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837B1 - 이동통신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837B1
KR100619837B1 KR1020040021842A KR20040021842A KR100619837B1 KR 100619837 B1 KR100619837 B1 KR 100619837B1 KR 1020040021842 A KR1020040021842 A KR 1020040021842A KR 20040021842 A KR20040021842 A KR 20040021842A KR 100619837 B1 KR100619837 B1 KR 100619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mobile
coordinate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7107A (ko
Inventor
양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8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97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A47G27/025Modular rugs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적인 응급정보를 지역영역에 위치한 다수 휴대단말기에 실시간 방송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지역적 응급정보 메시지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되어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삼각도법에 의하여 위치좌표를 측정하는 기지국; 기지국과 접속되어 인가되는 지역응급정보를 서버부에 기록저장하도록 스위칭하며 휴대단말기의 경로정보와 좌표정보를 분석하도록 제어하는 이동교환국;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경로정보에 의한 위치정보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위치부;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응급현장 인근 휴대단말기의 좌표정보를 산출하고 기록저장하며 출력하는 좌표부;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기록저장하고 해당 지역 반경 안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에 방송하는 서버부; 이동교환국에 접속되고 휴대단말기의 호접속 요청신호 분석에 의하여 다른 통신망과 연결하는 경우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공중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구성을 특징 등으로 하여, 휴대단말기에 지역응급정보를 실시간 방송하여 사고를 방지하고, 휴대단말기와 이동교환국의 부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SUPPLYING REGIONAL EMERGENCY ALERT MESSAGE FOR MOBILE PHONE}
도1 은 종래의 지역응급정보 제공 시스템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의 지역응급정보 제공 이동통신 시스템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의 서비스 영역에 형성되는 가상 지역영역 형성상태 설명도,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10 : 기지국 120 : 이동교환국
130 : 위치부 140 : 좌표부 150 : 서버부
본 발명은, 지역적인 응급정보를 가상(VIRTUAL) 지역영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에 실시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현장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지역적인 응급상황 정보를 실시간 제공받고 삼각도법으로 형성된 현장 중심의 가상(VIRTUAL) 지역영역에 위치한 다수 휴대단말기에 실시간 방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NODE-B 또는BS: BASE STATION)이 구성하는 셀 영역(CELL AREA 또는 CELL ID)을 기지국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 또는 BSC: BASE SITE CONTROLLER)에서 다수를 제어하여 형성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언제나 항상 직접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장점이 있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 기지국(NODE-B)과 기지국제어기(RNC)를 합하여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라고도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UE)는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이 작고 통신을 위하여 대기하거나 휴대하는 시간이 더 많은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UE)의 낮은 이용률을 높이고,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개발 제공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 제공하는 것과 휴대단말기 제조사에서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있다.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는, 일 예로, 무선인터넷(WIRELESS INTERNET) 접속, 문자메시지 전송,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무선 온라인 게임(ONLINE GAME) 등이 있고, 휴대단말기 제조사(MAKER)에서 자체개발 생산하여 제공되는 부가기능(이하 부가서비스라 함)은, 일 예로, 전화번호부(PHONE- BOOK) 관리, 메모 작성, 메시지 작성, 스케줄 관리, 게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촬영 카메라, 전자계산기, 알람, 착신벨 설정 등과 같이 다양하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고 추가된다.
상기와 같은 부가서비스 중에 휴대단말기(UE)에서 작성한 문자 메시지를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문자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가 있고, 상기 휴대단말기(UE)에서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저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자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는 상대방 수신자를 지정하여 전송하는 방식과, 특정한 셀 영역 또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불특정 다수에게 동시 전송하는 방송(BROADCASTING 또는 MULTICASTING) 방식이 있다.
상기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에 발생하는 응급정보를 신속하게 방송하여 제공하므로 각종 자연재해, 긴급사고 등으로부터 안전을 지키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응급정보 제공 기술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역응급정보 제공 시스템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지역응급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면, 일 예로, 유엠티에스(UMTS) 이동통신 시스템의 지에스엠(GSM) 방식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E)가 기지국(NODE-B/RNC)(3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지정된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서는 현재 위치정보를 이동교환국(MSC)(40)에 등록을 하여야 한다.
