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002A - 더블 헤드 방식의 광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더블 헤드 방식의 광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002A
KR20140112002A KR1020140111464A KR20140111464A KR20140112002A KR 20140112002 A KR20140112002 A KR 20140112002A KR 1020140111464 A KR1020140111464 A KR 1020140111464A KR 20140111464 A KR20140111464 A KR 20140111464A KR 20140112002 A KR20140112002 A KR 20140112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unit
light irradiation
diagnostic
irradi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5651B1 (ko
Inventor
채종서
이병노
신승욱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40112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77Beam delivery systems
    • A61N5/1081Rotating beam systems with a specific mechanical construction, e.g. gantries
    • A61N5/1082Rotating beam systems with a specific mechanical construction, e.g. gantries having multiple beam rotation a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2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with spatial modulation of the radiation beam within the treatment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49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64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radiation treatment in response to monitoring
    • A61N5/1065Beam adjustment
    • A61N5/1067Beam adjustment in real time, i.e. during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77Beam delivery systems
    • A61N5/1084Beam delivery systems for delivering multiple intersecting beams at the same time, e.g. gamma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49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 A61N2005/1061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using an x-ray imaging system having a separate imag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2005/1074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e.g. user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헤드 방식의 광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자가 위치하는 환자 지지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자의 환부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진단광 조사부 및 진단광 검출부를 포함하는 진단부, 상기 프레임을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자의 환부로 치료광을 조사하는 두 개 이상의 치료광 조사유닛을 포함하는 치료부 그리고, 상기 진단부 및 상기 치료부의 동작 및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 치료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더블 헤드 방식의 광 치료장치{A double head type radiation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광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료광을 조사하는 헤드를 두 개 구비한 더블 헤드 방식의 광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암 등의 각종 병변을 치료하기 위해, 치료 부위로 광을 조사하는 광 치료장치에 관한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한국특허공개공보 2001-0097505호에도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환부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향에서 광을 조사하는 동작이 요구된다. 다만, 종래의 광 치료장치는 하나의 치료 광원을 이용하여 치료를 진행하기 때문에, 광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2001-0097505
본 발명은 다양한 위치에 분포하는 환자의 치료 부위로 신속하고 컴팩트한 동작으로 치료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 치료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자가 위치하는 환자 지지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자의 환부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진단광 조사부 및 진단광 검출부를 포함하는 진단부, 상기 프레임을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자의 환부로 치료광을 조사하는 두 개 이상의 치료광 조사유닛을 포함하는 치료부 그리고, 상기 진단부 및 상기 치료부의 동작 및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 치료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치료부는 제1 치료광 조사유닛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은 치료광 조사 및 위치 이동 동작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이 환자의 환부를 향해 치료광을 번갈아가며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이 환자의 환부로 치료광을 조사하는 동안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이 환자의 환부로 치료광을 조사하는 동안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에서 환자의 환부로 조사되는 각각의 치료광 사이의 각도가 30도 이상 150도 이하의 범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단광 조사부 및 상기 진단광 검출부는 상기 치료부에 의해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환자의 환부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진단광 조사부는 제1 진단광 조사유닛 및 제2 진단광 조사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진단광 검출부는 상기 제1 진단광 조사유닛과 대응되는 제1 진단광 검출유닛 및 상기 제2 진단광 조사유닛과 대응되는 제2 진단광 검출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은 양 측면을 형성하며 중심축으로 기준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패널 및 제2 회전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패널에는 