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887A - 타박상을 일으키지 않는 캐뉼러 - Google Patents

타박상을 일으키지 않는 캐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887A
KR20140110887A KR1020147017875A KR20147017875A KR20140110887A KR 20140110887 A KR20140110887 A KR 20140110887A KR 1020147017875 A KR1020147017875 A KR 1020147017875A KR 20147017875 A KR20147017875 A KR 20147017875A KR 20140110887 A KR20140110887 A KR 20140110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proximal end
housing element
housing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나스 퇴른스텐
Original Assignee
큐-메드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메드 에이비 filed Critical 큐-메드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40110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7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the body;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6Needle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7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rotatable, e.g. bayonet or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61M2005/3267Biased sleeves where the needle is uncovered by insertion of the needle into a patient's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바늘 장치(6)는 주입기(1)에 장착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 하우징은 바늘 장치(6)의 근위 단부 부근에 제공되는 제 1 하우징 요소(13) 및 바늘 장치(6)의 원위 단부 부근에 제공되는 제 2 하우징 요소(15)를 포함한다. 예리한 근위 단부를 갖는 절개 요소(14)가 제 1 하우징 요소(13)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다. 무딘 근위 단부를 갖는 캐뉼러(11)가 제 2 하우징 요소(15)에 부착되고 캐뉼러(11)를 위한 개구가 제 1 하우징 요소(13)의 근위 단부에 제공된다. 제 1 하우징 요소(13) 및 제 2 하우징 요소(15)는, 캐뉼러(11)의 근위 단부가 절개 요소(14)의 근위 단부를 넘어 전진해 있지 않는 연장 위치와, 캐뉼러(11)가 제 1 하우징 요소(13)의 개구를 통과하여 절개 요소(14)의 근위 단부를 지나 전진해 있는 압축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치료후 타박상 및 조직 트라우마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타박상을 일으키지 않는 캐뉼러{BRUISELESS CANNULA}
본 발명은 예컨대 히알루론산의 점성 겔과 같은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전달하기 위한 주입 장치를 위한 바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바늘 장치를 사용하는 주입 장치, 그러한 바늘 장치 또는 주입 장치의 용도 및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의 투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떤 사용 분야에서는, 환자 피부의 일부 영역에 많은 횟수의 주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한 사용 분야의 일례가 미용 치료인데, 여기서는, 원치 않는 주름 등을 펴기 위해 예컨대 히알루론산 겔 형태의 피부 필러가 환자의 조직 안으로 주입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예리하고 비스듬히 잘린 선단을 갖는 피하 주사 바늘이 달려 있는 시린지를 사용하여 주입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주입 중의 한 어려움은 피부 조직의 타박상 및 조직 트라우마를 피하는 것이다. 이는 환자의 얼굴, 손 또는 어깨와 같은 보이는 피부 영역을 치료할 때 특히 관련 있다. 그러한 종류의 치료에서 전통적인 시린지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한 다른 단점은, 가끔 많은 횟수의 주입이 필요하다라는 것을 생각하면 시간 소비적이다 라는 것이다. 다른 종래 기술의 방법에서는, 제 1 기구, 예컨대 외과용 매스 또는 예리한 파하 주서 바늘로 치료 대상 표면에 많은 절개부를 생성해야 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에서는, 무딘 캐뉼러를 이들 개구를 통해 넣어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주입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방법은 많은 단점을 갖는다. 종래 기술의 방법은 작업 중에 2개의 다른 기구를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또한 많은 절개부가 필요한 경우에는 그 방법은 매우 시간 소비적이게 된다. 또한, 제 1 단계에서 너무 깊히 절개할 위험이 다소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치료후 타박상 및 조직 트라우마의 위험이 증가된다.
