b) 와 맞물린다.
플랩 밸브 (22) 의 샤프트 (22b) (예를 들면 도 11b 를 참조) 는 샤프트 (22b) 의 거의 중간에 배열되는 컷 아웃 영역 (24) 을 가져서, 플랩 (22a) 이 개방식으로 스윙한다면 (도 14c 및 도 11b 에서 시계 방향으로), 샤프트 (22b) 의 거의 중간에서 샤프트 (22b) 와 접선식으로 맞물리는 투여 레버 (6) 의 체결 후크 (23) 는 해제되어 투여 레버 스프링 (25) 의 힘에 의해 구동되는 투여 레버 (6) 는 그 처음 위치로 복귀될 수 있고, 이로써 저장부/분말 카트리지로부터 분말화된 투여량을 수용하기 위해 충전 위치로 다시 투여 슬라이드 (8) 를 이동시킬 것이다. 투여 키 (5) 의 동작시에 투여 레버 (6) 는 플랩 밸브 레버 (31) 와 투여 레버 (6) 의 래치 (29) 의 접촉에 의해 플랩 (22a) 을 부분적으로 피봇하면서 하향으로 이동될 것이다. 부분적으로 피봇한 후에 플랩 밸브 (22) 는 그 몰딩된, 일체형으로 형성된 스프링 (32) 의 힘에 의해 그 시작 위치로 다시 스위블 (swivel) 된다. 플랩 밸브 레버 (31) 와 래치 (29) 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 플랩 (22a) 의 피봇 모션은 래치 (29) 가 체결 후크 (23) 의 상향으로 이동 및 빠른 해제 시에 플랩 밸브 레버 (31) 의 기계적 정지부 (30) 뒤에서 맞물리게 허용한다.
샤프트 (22b) 의 컷 아웃 부분 (24) 의 영역에서, 샤프트 (22b) 는 반원 횡단면만을 갖고, 체결 후크 (23) 의 선단 단부는 매우 제한된 표면 영역 (선 접촉) 에서만 그리고 접선식으로만 샤프트의 횡단면의 나머지와 맞물려서 샤프트 (22b) 와 체결 후크 (23) 사이의 접촉력은 구성 요소들의 허용 오차들로부터 거의 독립적으로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특히 체결 후크 (23) 의 평면의 접촉 표면은 샤프트 (22b) 의 횡단면의 나머지의 만곡된 표면 영역과 접촉한다는 사실로 인해, 요구되는 트리거링 힘들은 최소한의 변화들만을 받아서 플랩 밸브 (22) 의 트리거링은 충분히 재현 가능하다. 샤프트 (22b) 및 플랩 (22a) 의 단지 약간의 회전/피봇 이동은 체결 후크 (23) 를 해제시켜 투여 레버 (6) 는 투여 레버 스프링 (25) 의 힘에 의해 상향으로 구동되어 스윙할 수 있고, 이로써 흡입 사이클을 종료될 것이다.
투여 키 (5) 의 사시도가 도 5 에 도시된다. 투여 키 (5) 는 투여 키 (5) 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설부 부재 (26) 와 접하는 투여 키 스프링 (17) 에 의해 그 처음 위치/시작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투여 키 (5) 는 도 5 에 도시된 장착 위치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고 투여 키 (5) 와 또한 일체형으로 형성된 가요성 아암/레그로서 형성된 액츄에이터 블레이드 (27) 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a 에 도시된 작동 순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 챔버 (15) 에는 투여 키 (5) 의 누름시에 액츄에이터 블레이드 (27) 를 위한 일종의 캠 표면을 형성하는 베벨형 에지 (28) 가 제공된다.
도 6 은 투여 키 (5) 가 그 작동되지 않는 시작 위치에 있는 흡입기 (1) 의 횡단면 컷 스루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 블레이드 (27) 는 이송 메카니즘, 즉 투여 레버 (6) 와 맞물리지 않는다.