제1 치료광 조사유닛 및 제1 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회전 패널에는 제2 치료광 조사유닛 및 제2 빔 스토퍼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 패널 및 상기 제2 회전 패널을 각각 회전시켜 상기 진단부 또는 상기 치료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겟 위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진단부 및 타겟 위치로 치료광을 조사하는 치료부를 포함하는 광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진단부를 이동시키면서 타겟 위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b)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패턴에 따라 제1 치료광 조사유닛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의 위치를 변경하며 타겟 위치로 치료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제1 치료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이 교대로 치료광을 조사하도록 제어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이 제1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치료광을 조사하는 동안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은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서 타겟 위치로 치료광을 조사하는 동안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타겟 위치의 3차원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에도 타겟 위치의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단순한 동작을 통해 환자를 치료부위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하고 치료광을 조사함으로써, 신속하고 다양한 방식의 치료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진단부 및 치료부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진단부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치료부가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치료부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의 A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6에서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의 B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광 치료장치의 진단부가 동작하는 모습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도 6에서 광 치료장치의 치료부가 동작하는 모습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도 6에서 광 치료장치의 치료부가 동작하는 모습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도 6에서 광 치료장치의 각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도 6의 광 치료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5는 도 14에서 치료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치료 패턴에 따른 치료광 조사 단계에서 주요 구성요소의 동작 내용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관계는 원칙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필요할 경우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각종 장치를 부가하거나,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치료장치(10)는 X선과 같은 광을 이용하여 환자의 환부의 위치를 진단하고 이를 치료할 수 있는 장치로, 진단 및 치료 시스템(20)과 환자 지지부(30)로 구성될 수 있다.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은(20)은 진단광을 조사하여 환자의 치료 부위를 촬영하는 진단부(100) 및 환자의 치료 부위로 치료광을 조사하는 치료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진단 및 치료 시스템(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진단부 및 치료부는 이러한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40)은 복수개의 환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베이스(50) 상에 설치되어 베이스 상에서 수직 방향의 회전축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은 아래에서 별도의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환자 지지부(30)는 환자가 누운 상태로 위치할 수 있는 베드(31) 및 베드(31)를 지지하는 서포터(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서포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및 치료 시스템(2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드(31)는 서포터(32)의 상측에서 스위블링(swivelling)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진단부(100) 및 치료부(200)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도 1에서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의 좌측 내주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우측 내주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및 치료 시스템(20)은 3개의 환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단부(100)는 외측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41) 및 제3 프레임(43)에 설치되고, 치료부(200)는 제2 프레임(42)에 설치될 수 있다.
진단부(100)는 광을 조사하여 환자의 환부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환부의 위치 및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진단부(100)는 진단광을 환자에게 조사하는 진단광 조사부(110) 및 진단광을 수광하여 검출하는 진단광 검출부(120)를 포함한다.