종래 기술의 방법이 갖는 다른 무시할 수 없는 단점은, 개구가 다소 작기 때문에 무딘 캐뉼러를 삽입하고자 할 때는 절개부를 찾는 것이 아주 힘들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단점 및 다른 단점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이다. 이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첨부된 청구 범위의 제 1 항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늘 장치로 달성된다. 이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첨부된 청구 범위의 제 10 항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주입 장치, 제 12 항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바늘 장치의 용도 및 제 14 항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버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주입 장치를 위한 바늘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바늘 장치는, 주입기에 장착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이 하우징은 상기 바늘 장치의 근위 단부 부근에 제공되는 제 1 하우징 요소 및 바늘 장치의 원위 단부 부근에 제공되는 제 2 하우징 요소를 포함한다. 예리한 근위 단부를 갖는 절개 요소가 상기 제 1 하우징 요소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다. 무딘 근위 단부를 갖는 캐뉼러가 상기 제 2 하우징 요소에 부착된다. 상기 캐뉼러를 위한 개구가 제 1 하우징 요소의 근위 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제 1 하우징 요소 및 제 2 하우징 요소는 연장 위치와 압축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고, 제 1 및 2 하우징 요소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캐뉼러의 근위 단부는 절개 요소의 근위 단부를 넘어 전진해 있지 않으며, 상기 제 1 및 2 하우징 요소가 압축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캐뉼러가 제 1 하우징 요소의 개구를 통과하여 절개 요소의 근위 단부를 지나 전진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많은 이점을 수반하는데, 피부의 타박상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 그 하나이다. 처음에 피부에 개구를 생성하는데는 절개 요소만 필요하고 주입 자체를 위해서는 필요치 않으므로, 절개 요소의 길이는 피부의 최상측 층만 통과하도록 줄어들 수 있다. 진피와 같은 다른 피부 층과 비교하여, 표피는 꽤 질기고 가죽 같으며, 몸에서 방수 보호 싸개로서 작용하는 피부의 최외측 층을 형성한다. 표피의 두께는 몸의 다른 부위에 대해 다른데, 대략 0.05 mm (눈꺼플에서) 내지 대략 1.5 mm (손바닥 또는 발바닥에서) 이다. 표피는 혈관을 포함하지 않지만, 대신에 밑에 있는 진피의 상층까지 이르는 모세 혈관으로부터 확산에 의해 영양분을 공급받게 된다. 표피에 혈관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 층에서는 피부의 타박상이 일어나지 않고 혈관을 포함하는 밑의 피부 층에서 일어나게 됨을 의미한다. 표피에 개구가 생성되자 마자, 절개 요소가 표피 침투 위치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무딘 캐뉼러가 더 깊은 피부 층 안으로 계속 침투하게 된다. 부딘 캐뉼러는 조직을 절단함이 없이 밑의 진피 및 피하 조직을 통과해 침투할 수 있다. 대신에, 무딘 캐뉼러가 조직에 침투할 때 그 조직은 옆으로 밀려나게 되며, 혈관은 온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무딘 캐뉼러가 예상되는 깊이에 도달하면,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이 주입될 수 있다. 절개 요소와 무딘 캐뉼러 간의 협력에 의해, 피부 타박상 및 조직 트라우마를 실질적으로 피할 수 있는 쉽게 작동되는 장치가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입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탄성 부재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 요소 및 제 2 하우징 요소를 상기 연장 위치 쪽으로 편항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의 편향력은 절개 요소가 표피에 침투하는데 필요한 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바늘 장치를 원하는 피부 부위에 대기만 하면 되고, 한번의 연속적인 동작으로 절개 요소가 피부에 침투할 것이고 또한 캐뉼러는 원하는 깊이까지 더 깊히 침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주입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2 하우징 요소는 상기 바늘 장치를 주입기에 장착시키도록 되어 있는 어댑터를 포함하고,상기 캐뉼러는 상기 어댑터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하우징 요소 및 제 2 하우징 요소가 압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캐뉼러가 절개 요소의 근위 단부를 넘어 전진하는 거리를 규제할 수 있도록,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 2 하우징 요소에 조정가능하게 장착된다. 어댑터 및 캐뉼러와 제 2 하우징 요소 사이의 상대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캐뉼러가 조직 안으로 침투하는 깊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입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는 나사식 연결부에 의해 제 2 하우징 요소에 장착된다. 나사식 연결부는, 간단하고 신뢰적이며 미세하게 조정가능한 연결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주입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절개 요소는 예리한 선단을 갖는 비스듬히 잘린 바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 요소 및 제 2 하우징 요소가 압축 위치에 있을 때 캐뉼러가 비스듬히 잘린 상기 바늘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캐뉼러 및 비스듬히 잘린 상기 바늘은 동축으로 장착된다. 비스듬히 잘린 바늘을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방안이 얻어진다. 비스듬히 잘린 바늘은, 무딘 캐뉼러가 그의 개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제 1 하우징 요소의 개구 내부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주입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절개 요소는 상기 제 1 하우징 요소의 개구의 둘레 주위에 부분적으로 있다. 제 1 하우징 요소의 개구에 인접하되 그 개구의 둘레의 일 부분 주위에만 있는 절개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코어링(coring)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이 코어링은 중공의 바늘이 절개 요소로서 사용될 때 생길 수 있는 피부의 구멍 절취를 말하는 것이다. 이는 외모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에 아주 바람직하지 않다. 코어링이 생기면, 절취된 피부 조각이 환자의 피부 안으로 밀려 들어가 그 내부에 남아 있게 될 위험이 있다. 상기 개구의 둘레 주위에 부분적으로만 있는 절개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다소 C-형이거나 또는 심지어 I-형인 개구가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개구가 더 작을 수록 더 좋은데, 왜냐하면, 더 작은 개구는 치유 과정에 유리하고 또한 타박상 및 다른 치료후 문제를 줄여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론 개구는 무딘 캐뉼러가 들어가기에 충분히 커야 한다.
