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544B1 - Air Conditio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8544B1 KR101778544B1 KR1020160179548A KR20160179548A KR101778544B1 KR 101778544 B1 KR101778544 B1 KR 101778544B1 KR 1020160179548 A KR1020160179548 A KR 1020160179548A KR 20160179548 A KR20160179548 A KR 20160179548A KR 101778544 B1 KR101778544 B1 KR 1017785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air
- flow path
- housing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8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는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를 포함하고, 공기토출부는, 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토출부와, 외부패널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토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with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and an air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the heat exchanged ai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air discharging portion includes a first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air through the opening And a second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air through the external panel. The method of discharging heat-exchanged air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user's environ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토출방법을 달리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uses a refrigeration cyc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humidity, airflow, distribution, etc. suitable for human activity and to remove dust and the like in the air. Compressors, condensers, evaporators, blowers, etc.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refrigeration cycle.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The air conditioner may be divided into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are separated and an integrated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are installed together in a single cabinet.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cludes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air sucked into the panel, and a blowing fan for sucking indoor air into the panel and blowing the sucked air back into the room.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를 최소화하고, 송풍팬의 RPM을 올려 풍속 및 풍량을 최대화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토출온도가 낮아지고, 토출공기는 좁고 긴 유로를 형성하여 실내공간으로 토출되었다.The conventional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designed to minimize the heat exchanger and increase the RPM of the blowing fan to maximize the wind velocity and the air flow rate. As a result, the discharge temperature is lowered, and the discharge air is formed into a narrow and long flow path and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사용자가 토출공기에 직접 닿는 경우, 추위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반면에 토출공기에 접하지 않는 경우 더위 및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user directly touches the discharged air, the user can feel the cold and the uncomfortable feel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does not contact the discharged air, the user feels the heat and the uncomfortable feeling.
또한, 빠른 풍속의 구현을 위해 송풍팬의 RPM을 높이면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송풍팬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조화시키는 복사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는 송풍팬을 사용하는 공기조화기와 동일한 능력을 내기 위해서는큰 패널을 필요로 한다. 또한 냉방속도 또한 매우 느리고, 시공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Also, if the RPM of the blower fan is increased to realize a fast wind speed, the noise increases. In the case of a radiator that harmonizes air without using a blower fan, a large panel is required to achieve the same capability as an air conditioner using a blower fan. In addition, the cooling rate is also very slow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larg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양한 공기 토출 방법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having various air discharging methods.
다른 측면은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는 최소풍속으로 실내를 냉난방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n air conditioner for cooling and heating the room with a minimum wind speed at which the user feels comfortable.
또한 최소풍속에 의한 대류를 통한 냉방 및 근접구간에 형성된 찬공기영역을 통해 복사를 통한 냉방을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oling through radiating through convection by a minimum wind speed and radiating through a cold air region formed in an adjacent sectio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주위에서 송풍공기를 가이드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하류에서 상기 덕트보다 확장된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프레임; 상기 덕트를 지난 송풍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며 도어유닛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의 주위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구성되는되, 상기 확장된 유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가지며, 상기 유로형성프레임을 덮도록 구성되는 토출플레이트;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housing; A heat exchanger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blowing fan for blowing air heat-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A duct for guiding blowing air around the blowing fan; A flow path forming frame which forms an extended flow path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uct than the duct; An opening that is openable and closable by the door unit and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air blown through the duc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air ducts connected to the extended duct, And a discharge plate having a discharge hole and configured to cover the flow path forming frame.
상기 토출플레이트는, 상기 유로형성프레임과 함께 상기 확장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discharge plate may form the extended flow path together with the flow path forming frame.
상기 확장된 유로는, 상기 덕트에서 상기 개구로 연결되는 제 1 토출유로; 상기 덕트에서 상기 복수의 토출홀로 연결되는 제 2 토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xtended flow path includes: a first discharge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duct to the opening;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in the duct.
상기 송풍공기는, 상기 제 1, 2 토출유로 중 어느하나로 토출될 수 있다.The blowing air can be discharged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flow paths.
상기 유로형성프레임은 상기 덕트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low path forming frame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duct.
상기 개구는, 상기 덕트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The opening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duct.
상기 덕트를 지난 송풍공기는, 상기 개구의 폐쇄시 상기 확장된 유로를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duct may be configured to flow through the extended flow path when the opening is closed.
상기 개구와 상기 토출홀은,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토출플레이트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the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together in the discharge plate that forms the appearance.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개구가 개방될 때 상기 개구를 통해 토출되며, 상기 개구가 상기 도어유닛에 의해 폐쇄될 때, 상기 복수의 토출홀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Air blown from the blowing fan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when the opening is opened, an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when the opening is closed by the door unit.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상기 개구로의 공기유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유로형성프레임과 상기 토출플레이트사이에 배치되는 토출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discharge guid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low path forming frame and the discharge plate to guide air flow from the blowing fan to the opening.
상기 확장된 유로는, 상기 덕트에서 상기 개구로 연결되는 제 1 토출유로; 상기 덕트에서 상기 복수의 토출홀로 연결되는 제 2 토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이드부는, 상기 제 1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제 2 토출유로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xtended flow path includes: a first discharge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duct to the opening;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in the duct, wherein the discharge guide portion includes: a guide body forming the first discharge passage; And guide holes formed in the guide body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가이드몸체의 주위방향으로 상기 송풍공기가 방출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guide hol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body so that the blowing air is dischar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uide body.
상기 송풍팬은, 복수의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복수의 송풍팬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폐쇄되면, 상기 폐쇄된 개구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유로를 경유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홀들을 통해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rein the blowing fan includes a plurality of blowing fans, and the openings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lowing fans,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is closed, The air flowing toward the openings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via the flow path.
상기 복수의 토출홀은, 상기 복수의 개구 주위에 분포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may be distributed around the plurality of openings.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공기를 가이드하는 덕트; 상기 송풍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며, 도어유닛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의 주위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갖는 토출플레이트; 상기 덕트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토출플레이트의 내측에서 상기 토출플레이트와 사이에 확장된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프레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housing; A heat exchanger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blower fa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discharge the air 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duct guiding the blowing air; A discharge plate provided to discharge the blowing ai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opening which is openable and closable by a door unit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which are arranged to discharge air around the opening; And a flow path forming frame extending from the duct and forming an extended flow path between the discharge plate and the discharge plate.
