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075A - Blower uni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lower uni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075A
KR20140109075A KR1020130023289A KR20130023289A KR20140109075A KR 20140109075 A KR20140109075 A KR 20140109075A KR 1020130023289 A KR1020130023289 A KR 1020130023289A KR 20130023289 A KR20130023289 A KR 20130023289A KR 20140109075 A KR20140109075 A KR 20140109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inlet
filter
air fil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8343B1 (en
Inventor
한중만
이준강
한영흠
김두훈
박상규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3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343B1/en
Publication of KR2014010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0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3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41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near ventilating openings in the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2003/065Details for holding filter elements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60H2003/0666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the filter element having non-rectangu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blower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has an air filter with an improved shape to minimize the air resistance on an air inlet. The blower apparatus for a vehicle includes: an intake unit which draws in inside air or outside air; a scroll case which has an air inlet to be linked to the intake unit and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intake unit; and a blower wheel and a blower motor which are installed in the scroll case to send the air drawn in the scroll case to an air conditioning case. The air filter includes a curve unit curved to the lower part to come closer to the air inlet on the center area from both sides. Accordingly, as the air drawn in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let passes through the air filter, the air becomes dense toward the air inlet to enable the air volume to be maximized.

Description

차량용 송풍장치{BLOWER UNIT F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n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n apparatus for a vehicle for selectively forcing forced air or outside air into an air conditioning case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와,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등이 구성되고,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an apparatus for heating or cooling an interior b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room or circulating air in the room to heat or cool the room. The apparatus includes a blowing device for blowing the inside /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an evaporator for cooling action and a heater core for heating action are provided, and the air cooled or heated by the evaporator or the heater core is selectively blown into each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장치는 일측에 디프로스트 벤트(12)와 페이스 벤트(14)가 각각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그 내부에 내기 또는 외기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장치(20)와, 송풍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30) 및 증발기(3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송풍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코어(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증발기(30)의 상류 측에는 케이스(52)에 고정된 필터(50)가 구비되며, 히터코어(40) 측으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템프도어(미도시)를 포함한다.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1,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10 having a defrost vent 12 and a face vent 14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blowing device (not shown) for forcibly circulating the inside air or the outside air An evaporator 30 for cool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ing device 20 and a heater core 40 for heat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blowing device 20 adjacent to the evaporator 30, . In this case, a filter 50 fixed to the case 52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evaporator 30 and includes a tempo door (not shown) for selectively flowing air to the heater core 40 side.

또한,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송풍장치(20)는 상부 양측에 내기유입구(23)와 외기유입구(24)가 형성되고, 내기유입구(23)와 외기유입구(24)를 선회하면서 내기유입구(23)와 외기유입구(2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 전환도어(25)를 갖는 인테이크 유닛(21)과, 인테이크 유닛(21)의 하부에 결합 설치되는 스크롤 케이스(22)와, 스크롤 케이스(22)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기유입구(23) 또는 외기유입구(24)로부터 유입되는 축 방향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송풍하는 블로어 휠(26) 및 블로어 모터(27)로 구성된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air blowing apparatus for a vehicle. 2, the air blowing apparatus 20 is provided with an inflow inlet 23 and an outside air inlet 24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connected to the inflow inlet 23 and the inflow inlet 23 while rotating the inflow inlet 23 and the outside air inlet 24, An intake unit 21 having an inside / outside switching door 25 for selectively opening / closing the outside air inlet 24, a scroll case 22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ake unit 21, And a blower wheel 26 and a blower motor 27 for blowing the axial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23 or the outside air inlet 24 in the radial direction.

