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385A -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385A
KR20140106385A KR1020137029907A KR20137029907A KR20140106385A KR 20140106385 A KR20140106385 A KR 20140106385A KR 1020137029907 A KR1020137029907 A KR 1020137029907A KR 20137029907 A KR20137029907 A KR 20137029907A KR 20140106385 A KR20140106385 A KR 20140106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conductive
particles
nickel
tungs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41721B1 (en
Inventor
게이조 니시오까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6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3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7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6Metallic particles coated with a non-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7Metallic particles coated with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8Non-metallic particles coated with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5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using reducing agents for 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18/32 - C23C18/5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6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material in insulating or poorly conductive material, e.g. conductive rub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33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55Process features
    • C23C18/1662Use of incorporated material in the solution or dispersion, e.g. particles, whiskers, 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31Coating wi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31Coating with metals
    • C23C18/32Coating with nickel, cobalt or mixtures thereof with phosphorus or bor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사이를 접속하여 접속 구조체를 얻은 경우에,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을 낮게 할 수 있고, 또한 고온 고습하에서의 접속 저항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도전성 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 (1)은 기재 입자 (2)와, 기재 입자 (2)의 표면 상에 배치된 도전층 (3)을 갖는다. 도전층 (3)은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의 적어도 1종의 금속 성분을 포함한다. 도전층 (3)의 전체 100 중량% 중 니켈의 함유량은 60 중량% 이상이다. 도전층 (3)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 두께의 도전층 부분 100 중량% 중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은 5 중량%를 초과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ductive particle capable of lowering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electrodes and suppressing an increase in connection resistance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when the connection structure is obtained by connecting the electrodes. The conductive particle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ase particles (2) and conductive layers (3)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s (2). The conductive layer 3 comprises at least one metal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tungsten and molybdenum. The content of nickel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3 is 60 wt% or more.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5 nm thick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3 in the thickness direction exceeds 5 wt%.

Description

도전성 입자, 도전 재료 및 접속 구조체{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s, and connection structures,

본 발명은 기재 입자의 표면 상에 도전층이 배치되어 있는 도전성 입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전극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에 사용할 수 있는 도전성 입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전성 입자를 이용한 도전 재료 및 접속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ductive particles in which conductive layers are disposed on the surface of base particles, and more particularly to conductive particles which can be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electrodes,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nductive material and a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conductive particles.

이방성 도전 페이스트 및 이방성 도전 필름 등의 이방성 도전 재료가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이방성 도전 재료에서는 결합제 수지 중에 도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다. Anisotropic conductive paste such as anisotropic conductive paste and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re widely known. In the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binder resin.

상기 이방성 도전 재료는 IC칩과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과의 접속, 및 IC칩과 ITO 전극을 갖는 회로 기판과의 접속 등에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IC칩의 전극과 회로 기판의 전극 사이에 이방성 도전 재료를 배치한 후,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이들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The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is us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IC chip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for connection between the IC chip and the circuit board having the ITO electrode. For example, after the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is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IC chip and the electrodes of the circuit board, these electrode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heating and pressing.

상기 도전성 입자의 일례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평균 입경 1 내지 20 ㎛의 구상(球狀)의 기재 입자의 표면에 무전해 도금법에 의해 니켈 도전층 또는 니켈 합금 도전층이 형성된 도전성 입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 도전성 입자는 도전층의 최표층에 0.05 내지 4 ㎛의 미소한 돌기를 갖는다. 상기 도전층과 상기 돌기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the above conductive particles,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 conductive particle in which a nickel conductive layer or a nickel alloy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spherical bas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20 占 퐉 by electroless plating, . The conductive particles have minute projections of 0.05 to 4 占 퐉 in the outermost layer of the conductive layer.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protrusions are connected substantially continuously.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4313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43132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도전성 입자를 이용하여 전극 사이를 접속한 경우에는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의 실시예에서는 니켈과 인을 포함하는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전성 입자에 의해 접속되는 전극 및 도전성 입자의 도전층의 표면에는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니켈과 인을 포함하는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를 이용하여 전극 사이를 접속한 경우에는, 니켈과 인을 포함하는 도전층이 비교적 부드럽기 때문에, 전극 및 도전성 입자의 표면의 산화 피막을 충분히 배제할 수 없어 접속 저항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When the electrodes are connected using the conductive particle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may be increased. In the embodiment of Patent Document 1, a conductive layer including nickel and phosphorus is formed. There are many cases where an oxide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of the electrode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which are connected by the conductive particles. When the electrodes are connected using the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containing nickel and phosphorus, since the conductive layer containing nickel and phosphorus is relatively soft,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remove the oxide film on the surfaces of the electrodes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There is a case where the connection resistance is increased.

또한, 접속 저항을 낮게 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니켈과 인을 포함하는 도전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도전성 입자에 의해 접속 대상 부재 또는 기판이 흠이 가는 경우가 있다.Further, in order to lower the connection resistance, if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including nickel and phosphorus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made thick, the member to be connected or the substrate may be scratched by the conductive particles.

또한, 도전성 입자에 의해 전극 사이가 접속된 접속 구조체는 고온 고습하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종래의 도전성 입자에서는 고온 고습하에서 산 등의 영향으로 도전층이 변성하고,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즉, 접속 구조체가 고온 고습하에 노출되었을 때에,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고, 낮은 접속 저항을 장기간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s are connected by the conductive particles may be expos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In the conventional conductive particles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conductive layer is denatured under the influence of an acid or the like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increased in some cases. That is, when the connection structure is expos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may be increased, and a low connection resistance may not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 사이를 접속하여 접속 구조체를 얻은 경우에,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을 낮게 할 수 있고, 추가로 고온 고습하에서의 접속 저항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도전성 입자, 및 상기 도전성 입자를 이용한 도전 재료 및 접속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ductive particle capable of lowering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electrodes when the connection structure is obtained by connecting the electrodes to each other and further suppressing an increase in connection resistance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to provide a conductive material and a connection structure which are used.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따르면, 기재 입자와, 상기 기재 입자의 표면 상에 배치된 도전층을 갖고, 상기 도전층이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 적어도 1종의 금속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층의 전체 100 중량% 중 니켈의 함유량이 60 중량% 이상이고, 상기 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 두께의 도전층 부분 100 중량% 중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이 5 중량%를 초과하는 도전성 입자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broa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base particles; and a conductive layer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base particles,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includes at least one metal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tungsten, and molybdenum, Wherein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5 nm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toward the inner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5 wt% % ≪ / RTI >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의 두께의 도전층 부분 100 중량% 중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이 10 중량% 이상이다.In a specific aspec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5 nm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10 wt% or more .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의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도전층의 두께 방향으로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 적어도 1종의 상기 금속 성분이 편재하고 있고, 상기 도전층의 외측 부분이 상기 도전층의 내측 부분보다도 상기 금속 성분을 많이 포함한다.In another specific aspect of the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metal components of nickel, tungsten, and molybdenum is localiz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is located inside the conductive layer Part of the metal component.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의 별도의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도전층의 전체 100 중량% 중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이 5 중량%를 초과한다.In another specific aspec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the total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exceeds 5 wt%.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도전성 입자 10 중량부를 5 중량% 시트르산 수용액 100 중량부에 25℃에서 1분간 침지시켰을 때에, 용출되는 니켈 이온 농도가 도전성 입자의 단위 표면적당 1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ickel ion concentration eluted when immersing 10 parts by weight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100 parts by weight of 5 wt% citric acid aqueous solution at 25 캜 for 1 minute is not more than 100 ppm / cm 2 per unit surface area of the conductive particles.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의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도전층은 환원제를 이용하는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층이 상기 환원제에서 유래되는 성분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환원제에서 유래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의 전체 100 중량% 중의 상기 환원제에서 유래되는 성분의 함유량이 5 중량% 이하이다.In another specific aspec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by electroless nickel plating using a reducing agent, and the conductive layer does not contain a component derived from the reducing agent, And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derived from the reducing agent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is 5 wt% or less.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의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도전층은 붕소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층의 전체 100 중량% 중 붕소의 함유량은 0.05 중량% 이상 4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specific aspec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layer comprises boron. The content of boron in 100 wt% of the entire conductive layer is preferably 0.05 wt% or more and 4 wt% or less.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의 별도의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도전층이 인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도전층이 인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의 전체 100 중량% 중의 인의 함유량이 0.5 중량% 미만이다.In another specific aspec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layer does not contain phosphorus, or the conductive layer contains phosphorus and the content of phosphorus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is less than 0.5 wt%.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의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도전층은 외표면에 돌기를 갖는다.In another specific aspec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layer has projections on the outer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도전 재료는 상술한 도전성 입자와 결합제 수지를 포함한다.The conduc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nductive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본 발명에 따른 접속 구조체는 제1 접속 대상 부재와, 제2 접속 대상 부재와, 상기 제1, 제2 접속 대상 부재를 접속하고 있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속부가 상술한 도전성 입자에 의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도전성 입자와 결합제 수지를 포함하는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Th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ng object member, a second connecting object member,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object members,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by the above- Or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에서는 기재 입자의 표면 상에 도전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도전층이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의 적어도 1종의 금속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층의 전체 100 중량% 중 니켈의 함유량이 60 중량% 이상이고, 상기 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의 두께의 도전층 부분 100 중량% 중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이 5 중량%를 초과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를 이용하여 전극 사이를 접속하여 접속 구조체를 얻은 경우에,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구조체가 고온 고습하에 노출되어도, 접속 저항이 높아지기 어렵다.In the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layer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 and the conductive layer contains at least one metal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tungsten, and molybdenum, The content of nickel is 60% by weight or more and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100% by weight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5 nm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exceeds 5% by weight , And when the connection structure is obtained by connecting the electrodes using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an be reduced. Further, even if the connection structure is expos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he connection resistance is difficult to increas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성 입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성 입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성 입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성 입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using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상세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는 기재 입자와, 상기 기재 입자의 표면 상에 배치된 도전층을 갖는다. 상기 도전층은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의 적어도 1종의 금속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층의 전체 100 중량% 중 니켈의 함유량은 60 중량% 이상이다. 상기 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의 두께의 도전층 부분 100 중량% 중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은 5 중량%를 초과한다.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ase particles and a conductive layer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s. The conductive layer includes at least one metal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tungsten, and molybdenum. The content of nickel in 100 wt% of the entire conductive layer is 60 wt% or more.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5 nm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exceeds 5 wt%.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에서는 상기 도전층이 특정한 상기 조성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를 전극 사이의 접속에 이용한 경우에,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상기 조성을 갖는 도전층은 비교적 딱딱하다. 따라서, 전극 사이의 접속시에, 전극 및 도전성 입자 표면의 산화 피막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것에 의해서도,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낮아진다.In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ductive layer has the above specific composition,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s,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conductive layer having a specific composition described above is relatively hard. Therefore, even when the electrodes and the oxide film on the surface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can be effectively removed at the time of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s,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becomes low.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에서는 외측의 표면 근방에서의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도전층의 내산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접속 구조체가 고온 고습하에 노출되더라도 산 등의 영향이 감소된다. 이 결과,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상승하기 어려워져, 낮은 접속 저항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Further, in the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the vicinity of the outer surface is relatively large. For this reason, for example, the acid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layer becomes high. Therefore, even if the connection structure is expos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he influence of the acid or the like is reduced. As a result,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hardly rises, and a low connection resistanc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이것에 대하여, 특히 상기 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 두께의 도전층 부분 100 중량% 중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이 5 중량% 이하이면, 상기 접속 구조체가 고온 고습하에 노출되었을 때에,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점차로 높아진다.In contrast, if the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the total of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5 nm in thicknes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toward the inner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5 wt% or less, When exposed,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gradually increases.