상기 확장된 유로는, 상기 덕트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로부터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xtended flow path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rom a flow path formed in the duct.
상기 덕트를 지나는 송풍공기는, 상기 개구가 개방시에는 상기 개구를 향해 유동하며, 상기 개구가 폐쇄시에는 상기 확장된 유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토출홀을 향해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duct may be configured to flow toward the opening when the opening is opened and to flow toward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through the extended flow path when the opening is closed.
상기 확장된 유로는, 상기 덕트에서 상기 개구로 연결되는 제 1 토출유로; 상기 덕트에서 상기 복수의 토출홀로 연결되는 제 2 토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xtended flow path includes: a first discharge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duct to the opening;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in the du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하류에 마련되어, 상기 덕트에 의해 가이드되는 공기의 유로를 한정하는 유로형성프레임;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며 도어유닛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의 주위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가지고, 상기 유로형성프레임과 함께 상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토출플레이트;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housing; A heat exchanger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blower fa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discharge the air 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duct for guiding air blown by the blowing fan; A flow path forming frame provided downstream of the duct and defining a flow path of air guided by the duct;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air to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wherein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discharge plate arranged to form the flow path together with the forming frame.
상기 유로형성프레임은, 상기 덕트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low path forming frame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du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된 공기를 풍속을 달리하여 토출할 수 있게 된다.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charge the heat-exchanged air at different wind speeds.
또한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의 송풍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Also, the method of blowing the heat-exchanged air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user's environment.
또한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사용자에게 송풍되지 않게 실내의 공기조화를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can be harmonized so that the heat-exchanged air is not blown directly to the user,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하우징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가이드개구부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8, 9, 10,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가이드부의 사시도.
도 13, 14, 15,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가이드부에 관한 도면.
도 17,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가이드부에 관한 도면.
도 19,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
도 21,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
도 23,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
도 25,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
도 27,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5 is a view of a combination of a discharge plate and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a combination of a discharge plate and a guide op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9, 10 and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guide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14, 15, and 16 are views of a discharge guide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8 are views showing a discharge guide portion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and 20 are diagram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and 22 are view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and 24 are views related to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and 26 are view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and 28 are diagram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igns shown in the respective fig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components or components perform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Also,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 / 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 first ", " second ", and the like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 and / or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하고, 고온의 공기가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 후 저온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air conditioner consists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The refrigeration cycle is a series of processes consisting of compression-condensation-expansion-evaporation, and the high-temperature air exchanges heat with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and then low-temperature air is supplied to the room.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고, 저온저압 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다.The compressor compresses and discharges the refrigerant gas in a state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the discharged refrigerant gas flows into the condenser. The condenser condens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into a liquid phase and releases heat to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condensation process. The expansion valve expands the liquid refrigerant in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ate condensed in the condenser to the liquid refrigerant in the low-pressure state. The evaporator evaporates the refrigerant expanded in the expansion valve. The evaporator uses the latent heat of vaporization of the refrigerant to achieve a refrigerating effect by heat exchange with the object to be cooled, and returns the refrigerant gas at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to the compressor. The air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can be controlled through this cycle.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동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고, 실내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다.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refers to a portion composed of a compressor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during a refrigeration cycle. The expansion valve may be located either in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is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공간을 냉방시키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것으로,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역할한다. 이하, 편의상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를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 열교환기를 열교환기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cooling an indoor space, where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serves as a condense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serves as an evaporato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indoor unit including the indoor heat exchanger is referred to as an air conditione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is referred to as a heat exchang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조화기(1)의 실내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7)를 갖고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20)와,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부(30)와, 송풍부(3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40)를 포함한다.The indoor unit of the
하우징(10)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17)가 형성되는 전면패널(10a)과, 전면패널(10a)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10b)과, 전면패널(10a)과 후면패널(10b) 사이에 마련되는 측면패널(10c)과, 측면패널(10c)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상,하부패널(10d)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17)는 원형으로 마련되며 전면패널(10a)의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이 이격배치될 수 있다. 후면패널(10b)에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부(19)가 형성될 수 있다.The
흡입부(19)는 열교환기(2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10b)상에 마련되어 하우징(10)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흡입부(19)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열을 흡수하거나 빼앗긴다.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열을 교환한 공기는 송풍부(30)에 의해 토출부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된다.The
송풍부(30)는 송풍팬(32)과 송풍그릴(34)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owing
송풍팬(32)의 토출방향에는 송풍그릴(34)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팬(32)은 사류(斜流)팬이 적용되나, 송풍팬(32)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일례로 송풍팬(32)은 크로스팬, 터보팬, 시로코팬일 수 있다. 송풍팬(32)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32)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32)은 흡입부(19)의 전방에 배치되고, 송풍팬(32)과 흡입부(19) 사이에는 열교환기(20)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2)의 전방으로 제 1 토출부(41)가 배치될 수 있다.A blowing
송풍부(30)는 송풍팬(32)의 중심에 마련되어, 송풍팬(32)을 구동하기 위한 팬구동부(33)가 마련될 수 있다. 팬구동부(33)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lowing
송풍그릴(34)은 송풍팬(32)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기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송풍그릴(34)은 송풍팬(32)과 공기토출부(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송풍팬(32)이 외부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The blowing
송풍그릴(34)은 복수의 날개(3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날개(35)는 그 개수, 형상, 배치각도를 조절하여, 송풍팬(32)으로부터 공기토출부(40)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향 또는 풍량을 조절 할 수 있다.The
송풍그릴(34)의 중심에는 이후 설명하는 도어동작부(66)가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동작부(66)와, 팬구동부(33)는 전후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송풍팬(32) 팬날개의 전방으로 송풍그릴(34)의 복수의 날개(35)가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송풍부(30)는 덕트(36)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36)는 송풍팬(32)을 둘러싸는 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팬(32)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즉, 흡입부(19)를 통해 흡입되어 열교환기(20)를 지난 공기가 송풍팬(32)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The
열교환기(20)는 송풍팬(32)과 흡입부(19)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부(19)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흡입부(19)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한다. 열교환기(20)는 튜브(21)와, 튜브(21)의 상하측에 결합되는 헤더(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열교환기(20)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The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20)의 개수는 개구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At least one heat exchanger (2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may b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openings.
