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567A - 상품 결제를 위한 서버, 시스템과, 방법 - Google Patents

상품 결제를 위한 서버, 시스템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567A
KR20140109567A KR1020130023285A KR20130023285A KR20140109567A KR 20140109567 A KR20140109567 A KR 20140109567A KR 1020130023285 A KR1020130023285 A KR 1020130023285A KR 20130023285 A KR20130023285 A KR 20130023285A KR 20140109567 A KR20140109567 A KR 20140109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purchase
terminal
call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디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디아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디아이디
Priority to KR1020130023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9567A/ko
Publication of KR20140109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27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not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결제를 위한 서버,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구매 요청 처리 서버가 통신 단말기로부터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 요청 처리 서버가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 단말기에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판매 진행 처리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콜백 정보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판매 진행 처리 서버가 상기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품 결제를 위한 서버, 시스템과, 방법{SERVER,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FOR MERCHANDISE}
본 발명은 상품 결제를 위한 서버,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홈쇼핑 등에서 방송하고 있는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품을 구매하는 경로는 다양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인터넷상의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고, 또는 홈 쇼핑 방송을 보다가 전화를 걸어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방식 중 인터넷상의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에서는 구매자는 웹 브라우저를 단말기 상에서 실행시킨 후 해당 온라인 쇼핑몰의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접속해야 했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또한 종래의 홈 쇼핑 방송을 보다가 전화를 걸어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은 전화 상담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판매자 또는 판매를 중계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인력 충원에 따른 고정 비용이 발생하고, 또는 전화 상담사 대신에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구매자는 배송지에 대한 정보나 카드 결제를 위한 정보를 전화기를 통해 녹음을 해야 하는데 이 경우 녹음된 내용을 확인하여 주문을 처리하는 인력이 또한 필요하거나 또는 사람의 음성 녹음을 텍스트로 변환시키는 고가의 장비가 필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들은 전화번호 입력에 친숙한 구매자의 입장 또는 상품 판매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입장에서는 조금씩 불편하거나 더 많은 처리 비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품 구매자에게는 상품 주문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상품 판매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에게는 상품 주문을 위한 처리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매 요청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구매 요청 처리 서버가 통신 단말기로부터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 요청 처리 서버가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 단말기에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판매 진행 처리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콜백 정보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판매 진행 처리 서버가 상기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매 요청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은, 통신 단말기로부터 ARS 통화를 이용한 버튼 입력에 따라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RS 통화가 종료된 이후 즉시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 단말기에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로부터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 단말기에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매 요청 처리 서버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콜백 정보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판매 진행 처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매 요청 처리 서버는, ARS 통화에 따른 안내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ARS 서비스 안내부와; 통신 단말기와의 ARS 통화 상태를 판단하는 통화 상태 판단부와; 상기 통화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통신 단말기와 ARS 통화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버튼 입력에 따른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통화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통신 단말기와의 ARS 통화가 종료된 경우 즉시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구매 의사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 단말기에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상품 주문의 편리함이 증대된다. 특히 구매 요청 처리 서버가 ARS 서버인 경우 구매자는 해당 ARS 서버에 전화를 걸어 간단한 입력만 수행한 후 실제 결제 처리는 그 ARS 서버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URL 에 접속하여 수행함으로써 상품 주문과 결제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상품 주문의 통신 채널(즉, 구매자가 먼저 연락을 해야 함)과 상품 결제를 위한 통신 채널(상품 판매 시스템이 먼저 연락을 해야 함)이 서로 구별됨으로써 통신 병목 현상의 처리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매 요청 처리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210), 구매자 단말기(220), 상품 판매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더 나아가 홈 쇼핑 방송 서버(300)나 금융권 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단말기(210)는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자가 조작하는 단말기로서 휴대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에 해당할 수도 있고, 가정에 구비된 전화기와 같이 유선 단말기에 해당할 수도 있다. 통신 단말기(210)는 후술하는 구매자 단말기(220)와 동일한 장치일 수도 있고, 구별되는 장치일 수도 있다.
