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271A -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271A
KR20140110271A KR1020130024310A KR20130024310A KR20140110271A KR 20140110271 A KR20140110271 A KR 20140110271A KR 1020130024310 A KR1020130024310 A KR 1020130024310A KR 20130024310 A KR20130024310 A KR 20130024310A KR 20140110271 A KR20140110271 A KR 20140110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upplied
emission control
pixe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7660B1 (ko
Inventor
조세일
전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660B1/ko
Priority to US14/185,900 priority patent/US9501162B2/en
Priority to CN201410078653.1A priority patent/CN104036698B/zh
Publication of KR20140110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를 위해 화소에 구비되는 전극을 터치스크린패널의 전극으로도 활용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는, 서로 교차하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상기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며 제1 및 제2 화소전극을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이 배열되는 화소부와; 상기 화소부 상에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터치전극들과; 상기 화소부 상에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터치전극들과 이격되도록 대향 배치되는 제2 터치전극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터치전극들은 상기 제2 화소전극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어 구현되며, 상기 제1 터치전극들 중 하나 이상의 제1 터치전극에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나머지 제1 터치전극들에는 제2 화소전원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Display Device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표시를 위해 화소에 구비되는 전극을 터치스크린패널의 전극으로도 활용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패널은 액정 표시장치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같은 표시장치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스크린패널은 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단, 터치스크린패널을 별도로 제작하여 표시장치의 외면에 부착하게 되면, 표시장치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고 영상의 시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공정시간 및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표시를 위해 화소에 구비되는 전극을 터치스크린패널의 전극으로도 활용함에 의해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영상을 표시하는 기간 중에 터치스크린패널을 동시 구동하여 시간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구동시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로 교차하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상기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며 제1 및 제2 화소전극을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이 배열되는 화소부와; 상기 화소부 상에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터치전극들과; 상기 화소부 상에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터치전극들과 이격되도록 대향 배치되는 제2 터치전극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터치전극들은 상기 제2 화소전극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어 구현되며, 상기 제1 터치전극들 중 하나 이상의 제1 터치전극에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나머지 제1 터치전극들에는 제2 화소전원이 공급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는 상기 주사선들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발광제어선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구동신호를 공급받는 제1 터치전극이 배치된 영역의 화소들에 접속된 발광제어선들은, 적어도 상기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상기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상기 화소들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터치전극들은 상기 주사선들 및 발광제어선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터치전극들 각각은 복수의 주사선들 및 발광제어선들이 배치된 다수의 화소라인에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제어선들로는 상기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발광제어신호가 순차적으로 쉬프트되면서 공급되되, 동일한 제1 터치전극이 형성된 영역에 배치된 발광제어선들로 공급되는 발광제어신호는, 적어도 상기 제1 터치전극으로 상기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일 영역이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제어선들 중 동일한 제1 터치전극이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된 발광제어선들은 동일한 발광제어신호를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제어선들 중 동일한 제1 터치전극이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된 발광제어선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들은 적어도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화소전극은 각각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노드 전극은 화소 단위로 분리되어 패터닝되고, 상기 캐소드 전극은 상기 제1 터치전극 단위로 분리되어 패터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화소전극으로는 제1 화소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2 화소전극으로는 상기 제2 화소전원 및 상기 터치구동신호가 교번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터치전극에 공급되는 상기 터치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터치전극들에 인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여부 및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화소들에 구비된 화소전극을 터치구동을 위한 제1 터치전극으로 활용하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공급하면서 화소들을 라인 단위로 선택하고, 상기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면서 선택된 화소들에 데이터신호를 기입함과 아울러, 상기 주사선들과 나란하게 형성된 발광제어선들로 발광제어신호를 공급하면서 상기 화소들의 발광기간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들 및 