이 경우, 인테이크 유닛(21)과 스크롤 케이스(22)가 마주보며 결합되는 부위인 스크롤 케이스(22)의 상부측에 공기유입구(29)가 형성되며, 공기유입구(29)의 상단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 필터(28)가 설치된다. 에어 필터(28)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여과성 재질의 소재를 다수의 주름 형태로 접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공기유입구(29)는 블로어 휠(26)의 형상에 대응되게 원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에어 필터(28)는 테두리가 인테이크 유닛(21) 내부에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로 공기유입구(29)를 완전히 커버한다. 결국, 에어 필터(28)는 내,외기유입구(23,24)와 블로어 휠(26) 사이에 설치되어, 내기유입구(23) 또는 외기유입구(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악취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this case, an air inlet 29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roll case 22,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intake unit 21 and the scroll case 22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end of the air inlet 29 is filled with air An air filter 28 for purifying air is installed. The air filter 28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folding the filter material into a plurality of wrinkles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air inlet 29 should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lower wheel 26, and the air filter 28 may have an air inlet 29 in a state in which the rim is supported and fixed inside the intake unit 21. [ Lt; / RTI > The air filter 28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air inflow ports 23 and 24 and the blower wheel 26 so that the dust and odor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flow port 23 or the air inflow port 24 And so on.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20)는 에어 필터(28)가 구비됨에 따라, 에어 필터(28)가 저항체로 작용하여 공기 저항을 증가하고 결국 공기유입구(29) 측으로의 공기 풍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vehicular air blowing apparatus 20, since the air filter 28 is provided, the air filter 28 acts as a resistor to increase the air resistance and eventually reduce the air volume to the air inlet 29 .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기유입구 측으로의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에어 필터의 형상을 개선한 차량용 송풍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blowing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the shape of the air filter is improved to minimize the air resistance to the air inlet sid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는 내기 또는 외기를 유입시키는 인테이크 유닛과, 인테이크 유닛과 연통되기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인테이크 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크롤 케이스와, 스크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공조케이스로 송풍하는 블로어 휠 및 블로어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필터는 양측에서 중앙 부위로 갈수록 상기 공기 유입구와 가까워 지도록 하부로 볼록하게 굴곡부를 구비한다.The air blow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take unit for introducing an inside air or an outside air, a scroll case formed at an air inlet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take unit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ake unit, And a blower motor for blowing air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wherein the air filter has convex bends downwardly so as to be closer to the air inlet from the both sides toward the central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는 내,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 필터를 통과하면서 공기유입구 측으로 집중됨에 따라 풍량의 증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The vehicle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remely useful invention that can maximize the increase of the air volume as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flow ports is concentrated on the air inlet side while passing through the air filter.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에어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에어 필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에어 필터를 부분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필터를 부분 확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ventilator for a vehicle,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a vehicular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filter of a vehicular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filter of a vehicular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filter of a vehicular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FIG. 3,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송풍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air blowing device for a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에어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에어 필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에어 필터를 부분 확대한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filter of a vehicular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filter of a vehicular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120)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되어, 내,외기를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차량용 송풍장치(120)는 인테이크 유닛(121)과, 스크롤 케이스(122)와,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를 포함한다.3 to 6, a vehicle air blow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n air conditioner case in which an evaporator and a heater core are installed. Thereby selectively blowing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to the air conditioner case. That is, the vehicle air blowing apparatus 120 includes an intake unit 121, a scroll case 122, a blower wheel 126, and a blower motor 127.

인테이크 유닛(121)은 상부 양측에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내외기 전환도어를 구비한다. 내외기 전환도어는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를 선회하도록 구동됨에 따라,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내기 또는 외기를 인테이크 유닛 내부로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intake unit 121 is formed with an inflow inlet and an inflow inlet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and has an internal / external switching door inside. The inside / outside switching door is driven to swing the inside air inlet and the outside air inlet so that the inside air inlet and the outside air inlet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selectively introduce the inside air or the outside air into the intake unit.

스크롤 케이스(122)는 인테이크 유닛(121)의 하부에 결합 설치된다. 아울러, 인테이크 유닛(121)과 스크롤 케이스(122)가 마주보며 결합되는 부위인 스크롤 케이스(122)의 상부 측에는 공기유입구(129)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29)는 인테이크 유닛(121)과 연통되기 위한 것으로서, 내기유입구 또는 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 경우, 공기유입구(129)는 후술할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The scroll case 122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take unit 121. An air inlet 129 is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scroll case 122,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intake unit 121 and the scroll case 12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air inlet 129 is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unit 121 and introduce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or the outdoor air inlet into the inside of the scroll case 122. In this case, the air inlet 129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al shape of the blower wheel 126 and the blower motor 12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는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유입구(129)로 유입되는 공기를 공조케이스로 강제 순환시켜 송풍한다. 이 경우,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는 공기유입구(129)의 직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유입구(129)로 유입되는 축 방향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전환시켜 송풍을 수행한다.The blower wheel 126 and the blower motor 127 are provided inside the scroll case 122 to forcibly circulat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29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blow air. In this case, the blower wheel 126 and the blower motor 127 are disposed directly below the air inlet 129 to convert the axial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29 into a radial direction to blow air.

