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934A - 물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물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934A
KR20140106934A KR1020130021248A KR20130021248A KR20140106934A KR 20140106934 A KR20140106934 A KR 20140106934A KR 1020130021248 A KR1020130021248 A KR 1020130021248A KR 20130021248 A KR20130021248 A KR 20130021248A KR 20140106934 A KR20140106934 A KR 20140106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d
mesh
discharge por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0977B1 (ko
Inventor
박시준
노진환
문현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97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부를 통과하여 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물에 포함된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는 물로부터 분리된 후 상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물배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배출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210)를 포함하는 물배출부(200); 및 상기 물배출부(200)에 상부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210)에서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부(311,321)를 통과하여 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기체는 물로부터 분리된 후 상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물튐방지부(3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부를 통과하여 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물에 포함된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는 물로부터 분리된 후 상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물의 유동이 안정되도록 할 수 있고, 물이 외부로 배출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배출장치{WATER DIS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물공급원에 연결되어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물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부를 통과하여 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물에 포함된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는 물로부터 분리된 후 상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물이 튀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물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배출장치는 정수기와 같은 수처리장치 등에 구비된다. 그리고, 물배출장치는 수처리장치 등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포함하여 물을 여과하고 정수로 만드는 여과부나,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등의 물공급원에 연결된다. 물배출장치는 예컨대 연결관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물배출장치는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물배출장치를 통해 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의 공급압력이 대기압보다 많이 높다거나 물에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물의 유동이 불안정해진다. 이에 따라, 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용이하게 받을 수 없으며, 특히 온수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 물에 포함된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가 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거나, 물의 유동이 안정되도록 하는 등 물이 튀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시도들은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물배출장치를 통해 물이 배출될 때 물이 여전히 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물배출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물이 외부로 배출시 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물의 유동이 안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에 포함된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가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물로부터 분리된 후 물과는 다른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물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부를 통과하여 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물에 포함된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는 물로부터 분리된 후 상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배출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물배출부; 및 물배출부에 상부가 연결되어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부를 통과하여 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기체는 물로부터 분리된 후 상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물튐방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튐방지부는 배출구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물배출부에 연결되며 하부에는 제1메쉬부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기체배출구멍이 형성된 제1튐방지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와 제1메쉬부는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는 제1튐방지부재의 하부까지 연장되며, 배출구의 하부에는 제1튐방지부재로 기체가 배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기체배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튐방지부는 제1튐방지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제2메쉬부가 구비되어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이 제2메쉬부와 제1메쉬부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하는 제2튐방지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와 제2메쉬부 및 제1메쉬부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메쉬부와 제1메쉬부가 이루는 간격은 배출구와 제2메쉬부가 이루는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메쉬부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는 제2메쉬부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튐방지부재의 하부에는 제2튐방지부재로부터 제1튐방지부재로 기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제2기체배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튐방지부는 제2튐방지부재의 상부에 연결되어 제1튐방지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이 제2튐방지부재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에는 가이드부재가 제1튐방지부재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있도록 하는 위치고정부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에는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물이 분할되어 유동하도록 하나 이상의 분할구멍이 형성된 분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 주위의 물배출부에는 배출구를 소정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제1튐방지부재의 상부는 연결돌기에 끼워져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는 물공급원과 배출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부를 통과하여 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물에 포함된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는 물로부터 분리된 후 상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물의 유동이 안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이 외부로 배출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제1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제3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도4의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제4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도4의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제4실시예가 정수기에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물배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부를 통과하여 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물에 포함된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는 물로부터 분리된 후 상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100)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배출부(200)와 물튐방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배출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공급원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200)에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구(230,240,250)가 구비될 수 있다. 