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822A -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 - Google Patents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822A
KR20140106822A KR1020130020916A KR20130020916A KR20140106822A KR 20140106822 A KR20140106822 A KR 20140106822A KR 1020130020916 A KR1020130020916 A KR 1020130020916A KR 20130020916 A KR20130020916 A KR 20130020916A KR 20140106822 A KR20140106822 A KR 20140106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reel
length
fishing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체리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체리피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체리피시
Priority to KR1020130020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6822A/ko
Publication of KR2014010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본 출원인이 출원한 릴낚시대용 손잡이 이음부재를 통해 낚시대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해서 낚시가방에 별도로 수납해서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릴낚시대용 손잡이 이음부재를 분실할 경우에, 낚시대 길이를 가변시킬 수가 없는 문제점과, 사용자가 일일이 낚시대용 손잡이의 헤드부에 돌림나사방식으로 탈부착시켜야 하므로,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고, 무엇보다 돌림나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닳아져서 낚시를 하는 도중, 릴낚시대 본체에서 릴낚시대용 손잡이 이음부재만이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낚시대 본체(10), 릴시트부(20), 릴낚시대용 손잡이부(30), 메인 가이드부(40), 보조가이드부(50)로 구성됨으로서, 메인 가이드부와 보조가이드부를 강제삽입 끼임고정방식으로 연결시켜 릴낚시대 전체의 길이를 1차로 가변시키고, 2차로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를 통해 메인 가이드부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낚시종류 및 낚시목적에 맞게 맞춤형 길이조절을 할 수 있고,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가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에 내장됨으로서,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부의 분실 위험을 줄일수 있으며, 릴낚시대 전체의 부피를 기존에 비해 60% 줄일 수 있고, 릴낚시대 전체가 탄소합금재질로 형성됨으로서, 가볍고, 탄력성이 좋으며 내구성이 좋아 파손되거나 금이 가는 현상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THE RODS OF FISHING}
본 발명에서는 메인 가이드부와 보조가이드부를 강제삽입 끼임고정방식으로 연결시켜 릴낚시대 전체의 길이를 1차로 가변시키고, 2차로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를 통해 메인 가이드부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대는 크게 낚시용 릴이 장착되는 릴낚시대와, 릴이 장착되지 아니하는 낚시대(일명, 민장대)로 크게 대별되며, 릴이 장착되지 아니하는 낚시대의 경우에도, 손잡이대로부터 초릿대에 이르기까지 다수 개의 마디를 순차적으로 뽑아서 사용하는 낚시대와, 그 길이가 길게 되는 2 ~ 3개의 마디를 꽂아서 사용하는 낚시대로 대별된다.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종류의 낚시대 중에서, 손잡이대로부터 초릿대에 이르기까지 다수 개의 마디를 순차적으로 뽑아서 사용하는 낚시대(일명, 뽑기식 민장대)는, 초릿대의 끝에 부착된 낚시용 초리(부드러운 섬유끈)에 낚시줄을 결속시킨 다음, 상기 낚시줄의 단부측에 낚시바늘을 포함하는 낚시채비를 행하여 낚시를 즐기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낚시대는 그 길이가 제조단계에서 이미 정해져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써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단위 낚시대를 전부 뽑아낸 상태에서의 길이, 즉 최대로 신장된 길이(이하, 최대길이라 칭함) 한가지 밖에는 낚시대의 길이를 달리 설정할 수 없어, 낚시대를 드리우고자 하는 포인트의 위치가 상기의 최대길이보다 가까이에 있는 경우, 특정의 단위 낚시대를 직경이 보다 큰 다른 단위 낚시대 내측으로 삽입한다 하더라도 이들을 상호간에 지지할 수 없으므로, 최대길이 이외의 다른 길이로 낚시대를 조절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낚시대 사용자는 길이가 서로 다른 낚시대를 각각 구입하고, 낚시터의 조건이나 낚시 당일의 조황 등에 따라 적합한 길이의 낚시대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207호에서 릴낚시대용 손잡이 