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087A - 시료 분석을 위한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분석 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시료 분석을 위한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분석 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087A
KR20140111087A KR1020130023870A KR20130023870A KR20140111087A KR 20140111087 A KR20140111087 A KR 20140111087A KR 1020130023870 A KR1020130023870 A KR 1020130023870A KR 20130023870 A KR20130023870 A KR 20130023870A KR 20140111087 A KR20140111087 A KR 20140111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fixing plate
optical path
plat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2504B1 (ko
Inventor
류성윤
이협
최진두
이상욱
오승렬
이종훈
옥기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카시스
Priority to KR1020130023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504B1/ko
Priority to PCT/KR2014/001745 priority patent/WO2014137123A1/ko
Publication of KR2014011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03Cuvette constructions
    • G01N21/0303Optical path conditioning in cuvettes, e.g. windows; adapted optical elements or systems; path modifying or adjus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Abstract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이동시키면서 절대적인 거리를 알고 난 후, 시료(sample)의 흡광도(absorbance)를 측정하는 것이 아닌,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이동시키면서 흡광도(absorbance)를 측정함으로써 상대적인 거리에서의 흡광도 (absorbance)를 측정한 후 이를 통해 흡광도(absorbance) 기울기를 구한다.
여기서 기울기의 의미는 단위 길이당 흡광도(absorbance)를 나타낸다.
구해진 기울기를 통해 최종적인 10mm에서의 흡광도(absorbance)을 구한다.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이동시키는 것은 스텝 모터(step motor)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료 분석을 위한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분석 방법과 그 장치.{METHOD OF ADJUST THE PATH LENGTH AUTOMATICALLY FOR SAMPLE ANALYSIS, AND IT INCLUDES SAMPLE ANALYSIS METHOD AND ITS DEVICE.}
본 발명은 시료의 효과적인 분석을 위한 마이크로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 및 광경로의 변화에 따른 투과도를 통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광법을 이용한 분석장비기술에 있어서, 극미량을 고감도로 측정하는 기술은 단백질을 포함한 생화학 물질의 정량 측정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도전 기술이다.
이러한 분석장비시장은 연간 20% 이상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 의학 및 생명공학 기술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어 이를 분석하는 장비의 수요는 계속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의학, 바이오, 생명공학의 경우 측정 시료가 한정적이거나 고가이기 때문에 초미량 분석방법이 요구된다.
바이오 분석 장비 경우 미국과 일본제품의 점유율이 60%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 제품의 경우 1% 이하의 점유율을 나타낸다.
초미량 핵산 및 단백질 시료의 휴대용 정량 분석 시스템의 중요성 및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크게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가 꼭 필요하다.
기술 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나노드랍-라이트(Nanodrop-Lite)는 기능의 단순화 및 기구 설계 최적화를 통해 전체 시스템의 크기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 출시된 제품으로, 이전 버전의 제품들과 크기 면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다.
극미량을 측정하는 장비는 두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는데, Nanodrop 과 같은 극미량 측정만 할 수 있게 만들어진 장비와 Hellma의 traycell과 같이 cuvette 형태로 기존의 분광기(spectrometer)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비로 나눌 수 있다.
Nanodrop 제품군은 현재 바이오 관련 시장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평균 판매가는 약 천육백 만원 정도로 고가이다.
나노드랍-라이트(Nanodrop-Lite) 등은 소형화된 DNA, 단백질 전용 측정 장비로 Hellma의 Traycell에 비해 세척이 편리하며 사용법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극미량을 측정하는 장비에서 측정의 정확도와 재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은 광학부분과 시료(sample)의 고정부의 경로 길이(path length)이다.
일반적으로 극미량 측정장비의 경로 길이(path length) 1mm 미만으로 경로 길이(path length)의 오차를 1% 미만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마이크로 단위의 정밀한 길이측정이 가능해야 한다.
Nanodrop 2000c의 경우 0.05mm~1.0mm 까지 경로 길이(path length) 를 바꾸면서 측정을 하는 시스템이다.
자동으로 최적의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찾더라도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정확히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매우 복잡해지고 고가가 될 수 밖에 없다.
또한, 고정된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사용하는 극미량 측정 장비보다 정확도와 재현성 측면에서 떨어진다.
따라서, 대부분의 극미량 측정장비는 고정된 경로 길이(path length)를 가진 시스템으로 설계된다.