진단광 조사부(110)는 X 선과 같은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진단광 검출부(120)는 진단광이 환자를 관통하면서 획득된 프로젝션 이미지를 획득하여 환자의 환부 위치 및 형상 정보를 진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진단광 조사부(110) 및 진단광 검출부(120)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다양한 방향의 프로젝션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환부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치료부(200)는 치료광을 조사할 수 있는 치료광 조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환자의 환부로 광을 조사하여 에너지를 전달함으로서 치료를 진행한다. 치료광 조사유닛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으로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X선 광을 환자의 환부에 조사하여 치료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41) 및 제3 프레임(43)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도 2의 a 참조)에는 각각 진단광 조사부(110)가 설치되고, 제1 프레임 및 제3 프레임의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도 2의 b 참조)에는 진단광 검출부(1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치료부(200)는 환자의 병변을 치료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두 개의 치료광 조사유닛(210, 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서는 치료광 조사유닛(210, 220) 중 하나는 진단 및 치료 시스템(20)의 좌측에 위치하고(도 2의 a 참조), 나머지 하나는 우측에 위치한 모습(도 2의 b 참조)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진단부(100) 및 치료부(200)는 환형 프레임의 원주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환자의 다양한 병변 위치를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하거나, 다양한 방향으로 치료광을 조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진단부 및 치료부의 구동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진단부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부(100)는 진단광 조사부(110) 및 진단광 검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진단광 조사부(110) 및 진단광 검출부(120)는 각각 두 개의 진단광 조사유닛(110a, 110b) 및 진단광 검출유닛(120a, 120b)를 포함한다. 이때, 두 개의 진단광 조사유닛(110a, 110b)는 제1 및 제3 프레임에 전후 방향(도면 기준)으로 설치되며, 두 개의 진단광 검출유닛(120a, 120b)은 대응되는 진단광 조사유닛(110a, 110b)과 원주 방향을 따라 180도 떨어져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진단광 조사유닛(110a, 110b)에서 조사되는 진단광은 환자를 관통하여 타측에 위치하는 진단광 검출유닛(120a, 120b)에 수광되며, 진단광 검출유닛(120a, 120b)에서 수광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료위치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 프레임(41)에 설치되는 제1 진단광 조사유닛(110a)은 제3 프레임(43)에 설치되는 제1 진단광 검출유닛(120a)로 조사되며, 제3 프레임(43)에 설치된 제2 진단광 조사유닛(110b)은 제1 프레임에 위치한 제2 진단광 검출유닛(120b)로 조사될 수 있다. 진단광 조사부(110)에서 조사되는 두 개의 진단광은 촬영되는 부위에서 상호 교차하도록 광경로를 형성하며 진단광 검출부(120)로 입사된다. 환자의 특정 위치에 대한 다양한 방향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이미지를 가공하여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진단광 조사부 및 진단광 검출부는 한 쌍의 진단 유닛 및 검출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진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진단부(100)가 설치되는 제1 프레임(41) 및 제3 프레임(43)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1 프레임(41) 및 제3 프레임(43)의 회전에 의해 진단부(100)의 진단광 조사부(110) 및 진단광 검출부(120)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레임(41) 및 제3 프레임(43)이 회전한 각도에 의해 진단부(100)가 환자를 촬영하는 방향이 결정되고, 나아가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프레임(41) 및 제3 프레임(43)의 회전에 의해 진단광 조사부(110) 및 진단광 검출부(120)가 회전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일 예로서, 제1 프레임 및 제3 프레임은 고정된 상태에서 진단광 조사부 및 진단광 검출부가 각각 제1 프레임 및 제3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진단광 조사부(110)에서 조사되는 광이 진단광 검출부(120)에 수광될 수 있도록, 진단광 조사부(110)와 진단광 검출부(120)는 원주를 따라 180도 떨어져 상호 대향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1의 치료부가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치료부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치료부(200)가 설치되는 제2 프레임(42)은 진단부가 설치되는 제1 프레임(41) 및 제3 프레임(43)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 프레임(42)은 제1 프레임(41) 및 제3 프레임(43)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진단부(100)의 촬영 방향과 무관하게, 치료부(200)가 치료광을 조사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치료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42) 내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치료광 조사유닛(210, 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료광 조사유닛(210, 220)는 X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며 암과 같은 환자의 병변 부위로 광을 집속하여 조사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치료광 조사유닛(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치료광 조사유닛'과 '제2 치료광 조사유닛'라고 함)는 각각 제2 프레임(42) 내측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치료광 조사유닛(210, 220)는 제2 프레임(42) 내측에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42)의 내측에는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가 이동하는 경로에 해당하는 제1 가이드부(42a)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가 이동하는 경로에 해당하는 제2 가이드부(42b)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42a) 및 제2 가이드부(42b)는 제2 프레임(42)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180도에 해당하는 궤적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는 각각 별도의 경로를 따가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의 a를 초기 위치라고 할 경우, 도 4의 b는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가 제1 가이드부(42a)를 따라 상향으로 제1 각도(Φ1) 만큼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 또한 제2 가이드부(42b)를 따라 상향 제2 각도(Φ2) 만큼 제2 위치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치료광 조사유닛를 복수개로 구비하고, 각각의 치료광 조사유닛가 별도의 경로를 따라 위치 제어가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치료광 조사유닛이 광을 