공기토출부(40)는 하우징(10)에 마련되어, 하우징(10)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공기토출부(40)는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공기조화기(1)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갖고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는, 하우징(10)에 마련되는 개구(17)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와, 하우징(10)에 마련된 토출플레이트(14)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구(17)와 토출플레이트(14)로 함께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air conditioner (1) can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include a first mode for discharging the air heat exchanged with the
제 1 모드, 제 2 모드와 제 3 모드는 각각 이후 설명하는 제 1 토출부(41), 제 2 토출부(50),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열교환기(2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는 송풍팬(32)에 의해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를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The first mode, the second mode and the third mode are respectively a first mode, a second mode, and a third mode, which are described below, through a
제 1 모드에서는 제 1 토출부(41)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나, 제 1 토출부(41)로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제 2 토출부(50)로도 그 일부가 배출될 수 있다. 즉, 제 1 모드에서는 열교환된 공기 중 대부분의 공기가 제 1 토출부(41)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모드에서도 제 1 모드에서와 같이 열교환된 공기 중 대부분의 공기가 제 2 토출부(50)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e first mode, the heat-exchanged air is discharged to the
송풍부(30)를 지난 공기는 공기토출부(4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wing section (3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air discharging section (40).
공기토출부(40)는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나아가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 중 어느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제 1 토출부(41)는 하우징(10)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1)가 제 1 모드에 있을 때,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4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41)는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외부로 토출 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41)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제 1 토출부(41)는 송풍팬(32)의 송풍방향상에 마련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제 1 토출부(41)는 송풍부(30)의 송풍팬(32) 전방에 형성되어, 송풍부(3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토출부(41)로 직접 토출되도록 마련된다.The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32)과 제 1 토출부(41)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 도 9 참고)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유로(41a)는 토출가이드부(45)에 의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air blown by the blowing
제 1 토출부(41)는 가이드개구부(4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개구부(43)는 개구(17)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그 내주면을 따라 제 1 토출부(41)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개구부(43)는 하우징(10)의 개구(1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후 설명하는 도어유닛(60)이 이동하여 가이드개구부(43)에 안착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개구부(43)는 하우징(10)의 개구(17)에 배치되며, 그 내주면을 따라 제 1 토출부(41)를 형성할 수 있다.The
제 1 토출부(41)는 도어유닛(60)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discharging
도어유닛(60)은 제 1 토출부(41)를 개폐하며, 열교환된 공기가 선택적으로 제 1 토출부(4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도어유닛(60)은 제 1 토출부(41)를 개폐함으로서,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로 유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도어유닛(60)은 제 1 토출부(41)를 개방하는 도어개방위치(60a, 도 8, 9 참고)와, 제 1 토출부(41)를 폐쇄하는 도어폐쇄위치(60b, 도 10, 11참고)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유닛(60)은 도어개방위치(60a)와 도어폐쇄위치(60b)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자세하게는 도어유닛(60)은 도어블레이드(62)와, 도어블레이드(62)를 동작시키는 도어동작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도어블레이드(62)는 제 1 토출부(4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유닛(60)이 도어개방위치(60a)에 있는 경우에는 도어블레이드(62)가 가이드개구부(43)와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도어유닛(60)이 도어폐쇄위치(60b)에 있는 경우에는 도어블레이드(62)가 가이드개구부(43)에 접하여 제 1 토출부(41)를 폐쇄하도록 마련된다.The
도어블레이드(62)는 제 1 토출부(41)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마련되는 블레이드몸체(63)와, 블레이드몸체(63)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도어동작부(66)와 결합되는 블레이드결합부(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블레이드몸체(63)는 대략 원형의 플레이이트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몸체(63)는 그 일측면이 하우징(10)의 외부를 향하도록 마련되며, 타측면은 송풍부(30)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블레이드몸체(63)의 일측면에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공기조화기(1)의 동작상태가 표시되거나, 공기조화기(1)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A display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도어동작부(66)는 도어블레이드(62)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동작부(66)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동작부(66)는 도어블레이드(62)의 블레이드결합부(64)와 결합되어, 도어블레이드(62)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위에서 설명한 송풍그릴(34)은 도어동작부(66)의 주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송풍그릴(34)의 배면에 마련되는 송풍팬(32)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송풍그릴(34)을 지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제 2 토출부(50)는 외부패널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1)가 제 2 모드에 있을 때, 열교환된 공기는 제 2 토출부(5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열교환된 공기의 풍속을 저하시킨 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2 토출부(50)는 이후 설명하는 토출플레이트(14)에 형성되며, 토출플레이트(14)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개구(17)는 도 2, 4 에서와 같이 토출플레이트(14)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례로, 개구(17)와 토출플레이트(14)는 하우징(10)의 각각 다른 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The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부(5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32)과 제 2 토출부(50)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50a)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토출유로(50a)는 토출가이드부(45)와, 이후 설명하는 토출패널(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air blown by the blowing
외부패널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패널(11)과,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토출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패널(12)은 외부패널의 일구성이나, 토출부의 일구성일 수도 있다.The outer panel may include an
토출패널(12)은 제 2 토출유로(50a)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패널(12)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50a)와, 이후 설명하는 토출플레이트(14)를 통해 저속으로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패널(12)이 도 1, 2, 3에서와 같이 공기조화기(1)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드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토출패널(12)은 공기조화기(1)의 전면, 우측면, 좌측면, 후면, 상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토출패널(12)은 유로형성프레임(13)과, 토출플레이트(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유로형성프레임(13)은 하우징(10)의 내부와 제 2 토출유로(50a)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로형성프레임(13)을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형성프레임(13)은 송풍그릴(34)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외관패널(11)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flow
토출플레이트(14)에는 제 2 토출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와, 제 2 토출부(50)를 플레이트토출부라 할 수 있다. The
제 2 토출부(5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토출홀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제 2 토출부(50)는 토출플레이트(14)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는 유로형성프레임(13)보다 외측에 마련되어, 유로형성프레임(13)과 사이에 제 2 토출유로(50a)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제 2 토출부(50)는 토출플레이트(14)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토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영역에는 복수의 토출홀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분에 집중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영역에는 복수의 토출홀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마련된다. The
토출영역은 토출플레이트(14)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토출플레이트(14)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discharge region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제 3 모드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로 분배되어 토출되는 모드이다. 각 토출부로의 분배량은 설정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The third mode is a mode in which the heat-exchanged air is distribu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ion (4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50) and is discharged. The distribution amount to each discharge portion can be determined by setting and can be adjusted by the control portion.