본 발명의 주입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절개 요소는 미세 바늘을 포함한다. 이 미세 바늘은 예컨대 실리콘 엣칭 또는 미세 몰딩으로 제조될 수 있고, 매우 예리하게 만들어져, 치유 관점에서 바람직한 매우 깔끔한 절개부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입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무딘 근위 단부를 갖는 캐뉼러는 액체 조성물을 전달할 수 있는 측면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바늘은 연마된 수술용 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측면 개구는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이 캐뉼러를 쉽게 통과하여 그 밖으로 유출될 수 있게 하면서 조직에 대한 손상을 피하도록 매끄럽게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입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절개 요소는 0.05 mm ∼ 1.5 mm의 길이를 갖는다. 지정된 피부 영역의 표피의 두께에 특별히 적합한 길이를 갖는 절개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피부 타박상 또는 조직 트라우마의 위험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주입기 및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늘 장치를 포함하는 주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다른 주입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주입기는 미용 치료를 위한 액체 또는 겔 조성물로 채워져 있는 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의 경피적인 투여 중에 타박상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늘 장치 또는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따른 주입 장치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바늘 장치의 용도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은 미용 치료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경피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는데,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 예리한 근위 단부를 갖는 절개 요소를 피부에 대고 눌러 표피에 개구를 생성하여 원하는 피부 영역에서 표피에 침투하는 단계;
- 절개 요소를 표피 침투 위치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캐뉼러를 그 절개 요소에 대해 이동시켜, 무딘 근위 단부를 갖는 캐뉼러를 표피에 생성된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하는 단계 - 상기 캐뉼러의 근위 단부는 절개 요소의 근위 단부 보다 피부에 더 깊히 삽입됨 -; 및
- 상기 캐뉼러를 통해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경피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은 미용 치료를 위한 것이다.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경피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늘 장치 또는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따른 주입 장치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가지고 아래에서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태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 범위 및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생각하면 더욱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장치의 제 1 실시 형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장치의 제 1 실시 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 ∼ 3c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장치의 작동의 다른 단계들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장치의 제 2 실시 형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장치의 제 3 실시 형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및 그 주입 장치의 근위 단부의 획대를 나타낸다.
본 설명에서 및 청구 범위에서, 근위 단부 등은, 바늘 장치 또는 주입 장치가 사용 중일 때 절개 부위(예컨대, 환자의 피부)에 더 가까이 있게 될 구성품의 일 부분으로 이해해야 한다. 원위 단부 등은, 바늘 장치 또는 주입 장치가 사용 중일 때 절개 부위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구성품의 일 부분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장치(100)의 제 1 실시 형태가 도 1 및 2 에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 도 1 은 각각의 개별적인 구성품 및 다른 구성품에 대한 그의 상대적인 위치를 볼 수 있는 분해도를 나타내고, 도 2 는 조립 상태의 주입 장치(100)를 나타낸다. 주입 장치(100)는 시린지(1) 형태의 주입기를 포함하고, 그 시린지는 베럴(2), 플런저 로드(3), 플런저(4) 및 잠금 장치(5)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잠금 장치는 수형(male) 루어(Lure) 잠금 연결 피팅을 포함한다. 물론, 당업자에게 분명한 루어 또는 다른 압입 끼워맞춤 연결 장치, 나사식 연결 장치 등과 같은 많은 다른 잠금 장치도 생각할 수 있다. 주입기(1)에는 바늘 장치(6)가 결합된다. 이 바늘 장치(6)는 암형(female) 루어 잠금 연결 피팅(8)을 갖는 어댑터(7)를 포함하고, 시린지(1)와 바늘 장치(6)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암형 루어 잠금 연결 피팅은 시린지(1)의 수형 피팅(5) 안에 끼워맞춤된다. 어댑터(7)는 조정 칼라(9)(이의 기능은 나중에 설명할 것임) 및 나사부(10)를 더 포함한다. 무딘근위 단부를 갖는 캐뉼러(11)가 어댑터(7)에 끼워맞춤된다. 이 캐뉼러(11)는 그의 무딘 단부 근처에 있는 측면 오리피스(상기 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를 포함하고, 이 오리피스를 통해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이 방출될 수 있다. 측면 오리피스는, 조직에 대한 손상을 피하고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이 캐뉼러를 용이하게 관류하여 그 밖으로 유출할 수 있게 해주는 매끄러운 설계를 갖는다. 제 2 하우징 요소(15)가 이 제 2 하우징 요소(15)의 원위 단부에 있는 내부 나사 및 어댑터(7)의 근위 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있는 외부 나사(10)에 의해 어댑터(7)에 연결된다. 조정 칼라(16)가 제 2 하우징 요소(15) 상에 제공되는데, 그 조정 칼라를 이용하여 제 2 하우징 요소(15)와 어댑터(7) 간의 상대 위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 요소(15) 내부에는 제 1 하우징 요소(13)가 끼워맞춤되며, 제 1 및 2하우징 요소(13, 15)는 압축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a ∼ 3b 와 관련하여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스프링(12) 형태의 탄성 부재가 어댑터(7)와 제 1 하우징 요소(13) 사이에 제공되는데, 그 탄성 부재는 하우징 요소(13, 15)를 이들의 연장 위치로 편항시키게 된다. 절개 요소(14)가 제 1 하우징 요소의 근위 단부에 제공된다.
