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670A -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Google Patents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670A
KR20140106670A KR1020147018883A KR20147018883A KR20140106670A KR 20140106670 A KR20140106670 A KR 20140106670A KR 1020147018883 A KR1020147018883 A KR 1020147018883A KR 20147018883 A KR20147018883 A KR 20147018883A KR 20140106670 A KR20140106670 A KR 20140106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case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oil mi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8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47906B1 (en
Inventor
팀 브뢰커
한스 벤넥케
랄프 지메르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10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6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9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유동(10)이 가스 재순환 장치(11)에 의해 크랭크 케이스(2)로부터 배출되어 내연기관(1)의 급기 측으로 공급되고, 상기 블로바이 유동(10)이 가스 재순환 장치(11) 내에 배치되는 오일 분리기(13)를 통과할 때 처리되며, 오일 분리기(13) 내에서의 처리 이전에 및/또는 처리 도중에, 거친 오일 미스트(16)가 블로바이 유동(10) 내로 이동되는, 내연기관(1)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 배출구(9)를 통해 가스 재순환 장치(11)와 연결되는 크랭크 케이스(2)를 포함하며, 크랭크 케이스(2) 내에 가스 순환(15)을 생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들(14)이 배치되는, 내연기관(1)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가스 배출구(9)를 통해 가스 재순환 장치(11)와 연결되는 크랭크 케이스(2)를 포함하며, 크랭크 케이스(2) 내에 및/또는 가스 재순환 장치(11) 내에, 거친 오일 미스트(16)를 생성하기 위한 분사 장치가 배치되는, 내연기관(1)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lowby flow 10 containing a fine oil mist is discharged from a crankcase 2 by a gas recirculation device 11 and supplied to an air supply sid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Is processed as it passes through the oil separator 13 disposed in the gas recirculation device 11 and prior to and / or during processing in the oil separator 13, the coarse oil mist 16 is blow- (10)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gas turbine engine comprising a crankcase 2 connected to a gas recirculation device 11 through a gas outlet 9 and having a guide member 16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gas circulation 15 within the crankcase 2, (14) are disposed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Finall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rankcase 2 connected to a gas recirculation device 11 through a gas outlet 9, which is arranged within the crankcase 2 and / or within the gas recirculation device 11,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in which an injection device for generating an oil mist (16) is disposed.

Description

내연기관 및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미세 오일 미스트(fine oil mist)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유동(blow-by flow)은 가스 재순환 장치에 의해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배출되어 급기(charge-air)로 공급되며, 블로바이 유동은 가스 재순환 장치 내에 배치되는 오일 분리기를 통과할 때 처리되는, 상기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n particular, a blow-by flow containing a fine oil mist is discharged from a crankcase by a gas recirculation device, air, and the blow-by flow is processed when passing through an oil separator disposed in the gas recirculation device.

