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81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817A
KR20140095817A KR1020130008681A KR20130008681A KR20140095817A KR 20140095817 A KR20140095817 A KR 20140095817A KR 1020130008681 A KR1020130008681 A KR 1020130008681A KR 20130008681 A KR20130008681 A KR 20130008681A KR 20140095817 A KR20140095817 A KR 20140095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ircuit
circuit board
display panel
display area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793B1 (ko
Inventor
한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8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7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전면에 영상을 구현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제공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되어 상기 화소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배선, 각각의 상기 배선으로부터 신장되며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 측에 구비된 복수의 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패드와 접촉되며 상기 복수의 패드를 커버하는 집적 회로 기판과, 상기 일 측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집적 회로 기판과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의 상기 집적 회로 기판과 대응되는 영역에 제공된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집적 회로 기판이 제공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배면에 접촉되도록 굽어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칩 온 글래스, 및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장치의 경량 박형화를 위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구조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각종 전기적 신호에 의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시각적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하였고, 이에 부응하여 경량화, 박형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표시 장치(display device)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OELD) 등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가 시장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저가화, 대형화 및 고성능화를 추진함에 따라 작은 영역 안에 갈수록 더 많은 화소들이 자리잡아야 한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표시 장치 내에서 개개의 화소들을 제어하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의 리드 피치가 점점 미세화 되어감에 따라 패키징 방법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표시 장치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패키징 방법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 및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등이 있다.
이 중 칩 온 글래스는 유리로 된 표시 패널에 집적 회로 기판을 장착하는 방식으로, 유리로 된 표시 패널에 집적 회로 기판을 이방성 전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으로 접착하는 접착 방법 중의 하나이다. 상기 칩 온 글래스는 고해상도와 많은 수의 접촉점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적용되는 기술로, 초박형,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어 접합하는 부분의 미세 피치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며 경박단소와 작업성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패키징 기술이다.
상기 칩 온 글래스는 상기 유리로 된 표시 패널뿐만 아니라, 플렉서블 표시 패널에도 적용 가능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내에 상기 집적 회로 기판을 직접 실장하고자 할 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칩 온 글래스를 이용하여 집적 회로 기판을 플렉서블 표시 패널 전면의 비표시 영역에 실장시에, 상기 집적 회로 기판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전면에서 볼 때 상기 비표시 영역의 노출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전면에 영상을 구현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제공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되어 상기 화소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배선, 각각의 상기 배선으로부터 신장되며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 측에 구비된 복수의 패드, 상기 복수의 패드와 접촉되며 상기 복수의 패드를 커버하는 집적 회로 기판, 및 상기 일 측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집적 회로 기판과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의 상기 집적 회로 기판과 대응되는 영역에 제공된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적 회로 기판이 제공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배면에 접촉되도록 굽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적 회로 기판은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에 실장된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는 유리, 금속 재질, 고분자, 탄성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은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게이트 배선과 연결된 게이트 패드, 및 상기 데이터 배선과 연결된 데이터 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보강 부재가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의 집적 회로 기판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공될 경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구부러짐에 따라 상기 집적 회로 기판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적 회로 기판이 실장된 비표시 영역이 상기 배면과 접촉되게 굽어지면서, 표시 장치를 전면에서 볼 때에 상기 비표시 영역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해 참조된 도면은 구성요소의 연결형태 및 배치가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특히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구조 및 형상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 구성요소의 스케일을 과장하거나 축소하여 표현하였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에서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을 전면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상부", 및 "하부"라는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입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서로 바뀔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HS)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의 전면에 제공되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를 보호하는 윈도우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의 전면 및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에는 편광판(미도시)이 더 부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의 배면으로부터 전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하부 기판(LSB), 영상 표시층(IDL), 및 상부 기판(USB)을 포함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에서 상기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에 제공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는 상기 하부 기판(LSB)의 복수의 배선, 복수의 패드, 박막 트랜지스터, 화소 전극, 영상 표시층(IDL), 및 상부 기판(USB)의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절연되거나 접촉되어 연결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층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화소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집합으로 전체 영상이 구현된다.
