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775A -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775A
KR20180057775A KR1020160155246A KR20160155246A KR20180057775A KR 20180057775 A KR20180057775 A KR 20180057775A KR 1020160155246 A KR1020160155246 A KR 1020160155246A KR 20160155246 A KR20160155246 A KR 20160155246A KR 20180057775 A KR20180057775 A KR 20180057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electrode
voltage
wir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호
서상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7775A/ko
Priority to US15/715,124 priority patent/US10608057B2/en
Priority to CN201710983472.7A priority patent/CN108091669B/zh
Priority to DE102017125927.9A priority patent/DE102017125927B4/de
Publication of KR20180057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55
    • H01L27/3272
    • H01L27/3276
    • H01L51/52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9Chipl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기판 상에 형성되며,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표시부 상에 배치되며, 터치지점을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전극, 기판 상에 표시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에 교류전압과 정전압을 각각 전달하는 링크부, 복수의 터치전극에 연결되어 터치신호를 전송하는 터치전극라인, 및 터치전극라인과 링크부 사이에 터치전극라인과 링크부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정전압이 인가되는 차폐층을 포함하는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두께를 얇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표시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터치전극을 통해 터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INCLUDING TOUCH ELECTRODE}
본 발명은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채용하여 영상을 표현하는 표시장치이다.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소자로써,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는데, 표시장치의 화면을 터치하여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를 위해 표시장치의 화면상에 터치패널을 배치하고 사용자가 표시장치의 화면을 보면서 터치를 함으로써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유기발광표시장치 상에 터치 패널이 위치하게 되면, 터치패널로 인하여 표시장치가 두껍고 무거우며 휘도저하로 인한 시인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 모발일 장치의 보급과 미관의 수려함으로 인해 표시장치를 보다 얇고 가볍게 구현하려고 한다.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얇게 구현하기 위해 터치전극을 표시장치 상에 실장하도록 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터치전극은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터치를 감지하게 되는데 정전용량은 터치전극의 면적에 비례하고 거리에 반비례한다. 그리고, 표시장치에 터치전극을 실장하게 되면 터치전극과 표시장치 내의 배선과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고 터치전극과 배선 사이의 기생캐패시터에 의해 터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전극이 표시장치 내의 배선 사이에 발생한 기생캐패시터의 크기를 작게 구현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두께를 얇게 구현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터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기판 상에 형성되며,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표시부 상에 배치되며, 터치지점을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전극, 기판 상에 표시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에 교류전압과 정전압을 각각 전달하는 링크부, 복수의 터치전극에 연결되어 터치신호를 전송하는 터치전극라인, 및 터치전극라인과 링크부 사이에 터치전극라인과 링크부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정전압이 인가되는 차폐층을 포함하는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복수의 화소가 배치되는 표시부와, 표시부에 교류전압과 정전압을 전달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기판, 표시부 상에 배치되며 표시부 상의 터치지점을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전극, 기판의 일변에 배치되며 링크부에 교류전압과 정전압을 인가하고, 터치전극라인을 통해 복수의 터치전극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드라이버 IC를 포함하며, 터치전극라인과 링크부 사이에 터치전극라인과 링크부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정전압이 인가되는 차폐층을 포함하는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두께를 얇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표시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터치전극을 통해 터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링크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Ⅰ-Ⅰ`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터치 전극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1a에 도시된 터치전극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채용된 화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소의 동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부에 채용된 화소의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링크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c는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Ⅰ-Ⅰ`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복수의 화소(미도시)를 포함하는 표시부(111), 표시부(111) 상에 배치되며, 터치지점을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전극(200), 표시부(111)의 일측에 배치되며 교류전압과 정전압을 각각 전달하는 링크부(A), 복수의 터치전극(200)에 연결되어 터치신호를 전송하는 터치전극라인(140), 및, 터치전극라인(140)과 링크부(A) 사이에 터치전극라인(140)과 링크부(A)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정전압이 인가되는 차폐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1)는 기판(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A)는 기판(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110) 상에서 표시부(111)가 형성된 영역을 액티브 영역이라고 칭하고 링크부(A)가 형성된 영역을 비액티브영역이라고 칭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111)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화소에 신호를 인가하는 배선들(112)과 연결될 수 있다. 배선들(112)은 게이트라인(GL), 데이터라인(DL), 전원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링크부(A)는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표시부(111)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부(A)는 표시부(111)에 교류전압을 전달하는 제1배선(120)과, 정전압을 전달하는 제2배선(131)을 포함할 수 있다. 교류전압은 전압이 순시적으로 변화되는 전압이고 정전압은 전압이 순시적으로 변화되지 않는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배선(120)과 제2배선(131)은 표시부(111) 내의 화소에 신호를 인가하는 배선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제1배선(120)은 표시부(111) 내의 게이트메탈과 같이 형성되고, 제2배선(131)은 소스드레인메탈과 같이 배선될 수 있다.