공기토출부(40)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41)로 유동하는 제 1 토출유로(41a)와,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부(50)로 유동하는 제 2 토출유로(5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토출유로(41a)와 제 2 토출유로(50a)는 각각 토출유로와 방사토출유로로 명명할 수 있다.The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토출유로(41a)와 제 2 토출유로(50a)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The air blown by the blowing
제 1 모드에서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32)과 제 1 토출부(41)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 모드에서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32)과 제 2 토출부(50)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50a)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air blown by the blowing
공기토출부(40)는 토출가이드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토출가이드부(4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부(45)는 송풍부(30)의 전방에 마련되어, 송풍부(3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가 제 1 토출유로(41a)와 제 2 토출유로(50a)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로를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토출가이드부(45)는 가이드몸체(46)와, 가이드홈(47)를 포함할 수 있다.The
가이드몸체(46)는 그 내측으로 제 1 토출유로(41a)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몸체(46)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몸체(46)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은 송풍부(30)를 향하고, 타측은 제 1 토출부(41)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가이드홈(47)은 제 2 토출유로(50a)가 지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홈(47)은 가이드몸체(46)상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47)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몸체(46)상에 마련되어 가이드몸체(46)의 외측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홈(47)은 가이드몸체(46)에서 그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홀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제 1 모드에서는 도어유닛(60)이 제 1 토출부(41)를 개방하게 된다. 이 경우 송풍부(30)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가이드몸체(46)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를 지나 제 1 토출부(41)로 토출된다. In the first mode, the door unit (60) opens the first discharge portion (41). In this case, the air blowing from the blowing section (30) passes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41a) formed inside the guide body (46) and is discharged to the first discharge section (41).
제 2 모드에서는 도어유닛(60)이 제 1 토출부(41)를 폐쇄하게 된다. 이 경우 가이드몸체(46)의 일측은 도어유닛(60)에 의해 막히게 되어, 송풍부(30)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가이드몸체(46)에 형성된 가이드홈(47)를 지나 제 2 토출부(50)로 토출하게 된다.In the second mode,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하우징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가이드개구부의 결합에 관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discharge plate and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views showing a combination of a discharge plate and a guide op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토출플레이트(14)는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는 토출플레이트(14)가 하우징(10) 또는 가이드개구부(43)와 결합하도록 마련된다.The
플레이트결합부(15a)는 하우징(10)과의 결합을 위해 토출플레이트(14)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결합부(15b)는 가이드개구부(43)와의 결합을 위해 토출플레이트(14)의 개구(17)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는 토출플레이트(14)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는 홀 형상의 플레이트걸림홈(16a, 16b)을 포함하고, 플레이트걸림홈(16a, 16b)은 이후 설명하는 걸림돌기(17, 43b)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는 토출플레이트(14)가 하우징(10)과 결합하는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와, 토출플레이트(14)가 가이드개구부(43)와 결합하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는 토출플레이트(14)의 외곽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는 하우징(10)과 결합하여, 하우징(10)과 토출플레이트(14)가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At least one of the first
하우징(10)에는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걸림돌기(18)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걸림돌기(18)는 유로형성프레임(13)의 외곽에서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 1 걸림돌기(18)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10)에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하우징(10)과 토출플레이트(14)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The
도 5와 같이 토출플레이트(14)를 하우징(10)에 밀착하는 경우,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의 제 1 플레이트걸림홈(16a)은 제 1 걸림돌기(18)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토출플레이트(14)를 하우징(10)에 장착할 수 있다.5, the first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와 제 1 걸림돌기(18)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The number of the first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도 6과 같이 개구(17)의 외곽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가이드개구부(43)와 결합하여, 가이드개구부(43)와 토출플레이트(14)가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second
가이드개구부(43)에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가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삽입홈(43a)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와 가이드개구부(43)를 밀착시에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가이드삽입홈(43a)을 통해 가이드개구부(43)를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삽입홈(43a)은 개구의 외곽에 마련되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에 대응하여 가이드개구부(4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가이드삽입홈(43a)에 삽입되고, 삽입된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도 7과 같이 제 2 걸림돌기(43b)가 제 2 플레이트걸림홈(16b)에 걸림으로서, 토출플레이트(14)와 가이드개구부(43)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플레이트(14)와 가이드개구부(43)를 결합함으로서, 개구(17)와 제 1 토출부(41)를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 제 2 걸림돌기(43b), 가이드삽입홈(43a)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일정간격을 두고 네 개씩 도시하였다.The number of the second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 9, 10,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8, 9, 10, and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부로부터 하우징(10)으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0)와 함께 열교환한다. 열교환기(20)에 의해 공기조화된 공기는 송풍부(30)에 의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공기조화기(1)는 열교환기(20)를 거친 공기를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즉, 제 1 모드와 같이 제 1 토출부(41)를 통해 토출하여 집중적인 공기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제 2 모드와 같이 제 2 토출부(50)를 통해 토출하여 실내전체적으로 공기조화가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The
제 1 토출부(41)는 도어유닛(60)을 동작시켜 개폐할 수 있다. 제 1 토출부(41)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제 1 토출부(41)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며, 제 1 토출부(41)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제 2 토출부(50)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된다.The
자세하게는 제 1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first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 9는 제 1 모드를 동작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of an air conditioner operating in a first mode.
제 1 모드에서는 제 1 토출부(41)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하게 된다. 제 1 모드에서는 도어유닛(60)이 도어개방위치(60a)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블레이드(62)는 가이드개구부(43)와 이격되어 제 1 토출부(41)가 개방된다.In the first mode, the heat-exchang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이 경우, 송풍부(3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는 가이드몸체(46)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를 통해 제 1 토출부(41)로 유동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air flowing from the
제 1 토출부(4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송풍부(30)에 의한 풍속을 유지하면서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Whe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다음으로 제 2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second mode will be described.
도 10, 11은 제 2 모드를 동작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Figs. 10 and 11 are diagrams relating to the air conditioner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Fig.