투여 키 (5) 의 누름시에, 액츄에이터 블레이드 (27) 는 하향으로 이동하고 밸브 챔버의 베벨형 에지 (28) 와 맞물려서 액츄에이터 블레이드 (27) 는 그 고유의 가요성으로 인해 도 6 에 도시된 제 1 위치로부터 동시에 투여 레버 (6) 와 맞물리는 도 7a 에서의 제 2 위치로 편향되고/굽혀진다. 투여 키 (5) 및 액츄에이터 블레이드 (27) 의 추가의 이동에 의해, 액츄에이터 블레이드 (27) 는 투여 레버 스프링 (25) 의 바이어싱력에 대해 하향으로 투여 레버 (6) 를 밀어붙인다.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여 키 (5) 를 완전히 누를시에, 액츄에이터 블레이드 (27) 은 그 비편향된 그리고 풀림 위치로 스냅 백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투여 레버 (6) 의 체결 후크 (23) 는 도 8a 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 밸브 (22) 의 래칭 리브 (47) 와 맞물린다. 이때 장치/흡입기는 흡입에 대해 준비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이중 투여 방지 메카니즘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랩 밸브 (22) 의 제 1 실시형태를 먼저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그 트레일링 단부 (도 9 에서 좌측) 의 영역에서 투여 레버 (6) 에는 래치 (29) 가 제공된다. 투여 키 (5) 의 동작의 결과로서 투여 레버의 하향으로의 이동시에, 우선 래치 (29) 의 상보적 편향 표면 (53') 은 플랩 밸브 레버 (31) 의 디플렉터 표면 (53) 과 접하게 된다. 그 결과로서, 플랩 밸브 레버 (31) 는 체결 후크 (23) 에 의해 통과되면서 한쪽으로 굽혀지고/편향되고 투여 레버 (6) 의 추가의 하향으로의 이동 시에 그 처음 위치로 스냅 백되고, 이는 후크와 래칭 리브 (47) 의 맞물림을 발생시킬 것이다.
투여 레버 (6) 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 9 를 다시 참조한다. 그 트레일링 단부의 영역 (도 9 에서 좌측) 에서, 투여 레버 (6) 에는 투여 레버 (6) 의 복귀 이동 시에 상기 샤프트 (22b) 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플랩 밸브 레버 (31) 의 기계적 정지부 (30) 와 맞물림하기 위해 래치 (29) 가 제공된다.
투여 키 (5) 가 가압되고 너무 빨리 해제되는 경우에, 즉 플랩 밸브 (22) 의 래칭 리브 (47) 내로의 체결 후크 (23) 의 맞물림 전에, 투여 레버 (6) 의 상향으로 이동 시에 투여 레버 (6) 의 래치 (29) 는 플랩 밸브 레버 (31) 의 상기 기계적 정지부 (30) 에 접할 것이다. 따라서, 투여 레버 (6) 는 중간 위치에서 플랩 밸브 (22) 내에 잠금된다. 이러한 중간 위치 잠금은 이중 투여 방지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이러한 중간 위치 잠금에서, 즉 제 1 잠금된 위치에서, 레버의 관계는 투여 레버 (6) 의 해제를 위해 요구되는 힘들이 단순히 흡입에 의해서만 발생될 수 없도록 된다. 투여 레버 (6) 가 단부 위치에서 플랩 밸브 (22) 내에서 잠금되지 않는다면, 예를 들면 투여 키 (5) 가 항상 아래로 가압되지 않을 때, 투여 레버 (6) 는 그 처음 시작 위치로 복귀하지 않고, 즉 중간 위치에서 잠금될 것이다. 따라서, 어떠한 부가적인 분말 투여량도 저장부 (2) 로부터 방출되지 않을 것이다. 투여 레버 (6) 및 투여 슬라이드 (8) 는 플랩 밸브 (22) 의 흡입으로 트리거링된 동작 후에 그 시작 위치로만 복귀하고, 따라서 투여 레버 (6) 의 체결 후크 (23) 를 해제할 것이다.