또한, 공기유입구(129)의 상류 측, 즉, 공기유입구(129)의 상부 측에는 에어 필터(128)가 구비된다. 에어 필터(128)는 공기유입구(129)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직포 등의 여과성 재질의 소재를 다수의 주름 형태로 접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에어 필터(128)는 테두리가 인테이크 유닛(121) 또는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부에 지지되어 고정되며, 원형의 공기유입구(129)의 상부를 완전히 커버하고 있다. 결국, 에어 필터(128)는 내,외기유입구와 블로어 휠(126) 사이에 설치되어, 내기유입구 또는 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악취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n air filter 128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inlet 129, that is,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inlet 129. The air filter 128 is for purifying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129. The air filter 128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folding a material of a filtration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into a plurality of wrinkles. In this case, the rim of the air filter 128 is supported and fixed inside the intake unit 121 or the scroll case 122, and completely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circular air inlet 129. As a result, the air filter 128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air inflow ports and the blower wheel 126, and functions to remove dust or odors contained in the air entering through the air inflow port or the air inflow port.

특히, 상기 에어 필터(128)는 굴곡부를 구비한다. 굴곡부는 에어 필터(128)의 양측에서 중앙 부위로 갈수록 공기 유입구(129)와 가까워 지도록 하부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굴곡부를 갖는 에어 필터(128)는 인테이크 유닛(121) 또는 스크롤 케이스(122)에 고정된 양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갈수록 하부로 굴곡져, 내,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공기유입구(129)에 집중된다. 즉, 굴곡부를 갖는 에어 필터(128)는 직선형 에어 필터와 비교하여 공기유입구(129) 측으로 공기가 집중되는 현상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Particularly, the air filter 128 has a bent portion.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 downward from the both sides of the air filter 128 toward the air inlet 129 toward the central portion. The air filter 128 having the curved portion is bent downward from the both sides fixed to the intake unit 121 or the scroll case 122 toward the center side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flow ports is concentrated on the air inflow port 129 do. That is, the air filter 128 having the bent portion can be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the air is concentrated toward the air inlet 129 as compared with the linear air filter.

또한, 상기 에어 필터(128)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크롤 케이스(122)의 상부에는 경사부(1291)를 구비한다. 경사부(1291)는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벽 양측에서 하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져, 공기 유입구(129) 측을 향해 내부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부(1291)는 에어 필터(128)와 공기유입구(129)의 사이에 형성되어, 에어 필터(128)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공기유입구(129) 측으로 집중시킨다. 이와 같이, 경사부(1291)는 에어 필터(128)를 통과한 공기의 와류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경사부(1291)를 통해 공기가 공기유입구(129) 측으로 집중되어 경사부를 형성되지 않은 구조와 비교하여 10% 내지 20% 정도의 풍량 증대를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An inclined portion 1291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croll case 122 located below the air filter 128. The inclined portion 1291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both sides of the inner wall of the scroll case 122 toward the lower portion and to be narrowed toward the air inlet 129 side. That is, the inclined portion 1291 is formed between the air filter 128 and the air inlet 129 to concentrat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filter 128 to the air inlet 129 side. As described above, the inclined portion 1291 reduces the eddy current of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ir filter 128,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ir is concentrated toward the air inlet 129 via the inclined portion 1291, The increase in the air volume of about 10% to 20% can be experimentally confirmed.

상기 에어 필터(128)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부직포(1281)와, 필터 커버(1282)로 구성된다. 부직포(1281)는 필터 소재를 이루는 것으로서, 다수의 주름 형태로 접어 형성된다. 결국, 부직포(1281)는 상측과 하측에 다수개의 반복되는 접힘날이 형성된다. 부직포(1281)는 전체적으로 아래로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된다. 필터 커버(128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부재로 이루어져, 부직포(1281)의 굴곡 형상에 대응되게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 커버(1282)는 부직포(1281)의 외측을 감싸는 것으로서, 에어 필터(128)의 삽입 방향으로 전면과 후면에 각각 한쌍이 구비된다.The air filter 128 is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1281 and a filter cover 1282, as shown in Figs. The nonwoven fabric 1281 constitutes a filter material, and is folded into a plurality of wrinkles. As a result, the nonwoven fabric 1281 has a plurality of repeated folding edge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The nonwoven fabric 1281 is formed so as to bend convexly downward as a whole. The filter cover 1282 is formed of a plat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to be bent so as to correspond to the bent shape of the nonwoven fabric 1281. The filter cover 1282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1281 and is provided with a pair of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air filter 128.