발광제어선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터치전극들로 순차적으로 터치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될 때 상기 제1 터치전극들과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 터치전극들에 인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여부 및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전극들 중 상기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는 제1 터치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제1 터치전극들로는 화소전원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는 제1 터치전극이 형성된 영역의 화소들로, 상기 발광제어선들을 통해 상기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하는 발광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터치전극들 각각은 복수의 주사선들 및 발광제어선들이 배치된 다수의 화소라인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제어선들로 상기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쉬프트하면서 공급하되, 상기 터치구동신호를 공급받는 제1 터치전극이 형성된 영역에 배치된 발광제어선들로 공급되는 발광제어신호가, 적어도 상기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중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터치전극들 각각은 복수의 주사선들 및 발광제어선들이 배치된 다수의 화소라인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제어선들 중 동일한 제1 터치전극이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된 발광제어선들로, 상기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하는 발광제어신호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의 표시를 위해 화소 내에 구비되는 화소전극을 패터닝하여 터치스크린패널의 구현을 위한 터치전극들로 활용함에 의해 구조를 단순화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전극들로 순차적으로 터치구동신호를 공급하여 터치여부 및 위치를 감지하되, 상기 터치전극들 중 해당 기간에 상기 터치구동신호를 공급받는 터치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터치전극들로는 화소전원을 공급하여 화소전극으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는 기간 중에 터치스크린패널을 동시 구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간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구동시간을 확보하여 터치스크린패널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화소부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터치전극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화소부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편의상 도 2에서는 제n 주사선 및 제n 발광제어선(Sn, En)과 제m 데이터선(Dm)에 접속된 화소의 구조를 도시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는, 화소부(20), 주사 구동부(30), 발광제어 구동부(40), 데이터 구동부(50), 제1 전원 구동부(60), 제2 전원 구동부(70) 및 타이밍 제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부(20)는, 서로 교차하는 주사선들(S1 내지 Sn) 및 데이터선들(D1 내지 Dm)과, 상기 주사선들(S1 내지 Sn)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발광제어선들(E1 내지 En)과, 상기 주사선들(S1 내지 Sn), 데이터선들(D1 내지 Dm) 및 발광제어선들(E1 내지 En)의 교차부에 위치되도록 배열된 다수의 화소들(10)을 포함한다.
화소들(10) 각각은,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구동하기 위한 화소회로(12)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은 화소회로(12)를 경유하여 제1 화소전원(ELVDD)에 연결되고, 캐소드 전극은 제2 화소전원(ELVSS)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화소회로(12)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류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즉, 화소들(10) 각각은 제1 화소전극 및 제2 화소전극을 포함하며, 일례로 제1 화소전극은 제1 화소전원(ELVDD)을 공급받는 애노드 전극으로 설정되고, 제2 화소전극은 제2 화소전원(ELVSS)을 공급받는 캐소드 전극으로 설정될 수 있다.
화소회로(12)는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M1 내지 M3)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M1)의 제1 전극은 데이터선(Dm)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제1 노드(N1)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서로 다른 전극으로, 예컨대 제1 전극이 소스 전극으로 설정되면 제2 전극은 드레인 전극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Sn)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1 트랜지스터(M1)는 주사선(Sn)으로부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M1)가 턴-온될 수 있는 전압(예컨대, 로우전압)의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선(Dm)과 제1 노드(N1)를 연결한다. 이때, 데이터선(Dm)으로는 해당 화소(10)의 데이터신호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제1 노드(N1)로 데이터신호가 전달된다. 제1 노드(N1)로 전달된 데이터신호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전된다.
제2 트랜지스터(M2)의 제1 전극은 제1 화소전원(ELVDD)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제3 트랜지스터(M3)를 경유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전극은 제1 노드(N1)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2 트랜지스터(M2)는 제1 노드(N1)의 전압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구동전류의 양을 제어한다.
제3 트랜지스터(M3)의 제1 전극은 제2 트랜지스터(M2)의 제2 전극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3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전극은 발광제어선(En)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3 트랜지스터(M3)는 발광제어선(En)으로부터 상기 제3 트랜지스터(M3)를 턴-오프시킬 수 있는 전압(예컨대, 하이전압)의 발광제어신호가 공급되는 비발광기간 동안 턴-오프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구동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공급이 중단되는 발광기간 동안 턴-온되어 제2 트랜지스터(M2)로부터의 구동전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도록 한다. 즉, 발광제어신호는 화소회로(12)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것으로, 소정의 비발광기간, 일례로 데이터기입 기간 동안 상기 화소회로(12)로부터의 구동전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은 제1 화소전원(ELVDD)에 연결되고, 다른 전극은 제1 노드(N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 노드(N1)로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하고, 다음 프레임의 데이터신호가 기입될 때까지 충전된 전압을 유지한다.