블로바이(Blow-by)란, 대개 연소 엔진 또는 왕복 엔진으로도 명명되는 내연기관의 경우, 압축 도중에 피스톤 링들을 스쳐 통과하여 작동 챔버(working chamber)로부터 구동 기구 챔버(driving mechanism chamber) 내로 유입되는 가스를 의미한다. 압축 도중에 미연소된 연료는 크랭크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다. 연소 사이클 도중에 고온이면서 흔히 공격적인 유해물질로 오염된 가스가 크랭크 케이스 내에 도달한다. 블로바이 가스의 지속적인 작용에 의해 엔진 오일은 심한 오염의 부담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오염 부담과 크랭크 케이스 내의 오일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크랭크 케이스는 배기된다. 배기는 보통, 가스 배출구를 통해 크랭크 케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가스 재순환 장치를 통해 수행된다. 가스 재순환 장치는 블로바이 가스를 대부분 공기 필터 하우징 쪽으로, 또는 신선한 혼합기 공급부의 또 다른 위치 쪽으로 안내한다. 유해물질과 더불어, 크랭크 케이스가 배기될 때, 오일 액적도 함께 휩쓸려나간다. 그 결과로, 흡기 트랙트(intake tract) 내로 블로바이 가스의 유입을 통해, 예컨대 스로틀 밸브, 터보차저 또는 밸브들과 같은 부품들의 심한 오염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터보차저와 급기 냉각기의 경우, 오일로 인한 오염은 출력 손실 및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Blow-by means that in the ca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a combustion engine or a reciprocating engine, the piston rings pass through the piston rings during compression and enter the driving mechanism chamber from a working chamber It means gas. During the compression, unburned fuel flows into the crankcase. During the combustion cycle, gases that are contaminated with hot, often aggressive, harmful substances arrive in the crankcase. Due to the continuous action of blowby gas, engine oil may be subjected to severe pollution. In order to reduce the pollution load and the oil pressure in the crankcase, the crankcase is exhausted. The exhaust is usually carried out through a gas recirculation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the crankcase through a gas outlet. The gas recirculation device directs the blowby gas mostly towards the air filter housing or to another position of the fresh mixer supply. Along with the harmful substances, when the crankcase is exhausted, the oil droplets are also swept away. As a result, severe contamination of components such as throttle valves, turbochargers, or valves can be caused through the inflow of blowby gas into the intake tract. In the case of turbochargers and supply chillers in particular, contamination from oil can lead to power loss and failure.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오일 액적의 분리를 위해, 가스 재순환 장치 내에는 블로바이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특히 오일 분리기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관성 분리기와 같은 수동적 오일 분리기들이 이용된다. 상기 오일 분리기들은 경제적이고 견고하며 유지보수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다. 관성 분리기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블로바이 가스 내의 개별적인 오일 액적들은 최소 지름을 하회하지 않아야 한다. 작은 오일 액적들은 관성 분리기 내에서 가스 유동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에는 너무 작은 질량을 보유하고 있다.In order to separate the oil droplets from the blowby gas, a device for treating the blowby gas, in particular an oil separator, is arranged in the gas recirculation device. Passive oil separators are preferably used, such as inertial separators. The oil separators are economical and robust and require little maintenance. In order to allow the inertial separator to function, the individual oil droplets in the blowby gas must not fall below the minimum diameter. The small oil droplets have a mass that is too small to allow them to separate from the gas flow in the inertial separator.

오늘날의 내연기관들은 높은 연소 온도로 작동한다. 이 경우. 피스톤의 효율적인 냉각 및 윤활을 달성하기 위해, 피스톤 냉각 노즐들에 의해 오일 액적들이 피스톤 헤드 상에 분사된다.Today's internal combustion engines operate at high combustion temperatures. in this case. In order to achieve efficient cooling and lubrication of the piston, oil droplets are injected onto the piston head by piston cooling nozzles.

오일-공기 분리 장치를 포함한 내연기관은 독일 공보 DE 10 2006 035 888 A1로부터 공지되었다. 오일-공기 분리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하우징을 포함하며, 유입되는 오일은 원심력을 바탕으로 하우징의 내부 벽부를 따라서 이동한다.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luding an oil-air separation device is known from German publication DE 10 2006 035 888 A1. The oil-air separation apparatus include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housing, and the introduced oil moves along the inner wall portion of the housing based on the centrifugal force.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종래 기술의 배경에서, 최초에 언급한 유형의 방법에 있어서, 블로바이 유동이 내연기관의 신선한 혼합기 측 내로 유입되기 전에, 함께 이송되는 오일, 특히 작은 오일 액적의 양이 최대한 많이 감소되는 방식으로,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것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in the background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 method of the type mentioned at the outset, in which the amount of oil, in particular a small oil droplet, to be transported together, before the blowby flow is introduced into the fresh mixer sid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a way that is reduced as much as possible.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들에 따르는 방법으로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개선예들에 관계한다.This problem is solved by a metho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claim 1. The dependent claims relate to particularly preferred improv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오일 분리기 내에서의 처리 전에 그리고/또는 그 처리 도중에 거친 오일 미스트가 블로바이 유동 내로 이동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블로바이 유동 내로 큰 오일 액적들을 유입 및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작은 오일 액적들은 블로바이 유동 내에서 큰 오일 액적들에 결합된다. 이 경우, 작은 오일 액적들은 큰 오일 액적들에 흡수된다. 큰 오일 액적들은 블로바이 유동으로부터 예컨대 편향 또는 배플 플레이트들(baffle plates)과 같은 수동적 오일 분리기들에 의해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미세 오일 미스트는 10마이크로미터 미만의 지름을 갖는 작은 오일 액적들로 구성된다. 거친 오일 미스트는 큰 오일 액적들로 구성되고, 이 큰 오일 액적의 지름은 10마이크로미터보다 더 크거나 또는 그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미세 오일 미스트에 큰 오일 액적들이 투입된다. 상기 큰 오일 액적들에는 미세 오일 미스트의 작은 오일 액적들이 응집된다.Thu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s provided in which rough oil mist is transferred into the blow-by flow before and / or during the treatment in the oil separator.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movement of large oil droplets into the blow-by flow, the small oil droplets are coupled to the large oil droplets in the blow-by flow. In this case, the small oil droplets are absorbed by the large oil droplets. Large oil droplets can be simply and effectively separated from the blowby flow by, for example, deflection or passive oil separators such as baffle plates. The fine oil mist is composed of small oil droplets having a diameter of less than 10 micrometers. The coarse oil mist is composed of large oil droplets whose diamet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0 microme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 oil droplets are injected into the fine oil mist. Small oil droplets of the fine oil mist are agglomerated in the large oil droplets.