상기 하부 기판(LSB)은 복수의 배선, 및 복수의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배선은 제1 방향으로 제공된 복수의 게이트 배선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제공된 복수의 데이터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드는 상기 게이트 배선에서 연장된 게이트 패드, 및 상기 데이터 배선에서 연장된 데이터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기판(LSB)은, 집적 회로 기판(ICB) 및 인쇄 회로 기판(PCB)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 기판(LSB)의 배면의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과 대응되는 영역에 보강 부재(STF)가 제공된다.
상기 영상 표시층(IDL)은 상기 표시 장치가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영상 표시층은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기판(USB)은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가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인 경우, 상기 상부 기판(USB)은 봉지막 또는 봉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복수의 패드, 집적 회로 기판(ICB), 인쇄 회로 기판(PCB), 및 보강 부재(STF)를 포함한다.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제공된다.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의 배면에는 금속 배선이 제공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일 측의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구동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소자들(미도시)이 실장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은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에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에 인가된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복수의 패드, 상기 복수의 배선,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등으로 전달되어, 상기 화소에 영상 신호가 제공된다.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미도시)을 사용하여 상기 하부 기판(LSB)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은 접착 수지에 도전 입자를 분산시켜 만든 필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전 입자는 수㎛ 내지 수십㎛의 금이나 니켈 등의 금속 입자를 이용하고, 상기 접착 수지는 접속시 발생하는 응력완화 및 재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교성 고분자 재료를 분산한 열 경화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STF)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의 배면에 제공된다. 특히,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과 대응되는 영역에 제공된다. 상기 보강 부재(STF)는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의 형상 및 면적과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보강 부재(STF)는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STF)는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의 면적보다 더 작거나 더 큰 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더 작은 면적으로 제공될 경우, 상기 보강 부재(STF)는 복수 개의 분리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에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됨과 동시에 이외의 영역까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STF)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STF)는 유리, 금속 재질, 고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STF)는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STF)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이 굽으면서,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에 굽힘 응력에 의한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보강 부재(STF)의 위치, 면적, 형상, 개수가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이 굽힘 응력에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면 어떤 위치, 면적, 형상, 개수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STF)가 열이 발산되는 재료로 제공될 경우,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에서 발생하는 열이 발산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의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 표시층(IDL)은 하부 기판(LSB)에서 나오는 신호에 맞게 빛을 방출하여 영상을 표현한다.
상기 표시 장치가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각각의 상기 화소에 대응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발광하는 화소는 각각 적색 화소 영역, 녹색 화소 영역, 및 청색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가 된다. 여기서, 하나의 적색 화소, 하나의 녹색 화소, 및 하나의 청색 화소가 하나의 화소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각 화소의 방출 컬러, 즉 방출 파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색, 녹색, 및 청색 이외에도 옐로우나 마젠타와 같은 추가 색상을 방출하거나, 하나의 화소가 백색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층은 단일층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다수의 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층은 상기 화소 전극(미도시)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공 주입층, 상기 정공 수송층,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공통 전극(미도시)은 캐소드이거나 애노드일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미도시) 상에는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일 경우, 상기 공통 전극을 커버하는 봉지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봉지막은 유기물이나, 유기물과 무기물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막 상부에는 실란트를 이용하여 보호캡(미도시)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은 상기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위해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상기 복수의 패드,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이 실장된 영역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의 배면과 접촉되도록 굽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강 부재(STF)의 배면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의 배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의 비표시 영역(NDA)이 굽어 제공될 경우 전면에서 볼 때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표시 영역(DA)이 더 확장되어 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를 굽히지 않고 상기 비표시 영역(NDA)를 굽히기 때문에,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상기 직접 회로 기판(ICB)를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 내에 실장함으로서, 상기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방식보다 미세 피치 대응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에 비해 유연성이 낮기 때문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을 굽힐 때에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까지 굽혀질 수 있고,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 부재(STF)를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에 대응되도록 제공함으로써, 상기 집적 회로가 굽힘 응력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거나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STF)가 열이 발산되는 재료로 제공될 경우, 상기 집적 회로 기판(ICB)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열에 의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FDP)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FDP: 플렉서블 표시 패널 USB: 상부 기판