상기 에어 필터(128)는 각각 굴곡진 형태의 부직포(1281)와 필터 커버(1282)의 구조를 통해, 용이하게 굴곡부를 형성하며 굴곡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필터(128)의 조립 시 스크롤 케이스(122) 측의 삽입구를 통해 슬라이드 삽입 가능하므로 조립성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는다.The air filter 128 easily forms a bent portion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nonwoven fabric 1281 and the filter cover 1282 each having a curved shape, and can stably maintain a bent state. Since the slide can be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opening on the side of the scroll case 122 when the air filter 128 is assembled, the assembling property is not deteriorated.

상기 에어 필터(128)는 하측 접힘날(1285)의 방향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 필터(128)는 하측에 다수의 접힘날(1285)을 형성하며, 접힘날(1285)을 기준으로 일 측면(1286)은 하향 경사지고 타 측면(1287)은 상향 접힘 구간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접힘날(1285)의 방향이 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수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에어 필터(128)를 통과하면서 고르게 분포되어 분산한다. 분산된 공기는 경사부(1291)를 타고 공기유입구(129) 측으로 안내된다.The direction of the lower folding blade 1285 may be perpendicular to the air filter 128. Referring to FIG. 6, the air filter 128 forms a plurality of folding blades 1285 on the lower side, and one side face 1286 is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olding blade 1285, and the other face 1287 is folded upward Section is repeatedly formed.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each folding blade 1285 is formed vertically as shown by a chain line. Therefor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flow ports is evenly distributed and disper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ir filter 128. The dispersed air is guided to the air inlet 129 side through the inclined portion 1291.

한편, 도 7은 도 3의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에어 필터를 부분 확대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FIG. 3, and FIG. 8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air filter of the air blow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에어 필터(128)는 하측 접힘날(1285)의 방향이 공기 유입구(129)를 향하도록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어 필터(128)는 하측에 다수의 접힘날(1285)을 형성하며, 접힘날(1285)을 기준으로 일 측면(1286)은 하향 경사지고 타 측면(1287)은 상향 접힘 구간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접힘날(1285)의 방향이 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공기유입구(129)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중앙부 측의 접힘날(1285)은 공기유입구(129)를 향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깝게 형성되며, 양측으로 갈수록 접힘날(1285)은 공기유입구(129)를 향하도록 기울기가 완만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7 and 8, 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air filter 128 is form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lower folding blade 1285 is directed toward the air inlet 129. The air filter 128 forms a plurality of folding blades 1285 on the lower side and the one side face 1286 is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olding blade 1285 and the upward folding section is repeatedly formed on the other face 1287 have.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each folding blade 1285 is formed to face the air inlet 129 as shown by a chain line. That is, the folding blade 1285 at the center side is formed to be vertically or vertically closer to the air inlet port 129, and the folding blade 1285 is inclined toward the air inlet 129 toward the both sides toward the air inlet 129 do.

이러한 구조는 상기 에어 필터(128)를 하측 접힘날(1285)을 기준으로 일 측면(1286)의 경사각이 타 측면(1287)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즉, 에어 필터(128)는 양측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접힘날(1285)을 기준으로 일 측면(1286)의 경사각은 완만하게 타 측면(1287)의 경사각은 가파르게 형성되며, 이러한 형상이 반복되게 중앙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내,외기유입구를 통해 에어 필터(128)를 통과하는 공기는 비교적 완만한 일 측면(1286)의 경사면을 통해 보다 원할히 공기유입구(129) 측을 향해 유동됨에 따라 공기가 집중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is structure can be realized by forming the air filter 128 such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ne side face 1286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ther side face 1287 with respect to the lower folding edge 1285. 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ther side surface 1287 is formed to be steep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ne side surface 1286 is steep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folding blade 1285 from the both sides to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air filter 128, Respectively. Therefor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flow ports flows through the air filter 128 more smoothly toward the side of the air inlet 129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elatively gentle side surface 1286, .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vehicle air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20 : 송풍장치 121 : 인테이크 유닛
122 : 스크롤 케이스
126 : 블로어 휠 127 : 블로어 모터
128 : 에어 필터 129 : 공기유입구
1281 : 부직포 1282 : 필터 커버
1291 : 경사부
1285 : 접힘날
120: blower 121: intake unit
122: Scroll case
126: Blower wheel 127: Blower motor
128: air filter 129: air inlet
1281: Nonwoven fabric 1282: Filter cover
1291:
1285: Folding edge

Claims (6)