조사하는 동안에 나머지 치료광 조사유닛은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치료광 조사시 위치의 설정 및 변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2 프레임(4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41) 및 제3 프레임(43)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2 프레임(42)이 회전함으로써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의 위치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의 c는 도 4의 b의 위치에서 제2 프레임(42)을 제3 각도(Φ3)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가 설치된 제2 프레임(42) 자체를 회전시킴으로서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의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부의 진단을 통해 치료광이 조사되는 위치 및 치료광이 조사되는 방향이 설정되면,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 가운데 보다 인접하여 위치하는 치료광 조사유닛를 해당 위치로 이동시켜 치료광을 조사할 수 있다. 나아가, 도 5에서는 하나의 치료광 조사유닛를 이용하여 하나의 치료광을 조사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복수의 치료광 조사유닛를 구비하므로 동일한 치료부위에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복수개의 치료광을 동시에 조사하여 치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광 치료장치(10)는 진단 및 치료 시스템(20) 및 환자 지지부(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진단 및 치료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제2 실시예의 제어부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 요소 및 대응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으로 갈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1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진단 및 치료 시스템(20)과 환자 지지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진단 및 치료 시스템(20)은 프레임(40) 및 프레임에 설치되는 진단부(100) 및 치료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환자 지지부(30)는 슬라이딩 및/또는 스위블링 가능한 베드 및 서포터(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10)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진단 및 치료 시스템(20)의 설치 및 동작 구조, 그리고 진단부(100) 및 치료부(200)의 구성을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의 A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서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의 B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10)의 프레임(40)은 환형 구조를 갖는 프레임 바디(44), 프레임의 일측 면을 형성하는 제1 회전 패널(45) 및 프레임의 타측 면을 형성하는 제2 회전 패널(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회전 패널(45) 및 제2 회전 패널(46)은 프레임 바디(44)의 양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임(40)의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1 회전 패널(45) 및 제2 회전 패널(46)은 별도의 구동 부재(미도시)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10)의 치료부(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치료광을 조사하는 두 개의 치료광 조사유닛(210, 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환자의 환부로 광을 조사하여 에너지를 전달함으로서 치료를 진행한다.
여기서,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은 제1 회전 패널(45)에 설치되며,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은 제2 회전 패널(46)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과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은 제1 회전 패널(45) 및 제2 회전 패널(46)이 회전함에 따라 위치를 이동하며 환자의 환부로 치료광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 패널(45) 및 제2 회전 패널(46)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은 독립적으로 위치를 변경하면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부(200)는 치료광 조사유닛(210, 220)으로부터 조사되는 치료광을 차단하는 빔 스토퍼(230, 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치료광 조사유닛에서 조사된 치료광은 환자를 투과하여 대향된 위치의 타 구성요소까지 전달되어 시스템의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치료광 조사유닛과 대향되는 위치에 빔 스토퍼를 더 구비하여, 치료광에 의해 타 구성요소가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빔 스토퍼(230)는 제1 회전 패널(45) 중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으로부터 180도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으로부터 조사되는 치료광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2 빔 스토퍼(240)는 제2 회전 패널(46) 중 원주 방향을 따라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으로부터 180도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으로부터 조사되는 치료광을 차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광을 조사하여 환자의 환부 이미지를 획득하여 환부의 위치 및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진단광 조사부(110) 및 진단광 검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진단광 조사부(110)는 2개의 진단광 조사유닛(111, 112)을 포함하고, 진단광 검출부(120)는 2개의 진단광 검출유닛(121, 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00) 또한 다양한 방향의 환부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진단광 조사유닛이 각각 제1 프레임과 제3 프레임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회전축 방향(환자의 키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 구조인 것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진단광 조사유닛(111, 112)이 환형을 이루는 프레임의 동일한 단면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2개의 진단광 조사유닛(111, 112)으로부터 조사되는 두 개의 진단광이 교차하는 각도를 크게 형성하는데 보다 유리하여, 환자의 환부의 이미지를 보다 