그 밖에도, 본 발명에 따라서, 크랭크 케이스 내에 및/또는 가스 재순환 장치 내에 거친 오일 미스트를 생성하는 분사 장치가 배치되는, 내연기관이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which an injector for generating a coarse oil mist is disposed in a crankcase and / or in a gas recirculation device.

그 밖에도, 본 발명에 따라서, 크랭크 케이스 내에 가스 순환을 생성하여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들이 배치되는, 내연기관도 제공된다. 이 경우, 가스 순환은 거친 오일 미스트를 생성하며, 그리고/또는 가속화하기 위해 적합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which guide members for generating and holding a gas circulation in the crankcase are disposed. In this case, the gas circulation is suitable for generating and / or accelerating rough oil mist.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서, 거친 오일 미스트는 여전히,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에서 특히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블로바이 유동을 배출하기 전에 및/또는 배출하는 도중에, 블로바이 유동 내로 이동된다. 그 결과로, 큰 오일 액적들을 생성하여 가속화하기 위해, 엔진 내부의 효과들을 이용하며, 그리고/또는 엔진 내부의 작용들을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improvement of the invention, the coarse oil mist is still moved into the blow-by flow inside the crankcase, especially before and / or during the discharge of the blowby flow from the crankcase. As a result, in order to create and accelerate large oil droplets,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effects inside the engine and / or to utilize the internal actions of the engine.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거친 오일 미스트는 크랭크 케이스 내에서 내연기관의 크랭크 샤프트를 중심으로 이동되는 가스 순환에 의해 생성되고, 그리고/또는 가속화된다. 크랭크 샤프트의 운동을 통해, 크랭크 케이스 내에서는 가스 순환이 발생한다. 상기 가스 순환은 거친 오일 미스트로서 개별 오일 액적들, 특히 큰 오일 액적들을 함께 휩쓸어간다. 상기 큰 오일 액적들은 예컨대 크랭크 샤프트에 의해,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 벽부에 의해, 커넥팅 로드 또는 특히 이를 위해 적합하게 형성된 가이드 부재들에 의해 상승되거나, 또는 크랭크 케이스를 횡단할 때 함께 휩쓸려 이동된다. 오일 액적들은, 중력에 따라 적하되거나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 챔버 내로 분사되거나 투입될 때, 크랭크 케이스를 횡단한다. 그러나 큰 오일 액적들에 작용하는 관성력은, 큰 오일 액적들이 가스 순환으로부터 원심 분리되도록 한다. 이 경우, 큰 오일 액적들은, 가스 순환의 회전 운동에 대해 거의 접선 방향이면서 가스 순환의 회전 방향으로 지향하는 방향으로 가스 순환에서 이탈된다.For example, preferably, the coarse oil mist is produced and / or accelerated by gas circulation moving in the crankcase about the crankshaf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rankshaft, gas circulation occurs in the crankcase. The gas circulation sweeps the individual oil droplets, particularly the large oil droplets, together as a coarse oil mist. The large oil droplets are lifted by the inner wall of the crankcase, for example, by the crankshaft, by the connecting rods or by guide members suitably formed for this purpose, or by being swept away together when traversing the crankcase. The oil droplets traverse the crankcase when dropped according to gravity or injected or injected into the inner chamber of the crankcase. However, the inertial forces acting on the large oil droplets cause large oil droplets to be centrifuged out of the gas circulation. In this case, the large oil droplets are separated from the gas circulation in a direction tangential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gas circulation an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gas circulation.