이음부재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낚시대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해서 릴낚시대용 손잡이 이음부재를 낚시가방에 별도로 수납해서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릴낚시대용 손잡이 이음부재를 분실할 경우에, 낚시대 길이를 가변시킬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일일이 낚시대용 손잡이의 헤드부에 돌림나사방식으로 탈부착시켜야 하므로,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고, 무엇보다 돌림나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닳아져서 낚시를 하는 도중, 릴낚시대 본체에서 릴낚시대용 손잡이 이음부재만이 외부로 이탈되어 더 이상 낚시를 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207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메인 가이드부와 보조가이드부를 강제삽입 끼임고정방식으로 연결시켜 릴낚시대 전체의 길이를 1차로 가변시키고, 2차로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를 통해 메인 가이드부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낚시종류 및 낚시목적에 맞게 길이조절을 할 수 있고,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가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에 내장됨으로서,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부의 분실 위험을 줄일수 있으며, 릴낚시대 전체의 부피를 기존에 비해 60% 줄일 수 있고, 릴낚시대 전체가 탄소합금재질로 형성됨으로서, 가볍고, 탄력성이 좋으며 내구성이 좋아 파손되거나 금이 가는 현상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낚시대 본체(10)와,
낚시대 본체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낚시줄을 감고 풀어주는 릴시트부(20)와,
릴시트부의 반대편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손으로 거머쥘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낚시대 본체를 탄력성있게 유지하면서 낚시대의 길이를 줌조절식으로 가변시키는 릴낚시대용 손잡이부(30)와,
릴낚시대용 손잡이부 선단에 위치되어, 낚시줄을 가이드시키고 낚시대 본체를 1차로 탄력성있게 유지시키는 메인 가이드부(40)와,
메인 가이드부의 헤드부에 강제삽입 끼임고정방식으로 연결되어 낚시줄을 가이드시키고, 낚시대 본체를 2차로 탄력성있게 유지시키는 보조가이드부(5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릴낚시대 자체에서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낚시종류 및 낚시목적에 맞게 맞춤형 길이조절을 할 수 있고,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가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에 내장됨으로서,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부의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릴낚시대 전체의 부피를 기존에 비해 60% 줄일 수 있고, 릴낚시대 전체가 탄소합금재질로 형성됨으로서, 가볍고, 탄력성이 좋으며 내구성이 좋아 파손되거나 금이 가는 현상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의 구성요소 중 메인가이드부의 헤드부상에 보조가이드부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릴낚시대용 손잡이부 내부에 형성된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의 구성을 도시한 내부단면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릴시트부와 릴낚시대용 손잡이부가 1단으로 형성되고, 릴낚시대용 손잡이부 선단에 2단으로 메인가이드부가 형성되며, 메인가이드부 선단에 3단으로 보조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단으로 형성된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에 낚시줄이 연결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낚시대 본체(10), 릴시트부(20), 릴낚시대용 손잡이부(30), 메인 가이드부(40), 보조가이드부(5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 본체(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낚시대본체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체적으로 봤을 때 3단구조로 구성된다.
즉, 후단 일측에 릴시트부와 릴낚시대용 손잡이부가 1단으로 형성되고, 릴낚시대용 손잡이부 선단에 2단으로 메인가이드부가 형성되며, 메인가이드부 선단에 3단으로 보조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릴시트부(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릴시트부(20)는 낚시대 본체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낚시줄을 감고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와 메인가이드부 사이를 결합시키도록 환형상의 고정지지대가 형성된다.
상기 환형상의 고정지지대에 릴부가 구성된다.