다양하게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진단광이 환자의 수평 방향(lateral direction)으로 조사되므로 인체 구조를 고려할 경우 이미지 획득에 보다 유리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진단광 조사유닛(111) 및 제2 진단광 조사유닛(112)은 제1 회전 패널(45)에 설치된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진단광 검출유닛(121) 및 제2 진단광 검출유닛(122)은 제1 빔 스토퍼(23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진단광 조사유닛(111)과 제1 진단광 검출유닛(121), 그리고 제2 진단광 조사유닛(112)과 제2 진단광 검출유닛(122)은 각각 제1 회전 패널(45)의 원주 방향을 따라 180도 간격을 갖는 위치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진단광 조사유닛(111) 및 제2 진단광 조사유닛(112)은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의 너비 이상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진단광을 조사하므로, 상이한 방향의 환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각 진단광 조사유닛(111, 112) 및 각 진단광 검출유닛(121, 122)은 각각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1 빔 스토퍼(230)의 양측에 연장 가능한 레그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진단광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광 치료장치에서 두 진단광이 교차하면서 형성하는 각도는 60도 이상 110도 이하의 범위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환부 진단 및 3차원 영상 구성에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의 진단부 및 조사부의 동작 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6의 광 치료장치의 진단부가 동작하는 모습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10)의 진단부(100)는 고정된 위치에서 제1 진단광 조사유닛(111) 및 제2 진단광 조사유닛(112)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방향의 2개의 프로젝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 회전 패널(45)이 이동함에 따라 제1 진단광 조사유닛(111) 및 제2 진단광 조사유닛(112)이 위치를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다양한 방향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환부(T)의 3차원 영상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치료부(200)에 의해 치료광이 진행되는 동안 진단부를 통해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의 실시간 영상을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도 6에서 광 치료장치의 치료부가 동작하는 모습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2는 도 6에서 광 치료장치의 치료부가 동작하는 모습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부(200)는 두 개의 치료광 조사 유닛(210, 220)을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환부로 2개의 광을 동시에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은 제1 회전 패널(45)이 회전하여 조사 위치가 조절되고,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은 제2 회전 패널이 회전하여 조사 위치가 조절된다. 제1, 제2 치료광 조사유닛(210, 2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동일한 환부에 동시에 조사되어 치료 효과를 개선하고 치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치료광 조사유닛(210, 220)은 각각 상이한 위치에 있는 환부에 동시에 조사되어 치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제1 회전 패널(45) 및 제2 회전 패널(46)에 각각 설치되며, 독립적으로 치료광이 조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P)의 환부(T)에 다양한 위치에서 치료광의 조사가 요구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치료광 조사유닛이 치료광을 조사하는 동안 나머지 치료광 조사유닛이 다음 조사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치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부(200)는 제1 회전 패널(45) 및 제2 회전 패널(46)의 회전에 의해 위치 조절이 가능하더라도, 제1, 제2 치료광 조사유닛(210, 220) 및 제1, 제2 빔 스토퍼(230, 240) 자체의 사이즈에 의해 제1, 제2 치료광 조사유닛(210, 220)으로부터 조사되는 치료광 사이의 각도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프로토 장비를 구성하여 실험한 결과 두 치료광 조사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치료광 사이의 각도가 30도 이상 내지 150도 이하의 범위에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도 13은 도 6에서 광 치료장치의 각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치료장치(10)를 구성하는 진단 및 치료 시스템(20)의 각 구성요소 및 환자 지지부(30)는 제어부(300)에 의해 각각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 지지부(30)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 또는 스위블링 동작을 수행하여 환자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자세를 조정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40)의 제1, 제2 회전 패널(45, 46)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여 진단부(100) 및 치료부(200)의 위치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00)는 제1 회전 패널(45) 및 제2 회전 패널(46)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1 회전 패널(45)만을 회전시켜 진단부(100),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1 빔 스토퍼(230)의 위치만을 조절하거나, 제2 회전 패널(46)만을 회전시켜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 및 제2 빔 스토퍼(240)의 위치만을 조절하거나, 제1, 제2 회전 패널(45, 46)을 둘다 회전시켜 각 회전 패널에 설치된 진단부(100) 및 치료부(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위치를 동시에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00)는 진단부(1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은 물론 제1 진단광 조사유닛(111) 및 제2 진단광 조사유닛(112)을 구동시켜 환자의 환부로 조사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진단광 검출유닛(121) 및 제2 진단광 검출유닛(122)에서 검출되는 이미지 정보는 프로세서(400)로 전송되고, 프로세서(400)는 이러한 정보로부터 2차원 프로젝션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서로 