제 2 모드에서는 제 2 토출부(5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하게 된다. 제 2 모드에서는 도어유닛(60)이 도어폐쇄위치(60b)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블레이드(62)는 가이드개구부(43)와 접하게 되어 제 1 토출부(41)가 폐쇄된다.In the second mode, the heat exchang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50). The
이 경우, 송풍부(3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는 제 1 토출부(41)가 도어블레이드(62)에 의해 막혀있어, 가이드몸체(46)에 형성된 가이드홈(47)를 지나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송풍부(3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는 제 2 토출유로(50a)를 지나 제 2 토출부(50)로 유동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air flowing from the
제 2 토출부(5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공기가 토출플레이트(14)의 복수의 토출구멍을 지나며 풍속이 저감되어, 저속으로 외부로 토출된다.Whe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쾌적함을 느끼는 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cool or heat the room with the wind speed feeling comfortable.
상기 설명에서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는 각각 고속토출부와 저속토출부로 명명하여도 무방하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discharging
다음으로 제 3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third mode will be described.
제 3 모드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로 각각 분배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는 모드이다. 각 토출부로의 공기분배량은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를 적용하여, 주위환경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The third mode is a mode in which the heat-exchanged air is distribu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ion (4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5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e air distribution amount to each discharge portion can be adjusted by the setting and can be adjusted by the control portion. Also, by applying a temperature sensor, it can be adjus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guide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토출가이드부(145)는 송풍부(30)의 전방에 마련되어, 송풍부(3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가 제 1 토출유로(41a)와 제 2 토출유로(50a)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로를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토출가이드부(145)는 메쉬(mesh) 또는 다공성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토출가이드부(145)는 가이드몸체(146)와, 가이드홈(147)을 포함할 수 있다.The
가이드몸체(146)는 그 내측으로 제 1 토출유로(41a)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몸체(146)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몸체(146)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은 송풍부(30)를 향하고, 타측은 제 1 토출부(41)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가이드홈(147)은 제 2 토출유로(50a)가 지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홈(147)은 가이드몸체(146)상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147)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몸체(146)상에 마련되어 가이드몸체(146)의 외측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가이드부(145)는 메쉬 또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가이드홈(147)은 가이드몸체(146)에 형성되는 다공성부분일 수 있다. The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13, 14, 15,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가이드부에 관한 도면이다.13, 14, 15, and 16 are views of a discharge guid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토출가이드부(245)는 제 1 가이드부(246)와 제 2 가이드부(246)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 1 가이드부(246)는 가이드몸체(246a)와, 가이드홈(246b)를 포함할 수 있다.The
가이드몸체(246a)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은 송풍부(30)를 향하고, 타측은 제 1 토출부(41)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가이드홈(246b)은 가이드몸체(246a)상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246b)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몸체(246a)상에 마련되어 공기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홈(246b)은 가이드몸체(246a)에서 그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홀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제 2 가이드부(247)는 제 1 가이드부(246)에 대해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가이드부(247)는 제 1 가이드부(246)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247)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제 2 가이드부(247)는 선택적으로 제 1 가이드부(246)의 가이드홈(246b)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즉, 제 2 가이드부(247)는 제 1 가이드부(246)에 대해 개방위치(247a)와, 폐쇄위치(247b)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2 가이드부(247)가 개방위치(247a)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가이드부(246)의 가이드홈(246b)가 개방되도록 제 1 가이드부(246)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 2 가이드부(247)가 폐쇄위치(247b)에 있는 경우에는, 제 2 가이드부(247)는 제 1 가이드부(246)의 가이드홈(246b)가 폐쇄되도록 제 1 가이드부(246)와 밀착되게 마련된다. 제 2 가이드부(247)는 도 13, 14와 같이 제 1 가이드부(246)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 1 가이드부(246)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개방위치(247a)와 폐쇄위치(247b)를 슬라이딩이동하게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5, 16과 같이 제 2 가이드부(248)는 제 1 가이드부(246)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개방위치(248a)와 폐쇄위치(248b)를 슬라이딩이동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The
이하는 상기 설명한 토출가이드부와 공기조화기의 동작모드와 관련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modes of the air discharge unit and th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공기조화기(1)가 제 1 모드에 있는 경우, 도어유닛(60)은 도어개방위치(60a)에 있게 된다. 이 때, 제 2 가이드부(247)는 폐쇄위치(247b)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제 2 가이드부(247, 248)가 폐쇄위치(247b, 248b)에 있는 경우, 제 1 가이드부(246)의 가이드홈(246b)은 폐쇄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1)내부의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가이드부(45)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를 통해 제 1 토출부(41)로만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2 토출유로(50a)는 제 2 가이드부(247, 248)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제 2 토출부(50)로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다.When the
공기조화기(1)가 제 2 모드에 있는 경우, 도어유닛(60)은 도어폐쇄위치(60b)에 있게 된다. 이 때, 제 2 가이드부(247, 248)는 개방위치(247a, 248a)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제 2 가이드부(247, 248)가 개방위치(247a, 248a)에 있는 경우, 제 1 가이드부(246)의 가이드홈(246b)은 개방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의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가이드부(245)의 가이드홈(246b)를 지나도록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50a)를 통해 제 2 토출부(50)로만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1 토출유로(41a)는 도어유닛(6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제 1 토출부(41)로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다.When the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17,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가이드부에 관한 도면이다.17 and 18 are views showing a discharge guide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토출가이드부(345)는 제 1 가이드부(346)와 제 2 가이드부(347)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 1 가이드부(346)는 제 1 가이드몸체(346a)와, 제 1 가이드홈(346b)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 1 가이드몸체(346a)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은 송풍부(30)를 향하고, 타측은 제 1 토출부(41)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제 1 가이드홈(346b)은 제 1 가이드몸체(346a)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홈(346b)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가이드몸체(346a)상에 마련되어 공기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이드홈(346b)은 제 1 가이드몸체(346b)에서 그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홀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제 2 가이드부(347)는 선택적으로 제 1 가이드부(346)의 제 1 가이드홈(346b)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즉, 제 2 가이드부(347)는 제 1 가이드부(346)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가이드부(347)는 제 1 가이드부(346)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347)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347)는 제 1 가이드부(346)에 대해 그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가이드부에 대해 그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The
제 2 가이드부(347)는 제 2 가이드몸체(347a)와, 제 2 가이드홈(34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몸체(347a)는 제 1 가이드몸체(346a)에 대응되며, 제 2 가이드홈(347b)은 제 1 가이드몸체(346a)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The