고온 고습하에서의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의 상승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 두께의 도전층 부분 100 중량% 중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은 많을수록 좋다. 따라서, 상기 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 두께의 도전층 부분 100 중량% 중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이다. 초기의 접속 저항을 보다 한층 낮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 두께의 도전층 부분 100 중량% 중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하이다.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5 nm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toward the in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the more the better. Therefore,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5 nm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toward the in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preferably at least 10 wt%, more preferably at least 15 wt%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20% by weight, particularly preferably not less than 25% by weight, and most preferably not less than 30% by weight. From the viewpoint of further lowering 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5 nm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preferably 60 wt% Or less, more preferably 50 wt%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40 wt% or less.

상기 도전층의 두께 방향으로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의 적어도 1종의 상기 금속 성분이 편재하고 있고, 상기 도전층의 외측 부분이 상기 도전층의 내측 부분보다도 상기 금속 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전극 사이의 초기의 접속 저항을 효과적으로 낮게 하고, 추가로 고온 고습하에서의 접속 저항의 상승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의 외측 부분은 상기 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의 두께의 도전층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층의 내측 부분은 상기 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의 두께의 도전층 부분보다도 내측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에서는, 도전층 전체에서 상기 금속 성분의 함유량은 농도 경사를 갖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도전층 전체에서, 상기 금속 성분의 함유량은 대략 균일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든 도전층 부분에서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이 5 중량%를 초과하고 있을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metal components of nickel, tungsten and molybdenum is localiz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uctive layer and that the outer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contains a larger amount of the metal component than the inner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 In this case, 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an be effectively lowered, and the rise of the connection resistance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an be further effectively suppressed. The outer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is preferably a conductive layer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5 nm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in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inner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is preferably an inner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5 nm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metal component may not have a concentration gradient in the entire conductive layer. In the entire conductive layer, the content of the metal component may be substantially uniform. Therefore,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may exceed 5 wt% in all the conductive layer portions.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도전성 입자 10 중량부를 5 중량% 시트르산 수용액 100 중량부에 25 ℃에서 1분간 침지했을 때에, 용출되는 니켈 이온 농도가 도전성 입자의 단위 표면적당 1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효과적으로 낮아지고, 전극에 접하는 도전성 입자가 견딜 수 있는 전류 용량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ickel ion concentration eluted when immersing 10 parts by weight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100 parts by weight of 5 wt% citric acid aqueous solution at 25 캜 for 1 minute is 100 ppm / cm 2 or less per unit surface area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is case,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effectively lowered, and the current capacity capable of withstanding the conductive particle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s is further increased.

상기 도전층은 환원제를 이용하는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층이 상기 환원제에서 유래되는 성분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환원제에서 유래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의 전체 100 중량% 중의 상기 환원제에서 유래되는 성분의 함유량이 5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을 효과적으로 낮게 하고, 추가로 고온 고습하에서의 접속 저항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의 전체 100 중량% 중의 상기 환원제에서 유래되는 성분의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중량%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하,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하이다.Wherei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by electroless nickel plating using a reducing agent and the conductive layer does not contain a component derived from the reducing agent or contains a component derived from the reducing agent,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derived from the reducing agent is preferably 5% by weight or less. In this case,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an be effectively lowered, and the rise of the connection resistance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derived from the reducing agent in 100 wt% of the total of the conductive layer is more preferably 4 wt%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3 wt%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1 wt% By weight or less, most preferably 0.1% by weight or less.

상기 환원제에서 유래되는 성분으로서는 인이나 붕소를 들 수 있다. 상기 환원제는 인 함유 환원제 또는 붕소 함유 환원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붕소 함유 환원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환원제에서 유래되는 성분은 인 또는 붕소인 것이 바람직하고, 붕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component derived from the reducing agent include phosphorus and boron. The reducing agent is preferably a phosphorus-containing reducing agent or a boron-containing reducing agent, and more preferably a boron-containing reducing agent. The component derived from the reducing agent is preferably phosphorus or boron, and more preferably boron.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 및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분명하게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explaining specific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성 입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 입자 (1)은 기재 입자 (2)와, 도전층 (3)과, 복수의 코어 물질 (4)와, 복수의 절연 물질 (5)를 갖는다.As shown in Fig. 1, the conductive particles 1 have base particles 2, a conductive layer 3,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4, and a plurality of insulating materials 5.

도전층 (3)은 기재 입자 (2)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전성 입자 (1)은 기재 입자 (2)의 표면이 도전층 (3)에 의해 피복된 피복 입자이다.The conductive layer 3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 2. The conductive particle (1) is a coated particl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 (2) is covered with the conductive layer (3).

도전성 입자 (1)은 표면에 복수의 돌기 (1a)를 갖는다. 도전층 (3)은 외표면에 복수의 돌기 (3a)를 갖는다. 복수의 코어 물질 (4)가 기재 입자 (2)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코어 물질 (4)는 도전층 (3) 내에 매입(

Figure pct00001
)되어 있다. 코어 물질 (4)는 돌기 (1a,3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전층 (3)은 복수의 코어 물질 (4)를 피복하고 있다. 복수의 코어 물질 (4)에 의해 도전층 (3)의 외표면이 융기되어 있고, 돌기 (1a,3a)가 형성되어 있다.The conductive particles (1) have a plurality of projections (1a) on its surface. The conductive layer 3 has a plurality of projections 3a on its outer surface.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4) are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s (2). The plurality of core materials 4 are embedded in the conductive layer 3
Figure pct00001
). The core material 4 is disposed inside the projections 1a and 3a. The conductive layer 3 covers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4.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3 is raised by the plurality of core materials 4 and the projections 1a and 3a are formed.

도전성 입자 (1)은 도전층 (3)의 외표면 상에 배치된 절연 물질 (5)를 갖는다. 도전층 (3)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절연 물질 (5)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절연 물질 (5)는 절연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성 입자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는 도전층의 외표면 상에 배치된 절연 물질을 가질 수도 있다. 단,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는 절연 물질을 반드시 갖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The conductive particles (1) have an insulating material (5)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3).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3) is cover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5). The insulating material 5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insulating property and is insulating particles. As such,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However,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necessarily contain an insulating material.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성 입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나타내는 도전성 입자 (11)은 기재 입자 (2)와, 제2 도전층 (12)(다른 도전층)와, 도전층 (13)(제1 도전층)과, 복수의 코어 물질 (4)와, 복수의 절연 물질 (5)를 갖는다.The conductive particles 11 shown in Fig. 2 include base particles 2, a second conductive layer 12 (another conductive layer), a conductive layer 13 (first conductive layer),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4 , And a plurality of insulating materials (5).

도전성 입자 (1)과 도전성 입자 (11)에서는 도전층만이 다르다. 즉, 도전성 입자 (1)에서는 1층 구조의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는 데 반하여, 도전성 입자 (11)에서는 2층 구조의 제2 도전층 (12) 및 도전층 (13)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conductive particles (1)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11), only the conductive layer is different. That is, in the conductive particles 1, a conductive layer having a one-layer structure is formed, whereas in the conductive particles 11, a second conductive layer 12 and a conductive layer 13 having a two-layer structure are formed.

도전층 (13)은 기재 입자 (2)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기재 입자 (2)와 도전층 (13) 사이에 제2 도전층 (12)(다른 도전층)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재 입자 (2)의 표면 상에 제2 도전층 (12)가 배치되어 있고, 제2 도전층 (12)의 표면 상에 도전층 (13)이 배치되어 있다. 도전층 (13)은 외표면에 복수의 돌기 (13a)를 갖는다. 도전성 입자 (11)은 표면에 복수의 돌기 (11a)를 갖는다.The conductive layer 13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 2.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12 (another conductive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particles 2 and the conductive layer 13. [ Therefore,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2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icle 2, and the conductive layer 13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2. The conductive layer 13 has a plurality of projections 13a on its outer surface. The conductive particles 11 have a plurality of projections 11a on their surfaces.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성 입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나타내는 도전성 입자 (21)은 기재 입자 (2)와 도전층 (22)를 갖는다. 도전층 (22)는 기재 입자 (2)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The conductive particles 21 shown in Fig. 3 have the base particles 2 and the conductive layer 22. The conductive layer 22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 2.

