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789A - 피부 내 용액 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 - Google Patents

피부 내 용액 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789A
KR20160113789A KR1020150039880A KR20150039880A KR20160113789A KR 20160113789 A KR20160113789 A KR 20160113789A KR 1020150039880 A KR1020150039880 A KR 1020150039880A KR 20150039880 A KR20150039880 A KR 20150039880A KR 20160113789 A KR20160113789 A KR 20160113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needle free
solution
injection device
solution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채
조정현
손성이
이동민
Original Assignee
(주)디오시스엠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오시스엠엔엠 filed Critical (주)디오시스엠엔엠
Priority to KR1020150039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3789A/ko
Publication of KR2016011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7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본 발명은 환자의 피하에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피부재생용 무 바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피부 타겟 층에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고압의 에어를 이용한 필러요법으로, 작은 구멍을 통해 약물이 피부 내로 주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힘을 부여하는 피부 내 약물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이다.(2) 해결하려는 과제성형외과나 피부과를 찾는 환자들은 지속적으로 피부, 특히 피부의 윤곽을 교정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고 있다. 일반적으로 노화방지 수술은 피부의 외과적인 타이트닝 수술을 통해 진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외과적 시술은 피부 조직 영역에 주사하는 바늘이 투입 부위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조직 세포 손상 및 피부 외상을 유발할 수 있고 그 효과도 미비하다.최근 사용되고 있는 필러요법(df, dermal filler)은 주름이나 패인 흉터 등에 사용되며, 콜라겐,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hap, hydroxyapatite) 등이 쓰인다. 하지만, 원하는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3~6개월 마다 반복시술을 받아야하기 때문에 외상에 대한 부담과 위험이 크다.환자의 체내에 약물을 투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예로부터 다양한 약물 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들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은 전통적인 주사기를 사용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주사시의 통증으로 인한 환자들의 불편이 큰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주사 바늘 사용으로 인한 상처 및 이를 통한 감염의 우려 및 숙련된 시술자가 필요하다는 점, 주사기의 재사용이 어려우므로 자원의 낭비가 있다는 점 등 많은 단점들이 있었다.노화방지 및 치료를 위한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피부 내 약물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가 사용되어진다. 피부재생용 무 바늘 장치는 피부 조직 영역에 주사하는 바늘이 환자 피부의 투입 부위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타겟 층에 원하는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피부재생용 무 바늘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피하에 약물을 주입하고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충분한 속도와 에너지, 압력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하며, 특수 제작된 팁을 환자의 피부에 대고 고압의 에어를 이용하여 스프링을 팽창시켜 피하주사 노즐을 통해 약물이 피부를 관통함과 동시에 피부 조직 내로 주입된다.상술한 종래의 피부재생용 무 바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단점을 갖는다. 초기 피부재생용 무 바늘 약물 전달 시스템은 상호 감염의 우려, 시술시의 스플래쉬-백(splash back) 현상, 정확한 침투 깊이의 조정이 어려워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특히, 노즐을 통해 대략 8bar 정도의 고압으로 분사되는 약물이 피부 면에 부딪히며 침투하는 방식이므로, 약물이 피부 면에 닿는 순간 비산현상이 일어나 피부손상과 상당한 통증이 수반되는 단점이 여전히 남아 있어, 기존의 주사기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널리 채용되지는 못하였다.또한, 피부상태에 따라 스탠드오프를 이용한 4단계만으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한계 때문에 시술 시 편의성 및 응용력이 떨어진다.(3) 과제의 해결 수단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의 바늘형 주사기를 대체할 수 있는 피부 내 약물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노화방지 및 치료를 위한 피부재생용 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또한, 본 발명은 피부 손상 등의 외상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고, 진피 층까지 충분한 약물이 도달 할 수 있도록 하여, 지속력을 높여 반복시술에 대한 부담을 줄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은 피부 상태에 알맞은 맞춤시술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피부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등 피부재생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는 피부재생용 의료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4) 효과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의 상태의 상관없이 공압을 통해 피부에 약물을 순간적으로 주입하여 피부 내 약물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를 이용한 환자의 노화방지 및 치료에 효과를 제공한다.또한, 본 발명은 피부 면에 접하는 스탠드오프를 포함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약물 투여 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시술 시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특히, 피부 내 약물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로서, 시술시 통증 및 스플래쉬 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안정성 및 조절 가능성이 매우 우수하고, 계속적인 약물 약물의 공급이 가능하여 기존의 주사기를 이용한 약물전달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또한, 기존 필러요법(df, dermal filler)에서 사용되고 있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뿐 만 아니라, 포도당, 콜라겐 등의 약물이 사용 가능하여 다양한 치료가 가능하다.또한, 본 발명은 본체 내에 5개의 센서를 인젝터(injector) 분사공에서 분사되는 약물의 정확한 침투 깊이를 유지시키기 위해 제공하며, 둥근 인젝터허브(injector hub) 단면을 통해 피부손상 및 통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본 발명을 통해 약물을 효율적으로 분사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약물이 피부 내부에서 확산되면서 피부 내부에 상처를 내어, 피부가 스스로 재생할 수 있게 구성되어, 피부탄력, 피부의 주름, 흉터, 튼살, 각질, 탈모 등의 제거 또는 치료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다.[대표도]