한편, 편의상 도 2에서는 데이터신호의 기입 및 저장을 위한 제1 트랜지스터(M1)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와, 상기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전류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하기 위한 제2 트랜지스터(M2)와, 화소(10)의 발광기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3 트랜지스터(M3)를 포함한 비교적 단순한 구조의 화소(10)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제로, 화소회로(12)는 제2 트랜지스터(M2)의 문턱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소자나 제1 노드(N1)를 초기화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소자 등 다른 회로소자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화소(10)는 해당 수평라인의 주사기간 동안 주사선(Sn)으로부터 공급되는 주사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데이터선(Dm)으로부터 데이터신호를 공급받음과 아울러, 발광제어선(En)으로부터 공급되는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발광기간이 제어된다.
이때, 제3 트랜지스터(M3)를 턴-오프시키는 발광제어신호가 공급되는 비발광기간 중에는 제2 트랜지스터(M2)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면서 화소(10) 내에서 구동전류의 전류패스가 차단되고, 상기 제3 트랜지스터(M3)가 턴-온되는 발광기간 중에는 제1 화소전원(ELVDD)으로부터 제2 트랜지스터(M2), 제3 트랜지스터(M3)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경유하여 제2 화소전원(ELVSS)으로 향하는 구동전류의 전류패스가 형성되면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가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단, 블랙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신호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비발광)하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주사 구동부(30)는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를 공급하면서 한 프레임 내의 각 수평기간 마다 데이터신호를 공급받을 화소라인(수평 화소라인)을 선택한다. 이를 위해, 주사 구동부(30)는 일례로 순차적으로 쉬프트되는 주사신호를 주사선들(S1 내지 Sn)로 공급하면서 상기 주사선들(S1 내지 Sn)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발광제어 구동부(40)는 발광제어선들(E1 내지 En)로 발광제어신호를 공급하면서 적어도 화소라인 단위로 화소들(10)의 발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발광제어 구동부(40)는 각 화소라인의 데이터기입 기간을 포함한 소정의 비발광기간 동안 해당 화소라인의 발광제어선(E)으로 발광제어신호를 공급하여 화소들(10)이 비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발광제어 구동부(40)도 일례로 순차적으로 쉬프트되는 형태의 발광제어신호를 발광제어선들(E1 내지 En)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면서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공급받은 화소들(10)이 비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때 복수의 발광제어선들(E)로 공급되는 발광 제어신호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발광제어 구동부(40)는 복수의 발광제어선들(E)로 동일한 발광제어신호를 동시에 공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발광제어선들(E)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발광제어 구동부(40)의 동작은 터치스크린패널의 구동과 연계되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데이터 구동부(50)는 타이밍 제어부(8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신호를 데이터선들(D1 내지 Dm)을 통해 화소들(10)로 공급한다.
제1 전원 구동부(60)는 제1 전원선(65)을 통해 각 화소(10)로 제1 화소전원(ELVDD)을 공급한다. 일례로, 제1 전원 구동부(6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1 화소전원(ELVDD)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전원 구동부(70)는 제2 전원선(75)을 통해 각 화소(10)로 제2 화소전원(ELVSS) 혹은 터치구동신호(Td)를 공급한다. 단, 본 발명에서 제2 전원선(75)은 후술할 제1 터치전극들과 연결되며, 각각의 제1 터치전극들로 상이한 기간에 터치구동신호(Td)를 공급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원선으로 나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1 터치전극들은 제1 및 제2 화소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예컨대 제2 화소전극(캐소드 전극)이 패터닝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화소전극으로는 제2 화소전원(ELVSS) 및 터치구동신호(Td)가 교번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화소(10)의 발광기간 동안 제2 화소전극으로 제2 화소전원(ELVSS)이 공급되고, 상기 화소(10)의 비발광기간 중 적어도 일부의 기간 동안 상기 제2 화소전극으로 터치구동신호(Td)가 공급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8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주사 구동부(30), 발광제어 구동부(40) 및 데이터 구동부(50)를 제어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80)는 제1 전원 구동부(60) 및/또는 제2 전원 구동부(70)를 추가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터치전극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편의상, 도 4에서는 화소부의 각 수직 화소라인마다 제2 터치전극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제2 터치전극의 위치를 명확히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터치전극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 화소라인들마다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서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패널을 그 예로서 개시하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패널의 구현을 위한 터치전극들은, 제1 방향(예컨대,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터치전극들(110)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예컨대,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터치전극들(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터치전극들(110) 및 제2 터치전극들(120)은 서로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면서 정전용량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 터치전극들(110)은 터치구동신호(Td)를 공급받는 Tx 전극으로 설정되고, 제2 터치전극들(120)은 상기 터치구동신호(Td)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Rx 