통신 단말기(210)는 구매자의 구매 의사 정보를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210)가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에 전송하는 구매 의사 정보는 문자 메시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210) 숫자 버튼 누름 등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매 의사 정보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상품 정보나, 상품 판매자를 특정하기 위한 판매자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구매 의사 정보가 문자 메시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구매 의사 정보는 숫자와 특수기호(예를 들어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문자 메시지의 착신지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의사 정보에는 구매자 단말기(220) 정보도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기(220) 전화번호가 구매자 의사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220)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자가 조작하는 단말기로서, 앞서 통신 단말기(210)와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는데, 특히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로부터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단말기이면 모두 구매자 단말기(220)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콜백 정보는 콜백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콜백 전화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콜백 URL은 구매자 단말기(220)의 특정 조작(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상의 특정 버튼 또는 터치 조작)에 따라 연결되는 타겟(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의 소정 서버)의 네트워크 주소에 해당할 수 있고, 콜백 전화번호는 구매자 단말기(220)의 특정 버튼 조작(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상 또는 단말기에 기구적으로 장착된 SEND 버튼 조작)에 따라 연결되는 타겟(예를 들어 전화 통신망에 연결된 ARS 서버)의 전화번호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구매자 단말기(220)는 수신된 메시지를 기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고, 구매자의 조작에 따라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처럼 구매자 단말기(220)로부터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서버에 접속하는 것은 일종의 결제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 단말기(220)가 전송하는 결제 요청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기(220) 전화번호 또는 구매자 단말기(220) 장치 정보 또는 네트워크 주소 등)뿐만 아니라 결제 처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기(220)는 구매자 단말기(220)에 기 저장되었거나 또는 구매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결제를 위한 카드 번호, 계좌 번호 등을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에 전송하면서 결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금융권 서버(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기(220)의 요청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금융권 서버(400)의 기능은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홈 쇼핑 방송 서버(300)는 구매자의 상품 구매의 한 경로를 예시로 들기 위해 나타낸 것으로서, 구매자들에게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판매자들의 상품 판매를 광고하는 서버에 해당한다.
이러한 홈 쇼핑 방송 서버(3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과 연계하여 각종 데이터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와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통신 단말기(210)로부터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고, 그 구매 의사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단말기(220)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 단말기(220)에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서버에 해당할 수 있는데, 이때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통신 단말기(210)로부터 ARS 통화의 음성 안내에 따른 버튼 누름에 의한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며, 해당 ARS 통화가 종료된 이후 콜백 URL과 콜백 전화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콜백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해당 ARS 통화가 종료된 이후 콜백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ARS 통화가 종료되기 전이라도 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버튼 누름 신호가 감지되는 시점에 콜백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ARS 통화가 종료된 이후에 상술한 과정이 처리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가 ARS 서버에 해당하는 경우의 기능 블록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ARS 서비스 안내부(111), 통화 상태 판단부(112), 수신부(113), 전송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RS 서비스 안내부(111)는 ARS 통화에 따른 안내 음성 메시지를 통신 단말기(21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10)가 전화를 걸어온 경우, ARS 서비스 안내부(111)는 상품 주문을 위해 각 단계별로 특정 버튼 누름을 선택하도록 하는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추출하여 통신 단말기(21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ARS 통화라는 것은 통신 단말기(210)로부터 걸려온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안내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화를 의미한다.