이렇게 고정된 경로 길이(path length)를 갖게 되면 측정 다이나믹 레인지 (dynamic range)와 시료 용량(sample volume)이 고정된다는 한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경로 길이(path length)를 변화시키면 시스템이 비싸지고 복잡해진다.
또한, 고정된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사용하게 되면 다이나믹 레인지 (dynamic range)와 시료 용량(sample volume)이 정해지게 되고 초기 생산이 어려워진다.
즉, 1mm 미만의 경로 길이(path length)를 마이크로 단위에서 정확히 맞추기 위해서는 초기 생산시에 기계가공으로는 어렵고 사람이 직접 조절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생긴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조절하면서 동시에 측정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등록특허 제 10-1214556 호는 미량 시료 특성 측정용 분광기에 관한 것으로서, 시료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미량 시료 특성 측정용 분광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료 수용홈이 형성되는 시료대, 상기 시료 수용 홈에 수용된 시료를 향하여 검사광을 조사하는 검사광 조사장치, 상기 시료를 통과한 특성광을 분석하여 시료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분광장치 및 상기 시료와 분광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특성광이 통과하면서 흡광될 수 있는 충분한 흡광 거리를 제공하여 시료를 가상으로 희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소정의 투광두께를 갖는 투광성 재질의 가상 희석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미량의 바이오 시료에 대한 분광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측정 후 시료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한 개의 시료대 내에서 다수의 채널로 시료를 선택하여 시료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고, 시료대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 없이 시료대를 간단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조절하면서 동시에 측정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아니라는 점에서 여전히 문제점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정확한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알지 못해도 시료(sample)의 흡광도(absorbance)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이동시키면서 절대적인 거리를 알고 난 후, 시료(sample)의 흡광도(absorbance)를 측정하는 것이 아닌,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이동시키면서 흡광도(absorbance)를 측정함으로써 상대적인 거리에서의 흡광도 (absorbance)를 측정한 후 이를 통해 흡광도(absorbance) 기울기를 구한다.
여기서 기울기의 의미는 단위 길이당 흡광도(absorbance)의 변화를 나타낸다.
구해진 기울기를 통해 최종적인 10mm에서의 흡광도(absorbance)을 구한다.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이동시키는 것은 스텝 모터(step motor), 선형 액츄에이터(linear actuator) 등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초기에 정확한 거리를 알 필요가 없으므로 대량생산에 유리하고 경로 길이(path length) 조절을 통해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와 시료 용량(sample volume)을 바꿀 수 있다.
또한, 상대 거리값은 스텝 모터(step motor)의 회전각에 의해 결정되므로 실제 거리를 측정하는 갭 센서(gap sensor)와 같은 추가적인 시스템이 필요 없게 된다.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이동시키면서 절대적인 거리를 알고 난 후, 시료(sample)의 흡광도(absorbance)를 측정하는 것이 아닌,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이동시키면서 흡광도(absorbance)를 측정함으로써 상대적인 거리에서의 흡광도 (absorbance)를 측정한 후 이를 통해 흡광도(absorbance) 기울기를 구한다.
여기서 기울기의 의미는 단위 길이당 흡광도(absorbance)를 나타낸다.
구해진 기울기를 통해 최종적인 10mm에서의 흡광도(absorbance)을 구한다.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이동시키는 것은 스텝 모터(step motor)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정확한 경로 길이(path length)를 알지 않아도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의 흡광도를 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터의 리솔루션(resolution)의 오차가 가공 오차보다 작으므로 측정 값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최초 생산성도 향상시킨다.
즉, 가공시 1mm 미만의 길이(path length)를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오차로 가공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제안된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초기 생산시 경로 길이 (path length)를 마이크로미터 단위 오차로 가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모터 움직임의 한 스텝(step) 오차가 측정오차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요인에 의한 오차가 줄어든다.