제1배선(120)을 통해 전달되는 교류전압은 표시부(111)를 구동하는 구동신호일 수 있다. 표시부(111)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는 게이트신호, 데이터신호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배선(131)을 통해 표시부(111)에 전달되는 화소에 인가되는 정전압은 고전위전압, 저전위 전압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배선(120)과 제2배선(131)은 표시부(111)의 배선들과 연결되는 거리에 대응하여 다양한 패턴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11) 상에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전극(2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전극(200)은 하나의 막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전극(200)을 이용한 터치감지방법은 터치전극 중 일부의 터치전극이 터치구동신호를 전달하는 터치전극라인과 연결되고 터치전극 중 나머지 일부의 터치전극이 터치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전극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에 의해 터치구동신호를 전달받은 터치전극과 터치감지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 간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표시부(111) 상의 터치 지점을 감지하는 상호정전용량방식과, 터치전극과 손가락이나 터치펜 간에 형성된 정전용량에 의해 터치를 감지하는 셀프정전용량방식으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표시부(111) 상의 일지점을 직접 터치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직접 터치하지 않고 일정한 거리 내에 손가락이나 터치펜이 호버링하고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전극(200)은 터치전극라인(140)을 통해 터치구동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전극라인(140)을 통해 터치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호정전용량방식의 경우 터치구동신호를 전달하는 터치전극라인과 터치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전극라인은 서로 다른 라인일 수 있다. 또한, 셀프정전용량방식의 경우 터치구동신호를 전달하는 터치전극라인과 터치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전극라인은 동일한 터치전극라인일 수 있다.
표시부(111)는 드라이브 IC(170)와 연결되어 교류전압과 정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드라이브 IC(170)는 링크부(A)를 통해 교류전압과 정전압을 표시부에 전달할 수 있다. 드라이브 IC(170)에서 출력하는 교류전압은 데이터신호, 게이트신호일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IC(170)에서 출력하는 정전압은 고전위전압, 저전위전압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드라이브 IC(170)는 링크부(A)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통해 기판(110) 상의 링크부(A)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IC(170)는 COF(Chip On Film)의 형태로 링크부(A)에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브 IC(170)는 링크부(A)와 연결되어 교류전압과 정전압을 갖는 신호를 표시부(111)에 전달할 수 있다. 교류전압은 게이트신호, 데이터신호일 수 있고 정전압은 고전위전압, 저전위 전압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링크부(A)가 교류전압을 출력하는 제1배선(120)과 정전압을 출력하는 제2배선(131)과 터치전극(200)과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라인(140)을 포함하고 하나의 드라이브 IC(170)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라이브 IC(170)는 표시부(111)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제1드라이브 IC(미도시)와 터치전극(200)에 터치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제2드라이브 IC(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드라이브 IC는 제1배선(120)과 제2배선(131)에 연결되고 제2드라이브 IC가 터치전극라인(14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드라이브 IC 를 터치드라이브 IC 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도 1b를 보면, 링크부(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드라이브 IC(170)와 연결되어 있는 제1배선(120) 제2배선(131)과 터치전극라인(140)이 중첩될 수 있다. 제1배선(120)은 교류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터치전극라인(140)은 제1배선(120)을 통해 전달되는 교류신호에 의한 영향을 받아 노이즈가 발생하여 터치지점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배선(120)과 터치전극(140) 사이에 차폐층(130)을 배치하고 차폐층(130)에는 정전원을 인가하면 차폐층(130)에 인가되어 있는 정전원에 의해 제1배선(120)에 흐르는 교류전압이 터치전극(140)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여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여 터치지점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차폐층(130)에 인가되는 정전압은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표시부(111)의 양끝단에 배치되어 정전압을 인가하는 제2배선(131)을 차폐층(130)으로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제2배선(131)을 통해 전달되는 정전압이 차폐층(13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배선(131)과 차폐층(130)은 동일한 레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배선(131)과 차폐층(130)은 표시부의 소스드레인메탈을 증착하고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기판(110) 상에 제1배선(120)을 패터닝하여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절연막(121)을 증착한다. 