통화 상태 판단부(112)는 통신 단말기(210)와의 ARS 통화 상태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화 상태 판단부(112)는 통신 단말기(210)와 ARS 통화가 이루어졌는지 또는 해당 ARS 통화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부(113)는 통화 상태 판단부(112)의 판단 결과 통신 단말기(210)와 ARS 통화가 이루어진 경우 그 통신 단말기(210)로부터 버튼 입력에 따른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210)의 버튼 입력은 통신 단말기(210)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210) 상에 표시되거나 통신 단말기(210)에 구비된 버튼을 입력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전송부(114)는 통화 상태 판단부(112)의 판단 결과 통신 단말기(210)와의 ARS 통화가 종료된 경우 즉시 수신부(113)에 수신된 구매 의사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단말기(220)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 단말기(220)에 구매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송부(114)는 ARS 통화가 이루어진 해당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그 ARS 통화가 종료된 시점에 ARS 통화가 이루어진 통신 채널과는 별개의 통신 채널(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하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MO(Mobile Origination) 서버에 해당할 수 있고, 이때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통신 단말기(210)로부터 구매 의사 정보를 문자 메시지 형태로 수신할 수 있고, 해당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 콜백 URL과 콜백 전화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콜백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210)의 구매 의사 정보에 판매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구매 의사 정보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추출하여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라는 것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판매자의 상품 리스트를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하도록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의 URL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콜백 정보에는 판매자를 특정하기 위한 값과 서버 주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반면에 통신 단말기(210)의 구매 의사 정보에 판매자 정보 대신에 상품 정보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구매 의사 정보에 포함된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추출하여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라는 것은 예를 들어 해당 상품의 결제를 위해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의 URL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콜백 정보에는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값과 서버 주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구매자 단말기(220)로부터 콜백 정보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그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기(220)의 결제 요청이라는 것은 단지 콜백 정보를 이용한 접속 요청에 해당할 수 있다.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결제 요청(즉, 그 결제 요청이 이용한 콜백 정보)에 따른 결제 페이지를 추출(예를 들어 저장부 등으로부터 추출)하거나 동적으로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하는데, 여기서 결제 페이지는 금융권 서버(400)에 링크 구조로 연결되도록 하거나 금융권 서버(400)가 제공한 결제 모듈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웹 페이지에 해당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결제 수단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웹 페이지에 해당할 수 있다.
이어서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그 구매자 단말기(22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정보를 기초로 직접 처리하는 방식과 금융권 서버(400)와 통신하여 처리하는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자체적인 결제 처리 기능을 구비한 경우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구매자 단말기(22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정보를 기초로 직접 처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구매자 단말기(22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정보를 금융권 서버(400)에 전송하여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결제 페이지가 금융권 서버(400)가 제공한 결제 모듈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웹 페이지인 경우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금융권 서버(400)와의 통신을 통해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과정만 수행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실제 사용자가 입력하는 결제 정보들은 결제 모듈이 별도로 표시하는 페이지를 통해 금융권 서버(400)에 직접 전송되기 때문이다.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구매자 단말기(22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정보에서 주소 정보를 추출하여 배송지를 특정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즉, 구매자가 주문한 상품이 배송되기를 원하는 배송지의 주소 정보는 구매자 단말기(220)가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에 전송하는 결제 정보에 포함될 수 있고, 따라서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이러한 주소 정보를 배송지를 특정하기 위해 추출하는 것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210)의 구매 의사 정보에 판매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가 판매자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하고 그 구매자 단말기(220)가 해당하는 콜백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을 전송한 경우,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결제 요청의 콜백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결제 페이지를 추출하거나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하고, 그 상품 리스트 중에서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구매 상품 정보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일종의 웹 서버인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지만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서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요청이 이용하는 콜백 정보가 콜백 URL인 경우에는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소정의 웹 서버에 해당할 수 있고, 결제 요청이 이용하는 콜백 정보가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ARS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통신 단말기(210)는 구매자 단말기(220)와 통합되어 있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210)과 구매자 단말기(220)는 하드웨어적으로 서로 구별되는 단말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ARS 서버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구매자 단말기(220) 사용자가 예를 들어 홈 쇼핑 방송을 보던 중에 해당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기(220)를 조작하여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에 전화를 걸게 된다(단계 S1).
본 실시예에서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ARS 서버이므로 이러한 구매자 단말기(220)의 호 발신에 자동으로 응답하고(단계 S3) 이에 따라 구매자 단말기(220)와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 간에는 통화 호가 연결이 된다(단계 S5).
이 상태에서 구매자 단말기(220)는 홈 쇼핑 방송에 표시되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상품 번호(예를 들어 '1234')를 버튼 입력하게 되면(단계 S7),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그 입력된 '1234'를 임시 저장한다(단계 S9).