상기 유엠티에스(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은,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기타 지역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을 이용하며, 2 Mbps 이상의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세계 어디에서도 이동하면서 지속적으로 용이하게 인터넷 접속 등이 가능한 제3 세대(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휴대단말기(UE)(10)가 기지국(30)을 통하여 이동교환국(40)에 일체로 구성되는 에치엘알(HLR: HOME LOCATION REGISTER)에 경로(ROUTING) 정보에 의한 위치정보를 등록하기 위하여서는, 일 예로, 무선신호를 가장 큰 레벨로 수신하는 기지국(30)을 통하여 현재 위치를 등록하는 방법과, 지구상의 일정한 궤도를 회전하는 다수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인공위성(20)을 통하여 현재 위치의 경도, 위도, 해발 및 측정시간 정보를 기지국(30)에 제공하고 상기 기지국(30)이 이동교환국(40)에 제공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교환국(40)에 일체로 구성되는 에치엘알(HLR)에 경로정보로 이루어지는 휴대단말기(UE)(10)의 위치정보가 등록된다.
상기 이동교환국(40)은,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10)를 호출하는 호 접속 요청신호가 인가될 경우, 상기 에치엘알(HLR)을 검색하여 상기 피호출된 휴대단말기(10)의 경로(ROUTING) 정보를 확인 및 분석하므로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경로상의 위치에 있는 휴대단말기(10)와 접속하도록 스위칭(SWITCHING)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호출측과 피호출된 휴대단말기가 통신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통신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 해당 응용 서비스에 의하여, 이벤트 사업자(SERVER)(50)에 주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등록된 위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역응급정보를 다운로드(DOWNLOAD) 받고 표시한다.
상기 이벤트 사업자(50)는 모든 지역의 응급정보를 수시로 갱신하여 기록저장하므로,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상기 이벤트 사업자(50)에 주기적으로 접속하고, 해당 지역의 긴급한 응급정보를 주기적으로 다운로드(DOWNLOAD) 받아 갱신(UPDATE)하여야 하며, 선택(OPTION)에 의하여 상기 응급정보의 지역을 현재 위치에 국한되는 셀 영역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형성하는 모든 서비스 영역으로 지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장치는, 휴대단말기(10)에 설정된 소정 주기 단위로 반복하여 상기 이벤트 사업자(50)를 접속하고, 갱신된 지역응급정보를 수시로 다운로드(DOWNLOAD) 받아야 하므로, 휴대단말기(10)의 부하(LOAD)가 증가하여 안전성과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동시에, 호(CALL) 처리하는 이동교환국(40)에서도 해당 호처리 및 갱신된(UPDATED) 지역응급정보의 다운로드에 의하여 부하(LOAD)가 증가하여 시스템 운용의 안전성과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지피에스 인공위성(20)을 통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기지국(30)을 통하여 이동교환국(40)에 통보하므로, 상기 이동교환국(40)에 일체로 구성되는 에치엘알(HLR)의 할당된 영역에 경로(ROUTING) 정보에 의한 해당 위치정보를 기록저장하여 등록한다(S10).
상기 휴대단말기(10)는 통신을 하지 않는 경우, 설정된 갱신주기에 의하여 이벤트 사업자(50)에 접속하고(S20), 선택된 지역에 제공되는 지역응급정보를 다운로드(DOWNLOAD)하여 해당 표시부에 출력 표시하고(S30), 또 다시 상기 설정된 갱신주기가 되었는지 판단하여(S40), 설정된 소정의 갱신주기가 되면 상기 제2 단계(S20)로 궤환(FEEDBACK)하여 상기 이벤트 사업자에 접속하므로 지역응급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표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설정된 소정의 갱신주기 시간단위마다, 상기 휴대단말기(10)에서 이벤트 사업자(50)에 접속하고, 새로이 갱신된 지역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갱신된 지역응급정보가 없는 상황에서도, 상기 휴대단말기는 이벤트사업자에 접속을 반복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설정된 주기 단위로 상기 이동교환국(40)을 통하여 이벤트 사업자(50)에 접속하고 갱신된 지역응급정보를 다운로드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10)와 시스템의 이동교환국(40)에 많은 부하(LOAD)가 걸리어, 이동통신 시스템의 안전 운용을 방해하므로,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지역응급상황이 발생한 위치의 휴대단말기가 해당 이벤트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지역응급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가상 형성된 지역영역에 위치한 다수 휴대단말기에 지역응급 정보를 방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지역적 응급정보 메시지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되어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삼각도법에 의하여 위치좌표를 측정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접속되어 인가되는 지역응급정보를 서버부에 기록저장하도록 스위칭하며 휴대단말기의 경로정보와 좌표정보를 분석하도록 제어하는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경로정보에 의한 위치정보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위치부와; 