그리고, 절연막(121) 상부에 차폐층(130)을 형성하고 차폐층(130) 상부에 실링기판(150)을 배치할 수 있다. 실링기판(150)은 기판(110)과 실링기판(15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막, 박막트랜지스터를 실장할수 있다. 그리고, 실링기판(150) 상부에 터치전극(140)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실링기판(150)의 상부에 터치전극(140) 형성되게 하여 표시장치에 터치전극(140)이 실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배선(120)은 게이트메탈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터치 전극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1a에 도시된 터치전극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터치전극(TEa)이 도 1의 표시부(111)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각 터치전극(TEa)에는 각각 하나의 터치전극라인(240a)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터치전극라인(240a)의 일 부분은, 터치 전극들(TEa)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전극(TEa)과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전극(TEa)이 터치전극라인(240a)을 통해 터치구동신호를 공급받은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터치펜이 표시부 상의 한 지점을 터치하면 터치전극(TEa)과 손가락 또는 터치펜 사이에 정전용량이 생성되고 생성된 정전용량을 감지한 터치감지신호가 터치전극라인(240a)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터치전극(TEb)은 마름모꼴 형태일 수 있고 가로방향으로 터치전극이 연결되거나 세로방향으로 터치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곽부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전극들(TEb)는 삼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전극들(TEb) 중 가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은 터치라인(240a) 중 터치구동라인과 연결되어 터치구동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터치전극들(TEb) 중 세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은 터치라인(240a)중 터치감지라인과 연결되어 터치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일지점을 손가락 또는 터치펜을 통해 터치하면 가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TEb)과 세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TEb) 간에 정전용량이 변화되고 터치감지신호는 정전용량변화에 대응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터치전극(TEa, TEb)은 투명전극일 수 있다. 또한, 터치전극(TEa, TEb)은 메쉬형태일 수 있어 각 터치전극(TEa, TEb)에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표시부에서 방출되는 빛이 터치전극을 투과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전극(TEa, TEb)의 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부의 크기와 터치전극(TEa, TEb)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수의 터치전극(TEa, TEb)이 표시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터치전극(TEa, TEb)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라인(240a,240b)은 터치구동신호와 터차김지산호가 공급되거나 출력되는데, 표시부(111) 상의 터치전극(TEa, TEb)은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부(111)를 구동하는 구동신호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그 이유로는 표시부(111)는 상부에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이 덮여 있고 캐소드전극에는 저전위의 정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캐소드전극의 전압이 표시부 내의 게이트라인 및/또는 데이터라인에 흐르는 교류전압이 터치전극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111) 상의 터치전극들(TEa, Teb)에는 게이트라인 및/또는 데이터라인에 인가되는 게이트신호 및/또는 데이터전압에 의해 터치전극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하지만, 표시부(111)가 아닌 링크부(A)의 경우 캐소드전극이 덮여 있지 않기 때문에 터치전극라인에 교류전압이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터치전극라인(140)과 링크부(A)가 중첩된 영역에 차폐층(130)을 형성하게 되면 터치전극라인(140)이 링크부(A)의 제1배선(120)에 흐르는 교류전압에 영향을 받지 않아 터치전극라인(140)에 노이즈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채용된 화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101)는 OLED와, 제1 및 제2트랜지스터(M1, M2) 및 커패시터(Cst)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트랜지스터(M1)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흐르는 전류를 구동하는 구동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제2트랜지스터(M2)는 데이터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의 제1전극은 고전위전압(EVDD)가 전달되는 고전위전압선(VL)에 연결되고 제2전극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전극은 제2노드(N2a)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트랜지스터(M1)는 게이트전극과 제2전극의 전압차에 대응하여 제1전극에서 제2전극 방향으로 전류가 구동되게 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의 제1전극은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고 제2전극은 제1노드(N1)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는 게이트라인(GL)을 통해 전달되는 게이트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라인(Dm)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전압(Vdata)을 제1노드(N1)로 전달할 수 있다.