전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구동신호(Td)는 일례로 제1 전압과 제2 전압 사이를 스윙하는 구형파로 설정될 수 있고, 터치스크린패널은 제1 터치전극들(110)로 공급되는 터치구동신호(Td)의 전압이 변경될 때 제2 터치전극들(120)에 인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여부 및 위치를 감지하는 상호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의 터치스크린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터치전극들(110, 12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화소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터치전극들(110, 120)의 하부에는 화소들(10)이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터치전극들(110, 120)은 화소들(10)로부터의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터치전극들(110, 120)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께나 폭, 혹은 패턴형상 등이 조절된 불투명 금속과 같은 여타 도전성 물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및 제2 터치전극들(110, 12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그래핀(Graphene), CNT(Carbon Nano Tube), AgNWs(Silver Nanowir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터치전극들(110, 120)은 터치입력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정밀도를 갖는 정도로 복수 개씩 구비될 수 있으며, 화소들(10)의 모든 수평라인 및 수직라인마다 하나씩 구비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제1 터치전극들(110)은 복수의 수평 화소라인들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터치전극들(110)은 도 1에 도시된 주사선들(S1 내지 Sn) 및 발광제어선들(E1 내지 En)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제1 터치전극들(110) 각각은 복수의 주사선들(S) 및 발광제어선들(E)이 배치된 다수의 수평 화소라인에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터치전극들(120)도 복수의 수직 화소라인마다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제2 터치전극들(120)이 화소들(10)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제2 터치전극들(120)의 투명도가 충분히 확보되는 경우 이들은 화소들(10)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 본 발명에서 터치전극들(110, 120) 중 적어도 일부, 예컨대, 제1 터치전극들(110)은 화소들(10)에 구비된 화소전극과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전극들(110)은 화소들(10)에 구비된 제2 화소전극이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화소(10)의 구조를 설명하면, 화소(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이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일례로, 도 2의 제3 트랜지스터(M3))를 포함한다. 편의상, 도 4에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이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트랜지스터(Tr)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트랜지스터(Tr)는, 유리,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기판(200) 상에 형성되고, 이러한 트랜지스터(Tr) 상에는 평탄화층(210)이 형성된다.
평탄화층(210)은 질화막 또는 산화막 등과 같은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층(210) 상에는 컨택홀(212)을 통해 트랜지스터(Tr)와 연결되는 제1 화소전극(애노드 전극)(230)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1 화소전극(230) 상에 발광층(240) 및 제2 화소전극(캐소드 전극)(110)이 차례로 적층되면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구성한다.
한편, 제1 화소전극(230)은 화소(10) 단위로 분리되어 패터닝될 수 있고, 이웃한 화소들 사이에는 화소정의막(220)이 형성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220)은 아크릴(Acryl)계 유기화합물,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의 유기 절연물질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의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화소전극(110)은 영상표시만을 위해서는 굳이 분리 패터닝될 필요는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 제2 화소전극(110)은 제1 터치전극(110)과 일체로 구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터치전극(110)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패턴으로 분리되어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패터닝된 형태로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즉, 제2 화소전극(110)은 제1 터치전극 단위로 분리되어 패터닝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화소전극(110)은 화소(10)의 발광기간 중에는 제2 화소전원(ELVSS)을 공급받아 캐소드 전극으로 기능하고, 화소(10)의 비발광기간 중 적어도 일 기간 동안 터치구동신호(Td)를 공급받아 제1 터치전극으로 기능한다. 즉, 제2 화소전극(110)으로는 제2 화소전원(ELVSS)과 터치구동신호(Td)가 교번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화소전극(110) 상에는 절연부재(260)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260) 상에는 제2 터치전극들(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절연부재(260)는 제1 터치전극으로 기능하는 제2 화소전극(110)과 제2 터치전극들(120)을 안정적으로 이격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서는 상기 절연부재(260)가 전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절연부재(260)는 국부적으로 다수 배치되는 스페이서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 터치전극들(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전극들(110)과 교차하도록 제2 방향으로 길게 패터닝된 형태로,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터치전극들(120)은 일례로 비발광영역인 화소정의막(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는, 영상의 표시를 위해 화소(10)에 구비되는 화소전극(예컨대, 제2 화소전극)(110)을 패터닝하여 터치스크린패널의 구현을 위한 터치전극들(예컨대, 제1 터치전극들)로 활용한다. 이에 의해, 구조가 단순화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는, 제1 터치전극들(110)로 순차적으로 터치구동신호(Td)를 공급하면서 제2 터치전극들(120)에 인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여부 및 위치를 감지하되, 제1 터치전극들(110) 중 해당 기간에 터치구동신호(Td)를 공급받는 제1 터치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제1 터치전극들로는 제2 화소전원(ELVSS)을 공급하여 화소전극으로 기능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기간 중에 터치스크린패널을 동시 구동할 수 있게 되면서 시간활용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패널의 구동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터치스크린패널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광제어선들(E1, E2, ...)로는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제어하는 하이전압의 발광제어신호가 순차적으로 쉬프트되면서 공급되되, 상기 발광제어신호는 적어도 일 영역이 중첩되는 형태로 쉬프트되면서 공급된다.