블로바이 유동을 위한 가스 배출구는, 큰 오일 액적들이 가스 순환에서 이탈될 때 블로바이 유동 내로 유입되도록, 크랭크 챔버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미세 오일 미스트에 큰 오일 액적들이 투입되고, 그럼으로써 작은 오일 액적들이 결합된다. 이 경우, 바람직한 것으로서, 확인된 점에 따라서, 블로바이 유동 내의 거친 오일 미스트는 실질적으로 블로바이 유동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된다. 그 결과로, 블로바이 유동 내에서 거친 오일 미스트의 오랜 체류시간이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많은 작은 오일 액적이 큰 오일 액적에 응집될 수 있다.The gas outlet for the blowby flow is arranged in the crank chamber so that large oil droplets flow into the blowby flow as it leaves the gas circulation. As a result, large oil droplets are introduced into the fine oil mist, whereby small oil droplets are combined. In this case, it is preferred that,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coarse oil mist in the blowby flow is mov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lowby flow. As a result, a long residence time of the coarse oil mist in the blowby flow is provided, so that many small oil droplets can flocculate in large oil droplets.

가스 순환의 생성 및 유지를 보조하기 위해, 크랭크 케이스 내에는, 크랭크 샤프트를 중심으로 한 가스 용적의 순환을 촉진하는 가이드 부재들이 배치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부재들은 크랭크 샤프트 쪽을 향해 오목하게 만곡되거나, 또는 크랭크 샤프트 쪽으로 오목하게 만곡된 트랙을 따라서 배치된다. 이 경우, 가이드 부재들로서는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오일 팬을 분리하는 오일 윈디지 트레이(oil windage tray) 및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가 형성된다.In order to assist in the gen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gas circulation, guide members for promoting the circulation of the gas volume about the crankshaft are disposed in the crankcase. To this end, the guide members are concavely curved toward the crankshaft side, or along a track curved concavely toward the crankshaft. In this case, the guide members include an oil windage tray and a baffle plate separating the oil pan from the crankcase.

본 발명의 한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거친 오일 미스트는 분사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그리고/또는 가속화된다. 이를 위해, 큰 오일 액적들을 생성하기 위한 분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크랭크 케이스 내에 배치된다. 이상적인 방식으로, 분사 장치는 블로바이 유동 및/또는 가스 배출구 쪽을 향해 배치된다. 분사 장치의 이용을 통해,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 속도와 무관하게, 그에 따라 가스 순환 및 그 유동 기계적 작용과 무관하게, 일정한 품질 및 정량의 거친 오일 미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크랭크 케이스의 외부에, 예컨대 오일 분리기 내에, 또는 가스 배출구의 하류에, 크랭크 케이스 쪽을 향해 분사 장치를 배치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arse oil mist is produced and / or accelerated by the jetting device. To this end, an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large oil droplets is preferably arranged in the crankcase. In an ideal manner, the injection device is disposed towards the blowby flow and / or the gas outlet. Through the use of the injection device, irregardless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rankshaft, a coarse oil mist of constant quality and quantity can be produced, regardless of the gas circulation and its flow mechanical action. Further, the injection device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rankcase, for example, in the oil separator, or downstream of the gas outlet, toward the crankcase side.

