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84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840A
KR20140111840A KR1020130026249A KR20130026249A KR20140111840A KR 20140111840 A KR20140111840 A KR 20140111840A KR 1020130026249 A KR1020130026249 A KR 1020130026249A KR 20130026249 A KR20130026249 A KR 20130026249A KR 20140111840 A KR20140111840 A KR 20140111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unit
display
driving unit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713B1 (ko
Inventor
구본석
양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713B1/ko
Priority to US13/921,936 priority patent/US9542881B2/en
Publication of KR2014011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840A/ko
Priority to US15/402,089 priority patent/US981206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이미지(image)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며 상기 표시부로부터 아웃 신호를 받는 제1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이웃하며,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어 상기 표시부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커버하며, 상기 제1 패드와 접촉해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구동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아웃 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최근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가 주목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이미지(image)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의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에는 표시 패널의 종류에 따라 표시 패널을 제조한 일 제조사의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되어 있는데, 타 제조사에서 일 제조사에서 제조한 표시 장치를 구입하고, 표시 패널로부터 커버를 분리한 후, 표시 패널에 적용된 일 제조사의 다양한 기술들을 분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시 패널 제조사의 기술 노출이 억제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미지(image)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며 상기 표시부로부터 아웃 신호를 받는 제1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이웃하며,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어 상기 표시부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커버하며, 상기 제1 패드와 접촉해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구동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아웃 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제2 패드를 포함하는 구동 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커버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내부 라인, 상기 내부 라인으로부터 상기 제1 패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패드와 접촉하는 제1 범프, 및 상기 내부 라인으로부터 상기 제2 패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패드와 접촉하는 제2 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패드와 연결되어 배면에 위치하는 제3 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과 마주하며, 상기 구동부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서브 커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과 마주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서브 커버와 이격된 제2 서브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제2 서브 커버 내부에 위치하는 제2 내부 라인, 상기 제2 내부 라인으로부터 상기 제3 패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서브 커버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3 패드와 접촉하는 제3 범프, 상기 제2 내부 라인으로부터 상기 제1 서브 커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서브 커버 외부로 돌출된 제4 범프,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제4 범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서브 커버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4 범프와 접촉하는 제5 범프, 및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제1 패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서브 커버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패드와 접촉하는 제6 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 유닛을 통해 상기 아웃 신호가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 유닛을 통해 상기 아웃 신호가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구동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일부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표시 패널 제조사의 기술 노출이 억제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 구동부, 구동 보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 구동부, 구동 보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 구동부(200), 구동 보드(300) 및 커버(4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이미지(image)를 표시하며, 기판(110),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부(120), 봉지부(130) 및 제1 패드(140)를 포함한다.
기판(110)은 글라스(glass), 수지(resin) 또는 금속 등을 포함하며, 광 투과성, 광 반사성, 광 흡수성 또는 광 반투과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기판(110) 상에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부(120)가 위치하며, 기판(110)은 표시부(120)를 사이에 두고 봉지부(130)와 함께 표시부(120)를 밀봉한다. 기판(110) 및 박막 봉지부(130)는 표시부(120)를 외부의 간섭으로부터 보호한다. 기판(110)은 가요성(flexibility)를 가질 수 있으며, 기판(110)이 가요성을 가지는 동시에, 봉지부(130)가 박막으로 형성될 경우, 전체적인 표시 패널(100)이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표시부(120)는 기판(110) 상에 위치하며,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함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해 이미지(image)를 표시한다. 표시부(120)의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및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유기 발광 소자와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 발광 소자는 구동 회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표시부(120)의 구동 회로는 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구동부(200)로부터 구동 드라이버(GD)를 통한 구동 신호를 공급 받을 수 있으며, 구동부(200)로부터 공급된 구동 신호에 의해 표시부(120)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드라이버(GD)는 집적회로 칩(IC chip)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표시부(120)를 형성하는 공정과 함께 형성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제1 패드(140)로 아웃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아웃 신호란 표시부(120)가 이미지를 표시할 때 이용되는 구동 신호와 관련된 신호일 수 있으며, 이 아웃 신호에 관련된 데이터가 구동부(200)에 저장될 수 있다.