상기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응급현장 인근 휴대단말기의 좌표정보를 산출하고 기록저장하며 출력하는 좌표부와; 상기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기록저장하고 해당 지역 반경 안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에 방송하는 서버부와;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되고 휴대단말기의 호접속 요청신호 분석에 의하여 다른 통신망과 연결하는 경우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공중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와 지역응급정보를 인가받은 서버부는 좌표부에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의 좌표부는 위치부에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여 회신받고 이동교환국에 각 가입자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라우팅 과정과; 상기 라우팅 과정의 이동교환국은 기지국을 제어하여 해당 셀 영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의 좌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좌표부에 회신하는 위치과정과; 상기 위치과정의 좌표부는 지역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지역영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를 검출하여 상기 서버부에 회신하는 좌표과정과; 상기 좌표과정의 서버부는 상기 검출된 휴대단말기와 해당 지역응급정보를 상기 이동교환국에 제공하여 방송 요청하여 기지국에서 방송하는 지역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지역응급정보 제공 이동통신 시스템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영역 안에 형성되는 지역영역 상태 설명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지역적 응급정보 메시지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무선접속되어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삼각도법에 의하여 위치좌표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120)의 제어에 의하여 삼각도법으로 휴대단말기(100)의 좌표정보를 검출하고, 휴대단말기(100)의 망 연결경로 정보인 라우팅(ROUTING)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지역응급정보를 수신하고, 다수 휴대단말기에 지역응급정보를 방송하는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110)과,
상기 기지국(110)과 접속되어 인가되는 지역응급정보를 서버부(150)에 기록저장하도록 경로 스위칭하며 휴대단말기(100)의 경로정보와 좌표정보를 분석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인가되는 휴대단말기의 라우팅 정보를 위치부(130)에 인가하고,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인가되는 지역응급정보는 서버부에 인가하며, 서버부(150)의 요청에 의하여 좌표부(140)에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 산출을 요청하고 위치부(130)의 라우팅 정보를 전송하며, 기지국(110)을 제어하여 소정 셀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다수 휴대단말기의 좌표정보를 삼각도법으로 측정하고 좌표부(140)에 인가하며, 좌표부(140)가 설정한 가상 지역영역에 위치한 휴대단말기(100)에 서버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방송하도록 상기 기지국(110)에 출력하는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120)과,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0)의 경로정보에 의한 위치정 보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120)의 제어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0)의 망 연결 경로정보인 라우팅(ROUTING) 정보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위치부(HLR: HOME LOCATION REGISTER)(130)와,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좌표정보를 산출하고 기록저장하며 출력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120)의 제어에 의하여 기지국(110)으로부터 인가되는 휴대단말기(100)의 좌표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좌표를 기준으로 일정한 반경의 지역영역 안에 위치한 휴대단말기(100)를 검출하는 좌표부(GMLC: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140)와,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인가되는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기록저장하고 해당 반경의 지역영역 안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0)에 방송(BROADCASTING 또는 MULTICASTING)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12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인가되는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기록저장하고, 위치부(130)와 좌표부(140)를 제어하여 지역반경 안에 위치한 휴대단말기(100)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검출된 휴대단말기(100)에 상기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방송하는 서버부(SERVER)(150)와,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접속되고 휴대단말기(100)의 호접속 요청신호 분석에 의하여 다른 통신망과 연결하는 경우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공중망(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장치를 