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516A - Sar 수치를 감소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Sar 수치를 감소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516A
KR20140110516A KR1020130024993A KR20130024993A KR20140110516A KR 20140110516 A KR20140110516 A KR 20140110516A KR 1020130024993 A KR1020130024993 A KR 1020130024993A KR 20130024993 A KR20130024993 A KR 20130024993A KR 20140110516 A KR20140110516 A KR 20140110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ntenna
value
threshold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평
김용이
장재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0516A/ko
Priority to US14/196,421 priority patent/US9698846B2/en
Publication of KR20140110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26Power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 방법은, 외부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제 1 안테나에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제 1 전력을 인가하는 과정, 상기 제 2 안테나에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제 2 전력을 인가하는 과정 및 상기 제 1 전력 및 상기 제 2 전력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가 상기 송신 데이터를 협력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력 및 상기 제 2 전력의 합계는 제 2 임계치보다 클 수 있다.

Description

SAR 수치를 감소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ECREASING SAR VALU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본 발명은 SAR 수치를 감소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SAR 수치를 감소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전자기파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가 방사하는 전자기파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국내, 외의 여러 기관들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전자기파를 제한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SAR(specific absorption rate)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파가 인체에 얼마나 흡수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SAR는 W/g의 단위를 이용하며, 이는 인체 1g 당 흡수되는 전력량(W)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기파의 인체 유해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SAR 제한 기준이 정립되었다.
한편,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SAR 수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조정하여 빔의 방향이 인체로 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술 또는 안테나를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에 위치시키는 기술 또는 전자파 감쇄기를 장착하는 기술 등을 도입하였다.
또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송신 신호(Tx 신호) 성능의 최적화를 위해서 전계 상황에 대응하여 전력 레벨을 결정한 이후, 3GPP 규격에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전계에 맞는 전력 레벨의 최대 전력으로 송신 신호를 방사하도록 설정하였다.
특히, 근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립 센서를 장착하였으며, 그립 센서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방사하는 전자기파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SAR 수치를 감소시켰다. 다만, 그립 센서를 장착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립 센서가 동작하는 기간 동안에는 송신 신호의 세기가 낮아 통신 성능이 열화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의 송신 성능의 열화 없이 SAR 수치를 감소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외부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제 1 안테나에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제 1 전력을 인가하는 과정; 상기 제 2 안테나에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제 2 전력을 인가하는 과정; 및 상기 제 1 전력 및 상기 제 2 전력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가 상기 송신 데이터를 협력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력 및 상기 제 2 전력의 합계는 제 2 임계치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송신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송신 신호를 협력 송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 외부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제 1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제 2 안테나에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제 2 전력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칩;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상기 제어칩으로부터 입력받아 증폭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로부터 입력된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여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에 각각 출력하는 제 1 변조기 및 제 2 변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력 및 상기 제 2 전력의 합계는 제 2 임계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복수 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외부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전력들을 인가하는 과정;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인가되는 전력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들이 상기 송신 데이터를 협력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인가되는 전력들의 합계는 제 2 임계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복수 개의 안테나에 인가하는 전력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컴퓨터 독출 가능 매체는,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인가하는 전력의 스케줄링에 대한, 전력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인가하는 전력들이 제 1 임계치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인가하는 전력들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인가하는 전력들이 제 1 임계치보다 작고,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인가하는 전력들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생성된 전력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하여, 복수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SAR 수치를 감소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립 센서를 장착하지 않으면서도 SAR 수치를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제작 과정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감축되는 효과가 창출된다. 또한, SAR 수치를 감소시키면서 송신 신호의 일정한 수준의 세기는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이동 통신 모듈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협력 송신을 위한 복수 개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다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의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에 대한 그래프들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고리즘 생성을 위한 알고리즘 생성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및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도시되지 아니함) 및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제1 터치스크린(190a), 제2 터치스크린(190b)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예,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회전,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공급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가능한 간격이 1 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이동 통신 모듈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모듈(120)은 제어칩(CP)(210), 트랜시버(transceiver)(220), 제 1 변조기(230), 제 1 안테나(240), 제 2 변조기(250) 및 제 2 안테나(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칩(120)은, 예를 들어 도 1의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칩(120)은 입력된 송신 데이터를 트랜시버(220)로 출력할 수 있다.
트랜시버(220)는 입력된 송신 데이터를 안테나(240 또는 260)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안테나(240 또는 260)에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트랜시버(220)는 안테나의 송신 또는 수신기간을 결정하거나 조정하는 등의 안테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랜시버(220)는 아울러 송신 신호의 증폭 또는 수신 신호의 필터링(filtering)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220)는 전이중 방식이나 반이중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 1 변조기(230)는 트랜시버(220)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여 제 1 안테나(240)로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변조기(250)는 트랜시버(220)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여 제 2 안테나(250)로 출력할 수 있다.