이제 도 3a ∼ 3b 및 앞에서 설명한 도 1 및 2 를 참조하여, 예컨대 미용 치료에 사용될 때의 주입 장치(1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미용 치료를 할 수 있는 의사, 간호사 또는 다른 사람과 같은 사용자가 주입 장치(100)를 치료 대상 피부 영역(200) 가까이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주입기(1)를 잡고 절개 요소(14)를 피부 쪽으로 밀어 치료 대상 피부 영역(200)의 상측 피부층(표피)에 침투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절개 요소(14)는 제 1 하우징 요소(13)에 있는 근위 개구 내부에 장착되는 비스듬히 잘린 바늘의 형태로 되어 있다. 절개 요소(14)에 대한 다른 방안은 도 5 를 참조하여 나중에 설명할 것이다. 제 1 하우징 요소(13) 내부에 있는 비스듬히 잘린 상기 바늘의 축방향 위치는 의도한 절개 위치에 따라 다르게 된다. 비스듬히 잘린 바늘의 절개날의 일 부분이 제 1 하우징 요소(13)의 개구 내부에 숨겨지게 되는 제 1 하우징 요소(13)의 개구 내의 위치에 비스듬히 잘린 바늘을 배치함으로써, 코어링(coring)의 위험을 또한 줄일 수 있다. 절개 요소(14)의 실제 절개날은 제 1 하우징 요소(13)의 개구의 둘레의 일 부분 주위에만 있을 것이고, 따라서 피부 조직의 코어링이 일어날 위험이 줄어든다. 스프링(12)은 절개 요소(14)가 스프링의 항복 전에 피부에 개구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강성적인 스프링률을 갖는다. 이 제 1 단계는 도 3a 에 볼 수 있다. 사용자가 계속 밀면(도 3b 참조), 상기 스프링이 항복되고 제 1 및 2 하우징 요소(13, 15)가 압축 위치 쪽으로 서로에 대해 움직이기 시작할 것이다. 이렇게 됨에 따라 캐뉼러(11)가 절개 요소(14)에 대해 움직이고 결국에는 그 캐뉼러(11)는 절개 요소(14)를 넘어 전진되어 환자의 피부 안으로 더 깊히 침투하게 된다. 이러한 상대 운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제 2 하우징 요소(15)에 장착되어 있는 어댑터(7)에 캐뉼러(11)가 고정 장착되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계속 밀면, 시린지(1), 어댑터(7), 캐뉼러(11) 및 제 2 하우징 요소(15)가 환자의 피부 영역(200)에 더 가까이 움직이게 되며, 이때 제 1 하우징 요소(13) 및 절개 요소(14)는 피부 영역(200)에 대해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도 3c 에 나타나 있는 위치에 도달하면, 제 1 및 2 하우징 요소들 간의 상대 운동은 더 이상 일어나지 못한다. 이는 제 2 하우징 요소(15)의 근위 단부가 피부 영역(200)의 표면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이때, 캐뉼러(11)는 그의 주입 깊이에 도달해 있고 사용자는 적절한 양의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캐뉼러(11) 주변의 조직 안으로 방출시키기 위해 주입기를 조작하게 된다. 나선형 스프링(12)의 강성률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2 하우징 요소 간의 어떠한 상대 운동도 일어남이 없이 절개 요소(14)가 환자의 피부에 침투할 수 있도록 충분히 강성적이도록 선택된다. 그러나, 제 1 및 2 요소 간의 상대 운동을 일으켜 캐뉼러(11)가 환자의 조직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높은 힘을 사용해야 할 정도로 강성이 커서는 아니 된다. 이는 불필요하게 높은 스프링률은 한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절개 요소(14)로 환자의 표피에 침투하는데 필요한 힘은 그 절개 요소의 크기와 형상에 달려 있고, 매우 작고 예리한 미세 바늘을 절개 요소(14)로서 사용할 때의 십분의 수 뉴턴에서부터, 비스듬히 잘린 바늘이 절개 요소(14)로서 사용될 때의 2 ∼ 4 뉴턴까지 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나선형 스프링(12)의 스프링률은 절개 요소(14)의 특성을 고려하여 또한 아마도 치료 대상 피부 영역(200)의 특성도 고려해서(다른 피부 영역들의 특성들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선택되어야 한다. 무딘 캐뉼러(11)가 너무 빨리 절개 요소(14)를 넘어 전진하지 않도록 스프링을 압축시키기 위해 적어도 표피에 침투하는데 필요한 힘이 요구되도록 스프링(12)의 스프링률을 선택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표피를 뚫는 중에 캐뉼러의 무딘 단부가 앞서게 되는데, 이는 다소 높은 힘이 필요하게 되어 환자에게는 불편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장치의 주 이점은, 피부의 타박상 및 조직 트라우마를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예리한 절개 요소(14)와 무딘 캐뉼러 사이의 협력로 인한 것이다. 절개 요소(14)는 조직의 표피를 절개하지만 아래의 진피 안으로는 들어가지 않도록 설계된다. 표피는 혈관을 포함하지 않고 또한 절개 요소는 그 표피 아래에 이르지 않기 때문에, 절개 요소로 인한 타박상이 일어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절개 요소(14)가 표피에 구멍을 내지만 아래의 진피에 있는 혈관이 파열되지 않도록 그 진피 안으로는 침투하지 않도록, 절개 요소(14)의 길이를 선정해야 한다. 물론, 조정가능한 절개 요소를 갖는 바늘 장치(6)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상이한 길이들을 갖는 절개 요소(14)를 갖는 바늘 장치(6)가 다른 피부 영역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표피에 개구가 생성되면, 무딘 캐뉼러가 진피 안으로 삽입되고 또한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이 주입되는 하피 또는 피하 조직 안으로도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입 장치로 주입될 수 있는 조성물의 예를 들면, Restylane VitalTM 또는 Restylane Vital LightTM 와 같은 히알루론산 겔이 있다. 