첨부된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기지국(11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이동은 임의의 방향이 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상대방과 호접속하여 통신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호접속 요청신호를 무선출력하면, 상기 기지국(110)에서 무선수신하고 이동교환국(120)에 인가되어 분석되므로, 스위칭 처리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로 접속하여 통신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일 예로, 기지국(111)이 형성하는 셀 영역(111')의 휴대단말기(101) 위치로부터 휴대단말기(103)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응급 또는 긴급을 필요로 하는 상황을 목격 확인한 경우, 현장 상황을 설명한 문자 메시지 또는 현장의 영상을 촬영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작성하여 무선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긴급상황이 발생된 현장의 휴대단말기(103)로부터 지역응급정보가 메시지로 무선송신되면 기지국(111)에서 수신하고 해당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인가하며,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상기 휴대단말기(103)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라우팅(ROUTING) 정보를, 상기 위치부(130)에 기록저장하고, 상기 지역응급정보는 상기 서버부(150)에 출력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서버부(150)는, 상기 이동교환국(120)을 통하여 상기 좌표부(140)에 상기 휴대단말기(103)를 포함하는 인근 휴대단말기(101 내지 107)의 위치정보 서비스(LCS SERVICE)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을 받은 좌표부(140)는 상기 위치부(130)로부터 인가되는 휴대단말기(103)의 라우팅 정보를 분석하여 인근 기지국(112, 113)이 형성하는 셀 영역(112', 113')에 위치하는 모든 가입자 휴대단말기의 좌표정보를 확인(MEASURING 또는 POSITIONING)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요청을 받은 이동교환국(120)은, 상기 기지국(111, 112, 113)을 포함하는 인근 다수 기지국(111, 112, 113)을 제어하여 삼각도법으로 일정한 반경(R)을 갖는 상기 셀영역(111', 112', 113')에 위치하는 모든 휴대단말기(101 내지 107)의 정확한 좌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좌표부(140)에 인가한다.
상기 좌표부(140)에서는, 지역응급정보를 전송한 상기 휴대단말기(103)의 좌표정보를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r)을 갖는 지역영역(200)을 가상(VIRTUAL)으로 형성하고, 상기 모든 휴대단말기(100)의 좌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상의 지역영역(200) 안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를 산출하여 분류된 위치정보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산출되어 분류된 것으로 지역영역(200)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의 위치정보는, 상기 서버부(150)에 인가되고, 상기 서버부(150)는 해당 지역응급정보와 함께 상기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의 위치정보를 이동교환국(120)에 출력하여 방송(MULTICASTING) 요청한다.
따라서, 응급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한 휴대단말기(103)를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r)을 갖는 지역영역(200)에 위치하는 모든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는 상기 지역응급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103)가 지역응급정보를 해당 메시지로 작성하여 상기 서버부(150)에 기록저장하면, 상기 위치부의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좌표부에서 인근 셀 영역의 모든 휴대단말기 좌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3)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r)을 갖는 지역영역(200) 안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에 상기 지역응급정보를 방송(MULTICASTING)한다.
상기와 같은 지역응급정보는, 일정한 분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자연재해에 해당하는 지진. 화산폭발, 허리케인, 해일, 폭풍 등이고, 그 다음 순서는 교통사고 및 도로상황에 관련된 사고지점 및 정체지점 등의 지역정보이며, 그 다음순서는 화재, 폭발, 기타 인재 등과 같은 사고상황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우선순위는 필요에 의하여 변경 및 추가 삭제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지역응급정보가 발생 한 경우에 해당 지역영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에 방송하므로, 휴대단말기(100)와 이동교환국(120)에 부하(LOAD)가 적게 걸리면서 긴급한 지역응급정보를 방송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위치정보와 지역응급정보를 인가받은 서버부(150)는 좌표부(140)에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3)가 이동 중에 지역응급정보를 확인하면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지역정보를 메시지로 무선통보하며 상기 무선 지역정보를 수신한 기지국(110)은 이동교환국(120)에 인가 하고,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서버부(150)에 