다른 방향의 복수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00)는 설정된 치료 패턴에 따라 치료부의 치료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치료부(200)의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은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선택적으로 치료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치료광의 조사여부와 조사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치료광의 출력 및 조사시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각각의 치료광 조사유닛(210, 220)은 기 설정된 위치에서 환자(P)의 환부(T)로 정해진 용량(dosage)만큼의 치료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치료광 조사유닛(210, 220)이 제어되는 패턴은 진단부(100)에서 획득된 환부의 이미지를 기초로 프로세서(400)에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프로세서(400)에서 도출된 이미지 또는 타 진단 장비를 통해 이미 진단된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외부에서 입력된 내용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이러한 패턴을 근거로 치료부의 치료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제어부에 의한 광 치료장치의 구성요소의 제어 내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의 구성을 기초로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광 치료 장치의 경우 제어부는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을 구동하여 진단부 및 치료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 실시된 구조에 대해 각각 상응하도록 제어 내용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14는 도 6의 광 치료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의 제어 방법은 진단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0), 치료 패턴을 설정하는 단계(S20) 및 치료광을 조사하는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이미지 획득 단계(S10)는 제어부(300)가 진단부(100)를 구동하여 환자의 환부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진단부가 설치되는 제1 회전 패널(45)을 회전시켜 진단부의 제1, 제2 진단광 조사유닛(111, 112)을 적정한 위치로 배치한 후, 각각의 진단광 조사유닛으로부터 진단광을 조사하여 이로부터 환자의 환부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단계에서 제어부(300)는 진단광 조사 유닛(111, 112)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해당 방향의 2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진단부(100)가 진단광을 조사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안 제1 회전 패널(45)을 회전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진단광의 조사 방향을 변경하면서 다양한 방향의 이미지를 확보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프로세서(400)는 이러한 복수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환자의 환부의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획득된 환자의 환부 이미지는 환부의 위치 및 형상을 진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나아가 환부의 치료 패턴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치료 패턴 설정 단계(S20)는 치료광을 조사하여 치료를 수행하기에 앞서 치료광이 조사되는 환부의 위치, 각 위치별 치료광의 조사량 및 조사되는 순서 등의 패턴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진단 이미지 획득 단계(S10)를 통해 획득된 환자의 환부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로세서(400)가 자체적으로 치료 패턴을 결정하거나, 조작자가 상기 환부 이미지에 기초하여 패턴을 설정하고 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치료 패턴 설정 단계(S20)를 진단 이미지 획득 단계(S10) 이후에 진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단 이미지 획득 단계 이전에 별도의 진단 장비를 통해 치료 패턴을 미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치료 패턴이 결정되면, 치료광 조사 단계(S30)를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 제어부(300)는 결정된 치료 패턴에 따라 제1, 제2 회전 패널(45, 46)을 동작하여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의 위치를 제어하고, 각 조사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치료광의 출력 및 조사 시간 등을 제어하여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10)는 위치 및 치료광 특성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두 개의 치료광 조사유닛(210, 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본 단계를 보다 신속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단계의 구체적인 동작 내용은 아래의 예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도 14에서 치료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치료 패턴에 따른 치료광 조사 단계에서 주요 구성요소의 동작 내용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4 방향의 위치(P1, P2, P3, P4)에서 환자(P)의 환부(T)로 치료광을 조사하기로 치료 패턴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치료광이 조사되는 위치를 광이 조사되는 순서에 따라 제1 위치(P1), 제2 위치(P2), 제3 위치(P3) 및 제4 위치(P4)로 명명한다. 이때, 제어부는 치료광 조사 단계에서 조사 위치를 변경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최단시간 안에 본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이 교대로 치료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은 제1 위치(P1) 및 제3 위치(P3)에서 치료광을 조사하고,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은 제2 위치(P2) 및 제4 위치(P4)에서 치료광을 조사하도록 치료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치료광 조사유닛 자체의 크기로 인해 인접한 배치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이 교대로 치료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시간적으로 인접한 치료 위치들(예를 들어,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 제2 위치(P2)와 제3 위치(P3), 제3 위치(P3)와 제4 위치(P4)) 사이의 각도는 30도 이상 150 이하의 범위를 형성하도록 패턴의 순서를 형성할 수 있다(도 15 참조).