커패시터(Cst)는 제1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과 제2전극 사이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전극이 제1트랜지스터(M1)의 제2전극에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에 저전위전압(EVSS)이 인가될 수 있다. 그릭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 전극에서 캐소드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할 수 잇다.
상기의 각 트랜지스터의 제1전극은 드레인전극이고 제2전극은 소스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트랜지스터는 P 모스 트랜지스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N 모스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화소는 일 실시예인 것으로 본 발명의 화소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소의 동작이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게이트라인(GL)으로 게이트신호(gn)가 일정 간격을 갖고 전달될 수 있다. 일정 간격은 1수직 동기신호가 입력되는 시간 간격에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터라인(DL)으로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전압(Vdata)이 인가되며, 데이터전압(Vdata)은 계조에 따라 그 크기가 변할 수 있다. 데이터전압(Vdata)은 1 수평동기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게이트라인(Gn)에 게이트신호(gn)가 전달되면, 제2트랜지스터(M2)가 턴온되어 데이터전압(Vdata)이 제1노드(N1)에 전달될 수 있다. 제1노드(N1)에 데이터전압(Vdata)이 전달되면, 제1트랜지스터(M1)에 전류가 흘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커패시터(Cst)는 하나의 게이트신호가 입력된 후 다음 게이트신호가 입력되는 구간 동안 제1노드(N1)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게이트라인(GL)으로 전달되는 게이트신호(gn)와 데이터라인(DL)으로 전달되는 데이터전압(Vdata)은 시간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교류전압이라고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선(VL)을 통해 인가되는 고전위전압(EVD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캐소드전극에 인가되는 저전위전압(EVSS)는 정전압이라고 칭할 수 있다.
여기서, 화소(101)에 인가되는 신호가 데이터전압(Vdata), 게이트신호(gn), 고전위전압(EVDD), 저전위전압(EVSS)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소 구조에 따라 화소(101)에 인가되는 신호는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부에 채용된 화소의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는 기판(501)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전극(510), 유기발광층(512) 및 제2전극(514)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501) 상에 반도체층(502), 게이트 절연막(503), 게이트 전극(504), 층간 절연막(505) 및 소스 및 드레인 전극(506,208)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어 있고,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 기판(501) 상에 보호막(50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판(501)은 내열성이 강한 플라스틱 기판(50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501)은 폴리이미드 계열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 계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502)은 아모포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정의 영역이 불순물로 도핑될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막(503)은 실리콘 산화막(SiOx)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 등과 같은 절연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로 이외에도 절연성 유기물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층간 절연막(505)은 실리콘 산화막(SiOx)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 등과 같은 절연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론 이 외에도 절연성 유기물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층간 절연막(505)과 게이트 절연막(503)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이 노출되는 컨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504)은 게이트절연막(50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504)는 게이트절연막(503) 상에 게이트메탈을 증착하고 패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504)을 형성하는 게이트메탈을 이용하여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제1배선이 될 수 있다. 제1배선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는 데이터신호와 게이트신호일 수 있고, 제1배선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신호는 게이트메탈과 연결되는 소스드레인메탈을 통해 소스드레인전극으로 전달될 수 있다.