또한 이중-투여 방지 메카니즘에는 도 14c 에 따른 제 2 실시형태의 플랩 밸브 (22) 의 구성이 제공된다. 투여 키 (5) 의 동작시에, 투여 레버 (6) 는 플랩 밸브 레버 (31) 와 투여 레버의 래치 (29) 의 접촉에 의해 플랩 (22a) 을 부분적으로 피봇하면서 하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투여 레버의 하향으로 이동 시에 플랩을 부분적으로 피봇한 후에, 플랩 밸브 (22) 는 플랩 밸브 (22) 와 일체형으로 몰딩된 스프링 (32) 의 탄성으로 인해 그 폐쇄된 위치로 복귀할 것이다. 투여 레버 (6) 의 빠른 상향으로의 이동 시에 투여 레버 (6) 의 래치 (29) 는 플랩 밸브 레버 (31) 의 기계적 정지부 (30) 에 접할 것이다. 따라서, 투여 레버 (6) 는 중간 위치에서 플랩 밸브 (22) 내에서 잠금된다.
투여 레버 (6) 는 각각의 동작 시에 카트리지의 카운터 슬라이드 (34) 를 이동시키는 캠형 동작 요소 (33) 를 포함하여 카트리지의 카운터 링 (35) 은 보다 낮은 투여량으로 한번의 카운트에 의해 이동된다. 따라서 카트리지의 내용물의 정도는 카트리지의 충전 상황을 인덱싱하는 카트리지 본체 (3a) 의 디스플레이 윈도우 (36) 에서 가시화될 수 있다. 카운터 링 (35) 상에 작용하는 카운터 슬라이드 (34) 의 상세들은 도 18 로부터 알 수 있다. 치형부들 (37) 을 갖는 래칫 링으로서 구성된 카운터 링 (35) 은 카트리지 본체 (3a) 의 칼라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투여 레버 (6) 의 동작시에, 동작 요소 (33) 는 카운터 슬라이드 (34) 를 이동시키고, 카운터 슬라이드는 카운터 링의 치형부들 (37) 과 맞물림함으로써, 카운터 링 (35) 을 이동시켜 다음의 인덱스 넘버가 디스플레이 윈도우 (36) 에 표시된다. 카운터 링 (35) 은 예를 들면 각각의 5 번째의 투여 단계/정량 사이클에 대해 투여량 카운트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카운터 링은 예를 들면 13 개의 수들을 나타내고 각각의 정량 사이클 시에 60 으로부터 0 까지 카운트 다운을 표시한다. 카운터 링 (35) 의 각각의 치형부는 하나의 정량 사이클을 나타낸다.
또한 도 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운터 슬라이드 (34) 는 카운터 슬라이드 (34) 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멈춤쇠 (43) 를 포함한다. 멈춤쇠 (43) 는 카운터 링 (35) 의 치형부들 (37) 과 단단히 맞물림하는 카운터 링 (35) 을 향해 바이어스된다. 치형부들 (37) 은 하나의 경사진 플랭크 및 하나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랭크를 갖는 한 비대칭적이고, 경사진 플랭크는 카운터 링 (35) 의 회전 방향에 대해 선단 플랭크를 나타낸다.
카운터 슬라이드 (34) 는 카트리지 본체 (3a) 의 슬라이딩 채널 (44) 내에서 왕복으로 이동 가능하다. 투여 레버 (6) 의 캠형 동작 요소 (33) 는 카운터 슬라이드 (34) 의 수평으로 연장하는 부품의 리세스 (45) 내로 그리고 슬라이딩 채널 (44) 내로 연장된다. 카운터 슬라이드 (34) 와 동작 요소 (33) 의 맞물림은 카운터 슬라이드 (34) 의 선형 이동으로 동작 요소 (33) 의 피봇 이동을 변환시킨다.
