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767A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767A
KR20140107767A KR1020130021709A KR20130021709A KR20140107767A KR 20140107767 A KR20140107767 A KR 20140107767A KR 1020130021709 A KR1020130021709 A KR 1020130021709A KR 20130021709 A KR20130021709 A KR 20130021709A KR 20140107767 A KR20140107767 A KR 20140107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state
mobile terminal
mess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연
Original Assignee
강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연 filed Critical 강동연
Priority to KR1020130021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7767A/ko
Publication of KR20140107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신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하는 위급 상태 통보 방법은 충격 이벤트 및 핫키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한 상태에서 위급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위급 상태로 평가되면, 위급 상태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통제 서버는 위급 상태 메시지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며, 멀티미디어 정보를 유관 기관 서버로 전송하며, 수신 모바일 단말은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ING AN EMERGENCY STATE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속도로에서의 교통사고와 같은 위급 상태에 대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이 통제 서버로 통지하고, 통제 서버가 위급 상태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다른 모바일 단말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위급 상태를 적시에 알려,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유관 기관에 전달하여 보관하도록 하는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 등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나 갓길 주차와 같은 위급 상태는 위급 상태의 발생 위치에 진입 예정인 차량 등에 적절한 방법으로 알려지지 않는 경우에, 2차 사고와 같은 또 다른 위급 상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고속도로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전광판 또는 교통방송 등을 통하여 교통사고의 발생 사실이 제한적으로 통보된다. 위급 상태를 통지할 수 있는 전광판의 경우 고속도로 전체 구간에서 일부 구간만을 커버하는 정도로 불충분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전광판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서 발생한 교통사고에 대한 통보는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설령 전광판이 설치된 구간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후미 차량의 운전자가 전광판을 통하여 통보되는 위급 상태를 간과할 수도 있으며, 안개의 발생과 같은 기상 상황의 악화로 제대로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교통방송을 통한 교통사고의 통보도 채널의 제한, 시간의 제한 등과 같은 다양한 영향으로 그 효과에 한계를 지닌다. 전광판이나 교통방송을 통한 위급 상태의 통보에 있어서, 갓길 주차와 같은 다양한 상태의 발생도 위급 상태로서 또 다른 위급 상태의 발생 원인이 될 수 있으나, 주로 교통사고만이 그 대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음성 통화를 기본으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셀 방송 서비스(CBS, Cell Broadcasting Service) 등의 다양한 문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모바일 단말의 보급률이 폭증하는 추세이며, 보급된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은 단순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문자 서비스를 비롯하여, 무선 인터넷 기능 등의 각종 부가 기능을 구비한 복합 정보화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스마트 폰과 같은 최근의 모바일 단말에 채택되는 부가 기능 중 내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은 내장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이용하여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후,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위치 정보를 산출한 후, 지리 정보에 결합하여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상술한 위급 상태, 특히 고속도로에서의 교통사고, 갓길 주차와 같이 2차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이 산출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모바일 단말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 모바일 단말이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한 후, 위급 상태 여부를 평가한 후, 위급 상태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제 서버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제 서버가 발신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급 상태 메시지를 바탕으로 생성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위급 상태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신 모바일 단말로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보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급 상태의 여부를 위급 상태 이벤트가 감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GPS 신호로부터 산출한 차량의 운행 속도가 0인 것인지의 여부로 위급 상태를 평가하여, 약간의 충격이나 사용자의 조작 실수에 따른 핫키 입력으로 위급 상태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위급 상태로 판단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 자원에 대한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알람 구간을 설정하며, 후속 차량이 알람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에 수신 모바일 단말이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기 때문에 적시에 위급 상태를 통보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는 발신 모바일 단말, 통제 서버, 유관 기관 서버 및 복수의 수신 모바일 단말이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에 있어서, 발신 모바일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충격 이벤트 및 핫키 입력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한 상태에서 위급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위급 상태로 평가되면 위급 상태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통제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발신 모바일 단말로부터 위급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위급 상태 메시지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수신 모바일 단말로 통보하는 단계, 추출된 멀티미디어를 유관 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 모바일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부터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로부터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현재 위치 정보와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와 결합하는 발신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에 있어서, 충격 이벤트 및 핫키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한 상태에서 위급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위급 상태로 평가되면, 위급 상태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통제 서버는 위급 상태 메시지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며, 멀티미디어 정보를 유관 기관 서버로 전송하며, 수신 모바일 단말은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는 발신 모바일 단말, 유관 기관 서버 및 복수의 수신 모바일 단말과 결합하는 통제 서버에서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발신 모바일 단말로부터 위급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위급 상태 메시지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수신 모바일 단말로 통보하는 단계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유관 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발신 모바일 단말은 충격 이벤트 및 핫키 입력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서 