도전성 입자 (21)은 코어 물질을 갖지 않는다. 도전성 입자 (21)은 표면에 돌기를 갖지 않는다. 도전성 입자 (21)은 구상이다. 도전층 (22)는 표면에 돌기를 갖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는 돌기를 갖고 있지 않을 수도 있고, 구상일 수도 있다. 또한, 도전성 입자 (21)은 절연 물질을 갖지 않는다. 단, 도전성 입자 (21)은 도전층 (22)의 표면 상에 배치된 절연 물질을 가질 수도 있다.The conductive particles 21 do not have a core material. The conductive particles 21 have no projections on the surface. The conductive particles 21 are spherical. The conductive layer 22 has no projections on its surface. As described above,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have protrusions or may be spherical. Further, the conductive particles 21 have no insulating material. However, the conductive particles 21 may have an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22.

[기재 입자][Substrate Particle]

상기 기재 입자로서는 수지 입자, 금속을 제외한 무기 입자, 유기 무기 혼성 입자 및 금속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 입자는 금속 입자를 제외한 기재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지 입자, 금속을 제외한 무기 입자 또는 유기 무기 혼성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base particles include resin particles, inorganic particles other than metals, organic-inorganic hybrid particles and metal particles. The base particles are preferably base particles excluding metal particles, more preferably resin particles, inorganic particles other than metal, or organic-inorganic hybrid particles.

상기 기재 입자는 수지에 의해 형성된 수지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성 입자를 이용하여 전극 사이를 접속할 때에는 상기 도전성 입자를 전극 사이에 배치한 후 압착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입자를 압축시킨다. 기재 입자가 수지 입자이면, 상기 압착시에 상기 도전성 입자가 변형되기 쉽고, 도전성 입자와 전극과의 접촉 면적이 커진다. 이 때문에, 전극 사이의 도통 신뢰성이 높아진다.The base particles are preferably resin particles formed by a resin. When the electrodes are connected using the conductive particles,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s and then compressed to compress the conductive particles. When the base particles are resin particles,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liable to be deformed at the time of pressing,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the electrode is increased. Therefore, the conduction reliability between the electrodes is improved.

상기 수지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로서, 다양한 유기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수지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벤조구아나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요소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옥시드, 폴리아세탈,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다양한 중합성 단량체를 1종 또는 2종 이상 중합시켜 얻어지는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도전 재료에 적합한 임의의 압축시의 물성을 갖는 수지 입자를 설계 및 합성할 수 있으며, 기재 입자의 경도를 바람직한 범위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수지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복수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1종 또는 2종 이상 중합시킨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resin for forming the resin particles, various organic materials are preferably used. Examples of the resin for forming the resin particles include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styrene,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chloride, polypropylene, polyisobutylene, and polybutadiene; Acrylic resin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and polymethyl acrylate; But are not limited to, polyalk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polyamide, phenol formaldehyde resin, melamine formaldehyde resin, benzoguanamine formaldehyde resin, urea formaldehyde resin, phenol resin, melamine resin, benzoguanamine resin, urea resin, A variety of polymerizable monomers having an epoxy resin,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 saturated polyester resin, polysulfone, polyphenylene oxide, polyacetal, polyimide, polyamideimid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 sulfone, , And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zing two or more of them. It is possible to design and synthesize resin particles having physical properties at the time of compression appropriate for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o control the hardness of the base particles to a desired range with ease. Therefore, the resin for forming the resin particles is preferably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Is preferably a 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one or more polymerizable monomers having a plurality of groups.

상기 수지 입자를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시켜 얻는 경우,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비가교성의 단량체와 가교성의 단량체를 들 수 있다.When the resin particles are obtained by polymerizing a monomer having an ethylenic unsaturated group, 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n ethylenic unsaturated group include a monomer which is incompatible with the monomer and a monomer which is crosslinkable.

상기 비가교성의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류;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산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류;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 함유 단량체;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프로필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아세트산비닐, 부티르산비닐, 라우르산비닐, 스테아르산비닐 등의 산비닐에스테르류;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렌, 부타디엔 등의 불포화 탄화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염화비닐, 불화비닐, 클로로스티렌 등의 할로겐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non-crosslinkable monomer include styrene-based monomers such as styrene and? -Methylstyren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meth) acrylic acid, maleic acid, and maleic anhydride;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propyl (meth) acrylate, butyl Alkyl (meth) acrylates such as acrylate, stearyl (meth) acrylate, cyclohexyl (meth) acrylate and isoborn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s such as 2-hydroxyethyl (meth) acrylate, glycerol (meth) acrylate, polyoxyethylene (meth) acrylate and glycidyl (meth) acrylate; Nitrile-containing monomers such as (meth) acrylonitrile; Vinyl ethers such as methyl vinyl ether, ethyl vinyl ether and propyl vinyl ether; Acid vinyl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vinyl butyrate, vinyl laurate and vinyl stearate; Unsaturated hydrocarbons such as ethylene, propylene, isoprene and butadiene; Halogen-containing monomers such as trifluoromethyl (meth) acrylate, pentafluoroethyl (meth) acrylate, vinyl chloride, vinyl fluoride and chlorostyrene.

상기 가교성의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류;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트리멜리테이트, 디비닐벤젠, 디알릴프탈레이트, 디알릴아크릴아미드, 디알릴에테르, γ-(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트리메톡시실릴스티렌,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실란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include tetramethylolmethane tetra (meth) acrylate, tetramethylol methane tri (meth) acrylate, tetramethylol methane di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glycerol tri (meth) acrylate, glycerol di (meth) acrylate, (poly) ethylene glycol di Polyfunctional (meth) acrylates such as (poly) 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 tetramethylene di (meth) acrylate and 1,4-butanediol di (meth) acrylate; (Meth) 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trimethoxysilylstyrene, trimethylolpropane trimethoxysilane, triallyl trimellitate, divinyl benzene, diallyl phthalate, diallyl acrylamide, diallyl ether, , Silane-containing monomers such as vinyltrimethoxysilane, and the like.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공지된 방법에 의해 중합시킴으로써, 상기 수지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현탁 중합하는 방법, 및 비가교의 종(種) 입자를 이용하여 라디칼 중합 개시제와 함께 단량체를 팽윤시켜 중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resin particles can be obtained by polymerizing the above-mentioned 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n ethylenic unsaturated group by a known method. This method includes, for example, suspension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polymerization in which monomer is swollen together with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using non-crosslinked seed particles.

상기 기재 입자가 금속 입자를 제외한 무기 입자 또는 유기 무기 혼성 입자인 경우에, 상기 기재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무기물로서는 실리카 및 카본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카에 의해 형성된 입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가수분해성의 알콕시실릴기를 2개 이상 갖는 규소 화합물을 가수분해하여 가교 중합체 입자를 형성한 후에, 필요에 따라서 소성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입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무기 혼성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가교한 알콕시실릴 중합체와 아크릴 수지에 의해 형성된 유기 무기 혼성 입자 등을 들 수 있다.When the base particles are inorganic particles other than metal particles or organic-inorganic hybrid particles, examples of inorganic substances for forming the base particles include silica and carbon black. The particles formed by the silica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particles obtained by hydrolyzing a silicon compound having two or more hydrolyzable alkoxysilyl groups to form cross-linked polymer particles, followed by baking if necessary, . Examples of the organic-inorganic hybrid particles include organic-inorganic hybrid particles formed by a crosslinked alkoxysilyl polymer and an acrylic resin.

상기 기재 입자가 금속 입자인 경우에, 상기 금속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금속으로서는 은, 구리, 니켈, 규소, 금 및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 입자는 금속 입자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base particles are metal particles, examples of the metal for forming the metal particles include silver, copper, nickel, silicon, gold and titanium.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particles are not metal particles.

상기 기재 입자의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다. 기재 입자의 입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도전성 입자와 전극과의 접촉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전극 사이의 도통 신뢰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고, 도전성 입자를 통해 접속된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보다 한층 낮아진다. 또한, 기재 입자의 표면에 도전층을 무전해 도금에 의해 형성할 때에 응집하기 어려워지고, 응집한 도전성 입자가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입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도전성 입자가 충분히 압축되기 쉽고,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보다 한층 낮아지고, 또한 전극 사이의 간격이 작아진다. 상기 기재 입자의 입경은 기재 입자가 진구상인 경우에는 직경을 나타내고, 기재 입자가 진구상이 아닌 경우에는 최대 직경을 나타낸다.The particle diameter of the base particles is preferably 0.1 μm or more, more preferably 0.5 μm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1 μm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1.5 μm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2 μm or more,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500 mu m, still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300 mu m, further preferably not more than 50 mu m, further preferably not more than 30 mu m, particularly preferably not more than 5 mu m, 3 탆 or less.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base particles is not lower than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the electrode becomes larger,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conduction between the electrodes becomes further higher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onnected via the conductive particles becomes further lower. Further, whe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s by electroless plating, it is difficult to coagulate and the coagulated conductive particles are hardly formed. When th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easily compressed sufficiently,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further lowered,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electrodes becomes smaller. The particle size of the base particles indicates a diameter when base particles are spherical, and indicates a maximum diameter when base particles are not spherical.

상기 기재 입자의 입경은 0.1 ㎛ 이상 5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입자의 입경이 0.1 내지 5 ㎛의 범위 내이면 전극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며, 도전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더라도 작은 도전성 입자가 얻어진다. 전극 사이의 간격을 보다 한층 작게 하거나, 도전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더라도, 보다 한층 작은 도전성 입자를 얻기도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기재 입자의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다.Particularly preferably, the particle size of the base particles is 0.1 占 퐉 or more and 5 占 퐉 or less. If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base particles is within the range of 0.1 to 5 占 퐉,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becomes small, and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is increased, small conductive particles can be obtained. The particle size of the base particles is preferably 0.5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2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2 占 퐉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even smaller conductive particles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further reduced or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is increased. , Preferably not more than 3 mu m.