인가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과정(ST100); 상기 서버부(150)는 이동교환국(120)을 통하여 좌표부(140)에 상기 지역응급정보를 제공한 휴대단말기(103)를 중심으로 한 일정한 반경의 지역영역 안에 위치한 휴대단말기(101 내지 107)의 위치정보를 요청(LCS: LOCATION SERVICE)하는 과정(ST110)으로 이루어지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의 좌표부(140)는 위치부(130)에 라우팅(ROUTING) 정보를 요청하여 회신받고 이동교환국(120)에 각 가입자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좌표부(140)에 의하여 상기 지역응급 정보를 제공한 휴대단말기(103)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라우팅(ROUTING) 정보를 위치부(130)에 요청하는 과정(ST120); 상기 과정(ST120)의 위치부(130)는 상기 휴대단말기(103)의 라우팅 정보를 검색하여 회신하는 과정(ST130); 상기 과정(ST130)에서 회신된 라우팅 정보를 분석하여 인근 셀(CELL) 영역(AREA)에 위치하는 각 가입자 휴대단말기(101 내지 107)의 위치정보 확인 요청을 이동교환국(120)에 출력하는 과정(ST140)으로 이루어지는 라우팅 과정과,
상기 라우팅 과정의 이동교환국(120)은 기지국(110)을 제어하여 해당 셀 영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0)의 좌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좌표부(140)에 회신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해당 셀(CELL) 영역을 형성하는 인근 기지국(110)을 제어하여, 해당 셀 영역에 위치한 각 가입자 휴대단말기(101 내지 107)의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과정(ST150); 상기 과정(ST150)의 이동교환국(120)은 확인된 셀 영역의 각 가입자 휴대단말기(101 내지 107)의 좌표정보를 상기 좌표부(140)에 회신하는 과정(ST160)으로 이루어지는 위치과정과,
상기 위치과정의 좌표부(140)는 지역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지역영역(200)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1 내지 107)를 검출하여 상기 서버부(150)에 회신하는 것으로, 상기 좌표부(140)에 의하여 지역응급정보를 제공한 휴대단말기(103)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갖는 지역영역(200)을 산출 형성하고, 상기 다수 휴대단말기(101 내지 107)의 좌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지역영역(200) 안에 위치하는지를 산출하고 검색하는 과정(ST170); 상기 과정(ST170)에서 검색된 지역영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 경로정보를 상기 서버부(150)에 회신하는 과정(ST180)으로 이루어지는 좌표과정과,
상기 좌표과정의 서버부(150)는 상기 검출된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와 해당 지역응급정보를,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제공하여 방송(BROADCASTING 또는 MULTICASTING) 요청하여 기지국(110)에서 방송하는 것으로, 상기 서버부(150)에 의하여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상기 지역영역(200)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에 방송하도록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요청하는 과정(ST190); 상기 과정의 이동교환국(120)은 상기 지역영역(200)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0)에 상기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기지국(110)에 출력하고 제어하는 과정(ST200); 상기 과정(ST200)의 기지국(110)은 지역영역(200)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에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방송하는 과정(ST210)으로 이루어지는 지역과정으로 구성되는 방법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 보 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중인 휴대단말기(103)에서 긴급을 요청하고 다른 사람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지역응급정보를 문자 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로 작성하고 해당 위치정보와 함께 무선출력하면, 해당 기지국(110)과 이동교환국(120)을 통하여 서버부(15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된다(ST100).
상기 서버부(150)는 문자메시지 서버부(SMSC) 기능과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버부(MMSC) 기능을 포함하는 동시에, 응급상황정보 서버부(EASC: EMERGENCY ALERT SERVICE CENTER)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부(150)는, 상기 휴대단말기(103)를 포함하는 인근 다수 휴대단말기를 확인하고 검출하기 위하여, 좌표부(140)에 위치서비스(LCS SERVICE)를 요청하며(ST110), 상기 요청을 받은 좌표부(140)는, 상기 위치부(130)에 휴대단말기(103)의 망 접속 경로 정보인 라우팅(ROUTING) 정보를 요청하고(ST120), 상기 요청을 받은 위치부(130)는 해당 라우팅 정보를 회신한다(ST130).
상기 회신을 받은 좌표부(140)는, 이동교환국(120)을 제어하여 해당 셀 영역을 포함하는 인근 셀 영역의 각 가입자 휴대단말기 위치정보를 삼각도법 이용의 시피에스(CPS: CELL POSITIONING SYSTEM) 서비스에 의하여 정확한 좌표정보로 제공해줄 것을 요청한다(ST140).
상기 요청을 받은 이동교환국(120)은 해당 기지국(111, 112, 113)을 제어하여 해당 셀영역(111', 112', 113')에 위치하는 각 가입자 휴대단말기(101 내지 107)의 좌표를 삼각도법에 의하여 정확하게 확인하고(S150), 상기와 같이 확인된 좌표정보를 상기 좌표부(140)에 회신하는 출력한다(ST160).