내기 또는 외기를 유입시키는 인테이크 유닛(121)과, 상기 인테이크 유닛(121)과 연통되기 위한 공기유입구(129)가 형성되어 상기 인테이크 유닛(121)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크롤 케이스(122)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1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공조케이스로 송풍하는 블로어 휠(126) 및 블로어 모터(127)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입구(129)의 상류 측에 에어 필터(128)를 구비하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128)는,
양측에서 중앙 부위로 갈수록 상기 공기 유입구(129)와 가까워 지도록 하부로 볼록하게 굴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A scroll case 122 formed with an air inlet 129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unit 121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ake unit 121, And a blower motor 127 installed inside the scroll case 122 for blowing air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 blower motor 127. An air filter 128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inlet 129 A vehicular air blowing apparatus comprising:
The air filter (128)
And a curved portion that is convex downward so as to be closer to the air inlet (129) as it goes from the both sides toward the central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128)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크롤 케이스(122)의 상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상기 공기 유입구(129) 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부(129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clined portion (1291)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croll case (122) located below the air filter (128) so that the width thereof becomes narrower toward the air inlet (129)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128)는 하측 접힘날의 방향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filter (128) is vertically formed in a direction of a lower folded ed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128)는 하측 접힘날의 방향이 상기 공기 유입구(129)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filter (128) is formed such that the direction of the lower folding blade is directed toward the air inlet (12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128)는 하측 접힘날을 기준으로 일 측의 경사각이 타 측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ir filter (128) has an inclination angle of one side smaller than an inclination angle of the other side with reference to a lower folded ed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128)는 하부로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된 부직포(1281)와, 상기 부직포(1281)의 굴곡 형상에 대응되게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부직포(1281)의 외측을 감싸는 필터 커버(128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filter 128 includes a nonwoven fabric 1281 formed to bend convexly downward and a filter cover 1282 formed to bend to correspond to the bending shape of the nonwoven fabric 1281 and to cover the outer side of the nonwoven fabric 1281 Wherein the air blowing device is provided with an air blowing device.
KR1020130023289A 2013-03-05 2013-03-05 Blower unit for vehicle KR1019883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289A KR101988343B1 (en) 2013-03-05 2013-03-05 Blower uni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289A KR101988343B1 (en) 2013-03-05 2013-03-05 Blower uni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075A true KR20140109075A (en) 2014-09-15
KR101988343B1 KR101988343B1 (en) 2019-06-12

Family

ID=5175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289A KR101988343B1 (en) 2013-03-05 2013-03-05 Blower uni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34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4303A (en) * 2015-03-16 2016-10-05 翰昂系统株式会社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015A (en) * 1994-10-07 1996-04-30 Nippondenso Co Ltd Filter and its production
JPH08215582A (en) * 1995-02-10 1996-08-27 Nippon Steel Corp High-durability metallic carrier for purifying exhaust gas
JPH11267435A (en) * 1998-03-25 1999-10-05 Matsushita Seiko Co Ltd Air purifying unit and air purifier
JP3555793B2 (en) * 1994-11-29 2004-08-18 三機工業株式会社 Tunnel type clean room air condition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015A (en) * 1994-10-07 1996-04-30 Nippondenso Co Ltd Filter and its production
JP3555793B2 (en) * 1994-11-29 2004-08-18 三機工業株式会社 Tunnel type clean room air conditioning system
JPH08215582A (en) * 1995-02-10 1996-08-27 Nippon Steel Corp High-durability metallic carrier for purifying exhaust gas
JPH11267435A (en) * 1998-03-25 1999-10-05 Matsushita Seiko Co Ltd Air purifying unit and air purifi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4303A (en) * 2015-03-16 2016-10-05 翰昂系统株式会社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05984303B (en) * 2015-03-16 2018-10-23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The air-supply arrangement of Vehicular air-conditio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343B1 (en)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3507B1 (en) Air conditioner
CN107914542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JP489444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2007331416A (en)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551942B1 (en) Air conditioner
US10132332B2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08698479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988343B1 (en) Blower unit for vehicle
CN107107706A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KR101820793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30033029A (e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KR101778544B1 (en) Air Conditio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107707A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KR101941042B1 (en) Blower unit for vehicle
KR102056763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209877201U (en) Dehumidifier
KR20150133549A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584604B1 (en) Air conditioner having centrifugal blower
KR20160074715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512348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807815B2 (en) Air conditioner
WO2018025532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JP4130185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2006159924A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KR20060135250A (en) Turbo fan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