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491A -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 - Google Patents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491A
KR20140111491A KR1020130025709A KR20130025709A KR20140111491A KR 20140111491 A KR20140111491 A KR 20140111491A KR 1020130025709 A KR1020130025709 A KR 1020130025709A KR 20130025709 A KR20130025709 A KR 20130025709A KR 20140111491 A KR20140111491 A KR 20140111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oncrete
girder
composite
st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우현
노경범
Original Assignee
우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1491A/ko
Publication of KR20140111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거더의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의 하단부와 복부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 폭 및 두께로 콘크리트 합성보강판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의 하면까지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 및 합성하며,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의 하면에 강재다이아프램 보강지지판을 설치함으로써, 강재거더 거동시 강재와 콘크리트와의 계면부에서 들뜸을 방지하고, 수분침투로 인한 강재의 부식과 콘크리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는 강재거더의 부모멘트구간의 지점부 하부플랜지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합성 부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더의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의 하단부와 복부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 폭 및 두께로 콘크리트 합성보강판이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의 하면까지 고강도 콘크리트가 타설 및 합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Steel girder-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본 발명은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재거더의 부모멘트구간의 하부플랜지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합성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재거더에서 부모멘트구간의 지점부 하부플랜지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 및 합성하여 부모멘트구간의 하부플랜지에서 압축저항력을 증대시킴에 있어, 종래의 기술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모멘트구간의 내측지점부에 있는 강재다이아프램을 기준으로 좌우로 하부플랜지의 일정구간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이 경우 부모멘트구간의 하부플랜지에 합성되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전체적으로 일체화되지 않고 부모멘트구간의 지점부 다이아프램에 의해 좌우 쪽으로 분리되어, 지점부 다이아프램에 부착된 전단연결재에 의해 일체로 합성 부착되며, 부모멘트구간의 복부와의 합성부착도 전단연결재에 의해서만 합성 부착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강재다이아프램과 복부에 합성 부착되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강재와의 계면부에서 들뜸이 발생하여 강재거더의 내부에서 결로 등의 현상에 의해 수분이 계면부의 들뜬 부분에 침투하여 강재의 부식과 콘크리트와 강재와의 합성 부착을 저하시킬 우려가 항시 상존하고 있다.
또한, 부모멘트구간의 하부플랜지에 합성 부착된 고강도 콘크리트가 공용 중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완벽한 일체화 거동이 되는 것에 대한 상당한 우려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강재거더의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의 하단부와 복부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 폭 및 두께로 콘크리트 합성보강판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의 하면까지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 및 합성하여, 강재거더 거동시 강재와 콘크리트와의 계면부에서 들뜸을 방지하고, 수분침투로 인한 강재의 부식과 콘크리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는 강재거더의 부모멘트구간의 지점부 하부플랜지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합성 부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더의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의 하단부와 복부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 폭 및 두께로 콘크리트 합성보강판이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의 하면까지 고강도 콘크리트가 타설 및 합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부모멘트구간의 지점부 하부에 합성 부착되는 고강도 콘크리트와의 합성 부착을 완벽하게 한다.
둘째, 본 발명은 합성 부착되는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재 계면부의 들뜸을 방지하여 누수를 차단하고, 구조물의 수명을 보장한다.
셋째, 본 발명은 부모멘트구간의 지점부 하부에 합성 부착된 고강도 콘크리트의 거동이 일체화된 거동을 하여 강재거더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의 강재거더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측면 상세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 상세도,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1,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측면 상세도,
도 7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A-A선 단면 상세도,
도 8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B-B선 단면 상세도,
도 9는 도 5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2,
도 11의 도 10의 "C" 부분을 확대 도시한 C-C선 단면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3,
도 13은 도 12의 "D" 부분을 확대 도시한 D-D선 단면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1,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측면 상세도, 도 7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A-A선 단면 상세도, 도 8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B-B선 단면 상세도, 도 9는 도 5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2, 도 11의 도 10의 "C" 부분을 확대 도시한 C-C선 단면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3, 도 13은 도 12의 "D" 부분을 확대 도시한 D-D선 단면 상세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S)는 강재거더의 부모멘트구간의 지점부 하부플랜지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합성 부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더(G)의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단부와 복부(20)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 폭 및 두께로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이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의 하면까지 고강도 콘크리트(40)가 타설 및 합성된다.
또한,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단부에는 철근관통구(50)가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철근관통구(50)에 보강철근(60)이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은 고강도 콘크리트(40)가 타설되는 높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면에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이 부착되어, 고강도 콘크리트(40)와 합성 부착된다.
또한,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은 고강도 콘크리트(40)가 타설되는 높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면에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이 설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의 하면에 강재다이아프램 보강지지판(7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의 상면에 버팀판(80)이 다수개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S)는 강재거더(G)의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단부와 복부(20)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 폭 및 두께로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이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의 하면까지 고강도 콘크리트(40)가 타설 및 합성되고,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단부에는 철근관통구(50)가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철근관통구(50)에 보강철근(60)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은 고강도 콘크리트(40)가 타설되는 높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면에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이 부착되어, 고강도 콘크리트(40)와 합성 부착된다.
또한,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은 고강도 콘크리트(40)가 타설되는 높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면에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이 설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의 하면에 강재다이아프램 보강지지판(70)이 설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의 상면에 버팀판(80)이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S)는 강재거더(G)의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단부와 강재거더(G)의 복부(20)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 폭 및 두께로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의 하면까지 고강도 콘크리트(40)를 타설 및 합성하며,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40)의 하면에 강재다이아프램 보강지지판(70)을 설치함으로써, 강재거더 거동시 강재와 콘크리트와의 계면부에서 들뜸을 방지하고, 수분침투로 인한 강재의 부식과 콘크리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용 중 압축력이 작용할 경우에도 계면부에서 완전한 합성거동이 이루어지므로 강재거더(G)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면부에 철근관통구(50)를 형성하고 상기 철근관통구(50)에 보강철근(60)을 삽입하고, 고강도 콘크리트(40)를 타설하면 고강도 콘크리트(40)의 합성 부착 성능과 강성을 증대시키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의 상면에 버팀판(80)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의 좌굴방지와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강재다이아프램(10)은 고강도 콘크리트(40)가 타설되는 높이의 상에 설치되며, 상기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부에는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을 설치하고, 동일 높이의 강재거더(G)의 복부(20)에도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을 설치하면, 부모멘트구간 지점부 하부플랜지에 합성 부착되는 콘크리트가 1개의 연속된 구조체로 일체화가 되어 합성 부착성능이 증대되며, 또한 상기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의 하부에 강재다이아프램 보강지지판(70)을 추가하여 강재다이아프램(10)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고, 고강도 콘크리트(40)와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10: 강재다이아프램 20: 강재거더 복부
30: 콘크리트 합성보강판 40: 고강도 콘크리트
50: 철근관통구 60: 보강철근
70: 강재다이아프램 보강지지판 80: 버팀판
G: 강재거더 S: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