여기서, 릴부는 낚시줄을 감거나 풀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릴낚시대용 손잡이부(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릴낚시대용 손잡이부(30)는 릴시트부의 반대편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손으로 거머쥘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낚시대 본체를 탄력성있게 유지하면서 낚시대의 길이를 줌조절식으로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3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31)는 평상시에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에 고정되었다가,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내부 빈공란을 따라 이동되면서 메인가이드부의 길이를 줌조절식으로 늘리거나 줄이면서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줌조절식이라는 것은 메인가이드부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을 말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음부재(31a), 히든가이드부(31b), 제2 이음부재(31c)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이음부재(31a)는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에 형성되고, 메인가이드부와 경계를 이루며 삽입 끼임고정방식으로 선단홀에 고정연결되다가 회전돌림식으로 회전시켰을 때 선단홀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도록 유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 직경보다 1.1~1.5배 크기로 형성되어, 메인가이드부와 경계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이음부재의 직경이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 직경보다 1.1~1.5배 크기로 형성되는 이유는 1.1배 이하에서는 선단홀 내부방향으로 제1 이음부재와 메인가이드부가 삽입되어 낚시대본체를 탄력성있게 지지해 줄 수가 없고, 낚시줄이 뒤엉켜 버릴 문제점이 있고, 1.5배 이상에서는 낚시대 제작단가가 올라가고, 낚시대본체 중 제1 이음부재만이 퉁명스럽게 튀어나오는 이미지를 주게 되어 릴낚시대의 디자인 미감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 직경보다 1.1~1.5배 크기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히든가이드부(31b)는 제1 이음부재 후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부 내부의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메인가이드부 전체의 길이를 줌조절식으로 늘리거나 줄이면서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이음부재(31c)는 히든가이드부 끝단에 위치되고,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 직경보다 1.2~1.7배로 형성되어 히든가이드부의 길이가변시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에 밀착고정시키거나 또는 선단홀 내부방향쪽으로 히든가이드부가 이탈되도록 유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이음부재의 직경이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 직경보다 1.2~1.7배로 형성되는 이유는 1.2배 이하에서는 물기 및 이물질에 의해 히든가이드부가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에 지지되지 않은 채, 외부방향으로 빠져버리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1.7배 이상에서는 릴낚시대용 손잡이부 내부의 안내레일 직경보다 커지기 때문에 안내레일을 따라 부드럽게 이송되지가 않고, 뻑뻑하게 이송되기 때문에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 직경보다 1.2~1.7배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이음부재는 끝단 일측에 미끄럼방지용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밀폐력과 결합력을 향상시켜 바닷물이나 민물의 유입으로 인해 결합면이 미끄러워져서 제2 이음부재가 선단홀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가이드부(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인 가이드부(40)는 릴낚시대용 손잡이부 선단에 위치되어, 낚시줄을 가이드시키고 낚시대 본체를 1차로 탄력성있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크가이드(41), 버터가이드(42)가 구성된다.
상기 초크가이드(41)는 버터가이드를 통과한 나이론사 혹은 합사를 직선 주행경로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터가이드(42)는 릴에서 코일처럼 풀려나오는 나이론사 혹은 합사를 곧게 펴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조가이드부(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보조가이드부(50)는 메인 가이드부의 헤드부에 강제삽입 끼임고정방식으로 연결되어 낚시줄을 가이드시키고, 낚시대 본체를 2차로 탄력성있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가이드(51)와 탑가이드(52)로 구성된다.
상기 주행가이드(51)는 버터가이드, 초크가이드를 통과한 나이론사 또는 합사를 곧게 주행시켜 유도된 방향대로 빠르고 정확한 지점에 투척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탑가이드(52)는 맨끝단에 위치되어, 버터가이드, 초크가이드, 주행가이드를 통과한 나이론사 또는 합사를 곧게 주행시킨 후, 납과 바늘이 연결된 나이론사 또는 합사를 낚시대의 탄력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가이드부(40), 보조가이드부(50),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31)는 탄소섬유(카본섬유)와 에폭시 수지가 혼합되어 가볍고 탄력성이 좋으며, 내구성이 강한 특성이 있다.