상기 좌표부(140)는, 상기와 같이 회신된 휴대단말기(101 내지 107)를 분석하고, 상기 지역응급정보를 전송한 휴대단말기(103)가 지역응급상황이 발생한 현장에 있다는 가정으로, 상기 휴대단말기(103)를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r)을 갖는 가상(VIRTUAL)의 지역영역(200)을 형성하며, 상기 지역영역(200) 안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를 산출하여 검출한다(ST170).
상기 좌표부(140)는, 상기와 같이 검출된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부(150)에 회신하고(ST180), 상기 서버부(150)는 해당 지역영역(200) 안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에 상기 기록저장된 지역응급정보를 방송(MULTICASTING)하도록 상기 이동교환국에 요청한다(ST190).
상기 요청을 받은 이동교환국(120)은 해당 기지국(110)을 제어하여(ST200), 상기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에 상기 지역응급정보를 방송한다(ST210).
상기 본 발명은, 이동상태에서 지역 응급정보를 확인한 휴대단말기(103)가 해당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메시지로 지역응급정보를 제공하여 서버부에 기록하면, 상기 휴대단말기(103)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지역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가상의 지역영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를 좌표정보로 산출하고 검출하여 상기의 지역응급정보를 방송하므로, 피해를 입지 않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지역응급정보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즉시, 인근의 지역영역(200)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2 내지 105)에 자동 통보하므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시스템과의 주기적인 접속과 서버부 내용을 검색하지 않게되어 부하(LOAD)가 낮아 지며 신뢰성과 안전 운용성이 제고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응급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메시지로 서버부에 통보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를 중심으로 지역영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에 상기 지역응급정보를 방송하여 사고를 방지하게 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가 주기적으로 이동교환국과 접속하여 서버부의 내용을 검색하지 않게되고, 부하가 낮아지어 다른 중요한 기능을 우선 수행하므로, 신뢰성과 안전 운용성이 제고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지역적 응급정보 메시지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되어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삼각도법에 의하여 위치좌표를 측정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접속되어 인가되는 지역응급정보를 서버부에 기록저장하도록 스위칭하며 휴대단말기의 경로정보와 좌표정보를 분석하도록 제어하는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경로정보에 의한 위치정보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위치부와,
    상기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응급현장 인근 휴대단말기의 좌표정보를 산출하고 기록저장하며 출력하는 좌표부와,
    상기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기록저장하고 해당 지역 반경 안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에 방송하는 서버부와,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되고 휴대단말기의 호접속 요청신호 분석에 의하여 다른 통신망과 연결하는 경우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공중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교환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인가되는 휴대단말기의 라우팅 정보를 상기 위치부에 인가하여 검색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지역응급정보는 서버부에 인가하여 검색하며,
    상기 서버부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좌표부에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 산출을 요청하고 위치부의 라우팅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여 소정 셀 영역에 위치한 다수 휴대단말기의 좌표정보를 삼각도법으로 측정하고 상기 좌표부에 인가하며,
    상기 좌표부가 설정한 가상 지역영역에 위치한 휴대단말기에 상기 서버부로부터 인가되는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방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삼각도법으로 휴대단말기의 좌표정보를 검출 출력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망 연결경로 정보인 라우팅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지역응급정보를 수신하고, 다수 휴대단말기에 지역응급정보를 방송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부는,
    상기 이동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인가되는 휴대단말기의 좌표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좌표정보를 기준으로 일정한 반경의 지역영역 안에 위치한 휴대단말기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부는,
    상기 이동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망 연결 경로정보인 라우팅 정보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이동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기록저장하고, 상기 위치부와 좌표부를 제어하여 지역반경 안에 위치한 휴대단말기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휴대단말기에 상기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방송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7. 휴대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와 지역응급정보를 인가받은 서버부는 좌표부에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의 좌표부는 위치부에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여 회신받고 이동교환국에 각 가입자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라우팅 과정과,
    상기 라우팅 과정의 이동교환국은 기지국을 제어하여 해당 셀 영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의 좌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좌표부에 회신하는 위치과정과,
    상기 위치과정의 좌표부는 지역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지역영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를 검출하여 상기 서버부에 회신하는 좌표과정과,
    상기 좌표과정의 서버부는 상기 검출된 휴대단말기와 해당 지역응급정보를 상기 이동교환국에 제공하여 방송 요청하여 기지국에서 방송하는 지역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가 이동 중에 지역응급정보를 확인하면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지역정보를 메시지로 무선통보하며 상기 무선 지역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이동교환국에 인가하고, 상기 이동교환국은 서버부에 인가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부에 의하여 이동교환국에 접속된 좌표부에 상기 지역응급정보를 제공한 휴대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반경의 지역영역 안에 위치한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과정은,