본 발명은 수 많은 실시예를 허용한다. 상기 실시예들의 기본 원리를 추가로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들 중 하나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하기에서 기술된다.
도 1은 내연기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내연기관의 제2 실시예의 제1 구성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내연기관의 제2 실시예의 제2 구성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a number of embodiments. In order to further clarify the basic principle of the above embodiments, one embodiment of the above embodiments is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elow.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configuration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configuration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principle underly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도 2 및 도 3에는, 크랭크 샤프트(3)가 미도시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운동 가능하게 그 내부에 배치되는, 크랭크 케이스(2)를 포함하는 내연기관(1)이 도시되어 있다. 크랭크 케이스(2)는 여기에 도시된 내연기관(1)의 구성에서 일측에서 오일 팬(4)에 의해, 그리고 타측에서는 실린더(5)에 의해 범위 한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연기관(1)의 또 다른 구성에서도, 예컨대 V형 엔진 또는 수평대향 엔진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실린더(5) 내에는 피스톤(6)이 병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피스톤(6)은 크랭크 케이스(2)에 대해 내연기관(1)의 작동 챔버(7)를 밀폐한다. 구동 로드(driving rod)로도 표현되는 커넥팅 로드(8)를 통해, 피스톤(6)과 크랭크 샤프트(3)가 연결된다. 피스톤(6)을 스쳐 통과하여 크랭크 케이스(2) 내에 도달하는 블로바이 가스는 작은 화살표들에 의해 블로바이 유동(1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블로바이 유동(10)은 가스 재순환 장치(11)를 통해,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연기관(1)의 신선한 혼합기 측으로 공급된다. 가스 재순환 장치(11) 중에는 채널 횡단면(12)만이 지시되어 있고, 오일 분리기(13)가 도시되어 있다. 가스 재순환 장치(11)는 가스 배출구(9)를 통해 크랭크 케이스(2)와 연결된다. 그 밖에도, 크랭크 케이스(2) 내에는 가이드 부재들(14)이, 예컨대 배플 플레이트 또는 오일 윈디지 트레이가 배치된다. 오일 분리기(13) 내에서는, 블로바이 유동(10)으로부터 분리된 오일이 오일 회수부(18)를 통해 오일 팬(4) 내로 유출된다.1, 2 and 3 show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including a crankcase 2, in which a crankshaft 3 is disposed movably about a rotation axis not shown. The crankcase 2 is limited by the oil pan 4 on one side and the cylinder 5 on the other sid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shown her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for example, a V-type engine or a horizontally opposed engine. A piston (6) is arranged in the cylinder (5) so as to be translationally movable. The piston (6) seals the operation chamber (7)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with respect to the crankcase (2). The piston 6 and the crankshaft 3 are connected via a connecting rod 8,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a driving rod. The blowby gas that passes through the piston 6 and reaches the crankcase 2 is indicated by the small arrows as the blowby flow 10. [ The blowby flow 10 is supplied to the fresh mixer sid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not shown, through the gas recirculation device 11. [ In the gas recirculation device 11 only the channel cross-section 12 is indicated and the oil separator 13 is shown. The gas recirculation device (11) is connected to the crankcase (2) through a gas outlet (9). In addition, guide members 14 are arranged in the crankcase 2, for example, a baffle plate or an oil winder tray. In the oil separator 13, the oil separated from the blowby flow 10 flows out into the oil pan 4 through the oil returning portion 18. [

도 1에는, 내연기관(1)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크랭크 샤프트(3)의 회전 운동을 통해, 또는 크랭크 케이스(2) 내에 가이드 부재들(14)의 배치 및 형태로 인해서, 가스 순환(15)이 생성되고 유지된다. 가스 순환(15)은 큰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가스 순환(15)의 운동에 의해 큰 오일 액적들은 크랭크 케이스(2) 내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은 유형으로 분리된 오일 액적들, 또는 크랭크 케이스(2)를 통해 자유로이 적하되는 오일 액적들은 가스 순환(15)에 의해 함께 휩쓸려 이동되고 가속화되며 그 관성을 바탕으로 상기 가스 순환에서 다시 이탈된다. 이 경우, 큰 오일 액적들은 거친 오일 미스트(16)로서 블로바이 유동(10) 내로 투입된다. 이처럼 블로바이 유동(10) 안쪽으로,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블로바이 유동(10)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거친 오일 미스트(16)의 이동은 오일 분리기(13) 내에서 블로바이 가스의 처리 전에 및/또는 그 처리 도중에 수행된다. 거친 오일 미스트(16)는 두꺼운 검은색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어 있으며 도 4에서 계속해서 설명된다. 블로바이 유동(10) 내 작은 오일 액적들은 도 4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미세 오일 미스트(17)를 형성한다. 거친 오일 미스트(16)와 미세 오일 미스트(17)가 서로 충돌할 때, 작은 오일 액적들은 큰 오일 액적들에 흡수된다. 큰 오일 액적들은 수동적 오일 분리기(13) 내에서 블로바이 유동(10)으로부터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Fig. 1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gas circulation 15 is created and maintained either through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rankshaft 3 or because of the arrangement and form of the guide members 14 in the crankcase 2. The gas circulation 15 is indicated by a large arrow. The large oil droplets are separated from the surface in the crankcase 2 by the movement of the gas circulation 15. The oil droplets separated by this type or the oil droplets freely dropped through the crankcase 2 are swept away and accelerated together by the gas circulation 15 and are released again from the gas circulation based on the inertia. In this case, the large oil droplets are introduced into the blow-by flow 10 as rough oil mist 16. The movement of the coarse oil mist 16 inside the blowby flow 10 and at least partially inside the blowby flow 10 can be prevented before the treatment of blowby gas in the oil separator 13 and / And is performed during the process. The coarse oil mist 16 is indicated by a thick black arrow and is described in detail in Fig. The small oil droplets in the blowby flow 10 form a fine oil mist 17 which is shown in more detail in Fig. When the coarse oil mist 16 and the fine oil mist 17 collide with each other, the small oil droplets are absorbed by the large oil droplets. The large oil droplets can be simply and effectively separated from the blowby flow 10 in the passive oil separator 13. [