[도전층][Conductive layer]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는 기재 입자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도전층을 갖는다. 상기 도전층은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 적어도 1종의 금속 성분을 포함한다. 이하,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 적어도 1종의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도전층을 도전층 X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도전층 X의 전체 100 중량% 중 니켈의 함유량은 60 중량% 이상이다. 상기 도전층 X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의 두께의 도전층 부분 100 중량% 중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은 5 중량%를 초과한다.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onductive layer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 The conductive layer includes at least one metal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tungsten, and molybdenum. Hereinafter, a conductive layer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metal compon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may be referred to as a conductive layer X in some cases. The content of nickel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60 wt% or more.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5 nm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X in the thickness direction exceeds 5 wt%.

도전층 X는 기재 입자의 표면에 직접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고, 다른 도전층 등을 통해 기재 입자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전층 X의 표면 상에 다른 도전층이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전성 입자의 외표면이 도전층 X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층 X를 외표면에 갖는 도전성 입자에 의해 전극 사이를 접속함으로써, 접속 저항이 충분히 낮아진다.The conductive layer X may be directly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 or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 through another conductive layer or the like. Further, another conductive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X.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preferably the conductive layer X. By connecting the electrodes with the conductive particles having the conductive layer X on the outer surface, the connection resistance is sufficiently low.

전극 사이의 초기의 접속 저항을 효과적으로 낮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도전층 X의 전체 100 중량% 중의 상기 니켈의 함유량은 많을수록 좋다. 따라서, 상기 도전층 X의 전체 100 중량% 중 상기 니켈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65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75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85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이다. 상기 도전층 X의 전체 100 중량% 중 니켈의 함유량은 97 중량% 이상일 수도 있고, 97.5 중량% 이상일 수도 있고, 98 중량% 이상일 수도 있다.From the viewpoint of effectively lowering 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the content of the nickel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preferably as large as possible. Therefore, the content of the nickel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preferably 65 wt% or more, more preferably 70 wt%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75 wt%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80 wt% , Still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85 wt%, particularly preferably not less than 90 wt%, and most preferably not less than 95 wt%. The content of nickel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X may be 97 wt% or more, 97.5 wt% or more, or 98 wt% or more.

니켈의 함유량의 상한은 텅스텐, 몰리브덴 및 붕소 등의 함유량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 X의 전체 100 중량% 중의 니켈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99.85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9.7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9.45 중량% 미만이다. 상기 니켈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보다 한층 낮아진다. 또한, 전극이나 도전층의 표면에서의 산화 피막이 적은 경우에는 상기 니켈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The upper limit of the nickel content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ungsten, molybdenum, boron, and the like. The content of nickel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preferably 99.85 wt% or less, more preferably 99.7 wt%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less than 99.45 wt%. When the content of nickel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further lowered. Further, whe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or the conductive layer has a small amount of the oxide film,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tends to decrease as the content of nickel increases.

상기 도전층 X는 니켈 이외에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 적어도 1종의 금속 성분을 포함한다. 즉, 상기 도전층 X는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의 적어도 1종의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니켈-텅스텐/몰리브덴 도전층이다. 도전층 X에서는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 적어도 1종의 금속 성분이 합금화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도전층 X에서는 텅스텐 및 몰리브덴 이외에, 크롬, 시보르기움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conductive layer X includes at least one metal component selected from tungsten and molybdenum in addition to nickel. That is, the conductive layer X is a nickel-tungsten / molybdenum conductive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tungsten, and molybdenum. In the conductive layer X, nickel, at least one metal component of tungsten or molybdenum may be alloyed. In addition to tungsten and molybdenum, chromium and cyborgium may be used in the conductive layer X.

또한,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양쪽을 포함하지 않는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에서는 상기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양쪽을 포함하지 않는 니켈 도전층이 압축 초기 단계에서 경도가 비교적 낮아지기 쉽다. 이 때문에, 전극 사이의 접속시에, 전극 및 도전성 입자의 표면의 산화 피막을 배제하는 효과가 작아지고, 접속 저항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In the conductive particles having no conductive layer containing neither tungsten nor molybdenum, the nickel conductive layer containing neither tungsten nor molybdenum tends to have relatively low hardness at the initial stage of compression. Therefore, at the time of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s, the effect of excluding the oxide film on the surfaces of the electrodes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is reduced,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tends to be lowered.

한편으로, 접속 저항을 낮게 하는 효과를 보다 한층 얻기 위해서 또는 큰 전류가 흐르는 용도에 알맞도록,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양쪽을 포함하지 않는 니켈 도전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도전성 입자에 의해 접속 대상 부재 또는 기판이 흠이 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 결과,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의 전극 사이의 도통 신뢰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of the nickel electroconductive layer which does not include both tungsten and molybdenum is increased in order to further attain the effect of lowering the connection resistance or suitable for applications in which a large current flows, The substrate tends to be easily scratched.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conduction between the electrodes in the connection structure tends to be lowered.

이것에 대하여, 도전성 입자가 도전층 X를 가짐으로써,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효과적으로 낮아진다. 또한, 상기 도전층 X에 적절히 균열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다. 적절히 압축되었을 때에 균열이 발생함으로써 전극의 손상이 보다 한층 생기기 어려워지고, 따라서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보다 한층 낮아진다.On the other hand, by having the conductive particles X in the conductive particles,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effectively lowered. In addition, it is easy to cause the conductive layer X to have an appropriate crack. Cracks are generated when they are appropriately compressed, so that damage to the electrodes is less likely to occur, and thus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further lowered.

또한, 도전층 X는 적절한 경도를 갖기 때문에, 도전성 입자를 압축하여 전극 사이를 접속했을 때, 전극에 적절한 압흔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극에 형성되는 압흔은 도전성 입자가 전극을 눌러서 발생한 전극의 오목부이다.Further, since the conductive layer X has appropriate hardness,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compressed to connect the electrodes, an appropriate indentation can be formed on the electrode. The indentations formed on the electrodes are concave portions of the electrodes generated by pressing the electrodes with the conductive particles.

상기 도전층 X의 전체 100 중량% 중의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 함유량(금속 성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이다.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도전층의 외표면의 경도가 보다 한층 높아진다. 이 때문에, 전극이나 도전층의 표면에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전극 및 도전성 입자의 표면의 산화 피막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고, 접속 저항을 낮게 할 수 있으며, 얻어지는 접속 구조체의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도전층의 외표면의 자성이 약해지고, 복수의 도전성 입자가 응집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전극 사이의 단락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e content (me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preferably 0.01 wt% or more, more preferably 0.1 wt%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0.2 wt% or more More preferably at least 0.5% by weight,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1% by weight, particularly preferably at least 5% by weight and most preferably at least 10% by weight. When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exceeds the above lower limit, the hardnes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becomes higher. Therefore, when the oxide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or the conductive lay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eliminate the oxide film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and the conductive particle, to lower the connection resistance, and to increas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resulting connection structure . If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exceeds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the magnetic properti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become weak,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become difficult to aggregate. Therefore, the short circuit between the electrodes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상기 도전층 X의 전체 100 중량% 중의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의 상한은 니켈 및 붕소 등의 함유량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 X의 전체 100 중량% 중의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이다.The upper limit of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X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content of nickel, boron, and the like.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preferably 40 wt% or less, more preferably 30 wt% or less, further preferably 25 wt%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20 wt% By weight or less.

상기 도전층 X는 니켈 이외에 붕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층 X는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 적어도 1종과, 붕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전층 X는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 적어도 1종과 붕소를 포함하는 니켈-텅스텐/몰리브덴-붕소 도전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층 X에서는 니켈과 붕소가 합금화하고 있을 수도 있고,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 적어도 1종과 붕소가 합금화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전층 X에서는 텅스텐, 몰리브덴 및 붕소 이외에, 크롬, 시보르기움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conductive layer X preferably contains boron in addition to nickel. The conductive layer X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of nickel, tungsten, and molybdenum, and boron. That is, the conductive layer X is preferably a nickel-tungsten / molybdenum-boron conductive layer containing nickel, at least one of tungsten and molybdenum, and boron. In the conductive layer X, nickel and boron may be alloyed, or at least one of tungsten and molybdenum may be alloyed with boron. Further, in the conductive layer X, in addition to tungsten, molybdenum, and boron, chromium and cyborgium may be used.

또한, 붕소를 포함하지 않는 니켈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에서는 상기 붕소를 포함하지 않는 니켈 도전층이 압축 초기 단계에서 비교적 부드럽고, 전극 사이의 접속시에 전극 및 도전성 입자의 표면의 산화 피막을 배제하는 효과가 작아지고, 접속 저항을 낮게 하는 효과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도전층은 붕소가 아닌 인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니켈과 인을 포함하는 도전층을 갖는 도전성 입자에서는 전극 및 도전성 입자의 표면의 산화 피막을 배제하는 효과가 작아지고, 접속 저항을 낮게 하는 효과가 작아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Further, in the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nickel conductive layer not containing boron, the nickel conductive layer containing no boron is relatively soft in the initial stage of compression, and an oxide film on the surfaces of the electrodes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is eliminated at the time of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s The effect becomes smaller, and the effect of lowering the connection resistance tends to be smaller. Further, the conductive layer may contain phosphorus other than boron. In the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conductive layer containing nickel and phosphorus, the effect of excluding the oxide film on the surfaces of the electrodes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is reduced, and the effect of lowering the connection resistance tends to become smaller.

한편으로, 접속 저항을 낮게 하는 효과를 보다 한층 얻기 위해서 또는 큰 전류가 흐르는 용도에 알맞도록, 붕소를 포함하지 않는 도전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니켈과 인을 포함하는 도전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도전성 입자에 의해 접속 대상 부재 또는 기판이 흠이 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 결과,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의 전극 사이의 도통 신뢰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urther attain the effect of lowering the connection resistance or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containing no boron or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containing nickel and phosphorus , The member to be connected or the substrate tends to be easily scratched by the conductive particles.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conduction between the electrodes in the connection structure tends to be lowered.