투여 키 (5) 의 누름시에, 투여 레버는 피봇되어 동작 요소 (33) 가 도 4 에서 좌측을 향해 피봇될 것이다. 동시에, 투여 레버의 하부 선단 단부 (46) (도 9 및 도 12 참조) 는 그 빈공간/흡입 위치로 투여 슬라이드 (8) 를 민다. 이로써 카운터 슬라이드 (34) 는 대향 방향으로 이동된다. 카운터 슬라이드 (34) 는 이러한 이동을 수행하는 한편, 멈춤쇠 (43) 는 카운터 링의 각각의 치형부 (37) 의 수직 플랭크와 맞물림하고, 카운터 링을 하나의 카운트/단차로 이동시킨다. 투여 레버 (6) 의 해제 후에, 카운터 슬라이드 (34) 는 그 시작 위치로 후향으로 이동될 것이다. 멈춤쇠 (43) 의 탄성으로 인해, 멈춤쇠는 각각의 치형부의 경사진 플랭크를 거쳐 안내되고, 이로써 치형부 뒤로 스냅 백될 수 있다. 도 19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운터 메카니즘은 카운터 링 치형부들 (37) 과 맞물림하는 잠금 래칫 (38) 을 포함한다. 치형부들 (37) 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인해, 또한 탄성 부재인 잠금 래칫 (38) 은 카운터 링 (35) 의 반시계 방향 회전을 블로킹한다.
도 12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기 (1) 는 투여 키 (5) 와 투여 레버 (6) 사이에 밸브 챔버 (15) 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잠금 레버 (7) 를 포함한다. 잠금 레버 (7) 는 블록킹 아암 (39) 및 스프링 레그 (40) 를 포함한다. 분말 카트리지 (3) 의 조립 중에, 잠금 레버 (7) 는 하향으로 밀려지고, 이로써 블록킹 아암 (39) 및 스프링 레그 (40) 는 후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투여 키 (5) 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레그 (40) 의 바이어싱력에 대해 하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투여 키 (5) 는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여 키 스프링 (17) 의 바이어싱력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카운터 링 (35) 은 잠금 레버 (7) 의 설부 (42) 에 의해 맞물림 가능한 노치 (41) 를 포함한다.
노치는 카운터 링 (35) 상에 배열되어 사전 결정된 수의 투여량들이 이송된 후, 잠금 레버 (7) 는 투여 키 (5) 에 의해 동작되는 스프링 레그 (40) 의 작용에 의해 발생된 피봇 이동으로써 카운터 링에서 노치와 맞물림한다. 잠금 레버 (7) 의 상향으로의 이동 시에, 잠금 레버 (7) 의 블록킹 아암 (39) 은 전향으로 (마우스 피스 (10) 를 향해) 밀려지고 그 가장 낮은 위치에서 투여 키 (5) 와 맞물림하여 투여 키 (5) 는 최종 흡입 후에 그 가장 낮은 위치에서 블록킹된 채로 유지된다. 빈공간에서 장치의 또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 5 및 도 20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투여 키 (5) 는 스프링 레그 (40) 의 피로를 방지하도록 눌려진 조건일 때만 스프링 레그 (40) 상에 작용하는 동작 리브 (55) 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프링 레그 (40) 는 투여 키 (5) 가 가압되거나 또는 하향으로 유지된 경우만 바이어스된다.
카운터 링의 형태의 인덱싱 수단 이외에도, 상기 장치는 장치가 흡입에 대해 준비되었지 또는 아닌지를 인덱싱하는 또 다른 흡입 제어 윈도우 (48) 를 포함한다. 흡입 제어 윈도우는 예를 들면 장치가 흡입에 대해 준비된 경우에 예를 들면 녹색의 플래그를 나타낸다. 이는 흡입기 (1) 의 동작된 상황에서 투여 레버 (6) 의 녹색 탭 (49) 은 흡입 제어 윈도우 (48) 에서 적색 플래그를 덮기 때문이다. 흡입 위치로부터 시작 위치로 장치의 리셋은 흡입 시에 에어 유동에 의해 흡입 중에 발생한다. 플랩 밸브 (22) 는 이전에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편향되고 따라서 투여 레버 (6) 를 해제시킨다.