봉지부(130)는 기판(110)과 함께 표시부(120)를 밀봉하며, 하나 이상의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30) 상에는 터치 센서가 형성되거나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패드(140)는 표시부(120)와 이웃하여 기판(110)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표시부(12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패드(140)는 표시부(120)로부터 아웃 신호를 인가 받는다. 제1 패드(140)는 표시부(120)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표시부(120)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표시부(120)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으로서 액정, 전자 잉크 또는 플라즈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20)가 표시 수단으로서 액정, 전자 잉크 또는 플라즈마 등을 포함할 경우, 표시 수단의 종류에 따라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구성들이 표시 패널에 포함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표시 패널(100)과 연결된 구동 보드(300)에 장착되어 있으며, 집적회로 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동부(200)는 표시 패널(100)과 이웃하고 있으며, 구동 보드(300)를 통해 표시부(120)와 연결되어 표시부(120)로 표시부(120)의 구동을 위한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구동부(200)는 구동 보드(300)에 포함된 제2 패드(310)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부(200)는 제2 패드(310)로부터 표시부(120)의 아웃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으며, 표시부(120)의 아웃 신호가 구동부(200)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 구동부(200)는 구동 신호를 표시부(120)로 공급하지 않거나 구동부(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구동 보드(300)는 구동부(200)가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0)과 이웃하고 있다. 구동 보드(300)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를 이용해 표시 패널(100)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구동 보드(300)는 구동부(200)와 연결된 제2 패드(310)를 포함한다. 제2 패드(310)는 커버(400)의 연결 유닛(410)을 통해 표시 패널(100)의 제1 패드(140)와 연결되어 있다.
커버(400)는 표시 패널(100)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표시 패널(100), 구동부(200) 및 구동 보드(300)를 커버(cover)하고 있다. 커버(400)는 외부의 간섭으로부터 표시 패널(100), 구동부(200) 및 구동 보드(300)를 보호하고 있다. 커버(400)는 글라스(glass), 수지(resin) 또는 금속 등을 포함하며, 광 투과성, 광 반사성, 광 흡수성 또는 광 반투과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커버(400)는 연결 유닛(410)을 포함한다.
연결 유닛(410)은 제1 패드(140)와 접촉해 제1 패드(140)와 구동부(200) 사이를 연결하여 표시부(120)로부터 제1 패드(140)로 인가된 아웃 신호를 구동부(200)로 전달한다. 연결 유닛(410)은 금속 등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내부 라인(411), 제1 범프(412) 및 제2 범프(413)를 포함한다.
제1 내부 라인(411)은 커버(400)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1 패드(140) 및 제2 패드(310) 각각에 대응하도록 커버(400)의 내부에서 연장되어 있다.
제1 범프(412)는 제1 내부 라인(411)의 일 단부로부터 제1 패드(140)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범프(412)는 커버(400)의 내부로부터 커버(4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범프(412)는 커버(4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1 패드(140)와 접촉하고 있다.
제2 범프(413)는 제1 내부 라인(411)의 타 단부로부터 제2 패드(310)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범프(413)는 커버(400)의 내부로부터 커버(4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2 범프(413)는 커버(4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2 패드(310)와 접촉하고 있다.
제1 내부 라인(411), 제1 범프(412), 제2 범프(41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범프(412) 및 제2 범프(413) 각각이 제1 패드(140) 및 제2 패드(310) 각각과 접촉함으로써, 표시부(120)로부터 제1 패드(140)로 인가된 아웃 신호는 제1 패드(140)로부터 제1 범프(412), 제1 내부 라인(411) 및 제2 범프(413)를 거쳐 제2 패드(310)로 인가된다. 표시부(120)로부터 제2 패드(310)로 인가된 아웃 신호는 제2 패드(310)와 연결된 구동부(200)로 전달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0)를 표시 패널(100) 및 구동부(200) 각각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연결 유닛(410)의 제1 범프(412) 및 제2 범프(413) 각각이 제1 패드(140) 및 제2 패드(310) 각각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표시부(120)로부터 제1 패드(140)로 인가된 아웃 신호가 제2 패드(310)로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표시부(120)로부터 구동부(200)까지 아웃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다. 즉, 커버(400)가 표시 패널(100)로부터 분리되면, 연결 유닛(410)을 통해 표시부(120)로부터의 아웃 신호가 구동부(200)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표시부(120)로부터 구동부(200)로 아웃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구동부(200)는 표시 패널(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표시부(120)로 공급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커버(400)를 분리한 일 사용자가 표시 패널(100)에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구동부(200)가 표시 패널(100)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지 않아 표시 패널(100) 자체가 구동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 패널(100)의 분석을 위해 표시 패널(100)로부터 커버(400)를 분리한 일 사용자가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표시 패널(100) 제조사의 다양한 기술을 분석하지 못한다.