기존의 분광기(spectrometer)의 경우 광원의 변화가 측정시에 오차로 나타나는 반면, 제안된 방법으로 측정할 경우 투과도의 변화를 보는 것이므로 매 측정시 광원의 변화 또는 외부요인의 변화가 측정의 오차로 포함되지 않는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의한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를 이용한 광경로 자동 조절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의한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의한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에 빛을 투과시켜 시료를 분석하는 장치를 이용한 시료 분석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의한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에 빛을 투과시켜 시료를 분석하는 장치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원 발명에 의한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를 이용한 광경로 자동 조절 방법에 의해 구해진 경로길이에 따른 흡광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의한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에 있어서, 제 1 고정판(20), 제 2 고정판(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고정판(20)과 상기 제 2 고정판(30) 사이에 시료(1)를 고정시키는 시료 고정부(10), 상기 제 1 고정판(20), 제 2 고정판(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제 1 고정판(20)과 상기 제 2 고정판(3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40),상기 시료 고정부(10)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광원(50), 상기 시료 고정부(10)를 기준으로 제 1 측면의 반대 측면인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광 측정기(Photo Detector)(6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시료 고정부(10)는 상기 제 1 고정판(20)은 시료(1)를 적재하는 시료부 하판(21)과 빛이 투과되는 부분에 형성된 윈도우(70)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고정판 (30)은 시료(1)를 밀착하여 홀딩하는 시료부 상판(31)과 빛이 투과되는 부분에 형성된 윈도우(7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정판(20)과 상기 제 2 고정판(30)이 시료에 밀착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8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결합부(80)는 상기 제 1 고정판(20)과 상기 제 2 고정판(30)을 포함하는 시료 고정부(10)를 결합시키는 초기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부(80)에 의해 초기 고정된 상기 시료 고정부(10)의 상기 제 1 고정판(20)과 상기 제 2 고정판(30)의 경로 길이 설정은 간격 조절부(40)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원 발명의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는 상기 시료 고정부(10)의 시료(1)에 빛이 수직으로 입사되어 투과되도록 상기 시료(1)는 시료부 상판(31)과 하판(21) 사이에서 유지되고, 광원(50), 시료부 하판(21), 시료(1), 시료부 상판(31) 및 광 측정기(Photo Detector)(60)가 모두 수평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간격 조절부(40)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스텝 모터(Step Mo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결합부(40)는 자석의 인력, 스프링의 압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제 1 고정판(20)과 상기 제 2 고정판(30)이 시료(1)에 밀착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시료부 하판(21) 및 시료부 상판(31)의 표면은 시료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소수성 물질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를 이용한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은,
(i) 상기 제 2 고정판 내의 시료부 상판과 상기 제 1 고정판 내의 시료부 하판 사이에 시료가 장입된 상기 시료 고정부를 측정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ii)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시료가 임의의 제 1 광경로 길이(Path Length)(L1)를 갖도록 하는 단계
(iii) 상기 광원의 입사광을 상기 시료에 투과시켜 상기 광 측정기(Photo Detector)에서 투과도(I1)를 측정하고 저장하는 단계
(iv)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시료가 일정 거리(△L)증가된 임의의 제 2 광경로 길이(L2)를 갖도록 하는 단계
(v) 상기 광원의 입사광을 상기 시료에 투과시켜 상기 광 측정기(Photo Detector)에서 투과도(I2)를 측정하고 저장하며,
상기 제 1 광경로 길이(L1)와 상기 제 2 광경로 길이(L2)의 차이만큼 광경로 길이가 증가된 일정거리(△L2= L2 - L1)를 저장하는 단계
(vi) 측정된 상기 투과도 I1, I2로부터 흡광도(An=log10(I0/In)) A1, A2를 계산하는 단계
(vii) 상기 증가된 광경로 길이(△L2)와 상기 증가된 광경로 길이에서의 증가된 흡광도(△A2(A2 - A1))로부터 기울기(S2= △A2/△L2)를 계산하는 단계
(viii) 상기 (i) 내지 (vii) 단계를 복수 회 반복하여,
임의의 증가된 광경로 길이(△Ln = Ln - Ln -1)와 △Ln에서 증가된 흡광도(△An = An - An -1,)를 측정하여,
복수 개의 기울기(Sn = △An/△Ln)를 계산하는 단계
(ix) 상기 복수 개의 Sn 값의 평균치인 Save = (△A/△L)ave 값을 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ix)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Sn 값의 평균치인 Save = (△A/△L)ave 값은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선형 회귀란 (X1, X2, …, Xn)을 n차원의 확률 변수로 하여 조건부 기대값을 의미한다.
X1=m1(X2, …, Xn)=E (x1|X2=x2, …, Xn=xn)이 존재할 때, 이것을 X1의 (X2, …, Xn)으로의 회귀 함수 또는 회귀 곡선이라고 한다.