이러한 치료 패턴에 대응하는 치료광을 조사하는 단계는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 및 진단부(100)는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 및 진단부(100)의 초기 위치는 X1이고,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의 초기 위치는 X2일 수 있다(S31).
우선 제1 위치(P1)에 치료광을 조사하기 위해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을 제1 위치(P1)로 이동시킨 후,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을 통해 제1 용량(dosage)의 치료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은 다음 위치에 치료광을 조사하기 위해, 제2 위치(P2)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진단부(100)에서는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에 의해 치료가 이루어지는 환부의 실시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32).
한편, 제1 위치(P1)에서의 치료광 조사가 종료되면, 제2 위치(P2)에 위치한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을 통해 환부로 제2 용량의 치료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은 제2 위치(P2)에서의 치료가 종료되면 바로 제3 위치(P3)에서의 치료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제3 위치(P3)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진단부(100)에서는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에 의해 치료가 이루어지는 환부의 실시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33).
그리고, 제2 위치(P2)에서의 치료광 조사가 종료되면, 제3 위치(P3)에 위치한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을 통해 환부로 제3 용량의 치료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은 제3 위치에서의 치료가 종료되면 바로 제4 위치(P4)에서 치료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제4 위치(P4)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진단부(100)에서는 제1 치료광 조사유닛(210)에 의해 치료가 이루어지는 환부의 실시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34).
*제3 위치(P3)에서의 치료광 조사가 종료되면, 마지막 위치인 제4 위치(P4)에 위치한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이 제4 용량의 치료광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진단부(100)에서는 제2 치료광 조사유닛(220)에 의해 치료가 이루어지는 환부의 실시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35).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장치는 두 개의 치료광 조사유닛을 구비하여, 교대로 상이한 위치에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함으로서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전술한 광 치료장치의 치료 동작은 두 개의 치료광 조사유닛을 교대로 구동하는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부의 위치 및 필요한 치료 내용에 따라 두 개의 치료광 조사유닛을 동시에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어느 하나의 치료광 조사유닛만을 동작하여 치료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재된 사항 이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자가 위치하는 환자 지지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자의 환부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진단광 조사부 및 진단광 검출부를 포함하는 진단부;
    상기 프레임을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자의 환부로 치료광을 조사하는 두 개 이상의 치료광 조사유닛을 포함하는 치료부; 그리고,
    상기 진단부 및 상기 치료부의 동작 및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치료 조사유닛에서 조사된 각각의 치료광을 차단하는 제1 빔 스토퍼 및 제2 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빔 스토퍼 및 상기 제2 빔 스토퍼는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과 각각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은 양 측면을 형성하며 중심축으로 기준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패널 및 제2 회전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패널에는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1 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회전 패널에는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부는 제1 치료광 조사유닛 및 제2 치료광 조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은 치료광 조사 및 위치 이동 동작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이 각각 환자의 환부를 향해 치료광을 번갈아가며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이 환자의 환부로 치료광을 조사하는 동안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이 환자의 환부로 치료광을 조사하는 동안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치료광 조사유닛에서 환자의 환부로 조사되는 각각의 치료광 사이의 각도가 30도 이상 150도 이하의 범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광 조사부 및 상기 진단광 검출부는 상기 치료부에 의해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환자의 환부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 료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광 조사부와 상기 진단광 검출부는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일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광 조사부는 제1 진단광 조사유닛 및 제2 진단광 조사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진단광 검출부는 상기 제1 진단광 조사유닛과 대응되는 제1 진단광 검출유닛 및 상기 제2 진단광 조사유닛과 대응되는 제2 진단광 검출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단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진단광 조사유닛으로부터 환자의 환부로 조사되는 각각의 진단광 사이의 각도는 60도 이상 110도 이하의 범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단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진단광 조사유닛은 상기 제1 치료광 조사유닛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진단광 검출유닛 및 상기 제2 진단광 검출유닛은 상기 제1 빔 스토퍼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 패널 및 상기 제2 회전 패널을 각각 회전시켜 상기 진단부 또는 상기 치료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장치.