무딘 캐뉼러는 조직에 침투할 때 어떠한 절개 작용도 수행하지 않는다. 대신에, 표피 아래 층의 조직은 캐뉼러(11)의 무딘 근위 단부에 의해 옆으로 밀려나게 되며, 따라서 혈관은 온전하게 유지되어 타박상 및 조직 트라우마가 방지된다. 캐뉼러(11)의 최종 깊이는 어댑터(7)와 제 2 하우징 요소(15) 사이의 나사식 연결부(10)에 의해 조정가능하며, 조정 칼라(9, 16)는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어댑터(7)가 제 2 하우징 요소(15) 안으로 더 나사 결합될 수록, 캐뉼러(11)는 환자의 조직 안으로 더 깊히 도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늘 장치(6)로, 주입이 일어나는 깊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입 장치는 제 2 하우징 요소(15)의 근위 표면이 환자의 피부에 도달하면 멈추게 되므로, 사용자가 정확히 동일한 깊이에서 주입을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이 아주 쉽게 된다. 바늘 장치(6)를 환자의 피부에 대고 제 2 하우징 요소(15)가 환장의 피부에 도달할 때까지 주입기(1)를 밀고 그 후에 적절한 양의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주입하기 위해 그 주입기를 조작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주입기가 어떤 원하는 양의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이라도 높은 정확도와 반복 가능성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자동 또는 반자동 주입기, 예컨대 전자 주입기 또는 스프링 부착식 주입기를 포함하면, 취급은 사용자에게 더욱더 쉽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사용자는 진피에서의 개구 위치를 추적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제 1 단계에서 제 1 기구를 사용하여 피부에 개구를 생성하고 나서 그 제 1 기구를 치우고 제 2 단계에서 무딘 캐뉼러를 삽입하는 종래의 주입 방법에서는, 개구를 다시 회복하는 것이 실제로는 가끔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구의 생성 및 무딘 캐뉼러의 삽입이 한번의 연속적인 동작으로 일어나고, 또한 절개 요소는 그의 표피 침투 위치에 유지되고 또한 절개 요소(14)에 의해 생성된 개구 쪽으로 상기 무딘 캐뉼러(11)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요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절개 요소(14) 및 캐뉼러(11)의 직경은 의도하는 사용에 따라 변하게 된다. 캐뉼러(11)에 대하여, 일반적인 크기는 21G ∼ 30G 이다. 도 1 ∼ 4 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서의 절개 요소는 캐뉼러가 통과하는 비스듬히 잘린 바늘을 포함하므로, 바늘의 크기는 이것이 가능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이는 보통 벽 바늘의 경우에 18G ∼ 23G 의 바늘 크기에 대응할 것이다. 더 두껍거나 더 얇은 벽을 갖는 바늘에 대해서는, 크기는 그에 적합하게 되어야 한다. 그러나, 다른 크기의 캐뉼러 및 바늘도 가능한데, 예컨대 31G 및 32G 캐뉼러가 본 발명에 따른 바늘 장치에 매우 잘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늘 장치는 예컨대 타박상이 특히 불편한 얼굴에 대한 미용 치료를 수행할 때 특히 편리하다. 피부 부스팅과 같은 미용 치료는 일반적으로 각 치료 사이에 일 주일에 세 번의 정기적인 치료를 필요로 한다. 그 후, 매년에 한번 또는 두번의 재치료가 필요하다. 피하 바늘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각각의 주입 부위에서 치료후 타박상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지만, 각각의 치료는 많은 횟수의 주입을 포함하므로, 어느 정도 타박상이 생길 가능성이 매우 높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타박상과 조직 트라우마를 피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늘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에서, 어댑터는 생략되어 있고, 바늘 장치(6)의 제 2 하우징 요소(15)는 잠금 장치(5)에 직접 장착된다. 이는 캐뉼러(11)가 절개 요소(14)를 넘어 전진하는 길이는 조정될 수 없지만 대부분의 용도를 위해서는 고정된 길이가 충분할 것임을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바늘 장치를 조립하기 위해, 제 2 하우징 요소(15)는 서로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반쪽 쉘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는 다른 조립 방안도 가능하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늘 장치의 제 2 대안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에서, 절개 요소(14)는 비스듬히 잘린 바늘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재그(jag)가 제 1 하우징 요소의 개구 근처에 배치된다. 이는 표피에 개구를 만드는데 완벽히 충분하며, 재그가 미세 바늘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주 예리하게 만들어져, 흉터 조직을 전혀 남기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거의 남기지 않고 잘 낫는 미세한 절개부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재그의 예리함으로 인해, 표피에 침투하는데 필요한 힘이 더 줄어드는데, 이리하여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환자의 불편이 감소된다.