탄소섬유는 강철에 비해 무게는 1/5, 강도는 10배 이상인 초경량/고강도 소재로써 높은 내화학성, 내식성, 내열성 등으로 극한환경용 소재로 쓰이는 특징이 있다. 극한환경이 요구되는 방위산업 및 항공/우주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 토목건축, 스포츠 용품 등 산업 전반에 응용되고 있으며 연비개선을 위한 경량화 목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탄소섬유를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에폭시는 현재의 진보한 복합재료 산업에서 편리한 수지로 각광받고 있으며 유리섬유(glass), 탄소섬유(carbon), 아라미드(aramid), 보론(boron)등의 강화재와 사용이 적당하다. 상업적으로 경제성이 있어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에폭시는 섬유에 수지가 침투되어 있는 프리프레그(prepreg)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데 저온에서는 반응성이 없고 120℃~350℃의 온도에서 경화되며 고온에서 경화가 빠르게 일어나는 물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이 간편하다. 에폭시 수지는 경화에 있어 반응수축이 매우 작고, 휘발물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경화 수지의 전기적, 기계적 성질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치수 안정성이 매우 좋고 내수성, 내약품성,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또한 저장 안정성이 높아 경화제를 혼합하지 않으면 기후, 온도에 관계없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지만, 주제 및 경화제를 혼용해야만 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소섬유와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되, 상기 탄소섬유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강도 특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음에 그 특징이 있다.
즉,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한 탄소섬유 15~30wt%와,
에폭시 수지 69~80wt%와,
cis-1,2,3,6-Tetrahydrophthalic anhydride(MW 152.15 g/mol), 이미다졸류 또는 제3아민(벤질디메틸아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의 경화제 0.1~5wt%의 혼합물을 형틀에 주입한 후, 경화과정을 거쳐 메인 가이드부(40), 보조가이드부(50),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31)가 제조된다.
상기 경화는 50℃를 출발온도로 하여 85℃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20분 정도를 유지한 다음, 다시 110℃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30분간 유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한 탄소섬유는,
탄소섬유를 48시간 동안 아세톤 용액에 침지하여 표면의 사이징 제를 제거 후, 증류수 세척 및 60℃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상압 플라즈마(ATMOSTM-Multi, Plasmart)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하되,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산소를 1% 함유한 Ar 가스를 캐리어 가스로 사용하여, 주파수는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형성시키는 13.56MHz로 고정하고, 전압은 300W로 하며, 캐리어 가스의 주입량은 M.F.C.(Mass flow controller)를 사용하여 5L/min으로 일정하고, 전극과 ACFs와의 거리는 아크가 발생하지 않는 7mm로 고정하며, 처리방식은 연속식 방식으로 5 mm/sec의 속도로 처리한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에 의한 탄소섬유의 표면처리는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기를 플라즈마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 볼 때 약 5%의 증가를 보이게 됨으로써 에폭시 수지와의 높은 결합력을 유지하게 되어 높은 강도특성과 함께 마모 특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상기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한 탄소섬유의 사용량이 15wt% 미만인 경우에는 높은 내구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3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성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상기 탄소섬유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 100wt%에 대해 15~30wt%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 수지(Epoxy resin)는 EEW(Epoxy Equivalent Weight, g/eq) 180~190, Viscosity(cps at 25℃) 700~1100, Hy-Cl(wt%) 0.1, Specific Gravity(20℃) 1.14인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69wt% 미만인 경우에는 성형성이 떨어지고, 8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탄소섬유의 사용량이 줄어들게 되어 내구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에폭시 수지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 100wt%에 대해 69~80wt%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poxy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경화제와 배합하여 3차원의 열경화성 물질로 경화시켜 사용됨으로써 그 성능은 경화제의 선택에 크게 좌우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cis-1,2,3,6-Tetrahydrophthalic anhydride(MW 152.15 g/mol), 이미다졸류 또는 제3아민(벤질디메틸아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의 경화제를 사용하며, 상기 경화제의 사용량이 0.1wt%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경화특성에 큰 변화가 없어 양을 늘리는 것이 무의미하므로, 상기 경화제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 100wt%에 대해 0.1~5wt%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한 탄소섬유 20wt%와,