이후 구매자가 전화를 끊고(단계 S11),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가 이러한 호 종료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단계 S13) '1234'에 대응되는 URL을 추출한다(단계 S15). 예를 들어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에는 '1234'에 의해 특정되는 상품의 주문을 위한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의 네트워크 주소가 저장되어 있고,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이러한 기 저장된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URL을 생성할 수도 있고, 또는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에는 '1234'에 대응되는 서버의 URL이 판매자 등에 의해서 미리 저장되어 있어서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기 저장된 URL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1234'에 대응되는 콜백 ARS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문자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는 구매자 단말기(220)가 콜백 URL에 따른 접속이 불가능한 구형 단말기인 경우에는 구매자의 SEND 버튼 누름에 따라 결제 처리를 위한 소정의 ARS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추출한 URL(즉, 콜백 URL)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여(단계 S17) 앞서 전화를 걸어서 '1234'를 입력했던 구매자 단말기(220)로 전송한다(단계 S19). 이때 구매자 단말기(220)의 전화번호는 그 이전에 걸려왔던 통화에서 확인된 발신자 전화번호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가 ARS 통화를 종료한 시점에 콜백 URL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구매자가 ARS 통화 중간에 해당 주문을 취소하는 경우 불필요한 문자 메시지의 발송을 방지할 수 있고, 구매자에게는 절차의 완결성과 연관된 직관적인 흐름을 제공하게 된다. 즉, ARS 통화 중에 문자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발생하는 절차의 혼동 및 통화의 방해를 방지할 수도 있다.
구매자 단말기(220)는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결제 관련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여(단계 S21) 구매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구매자가 그 문자 메시지에 특정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단계 S23) 해당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URL을 이용하여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에 접속 요청을 한다(단계 S25).
이때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결제창을 추출(예를 들어 결제창은 판매자에 의해 미리 정의되어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이를 추출)하거나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하는데(단계 S27), 이때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결제를 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들은 구매자 단말기(220)가 접속한 콜백 URL에 기초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콜백 URL 그 자체에 상품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구매자 단말기(220)는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결제창을 표시하고(단계 S29), 사용자(구매자)의 결제 정보 입력이 감지되면(단계 S31) 그 입력된 결제 정보를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에 전송한다(단계 S33). 이때 배송지 주소라든지 기타 상품 주문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결제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구매자 단말기(220)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35).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구매자 단말기(220)가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여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로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호 발신을 하는 과정부터 호 연결이 이루어지는 과정(단계 S41 내지 단계 S45)은 앞서 설명한 도 3의 단계 S1 내지 단계 S3까지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매자 단말기(220) 사용자가 예를 들어 특정 판매자의 고유 번호를 미리 알고 있거나 또는 ARS 서버인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의 안내에 따라 확인한 경우에 그 판매자 고유 번호(본 실시예에서는 '5678')를 버튼 입력하게 되면(단계 S47),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그 입력된 '5678'을 임시 저장한다(단계 S49).
이후 구매자가 전화를 끊고(단계 S51),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가 이러한 호 종료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단계 S53) '5678'에 대응되는 URL을 추출하는데(단계 S55). 예를 들어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5678'에 의해 특정되는 판매자에 대응되는 URL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추출한 URL을 콜백 정보로 포함하는 주문 관련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여(단계 S57)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한다(단계 S59). 여기서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은 '5678'에 대응되어 기 저장되어 있던 문자 메시지를 추출하여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구매자 단말기(220)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고(단계 S61), 사용자의 클릭 또는 선택을 감지하는 경우(단계 S63) 그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URL을 이용하여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에 접속 요청을 한다(단계 S65). 이러한 콜백 URL에는 예를 들어 판매자 정보인 '5678'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그 구매자 단말기(2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5678'에 대응되는 상품 리스트를 추출하여(단계 S67)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한다(단계 S69). 또는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구매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품 명칭을 입력할 수 있는 폼이 포함된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매자 단말기(220)는 수신된 상품 리스트 또는 상품 입력 폼이 포함된 페이지를 표시하고(단계 S71), 구매자의 상품 선택 또는 상품 입력을 감지하면(단계 S73) 그 선택된 또는 입력된 상품 정보를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에 전송한다(단계 S75).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구매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창을 추출하거나 생성하여(단계 S77)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한다(단계 S79).
구매자 단말기(220)는 수신된 결제창을 표시하고(단계 S81), 사용자의 결제 정보 입력을 감지하면(단계 S83) 결제 정보를 판매 진행 처리 서버에 전송한다(단계 S85).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65에서 접속하는 서버와 단계 S85에서 접속하는 서버가 동일한 서버인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서로 구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매자 단말기(22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한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는 그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87).