마지막으로, 전통적인 시린지 형태의 주입기를 본 출원에서 설명했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로 규정되는 본 출원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른 종류의 주입기들도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담고 있는 교환형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시린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담고 있는 교환형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재충전식 전가 주입기도 적합하고, 배터리 외의 다른 에너지 축적 수단(예컨대, 감긴 스프링)을 갖는 주입기 또는 공압식 주입기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내부의 탄성 요소로서 나선형 스프링을 사용하는 대신에, 탄성중합 요소 또는 공기 스프링과 같은 많은 대안적인 방안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한 일 가능한 사용 영역으로서, 가교결합형 또는 비가교결합형 히알루론산 겔의 주입을 언급하였다. 히알루론산 겔은 미용 의료 장치, 예컨대 피부 필러로서 유용하다. 또한, 히알루론산 겔은 의료 수술, 예컨대 눈 수술, 관절 수술 및 의료 미용 수술에 유용하고 또한 예컨대 관절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물로서도 유용하다. 당연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다른 액체 조성물 및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겔과 같은 겔 조성물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장치는 또한 히알루론산 외의 다른 종류의 피부 필러, 예컨대 콜라겐, 칼슘 하이드록실 인회석, 폴리-L-락트산(PLL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아크릴아미드를 주입하는데도 유용하다. 또한, 본 장치는 작용 물질, 예컨대 생물 활성제, 국소 마취제, 반흔형성제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을 주입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종류의 바람직한 액체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겔 캐리어 및 작용 물질, 예컨대 국소 마취제 또는 덱스트라노머 비드와 같은 반흔형성제를 갖는 겔 조성물이다.

Claims (16)

  1. 주입 장치(100)를 위한 바늘 장치(6)로서, 이 바늘 장치(6)는,
    주입기(1)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바늘 장치(6)의 근위 단부 부근에 제공되는 제 1 하우징 요소(13) 및 바늘 장치(6)의 원위 단부 부근에 제공되는 제 2하우징 요소(15)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요소(13)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고, 예리한 근위 단부를 갖는 절개 요소(14);
    상기 제 2 하우징 요소(15)에 부착되고, 무딘 근위 단부를 갖는 캐뉼러(11); 및
    상기 제 1 하우징 요소(13)의 근위 단부에 제공되는, 상기 캐뉼러(11)를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 요소(13) 및 제 2 하우징 요소(15)는 연장 위치와 압축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제 1 및 2 하우징 요소(13, 15)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캐뉼러(11)의 근위 단부는 절개 요소(14)의 근위 단부를 넘어 전진해 있지 않으며, 상기 제 1 및 2 하우징 요소(13, 15)가 압축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캐뉼러(11)가 제 1 하우징 요소(13)의 개구를 통과하여 절개 요소(14)의 근위 단부를 지나 전진해 있는, 주입 장치를 위한 바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12)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 요소(13) 및 제 2 하우징 요소(15)를 상기 연장 위치 쪽으로 편항시키도록 되어 있는, 주입 장치를 위한 바늘 장치(6).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 요소(15)는 상기 바늘 장치(6)를 주입기(1)에 장착시키도록 되어 있는 어댑터(7)를 포함하고,상기 캐뉼러(11)는 상기 어댑터(7)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하우징 요소(13) 및 제 2 하우징요소(15)가 압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캐뉼러(11)가 절개 요소(14)의 근위 단부를 넘어 전진하는 거리를 규제할 수 있도록, 상기 어댑터(7)는 상기 제 2 하우징 요소(15)에 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주입 장치를 위한 바늘 장치(6).