소스드레인 전극(506, 508)은 층간 절연막(505) 상에 소스드레인메탈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컨택홀이 매립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일층 또는 다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소스드레인메탈을 이용하여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제2배선과 차폐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소스드레인메탈은 제2배선과 차폐층과 동일한 레이어에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507)은 박막트랜지스터(TFT)를 보호하고 평탄화시킨다. 보호막(507)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BCB(Benzocyclobutene) 또는 아크릴(Acryl) 등과 같은 유기 절연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x)와 같은 무기 절연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이중 혹은 다중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유기발광소다이오드(OLED)는 보호막(507) 상에 형성된 제1전극(510), 제1전극(510) 상에 형성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512) 및 유기층(512) 상에 형성된 제2전극(514)으로 구성된다. 제1전극(510)은 컨택홀을 통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50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전극(510)은 반사율이 높은 불투명한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전극(510)은 Ag, Al, AlNd, Au, Mo, W, Cr,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뱅크(520)는 발광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뱅크(520)는 발광영역과 대응되는 제1전극(510)을 노출시키는 뱅크홀을 가질 수 있다.
뱅크(520)는 실리콘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x)와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BCB, 아크릴계 수지 또는 이미드계 수지와 같은 유기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뱅크(520)에 의해 노출된 제1전극(510) 상에 유기층(512)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층(512)은 발광층을 포함하며, 그 외에도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512)이 형성된 기판(501) 상에 제2전극(514)이 형성되어 있다. 제2전극(514)은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uim Zinc Oxide; IZO)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 와 같은 투명한 도전 물질로 형성됨으로써 발광 유기층(512)에서 생성된 광을 제2전극(514) 상부로 방출시킨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형성된 기판(501) 상에 제2전극(514)과 부착되어 있는 상부봉지층(5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봉지층(530)은 무기 단일막일 수 있다. 무기단일막은 산화 알루미늄(AlOx) 또는 실리콘(Si) 계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상부봉지층(530) 상에 형성되는 실링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의 상부에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터치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유기발광표시장치
110: 기판
111: 표시부
112: 표시부 배선
120: 제1배선
130: 차폐층
131: 제2배선
140: 터치전극
170: 드라이브 IC
A: 링크부
DL: 데이터라인
GL: 게이트라인

Claims (10)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 상에 배치되며, 터치지점을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전극;
    상기 기판 상에 상기 표시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에 교류전압과 정전압을 각각 전달하는 링크부;
    상기 복수의 터치전극에 연결되어 터치신호를 전송하는 터치전극라인; 및
    상기 터치전극라인과 상기 링크부 사이에 상기 터치전극라인과 상기 링크부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정전압이 인가되는 차폐층을 포함하는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교류전압을 전달하는 제1배선과 상기 정전압을 전달하는 제2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제2배선과 연결되는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소스드레인전극과 동일한 레이어에 형성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선은 게이트전극과 동일한 레이어에 형성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유기막이 증착되는 기판과 상기 유기막을 실장하는 실링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전극은 상기 실링기판 상에 배치되는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6.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복수의 화소가 배치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교류전압과 정전압을 전달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부상의 터치지점을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전극; 및
    상기 기판의 일변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부에 상기 교류전압과 상기 정전압을 인가하고, 터치전극라인을 통해 상기 복수의 터치전극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드라이버 IC;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전극라인과 상기 링크부 사이에 상기 터치전극라인과 상기 링크부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정전압이 인가되는 차폐층을 포함하는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교류전압을 전달하는 제1배선과 상기 정전압을 전달하는 제2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제2배선과 연결되는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소스드레인전극과 동일한 레이어에 형성되는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선은 게이트전극과 동일한 레이어에 형성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유기막이 증착되는 기판과 상기 유기막을 실장하는 실랑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전극은 상기 실링기판 상에 배치되는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0160155246A 2016-11-21 2016-11-21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80057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246A KR20180057775A (ko) 2016-11-21 2016-11-21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US15/715,124 US10608057B2 (en) 2016-11-21 2017-09-25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electrode