에어 덕트 (9) 의 누출 기밀성을 보장하도록, 쉘들 (12 및 13) 은 밸브 챔버 (15) 주위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밀봉 리브들에 의해 밸브 챔버 (15) 에 대해 밀봉될 수 있다. 밀봉 리브는 밸브 챔버 (15) 와 동시 인젝션 몰딩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형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밀봉 리브 (52) 는 흡입기의 조립 중 밀봉 그루브 내에 장착된 탄성 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쉘들 (12 및 13) 은 밸브 챔버 (15) 주위로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레버린스 시일에 의해 밸브 챔버에 대해 밀봉되어, 사이클론 (16) 및 분말 그루브 (16a) 를 포함하는 밸브 챔버 (15) 는 흡입기의 투여 격실에 대해 효과적으로 밀봉된다. 레버린스 시일은 밸브 챔버 (15) 주위로 전체적으로 연장되고 흡입기 (1) 의 조립된 상태에서 쉘들 (12 및 13) 에서 상응하는 밀봉 그루브와 맞물림하는 밀봉 리브 (52) 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밀봉은 플랩 밸브 (22) 를 위한 트리거링 힘들을 가능한 재현 가능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요구되는 트리거링 힘들의 대역폭은 환자에 의해 인가되도록 흡인에 대해 30 l/min 의 에어 유동 편차에 일반적으로 상응한다. 쉘들 (12, 13) 에 대해 흡입기 (1) 의 밸브 챔버를 밀봉하는 것은 플랩 밸브 (22) 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요구되는 에어 유동에서 이러한 편차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분말 채널 및/또는 에어 덕트 (9) 를 우회하는 흡입기를 통해 에어 유동을 흡인할 가능성을 회피한다.
1 흡입기
2 저장부
3 카트리지
3 카트리지 본체
4 리드
5 투여 키
6 투여 레버
7 잠금 레버
8 투여 슬라이드
9 에어 덕트
10 마우스 피스
11 마우스 피스 캡
12, 13 쉘들
14 커버
15 밸브 챔버
16 사이클론
16 분말 그루브
17 투여 키 스프링
18 투여 슬라이드 통로
19 투여 공동
20 개구
21 개구
22 플랩 밸브
22a 플랩
22b 플랩 밸브의 샤프트
22c 플랩 밸브의 제 1 레그
22d 플랩 밸브의 제 2 레그
22e 플랩 밸브의 제 3 레그
23 체결 후크
24 컷-아웃 부분
25 투여 레버 스프링
26 설부 부재
27 액츄에이터 블레이드
28 베벨형 에지
29 래치
30 기계적 정지부
31 플랩 밸브 레버
32 플랩 밸브의 스프링
33 동작 요소
34 카운터 슬라이드
35 카운터 링
36 디스플레이 윈도우
37 치형부들
38 잠금 래칫
39 블록킹 아암
40 스프링 레그
41 노치
42 설부
43 멈춤쇠
44 슬라이딩 채널
45 리세스
46 투여 레버의 선단 단부
47 래칭 리브
48 흡입 제어 윈도우
49 탭
50 가시형 돌출부
51 경사진 면
52 밀봉 리브
53 디플렉터 표면
53' 디플렉터 표면
54 베어링 표면
55 동작 리브

Claims (11)

  1. 흡입에 의해 발생된 에어 스트림으로써 환자에 의해 수용되도록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로서, 상기 흡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분말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말 저장부로부터 분말 투여량을 반복적으로 정량 (metering) 하기 위한 정량 수단,
    분말 투여량을 수용하기 위한 충전 위치로부터 분말 채널 내로 상기 분말 투여량을 배출하기 위한 비움 위치로 상기 정량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메카니즘,
    상기 환자에 의한 수동 작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 장치로서, 상기 동작 장치는 상기 이송 메카니즘에 작동 연결되어 작동 시에 1 회 분말 투여량이 정량되고, 상기 환자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이송 메카니즘 상에 작용하는 투여 키 (5) 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 장치를 포함하고,
    가압될 때 상기 투여 키 (5) 는 상기 이송 메카니즘과 일시적으로만 맞물림하여 상기 투여 키 (5) 가 눌려진 조건으로 유지될지라도 정량 사이클이 완료되고 상기 이송 메카니즘 및/또는 상기 정량 수단이 리셋되는,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키 (5) 는 상기 이송 메카니즘의 투여 레버 (6) 와 일시적으로 맞물림하는 편향 가능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편향 가능한 요소는 가요성이고 제 1 비편향된 위치에서 상기 투여 레버 (6) 와 맞물림 해제되고 제 2 편향된 위치에서 상기 투여 레버 (6) 와 맞물림되는,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가능한 요소는 액츄에이터 