위급 상태로 평가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며, 수신 모바일 단말은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와 결합하는 수신 모바일 단말이 수행하는 위급 상태 통보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부터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로부터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현재 위치 정보가 알람 구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현재 위치 정보가 알람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발신 모바일 단말은 충격 이벤트 및 핫키 입력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서 위급 상태로 평가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 전송하며, 통제 서버는 위급 상태 메시지를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며, 추출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유관 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에 있어서, 위급 상태의 평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GPS 신호로부터 산출한 차량의 운행 속도가 0인 것인지의 여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제 서버가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급 상태 위치 정보는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며, 통제 서버가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알람 구간을 설정하며, 수신 모바일 단말이 알람 구간에 상응하는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발신 모바일 단말이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한 후, 위급 상태 여부를 평가한 후, 위급 상태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제 서버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통제 서버가 발신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급 상태 메시지를 바탕으로 생성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위급 상태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신 모바일 단말로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보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위급 상태의 여부를 위급 상태 이벤트가 감지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GPS 신호로부터 산출한 차량의 운행 속도가 0인 것인지의 여부로 위급 상태를 평가하여, 약간의 충격이나 사용자의 조작 실수에 따른 핫키 입력으로 위급 상태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위급 상태로 판단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 자원에 대한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알람 구간을 설정하며, 후속 차량이 알람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에 수신 모바일 단말이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기 때문에 적시에 위급 상태를 통보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a는 모바일 단말이 발신 모바일 단말로 사용될 경우의 제어부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b는 모바일 단말이 수신 모바일 단말로 사용될 경우의 제어부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상태 정보 통보 방법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태 통보 방법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모바일 단말이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제 서버가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바일 단말이 통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 및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시스템은 발신 또는 수신 모바일 단말(200) 및 통제 서버(100)를 포함하거나, 유관 기관 서버(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관 기관 서버(110)가 포함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시스템의 경우,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가 유관 기관 서버(110)에 보관되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관 기관 서버가 포함되지 않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시스템의 경우,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가 통제 서버(100)에 보관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시스템이 유관 기관 서버(110)를 포함하며,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가 유관 기관 서버(110)에 보관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모바일 단말(200)은 발신 모바일 단말(200)로서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한 후, 위급 상태를 평가하여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100)로 전송하거나, 수신 모바일 단말(200)로서 통제 서버(100)로부터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되는 알람 구간에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생성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한다. 발신 모바일 단말(200)이 생성하는 위급 상태 메시지는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는 발신 모바일 단말(200)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블랙박스와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에서 차량 번호 등과 같은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을 모자이크 처리 등과 같은 비인지화 처리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는 통제 서버(100)로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보되며, 통제 서버(100)는 유관 기관 서버(110)로 전달하여 교통사고에 대한 동영상 자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200)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320)나 무선 인터넷(310)을 통하여 통제 서버(100)에 연결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셀룰러 폰, PCS 폰, 스마트 폰을 포함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200)은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갖춘 노트북(Notebook),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ata Assistant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네트워크(320)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Wideband-CDMA)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근거리 통신망(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네트워크(320)는 이동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 410),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 420), HLR(Home Location Register, 430), BTS(Base Transceiver Station, 440) 및 IWF(Inter-Working Function, 450)를 포함한다. BTS(440)는 무선 송수신기로 구성되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내의 모바일 단말기(200)와 무선 링크를 통하여 세션을 설정하고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기지국 제어기(420)는 복수의 BTS(440)를 관리하며 무선 채널 설정(Setup),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핸드 오버(Handover) 등의 처리를 담당한다. 이동 교환국(410)은 모바일 단말(200)의 이동성 관리, 위치 등록/관리, 인증, 핸드 오버, 로밍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이동 교환국(4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급 상태 통보 방법의 수행에 따라서 발신 모바일 단말(200)과 통제 서버(100) 또는 통제 서버(100)와 수신 모바일 단말(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채널을 형성한다. HLR(430)은 모바일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비롯한 가입자의 상태, 통계 및 각종 서비스 관련 정보를 관리한다. IWF(450)는 이동 교환국(410)과 인터넷(310)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 교환국(450)으로부터의 신호를 인터넷(310)에 필요한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인터넷(310)으로부터의 신호를 이동 교환국(450)에 필요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위급 상태 통보 시스템의 구성을 바탕으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모바일 단말(200)은 발신 모바일 단말(200)로서 충격 센서로부터의 충격 이벤트나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핫키 입력 이벤트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GPS 신호로부터 산출한 차량의 운행 속도가 0인 것인지의 여부로 위급 상태를 평가하며 위급 상태로 평가되는 경우, 위급 상태 이벤트에 따라 미리 마련된 위급 상태 정보를 추출하며,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며 위급 상태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검출하며,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추출하며, 위급 상태 정보, 위급 상태 위치 정보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며, 생성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100)로 전송한다. 