도 2 및 도 3에는, 내연기관(1)의 제2 실시예의 2개의 구성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크랭크 케이스(2) 내에, 거친 오일 미스트(16)를 생성하기 위한 분사 장치(19)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는, 제1 구성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1 구성 변형예의 경우, 분사 장치(19)는 가스 배출구(9)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크랭크 케이스(2)의 면 상에 배치된다. 이와 동시에, 분사 장치(19)는 가스 배출구(9) 쪽을 향해 정렬되며, 그럼으로써 분사 장치에 의해 생성된 거친 오일 미스트(16)는 블로바이 유동(10)의 영역에서 크랭크 케이스(2)를 횡단한다. 도 3 내의 제2 구성 변형예의 경우, 분사 장치(19)는 가스 배출구(9)의 영역에 배치되어, 가스 재순환 장치(11)의 추가 연장부, 특히 오일 분리기(13) 쪽을 향해 배치된다.2 and Fig. 3 show two configuration variant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Fig. In the case of the above embodiment, the injector 19 for generating the coarse oil mist 16 is disposed in the crankcase 2. In Fig. 2, a first configuration modification is shown. In this first configuration variant, the injector 19 is arranged on the face of the crankcase 2 which is located opposite the gas outlet 9. At the same time the injector 19 is aligned towards the gas outlet 9 so that the coarse oil mist 16 produced by the injector is directed to the crankcase 2 in the region of the blow- Cross. 3, the injector 19 is arranged in the region of the gas outlet 9 and is arranged towards an additional extension of the gas recirculation device 11, in particular toward the oil separator 13. [

도 4에는,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원리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거친 오일 미스트(16)는 미세 오일 미스트(17)를 통과하여 이동된다. 거친 오일 미스트(16)는 수많은 큰 오일 액적으로 구성되며, 이 큰 오일 액적의 지름은 10마이크로미터 이상이다. 이 경우, 10마이크로미터 미만의 지름을 갖는 작은 오일 액적들로 구성되는 미세 오일 미스트(17)는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이동되지 않는다. 거친 오일 미스트(16)의 이동 방향(20)은 화살표 그룹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거친 오일 미스트(16)와 미세 오일 미스트(17)가 서로 마주칠 때 작은 오일 액적들은 큰 오일 액적들에 응집된다.In Fig. 4,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inciple underlying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coarse oil mist 16 is moved through the fine oil mist 17. The coarse oil mist 16 is comprised of a number of large oil droplets, the diameter of which is greater than 10 micrometers. In this case, the fine oil mist 17 composed of small oil droplets having a diameter of less than 10 micrometers is not moved or moved in any direction. The direction 20 of movement of the coarse oil mist 16 is indicated by the arrows. Small oil droplets flocculate in large oil droplets when the coarse oil mist 16 and the fine oil mist 17 meet each other.