특히 m1(x2, …, xn)=α+β2x2+…βnxn일 때 X1의 (X2, …, Xn)으로의 회귀는 선형이라고 한다. 실제로는 위 식이 정확하게 된 경우는 적어도 E[(X1-α-β2X2-…-βnxn)2]을 최소로 하는 최소 제곱법 등에 따라 근사적인 선형 회귀 함수를 구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즉, 선형 회귀란 변수들 사이에 관련성(예;농도와 흡광도)이 존재하는 것을 알고, 통계적 측면으로 변수들 사이에 관련성을 최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이다.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 : x1, x2, x3,…,xk 고정된 값, 표준용액의 농도를 의미하고,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 : Y 확률변수, 흡광도를 의미한다.
회귀 직선(linear regression) : 실험 데이터의 집합에 적합한 관련성을 예측해주는 방정식 예를 들어, 실험 데이터(표준용액의 농도,흡광도)의 집합에서 농도와 흡광도 사이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검량선은 회귀 직선이다.
또한, 상기 (ix)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 개의 Sn 값의 평균치인 Save = (△A/△L)ave 값에 물질의 흡수 상수를 곱해 원하는 물질의 농도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 1 고정판(20)과 상기 제 2 고정판(30)의 이동은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스텝 모터(Step Motor)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i) 내지 (ix) 단계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로 조절 방법 또한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의한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에 빛을 투과시켜 시료를 분석하는 장치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시료에 빛을 투과시켜 시료를 분석하는 장치는 시료 고정부(10)와 시료(1)를 회전시키는 회전부(90)를 포함하며, 상기 회번부(90)는 댐퍼, 베어링, 회전구동부(94)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90)를 이용한 시료 고정부(10)의 회전은 전면지지대(92)와 후면 지지대(93)를 관통하는 회전축(91)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광원(50), 시료부 하판(21), 시료(1), 시료부 상판(31) 및 광 측정기(Photo Detector)(60)가 모두 수평하게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시료(1)는 시료부 상판(31)과 하판(21) 사이에서 유지되고, 광원(50)에서 방출된 빛이 광 기구의 도움 없이 시료(1)에 직접 입사되고, 시료(1)를 투과한 빛(51)도 광 기구의 도움 없이 직접 광 측정기(Photo Detector)(60)로 입력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간격 조절부(40), 회전구동부(94) 등의 동작은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한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에 빛을 투과시켜 시료를 분석하는 장치를 이용한 시료 분석 방법은
(a) 제 1 고정판 내의 시료부 하판에 시료를 장입하는 단계
(b) 제 2 고정판 내에 시료와 밀착되는 시료부 상판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시료부 상판을 포함하는 제 2 고정판을 상기 시료부 하판을 포함하는 제 1 고정판에 밀착하여
상기 제 1 고정판 내의 시료부 하판과 상기 제 2 고정판 내의 시료부 상판 사이의 시료로 채워진 경로 길이(Path Length)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을 상기 결합부를 이용하여 하나의 시료 고정부로 결합시키는 단계
(e) 결합된 상기 시료 고정부를 회전부를 이용하여 거치대를 관통하는 회전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f) 상기 시료 고정부의 회전으로 광원, 시료부 하판, 시료, 시료부 상판, 광 측정기(Photo Detector)를 모두 수평으로 배열하는 단계
(g) 상기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평균 기울기 (Save) 또는 농도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시료는 10㎖ 이하의 체적을 갖는 액체 물질인 것이 가능 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시료의 체적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회전은 전면 지지대(92)와 후면 지지대(93)를 관통하는 회전축(91)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광원(50), 시료부 하판(21), 시료(1), 시료부 상판(31) 및 광 측정기(Photo Detector)(60)가 모두 수평하게 배열되는 각도로 선택되어 회전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a) 내지 (i)단계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분석 방법 또한 바람직할 것이다.
처음에 시료를 장착한 후 모터를 통해 시료 고정부를 초기위치에 위치시킨다.
그 후에 광 측정기(photo detector)에서 초기 투과도를 받고, 순차적으로 모터를 원하는 상대거리만큼 이동시키고 다시 투과도를 읽어들인다.
모터가 최종위치로 도착 할 때까지 투과도를 측정한다.