도 4에서는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가 상품 리스트를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가 직접 상품 리스트를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단계 S47에서 구매자 단말기(220)로부터 수신된 '1234'에 대응되는 상품 리스트를 추출(예를 들어 판매자에 의해 상품 리스트는 미리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이를 추출)하거나 생성하여 그 상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가 단독으로 특정 번호에 대응되는 URL을 추출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현재 소정의 방송을 송출하고 있는 홈 쇼핑 방송 서버(300)와 연계하여 콜백 URL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과정은 도 5에 도시되었다.
우선, 구매자 단말기(220)와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 간에 호 연결이 이루어지는 과정까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홈 쇼핑 방송을 시청하던 구매자는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품 주문을 위한 특정 버튼 예를 들어 '#'버튼을 눌러 해당 버튼 음을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에 전송한다(단계 S94).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홈 쇼핑 방송 서버(300)에 현재 방송중인 상품 정보를 요청하고(단계 S95), 홈 쇼핑 방송 서버(300)는 현재 방송 중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에 전송한다(단계 S96).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홈 쇼핑 방송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그에 대응되는 콜백 URL을 기 저장된 매칭 테이블 등으로부터 추출하고(단계 S97), 그 추출한 콜백 URL을 포함하는 결제 관련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여(단계 S98)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한다(단계 S99).
결제관련 문자 메시지가 전송된 이후의 과정은 도 3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는 호 종료 시점에 대한 판단을 하지 않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도 3과 마찬가지로 호 종료 시점에 대한 판단을 '#'버튼 입력을 감지하는 것과 별개로 또는 추가로 할 수도 있고, 도 3이나 도 4에서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호 종료 시점에 대한 판단을 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구매자가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와 호가 연결된 이후에 특정 버튼(예를 들어 '#'버튼)을 누르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버튼 누름이 없더라도 호가 연결된 시점에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URL을 추출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3에 대응되는 또 다른 실시예로써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가 ARS 서버가 아니라 소정의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MO 서버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기(220)가 소정의 상품을 특정하는 텍스트(예를 들어 '#1234')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에 전송하면(단계 S7'),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그 수신된 '#1234'에 대응되는 URL을 기 저장된 매칭 테이블 등으로부터 추출하고(단계 S15'), 그 추출한 URL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여(단계 S17')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한다(단계 S19').
이때 구매자 단말기(220) 전화번호는 상품 정보인 '#1234'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한 발신지 전화번호일 수 있고, 또는 해당 문자 메시지에 별도로 포함된 전화번호일 수도 있다.
이후의 과정 즉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가 콜백 URL을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한 이후의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도 4에 대응되는 것은 것으로서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가 MO 서버로 구성된다는 점이 주요 차이점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가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MO 서버인 것을 일 예로 하였지만,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는 MO 서버 이외에도 각종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텍스트를 수신할 수 있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구매 요청 처리 서버(110) 또는 판매 진행 처리 서버(120)가 구매자 단말기(220)에 전송하는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인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일 예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된 푸시 메시지 등)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10 : 구매 요청 처리 서버 120 : 판매 진행 처리 서버
210 : 통신 단말기 220 : 구매자 단말기
300 : 홈 쇼핑 방송 서버 400 : 금융권 서버
111 : ARS 서비스 안내부 112 : 통화 상태 판단부
113 : 수신부 114 : 전송부

Claims (17)

  1. (a) 구매 요청 처리 서버가 통신 단말기로부터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구매 요청 처리 서버가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 단말기에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c) 판매 진행 처리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콜백 정보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판매 진행 처리 서버가 상기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요청 처리 서버는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서버이고,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안내에 따른 버튼 누름에 의한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의 ARS 통화 종료가 감지되면 콜백 URL과 콜백 전화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콜백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요청 처리 서버는 MO(Mobile Origination) 서버이고,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문자 메시지에 의한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의 문자 메시지 수신이 감지되면 콜백 URL과 콜백 전화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콜백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판매 진행 처리 서버가 상기 결제 요청의 콜백 정보에 따른 결제 페이지를 추출 또는 생성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d2) 상기 판매 진행 처리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정보를 기초로 직접 처리하는 방식과 금융권 서버와 통신하여 처리하는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진행 처리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정보에서 주소 정보를 추출하여 배송지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구매 의사 정보에 판매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구매 요청 처리 서버는 상기 판매자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d1) 단계에서의 판매 진행 처리 서버는 상기 결제 요청의 콜백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결제 페이지를 추출 또는 생성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d2) 단계에서의 판매 진행 처리 서버는 상기 상품 리스트 중에서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구매 상품 정보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진행 처리 서버는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어방법.