1: 내연기관 2: 크랭크 케이스
3: 크랭크 샤프트 4: 오일 팬
5: 실린더 6: 피스톤
7: 작동 챔버 8: 커넥팅 로드
9: 가스 배출구 10: 블로바이 유동
11: 가스 재순환 장치 12: 채널 횡단면
13: 오일 분리기 14: 가이드 부재
15: 가스 순환 16: 거친 오일 미스트
17: 미세 오일 미스트 18: 오일 회수부
19: 분사 장치 20: 이동 방향
1: Internal combustion engine 2: Crankcase
3: Crankshaft 4: Oil pan
5: cylinder 6: piston
7: operating chamber 8: connecting rod
9: gas outlet 10: blowby flow
11: gas recirculation device 12: channel cross section
13: Oil separator 14: Guide member
15: gas circulation 16: rough oil mist
17: fine oil mist 18: oil recovery unit
19: Injection device 20: Moving direction

Claims (10)

내연기관(1)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미세 오일 미스트(17)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유동(10)이 가스 재순환 장치(11)에 의해 크랭크 케이스(2)로부터 배출되어 내연기관(1)의 급기 측으로 공급되며, 상기 블로바이 유동(10)은 상기 가스 재순환 장치(11) 내에 배치되는 오일 분리기(13)를 통과할 때 처리되며, 거친 오일 미스트(16)가 상기 오일 분리기(13) 내에서의 처리 전에 및/또는 그러한 처리 도중에 상기 블로바이 유동(10) 내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A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The blowby flow 10 containing the fine oil mist 17 is discharged from the crankcase 2 by the gas recirculation device 11 and supplied to the air supply sid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Is processed as it passes through the oil separator (13) disposed in the gas recirculation device (11) and the coarse oil mist (16) is removed before and / or during the processing in the oil separator (13) (10).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친 오일 미스트(16)는 상기 크랭크 케이스(2)로부터 상기 블로바이 유동(10)의 배출 이전에 및/또는 그러한 배출 도중에 상기 블로바이 유동(10) 내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said coarse oil mist (16) is moved into said blowby flow (10) prior to and / or during the discharge of said blowby flow (10) from said crankcase (2) Way.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바이 유동(10) 내의 상기 거친 오일 미스트(16)는 상기 블로바이 유동(10)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said coarse oil mist (16) in said blowby flow (10) is moved substantially parallel to said blowby flow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친 오일 미스트(16)는 분사 장치(19)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said coarse oil mist (16) is produced by an injector (1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친 오일 미스트(16)는 분사 장치(19)에 의해 가속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said coarse oil mist (16) is accelerated by an injector (1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2) 내에서의 상기 크랭크 샤프트(3)의 운동에 의해 그리고/또는 상기 크랭크 케이스(2)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들(14)에 의해, 상기 크랭크 샤프트(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동되는 가스 순환(15)이 생성되며 그리고/또는 가속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rotation axes of the crankshaft 3 are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crankshaft 3 in the crankcase 2 and / or by the guide members 14 disposed in the crankcase 2, Is generated and / or accelerated.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친 오일 미스트(16)는 상기 크랭크 케이스(2) 내에서 상기 크랭크 샤프트(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동되는 가스 순환(15)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Characterized in that said coarse oil mist (16) is produced by a gas circulation (15) moving in the crankcase (2) about the axis of rotation of said crankshaft (3).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친 오일 미스트(16)는 상기 크랭크 케이스(2) 내에서 상기 크랭크 샤프트(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동되는 가스 순환(15)에 의해 가속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Characterized in that the coarse oil mist (16) is accelerated in the crankcase (2) by the gas circulation (15) moving arou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crankshaft (3).
가스 배출구(9)를 통해 가스 재순환 장치(11)와 연결되는 크랭크 케이스(2)를 포함하는 내연기관(1)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2) 내에 및/또는 상기 가스 재순환 장치(11) 내에, 거친 오일 미스트(16)를 생성하기 위한 분사 장치(19)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comprising a crankcase (2) connected to a gas recirculation device (11) through a gas outlet (9)
Characterized in that an injector (19) is arranged in the crankcase (2) and / or in the gas recirculation device (11) to produce a coarse oil mist (16).
가스 배출구(9)를 통해 가스 재순환 장치(11)와 연결되는 크랭크 케이스(2)를 포함하는 내연기관(1)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2) 내에, 가스 순환(15)을 생성하여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들(14)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1) comprising a crankcase (2) connected to a gas recirculation device (11) through a gas outlet (9)
Wherein in the crankcase (2), guide members (14) for generating and holding a gas circulation (15) are arranged.
KR1020147018883A 2011-12-09 2012-12-07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64790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120782A DE102011120782A1 (en) 2011-12-09 2011-12-09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11120782.5 2011-12-09
PCT/EP2012/074762 WO2013083765A1 (en) 2011-12-09 2012-12-07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670A true KR20140106670A (en) 2014-09-03
KR101647906B1 KR101647906B1 (en) 2016-08-23