통제 서버(100)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발신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위급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며, 위급 상태 메시지를 파싱하여 위급 상태 정보 및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위급 상태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며, 생성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수신 모바일 단말(200)로 통보한다(broadcasting). 통제 서버(100)는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알람 구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알람 구간을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제 서버(100)는 위급 상태 메시지를 파싱하여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유관 기관 서버(110)로 전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통제 서버(100)는 추출된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수신 모바일 단말(200)로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100)로부터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며, 수신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파싱하여 위급 상태 정보 및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하며,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현재 위치가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된 알람 구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검출된 현재 위치가 알람 구간에 포함되면, 미리 마련된 지리 정보와 연동함으로써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며, 생성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0)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모바일 단말(200)에 후술하는 충격 센서(221)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외부에 장착되는 충격 이벤트 감지 장치로부터 충격 이벤트를 수신하거나, 모바일 단말(200)에 후술하는 카메라(275)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블랙박스와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모바일 단말(200)에 후술하는 중력 센서(222)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 블랙박스와 같은 외부 기기에 구비되어 외부 기기의 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250), 위급 상태 이벤트에 따라 미리 마련된 위급 상태 정보,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파싱하여 추출한 위급 상태 정보,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미리 마련되는 지리 정보 등의 데이터 및 카메라(275) 및/또는 음성 입력부(290)를 이용하여 직접 생성하거나 블랙박스와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획득하는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와 본 발명에 따른 위급 상태 통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40), 충격량을 감지하며 감지된 충격량을 바탕으로 충격 이벤트를 방생시키는 충격 센서(221)와 적절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생성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200)의 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중력 센서(222)를 포함하는 센서부(220), 각종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270), 사용자의 키 입력,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핫키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는 핫키 입력을 받는 입력부(280), 무선 송수신부(25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거나 음성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230), 코덱(230)에 의하여 변환된 음성이나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260), 음성을 입력받아 코덱을 전달하는 음성 입력부(290),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동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275), GPS 신호를 바탕으로 위치 정보, 시각 정보, 속도 정보 등을 생성하는 GPS 모듈(285) 및 상기 무선 송수신부(250), 저장부(240), 센서부(220), 표시부(270), 입력부(280), 코덱(230), 음성 출력부(260), 음성 입력부(290), 카메라(275) 및 GPS 모듈(285)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위급 상태 통보 방법을 수행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도 3a는 모바일 단말이 발신 모바일 단말로 사용될 경우의 제어부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이 발신 모바일 단말로서 사용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충격 센서 또는 외부, 특히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충격 이벤트 감지 장치로부터 충격 이벤트를 수신하기 위한 충격 이벤트 감지 컴포넌트(212), 및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핫키 입력 이벤트를 감지하는 핫키 입력 이벤트 감지 컴포넌트(213)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이벤트 감지 컴포넌트(211),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GPS 신호로부터 산출한 차량의 운행 속도가 0인 것인지의 여부로 위급 상태를 평가하는 위급 상태 평가 컴포넌트(214), 위급 상태로 평가되는 경우에 미리 마련된 위급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위급 상태 정보 추출 컴포넌트(215), 위급 상태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 검출 컴포넌트(216), 발신 모바일 단말이 생성하거나 블랙박스와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획득한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처리하며, 특히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에서 차량 번호 등과 같은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을 모자이크 처리 등과 같은 비인지화 처리를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컴포넌트(217), 위급 상태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는 위급 상태 메시지 생성 컴포넌트(218), 발신 모바일 단말 또는 블랙박스와 같은 외부 기기에 구비되는 중력 센서를 통하여 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처리하는 거치 상태 정보 처리 컴포넌트(21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모바일 단말이 수신 모바일 단말로 사용될 경우의 제어부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이 수신 모바일 단말로서 사용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파싱하는 메시지 파싱 컴포넌트(223), 파싱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로부터 위급 상태 정보 및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하거나,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 추출 컴포넌트(224), 검출된 현재 위치가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된 알람 구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비교 컴포넌트(225), 비교 결과를 미리 마련된 지리 정보와 연동함으로써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며, 생성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 컴포넌트(2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컴포넌트(221)는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표시부로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거나, 음성 출력부로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하여, 수신 모바일 단말 사용자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환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 