이것에 대하여, 상기 도전층 X가 붕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전층이 적절한 경도를 갖기 때문에, 전극의 손상이 보다 한층 생기기 어려워지고, 따라서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보다 한층 낮아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ductive layer X contains boron, since the conductive layer has appropriate hardness, damage to the electrode is less likely to occur, and thus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further reduced.

또한, 상기 도전층 X가 니켈-텅스텐/몰리브덴-붕소 도전층인 경우에는 상기 니켈-텅스텐/몰리브덴-붕소 도전층은 적절한 경도를 갖기 때문에, 도전성 입자를 압축하여 전극 사이를 접속했을 때, 전극에 적절한 압흔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극에 형성되는 압흔은 도전성 입자가 전극을 눌러서 발생한 전극의 오목부이다.When the conductive layer X is a nickel-tungsten / molybdenum-boron conductive layer, the nickel-tungsten / molybdenum-boron conductive layer has appropriate hardness. Therefore,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compressed to connect the electrodes, An appropriate indentation can be formed. The indentations formed on the electrodes are concave portions of the electrodes generated by pressing the electrodes with the conductive particles.

상기 도전층 X의 전체 100 중량% 중 붕소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하이다. 붕소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도전층 X가 보다 한층 딱딱해지고, 전극 및 도전성 입자의 표면의 산화 피막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보다 한층 낮아진다. 붕소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니켈, 텅스텐 및 몰리브덴 등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기 때문에,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보다 한층 낮아진다.The content of boron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preferably 0.01 wt% or more, more preferably 0.05 wt% or more, further preferably 0.1 wt% or more, preferably 5 wt% By weight, preferably not more than 4% by weight,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3% by weight, particularly preferably not more than 2.5% by weight, most preferably not more than 2% by weight. If the boron content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the conductive layer X becomes harder, and the oxide film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can be removed more effectively,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further lowered. If the content of boron is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the content of nickel, tungsten, molybdenum and the like becomes relatively large, so that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further lowered.

또한, 상기 도전층 X가 붕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도전층이 상당히 딱딱해진 결과, 도전성 입자에 의해 전극 사이를 접속한 접속 구조체에 충격이 주어지더라도 도통 불량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즉, 접속 구조체의 내충격성을 높일 수도 있다.Further, since the conductive layer X contains boron, the conductive layer is considerably hardened, so that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s are connected by the conductive particles, the conduction defect is less likely to occur. That is,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connection structure can be increased.

또한, 니켈과 붕소를 포함하는 상기 도전층의 표면의 자성은 높고, 전극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경우에, 자성에 의해 응집한 도전성 입자의 영향으로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극 사이가 접속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상기 도전층 X가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 적어도 1종과 붕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도전층 X의 표면의 자성이 상당히 낮아진다. 이 때문에, 복수의 도전성 입자가 응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경우에, 응집한 도전성 입자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극 사이가 접속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인접하는 전극 사이의 단락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including nickel and boron has a high magnetic property and tends to be easily connected to adjacent electro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gglomerated by magnetism when the electrod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Since the conductive layer X contains at least one of nickel, tungsten, and molybdenum and bor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X are significantly lowered. Therefore, aggregation of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can be suppressed. Therefore, when the electrod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nnection between the adjacent electro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due to the agglomerated conductive particles. That is,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adjacent electrodes.

상기 도전층 X는 인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도전층 X는 인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 X의 전체 100 중량% 중의 인의 함유량이 0.5 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층 X의 전체 100 중량% 중 인의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하이다. 상기 도전층 X는 인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uctive layer X does not contain phosphorus or that the conductive layer X includes phosphorus and the content of phosphorus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less than 0.5 wt%. The content of phosphorus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more preferably 0.3 wt%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0.1 wt% or less.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conductive layer X does not contain phosphorus.

상기 도전층 X에서의 니켈, 텅스텐, 몰리브덴, 붕소 및 인의 각 함유량의 측정 방법은 기지의 다양한 분석법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측정 방법으로서, 흡광 분석법 또는 스펙트럼 분석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흡광 분석법에서는 프레임 흡광 광도계 및 전기 가열로 흡광 광도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펙트럼 분석법으로서는 플라즈마 발광 분석법 및 플라즈마 이온원 질량 분석법 등을 들 수 있다.Various methods of measuring the respective contents of nickel, tungsten, molybdenum, boron and phosphorus in the conductive layer X can be used,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the above measuring method, there can be mentioned an absorption analysis method or a spectrum analysis method. In the absorption analysis method, a frame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d an electric heating spectrophotometer can be used. Examples of the spectrum analysis include plasma emission analysis and plasma ion mass spectrometry.

상기 도전층 X에서의 니켈, 텅스텐, 몰리브덴, 붕소 및 인의 각 함유량을 측정할 때에는 ICP 발광 분석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CP 발광 분석 장치의 시판품으로서는 호리바사 제조의 ICP 발광 분석 장치 등을 들 수 있다.When measuring the content of nickel, tungsten, molybdenum, boron and phosphorus in the conductive layer X, it is preferable to use an ICP emission spectrometer.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the ICP emission spectrometer include ICP emission spectrometers manufactured by Horiba.

상기 도전층 X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니켈, 텅스텐, 몰리브덴, 붕소 및 인의 각 함유량을 측정할 때에는 FE-TEM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E-TEM 장치의 시판품으로서는 니혼 덴시사 제조의 JEM-2010 등을 들 수 있다.An FE-TEM device is preferably used when measuring the respective contents of nickel, tungsten, molybdenum, boron and phosphoru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uctive layer X. As a commercial product of the FE-TEM device, JEM-2010 manufactured by Nihon Denshi Co., Ltd.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상기 다른 도전층(제2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금, 은, 구리, 팔라듐, 백금, 아연, 철, 주석, 납, 알루미늄, 코발트, 인듐, 니켈, 크롬, 티탄, 안티몬, 비스무스, 탈륨, 게르마늄, 카드뮴, 규소, 텅스텐, 몰리브덴 및 이들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으로서는 주석 도핑 산화인듐(ITO) 및 땜납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보다 한층 낮아지기 때문에, 주석을 포함하는 합금, 니켈, 팔라듐, 구리 또는 금이 바람직하고, 니켈 또는 팔라듐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층을 구성하는 금속은 니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al for forming the other conductive layer (second conduct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xamples of the metal include gold, silver, copper, palladium, platinum, zinc, iron, tin, lead, aluminum, cobalt, indium, nickel, chromium, titanium, antimony, bismuth, thallium, germanium, cadmium, , Molybdenum, alloys thereof,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metal include indium tin oxide (ITO) and solder. Among them, an alloy containing tin, nickel, palladium, copper or gold is preferable, and nickel or palladium is more preferable because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further lowered. The metal constituting the conductive layer preferably includes nickel.

상기 기재 입자의 표면 상에 도전층(다른 도전층 및 도전층 X)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전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전해 도금에 의한 방법, 전기 도금에 의한 방법, 물리적 증착에 의한 방법, 및 금속 분말 또는 금속 분말과 결합제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기재 입자 또는 다른 도전층의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전층의 형성이 간편하기 때문에, 무전해 도금에 의한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리적 증착에 의한 방법으로서는 진공 증착, 이온 플레이팅 및 이온 스퍼터링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The method for forming the conductive layer (the other conductive layer and the conductive layer X)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a method for forming the conductive layer, for example, a method of electroless plating, a method of electroplating, a method of physical vapor deposition, and a method of forming a paste containing metal powder or metal powder and a binder, And a method of coating on the surface. Among them, the electroless plating method is preferable because the formation of the conductive layer is simple. Examples of the physical deposition method include vacuum deposition, ion plating and ion sputtering.

상기 도전성 입자의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1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6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6 ㎛ 이하이다. 도전성 입자의 입경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도전성 입자를 이용하여 전극 사이를 접속한 경우에, 도전성 입자와 전극과의 접촉 면적이 충분히 커지며, 도전층을 형성할 때에 응집한 도전성 입자가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전성 입자를 통해 접속된 전극 사이의 간격이 너무 커지지 않으며, 도전층이 기재 입자의 표면에서 박리되기 어려워진다.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preferably 0.11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0.5 占 퐉 or more, further preferably 0.51 占 퐉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1 占 퐉 or more, preferably 10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20 占Mu m or less, more preferably 5.6 mu m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3.6 mu m or less. Whe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and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the electrode becomes sufficiently large when the electrodes are connected using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formed, . Fur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onnected via the conductive particles is not excessively large, and the conductive layer becomes difficult to peel off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s.

상기 도전성 입자의 입경은 도전성 입자가 진구상인 경우에는 직경을 나타내고, 도전성 입자가 진구상이 아닌 경우에는 최대 직경을 나타낸다.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ndicates the diameter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spherical, and the maximum diameter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not spherical.

상기 도전층 X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0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이하이다. 상기 도전층 X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충분한 도전성이 얻어지며, 도전성 입자가 너무 딱딱해지지 않고, 전극 사이의 접속시에 도전성 입자가 충분히 변형된다.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preferably 0.005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0.01 占 퐉 or more, further preferably 0.05 占 퐉 or more, preferably 1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0.3 占 퐉 or less. Whe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and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sufficient conductivity is obtained,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not too hard,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sufficiently deformed at the time of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s.

도전층이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인 경우에, 도전층 X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이하이다. 상기 도전층 X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도전층 X에 의한 피복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충분히 낮아진다.In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layer is a laminate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preferably 0.001 m or more, more preferably 0.01 m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0.05 m or more, preferably 0.5 m or less Is not more than 0.3 mu m, and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1 mu m. If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and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the covering by the conductive layer X can be made uniform,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becomes sufficiently low.