에폭시 수지 78wt%와,
cis-1,2,3,6-Tetrahydrophthalic anhydride(MW 152.15 g/mol)의 경화제 2wt%의 혼합물을 형틀에 주입한 후, 50℃를 출발온도로 하여 85℃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20분 정도를 유지한 다음, 다시 110℃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30분간 유지하여 경화시켜 메인 가이드부(40), 보조가이드부(50),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31)를 성형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가이드부(40), 보조가이드부(50),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31)는 표면에 음각으로 미끄럼방지부재가 형성되어, 낚시중에 물기로 인해 손이 미끄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릴낚시대용 손잡이부(30)가 일체로 형성된 메인가이드부의 헤드부 상에 보조가이드부(50)를 강제삽입 끼임고정방식으로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릴시트부에 릴부를 설치한 후, 릴부에 연결된 낚시줄을 메인가이드부의 버터가이드, 초크가이드를 지나, 보조가이드부의 주행가이드, 탑가이드를 통과시켜 연결시키고, 끝단에 봉돌과 낚시를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낚시종류 및 낚시목적에 맞게 맞춤형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기 위해 릴낚시대용 손잡이부 내부에 내장된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를 구동시킨다.
즉, 메인가이드부와 경계를 이루며 삽입 끼임고정방식으로 선단홀에 고정연결된 제1 이음부재(31a)를 회전돌림식으로 회전시켜 선단홀 외부방향으로 이탈시킨다.
그리고, 히든가이드부가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메인가이드부 전체의 길이를 줌조절식으로 늘리거나 줄이면서 가변시킨다.
이때, 제2 이음부재가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에 밀착고정되어 지지된다.
상기 낚시종류 및 낚시목적에 맞게 맞춤형으로 길이가 가변된다는 것은 메인가이드부가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부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끝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시트부와 릴낚시대용 손잡이부가 1단으로 형성되고, 릴낚시대용 손잡이부 선단에 2단으로 메인가이드부가 형성되며, 메인가이드부 선단에 3단으로 보조가이드부가 형성된다.
1 :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 20 : 릴시트부
30 : 릴낚시대용 손잡이부 40 : 메인 가이드부
50 : 보조가이드부

Claims (5)

  1.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낚시대 본체(10)와,
    낚시대 본체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낚시줄을 감고 풀어주는 릴시트부(20)와,
    릴시트부의 반대편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손으로 거머쥘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낚시대 본체를 탄력성있게 유지하면서 낚시대의 길이를 줌조절식으로 가변시키는 릴낚시대용 손잡이부(30)와,
    릴낚시대용 손잡이부 선단에 위치되어, 낚시줄을 가이드시키고 낚시대 본체를 1차로 탄력성있게 유지시키는 메인 가이드부(40)와,
    메인 가이드부의 헤드부에 강제삽입 끼임고정방식으로 연결되어 낚시줄을 가이드시키고, 낚시대 본체를 2차로 탄력성있게 유지시키는 보조가이드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낚시대용 손잡이부(30)는
    평상시에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에 고정되었다가,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내부 빈공란을 따라 이동되면서 메인가이드부의 길이를 줌조절식으로 늘리거나 줄이면서 가변시키는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31)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31)는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에 형성되고, 메인가이드부와 경계를 이루며 삽입 끼임고정방식으로 선단홀에 고정연결되다가 회전돌림식으로 회전시켰을 때 선단홀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도록 유도시키는 제1 이음부재(31a)와,
    제1 이음부재 후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부 내부의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메인가이드부 전체의 길이를 줌조절식으로 늘리거나 줄이면서 가변시키는 히든가이드부(31b)와,
    히든가이드부 끝단에 위치되고,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 직경보다 1.2~1.7배로 형성되어 히든가이드부의 길이가변시 릴낚시대용 손잡이부의 선단홀에 밀착고정시키거나 또는 선단홀 내부방향쪽으로 히든가이드부가 이탈되도록 유도시키는 제2 이음부재(31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
  4. 제3항에 있어서, 제2 이음부재(31c)는