제 1 변조기(230) 및 제 2 변조기(250)는 예를 들어, AM(Amplitude Modulation), FM(Frequency Modulation), PM(Phase Modulation), ASK(Amplitude-shift keying), FSK(Frequency-shift keying), PSK(Phase-shift keying),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CPM(Continuous phase modulation), TCM( Trellis coded modulation), PCM(Pulse-code modulation), PWM(Pulse-width modulation), PAM(Pulse-amplitude modulation), PPM(Pulse-position modulation), PDM(Pulse-density modulation) 등의 다양한 방식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송신 신호를 안테나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 1 변조기(230)에 의하여 생성되어 제 1 안테나(240)로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제 1 송신 신호라고 명명하며, 제 2 변조기(250)에 의하여 생성되어 제 2 안테나(260)로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제 2 송신 신호라고 명명한다.
제 1 안테나(240)는 제 1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 2 안테나(260)는 제 2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송신 신호 및 제 2 송신 신호는 독립적인 송신 신호가 아닌, 하나의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협력 송신 신호들일 수 있다. 즉, 제 1 안테나(240) 및 제 2 안테나(260)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안테나일 수 있다.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모듈(120)은 MIMO 안테나(240,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240) 및 제 2 안테나(260)는 d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MIMO 안테나를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동 통신 단말기의 관점에서 송신되는 송신 신호의 세기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칩(210)은 제 1 안테나(240) 및 제 2 안테나(260)에 인가되는 전력을 스케줄링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칩(210)은 제 1 안테나(240)에 제 1 전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제 2 안테나(260)에 제 2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240)는 인가되는 제 1 전력에 기초하여 제 1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 2 안테나(260)는 인가되는 제 2 전력에 기초하여 제 2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240)는 제 1 전력에 기초하여서 제 1 송신 신호를 송신하면서, 제 1 SAR 수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 2 안테나(260)는 제 2 전력에 기초하여서 제 2 송신 신호를 송신하면서, 제 2 SAR 수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의 비교 예를 위한 단일 안테나에 제 3 전력을 인가한 경우에, 제 3 송신 신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SAR을 제 3 SAR이라고 명명한다. 아울러, 제 1 송신 신호 및 제 2 송신 신호의 협력 송신에 의하여, 제 3 송신 신호와 동일한 세기를 가지는 것을 상정하도록 한다. 즉, 제 1 안테나(240) 및 제 2 안테나(260)의 협력 송신에 의하여 제 3 송신 신호와 동일한 세기를 유지하여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 각각은 제 3 전력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은 제 3 전력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모듈(120)은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제 1 전력을 제 1 안테나(240)에 인가하고,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제 1 전력을 제 2 안테나(260)에 인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임계치는 예를 들어 단일 안테나에서 특정 SAR 수치, 예를 들어 0.3 mW/g을 발생시키는 전력일 수 있다. 한편, 이동 통신 모듈(120)은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크도록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임계치는, 단일 안테나에서 특정 세기의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의 이동 통신 모듈(120)은 송신 신호의 세기를 특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SAR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더욱 상세하게 후술할 것으로, 이동 통신 모듈(120)은 일정한 세기가 아닌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경되는 전력을 안테나에 인가하도록 인가 전력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변경하는 전력의 최댓값 또한 제 1 임계치보다 클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안테나에 인가되는 전력의 합계는 제 2 임계치보다 작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이동 통신 모듈(120)이 도 2와 같이 2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이동 통신 모듈(120)은 개수에 제한이 없는 복수 개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한 사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협력 송신을 위한 복수 개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송신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S301).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저장된 송신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복수 개의 안테나에 인가하는 전력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S303).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복수 개의 안테나에서 협력 송신되는 송신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크기보다 크면서, 복수 개의 안테나에서 협력 송신되는 송신 신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SAR 수치가 기설정된 SAR 수치보다 작도록, 복수 개의 안테나에 인가하는 전력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력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복수 안테나 각각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S30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복수 안테나 각각은 공급되는 전력으로 송신 신호를 협력 송신할 수 있다(S307).