토출가이드부(345)는 개방위치(345a)와, 폐쇄위치(345b)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토출가이드부(345)가 개방위치(345a)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가이드부(346)의 제 1 가이드홈(346b)와 제 2 가이드부(347)의 제 2 가이드홈(347b)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가 제 1, 2 가이드홈(346b, 347b)를 지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토출가이드부(345)가 폐쇄위치(345b)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가이드부(346)의 제 1 가이드홈(346b)은 제 2 가이드부(347)의 제 2 가이드몸체(347a)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역으로 제 2 가이드부(347)의 제 2 가이드홈(347b)가 제 1 가이드부(346)의 제 1 가이드몸체(346a)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제 1, 2 가이드홈(346b, 347b)은 각각 제 2 가이드몸체(347a)와 제 1 가이드몸체(346a)에 의해 폐쇄된다. 이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제 1, 2 가이드홈(346b, 347b)를 지날 수 없게 된다.The
토출가이드부(345)는 폐쇄위치(345b)와 개방위치(345a)를 이동하도록, 제 1 가이드부(346)는 제 2 가이드부(347)에 대해 원주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역으로 제 2 가이드부(347)가 제 1 가이드부(346)에 대해 원주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The
이하는 상기 설명한 토출가이드부와 공기조화기의 동작모드와 관련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modes of the air discharge unit and th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공기조화기(1)가 제 1 모드에 있는 경우, 도어유닛(60)은 도어개방위치(60a)에 있게 된다. 이 때, 토출가이드부(345)는 폐쇄위치(345b)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토출가이드부(345)가 폐쇄위치(345b)에 있는 경우, 제 1, 2 가이드홈(346b, 347b)은 폐쇄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1)내부의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가이드부(345)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를 통해 제 1 토출부(41)로만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2 토출유로(50a)는 제 1, 2 가이드홈(346b, 347b)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제 2 토출부(50)로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다.When the
*공기조화기(1)가 제 2 모드에 있는 경우, 도어유닛(60)은 도어폐쇄위치(60b)에 있게 된다. 이 때, 토출가이드부(345)는 개방위치(345a)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토출가이드부(345)가 개방위치(345a)에 있는 경우, 제 1, 2 가이드홈(346b, 347b)은 개방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의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가이드부(345)의 제 1, 2 가이드홈(346b, 347b)를 지나도록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50a)를 통해 제 2 토출부(50)로만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1 토출유로(41a)는 도어유닛(6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제 1 토출부(41)로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다.When the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19,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19 and 20 are view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조화기(401)의 실내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417)를 갖고,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410)과, 하우징(4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하우징(4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부(430)와, 송풍부(43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4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440)를 포함한다.The indoor unit of the
송풍부(430)는 송풍팬(미도시)과 송풍그릴(434)을 포함할 수 있다.The
송풍팬의 토출방향에는 송풍그릴(434)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팬은 사류팬이 적용되나, 송풍팬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4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하우징(4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일례로 송풍팬은 크로스팬, 터보팬, 시로코팬일 수 있다. 송풍팬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417)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432)이 마련될 수 있다.A blowing
송풍부(430)는 송풍팬(432)의 중심에 마련되어, 송풍팬(432)을 구동하기 위한 팬구동부(433)가 마련될 수 있다. 팬구동부(433)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송풍그릴(434)은 하우징(410)의 내부에서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기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송풍그릴(434)은 송풍팬(432)과 토출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송풍팬(432)이 외부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The blowing
송풍그릴(434)은 복수의 날개(436)와, 원형의 디스크플레이트(435)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그릴(434)은 복수의 원형의 디스크플레이트(435)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436)는 그 개수, 형상, 배치각도를 조절하여, 송풍팬(432)으로부터 공기토출부(440)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향 또는 풍량을 조절 할 수 있다.The
공기토출부(440)는 제 1 토출부(441)와 제 2 토출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 1 토출부(441)는 송풍그릴(434)의 복수의 날개(436)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하우징(4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며, 제 2 토출부(450)는 하우징(410)의 토출플레이트(414)로 하우징(4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구성이다.The first discharging
하우징(410)은 제 2 토출부(450)가 형성된 토출플레이트(4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토출부(450)는 토출플레이트(414)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플레이트(414)은 하우징(410)의 전면에 형성되나, 토출플레이트(414)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부에 형성될수도 있다.The
제 2 토출부(450)는 토출플레이트(414)에 복수의 토출홀 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부(4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제 2 토출부(450)를 통해 균일하게 저속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공기조화기(41)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질 수 있다.The
복수의 동작모드는, 제 1 토출부(441)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와, 제 2 토출부(45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와, 제 1 토출부(441)와 제 2 토출부(45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includes a first mode for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through the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21,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21 and 22 are views show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조화기(501)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517)를 갖고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510)과, 하우징(5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하우징(5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미도시)과, 송풍부(미도시)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5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540)를 포함한다. The
공기토출부(540)는 제 1 토출부(541)와 제 2 토출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 1 토출부(541)는 개구(517)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517)에는 블레이드(517a)가 마련되어, 제 1 토출부(54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자세하게는 개구(517)는 전면패널(510a)상에 마련될 수 있다. 개구(517)에는 블레이드(517a)가 마련되어, 블레이드(517a)의 동작을 통해 제 1 토출부(54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 할 수 있다. 제 2 토출부(550)는 하우징(510)의 토출플레이트(514)로 하우징(5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구성이다.The
하우징(510)은 제 2 토출부(550)가 형성된 토출플레이트(5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토출부(550)는 토출플레이트(514)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플레이트(514)는 하우징(510)의 전면에 형성되나, 토출플레이트(514)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부에 형성될수도 있다.The
제 2 토출부(550)는 토출플레이트(514)에 복수의 토출홀 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부(5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제 2 토출부(550)를 통해 균일하게 저속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ing
공기조화기(501)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질 수 있다.The
복수의 동작모드는, 제 1 토출부(541)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와, 제 2 토출부(55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와, 제 1 토출부(541)와 제 2 토출부(55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includes a first mode for discharging air heat-exchanged through the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23,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23 and 24 are view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조화기(601)는 천장의 내부로 진입되도록 마련된다.The
공기조화기(601)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617)를 갖고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610)과, 하우징(6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620)와, 하우징(6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부(미도시)와, 송풍부(미도시)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6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640)를 포함한다. 하우징(610)은 천장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부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공기토출부(640)는 제 1 토출부(641)와 제 2 토출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 1 토출부(641)는 개구(617)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617)에는 블레이드(617a)가 마련되어, 제 1 토출부(64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 2 토출부(650)는 하우징(610)의 토출패널(612)로 하우징(6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구성이다.The