각 연결구(230,240,250)는 서로 다른 물공급원에, 예컨대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연결구(230,240,250)는 연결부(200)에 포함되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서로 다른 물공급원의 물이 연결구(230,240,250)를 통해 연결부(200)의 배출구(210)에 각각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210)를 유동한 후 배출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10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된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P)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연결구(230,240,250) 중 하나는, 수처리장치(P)에 구비되고 물을 여과하여 정수가 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나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구(230,240,250) 중 다른 하나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정수가 되도록 구성된 냉수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구(230,240,250) 중 또 다른 하나는, 정수를 가열하여 온정수가 되도록 구성된 온수탱크(도시되지 않음)나 순간가열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예에서 연결구(230,240,250)가 연결되는 연결부(200)의 배출구(210)에는 정수와 냉정수 및 온정수가 각각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200)의 배출구(210)에 유입되는 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온수나 탄산수 등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튐방지부(300)는 물배출부(200)에 상부가 연결되어 배출구(210)로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물이 튀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물튐방지부(300)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부(311,321)를 통과하여 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는 물로부터 분리된 후 상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물의 유동이 안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메쉬부(311,321)를 통과하면서 물의 유동 단면에 따른 압력분포나 유속분포가 고르게 될 수 있고,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가 물로부터 분리되어 물이 끊지지 않고 연속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이 외부로 배출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튐방지부(300)는 제1튐방지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튐방지부재(310)는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0)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물배출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구(210) 주위의 물배출부(200)에는 배출구(210)를 소정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연결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튐방지부재(310)의 상부가 연결돌기(220)에 끼워져서 연결돌기(2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튐방지부재(310)의 상부에 연결돌기(220)가 삽입되어 제1튐방지부재(310)의 상부가 연결돌기(220)에 끼워져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튐방지부재(310)가 배출구(210)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물배출부(200)에 연결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연결돌기(220)의 단면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링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연결돌기(220)의 단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구(210)를 소정 간격을 두고 둘러쌀 수 있는 단면 형상이라면 어떠한 단면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1튐방지부재(310)의 하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제1메쉬부(3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튐방지부재(31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기체배출구멍(3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메쉬부(311)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별도의 부재가 제1튐방지부재(3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철망이 제1튐방지부재(3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1메쉬부(311)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제1메쉬부(31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의 유동을 안정되게 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며, 예컨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제1튐방지부재(31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0)와 제1메쉬부(311)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0)에서 배출된 물은 바로 제1튐방지부재(310)의 제1메쉬부(311)를 통과하지 않고, 제1튐방지부재(310) 내부를 소정 거리 유동한 후 제1메쉬부(311)를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0)에서 배출된 물이 제1튐방지부재(310) 내부에서 소정 거리 유동하는 동안 물의 유동이 다소 안정될 수 있다. 예컨대, 물의 유동 단면에 따른 유속분포나 압력분포가 전체적으로 낮아지면서 배출구(210)로 배출되기 전보다 고르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물에 포함된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의 일부가 물로부터 분리되어 제1튐방지부재(310)의 상부로 유동한 후 제1튐방지부재(310)의 상부에 형성된 전술한 제1기체배출구멍(3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210)에서 배출되어 제1튐방지부재(310) 내부를 유동하면서 유동이 다소 안정되고 일부의 기체가 분리된 물은 제1튐방지부재(310)의 제1메쉬부(31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메쉬부(311)를 통과하면서 물의 유동은 더 용이하게 안정될 수 있다. 예컨대, 물의 유동단면에 따른 유속분포나 압력분포가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더 낮아지면서 더 고르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물에 포함된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의 나머지 전부 또는 일부가 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튀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구(210)는 제1튐방지부재(310)의 하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21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기체배출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배출구(210)에서 더 오래 더 긴 거리를 유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배출구(210)에서의 물의 유동이 안정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210)를 유동하는 물에 포함된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의 일부는 물로부터 분리되어 기체배출구멍(211)을 통해 제1튐방지부재(310)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구(210)의 기체배출구멍(211)을 통해 제1튐방지부재(310)로 배출된 기체는 제1튐방지부재(310)의 상부로 유동하고 제1튐방지부재(310)의 제1기체배출구멍(3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튐방지부(300)는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튐방지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튐방지부재(3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튐방지부재(3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튐방지부재(320)의 하부에는 제2메쉬부(3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배출구(210)로 배출되는 물은 제2튐방지부재(320)의 제2메쉬부(321)와 제2튐방지부재(310)의 제1메쉬부(311)를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210)와 제2메쉬부(321) 및 제1메쉬부(311)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메쉬부(321)와 제1메쉬부(311)가 이루는 간격은 배출구(210)와 제2메쉬부(321)가 이루는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2메쉬부(321)와 제1메쉬부(311)는 서로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0)에서 배출되는 물은 제1튐방지부재(310)의 내부에서 소정 거리 유동한 후 제2튐방지부재(320)의 제2메쉬부(321)와 제1튐방지부재(310)의 제1메쉬부(311)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메쉬부(311) 하나만 있는 경우보다 물의 유동이 더 안정될 수 있고, 물에 포함된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가 더 많이 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물이 튀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더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튐방지부재(310)의 제1메쉬부(311)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는 제2튐방지부재(320)의 제2메쉬부(321)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구멍이 형성된 제2메쉬부(321)를 먼저 물이 통과하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구멍이 형성된 제1메쉬부(311)를 물이 통과하여 물의 유동의 안정과 물에 포함된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를 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튐방지부재(32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2기체배출구멍(3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튐방지부재(320)의 