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다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의 흐름도는 도 5의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 그래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송신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S401).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저장된 송신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및 제 2 안테나에 인가하는 전력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S403). 더욱 상세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안테나에 제 1 전력을 인가하도록 스케줄링하고, 제 2 안테나에 제 2 전력을 인가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는 A 수치를 가지는 제 1 전력(501) 및 B 수치를 가지는 제 2 전력(502)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도 5의 경우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501)을 A 수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제 2 전력(502)을 B 수치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력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이 제 1 임계치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405). 여기에서, 제 1 임계치는 단일 안테나에서 기설정된 크기의 SAR을 발생시키는 전력 수치일 수 있다. 제 1 전력이 제 1 임계치 이상인 경우(S405-N),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안테나에 인가하는 전력을 다시 스케줄링할 수 있다(S403). 한편, 제 1 전력이 제 1 임계치 미만으로 판단되면(S405-Y),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2 전력이 제 1 임계치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407). 제 2 전력이 제 1 임계치 이상인 경우(S407-N),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2 안테나에 인가하는 전력을 다시 스케줄링할 수 있다(S403). 한편, 제 2 전력이 제 1 임계치 미만으로 판단되면(S407-Y),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큰 지를 판단할 수 있다(S409). 여기에서, 제 2 임계치는 단일 안테나에서 기설정된 송신 신호 세기를 출력할 수 있는 전력 수치일 수 있다.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 이하로 판단되면(S409-N),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에 인가하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다시 스케줄링할 수 있다(S403).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 초과로 판단되면(S409-Y),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을 제 1 안테나로 인가하며(S411), 제 2 전력을 제 2 안테나로 인가할 수 있다(S413).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의 흐름도는 도 7의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 그래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송신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S501).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저장된 송신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및 제 2 안테나에 인가하는 전력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S503). 더욱 상세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안테나에 시간에 따라서 변경하는 제 1 전력을 인가하도록 스케줄링하고, 제 2 안테나에 시간에 따라 변경하는 제 2 전력을 인가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는 C 수치 및 D 수치를 가지는 제 1 전력(701) 및 C 수치 및 0의 값을 가지는 제 2 전력(711 내지 714)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도 7의 경우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기간(721) 동안에는 C 수치의 전력을 인가하고, 제 2 기간(722) 동안에는 D 수치의 전력을 인가하는 제 1 전력(701)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기간(721) 및 제 2 기간(722)의 제 1 전력 스케줄링을 주기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3 기간(731) 동안에는 전력을 인가하지 않으면서, 제 4 기간(732) 동안에는 C 수치의 전력을 인가하는 제 2 전력(711,712,713,714)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3 기간(731) 및 제 4 기간(732)의 제 2 전력 스케줄링을 주기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의 최댓값, 즉 도 7의 C 수치가 제 1 임계치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605). 여기에서, 제 1 임계치는 단일 안테나에서 기설정된 크기의 SAR을 발생시키는 전력 수치일 수 있다. 제 1 전력의 최댓값이 제 1 임계치 이상인 경우(S605-N),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안테나에 인가하는 전력을 다시 스케줄링할 수 있다(S603). 한편, 제 1 전력의 최댓값이 제 1 임계치 미만으로 판단되면(S605-Y),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2 전력의 최댓값, 즉 도 7의 C 수치가 제 1 임계치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607). 제 2 전력의 최댓값이 제 1 임계치 이상인 경우(S607-N),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2 안테나에 인가하는 전력을 다시 스케줄링할 수 있다(S603). 한편, 제 2 전력의 최댓값이 제 1 임계치 미만으로 판단되면(S607-Y),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큰 지를 판단할 수 있다(S609).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동일 시기에서의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큰 지를 판단할 수 있다(S609). 여기에서, 제 2 임계치는 단일 안테나에서 기설정된 송신 신호 세기를 출력할 수 있는 전력 수치일 수 있다.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 이하로 판단되면(S609-N),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에 인가하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다시 스케줄링할 수 있다(S603).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 초과로 판단되면(S609-Y),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을 제 1 안테나로 인가하며(S611), 제 2 전력을 제 2 안테나로 인가할 수 있다(S613).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에 대한 그래프들이다.