  4.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7)는 나사식 연결부(10)에 의해 제 2 하우징 요소(15)에 장착되는, 주입 장치를 위한 바늘 장치(6).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요소(14)는 예리한 선단을 갖는 비스듬히 잘린 바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 요소(13) 및 제 2 하우징 요소(15)가 압축 위치에 있을 때 캐뉼러(11)가 비스듬히 잘린 상기 바늘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캐뉼러(11) 및 비스듬히 잘린 상기 바늘은 동축으로 장착되는, 주입 장치를 위한 바늘 장치(6).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요소(14)는 상기 제 1 하우징 요소(13)의 개구의 둘레 주위에 부분적으로 있는, 주입 장치를 위한 바늘 장치(6).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요소(14)는 미세 바늘을 포함하는, 주입 장치를 위한 바늘 장치(6).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딘 근위 단부를 갖는 캐뉼러(11)는 액체 조성물을 전달할 수 있는 측면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주입 장치를 위한 바늘 장치(6).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요소(14)는 0.05 mm ∼ 1.5 mm의 길이를 갖는, 주입 장치를 위한 바늘 장치(6).
  10. 주입기(1) 및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늘 장치(6)를 포함하는 주입 장치(10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1)는 미용 치료를 위한 액체 또는 겔 조성물로 채워져 있는 용기를 포함하는 주입 장치(100).
  12.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의 경피적인 투여 중에 타박상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늘 장치(6) 또는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따른 주입 장치(100)의 용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은 미용 치료를 위한 것인 바늘 장치의 용도.
  14.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경피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예리한 근위 단부를 갖는 절개 요소(14)를 피부에 대고 눌러 표피에 개구를 생성하여 원하는 피부 영역에서 표피에 침투하는 단계;
    절개 요소(14)를 표피 침투 위치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캐뉼러(11)를 그 절개 요소(14)에 대해 이동시켜, 무딘 근위 단부를 갖는 캐뉼러(11)를 표피에 생성된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하는 단계 - 상기 캐뉼러(11)의 근위 단부는 절개 요소(14)의 근위 단부 보다 피부에 더 깊히 삽입됨 -; 및
    상기 캐뉼러(11)를 통해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경피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은 미용 치료를 위한 것인,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경피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방법.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늘 장치(6) 또는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따른 주입 장치(100)가 사용되는, 액체 또는 겔 조성물을 경피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방법.
KR1020147017875A 2011-12-30 2012-12-19 타박상을 일으키지 않는 캐뉼러 KR201401108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96145.4A EP2609952B1 (en) 2011-12-30 2011-12-30 Bruiseless cannula
EP11196145.4 2011-12-30
PCT/EP2012/076200 WO2013098166A1 (en) 2011-12-30 2012-12-19 Bruiseless cannul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887A true KR20140110887A (ko) 2014-09-17

Family

ID=4755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875A KR20140110887A (ko) 2011-12-30 2012-12-19 타박상을 일으키지 않는 캐뉼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166346B2 (ko)
EP (2) EP2609952B1 (ko)
JP (1) JP6215840B2 (ko)
KR (1) KR20140110887A (ko)
CN (1) CN104010679B (ko)
AU (1) AU2012361066B2 (ko)
BR (1) BR112014016314A8 (ko)
CA (1) CA2859788A1 (ko)
ES (2) ES2533576T3 (ko)
MX (1) MX2014008031A (ko)
RU (1) RU2014131467A (ko)
WO (1) WO20130981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761A (ko) * 2019-11-13 2021-05-24 (주)메드로메디칼디비젼 고주파를 이용한 여드름 제거용 핸드피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2186A1 (en) 2006-02-22 2007-08-30 Iscience Interventional Corporation Apparatus and formulations for suprachoroidal drug delivery
US8197435B2 (en) 2006-05-02 2012-06-12 Emory University Methods and devices for drug delivery to ocular tissue using microneedle
BR112013009205A2 (pt) 2010-10-15 2016-07-26 Iscience Interventional Corp dispositivo para colocação na esclera de um olho, método para acessar o espaço supracoroidal de um olho, para acessar o espaço subretinal de um olho e para colocar um orifício dentro de um trato escleral em um olho.