Description

피부 내 용액 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A Needle free solution Injection Device for intradermal injections}
본 발명은 환자의 피하에 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피부재생용 무 바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피부 타겟 층에 용액을 전달하기 위한 고압의 에어를 이용한 필러요법으로, 작은 구멍을 통해 용액이 피부 내로 주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힘을 부여하는 피부 내 용액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케어는 남성과 여성의 외양을 개선하거나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특히 중요할 수 있다.
성형외과나 피부과를 찾는 환자들은 지속적으로 피부, 특히 피부의 윤곽을 교정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고 있다. 일반적으로 노화방지 수술은 피부의 외과적인 타이트닝 수술을 통해 진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외과적 시술은 피부 조직 영역에 주사하는 바늘이 투입 부위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조직 세포 손상 및 피부 외상을 유발할 수 있고 그 효과도 미비하다.
최근 사용되고 있는 필러요법(DF, Dermal Filler)은 주름이나 패인 흉터 등에 사용되며, 콜라겐,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HAP, Hydroxyapatite) 등이 쓰인다. 하지만, 원하는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3~6개월 마다 반복시술을 받아야하기 때문에 외상에 대한 부담과 위험이 크다.
환자의 체내에 약물을 투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예로부터 다양한 약물 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들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은 전통적인 주사기를 사용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주사시의 통증으로 인한 환자들의 불편이 큰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주사 바늘 사용으로 인한 상처 및 이를 통한 감염의 우려 및 숙련된 시술자가 필요하다는 점, 주사기의 재사용이 어려우므로 자원의 낭비가 있다는 점 등 많은 단점들이 있었다.
노화방지 및 치료를 위한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피부 내 용액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가 사용되어진다. 피부재생용 무 바늘 장치는 피부 조직 영역에 주사하는 바늘이 환자 피부의 투입 부위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타겟 층에 원하는 용액을 전달하기 위한 비침습적 장치를 말한다.
피부재생용 무 바늘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피하에 용액을 주입하고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충분한 속도와 에너지, 압력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하며, 특수 제작된 팁을 환자의 피부에 대고 고압의 에어를 이용하여 스프링을 팽창시켜 피하주사 노즐을 통해 용액이 피부를 관통함과 동시에 피부 조직 내로 주입된다.
상술한 종래의 피부재생용 무 바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단점을 갖는다. 초기 피부재생용 무 바늘 약물 전달 시스템은 상호 감염의 우려, 시술시의 스플래쉬-백(splash back) 현상, 정확한 침투 깊이의 조정이 어려워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노즐을 통해 대략 8bar 정도의 고압으로 분사되는 약물이 피부 면에 부딪히며 침투하는 방식이므로, 약물이 피부 면에 닿는 순간 비산현상이 일어나 피부손상과 상당한 통증이 수반되는 단점이 여전히 남아 있어, 기존의 주사기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널리 채용되지는 못하였다.
또한, 피부상태에 따라 스탠드오프를 이용한 4단계만으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한계 때문에 시술 시 편의성 및 응용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의 바늘형 주사기를 대체할 수 있는 피부 내 용액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노화방지 및 치료를 위한 피부재생용 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손상 등의 외상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고, 진피 층까지 충분한 약물이 도달 할 수 있도록 하여, 지속력을 높여 반복시술에 대한 부담을 줄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상태에 알맞은 맞춤시술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피부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등 피부재생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는 피부재생용 의료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
.

Claims (1)

  1. .
KR1020150039880A 2015-03-23 2015-03-23 피부 내 용액 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 KR20160113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880A KR20160113789A (ko) 2015-03-23 2015-03-23 피부 내 용액 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880A KR20160113789A (ko) 2015-03-23 2015-03-23 피부 내 용액 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789A true KR20160113789A (ko) 2016-10-04

Family

ID=5716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880A KR20160113789A (ko) 2015-03-23 2015-03-23 피부 내 용액 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37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6346B2 (en) Bruiseless cannula
WO2008072229A2 (en) Methods for dermal filling using microneedles
Gupta et al. Evidence-based surgical management of post-acne scarring in skin of color
WO2008001377A2 (en) Needleless injections for administering compositions to the skin
Khunger et al. Subcision for depressed facial scars made easy using a simple modification
RU26965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ода канюли с тупым кончиком под кожу пациента
Al-Hage et al. The Needle Versus Cannula
Hertzog et al. The flexible needle, a safe and easy new technique to inject the face
KR20160113789A (ko) 피부 내 용액 주입을 위한 무 바늘 장치
CN108525077A (zh) 颞浅动脉旁穴位注射定点装置
WO2017180279A8 (en) Assistive device for subcutaneous injections or implants
KR20170057553A (ko) 피부미용장치
JPWO2010026644A1 (ja) 医療用無痛注射針
KR102335712B1 (ko) 지방분해용 조성물 및 주입장치
Bragatto et al. Hyaluronic Acid for Nasolabial Folds
de Cerqueira Leite et al. Hyaluronic Acid for Dermic Hydration
CN114432541A (zh) 一种采用耳前方注射拉提的美容注射方法
Ibrahim et al. Filler Injection Techniques
Izzo et al. The Cheek 17
Izzo et al. The Cheek
Choi et al. The Formation of Multiple Milia Induced by Pneumatic Injector Therapy for Scar Remodeling
Rosset et al. Hyaluronic acid in calves defects correction
JP2022016725A (ja) 疼痛軽減方法、液体及び医療器具
Wu et al. A Novel Percutaneous Delivery System—Needle-Free Injection and Its Clinical Applications in Dermatology
KR20170057556A (ko) 피부미용장치용 주사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