도 8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기간(811) 동안 E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2 기간(812) 동안 F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3 기간(813) 동안 G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4 기간(814) 동안 H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5 기간(815) 동안 I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6 기간(816) 동안 H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7 기간(817) 동안 G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8 기간(818) 동안 F의 수치를 인가하는 제 1 전력(801)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기간(811) 동안 I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2 기간(812) 동안 H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3 기간(813) 동안 G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4 기간(814) 동안 F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5 기간(815) 동안 E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6 기간(816) 동안 F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7 기간(817) 동안 G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8 기간(818) 동안 H의 수치를 인가하는 제 2 전력(802)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내지(811) 제 8 기간(818)의 제 1 및 제 2 전력 인가를 주기적으로 다시 반복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의 최댓값인 E 수치 및 제 2 전력의 최댓값이 E 수치가 제 1 임계값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 1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만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만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도 9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기간(911) 동안 J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2 기간(912) 동안 L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3 기간(913) 동안 W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4 기간(914) 동안 L의 수치를 인가하는 제 1 전력(901)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내지(911) 제 4 기간(914)의 제 1 전력 인가를 주기적으로 다시 반복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K의 수치를 고정적으로 인가하는 제 2 전력(902)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의 최댓값인 J 수치 및 제 2 전력의 K 수치가 제 1 임계값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 1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만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만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도 1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기간(1011) 동안 M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2 기간(1012) 동안 R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3 기간(1013) 동안 N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4 기간(1014) 동안 R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5 기간(1015) 동안 O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6 기간(1016) 동안 R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7 기간(1017) 동안 P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8 기간(1018) 동안 R의 수치를 인가하는 제 1 전력(1001)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내지 제 8 기간의 제 1 전력 인가를 주기적으로 다시 반복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Q의 수치를 고정적으로 인가하는 제 2 전력(1002)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의 최댓값인 M 수치 및 제 2 전력의 Q 수치가 제 1 임계값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 1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만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만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도 11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기간(1111) 동안 S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2 기간(1112) 동안 V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3 기간(1113) 동안 S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4 기간(1114) 동안 V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5 기간(1115) 동안 S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6 기간(1116) 동안 V의 수치를 인가하는 제 1 전력(1101)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기간(1111) 내지 제 5 기간(1115) 동안 U의 수치를 인가하며, 제 6 기간(1116) 동안 T의 수치를 인가하는 제 2 전력(1102)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내지 제 6 기간의 제 1 및 제 2 전력 인가를 주기적으로 다시 반복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의 최댓값인 S 수치 및 제 2 전력의 최댓값이 T 수치가 제 1 임계값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 1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만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만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의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을 스케줄링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스케줄링 방식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고리즘 생성을 위한 알고리즘 생성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알고리즘 생성기는,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조 업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이용하는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것에 이용하는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알고리즘 생성기는 제 1, 2 안테나에 인가하는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S1201). 알고리즘 생성기는 제 1 전력의 최댓값이 제 1 임계치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S1203), 제 2 전력의 최댓값이 제 1 임계치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S1205),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최댓값이 제 2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S1207). 알고리즘 생성기는 S1203 과정, S1205 과정, S1207 과정을 만족한 경우에만 전력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최종 확정하여 저장하며(S1209),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케줄링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임계치는 예를 들어 단일 안테나에서 특정 SAR 수치, 예를 들어 0.3 mW/g을 발생시키는 전력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임계치는, 단일 안테나에서 특정 세기의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력일 수 있다.
알고리즘 생성기에 의하여 저장된 전력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작 시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download)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송신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S1211).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저장부에 저장된 전력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독출하고(S1213), 독출한 전력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안테나에 인가할 전력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S1215).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12a의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알고리즘을 독출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 각각에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S1217,S1219).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12a의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은 제 1 임계치 미만일 수 있으며,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합계는 제 2 임계치 초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픽 화면 갱신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가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0)

  1.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제 1 안테나에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제 1 전력을 인가하는 과정;
    상기 제 2 안테나에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제 2 전력을 인가하는 과정; 및
    상기 제 1 전력 및 상기 제 2 전력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가 상기 송신 데이터를 협력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력 및 상기 제 2 전력의 합계는 제 2 임계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계치는, 단일 안테나에 인가되는 경우에 기설정된 수치의 SAR(specific absortion rate)을 발생시키는 전력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계치는, 단일 안테나에 인가되는 경우에 기설정된 수치의 송신 신호 세기를 가지도록 하는 전력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에 상기 제 1 전력을 인가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일정한 수치의 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에 상기 제 2 전력을 인가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일정한 수치의 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에 상기 제 1 전력을 인가하는 과정은, 최댓값이 상기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에 상기 제 2 전력을 인가하는 과정은, 최댓값이 상기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송신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를 협력 송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