도전층이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인 경우에, 도전층 전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0.3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이하이다. 상기 도전층 전체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도전층 전체에 의한 피복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이 충분히 낮아진다.When the conductive layer is a laminate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the thickness of the entire conductive layer is preferably 0.001 m or more, more preferably 0.01 m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0.05 m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0.1 m or more Is not more than 1 mu m,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5 mu m, still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3 mu m, further preferably not more than 0.1 mu m. When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and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the covering by the whole conductive layer can be made uniform,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becomes sufficiently low.

상기 도전층 X의 두께는 0.05 ㎛ 이상, 0.3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입자의 입경이 0.1 ㎛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5 ㎛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며, 상기 도전층 X의 두께가 0.05 ㎛ 이상, 0.3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층 전체의 두께는 0.05 ㎛ 이상, 0.3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입자의 입경이 0.1 ㎛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5 ㎛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며, 상기 도전층 전체의 두께가 0.05 ㎛ 이상, 0.3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경우에는 도전성 입자를 큰 전류가 흐르는 용도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입자를 압축하여 전극 사이를 접속한 경우에, 전극이 손상되는 것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particularly preferably 0.05 mu m or more and 0.3 mu m or less.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0.5 占 퐉,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2 占 퐉) and not more than 5 占 퐉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3 占 퐉), and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X is 0.05 Mu] m or more and 0.3 [mu] m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entire conductive layer is particularly preferably 0.05 mu m or more and 0.3 mu m or less.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0.5 占 퐉, and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2 占 퐉) and not more than 5 占 퐉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3 占 퐉),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is 0.05 Mu] m or more and 0.3 [mu] m or less. In these cases, the conductive particles can be suitably used depending on applications in which large current flows. In addition,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compressed to connect the electrodes, it is possible to further suppress damage to the electrodes.

상기 도전층 X의 두께 및 상기 도전층 전체의 두께는, 예를 들면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을 이용하여, 도전성 입자의 단면을 관찰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X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can be measured by observing the cross section of the conductive particles using, for example,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상기 도전층 X에서의 니켈, 텅스텐, 몰리브덴 및 붕소의 각 함유량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 도전층 X를 형성할 때에 니켈 도금액의 pH를 제어하는 방법,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 도전층 X를 형성할 때에 붕소 함유 환원제의 농도를 조정하는 방법, 니켈 도금액 중의 텅스텐 농도를 조정하는 방법, 니켈 도금액 중의 몰리브덴 농도를 조정하는 방법, 및 니켈 도금액 중의 니켈염 농도를 조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contents of nickel, tungsten, molybdenum and boron in the conductive layer X includ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H of the nickel plating solution when forming the conductive layer X by electroless nickel plat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boron-containing reducing agent when forming the conductive layer X by plat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ungsten in the nickel plating solution, a method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molybdenum in the nickel plating solution and a method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nickel salt in the nickel plating solution And the like.

또한, 도전층 X에서의 니켈, 텅스텐, 몰리브덴 또는 붕소가 농도 경사를 갖도록 하는 방법으로서는, 무전해 니켈 도금의 형성 시기에 따라 니켈, 텅스텐, 몰리브덴 또는 붕소를 포함하는 배합 성분의 배합량을 조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of making the concentration gradient of nickel, tungsten, molybdenum or boron in the conductive layer X, there is a method of adjusting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compounding component including nickel, tungsten, molybdenum or boron depending on the formation time of the electroless nickel plating And the like.

무전해 도금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촉매화 공정과, 무전해 도금 공정이 행해진다. 이하, 무전해 도금에 의해,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 적어도 1종과 붕소를 포함하는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As a method of forming by electroless plating, generally a catalytic process and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are performed. An example of a method of forming an alloy plating layer containing nickel, at least one of tungsten and molybdenum, and boron on the surface of resin particles by electroless plating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촉매화 공정에서는 무전해 도금에 의해 도금층을 형성하기 위한 기점이 되는 촉매를 수지 입자의 표면에 형성시킨다.In the catalytic process, a catalyst serving as a starting point for forming a plating layer by electroless plating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상기 촉매를 수지 입자의 표면에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팔라듐과 염화주석을 포함하는 용액에 수지 입자를 첨가한 후, 산 용액 또는 알칼리 용액에 의해 수지 입자의 표면을 활성화시켜, 수지 입자의 표면에 팔라듐을 석출시키는 방법, 및 황산팔라듐과 아미노피리딘을 함유하는 용액에 수지 입자를 첨가한 후, 환원제를 포함하는 용액에 의해 수지 입자의 표면을 활성화시켜, 수지 입자의 표면에 팔라듐을 석출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환원제로서, 붕소 함유 환원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단, 상기 환원제로서, 차아인산나트륨 등의 인 함유 환원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As a method for forming the catalyst o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for example, resin particles are added to a solution containing palladium chloride and tin chloride,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is activated by an acid solution or an alkali solution, And a method in which resin particles are added to a solution containing palladium sulfate and aminopyridine and the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is activated by a solution containing a reducing agent to precipitate palladium o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And the like. As the reducing agent, a boron-containing reducing agent is preferably used. However, a phosphorus-containing reducing agent such as sodium hypophosphite may be used as the reducing agent.

상기 무전해 도금 공정에서는 니켈염과, 텅스텐 함유 화합물 및 몰리브덴 함유 화합물 중 적어도 1종과, 상기 붕소 함유 환원제를 포함하는 니켈 도금욕이 이용된다. 니켈 도금욕 중에 수지 입자를 침지함으로써, 촉매가 표면에 형성된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을 석출시킬 수 있고,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 적어도 1종과 붕소를 포함하는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electroless plating step, a nickel plating bath containing nickel salt, at least one of a tungsten-containing compound and a molybdenum-containing compound, and the boron-containing reducing agent is used. By immersing the resin particles in the nickel plating bath, nickel can be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talyst, and a conductive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nickel, tungsten, and molybdenum and boron can be formed.

상기 텅스텐 함유 화합물로서는 붕화텅스텐 및 텅스텐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tungsten-containing compound include tungsten boride and sodium tungstate.

상기 몰리브덴 함유 화합물로서는 붕화 몰리브덴 및 몰리브덴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olybdenum-containing compound include molybdenum boride and sodium molybdate.

상기 붕소 함유 환원제로서는 디메틸아민보란, 수소화붕소나트륨 및 수소화붕소칼륨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boron-containing reducing agent include dimethylamine borane, sodium borohydride, and potassium borohydride.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는 표면에 돌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층은 외표면에 돌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입자에 의해 접속되는 전극의 표면에는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도전성 입자의 도전층의 표면에는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돌기를 갖는 도전성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전극 사이에 도전성 입자를 배치한 후 압착시킴으로써, 돌기에 의해 산화 피막이 효과적으로 배제된다. 이 때문에, 전극과 도전성 입자를 보다 한층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입자가 표면에 절연 물질을 갖는 경우, 또는 도전성 입자가 수지 중에 분산되어 도전 재료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도전성 입자의 돌기에 의해서 도전성 입자와 전극 사이의 절연 물질 또는 수지를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극 사이의 도통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ve projections on the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uctive layer has a projection on the outer surface. In many cases, an oxide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n electrode connected by conductive particles. In many cases, an oxide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By using the conductive particles having projections, conductive particles are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s and then pressed, whereby the oxide film is effectively removed by the projections. Therefore, the electrode and the conductive particle can be brought into contact more reliably,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an be reduced. Further,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have an insulating material on the surface or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resin and used as a conductive material, the insulating material or resin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the electrode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the protrusion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have. Therefore, the conduction reliability between the electrodes can be improved.

상기 돌기는 복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성 입자 1개당 상기 도전층의 외표면의 돌기는,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이다. 상기 돌기의 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돌기의 수의 상한은 도전성 입자의 입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ons are plural. The protrusio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per one conductive particle are preferably three or more, more preferably five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number of the projection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upper limit of the number of the projection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the like.

복수의 상기 돌기의 평균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0.0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 바람직하게는 0.9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하이다. 상기 돌기의 평균 높이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을 효과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The average height of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is preferably 0.001 m or more, more preferably 0.05 m or more, preferably 0.9 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2 m or less. When the average height of the projections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and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an be effectively lowered.

[코어 물질][Core material]

상기 코어 물질이 상기 도전층 중에 매입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도전층이 외표면에 복수의 돌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다. 단, 도전성 입자 및 도전층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기 위해서, 코어 물질을 반드시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Since the core material is embedded in the conductive layer, it is easy for the conductive layer to have a plurality of projections on the outer surface. However, in order to form projections on the surface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the conductive layer, the core material may not necessarily be used.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기재 입자의 표면에 코어 물질을 부착시킨 후, 무전해 도금에 의해 도전층을 형성하는 방법, 및 기재 입자의 표면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도전층을 형성한 후, 코어 물질을 부착시켜, 추가로 무전해 도금에 의해 도전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od of forming the projections include a method in which a core material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base particles and then a conductive layer is formed by electroless plating and a method in which a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base particles by electroless plating, A method in which a substance is adhered and a conductive layer is further formed by electroless plating.

상기 기재 입자의 표면 상에 코어 물질을 배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재 입자의 분산액 중에 코어 물질을 첨가하고, 기재 입자의 표면에 코어 물질을 예를 들면 반데르발스력에 의해 집적시켜 부착시키는 방법, 및 기재 입자를 넣은 용기에 코어 물질을 첨가하여, 용기의 회전 등에 의한 기계적인 작용에 의해 기재 입자의 표면에 코어 물질을 부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부착시키는 코어 물질의 양을 제어하기 쉽기 때문에, 분산액 중의 기재 입자의 표면에 코어 물질을 집적시켜 부착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ethod for disposing the core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s include a method in which a core material is added to a dispersion of the base particles and the core material is accumulated and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s by Van der Waals force A method in which a core material is added to a container containing base particles and a core material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s by a mechanical action by rotating the container or the like. Among them, a method of integrating and adhering the core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icles in the dispersion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asy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core material to be adhered.