특히, 동일한 제1 터치전극(Tx)이 형성된 영역에 배치된 발광제어선들(E1 내지 Ek, Ek+1 내지 E2k, ...)로 공급되는 발광제어신호는, 적어도 해당 제1 터치전극(Tx)에 터치구동신호(Td)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중첩되도록 공급된다.
즉, 터치구동신호(Td)를 공급받는 제1 터치전극(Tx)이 배치된 영역의 화소들에 접속된 발광제어선들(E)은, 적어도 상기 터치구동신호(Td)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발광제어신호를 화소들로 공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터치전극(Tx) 단위의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첫 번째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1 터치전극(Tx1)으로 터치구동신호(Td)가 공급되는 제1 기간(P1) 동안, 상기 첫 번째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1 터치전극(Tx1)과 중첩되는 화소들의 발광제어선들(E1 내지 Ek)은 자신과 접속된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상기 화소들로 공급한다.
또한, 제1 터치전극(Tx) 단위의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두 번째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1 터치전극(Tx2)으로 터치구동신호(Td)가 공급되는 제2 기간(P2) 동안에는, 상기 두 번째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1 터치전극(Tx2)과 중첩되는 화소들의 발광제어선들(Ek+1 내지 E2k)이 자신과 접속된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상기 화소들로 공급하고, 세 번째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1 터치전극(Tx3)으로 터치구동신호(Td)가 공급되는 제3 기간(P3) 동안에는, 상기 세 번째 수평라인에 배치된 제1 터치전극(Tx3)과 중첩되는 화소들의 발광제어선들(E2k+1 내지 E3k)이 자신과 접속된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상기 화소들로 공급하며,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모든 제1 터치전극들(Tx)로 순차적으로 터치구동신호(Td)가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들로 발광제어신호가 공급되는 비발광기간 동안에는 화소 내에 구동전류의 전류패스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캐소드 전극에 터치구동신호(Td)가 공급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제1 터치전극들(Tx) 중 하나 이상의 제1 터치전극에 터치구동신호(Td)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해당 기간에 터치구동신호(Td)를 공급받는 제1 터치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제1 터치전극들에는 제2 화소전원(ELVSS)이 공급된다. 이에 의해, 화소들의 발광기간 중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캐소드 전극에 제2 화소전원(ELVSS)이 공급되므로 화소들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일례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를 공급하면서 화소들(10)을 라인 단위로 선택하고, 상기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면서 선택된 화소들(10)에 데이터신호를 기입함과 아울러, 상기 주사선들(S1 내지 Sn)과 나란하게 형성된 발광제어선들(E1 내지 En)로 발광제어신호를 공급하면서 화소들의 발광기간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되, 화소들(10)에 구비된 화소전극(예컨대, 제2 화소전극)(110)을 터치구동을 위한 제1 터치전극으로 활용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영상표시를 위한 기간과 터치구동을 위한 기간을 시분할적으로 나누어 구동하지 않고 영상표시와 터치구동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주사선들(S1 내지 Sn) 및 발광제어선들(E1 내지 En)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터치전극들(Tx1, Tx2, ...)로 순차적으로 터치구동신호(Td)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구동신호(Td)가 공급될 때 제1 터치전극들(Tx1, Tx2, ...)과 교차되도록 이격 형성된 제2 터치전극들(Rx1, Rx2, ...)에 인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여부 및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 터치전극들(Tx1, Tx2, ...) 중 해당 기간에 터치구동신호(Td)가 공급되는 제1 터치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제1 터치전극들로는 화소전원(예컨대, 제2 화소전원(ELVSS))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터치전극들(Tx)로 순차적으로 터치구동신호(Td)를 공급하여 터치여부 및 위치를 감지하되, 상기 제1 터치전극들(Tx) 중 해당 기간에 터치구동신호(Td)를 공급받는 제1 터치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터치전극들로는 제2 화소전원(ELVSS)을 공급하여 제2 화소전극으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는 기간 중에 터치스크린패널을 동시 구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간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제1 터치전극들(Tx)의 충전에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등 터치스크린패널을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각각의 발광제어선들(E1, E2, ...) 단위로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제어하는 하이전압의 발광제어신호가 순차적으로 쉬프트되면서 공급되는 실시예를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제어선들(E)로 동일한 발광제어신호가 동시에 공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편의상, 도 6 내지 도 7을 설명할 때 도 5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발광제어선들(E1, E2, ...) 중 동일한 제1 터치전극(Tx)이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된 발광제어선들(E1 내지 Ek, Ek+1 내지 E2k, ...)로 동일한 발광제어신호를 동시에 공급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발광제어선들(E1, E2, ...) 