CN201710983472.7A CN108091669B (zh) 2016-11-21 2017-10-20 有机发光显示装置
DE102017125927.9A DE102017125927B4 (de) 2016-11-21 2017-11-07 Anzeigevorrichtung mit Berührungselektr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246A KR20180057775A (ko) 2016-11-21 2016-11-21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775A true KR20180057775A (ko) 2018-05-31

Family

ID=6206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246A KR20180057775A (ko) 2016-11-21 2016-11-21 터치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08057B2 (ko)
KR (1) KR20180057775A (ko)
CN (1) CN108091669B (ko)
DE (1) DE10201712592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3839A1 (en) * 2018-05-08 2019-11-1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erminal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KR102553525B1 (ko) * 2018-06-29 2023-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0171B1 (ko) * 2018-07-20 2024-0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CN111352521B (zh) * 2018-12-21 2023-07-04 乐金显示有限公司 触摸显示面板和触摸显示装置
KR102089993B1 (ko) * 2019-02-07 2020-03-1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전원콘센트
KR20210057440A (ko) 2019-11-12 2021-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TWI767571B (zh) * 2020-02-20 2022-06-11 聯詠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整合顯示裝置
US11494016B2 (en) 2020-02-20 2022-11-08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Touch integrated display device
CN112148151B (zh) * 2020-09-30 2023-06-13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触控方法
TWI775233B (zh) * 2020-12-07 2022-08-21 矽統科技股份有限公司 雜訊抑制觸控調光裝置及其雜訊抑制方法
CN215117472U (zh) * 2021-01-19 2021-1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线路板、驱动结构和显示装置
KR20230029061A (ko) * 2021-08-23 2023-03-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0545B2 (en) * 2011-07-13 2015-03-03 Synaptics Incorporated Trace shielding for input devices
US9201547B2 (en) * 2012-04-30 2015-12-01 Apple Inc. Wide dynamic range capacitive sensing
US10126887B2 (en) * 2013-04-24 2018-11-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ouch panel
CN104991688B (zh) * 2015-08-03 2018-09-14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器件
CN105652498A (zh) * 2016-03-22 2016-06-08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触控显示面板和触控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25927A1 (de) 2018-05-24
DE102017125927B4 (de) 2023-10-05
US20180145114A1 (en) 2018-05-24
CN108091669A (zh) 2018-05-29
US10608057B2 (en) 2020-03-31
CN108091669B (zh)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8057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electrode
KR10229673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658392B (zh) 具有指紋辨識的曲面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US10540033B2 (en)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KR102322834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CN106206649B (zh) 自电容触摸传感器集成型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9164615B2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92035B1 (ko)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037455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
US11327610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2069808B1 (ko) 유기 발광 표시 패널
KR102475424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40110271A (ko)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039933A (ko)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KR20190079742A (ko) 표시 장치
US10908734B2 (en) Display device
US20190131354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08968A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40125578A (ko)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KR102594615B1 (ko)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2860096A (zh) 触摸传感器和包括该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
KR20160070265A (ko)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
US20140375597A1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210045576A (ko)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662337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