블레이드 (27) 의 형태인,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눌려지지 않은 위치로부터 눌려진 위치로의 상기 투여 키 (5) 의 이동 중에 상기 제 2 편향된 위치 내로 상기 편향 가능한 요소를 밀어붙이고 그 후 완전히 눌려진 위치 내의 상기 투여 키 (5) 의 추가의 이동 중에 상기 제 1 비편향된 위치로 상기 편향 가능한 요소를 해제하는, 상기 투여 키 (5) 에 대해 정적인 편향 프로파일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편향 프로파일은 상기 흡입기 (1) 의 고정된 부품의 베벨형 프로파일 또는 베벨형 에지 (28) 에 의해 제공되는,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키 (5) 는 그 비작동된 위치에서 스프링 바이어스되어 유지되는,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메카니즘은 상기 정량 수단 상에 작용하는 투여 레버 (6) 를 포함하고, 상기 투여 레버 (6) 는 상기 투여 키 (5) 가 가압된 후에 상기 정량 수단의 상기 흡입 위치에서 잠금되고,
    상기 투여 레버 (6) 는 상기 투여 키 (5) 가 해제되었는 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흡입에 의해 해제될 수 있는,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채널과 소통하는 에어 덕트 (9) 에서 흡입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로서, 상기 투여 레버 (6) 에 작동 연결되어 상기 투여 레버가 상기 흡입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의 작용에 의해 해제될 수 있는 상기 흡입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를 특징으로 하는,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레버 (6) 는 후속하여 제 1 및 제 2 잠금된 위치로 될 수 있고, 상기 투여 레버 (6) 는 상기 제 2 잠금된 위치에서 잠금된 후에만 흡입에 의해 해제될 수 있는,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가능한 요소가 상기 투여 키 (5) 의 추가의 누름시에 해제될 때까지 상기 투여 키 (5) 가 눌려질 때에 상기 투여 레버 (6) 는 상기 제 2 잠금된 위치로 되는,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향 가능한 요소는 상기 투여 키 (5) 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KR1020147023016A 2012-01-20 2013-01-17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KR102050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000353.8 2012-01-20
EP12000353.8A EP2617448A1 (en) 2012-01-20 2012-01-20 Inhalation device for powdered drugs
US201261589572P 2012-01-23 2012-01-23
US61/589,572 2012-01-23
PCT/EP2013/000126 WO2013107640A1 (en) 2012-01-20 2013-01-17 Inhalation device for powdered dr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088A true KR20140112088A (ko) 2014-09-22
KR102050613B1 KR102050613B1 (ko) 2020-01-08

Family

ID=4553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016A KR102050613B1 (ko) 2012-01-20 2013-01-17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10434268B2 (ko)
EP (2) EP2617448A1 (ko)
JP (1) JP6238085B2 (ko)
KR (1) KR102050613B1 (ko)
CN (1) CN104114214B (ko)
AR (1) AR090055A1 (ko)
AU (1) AU2013211249B2 (ko)
BR (1) BR112014017554B1 (ko)
CA (1) CA2863504C (ko)
CL (1) CL2014001906A1 (ko)
CO (1) CO7020897A2 (ko)
CR (1) CR20140284A (ko)
EA (1) EA201491401A1 (ko)
EC (1) ECSP14013540A (ko)
ES (1) ES2676821T3 (ko)
GT (1) GT201400157A (ko)
HK (1) HK1205471A1 (ko)
IL (1) IL233346B (ko)
MX (1) MX349276B (ko)
NZ (1) NZ626317A (ko)
PE (1) PE20141340A1 (ko)
PH (1) PH12014501647A1 (ko)
SG (1) SG11201404244UA (ko)
TW (1) TW201334819A (ko)
UY (1) UY34581A (ko)