또한, 표시부(120)로부터 구동부(200)로 아웃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구동부(200)는 구동부(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로 인해, 커버(400)를 분리한 일 사용자가 구동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구동부(200)에 어떠한 데이터도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구동부(200)의 분석을 위해 표시 패널(100)로부터 커버(400)를 분리한 일 사용자가 구동부(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지 못한다.
즉, 표시 패널(100) 제조사의 기술 노출이 억제된 표시 장치(1000)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커버(400)를 표시 패널(100)로부터 분리하면, 표시부(120)로부터 연결 유닛(410)을 통해 아웃 신호가 구동부(200)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아웃 신호가 구동부(200)로 전달되지 않은 상황을 구동부(200)가 저장할 경우, 커버(400)를 표시 패널(100)로부터 분리했는지 여부를 구동부(2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0)가 분해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장치(1000)가 제공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2)는 표시 패널(100), 구동부(200), 및 커버(4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이미지(image)를 표시하며, 기판(110),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부(120), 봉지부(130), 제1 패드(140), 및 제3 패드(150)를 포함한다.
제1 패드(140)는 표시부(120)와 이웃하여 기판(110)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표시부(12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패드(140)는 표시부(120)로부터 아웃 신호를 인가 받는다. 제1 패드(140)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다.
제3 패드(150)는 표시부(120) 기판(110)을 사이에 두고 제1 패드(140)와 대향하고 있으며, 기판(110)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제3 패드(150)는 기판(110)의 내부를 통하여 제1 패드(140)와 연결되어 있다. 제3 패드(150)는 제1 패드(140)를 통해 아웃 신호를 인가 받는다. 제3 패드(150)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위치하고 있다.
구동부(200)는 커버(4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연결 유닛(410)을 통해 제1 패드(140) 및 제3 패드(150) 각각과 연결되어 있다. 구동부(200)는 연결 유닛(410)을 통해 제1 패드(140) 및 제3 패드(150) 각각으로부터 아웃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으며, 표시부(120)의 아웃 신호가 구동부(200)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 구동부(200)는 구동 신호를 표시부(120)로 공급하지 않거나 구동부(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커버(400)는 표시 패널(100)을 커버하고 있으며, 제1 서브 커버(420), 제2 서브 커버(430), 및 연결 유닛(410)을 포함한다.
제1 서브 커버(420)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과 마주하며, 그 내부에는 구동부(200)가 위치하고 있다.
제2 서브 커버(430)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과 마주하고 있다. 제2 서브 커버(430)는 표시 패널(100)을 사이에 두고 제1 서브 커버(420)와 대향하고 있다.
제2 서브 커버(430) 및 제1 서브 커버(420)는 외부의 간섭으로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 유닛(410)은 제1 패드(140) 및 제3 패드(150) 각각과 접촉해 제1 패드(140) 및 제3 패드(150) 각각과 구동부(200) 사이를 연결하여 표시부(120)로부터 제1 패드(140) 및 제3 패드(150) 각각으로 인가된 아웃 신호를 구동부(200)로 전달한다. 연결 유닛(410)은 금속 등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내부 라인(415), 제3 범프(416), 제4 범프(417), 제5 범프(418) 및 제6 범프(419)를 포함한다.
제2 내부 라인(415)은 제2 서브 커버(430)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3 패드(150) 및 제5 범프(418) 각각에 대응하도록 제2 서브 커버(430)의 내부에서 연장되어 있다.
제3 범프(416)는 제2 내부 라인(415)의 일 단부로부터 제3 패드(150)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범프(416)는 제2 서브 커버(430)의 내부로부터 제2 서브 커버(43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3 범프(416)는 제2 서브 커버(43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3 패드(150)와 접촉하고 있다.
제4 범프(417)는 제2 내부 라인(415)의 타 단부로부터 제5 범프(418)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4 범프(417)는 제2 서브 커버(430)의 내부로부터 제2 서브 커버(43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4 범프(417)는 제2 서브 커버(43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5 범프(418)와 접촉하고 있다.