흡광도(A=log10(I0/I))를 통해 구할 수 있다. (I0: 용매의 투과도, I: 시료(sample)의 투과도)
I0=1로 두고 각각의 상대거리에서 흡광도를 구하고 이를 통해 기울기를 구하면 최종적으로 단위길이당 흡광도를 구할 수 있다. (단, 용매의 투과도가 light path length의 변화동안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이 필요함. 일반적으로 제안된 UV spectrometer에서의 용매인 증류수의 단위 길이당 흡광도는 10-2/cm 이므로 무시할 수준이다.
만약에 용매의 투과도의 변화가 크다면 용매의 흡광도 문헌값을 구해진 기울기에 더해주면 최종적으로 시료(sample) 내의 용질에 의한 흡광도를 구할 수 있다.)
도 5는 250ng/ul, 500ng/ul, 1000ng/ul로 추정되는 potassium sample을 각각 0.3mm 내지 0.5mm까지 0.01mm길이 변화마다 투과도 값을 측정하여 이를 상대 흡광 흡광도(relative absorbance = log(1/I) (I:시료(sample)의 투과도)로 바꾸어 그래프를 그린 것이다.
각각의 기울기는 250ng/ul일때는 0.52651/mm, 500ng/ul일때는 1.10456/mm, 1000ng/ul일때는2.17116/mm로 나타난다. 이를 통해 실제 10mm일때의 흡광도(absorbance) 값을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 시료 10: 시료 고정부
20: 제 1 고정판 21: 시료부 하판
30: 제 2 고정판 31: 시료부 상판
40: 간격 조절부 50: 광원
60: 광 측정기 70: 윈도우
80: 결합부 90: 회전부
91: 회전축 92: 전면 지지대
93: 후면 지지대 94: 회전 구동부
95: 회전 구동모터

Claims (11)

  1.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에 있어서,
    제 1 고정판, 제 2 고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 사이에 시료를 고정시키는 시료 고정부;
    상기 제 1 고정판, 제 2 고정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제 1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
    상기 시료 고정부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광원;
    상기 시료 고정부를 기준으로 제 1 측면의 반대 측면인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광 측정기(Photo Detecto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료 고정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판은 시료를 적재하는 시료부 하판과 빛이 투과되는 부분에 형성된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고정판은 시료를 밀착하여 홀딩하는 시료부 상판과 빛이 투과되는 부분에 형성된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이 시료에 밀착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료 고정부의 시료에 빛이 수직으로 입사되어 투과되도록 상기 시료는 시료부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유지되고, 광원, 시료부 하판, 시료, 시료부 상판 및 광 측정기(Photo Detector)가 모두 수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스텝 모터(Step Mo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자석의 인력, 스프링의 압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이 시료에 밀착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 하판 및/또는 상판의 표면은 시료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소수성 물질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의 광경로 자동조절 장치를 이용한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에 있어서,
    (i) 상기 제 2 고정판 내의 시료부 상판과 상기 제 1 고정판 내의 시료부 하판 사이에 시료가 장입된 상기 시료 고정부를 측정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ii)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시료가 임의의 제 1 광경로 길이(Path Length)(L1)를 갖도록 하는 단계;
    (iii) 상기 광원의 입사광을 상기 시료에 투과시켜 상기 광 측정기(Photo Detector)에서 투과도(I1)를 측정하고 저장하는 단계;
    (iv)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시료가 일정 거리(△L)증가된 임의의 제 2 광경로 길이(L2)를 갖도록 하는 단계;
    (v) 상기 광원의 입사광을 상기 시료에 투과시켜 상기 광 측정기(Photo Detector)에서 투과도(I2)를 측정하고 저장하며,
    상기 제 1 광경로 길이(L1)와 상기 제 2 광경로 길이(L2)의 차이만큼 광경로 길이가 증가된 일정거리(△L2= L2 - L1)를 저장하는 단계;
    (vi) 측정된 상기 투과도 I1, I2로부터 흡광도(An=log10(I0/In)) A1, A2를 계산하는 단계;
    (vii) 상기 증가된 광경로 길이(△L2)와 상기 증가된 광경로 길이에서의 증가된 흡광도(△A2(A2 - A1))로부터 기울기(S2= △A2/△L2)를 계산하는 단계;
    (viii) 상기 (i) 내지 (vii) 단계를 복수 회 반복하여,
    임의의 증가된 광경로 길이(△Ln = Ln - Ln -1)와 △Ln에서 증가된 흡광도(△An = An - An -1,)를 측정하여,
    복수 개의 기울기(Sn = △An/△Ln)를 계산하는 단계;
    (ix) 상기 복수 개의 Sn 값의 평균치인 Save = (△A/△L)ave 값을 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ix)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Sn 값의 평균치인 Save = (△A/△L)ave 값은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ix)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 개의 Sn 값의 평균치인 Save = (△A/△L)ave 값에 물질의 흡수 상수를 곱해 원하는 물질의 농도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의 이동은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스텝 모터(Step Motor)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
  11. 청구항 7 내지 10 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i) 내지 (ix) 단계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로 조절 방법.