US20130072941A1 (en) * 2011-09-16 2013-03-21 Francisca Tan-Malecki Cement Injector and Cement Injector Connectors, and Bone Cement Injector Assembly
AU2013342275B2 (en) 2012-11-08 2017-11-09 Clearside Biomed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ocular diseases in human subjects
CA3121759C (en) 2013-05-03 2024-01-02 Clearside Biomedica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ocular injection
WO2014197317A1 (en) 2013-06-03 2014-12-11 Clearside Biomedica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rug delivery using multiple reservoirs
USD794185S1 (en) 2013-06-17 2017-08-08 Q-Med Ab Syringe part
RU2710491C2 (ru) 2014-06-20 2019-12-26 Клиасайд Байомедикал,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ъекци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в глазную ткань и способ инъекци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в глазную ткань
USD750223S1 (en) 2014-10-14 2016-02-23 Clearside Biomedical, Inc. Medical injector for ocular injection
WO2016117164A1 (ja) * 2015-01-20 2016-07-28 テルモ株式会社 注射針組立体及びそれを備えた皮膚上層部への薬液注入用注射器
WO2017139375A1 (en) 2016-02-10 2017-08-17 Clearside Biomedical, Inc. Ocular injection kit, packaging, and methods of use
US10478553B2 (en) * 2016-03-09 2019-11-19 Orbit Biomedical Limited Apparatus for subretinal administration of therapeutic agent via a curved needle
CA3062845A1 (en) 2016-05-02 2017-11-09 Clearside Bio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cular drug delivery
CA3072847A1 (en) 2016-08-12 2018-02-15 Clearside Biomedic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a needle for medicament delivery
JP7269438B2 (ja) * 2019-09-09 2023-05-08 ウエスト ファーマスーティカル サービ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注射デバイス用線路及びロック機構
CN112870491A (zh) * 2021-03-01 2021-06-01 广州联合丽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飞特针
CN113952009B (zh) * 2021-12-23 2022-03-01 真健康(北京)医疗科技有限公司 靶向给药针夹持导航装置及靶向给药治疗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7291A (en) * 1923-07-09 1925-02-24 Zorraquin Guillermo Safety-pressure-indicating needle
BE483378A (ko) * 1947-06-23
US3530492A (en) * 1967-12-05 1970-09-22 Jack R Ferber Method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hypodermic injections
US3840008A (en) * 1972-04-18 1974-10-08 Surgical Corp Safety hypodermic needle
GB2048686B (en) * 1979-05-15 1983-03-16 Wolf Gmbh Richard Endoscopc instrumentation apparatus
CA1315166C (en) 1988-10-05 1993-03-30 John S. Parry Injection devices
US5098389A (en) * 1990-06-28 1992-03-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Hypodermic needle assembly
US5098388A (en) * 1991-05-02 1992-03-24 Richard Kulkashi Veress needle assembly
US5139485A (en) * 1991-05-03 1992-08-18 Ethicon, Inc. Verress needle with enhanced acoustical means
US5104381A (en) * 1991-08-30 1992-04-14 Origin Medsystems, Inc. Pneumoneedle with removable stylet assembly
US5685852A (en) * 1992-03-30 1997-11-11 Symbiosis Corporation Needle assembly and methods useful for epidural anesthesia
US5472430A (en) * 1993-08-18 1995-12-05 Vlv Associates Protected needle assembly
DE19725680C2 (de) * 1997-06-18 2000-04-06 Hans Haindl Trichterförmige Kanülenanordnung zur Kathetereinführung
US6077244A (en) * 1998-04-30 2000-06-20 Mdc Investment Holdings,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US6776776B2 (en) * 1999-10-14 2004-08-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refillable intradermal delivery device
US7217275B2 (en) * 2003-01-14 2007-05-15 Crabtree John H Tunnel port apparatus with serial gas-check assembly
AU2003303809A1 (en) * 2003-01-24 2004-08-23 Alza Corporation Collapsible syringe cartridge
US20040236313A1 (en) * 2003-05-21 2004-11-25 Klein Jeffrey A. Infiltration cannula
WO2005044116A2 (en) * 2003-11-07 2005-05-19 Novo Nordisk A/S Cutting device for blunt need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761A (ko) * 2019-11-13 2021-05-24 (주)메드로메디칼디비젼 고주파를 이용한 여드름 제거용 핸드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626278A (en) 2015-10-30
BR112014016314A2 (pt) 2017-06-13
RU2014131467A (ru) 2016-02-20
ES2533576T3 (es) 2015-04-13
AU2012361066A1 (en) 2014-07-10
EP2609952B1 (en) 2015-01-14
WO2013098166A1 (en) 2013-07-04
BR112014016314A8 (pt) 2017-07-04
EP2609952A1 (en) 2013-07-03
AU2012361066B2 (en) 2015-04-30
CN104010679B (zh) 2016-06-15
CN104010679A (zh) 2014-08-27
EP2797651A1 (en) 2014-11-05
CA2859788A1 (en) 2013-07-04
JP6215840B2 (ja) 2017-10-18
US10166346B2 (en) 2019-01-01
US20150018798A1 (en) 2015-01-15
EP2797651B1 (en) 2018-11-07
JP2015503375A (ja) 2015-02-02
MX2014008031A (es) 2014-08-21
ES2709219T3 (es) 201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0887A (ko) 타박상을 일으키지 않는 캐뉼러
US10286161B2 (en) Integrated needle and cannula for plastic surgery
US80074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fluid into flexible biological barrier
EP3068472B1 (en) Access device
US10478569B2 (en) Needle insertion device
EP2105155A1 (en) Hollow needle
US11559635B2 (en) Needle insertion device
JP2017528227A (ja) 注入機器
NZ626278B2 (en) Bruiseless cannula
US20240148983A1 (en) Combined needle and cannula
US11883638B2 (en) Needle insertion device
CN105582612B (zh) 缓释针具
JP2008212616A (ja) 医療用無痛注射針
KR20160113789A (ko) 피부 내 용액 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
US20120209245A1 (en) Process for using a needle having multiple apertures for injections into subcutaneous tissue
WO2012112134A1 (en) Process for using a needle having multiple apertures for injections into subcutaneous tiss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