WO (1) WO20131076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296605S (en) * 1985-01-31 1988-07-12 Ecotat System Company Combination outer garment and tent
EP2835146B1 (en) 2013-08-09 2020-09-3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DK3139983T3 (da) 2014-05-07 2023-09-11 Boehringer Ingelheim Int Beholder og indikatoranordning, samt forstøver
JP6580070B2 (ja) 2014-05-07 2019-09-25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容器、ネブライザ、及び使用
HUE055604T2 (hu) 2014-05-07 2021-12-28 Boehringer Ingelheim Int Porlasztó
HUE052394T2 (hu) * 2014-06-30 2021-04-28 Chiesi Farm Spa Porinhalátor
US10561806B2 (en) * 2014-10-02 2020-02-18 Mannkind Corporation Mouthpiece cover for an inhaler
MX2018014754A (es) 2016-06-24 2019-04-29 Avent Inc Indicador de relleno de bolo.
ES2907984T3 (es) * 2016-12-06 2022-04-27 Norton Waterford Ltd Dispositivo de inhalación con módulo electrónico integrado
GB2576789B (en) * 2018-09-03 2020-11-18 Ttp Plc Medicament delivery device with medicament strip release mechanism
FR3092252B1 (fr) * 2019-02-04 2021-01-22 Aptar France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synchronisé avec l'inhalation
USD877322S1 (en) * 2019-08-03 2020-03-03 Optimist Inhaler, LLC Flip-top metered-dose inhaler
WO2021026432A1 (en) 2019-08-07 2021-02-11 Saudi Arabian Oil Company Determination of geologic permeability correlative with magnetic permeability measured in-situ
US11879328B2 (en) 2021-08-05 2024-01-23 Saudi Arabian Oil Company Semi-permanent downhole sensor tool
US11860077B2 (en) 2021-12-14 2024-01-02 Saudi Arabian Oil Company Fluid flow sensor using driver and reference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US11867049B1 (en) 2022-07-19 2024-01-09 Saudi Arabian Oil Company Downhole logging tool
US11913329B1 (en) 2022-09-21 2024-02-27 Saudi Arabian Oil Company Untethered logg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logging a wellbo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8572A (en) * 1993-10-26 1995-02-14 Tenax Corporation (A Connecticut Corp.) Dry powder medicament inhalator having an inhalation-activated piston to aerosolize dose and deliver same
KR19990028323A (ko) * 1995-06-21 1999-04-15 덱커;나우발트 일체된 미터링 장치를 가진 약제 분말 카트리지 및 분말 약 흡입기
JP2004530498A (ja) * 2001-06-22 2004-10-07 ゾフォテッ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乾燥粉末吸入器のための粉末製剤を粉砕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60037612A1 (en) * 2004-07-16 2006-02-23 Sofotec Gmbh & Co. Kg Inhaler for the administration of powdered pharmaceuticals, and a powder cartridge system for use with this inhaler
JP2008534209A (ja) * 2005-04-08 2008-08-28 アベンティス・フアーマ・リミテッド 吸入器の改良または吸入器に関する改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9891D0 (en) * 1989-04-28 1989-06-14 Riker Laboratories Inc Device