하우징(610)은 제 2 토출부(650)가 형성된 토출패널(6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토출부(650)는 토출패널(612)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한다. 하우징(610)은 천장에 배치되어, 그 하면이 실내로 노출되므로, 토출패널(612)을 하우징(610)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The
제 2 토출부(650)는 토출패널(612)에 복수의 토출홀 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제 2 토출부(650)를 통해 균일하게 저속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공기조화기(601)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질 수 있다.The
복수의 동작모드는, 제 1 토출부(641)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와, 제 2 토출부(65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와, 제 1 토출부(641)와 제 2 토출부(65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includes a first mode for discharging the air that has been heat-exchanged through the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25,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25 and 26 are view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조화기(701)는 벽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The
공기조화기(701)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717)를 갖고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710)과, 하우징(7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하우징(7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부(미도시)와, 송풍부(미도시)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7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740)를 포함한다. 하우징(710)은 실내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송풍부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The
공기토출부(740)는 제 1 토출부(741)와 제 2 토출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 1 토출부(741)는 개구(717)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717)에는 블레이드(717a)가 마련되어, 제 1 토출부(74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 2 토출부(750)는 하우징(710)의 토출패널(712)로 하우징(7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구성이다.The
하우징(710)은 제 2 토출부(750)가 형성된 토출플레이트(7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토출부(750)는 토출플레이트(714)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플레이트(714)는 하우징(710)의 전면에 형성되나, 토출플레이트(714)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부에 형성될수도 있다.The
제 2 토출부(750)는 토출플레이트(714)에 복수의 토출홀 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부(7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제 2 토출부(750)를 통해 균일하게 저속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공기조화기(701)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질 수 있다.The
복수의 동작모드는, 제 1 토출부(741)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와, 제 2 토출부(75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와, 제 1 토출부(741)와 제 2 토출부(75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includes a first mode for discharging air heat-exchanged through the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27,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27 and 28 are view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조화기의 일종류로서 공기청정기(801)에 관하여 설명한다.The
공기청정기(80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810)과, 하우징(810)의 일측에 마련되어 하우징(810)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816)와, 흡입부(816)로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8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공기청정기(801)는 하우징(810) 내부에 마련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냄새입자 등의 이물을 흡착하여 걸러내기 위한 집진필터, 흡입부(816)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집진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공기토출부(840)를 통해 토출하기 위해 송풍동작을 하는 송풍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공기토출부(840)는 제 1 토출부(841)와, 제 2 토출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discharging portion 840 may include a first discharging
제 1 토출부(841)는 집진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고속의 풍속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제 2 토출부(850)는 집진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하우징(810)의 토출패널(812)로 저속의 풍속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The first discharging
*제 1 토출부(841)는 하우징(810)에 개구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부(미도시)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직접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하우징(810)은 제 2 토출부(850)가 형성된 토출플레이트(8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토출부(850)는 토출플레이트(814)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한다.The
제 2 토출부(850)는 토출플레이트(814)에 복수의 토출홀 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부(8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복수의 토출홀을 통해 균일하게 저속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공기청정기(801)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질 수 있다.The
복수의 동작모드는, 제 1 토출부(841)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와, 제 2 토출부(85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와, 제 1 토출부(841)와 제 2 토출부(85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includes a first mod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hrough the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regoing has shown and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
1 : 공기조화기 10 : 하우징
11 : 외관패널 12 : 토출패널
13 : 유로형성프레임 14 : 토출플레이트
20 : 열교환기 30 : 송풍부
40 : 공기토출부 41 : 제 1 토출부
41a : 제 1 토출유로 43 : 가이드개구부
45 : 토출가이드부 46 : 가이드몸체
47 : 가이드홈 50 : 제 2 토출부
50a : 제 2 토출유로 60 : 도어유닛 1: air conditioner 10: housing
11: Exterior panel 12: Discharge panel
13: flow path forming frame 14: discharge plate
20: heat exchanger 30:
40: air discharge portion 41: first discharge portion
41a: first discharge flow path 43: guide opening
45: Discharge guide portion 46: Guide body
47: guide groove 50: second discharge portion
50a: second discharge passage 60: door unit
Claims (2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의 송풍팬;
상기 복수의 송풍팬의 주위에서 송풍공기를 각각 가이드하는 복수의 덕트;
상기 복수의 덕트의 하류에서 상기 복수의 덕트보다 확장된 공통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프레임;
상기 복수의 송풍팬에 각각 대응되고 상기 복수의 덕트를 지난 송풍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의 주위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확장된 공통의 유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갖고, 상기 유로형성프레임을 덮도록 구성되는 토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덕트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확장된 공통의 유로 내에서 확산되어 상기 복수의 토출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확장된 공통의 유로는 상기 복수의 덕트와 각각 연통되는 공기조화기.housing;
A heat exchanger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plurality of blowing fans for blowing air heat-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A plurality of ducts for guiding blowing air around the plurality of blowing fans;
A flow path forming frame that forms a common flow path extending from the plurality of ducts downstream of the plurality of ducts;
A plurality of opening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lowing fans and provided so that the b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duct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he extended common flow path And a discharg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connected to cover the flow path forming frame,
Wherein the expanded common flow pat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ducts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ducts is diffused in the expanded common flow path and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상기 토출플레이트는,
상기 유로형성프레임과 함께 상기 확장된 공통의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plate
And forms the extended common flow path together with the flow path forming frame.
상기 확장된 공통의 유로는,
상기 복수의 덕트에서 상기 복수의 개구로 연결되는 제 1 토출유로;
상기 복수의 덕트에서 상기 복수의 토출홀로 연결되는 제 2 토출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nded common flow path includes:
A first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openings in the plurality of ducts;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in the plurality of ducts.
상기 송풍공기는,
상기 제 1, 2 토출유로 중 어느 하나로 토출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And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flow paths.