제5 범프(418)는 제1 서브 커버(420)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부(200)와 연결되어 구동부(200)로부터 제4 범프(417)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5 범프(418)는 제1 서브 커버(420)의 내부로부터 제1 서브 커버(4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5 범프(418)는 제1 서브 커버(4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4 범프(417)와 접촉하고 있다.
제2 내부 라인(415), 제3 범프(416), 제4 범프(41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범프(416) 및 제4 범프(417) 각각이 제3 패드(150) 및 제5 범프(418) 각각과 접촉함으로써, 표시부(120)로부터 제1 패드(140)를 거쳐 제3 패드(150)로 인가된 아웃 신호는 제3 패드(150)로부터 제3 범프(416), 제2 내부 라인(415), 제4 범프(417), 및 제5 범프(418)를 거쳐 구동부(200)로 인가된다.
제6 범프(419)는 제1 서브 커버(420)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부(200)로부터 제1 패드(140)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6 범프(419)는 제1 서브 커버(420)의 내부로부터 제1 서브 커버(4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6 범프(419)는 제1 서브 커버(4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1 패드(140)와 접촉하여 구동부(200)와 제1 패드(140)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제6 범프(419)가 구동부(200)와 연결되어 제1 패드(140)와 접촉함으로써, 표시부(120)로부터 제1 패드(140)로 인가된 아웃 신호는 제1 패드(140)로부터 제6 범프(419)를 거쳐 구동부(200)로 인가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효과를 설명한다.
이하, 제1 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적인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하며, 설명이 생략된 부분은 제1 실시예에 따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커버(420)를 표시 패널(100)로부터 이격시키면, 연결 유닛(410)의 제6 범프(419)가 제1 패드(14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표시부(120)로부터 제1 패드(140)로 인가된 아웃 신호가 구동부(200)로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표시부(120)로부터 구동부(200)까지 아웃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다. 즉, 커버(400)가 표시 패널(100)로부터 분리되면, 연결 유닛(410)을 통해 표시부(120)로부터의 아웃 신호가 구동부(200)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서브 커버(430)를 표시 패널(100)로부터 이격시키면, 연결 유닛(410)의 제3 범프(416)가 제3 패드(15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표시부(120)로부터 제1 패드(140)를 거쳐 제3 패드(150)로 인가된 아웃 신호가 제3 범프(416), 제2 내부 라인(415), 제4 범프(417) 및 제5 범프(418)를 거쳐 구동부(200)로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표시부(120)로부터 구동부(200)까지 아웃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다. 즉, 커버(400)가 표시 패널(100)로부터 분리되면, 연결 유닛(410)을 통해 표시부(120)로부터의 아웃 신호가 구동부(200)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표시부(120)로부터 구동부(200)로 아웃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구동부(200)는 표시 패널(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표시부(120)로 공급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1 서브 커버(420) 또는 제2 서브 커버(430)를 분리한 일 사용자가 표시 패널(100)에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구동부(200)가 표시 패널(100)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지 않아 표시 패널(100) 자체가 구동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 패널(100)의 분석을 위해 표시 패널(100)로부터 제1 서브 커버(420) 또는 제2 서브 커버(430)를 분리한 일 사용자가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표시 패널(100) 제조사의 다양한 기술을 분석하지 못한다.
또한, 표시부(120)로부터 구동부(200)로 아웃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구동부(200)는 구동부(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로 인해, 제1 서브 커버(420) 또는 제2 서브 커버(430)를 표시 패널(100)로부터 분리한 일 사용자가 구동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구동부(200)에 어떠한 데이터도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구동부(200)의 분석을 위해 표시 패널(100)로부터 제1 서브 커버(420) 또는 제2 서브 커버(430)를 분리한 일 사용자가 구동부(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지 못한다.