KR1020130023870A 2013-03-06 2013-03-06 시료 분석을 위한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분석 방법과 그 장치. KR101472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870A KR101472504B1 (ko) 2013-03-06 2013-03-06 시료 분석을 위한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분석 방법과 그 장치.
PCT/KR2014/001745 WO2014137123A1 (ko) 2013-03-06 2014-03-04 시료 분석을 위한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분석 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870A KR101472504B1 (ko) 2013-03-06 2013-03-06 시료 분석을 위한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분석 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087A true KR20140111087A (ko) 2014-09-18
KR101472504B1 KR101472504B1 (ko) 2014-12-15

Family

ID=5149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870A KR101472504B1 (ko) 2013-03-06 2013-03-06 시료 분석을 위한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분석 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2504B1 (ko)
WO (1) WO20141371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592B1 (ko) * 2021-12-29 2022-07-11 마이크로어낼리시스 (주) 액체 시료 분석의 감도 조절이 가능한 흡광검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9316A (zh) * 2016-03-15 2016-06-22 上海理工大学 基于连续可调生物样品架的生物样品检测方法
CN109752373A (zh) * 2019-01-23 2019-05-14 宜昌市巨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消解比色检测装置
CN111272683B (zh) * 2020-03-07 2022-11-25 广东海洋大学 一种液体吸收系数测量装置及测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212B2 (ja) * 1992-09-07 1996-07-31 倉敷紡績株式会社 濃度測定装置
KR100253914B1 (ko) * 1997-12-20 2000-04-15 윤덕용 광투과경로길이조절이가능한밀폐형온라인측정장치
JP4853518B2 (ja) * 2006-10-06 2012-01-1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分光光度計
KR101214556B1 (ko) * 2010-05-31 2012-12-24 주식회사 서린바이오사이언스 미량 시료 특성 측정용 분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592B1 (ko) * 2021-12-29 2022-07-11 마이크로어낼리시스 (주) 액체 시료 분석의 감도 조절이 가능한 흡광검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504B1 (ko) 2014-12-15
WO2014137123A1 (ko) 201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140B1 (ko) 분광 광도계 분석 장치 및 방법
JP4771864B2 (ja) 生化学分析装置
EP12524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urface tension and surface activity of a liquid
US20130003045A1 (en)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with multi-pass cell with adjustable optical path length
JP4828168B2 (ja) 測定中におけるキュベットの安定化
KR101472504B1 (ko) 시료 분석을 위한 광경로 자동조절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분석 방법과 그 장치.
EP3270120B1 (en)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device, and program
US20050275844A1 (en) Variable Exposure Rotary Spectrometer
JP6957713B2 (ja) 経路長較正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8522171A (ja) 分光光度計
CN219122022U (zh) 测量微量分光光度计的光路长度的设备及微量分光光度计
US8947668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ath length of a sample and validating the measurement obtained
CN116507891A (zh) 用于可变路径长度系统的光源
US89227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rror correction in a polarimeter
KR101445749B1 (ko) 싱글 빔 분광분석장치
JP6477449B2 (ja) 分析装置、及び、分析方法
Schulz et al. High accuracy polarimetric calibration of quartz control plates
US7538877B2 (en) Variable exposure rotary spectrometer and method of use
JP2016191647A (ja) 検査装置
CN115389382A (zh) 用于确定第一组分和至少一种第二组分之间的至少一个界面的竖直位置的设备
Fong et al. Low-Volume Diffuse-Transmittance Fiber-Optic Near-IR Spectrophotometer
JP2003083884A (ja) 分析装置における光学測定部の自動調整装置
JPS62198736A (ja) 反射濃度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