상기 유로형성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덕트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low path forming frame is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plurality of ducts.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복수의 덕트의 전방에 각각 마련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openings
And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ducts.
상기 복수의 덕트를 지난 송풍공기는, 상기 복수의 개구의 폐쇄시 상기 확장된 공통의 유로를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ducts is configured to flow through the expanded common flow passage when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closed.
상기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토출홀은,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토출플레이트에 함께 형성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openings and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Wherein the discharge plate is formed together with the discharge plate that forms the appearance.
상기 복수의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복수의 개구가 개방될 때 상기 복수의 개구를 통해 토출되며,
상기 복수의 개구가 도어유닛에 의해 폐쇄될 때, 상기 복수의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blown from the plurality of blowing fans
The plurality of openings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openings when opened,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when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closed by the door unit.
상기 복수의 송풍팬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개구로의 공기유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유로형성프레임과 상기 토출플레이트사이에 배치되는 토출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charge guid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low path forming frame and the discharge plate to guide air flow from the plurality of blowing fans to the plurality of openings.
상기 확장된 공통의 유로는,
상기 복수의 덕트에서 상기 복수의 개구로 연결되는 제 1 토출유로;
상기 복수의 덕트에서 상기 복수의 토출홀로 연결되는 제 2 토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이드부는,
상기 제 1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제 2 토출유로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xtended common flow path includes:
A first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openings in the plurality of ducts;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in the plurality of ducts,
The discharge guide portion
A guide body forming the first discharge passage;
And a guide hole formed in the guide body such that air flows into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가이드몸체의 주위방향으로 상기 송풍공기가 방출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guide hole
Wherein a plurality of air blowers are dispos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guide body so as to discharge the air blow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uide body.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폐쇄되면, 상기 폐쇄된 개구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확장된 공통의 유로를 경유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홀들을 통해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is closed so that air flowing toward the closed opening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via the extended common flow path.
상기 복수의 토출홀은,
상기 복수의 개구 주위에 분포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nd is distributed around the plurality of openings.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송풍팬;
송풍공기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덕트;
상기 송풍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며, 복수의 도어유닛에 의해 각각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의 주위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갖는 토출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덕트와 연통되도록 상기 복수의 덕트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토출플레이트의 내측에서 상기 토출플레이트와 사이에 확장된 공통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프레임으로서, 상기 복수의 덕트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확장된 공통의 유로내에서 확산되어 상기 복수의 토출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유로형성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housing;
A heat exchanger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plurality of blowing fan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discharge the air 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ducts guiding blowing air;
A plurality of openings provide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by the plurality of door units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provided so as to discharge air around the plurality of openings, A discharge plate;
A flow path forming frame extending from the plurality of ducts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ducts and forming a common flow path extending between the discharge plate and the discharge plate inside the discharge plate, And a flow path forming frame configured to be diffused in an expanded common flow path and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상기 확장된 공통의 유로는,
상기 복수의 덕트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로부터 확장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extended common flow path includes:
And extends from a flow path formed inside the plurality of ducts.
상기 복수의 덕트를 지나는 송풍공기는,
상기 복수의 개구가 개방시에는 상기 복수의 개구를 향해 유동하며,
상기 복수의 개구가 폐쇄시에는 상기 확장된 공통의 유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토출홀을 향해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b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ducts,
Wherein the plurality of openings flow toward the plurality of openings when opened,
And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configured to flow toward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through the extended common flow path when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closed.
상기 확장된 공통의 유로는,
상기 복수의 덕트에서 상기 복수의 개구로 연결되는 제 1 토출유로;
상기 복수의 덕트에서 상기 복수의 토출홀로 연결되는 제 2 토출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extended common flow path includes:
A first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openings in the plurality of ducts;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in the plurality of ducts.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하류에 위치하는 유로형성프레임으로서, 상기 덕트를 지난 송풍공기가 전방을 향해 유동하는 제 1 토출유로와, 방사상으로 유동하는 제 2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프레임;
상기 제 1 토출유로를 유동하는 송풍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며 도어유닛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개구와, 상기 제 2 토출유로를 유동하는 송풍공기가 상기 개구의 주위로 공기가 토출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가지고, 상기 유로형성프레임과 함께 상기 토출유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토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housing;
A heat exchanger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blower fa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discharge the air 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duct for guiding air blown by the blowing fan;
A flow path forming frame disposed downstream of the duct, the flow path forming frame forming a first discharge flow path in which the b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duct flows forward and a second discharge flow path that flows radially;
An opening provide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by the door unit so that the blowing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flow pat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n air blowing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discharging flow passage, And an ejec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ejection holes to be ejected and arranged to form the ejection flow path together with the flow path forming frame.
상기 유로형성프레임은,
상기 덕트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flow-
And extend from the duc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9548A KR101778544B1 (en) | 2016-12-26 | 2016-12-26 | Air Conditio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9548A KR101778544B1 (en) | 2016-12-26 | 2016-12-26 | Air Conditio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1933A Division KR101698842B1 (en) | 2015-07-17 | 2015-07-17 | Air Conditio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9807A KR20170009807A (en) | 2017-01-25 |
KR101778544B1 true KR101778544B1 (en) | 2017-09-26 |
Family
ID=5799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9548A KR101778544B1 (en) | 2016-12-26 | 2016-12-26 | Air Conditio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854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13658B2 (en) | 2019-12-27 | 2024-0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purifi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1667B1 (en) | 2017-12-15 | 2022-05-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76995A (en) * | 2002-11-27 | 2004-06-24 | Fujitsu General Ltd | Hot water heater |
-
2016
- 2016-12-26 KR KR1020160179548A patent/KR10177854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76995A (en) * | 2002-11-27 | 2004-06-24 | Fujitsu General Ltd | Hot water heat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13658B2 (en) | 2019-12-27 | 2024-0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purifi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9807A (en) | 2017-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8842B1 (en) | Air Conditio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927885B1 (en) | Air Conditional | |
KR101962804B1 (en) | Air Conditional | |
KR20170009701A (en) | Air Conditional | |
KR102454922B1 (en) | Air Conditional | |
KR20190079185A (en) | Air Conditioner | |
KR101962806B1 (en) | Air Conditional | |
KR101778544B1 (en) | Air Conditio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90072023A (en) | Air Conditioner | |
KR20190012841A (en) |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2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71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10193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4I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