단위로 순차적으로 발광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대신, 각각의 제1 터치전극(Tx) 단위로 발광제어선들(E1 내지 Ek, Ek+1 내지 E2k, ...)에 순차적으로 발광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례로 발광제어선들(E1, E2, ...) 중 동일한 제1 터치전극(Tx)이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된 발광제어선들(E1 내지 Ek, Ek+1 내지 E2k, ...)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터치구동기간(P1, P2, P3, ...), 즉 각각의 제1 터치전극(Tx) 단위로 발광제어신호가 중첩되는 터치구동기간(P1, P2, P3, ...) 동안만 발광제어신호가 공급되도록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 감소된 발광제어신호의 폭은 해당 발광제어선들(E1 내지 Ek, Ek+1 내지 E2k, ...)에 접속된 화소들이 주사신호에 의해 수평 라인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되면서 데이터신호를 기입하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각 터치구동기간(P1, P2, P3)이 유지되는 시간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지하면서 발광제어신호의 폭을 감소시켜 이를 화소들의 발광시간으로 활용함으로써 휘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로 발광제어신호의 폭을 유지할 수도 있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동일한 제1 터치전극(Tx)이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된 발광제어선들(E1 내지 Ek, Ek+1 내지 E2k, ...)이 동일한 발광제어신호를 동시 공급받으므로, 상기 발광제어신호가 공급되는 비발광기간을 모두 터치구동기간(P1, P2, P3, ...)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많은 터치구동시간이 확보되어 터치스크린패널의 감도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화소 20: 화소부
30: 주사 구동부 40: 발광제어 구동부
50: 데이터 구동부 60: 제1 전원 구동부
70: 제2 전원 구동부 80: 타이밍 제어부
110: 제2 화소전극/제1 터치전극 120: 제2 터치전극
230: 제1 화소전극 240: 발광층

Claims (15)

  1. 서로 교차하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상기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며 제1 및 제2 화소전극을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이 배열되는 화소부와;
    상기 화소부 상에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터치전극들과;
    상기 화소부 상에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터치전극들과 이격되도록 대향 배치되는 제2 터치전극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터치전극들은 상기 제2 화소전극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어 구현되며, 상기 제1 터치전극들 중 하나 이상의 제1 터치전극에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나머지 제1 터치전극들에는 제2 화소전원이 공급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들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발광제어선들을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구동신호를 공급받는 제1 터치전극이 배치된 영역의 화소들에 접속된 발광제어선들은, 적어도 상기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상기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상기 화소들로 공급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전극들은 상기 주사선들 및 발광제어선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터치전극들 각각은 복수의 주사선들 및 발광제어선들이 배치된 다수의 화소라인에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선들로는 상기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발광제어신호가 순차적으로 쉬프트되면서 공급되되, 동일한 제1 터치전극이 형성된 영역에 배치된 발광제어선들로 공급되는 발광제어신호는, 적어도 상기 제1 터치전극으로 상기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일 영역이 중첩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선들 중 동일한 제1 터치전극이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된 발광제어선들은 동일한 발광제어신호를 동시에 공급받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선들 중 동일한 제1 터치전극이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된 발광제어선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들은 적어도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화소전극은 각각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인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은 화소 단위로 분리되어 패터닝되고, 상기 캐소드 전극은 상기 제1 터치전극 단위로 분리되어 패터닝된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전극으로는 제1 화소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2 화소전극으로는 상기 제2 화소전원 및 상기 터치구동신호가 교번적으로 공급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전극에 공급되는 상기 터치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터치전극들에 인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여부 및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12. 화소들에 구비된 화소전극을 터치구동을 위한 제1 터치전극으로 활용하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공급하면서 화소들을 라인 단위로 선택하고, 상기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면서 선택된 화소들에 데이터신호를 기입함과 아울러, 상기 주사선들과 나란하게 형성된 발광제어선들로 발광제어신호를 공급하면서 상기 화소들의 발광기간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들 및 발광제어선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터치전극들로 순차적으로 터치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될 때 상기 제1 터치전극들과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 터치전극들에 인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여부 및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전극들 중 상기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는 제1 터치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제1 터치전극들로는 화소전원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는 제1 터치전극이 형성된 영역의 화소들로, 상기 발광제어선들을 통해 상기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하는 발광제어신호를 