    끝단 일측에 미끄럼방지용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이드부(40), 보조가이드부(50), 길이가변형 히든가이드부(31)는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한 탄소섬유 15~30wt%와,
    에폭시 수지 69~80wt%와,
    cis-1,2,3,6-Tetrahydrophthalic anhydride(MW 152.15 g/mol), 이미다졸류 또는 제3아민(벤질디메틸아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의 경화제 0.1~5wt%의 혼합물을 형틀에 주입한 후, 50℃를 출발온도로 하여 85℃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20분 정도를 유지한 다음, 다시 110℃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30분간 유지하여 경화시키되,
    상기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한 탄소섬유는 탄소섬유를 48시간 동안 아세톤 용액에 침지하여 표면의 사이징 제를 제거 후, 증류수 세척 및 60℃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상압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처리한 것으로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산소를 1% 함유한 Ar 가스를 캐리어 가스로 사용하여, 주파수는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형성시키는 13.56MHz로 고정하고, 전압은 300W로 하며, 캐리어 가스의 주입량은 M.F.C.(Mass flow controller)를 사용하여 5L/min으로 일정하고, 전극과 ACFs와의 거리는 아크가 발생하지 않는 7mm로 고정하며, 처리방식은 연속식 방식으로 5 mm/sec의 속도로 처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
KR1020130020916A 2013-02-27 2013-02-27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 KR20140106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916A KR20140106822A (ko) 2013-02-27 2013-02-27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916A KR20140106822A (ko) 2013-02-27 2013-02-27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822A true KR20140106822A (ko) 2014-09-04

Family

ID=51754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916A KR20140106822A (ko) 2013-02-27 2013-02-27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68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969A (ko) *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유정피싱 릴낚시대용 가변형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릴낚시대
KR20180084215A (ko) 2017-01-16 2018-07-25 김광운 릴 낚싯대
KR20200000018U (ko) 2018-06-25 2020-01-03 주식회사 아오맥스 길이 조절식 낚싯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969A (ko) *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유정피싱 릴낚시대용 가변형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릴낚시대
KR20180084215A (ko) 2017-01-16 2018-07-25 김광운 릴 낚싯대
KR20200000018U (ko) 2018-06-25 2020-01-03 주식회사 아오맥스 길이 조절식 낚싯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6822A (ko) 손잡이 줌조절식 길이가변형 릴낚시대
AU2003221761B2 (en) Aluminum conductor composite core reinforced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e
EG26630A (en) A medical tube made of a polypropylene polymer A and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olymer with a regular repeat structure
US9921025B2 (en) Arrow for projectile launching system
WO2017195618A1 (ja)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及び、シャトルコック
JP2015531425A5 (ko)
JPH07102236B2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176008A (zh) 一种增强聚丙烯的碳纤维上浆剂的配方及其制备方法
CN109788746A (zh) 钓竿
US3965883A (en) Archery bow
JP3981980B2 (ja) ハイブリッド型繊維強化プラスティック
US4018205A (en) Archery bow with arcuate limb attachments
JP2000024153A (ja) 繊維強化樹脂製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
JP2003190341A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KR101802122B1 (ko) Frp 파이프 제조장치
CN104497525A (zh) 一种水泵壳用塑料材料
JPWO2021106714A5 (ko)
US20020174591A1 (en) Damage resistant fishing rod
CN103837953A (zh) 一种弹性复合纤维加强芯及其制备方法
CN208255487U (zh) 一种光纤线缆
CN206078699U (zh) 一种改进导线模式的钓竿
JP2016116622A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とその製造方法
CN204601552U (zh) 一种便携式梢子棍
JPS5935056A (ja) コンクリ−ト用筋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11045677B1 (en) Vaulting p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