기기(50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상술한 충격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충격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충격량을 바탕으로 충격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충격 센서(5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50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에 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카메라(540) 및/또는 음성 입력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50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GPS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GPS 모듈(5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500)는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카메라(540) 및/또는 음성 입력부(550)를 포함하는 경우에,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적절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생성될 수 있도록 외부 기기(500)의 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중력 센서(52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충격 센서(521) 및 중력 센서(522)는 센서부(52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500)는 충격 센서(521)가 감지한 충격량, 카메라(540) 및/또는 음성 입력부(550)에 의하여 생성되는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GPS 모듈(570)에서 발생시킨 정보, 중력 센서(522)가 감지한 거치 상태 정보와 더불어 외부 기기(500)에서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위급 상태 통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기기(500)는 충격 이벤트,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거치 상태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530), 및 센서부(520), 근거리 무선 통신부(530), 카메라(540), 음성 입력부(550), 저장부(560)와 GPS 모듈(5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10)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상태 정보 통보 방법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모바일 단말은 주기적으로 또는 통제 서버의 요청에 의하여 중력 센서로부터 획득한 거치 상태 정보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501, 503). 발신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충격 센서 또는 블랙박스와 같은 외부 기기에 구비된 충격 센서로부터 획득한 거치 상태 정보는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가 적절히 생성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통제 서버는 수신한 거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가 적절히 생성될 수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발신 모바일 단말 또는 블랙박스와 같은 외부 기기의 거치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단계 505), 발신 모바일 단말 또는 블랙박스와 같은 외부 기기의 거치 상태를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발신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507, 509).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발신 모바일 단말이 거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단계 505, 즉 발신 모바일 단말 또는 블랙박스와 같은 외부 기기의 거치 상태가 양호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발신 모바일 단말 또는 블랙박스와 같은 외부 기기의 거치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발신 모바일 단말 또는 블랙박스와 같은 외부 기기의 거치 상태를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태 통보 방법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모바일 단말은 위급 상태를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601, 603). 발신 모바일 단말이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충격 센서로부터의 충격 이벤트나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핫키 입력 이벤트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단계 701),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GPS 모듈의 GPS 신호로부터 산출한 차량의 운행 속도가 0인 것인지의 여부로 위급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단계 703), 위급 상태 이벤트에 따라 미리 마련된 위급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단계 705), 위급 상태로 평가되는 경우,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단계 707), 위급 상태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단계 709), 위급 상태 정보,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및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711) 및 생성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단계 713)를 포함한다. 다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제 서버는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수신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605, 607). 통제 서버가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발신 모바일 단말로부터 위급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단계 801), 위급 상태 메시지를 파싱하는 단계(단계 803), 파싱된 위급 상태 메시지로부터 위급 상태 정보 및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단계 805), 추출된 위급 상태 정보, 위급 상태 위치 정보 및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한 알람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807), 생성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수신 모바일 단말로 통보하는 단계(단계 809), 단계 803 이후에, 파싱된 위급 상태 메시지로부터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811) 및 추출된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유관 기관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단계 8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통제 서버는 추출한 위급 상태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바일 단말이 통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 및 출력하는 과정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부터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단계 901), 수신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파싱하는 단계(단계 903), 파싱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로부터 위급 상태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단계 905),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단계 907), 검출된 현재 위치 정보가 알람 구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단계 909), 판단 결과가 부정적이면 단계 907을 다시 수행하고, 판단 결과가 긍정적이면 비교 결과를 미리 마련된 지리 정보와 연동함으로써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911) 및 생성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단계 913)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통제 서버 110 : 유관 기관 서버
200 : 모바일 단말 310 : 인터넷
320 : 이동 통신 네트워크 410 : 이동 교환국
420 : 기지국 제어기 430 : HLR
440 : BTS 450 : IWF
210, 510 : 제어부 220, 520 : 센서부
221, 521 : 충격 센서 222, 522 : 중력 센서
230 : 코덱 240, 560 : 저장부
250 : 무선 송수신부 260 : 음성 출력부
270 : 표시부 275, 540 : 카메라
280 : 입력부 285, 570 : GPS 모듈
290, 550 : 음성 입력부
211 : 위급 상태 이벤트 감지 컴포넌트
212 : 충격 이벤트 감지 컴포넌트
213 : 핫키 입력 이벤트 감지 컴포넌트
214 : 위급 상태 평가 컴포넌트
215 : 위급 상태 정보 추출 컴포넌트
216 : 위급 상태 위치 정보 검출 컴포넌트
217 :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컴포넌트
218 : 위급 상태 메시지 생성 컴포넌트
219 : 거치 상태 정보 처리 컴포넌트
223 : 메시지 파싱 컴포넌트
224 : 정보 추출 컴포넌트
225 : 위치 정보 비교 컴포넌트
226 : 출력 컴포넌트

Claims (7)

  1.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는 발신 모바일 단말, 통제 서버, 유관 기관 서버 및 복수의 수신 모바일 단말이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에 있어서,