Family

ID=47351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883A KR101647906B1 (en) 2011-12-09 2012-12-07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788596B1 (en)
KR (1) KR101647906B1 (en)
CN (1) CN103958841B (en)
DE (1) DE102011120782A1 (en)
WO (1) WO201308376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4013B (en) 2014-03-10 2018-07-25 Ford Global Tech Llc Crankcase oil catcher
DE102017203268A1 (en) 2017-03-01 2018-09-0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 gas strea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1777A (en) * 2003-12-08 2005-06-30 Nissan Motor Co Ltd Oil recovering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9121341A (en) * 2007-11-14 2009-06-04 Toyota Boshoku Corp Crank room ventilation system
JP2011052627A (en) * 2009-09-03 2011-03-17 Mitsubishi Motors Corp Gas-oil separator of blow-by ga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2365B2 (en) * 1990-10-24 2000-06-12 スズキ株式会社 Engine breather structure
JP2551974Y2 (en) * 1991-07-11 1997-10-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Lubricating oil return path structure with baffle plate
DE4139195C2 (en) * 1991-11-28 1999-05-27 Audi Ag Oil pan insert
DE10063903A1 (en) * 2000-12-21 2002-07-04 Mann & Hummel Filter Free jet centrifuge with integrated oil separator
DE20103652U1 (en) * 2001-03-02 2002-07-04 Hengst Walter Gmbh & Co Kg Device for de-oiling the crankcase ventilation ga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E527725C2 (en) * 2003-01-02 2006-05-23 Karl-Gunnar Karlss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6152890A (en) * 2004-11-29 2006-06-15 Toyota Industries Corp Oil separating structur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581829B2 (en) * 2005-05-10 2010-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Oil separator and blow-by gas reduction device
DE102006035888A1 (en) 2006-07-31 2008-02-07 Dr.Ing.H.C. F. Porsche Ag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8267273A (en) * 2007-04-20 2008-11-06 Aisan Ind Co Ltd Blow-by gas returning device
SE531722C2 (en) * 2007-08-28 2009-07-21 Alfa Laval Tumba Ab Centrifugal separator and process for purifying a gas
JP2010096154A (en) * 2008-10-20 2010-04-30 Aichi Mach Ind Co Ltd Vapor-liquid separating structure
DE102009035895B4 (en) * 2009-08-03 2012-05-16 Mann + Hummel Gmbh A filter assembly
EP2754864B1 (en) * 2011-09-06 2017-04-0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ngine ventil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1777A (en) * 2003-12-08 2005-06-30 Nissan Motor Co Ltd Oil recovering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9121341A (en) * 2007-11-14 2009-06-04 Toyota Boshoku Corp Crank room ventilation system
JP2011052627A (en) * 2009-09-03 2011-03-17 Mitsubishi Motors Corp Gas-oil separator of blow-by g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8596B1 (en) 2019-05-01
CN103958841B (en) 2016-10-26
EP2788596A1 (en) 2014-10-15
CN103958841A (en) 2014-07-30
KR101647906B1 (en) 2016-08-23
WO2013083765A1 (en) 2013-06-13
DE102011120782A1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08895B2 (en)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crankcase emissions
WO2013080600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upercharger
US8408190B2 (en) Air-oil separator for extracting oil from engine blowby gas
KR19990022773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rankcase blown gas cleaning method and cleaning devic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luding these devices
US9957860B2 (en) Oil separator for crankcase ventil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647906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246612B2 (en) Oil separator
JP2014013013A (en) Oil separator
JP2007064155A (en) Oil mist treatment device
JP2013199897A (en) Oil separator
KR20090065384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in blow-by gas of a cylinder head cover
US11306632B2 (en) Oil decanta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417006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476500A (en) Labyrinth type oil-gas separating device used for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US7428898B2 (en)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crankcase emissions
JP2014088855A (en) Blow-by gas recircula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3603703A (en) Inlet air pressure adjusting type oil discharging device
JP2014098310A (en) Blow-by gas treatment device
JP2012036738A (en) Blow-by gas recirculation device
JP2015140700A (en) Gas-liquid separation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40018223A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210301716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851690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 turbo charger unit
JP2013221486A (en) Intake manifold
JP5958271B2 (en) Oil discharg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