상기 코어 물질을 구성하는 물질로서는 도전성 물질 및 비도전성 물질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금속의 산화물, 흑연 등의 도전성 비금속 및 도전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중합체로서는 폴리아세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도전성 물질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티탄산바륨 및 지르코니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전성을 높일 수 있고, 추가로 접속 저항을 효과적으로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금속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 물질은 금속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core material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and a non-conductive material. Examples of the conductive material include metals, oxides of metals, conductive nonmetals such as graphite, and conductive polymers. Examples of the conductive polymer include polyacetylene. Examples of the non-conductive material include silica, alumina, barium titanate, and zirconia. Among them, a metal is preferable because the conductivity can be increased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can be further effectively lowered. The core material is preferably a metal particle.

상기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금, 은, 구리, 백금, 아연, 철, 납, 주석, 알루미늄, 코발트, 인듐, 니켈, 크롬, 티탄, 안티몬, 비스무스, 게르마늄 및 카드뮴 등의 금속, 및 주석-납 합금, 주석-구리 합금, 주석-은 합금, 주석-납-은 합금 및 탄화텅스텐 등의 2종 이상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니켈, 구리, 은 또는 금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 물질을 구성하는 금속은 상기 도전층을 구성하는 금속과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코어 물질을 구성하는 금속은 상기 도전층을 구성하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 물질을 구성하는 금속은 니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 물질을 구성하는 금속은 니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etal include metals such as gold, silver, copper, platinum, zinc, iron, lead, tin, aluminum, cobalt, indium, nickel, chromium, titanium, antimony, bismuth, germanium and cadmium, Alloys, tin-copper alloys, tin-silver alloys, tin-lead-silver alloys, and alloys composed of two or more metals such as tungsten carbide. Among them, nickel, copper, silver or gold is preferable. The metal constituting the core material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metal constituting the conductive layer. The metal constituting the core material preferably includes a metal constituting the conductive layer. The metal constituting the core material preferably includes nickel. The metal constituting the core material preferably includes nickel.

상기 코어 물질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코어 물질의 형상은 덩어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입자상의 덩어리, 복수의 미소 입자가 응집한 응집 덩어리, 및 부정형의 덩어리 등을 들 수 있다. The shape of the cor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shape of the core material is preferably agglomerated. Examples of the core material include a lump of particles, an agglomerated mass agglomerated by a plurality of minute particles, and a lump of an irregular shape.

상기 코어 물질의 평균 직경(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0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 바람직하게는 0.9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하이다. 상기 코어 물질의 평균 직경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을 효과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The average diamet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re material is preferably 0.001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0.05 占 퐉 or more, preferably 0.9 占 퐉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2 占 퐉 or less. Whe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core material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and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an be effectively lowered.

상기 코어 물질의 「평균 직경(평균 입경)」은 수 평균 직경(수 평균 입경)을 나타낸다. 코어 물질의 평균 직경은 임의의 코어 물질 50개를 전자 현미경 또는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평균치를 산출함으로써 구해진다.The " average diameter (average particle diameter) " of the core material represents a number average diameter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The average diameter of the core material is obtained by observing 50 of any core material with an electron microscope or an optical microscope to calculate an average value.

상기 코어 물질의 표면 상에 무기 입자가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코어 물질의 표면 상에 배치된 무기 입자는 복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물질의 표면에 무기 입자가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무기 입자와 코어 물질을 구비하는 복합 입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무기 입자의 크기(평균 직경)는 코어 물질의 크기(평균 직경)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무기 입자는 무기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inorganic particle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is plural. An inorganic particle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Composite particles having such an inorganic particle and a core material may be used. The size (average diameter)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size (average diameter) of the core material, and the inorganic particles are preferably inorganic fine particles.

상기 코어 물질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무기 입자의 재료로서는 실리카(이산화규소, 모스 경도 6 내지 7), 지르코니아(모스 경도 8 내지 9), 알루미나(모스 경도 9), 탄화텅스텐(모스 경도 9) 및 다이아몬드(모스 경도 1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실리카,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탄화텅스텐 또는 다이아몬드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리카,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또는 다이아몬드인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입자의 모스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이다. 상기 무기 입자의 모스 경도는 상기 도전층의 모스 경도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입자의 모스 경도는 상기 제2 도전층의 모스 경도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입자의 모스 경도와 상기 도전층의 모스 경도의 차의 절대치, 및 상기 무기 입자의 모스 경도와 상기 제2 도전층의 모스 경도의 차의 절대치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다. 또한, 도전층이 복수의 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층을 구성하는 모든 금속보다도 무기 입자가 딱딱한 쪽이, 접속 저항의 감소 효과가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된다.(MoS hardness of 9 to 9), tungsten carbide (MoS hardness of 9), alumina (Mohs hardness of 9 to 9), zirconia (Moh's hardness of 8 to 9) And diamond (Mohs hardness 10). The inorganic particles are preferably silica, zirconia, alumina, tungsten carbide or diamond, and silica, zirconia, alumina or diamond is also preferable. The Mohs hardness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preferably 5 or more, and more preferably 6 or more. The Mohs hardness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Mohs hardness of the conductive layer. The Mohs hardness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Mohs hardness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hs hardness of the inorganic particles and the Mohs hardness of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hs hardness of the inorganic particles and the Mohs hardness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preferably 0.1 or more, 0.2 or more, more preferably 0.5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1 or more. Whe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nection resistance is more effectively exhibited whe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harder than all the metals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layers.

상기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00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하이다. 상기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을 효과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preferably 0.0001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0.005 占 퐉 or more, preferably 0.5 占 퐉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1 占 퐉 or less.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and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an be effectively lowered.

상기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수 평균 입경을 나타낸다.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임의의 무기 입자 50개를 전자 현미경 또는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평균치를 산출함으로써 구해진다.The " average particle diameter "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dicates the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obtained by observing 50 arbitrary inorganic particles with an electron microscope or an optical microscope and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상기 코어 물질의 표면 상에 무기 입자가 배치되어 있는 복합 입자를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복합 입자의 평균 직경(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0012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2 ㎛ 이상, 바람직하게는 1.9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이하이다. 상기 복합 입자의 평균 직경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을 효과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composite particles in which the inorganic particles ar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the average diamet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mposite particles is preferably 0.0012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0.0502 占 퐉 or more, Mu 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2 mu m or less. Whe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composite particles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and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an be effectively lowered.

상기 복합 입자의 「평균 직경(평균 입경)」은 수 평균 직경(수 평균 입경)을 나타낸다. 상기 복합 입자의 평균 직경은 임의의 복합 입자 50개를 전자 현미경 또는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평균치를 산출함으로써 구해진다.The " mean diameter (average particle diameter) " of the composite particles represents the number average diameter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The average diameter of the composite particles is determined by observing 50 arbitrary composite particles with an electron microscope or an optical microscope and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절연 물질][Insulating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입자는 상기 도전층의 표면 상에 배치된 절연 물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도전성 입자를 전극 사이의 접속에 이용하면, 인접하는 전극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가 접촉했을 때에, 복수의 전극 사이에 절연 물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하의 전극 사이가 아닌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극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사이의 접속시에, 2개의 전극으로 도전성 입자를 가압함으로써, 도전성 입자의 도전층과 전극 사이의 절연 물질을 용이하게 배제할 수 있다. 도전성 입자가 도전층의 외표면에 복수의 돌기를 갖기 때문에, 도전성 입자의 도전층과 전극 사이의 절연 물질을 용이하게 배제할 수 있다.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In this case, if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us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s, a short circuit between the adjacent electrodes can be prevented. Specifically, when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 insulating material exists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so that a short circuit can be prevented between the adjacent electro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no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Further, at the time of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s, the conductive particle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can be easily excluded from the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electrodes by pressing the conductive particles with the two electrodes. Since the conductive particles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the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conductive lay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the electrode can be easily removed.

전극 사이의 압착시에 상기 절연 물질을 보다 한층 용이하게 배제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절연 물질은 절연성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sulating material is an insulating particle since the insulating material can be more easily removed at the time of pressing between the electrodes.

상기 절연 물질의 재료인 절연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올레핀류,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블록 중합체, 열가소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의 가교물, 열경화성 수지 및 수용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insulating resin as a material of the insulating material include polyolefins, (meth) acrylate polymers, (meth) acrylate copolymers, block polymers, crosslinked products of thermoplastic resins, thermoplastic resins, thermosetting resins and water- have.

상기 폴리올레핀류로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블록 중합체로서는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SB형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SBS형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비닐 중합체 및 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및 멜라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옥시드 및 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용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알코올이 보다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polyolefins include polyethylen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d ethylene-acrylic acid ester copolymer. 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polymer include polymethyl (meth) acrylate, polyethyl (meth) acrylate, and polybutyl (meth) acrylate. Examples of the block polymer include polystyrene, styrene-acrylic acid ester copolymer, SB-type styrene-butadiene block copolymer, SBS-type styrene-butadiene block copolymer, and hydrogenated products thereof.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vinyl polymers and vinyl copolymers. Examples of the thermosetting resin include an epoxy resin, a phenol resin, and a melamine resin. Examples of the water-soluble resin include polyvinyl alcohol, polyacrylic acid, polyacrylamide, polyvinylpyrrolidone, polyethylene oxide, methylcellulose and the like. Among them, a water-soluble resin is preferable, and polyvinyl alcohol is more preferable.

상기 도전층의 표면 상에 절연 물질을 배치하는 방법으로서는 화학적 방법, 및 물리적 또는 기계적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적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계면 중합법, 입자 존재하에서의 현탁 중합법 및 유화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리적 또는 기계적 방법으로서는 스프레이 드라이, 혼성화, 정전 부착법, 분무법, 디핑 및 진공 증착에 의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절연 물질이 탈리하기 어려운 점에서, 상기 도전층의 표면에 화학 결합을 통해 상기 절연 물질을 배치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Methods for disposing the insulating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include a chemical method and a physical or mechanical method. Examples of the chemical method include an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 a suspension polymerization method in the presence of particles, and an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Examples of physical or mechanical methods include spray drying, hybridization, electrostatic deposition, spraying, dipping, and vacuum deposition. Among them, a method of disposing the insulating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through chemical bonding is preferable in that the insulating material is difficult to desorb.