LSB: 하부 기판 IDL: 영상 표시층
ICB: 집적 회로 기판 PCB: 인쇄 회로 기판
STF: 보강 부재

Claims (4)

  1. 전면에 영상을 구현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제공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되어 상기 화소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배선;
    각각의 상기 배선으로부터 신장되며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 측에 구비된 복수의 패드;
    상기 복수의 패드와 접촉되며 상기 복수의 패드를 커버하는 집적 회로 기판;
    상기 일 측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집적 회로 기판과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의 상기 집적 회로 기판과 대응되는 영역에 제공된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집적 회로 기판이 제공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배면에 접촉되도록 굽은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 기판은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실장된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유리, 금속 재질, 고분자, 탄성 부재 등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게이트 배선과 연결된 게이트 패드, 및 상기 데이터 배선과 연결된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30008681A 2013-01-25 2013-01-25 표시 장치 KR102113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681A KR102113793B1 (ko) 2013-01-25 2013-01-25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681A KR102113793B1 (ko) 2013-01-25 2013-01-25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817A true KR20140095817A (ko) 2014-08-04
KR102113793B1 KR102113793B1 (ko) 2020-05-22

Family

ID=5174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681A KR102113793B1 (ko) 2013-01-25 2013-01-2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7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24878A1 (de) 2014-07-28 2016-01-28 Hyundai Motor Company Positionsausrich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Inspektionsverfahren verwendend selbige
JP2019500647A (ja) * 2015-12-16 2019-01-10 昆山工研院新型平板顕示技術中心有限公司Kunshan New Flat Panel Display Technology Center Co., Ltd. フレームレス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67591A (ko) * 2019-11-29 2021-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397U (ja) * 1992-11-30 1994-07-08 ミノルタカメラ株式会社 電気部品実装装置
US5436744A (en) * 1993-09-03 1995-07-25 Motorola Inc.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ntegrated driver circuit and display electrodes formed on opposite sides of folded substrate
KR20110092063A (ko) * 2010-02-08 2011-08-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98471A (ko) * 2011-02-28 2012-09-05 애플 인크. 보더들을 최소화한 디스플레이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397U (ja) * 1992-11-30 1994-07-08 ミノルタカメラ株式会社 電気部品実装装置
US5436744A (en) * 1993-09-03 1995-07-25 Motorola Inc.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ntegrated driver circuit and display electrodes formed on opposite sides of folded substrate
KR20110092063A (ko) * 2010-02-08 2011-08-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98471A (ko) * 2011-02-28 2012-09-05 애플 인크. 보더들을 최소화한 디스플레이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24878A1 (de) 2014-07-28 2016-01-28 Hyundai Motor Company Positionsausrich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Inspektionsverfahren verwendend selbige
JP2019500647A (ja) * 2015-12-16 2019-01-10 昆山工研院新型平板顕示技術中心有限公司Kunshan New Flat Panel Display Technology Center Co., Ltd. フレームレス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482799B2 (en) 2015-12-16 2019-11-19 Kunshan New Flat Panel Display Technology Center Co., Ltd Rimless display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10067591A (ko) * 2019-11-29 2021-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793B1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1839B1 (ko) 표시 장치
US11742358B2 (en) Display panel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7683471B2 (en)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device, film, and module
KR20180070783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446465B2 (en) Chip-on-film pack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20085000A1 (en) Light-emitting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20230207743A1 (en) Micro led package and display module comprising same
KR20160118416A (ko) 표시 장치
KR101951366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연성 회로기판의 본딩방법
US1169499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13793B1 (ko) 표시 장치
CN113129736B (zh) 显示设备
KR102396021B1 (ko) 구동칩이 구비된 인쇄 회로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90079086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11668258A (zh) 显示装置
KR102433358B1 (ko) 표시 장치
US20220005915A1 (en) Display device
KR102067965B1 (ko) 연성인쇄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14011700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62274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080075282A (ko) 회로 필름과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US9377641B2 (en) Tape package and display panel module having the same
US20240098894A1 (en) Display device
US20210376048A1 (en) Display device
KR102427764B1 (ko) 표시장치용 구동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