    발신 모바일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충격 이벤트 및 핫키 입력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한 상태에서 위급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위급 상태로 평가되면 위급 상태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통제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발신 모바일 단말로부터 위급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위급 상태 메시지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수신 모바일 단말로 통보하는 단계, 추출된 멀티미디어를 유관 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 모바일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부터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로부터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현재 위치 정보와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2.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와 결합하는 발신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에 있어서,
    충격 이벤트 및 핫키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위급 상태 이벤트를 감지한 상태에서 위급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위급 상태로 평가되면, 위급 상태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통제 서버는 위급 상태 메시지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며, 멀티미디어 정보를 유관 기관 서버로 전송하며,
    수신 모바일 단말은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3.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하는 발신 모바일 단말, 유관 기관 서버 및 복수의 수신 모바일 단말과 결합하는 통제 서버에서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발신 모바일 단말로부터 위급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위급 상태 메시지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수신 모바일 단말로 통보하는 단계;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유관 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발신 모바일 단말은 충격 이벤트 및 핫키 입력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서 위급 상태로 평가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며,
    수신 모바일 단말은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4.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와 결합하는 수신 모바일 단말이 수행하는 위급 상태 통보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부터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로부터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현재 위치 정보가 알람 구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현재 위치 정보가 알람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발신 모바일 단말은 충격 이벤트 및 핫키 입력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서 위급 상태로 평가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제 서버로 전송하며,
    통제 서버는 위급 상태 메시지를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정보 및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위급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며, 추출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유관 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급 상태의 평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GPS 신호로부터 산출한 차량의 운행 속도가 0인 것인지의 여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제 서버가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급 상태 위치 정보는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며,
    통제 서버가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알람 구간을 설정하며,
    수신 모바일 단말이 알람 구간에 상응하는 위급 상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KR1020130021709A 2013-02-28 2013-02-28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7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709A KR20140107767A (ko) 2013-02-28 2013-02-28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709A KR20140107767A (ko) 2013-02-28 2013-02-28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767A true KR20140107767A (ko) 2014-09-05

Family

ID=51755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709A KR20140107767A (ko) 2013-02-28 2013-02-28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77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95661A1 (en) * 2018-06-20 2021-06-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ioritized call handling
CN113747412A (zh) * 2018-11-15 2021-12-03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紧急求救的方法及相关设备和存储介质及程序产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95661A1 (en) * 2018-06-20 2021-06-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ioritized call handling
CN113747412A (zh) * 2018-11-15 2021-12-03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紧急求救的方法及相关设备和存储介质及程序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357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US840672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laying out of range emergency information
US8842016B1 (en) Fire extinguisher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US9049583B2 (en) Impending hazard alert
KR100895847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14896A1 (en) Relay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5025490A (zh) 一种伪基站的识别方法及装置
KR101293750B1 (ko) 방송 서비스 정보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150111490A1 (e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gateway device, deliver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JP7027675B2 (ja) 擬似基地局測位方法、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可読記憶媒体
CN113615145A (zh) 车辆对车辆和车辆对网络通信
US86999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efinition and scope of commercial mobile alerts
US9425910B2 (en) Handling of public warning notific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2484781A (zh) 用于提供过滤的本地化信息服务的系统、方法和设备
KR20140107869A (ko) 고속도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
US98263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revious occupation in or proximate to an alert area
KR20140107767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
KR100692635B1 (ko) 이동 단말기 위치에 따른 지역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장치
KR101289637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KR101289636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JP5401539B2 (ja) 移動機、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Pries et al. On the suitability of the short message service for emergency warning systems
US20160157064A1 (en) Method and notifying unit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about an event
CN104105055A (zh) 一种通信处理方法及装置
KR100619837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