KR1020140111464A 2012-10-30 2014-08-26 더블 헤드 방식의 광 치료장치 KR101465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632 2012-10-30
KR20120121632 2012-10-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032A Division KR101465650B1 (ko) 2012-10-30 2013-10-30 더블 헤드 방식의 광 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002A true KR20140112002A (ko) 2014-09-22
KR101465651B1 KR101465651B1 (ko) 2014-12-10

Family

ID=508875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032A KR101465650B1 (ko) 2012-10-30 2013-10-30 더블 헤드 방식의 광 치료장치
KR1020140111464A KR101465651B1 (ko) 2012-10-30 2014-08-26 더블 헤드 방식의 광 치료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032A KR101465650B1 (ko) 2012-10-30 2013-10-30 더블 헤드 방식의 광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4656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512B1 (ko) * 2016-02-29 2017-11-10 주식회사 엔티로봇 유지 보수가 편리한 듀얼 헤드 타입의 방사선 치료장치
KR102068326B1 (ko) 2018-06-27 2020-01-20 한국원자력의학원 동물용 방사선 치료기
CN111298308A (zh) * 2020-04-15 2020-06-19 谷昌德 一种放射治疗用医疗设备
KR20230046738A (ko) * 2021-09-30 2023-04-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패턴화된 광자극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34071C (en) * 2001-08-24 2012-12-1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Radiation treatment apparatus
JP4859812B2 (ja) * 2007-11-01 2012-01-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放射線治療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650B1 (ko) 2014-11-27
KR20140056083A (ko) 2014-05-09
KR101465651B1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5450B2 (en) Radiation therapy apparatus and beam imaging method
US11369807B2 (en) Compact proton therapy systems and methods
JP4228018B2 (ja) 医療装置
KR101465651B1 (ko) 더블 헤드 방식의 광 치료장치
JP2008514325A (ja) 医用放射線治療装置
JP6654102B2 (ja) 粒子線治療システム
EP3646793B1 (en) Mobile imaging ring system
JP2006239403A (ja) イオンビーム治療装置及びそのベッド位置決め方法
WO2013060220A1 (zh) 4d立体定位放射治疗装置
US20110142196A1 (en) X-ray c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x-ray ct apparatus
US20150003577A1 (en) Method for positioning a body region of interest in the isocentre of a ct imaging system
WO2012026160A1 (ja) 放射線治療装置制御装置および放射線治療装置制御方法
JP2010104452A (ja) マルチリーフコリメータおよび放射線治療装置
WO2014069899A1 (ko) 더블 헤드 방식의 광 치료장치
KR101863062B1 (ko) 엑스선 ct 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JP2000176029A (ja) ビーム照射装置
JP2009195467A (ja) 粒子線治療シミュレータ装置
CN110812717A (zh) 一种全周球面立体定向放疗装置
KR20160090558A (ko) 예각사영 마커추적 장치
JP5078972B2 (ja) 放射線治療装置制御方法および放射線治療装置制御装置
JP7460426B2 (ja) X線ct装置
JP2004121406A (ja) 放射線治療装置
EP3727268A1 (en) Patient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CN215691126U (zh) 放疗系统
JPH10127793A (ja) 治療計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