즉, 표시 패널(100) 제조사의 기술 노출이 억제된 표시 장치(1002)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2)는 제1 서브 커버(420) 또는 제2 서브 커버(430)를 표시 패널(100)로부터 분리하면, 표시부(120)로부터 연결 유닛(410)을 통해 아웃 신호가 구동부(200)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아웃 신호가 구동부(200)로 전달되지 않은 상황을 구동부(200)가 저장할 경우, 커버(400)를 표시 패널(100)로부터 분리했는지 여부를 구동부(2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2)가 분해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장치(1002)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표시부(120), 제1 패드(140), 표시 패널(100), 구동부(200), 커버(400)

Claims (6)

  1. 이미지(image)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며 상기 표시부로부터 아웃 신호를 받는 제1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이웃하며,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어 상기 표시부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커버하며, 상기 제1 패드와 접촉해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구동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아웃 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커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구동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제2 패드를 포함하는 구동 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커버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내부 라인;
    상기 내부 라인으로부터 상기 제1 패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패드와 접촉하는 제1 범프; 및
    상기 내부 라인으로부터 상기 제2 패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패드와 접촉하는 제2 범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패드와 연결되어 배면에 위치하는 제3 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과 마주하며, 상기 구동부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서브 커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과 마주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서브 커버와 이격된 제2 서브 커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제2 서브 커버 내부에 위치하는 제2 내부 라인;
    상기 제2 내부 라인으로부터 상기 제3 패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서브 커버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3 패드와 접촉하는 제3 범프;
    상기 제2 내부 라인으로부터 상기 제1 서브 커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서브 커버 외부로 돌출된 제4 범프;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제4 범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서브 커버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4 범프와 접촉하는 제5 범프; 및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제1 패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서브 커버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패드와 접촉하는 제6 범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 유닛을 통해 상기 아웃 신호가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공급하지 않는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 유닛을 통해 상기 아웃 신호가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구동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표시부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30026249A 2013-03-12 2013-03-12 표시 장치 KR101998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249A KR101998713B1 (ko) 2013-03-12 2013-03-12 표시 장치
US13/921,936 US9542881B2 (en) 2013-03-12 2013-06-19 Display device
US15/402,089 US9812060B2 (en) 2013-03-12 2017-01-0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249A KR101998713B1 (ko) 2013-03-12 2013-03-12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840A true KR20140111840A (ko) 2014-09-22
KR101998713B1 KR101998713B1 (ko) 2019-07-11

Family

ID=5152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249A KR101998713B1 (ko) 2013-03-12 2013-03-1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542881B2 (ko)
KR (1) KR101998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3166B (zh) * 2018-07-06 2021-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板组件、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5788A (ko) * 2004-09-17 2006-03-2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98430A (ko) * 2006-03-30 2008-11-0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장치, 관리 방법 및 관리 프로그램
KR20120084537A (ko) * 2011-01-20 2012-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안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2199A (en) * 1993-01-27 1997-01-07 Sharp Kabushiki Kaisha Assembly structure of a flat type device including a panel having electrode terminals disposed on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3883641B2 (ja) * 1997-03-27 2007-02-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コンタクト構造およ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TW535287B (en) * 2001-05-31 2003-06-01 Fujitsu Display Tec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drive IC mounted on a flexible board directly connected to a liquid crystal panel
JP3778176B2 (ja) * 2002-05-28 2006-05-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40044237A (ko) 2002-11-20 200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기기 세트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
JP2006309028A (ja) * 2005-04-28 2006-11-09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70003016A (ko) 2005-06-30 2007-01-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KR20100041165A (ko) * 2008-10-13 201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멀티 표시 장치
US9134867B2 (en) * 2010-12-09 2015-09-15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ouch pa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5788A (ko) * 2004-09-17 2006-03-2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98430A (ko) * 2006-03-30 2008-11-0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장치, 관리 방법 및 관리 프로그램
KR20120084537A (ko) * 2011-01-20 2012-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안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66993A1 (en) 2014-09-18
US9812060B2 (en) 2017-11-07
US20170116913A1 (en) 2017-04-27
US9542881B2 (en) 2017-01-10
KR101998713B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8630B (zh) 具有凹槽顯示器層之電子器件
US8873015B2 (en) Display device and timepiece comprising a wiring board layered on a back surface of a back substrate
KR102274576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US9572248B2 (en) Display device
KR102663905B1 (ko)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83737B1 (ko) 표시 장치
US918583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120571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WO2019165889A1 (zh) Lcd显示器件及电子设备
US20150098197A1 (en) Electronic device
CN111741599A (zh) 电路板和制造该电路板的方法
KR20140131741A (ko) 표시 장치
WO2021022405A1 (zh)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制造方法
EP3825988A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998713B1 (ko) 표시 장치
KR20170003846A (ko) 모바일 단말기
KR20150004173A (ko) 인쇄회로기판
KR20200032792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27145A (ko)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KR20150010161A (ko)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4178616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取付構造
KR20140095817A (ko) 표시 장치
KR102343283B1 (ko) 표시 장치
KR101916200B1 (ko)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JP200909862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