제2메쉬부(321)를 통과하면서 물로부터 분리된 기포와 증기 등의 기체가 제2기체배출구멍(322)을 통해 용이하게 제1튐방지부재(310)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2튐방지부재(320)의 제2기체배출구멍(322)을 통해 제1튐방지부재(310)로 배출된 기체는 제1튐방지부재(310)의 상부로 유동한 후, 제1튐방지부재(310)의 제1기체배출구멍(3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튕방지부(300)는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330)는 제2튐방지부재(3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제1튐방지부재(3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튐방지부재(320)의 상부가 가이드부재(330)의 하부에 삽입되어 끼워짐으로써 가이드부재(330)가 제2튐방지부재(32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재(330)가 제2튐방지부재(320)의 상부에 연결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부재(330)의 외주에는 위치고정부(332)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330)의 위치고정부(332)에 의해서 가이드부재(330)가 제1튐방지부재(310)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물배출부(200)의 배출구(210)와 제2튐방지부재(320)의 제2메쉬부(321) 및 제1튐방지부재(310)의 제1메쉬부(311)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있도록, 가이드부재(300)가 제1튐방지부재(310) 내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330)의 위치고정부(332)는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마찰력에 의해서 가이드부재(330)가 제1튐방지부재(310)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재(330)가 제1튐방지부재(310)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마찰력 이외에도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가이드부재(330)에 의해서 배출구(210)에서 배출되는 물이 제2튐방지부재(320)로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부재(330)의 내부에는 분할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할부(331)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분할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210)에서 배출된 물이 분할되어 가이드부재(330) 내부를 유동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분할부(331)는 중앙의 중앙부재(331a)와 이로부터 가이드부재(330)의 내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분할부재(331b)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분할부(331)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할구멍(H)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를 사용하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부를 통과하여 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물에 포함된 기포나 증기 등의 기체는 물로부터 분리된 후 상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물의 유동이 안정되도록 할 수 있고, 물이 외부로 배출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배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물배출장치 200 : 물배출부
210 : 배출구 211 : 기체배출구멍
220 : 연결돌기 230,240,250 : 연결구
300 : 물튐방지부 310 : 제1튐방지부재
311 : 제1메쉬부 312 : 제1기체배출구멍
320 : 제2튐방지부재 321 : 제2메쉬부
322 : 제2기체배출구멍 330 : 가이드부재
331 : 분할부 331a : 중앙부재
331b : 분할부재 332 : 위치고정부
P : 수처리장치 H : 분할구멍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물배출부; 및
    상기 물배출부에 상부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부를 통과하여 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기체는 물로부터 분리된 후 상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물튐방지부;
    를 포함하는 물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튐방지부는 상기 배출구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물배출부에 연결되며 하부에는 제1메쉬부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기체배출구멍이 형성된 제1튐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상기 제1메쉬부는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튐방지부재의 하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는 상기 제1튐방지부재로 기체가 배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기체배출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튐방지부는 상기 제1튐방지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제2메쉬부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제2메쉬부와 제1메쉬부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하는 제2튐방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상기 제2메쉬부 및 제1메쉬부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쉬부와 제1메쉬부가 이루는 간격은 상기 배출구와 제2메쉬부가 이루는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쉬부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는 상기 제2메쉬부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튐방지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제2튐방지부재로부터 상기 제1튐방지부재로 기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제2기체배출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튐방지부는 상기 제2튐방지부재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튐방지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제2튐방지부재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제1튐방지부재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있도록 하는 위치고정부가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물이 분할되어 유동하도록 하나 이상의 분할구멍이 형성된 분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주위의 상기 물배출부에는 상기 배출구를 소정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튐방지부재의 상부는 상기 연결돌기에 끼워져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물공급원과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KR1020130021248A 2013-02-27 2013-02-27 물배출장치 KR102010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248A KR102010977B1 (ko) 2013-02-27 2013-02-27 물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248A KR102010977B1 (ko) 2013-02-27 2013-02-27 물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934A true KR20140106934A (ko) 2014-09-04
KR102010977B1 KR102010977B1 (ko) 2019-08-14

Family

ID=5175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248A KR102010977B1 (ko) 2013-02-27 2013-02-27 물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9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678A (ko) * 1996-03-30 1997-10-13 김광호 정수기의 취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678A (ko) * 1996-03-30 1997-10-13 김광호 정수기의 취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977B1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3516B2 (en) Extended gasket profile
US9926898B2 (en) Method of filtering fuel
US20200270146A1 (en) Side-loading transverse shower filter
CN104874223B (zh) 带有径向通风孔的过滤部件和流体过滤器
RU2014151748A (ru) Сепар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200612489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воды
KR101988947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TW202111220A (zh) 用於真空泵的過濾元件及關聯的安裝裝置
US9409189B2 (en) Modular cyclonic separator for separating solid impurities from an airflow
RU2011129262A (ru) Сепаратор воды/воздуха
US10300418B2 (en) Filter insert for a filter device
KR20080101567A (ko) 정수기용 복합필터 조립체
KR20160071505A (ko)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2024022B1 (ko)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 냉매 필터
US9995317B2 (en) Reservoir tank
KR20140106934A (ko) 물배출장치
JP2005042712A (ja) 分離装置
KR20150024578A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KR102557443B1 (ko) 정수기
CN211226610U (zh) 滤芯组件和超滤净水器
KR101896219B1 (ko) 제습기능이 향상된 콤프레셔용 에어필터
KR101751124B1 (ko) 필터 인서트
JP2015522412A5 (ko)
US7964099B2 (en) Water filtering device
US10258916B2 (en) Filtering system including impermeable extension for filter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