공급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전극들 각각은 복수의 주사선들 및 발광제어선들이 배치된 다수의 화소라인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제어선들로 상기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쉬프트하면서 공급하되, 상기 터치구동신호를 공급받는 제1 터치전극이 형성된 영역에 배치된 발광제어선들로 공급되는 발광제어신호가, 적어도 상기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중첩되도록 제어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전극들 각각은 복수의 주사선들 및 발광제어선들이 배치된 다수의 화소라인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제어선들 중 동일한 제1 터치전극이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된 발광제어선들로, 상기 화소들이 비발광하도록 하는 발광제어신호를 동시에 공급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30024310A 2013-03-07 2013-03-07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57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310A KR102057660B1 (ko) 2013-03-07 2013-03-07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4/185,900 US9501162B2 (en) 2013-03-07 2014-02-20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201410078653.1A CN104036698B (zh) 2013-03-07 2014-03-05 集成有触摸屏面板的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310A KR102057660B1 (ko) 2013-03-07 2013-03-07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271A true KR20140110271A (ko) 2014-09-17
KR102057660B1 KR102057660B1 (ko) 2019-12-23

Family

ID=5146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310A KR102057660B1 (ko) 2013-03-07 2013-03-07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01162B2 (ko)
KR (1) KR102057660B1 (ko)
CN (1) CN10403669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035A (ko) * 2016-12-28 2018-07-06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표시 장치
KR20190016858A (ko) * 2017-08-09 2019-0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전자기기 및 토글링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934B1 (ko) * 2014-11-28 2021-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7710126A (zh) * 2015-07-09 2018-02-16 夏普株式会社 带触摸面板的显示装置
CN105047609B (zh) * 2015-08-27 2018-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触控显示装置
CN105677128B (zh) * 2016-03-21 2019-05-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3d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触控驱动装置、显示装置
KR102458968B1 (ko) * 2016-05-18 2022-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1653583A (zh) * 2016-06-14 2020-09-11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180044491A (ko) * 2016-10-21 2018-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331263B2 (en) * 2016-11-23 2019-06-25 Superc-Touch Corporation OLED display panel with touch sensing electrodes
CN106653813B (zh) * 2016-12-26 2019-01-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oled的内置式触控显示面板
US11635832B2 (en) 2017-02-17 2023-04-25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of driving touch panel and touch with display driver system using the same
KR102350396B1 (ko) * 2017-07-27 2022-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열화 센싱 방법
CN109388273B (zh) * 2017-08-14 2020-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电子装置
KR102412232B1 (ko) * 2017-11-17 2022-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762551B (zh) * 2018-05-16 2021-10-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装置及其驱动方法
JP7106402B2 (ja) * 2018-09-11 2022-07-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640389B2 (ja) * 2019-01-08 2020-02-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入力装置及び表示装置
CN109671398B (zh) * 2019-02-28 2020-05-15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的驱动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2269492B (zh) * 2020-10-30 2024-01-3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装置、触控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CN112363641A (zh) * 2020-11-24 2021-02-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触控扫描方法、tpic芯片、ddic芯片及模组
KR20220169063A (ko) * 2021-06-17 2022-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3467640B (zh) * 2021-06-30 2023-09-0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的驱动方法、驱动电路及触控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3394B2 (ja) * 2004-04-27 2010-06-3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KR100624317B1 (ko) 2004-12-24 2006-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주사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KR100805542B1 (ko) 2004-12-24 2008-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645700B1 (ko) 2005-04-28 2006-1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주사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US8259078B2 (en) 2006-06-09 2012-09-04 Apple Inc. Touch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08216726A (ja) 2007-03-06 2008-09-18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液晶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0858615B1 (ko) 2007-03-22 2008-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7636501B2 (en) 2007-12-31 2009-12-22 Alcatel-Lucent Usa Inc. QAM optical modulators