    외부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제 1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제 2 안테나에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제 2 전력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칩;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상기 제어칩으로부터 입력받아 증폭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로부터 입력된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여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에 각각 출력하는 제 1 변조기 및 제 2 변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력 및 상기 제 2 전력의 합계는 제 2 임계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계치는, 단일 안테나에 인가되는 경우에 기설정된 수치의 SAR(specific absortion rate)을 발생시키는 전력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계치는, 단일 안테나에 인가되는 경우에 기설정된 수치의 송신 신호 세기를 가지도록 하는 전력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칩은, 상기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일정한 수치의 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 1 안테나에 상기 제 1 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칩은, 상기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일정한 수치의 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 2 안테나에 상기 제 2 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칩은, 최댓값이 상기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 1 안테나에 상기 제 1 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칩은, 최댓값이 상기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 2 안테나에 상기 제 2 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5. 복수 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전력들을 인가하는 과정;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인가되는 전력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들이 상기 송신 데이터를 협력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인가되는 전력들의 합계는 제 2 임계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계치는, 단일 안테나에 인가되는 경우에 기설정된 수치의 SAR(specific absortion rate)을 발생시키는 전력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계치는, 단일 안테나에 인가되는 경우에 기설정된 수치의 송신 신호 세기를 가지도록 하는 전력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복수 개의 안테나에 인가하는 전력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컴퓨터 독출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인가하는 전력의 스케줄링에 대한, 전력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인가하는 전력들이 제 1 임계치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인가하는 전력들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인가하는 전력들이 제 1 임계치보다 작고,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각각에 인가하는 전력들의 합계가 제 2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생성된 전력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력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컴퓨터 독출 가능 매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계치는, 단일 안테나에 인가되는 경우에 기설정된 수치의 SAR(specific absortion rate)을 발생시키는 전력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출 가능 매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계치는, 단일 안테나에 인가되는 경우에 기설정된 수치의 송신 신호 세기를 가지도록 하는 전력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출 가능 매체.
KR1020130024993A 2013-03-08 2013-03-08 Sar 수치를 감소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10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993A KR20140110516A (ko) 2013-03-08 2013-03-08 Sar 수치를 감소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4/196,421 US9698846B2 (en) 2013-03-08 2014-03-0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ecreasing SAR valu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993A KR20140110516A (ko) 2013-03-08 2013-03-08 Sar 수치를 감소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516A true KR20140110516A (ko) 2014-09-17

Family

ID=5148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993A KR20140110516A (ko) 2013-03-08 2013-03-08 Sar 수치를 감소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98846B2 (ko)
KR (1) KR201401105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647A1 (ko) * 2020-08-26 2022-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82584C2 (ru) * 2011-04-04 2016-04-2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требл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у множества освети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в осветительной системе
KR102207233B1 (ko) * 2014-10-13 202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사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사 전력 제어 방법
CN110149626B (zh) * 2018-02-13 2022-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终端设备发送模式的方法及装置
US11039403B2 (en) * 2018-02-14 2021-06-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nsmission power regulation of antenna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1681A1 (en) * 2005-11-14 2007-05-17 Alberth William P Jr Transmit power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090047998A1 (en) * 2007-08-16 2009-02-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transmission levels for a mobile station having transmit diversity
US8345797B1 (en) * 2008-12-04 2013-01-01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teering matrices for beamforming
US8688163B2 (en) * 2009-12-30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Interaction between accumulative power control and minimum/maximum transmit power in LTE systems
KR101069320B1 (ko) 2010-12-08 2011-10-05 (주)가람솔루션 다중대역에서 향상된 전자파흡수율 특성을 갖는 mimo 안테나
US8942754B2 (en) * 2012-08-07 2015-01-2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vices for allocating power for uplink transmission
US20140213192A1 (en) * 2013-01-31 2014-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pecific absorption rate red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647A1 (ko) * 2020-08-26 2022-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98846B2 (en) 2017-07-04
US20140256378A1 (en)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029B1 (ko)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
CN104393848B (zh) 音量调节方法及装置
KR20140110516A (ko) Sar 수치를 감소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7182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08243481B (zh) 文件传输方法及装置
CN110618805B (zh) 调整设备电量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20150001072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7848A (ko) 배터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사용자 단말
CN106817667A (zh) 一种实现立体声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150006236A (ko) 테더링 분배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중앙 중계기
KR20140130975A (ko)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5285B1 (ko) 데이터 송수신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US20220020383A1 (en) Method for adding watermark information, method for extracting watermark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KR20160039400A (ko) 콘텐츠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N104065888A (zh) 通信终端视频制作方法及制作装置
KR20150001891A (ko) 질문 메시지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4040319B (zh) 一种终端设备外放音质优化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20140089868A (ko) 하이브리드 위젯을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4666744B (zh) 近距离通信设备连接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产品
US201402958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CN108810596B (zh) 一种视频编辑方法、装置及终端
KR2017002523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6744187B (zh) 扬声器控制方法及设备
KR102426752B1 (ko) 테더링 분배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중앙 중계기
CN109067991B (zh) 一种音量调节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