Claims (5)

  1. 강재거더의 부모멘트구간의 지점부 하부플랜지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합성 부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더(G)의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단부와 복부(20)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 폭 및 두께로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이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의 하면까지 고강도 콘크리트(40)가 타설 및 합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단부에는 철근관통구(50)가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철근관통구(50)에 보강철근(60)이 삽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은 고강도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높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면에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이 부착되어, 고강도 콘크리트와 합성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은 고강도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높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점부 강재다이아프램(10)의 하면에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이 설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의 하면에 강재다이아프램 보강지지판(7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합성보강판(30)의 상면에 버팀판(80)이 다수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
KR1020130025709A 2013-03-11 2013-03-11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 KR20140111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709A KR20140111491A (ko) 2013-03-11 2013-03-11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709A KR20140111491A (ko) 2013-03-11 2013-03-11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491A true KR20140111491A (ko) 2014-09-19

Family

ID=5175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709A KR20140111491A (ko) 2013-03-11 2013-03-11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14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5954A (zh) * 2016-03-28 2017-06-13 又炅技术株式会社 钢箱梁桥墩处的加固结构及具有此结构钢箱梁的施工方法
KR101993602B1 (ko) 2018-11-19 2019-06-27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강재거더 거푸집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강재거더 부모멘트부 보강구조
KR20200011088A (ko) 2018-07-24 2020-0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형 강재 거더의 부모멘트부 하부플랜지 보강구조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5954A (zh) * 2016-03-28 2017-06-13 又炅技术株式会社 钢箱梁桥墩处的加固结构及具有此结构钢箱梁的施工方法
CN106835954B (zh) * 2016-03-28 2019-01-04 又炅技术株式会社 钢箱梁桥墩处的加固结构及具有此结构钢箱梁的施工方法
KR20200011088A (ko) 2018-07-24 2020-0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형 강재 거더의 부모멘트부 하부플랜지 보강구조 및 그 제작방법
KR101993602B1 (ko) 2018-11-19 2019-06-27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강재거더 거푸집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강재거더 부모멘트부 보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8968A1 (en) Reinforcement system for a vehicle
KR101718050B1 (ko) 부상방지장치가 필요 없는 중공 슬래브형 데크플레이트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73734B1 (ko) 복경간강재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20140111491A (ko) 강재거더 콘크리트 합성구조
CN105625161A (zh) 一种钢—混凝土组合梁的剪力连接件
KR101681520B1 (ko) 탄소섬유시트와 부착용 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구조 및 보강공법
JP2016160721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有孔梁
KR101186273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프리플렉스 합성형교 거더의 시공방법
KR20110028726A (ko) 상수도용 수밀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수판
JP4224067B2 (ja) 補強材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既存建物の補強構造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CN204200247U (zh) 隧道二次衬砌钢筋定位架
JP2015175110A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
CN104234269B (zh) 一种预制排孔式剪力墙的施工方法
CN208280454U (zh) 双钢板钢筋混凝土组合梁
JP2010168877A (ja) 残存型枠、およびこれに用いる型枠パネル
KR101033107B1 (ko) 슬래브와 거더가 일체화된 강합성 교량
JP5943135B1 (ja) 合成床版用鋼材パネルおよび合成床版
JP689340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5751780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せん断補強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体
KR200482779Y1 (ko) 조립식 거푸집용 수평 보강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거푸집
KR101524725B1 (ko) 취수 구조물 벽면 보수 방법
CN108277886B (zh) 一种型钢混凝土柱的t型cr剪力连接件
JP3197423U7 (ko)
JP7022052B2 (ja) 既存床の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