US6698422B2 (en) 2001-03-12 2004-03-02 Birdsong Medical Devices, Inc. Canister inhaler having a spacer and easy to operate lever mechanism and a flexible, elastic mouthpiece
AU2003272935C1 (en) * 2002-10-11 2009-06-25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owder inhalation device
GB0625303D0 (en) 2006-12-19 2007-01-24 Jagotec Ag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etered dose inhalers
EP2063940B1 (en) 2006-12-22 2012-01-11 Almirall, S.A. Inhalation device for drugs in powder form
US8720433B2 (en) 2008-05-07 2014-05-13 Map Pharmaceuticals, Inc. Dose counter with lockout mechanis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8572A (en) * 1993-10-26 1995-02-14 Tenax Corporation (A Connecticut Corp.) Dry powder medicament inhalator having an inhalation-activated piston to aerosolize dose and deliver same
KR19990028323A (ko) * 1995-06-21 1999-04-15 덱커;나우발트 일체된 미터링 장치를 가진 약제 분말 카트리지 및 분말 약 흡입기
JP2004530498A (ja) * 2001-06-22 2004-10-07 ゾフォテッ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乾燥粉末吸入器のための粉末製剤を粉砕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60037612A1 (en) * 2004-07-16 2006-02-23 Sofotec Gmbh & Co. Kg Inhaler for the administration of powdered pharmaceuticals, and a powder cartridge system for use with this inhaler
JP2008506433A (ja) * 2004-07-16 2008-03-06 ラボラトリオス アルミラル ソシエダツド アノニマ 粉末薬剤を投与するための吸入器、及びこの吸入器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粉末カートリッジシステム
JP2008534209A (ja) * 2005-04-08 2008-08-28 アベンティス・フアーマ・リミテッド 吸入器の改良または吸入器に関する改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404244UA (en) 2014-08-28
IL233346B (en) 2018-03-29
CA2863504A1 (en) 2013-07-25
PH12014501647A1 (en) 2014-10-13
KR102050613B1 (ko) 2020-01-08
IL233346A0 (en) 2014-08-31
EA201491401A1 (ru) 2014-11-28
CN104114214B (zh) 2017-08-25
GT201400157A (es) 2015-04-20
WO2013107640A1 (en) 2013-07-25
AU2013211249A1 (en) 2014-07-03
BR112014017554B1 (pt) 2021-05-11
MX2014008786A (es) 2014-10-23
TW201334819A (zh) 2013-09-01
US20150000657A1 (en) 2015-01-01
CA2863504C (en) 2020-01-07
UY34581A (es) 2013-09-02
JP2015503978A (ja) 2015-02-05
BR112014017554A8 (pt) 2017-07-04
BR112014017554A2 (pt) 2017-06-13
MX349276B (es) 2017-07-20
EP2617448A1 (en) 2013-07-24
EP2804650B1 (en) 2018-04-18
EP2804650A1 (en) 2014-11-26
AU2013211249B2 (en) 2017-04-27
CL2014001906A1 (es) 2014-11-21
HK1205471A1 (en) 2015-12-18
PE20141340A1 (es) 2014-10-17
AR090055A1 (es) 2014-10-15
NZ626317A (en) 2016-09-30
ECSP14013540A (es) 2015-11-30
ES2676821T3 (es) 2018-07-25
CN104114214A (zh) 2014-10-22
CR20140284A (es) 2014-08-28
US10434268B2 (en) 2019-10-08
CO7020897A2 (es) 2014-08-11
JP6238085B2 (ja)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613B1 (ko)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KR102044050B1 (ko)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KR102040345B1 (ko) 분말화된 의약품들을 위한 흡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