    상기 좌표부에 의하여 상기 지역응급 정보를 제공한 휴대단말기의 라우팅 정보를 위치부에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과정의 위치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라우팅 정보를 검색하여 회신하는 과정과,
    상기 회신과정에서 회신된 라우팅 정보를 분석하여 인근 셀 영역에 위치하는 각 가입자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 확인 요청을 이동교환국에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과정은,
    상기 라우팅 과정의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해당 셀 영역을 형성하는 인근 기지국을 제어하고, 해당 셀 영역에 위치한 각 가입자 휴대단말기의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의 이동교환국은 확인된 셀 영역의 각 가입자 휴대단말기 좌표정보를 상기 좌표부에 회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과정은,
    상기 위치과정의 좌표부에 의하여 지역응급정보를 제공한 휴대단말기를 중심으로 지역영역을 산출 형성하고, 상기 다수 휴대단말기의 좌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지역영역 안에 위치하는지를 산출하고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지역영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 경로정보를 상기 서버부에 회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과정은,
    상기 좌표과정의 서버부에 의하여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상기 지역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휴대단말기에 방송하도록 상기 이동교환국에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과정의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상기 지역영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에 상기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기지국에 출력하고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과정의 기지국에 의하여 지역영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에 지역응급정보 메시지를 방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KR1020040021842A 2004-03-30 2004-03-30 이동통신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KR100619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842A KR100619837B1 (ko) 2004-03-30 2004-03-30 이동통신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842A KR100619837B1 (ko) 2004-03-30 2004-03-30 이동통신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107A KR20050097107A (ko) 2005-10-07
KR100619837B1 true KR100619837B1 (ko) 2006-09-13

Family

ID=3727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842A KR100619837B1 (ko) 2004-03-30 2004-03-30 이동통신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765B1 (ko) 2009-08-13 2010-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웃 정보 제공 방법 및 이웃 위치 정보 생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593B1 (ko) * 2005-10-18 200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제보를 방송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 및 방법
US8971956B2 (en) 2006-10-18 201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neighbor information and method of generating neighbor location information
KR100824673B1 (ko) * 2007-06-01 2008-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웃 정보 제공 방법 및 이웃 위치 정보 생성 방법
KR100916495B1 (ko) * 2007-08-28 2009-09-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긴급 구조시스템 및 방법
KR100948737B1 (ko) * 2008-06-12 2010-03-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긴급 구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9311B1 (ko) * 2009-07-15 2016-01-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브라우저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765B1 (ko) 2009-08-13 2010-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웃 정보 제공 방법 및 이웃 위치 정보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107A (ko) 200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9923B1 (en) Method for providing cell location service
US7184776B2 (en) Technique for notification of mobile terminals by geographical co-ordinates
CN100579300C (zh) 一种在移动通讯系统中触发型定位的实现方法
EP2285147A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to a mobile station
CN103348709A (zh) 无线通信网络中的ue、网络节点和客户端节点中的方法
EP1264493A1 (en) Service provi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601219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0442910C (zh) 定位提醒方法
KR20100122922A (ko) 연속 포지셔닝 과정에서 포지셔닝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46656A (ko) 지피에스 수신기능 구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위치통지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9837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의 지역응급정보 제공방법
TWI424703B (zh) 以地理為基礎地過濾廣播
CN101656912A (zh) 移动终端的定位方法和系统
KR100775536B1 (ko) 로밍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5184065A (ja) 移動局位置の相互確認システム
KR100711318B1 (ko) Lbs시스템에서 gps 지원 단말의 위치 측위 방법
EP1199902A1 (en) Technique for notification of mobile terminals by geographical co-ordinates
US20210007325A1 (en) Pet tracking device
KR100606783B1 (ko)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EP22496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assistant locating in a phs network
KR1005906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말 기반지피에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1061299A (ja) 携帯端末装置、通信異常報知方法、通信異常報知プログラム
KR20060023483A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CN101433056A (zh) 通过一个数字移动通信网络的移动站管理服务请求的方法
KR100750056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