  8. 통신 단말기로부터 ARS 통화를 이용한 버튼 입력에 따라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RS 통화가 종료된 이후 즉시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 단말기에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 요청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0. 통신 단말기로부터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 단말기에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매 요청 처리 서버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콜백 정보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판매 진행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요청 처리 서버는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서버이고,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ARS 통화의 음성 안내에 따른 버튼 누름에 의한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며, 해당 ARS 통화가 종료된 이후 콜백 URL과 콜백 전화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콜백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요청 처리 서버는 MO(Mobile Origination) 서버이고,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문자 메시지에 의한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 콜백 URL과 콜백 전화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콜백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진행 처리 서버는 상기 결제 요청의 콜백 정보에 따른 결제 페이지를 추출 또는 생성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정보를 기초로 직접 처리하는 방식과 금융권 서버와 통신하여 처리하는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진행 처리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정보에서 주소 정보를 추출하여 배송지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의 구매 의사 정보에 판매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구매 요청 처리 서버는 상기 판매자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판매 진행 처리 서버는 상기 결제 요청의 콜백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결제 페이지를 추출 또는 생성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품 리스트 중에서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구매 상품 정보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6.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진행 처리 서버는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7. ARS 통화에 따른 안내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ARS 서비스 안내부와;
    통신 단말기와의 ARS 통화 상태를 판단하는 통화 상태 판단부와;
    상기 통화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통신 단말기와 ARS 통화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버튼 입력에 따른 구매 의사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통화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통신 단말기와의 ARS 통화가 종료된 경우 즉시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구매 의사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 단말기에 상기 구매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콜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 요청 처리 서버.
KR1020130023285A 2013-03-05 2013-03-05 상품 결제를 위한 서버, 시스템과, 방법 KR20140109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285A KR20140109567A (ko) 2013-03-05 2013-03-05 상품 결제를 위한 서버, 시스템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285A KR20140109567A (ko) 2013-03-05 2013-03-05 상품 결제를 위한 서버, 시스템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567A true KR20140109567A (ko) 2014-09-16

Family

ID=5175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285A KR20140109567A (ko) 2013-03-05 2013-03-05 상품 결제를 위한 서버, 시스템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95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836A (ko) *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카카오 자동 응답 서비스에 기초한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836A (ko) *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카카오 자동 응답 서비스에 기초한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73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 commerce transaction over a distribution network
US8606641B2 (en) Secure instant message-based sales
US201200540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a referral credit to an entity account based on a geographic location of a computing device
WO2016202116A1 (zh) 信息处理方法、客户端、服务器和计算机存储介质
US201301106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yment in broadcast receiver using mobile terminal having card reader function
KR101949526B1 (ko) 더치 페이 시스템
WO2015137559A1 (ko)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GB2570504A (en) Method for handing off a communications session
KR20140109567A (ko) 상품 결제를 위한 서버, 시스템과, 방법
CN105761062B (zh) 基于移动终端浏览器的安全支付方法和安全支付装置
JP6469886B2 (ja) 決済確認画面選択装置
KR20150019496A (ko) 상품 결제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7228283A (ja) 遠隔操作型商取引システム
KR2014013982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JP6508865B1 (ja) Ecの海外への提供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それを用いる装置
US115268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ed payment
KR20000030441A (ko) 실시간 온라인주문처리가 가능한 다대다 주문정보중계시스템
JP2016062481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50055816A (ko)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및 방법
CN111210311B (zh) 一种生成订单的方法和自提柜
KR100571547B1 (ko)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장치
CN112184336B (zh) 一种投屏广告的推送系统及推送方法
JP2005078421A (ja) 商品取引管理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プログラム
KR20130006269A (ko)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결제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8937A (ko) 스마트 자동응답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 자동응답시스템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