JP5481040B2 (ja) 2008-04-11 2014-04-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JP5067763B2 (ja) * 2008-10-08 2012-11-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接触検出装置、表示装置および接触検出方法
KR101101070B1 (ko) 2009-10-12 2011-12-3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030001B1 (ko) 2009-11-26 2011-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상기 구동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47427B1 (ko) 2010-03-02 2012-05-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260665B1 (ko) 2010-10-08 2013-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내장형 액정 표시 장치
KR101230146B1 (ko) 2010-10-29 2013-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8650010B2 (en) 2010-11-02 2014-02-11 Tektroni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est signal with emulated crosstalk
KR101871188B1 (ko) 2011-02-17 2018-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773613B1 (ko) 2011-02-25 2017-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일체형 표시장치
JP5778961B2 (ja) * 2011-03-29 2015-09-16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819678B1 (ko) 2011-04-07 2018-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를 가지는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865586B1 (ko) 2011-04-08 2018-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EP2754017B1 (en) 2011-09-07 2021-03-03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sensing during non-display update times
JP5661015B2 (ja) * 2011-09-30 2015-01-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905793B1 (ko) 2012-06-04 2018-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1416003B1 (ko) 2012-06-20 2014-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44503B1 (ko) 2012-06-21 2019-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KR101480315B1 (ko) 2012-08-16 2015-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464172B1 (ko) 2012-09-27 2014-1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05924B1 (ko) 2012-10-23 2013-09-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04924B1 (ko) 2012-12-09 2019-10-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인식 방법
KR101964845B1 (ko) 2013-01-30 2019-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035A (ko) * 2016-12-28 2018-07-06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표시 장치
US10572047B2 (en) 2016-12-28 2020-02-25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US11073930B2 (en) 2016-12-28 2021-07-27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KR20190016858A (ko) * 2017-08-09 2019-0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전자기기 및 토글링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36698A (zh) 2014-09-10
KR102057660B1 (ko) 2019-12-23
US20140253502A1 (en) 2014-09-11
CN104036698B (zh) 2019-06-11
US9501162B2 (en)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660B1 (ko)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11435B1 (ko)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669182B2 (en) Method of driving touch panel and touch with display driver system using the same
KR102061108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
US9880667B2 (en) Touch screen display device
US10128320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P3316087B1 (en) In-cell touch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KR10190579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088416B1 (ko)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KR20180059633A (ko)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599283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80057775A (ko)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50039933A (ko)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KR20190060910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50019012A (ko)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WO2019105102A1 (zh) 触控面板、触控设备和制造触控面板的方法
US20190155438A1 (en) Touch input device
KR20170120261A (ko) 터치 입력 장치
CN109857285B (zh) 触摸显示面板、触摸检测电路、显示装置和电子设备
JPWO2016208233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スマートデバイス、および照明装置
KR102001471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6185775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スマートデバイス、および照明装置
CN107424558B (zh) 一种发光驱动电路及有机发光显示面板
KR102646488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70120528A (ko) 터치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