상기 절연 물질의 평균 직경(평균 입경)은 도전성 입자의 입경 및 도전성 입자의 용도 등에 의해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절연 물질의 평균 직경(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00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이다. 절연 물질의 평균 직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도전성 입자가 결합제 수지 중에 분산되었을 때에, 복수의 도전성 입자에 있어서의 도전층끼리가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절연성 입자의 평균 직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전극 사이의 접속시에, 전극과 도전성 입자 사이의 절연 물질을 배제하기 위해서, 압력을 지나치게 높일 필요가 없어지고, 고온으로 가열할 필요도 없어진다.The average diamet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sulating material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the us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he average diamet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sulating material is preferably 0.005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0.01 占 퐉 or more, preferably 1 占 퐉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5 占 퐉 or less. Whe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insulating material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the conductive layers i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are less likely to contact each other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binder resin. Whe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insulating particles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it is not necessary to excessively increase the pressure in order to exclude the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electrodes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at the time of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s, and it is unnecessary to heat the electrodes at a high temperature.

상기 절연 물질의 「평균 직경(평균 입경)」은 수 평균 직경(수 평균 입경)을 나타낸다. 절연 물질의 평균 직경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등을 이용하여 구해진다.The " average diameter (average particle diameter) " of the insulating material indicates a number average diameter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The average diameter of the insulating material is obtained by us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ing device or the like.

(도전 재료)(Conductiv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도전 재료는 상술한 도전성 입자와 결합제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성 입자는 결합제 수지 중에 분산되어, 도전 재료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 재료는 이방성 도전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duc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nductive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preferably dispersed in the binder resin and used as a condu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is preferably an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상기 결합제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결합제 수지로서, 공지된 절연성의 수지가 이용된다.The binder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the binder resin, a known insulating resin is used.

상기 결합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 수지, 열가소성 수지, 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블록 공중합체 및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결합제 수지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binder resin include a vinyl resin, a thermoplastic resin, a curable resin, a thermoplastic block copolymer and an elastomer. The binder resin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비닐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스티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성 수지는 상온 경화형 수지, 열 경화형 수지, 광 경화형 수지 또는 습기 경화형 수지일 수도 있다. 상기 경화성 수지는 경화제와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열가소성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vinyl resin include vinyl acetate resin, acrylic resin and styrene resin.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a polyolefin resin,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d a polyamide resin. Examples of the curable resin include an epoxy resin, a urethane resin, a polyimide resin and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The curable resin may be a room temperature curable resin, a thermosetting resin, a photo-curable resin or a moisture-curable resin. The curable resi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curing agent.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block copolymer includ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 hydrogenation product of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and styrene-isoprene- Hydrogenated products,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elastomer include styrene-butadiene copolymer rubber, and acrylonitrile-styrene block copolymer rubber.

상기 도전 재료는 상기 도전성 입자 및 상기 결합제 수지 이외에, 예를 들면 충전제, 증량제, 연화제, 가소제, 중합 촉매, 경화 촉매, 착색제,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윤활제, 대전 방지제 및 난연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the binder resin, a filler, an extender, a softener, a plasticizer, a polymerization catalyst, a curing catalyst, a colorant, an antioxidant, a heat stabilizer, a light stabil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nd the like.

상기 결합제 수지 중에 상기 도전성 입자를 분산시키는 방법은 종래 공지된 분산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결합제 수지 중에 상기 도전성 입자를 분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결합제 수지 중에 상기 도전성 입자를 첨가한 후, 플라네터리 믹서 등으로 혼련하여 분산시키는 방법, 상기 도전성 입자를 물 또는 유기 용제 중에 균질기 등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상기 결합제 수지 중에 첨가하고, 플라네터리 믹서 등으로 혼련하여 분산시키는 방법, 및 상기 결합제 수지를 물 또는 유기 용제 등으로 희석한 후, 상기 도전성 입자를 첨가하고, 플라네터리 믹서 등으로 혼련하여 분산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As the method of dispersing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binder resin, conventionally known dispersion methods can be used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Examples of the method for dispersing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binder resin include a method in which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added to the binder resin and then kneaded and dispersed with a planetary mixer or the like; a method in which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homogeneously dispersed in water or an organic solvent A method in which the binder resin is uniformly dispersed in a binder resin and then added to the binder resin and kneaded and dispersed by a planetary mixer or the like; and a method in which the binder resin is diluted with water or an organic solvent, Followed by kneading with a planetary mixer or the like and dispersing the mixture.

본 발명에 따른 도전 재료는 도전 페이스트 및 도전 필름 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 재료가 도전 필름인 경우에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도전 필름에,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필름이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도전 페이스트는 이방성 도전 페이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 필름은 이방성 도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duc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onductive paste and a conductive film. When the conduc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ductive film, a film not containing conductive particles may be laminated on the conductive film containing conductive particles. The conductive paste is preferably an anisotropic conductive paste. The conductive film is preferably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상기 도전 재료 100 중량% 중 상기 결합제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9.99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중량% 이하이다. 상기 결합제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전극 사이에 도전성 입자가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도전 재료에 의해 접속된 접속 대상 부재의 접속 신뢰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The content of the binder resin in 100 wt% of the conductive material is preferably 10 wt% or more, more preferably 30 wt%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50 wt%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70 wt% Is 99.99% by weight or less, and more preferably 99.9% by weight or less. When the content of the binder resin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and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efficiently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s, and the connection reliability of the connection target member connected by the conductive material is further enhanced.

상기 도전 재료 100 중량% 중 상기 도전성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다. 상기 도전성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전극 사이의 도통 신뢰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n 100 wt% of the conductive material is preferably 0.01 wt% or more, more preferably 0.1 wt% or more, preferably 40 wt% or less, more preferably 20 wt% or less, Is not more than 10% by weight. When 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and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the reliability of the conduction between the electrodes is further increased.

(접속 구조체)(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의 도전성 입자를 이용하여 또는 상기 도전성 입자와 결합제 수지를 포함하는 도전 재료를 이용하여, 접속 대상 부재를 접속함으로써, 접속 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The connection structure can be obtained by connecting the members to be connected using the conductive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by using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the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the binder resin.

상기 접속 구조체는 제1 접속 대상 부재와, 제2 접속 대상 부재와, 제1, 제2 접속 대상 부재를 접속하고 있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가 본 발명의 도전성 입자에 의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도전성 입자와 결합제 수지를 포함하는 도전 재료(이방성 도전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접속 구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입자가 이용된 경우에는 접속부 자체가 도전성 입자이다. 즉, 제1, 제2 접속 대상 부재가 도전성 입자에 의해 접속된다.Wherein the connection structure includes a first connection target member, a second connection target member,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arget members,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by the conductive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d is preferably a connection structure formed by a conductive material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or the like) including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In the case where conductive particles are used, the connection itself is a conductive particle.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arget members are connected by the conductive particles.

도 4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성 입자를 이용한 접속 구조체를 모식적으로 정면 단면도로 나타내었다.4 is a front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using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나타내는 접속 구조체 (51)은 제1 접속 대상 부재 (52)와, 제2 접속 대상 부재 (53)과, 제1, 제2 접속 대상 부재 (52,53)을 접속하고 있는 접속부 (54)를 구비한다. 접속부 (54)는 도전성 입자 (1)을 포함하는 도전 재료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도전성 입자 (1)은 도시의 편의상, 개략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The connection structure 51 shown in Fig. 4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54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object member 52, the second connection object member 53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object members 52 and 53 . The connecting portion 54 is formed by curing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the conductive particles 1. [ In Fig. 4, the conductive particles 1 are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제1 접속 대상 부재 (52)는 상면 (52a)(표면)에 복수의 전극 (52b)를 갖는다. 제2 접속 대상 부재 (53)은 하면 (53a)(표면)에 복수의 전극 (53b)를 갖는다. 전극 (52b)와 전극 (53b)가 1개 또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접속 대상 부재 (52,53)이 도전성 입자 (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first connection target member 52 has a plurality of electrodes 52b on its upper surface 52a (surface). The second connection target member 53 has a plurality of electrodes 53b on the lower surface 53a (surface). And the electrode 52b and the electrode 53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one or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1. [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arget members 52 and 53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onductive particles 1. [

상기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는 제1 접속 대상 부재와 제2 접속 대상 부재 사이에 상기 도전 재료를 배치하여 적층체를 얻은 후, 상기 적층체를 가열 및 가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ion struc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an example of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ion structure, there is a method of arrang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target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target member to obtain a laminate, and then heating and pressing the laminate.

상기 가압의 압력은 9.8×104 내지 4.9×106 Pa 정도이다. 상기 가열의 온도는 120 내지 220℃ 정도이다.The pressure of the pressurization is about 9.8 x 10 4 to 4.9 x 10 6 Pa.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is about 120 to 220 占 폚.

상기 접속 대상 부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반도체칩, 컨덴서 및 다이오드 등의 전자 부품, 및 인쇄 기판, 플렉시블 인쇄 기판 및 유리 기판 등의 회로 기판 등의 전자 부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속 대상 부재는 전자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성 입자는 전자 부품에 있어서의 전극의 전기적인 접속에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examples of the member to be connected include electronic parts such as semiconductor chips, condensers and diodes, and electronic parts such as printed boards, flexible printed boards and circuit boards such as glass boards. The connection target member is preferably an electronic component.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preferably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electrodes in an electronic component.

상기 접속 대상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전극으로서는 금 전극, 니켈 전극, 주석 전극, 알루미늄 전극, 구리 전극, 몰리브덴 전극 및 텅스텐 전극 등의 금속 전극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속 대상 부재가 플렉시블 인쇄 기판인 경우에는 상기 전극은 금 전극, 니켈 전극, 주석 전극 또는 구리 전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대상 부재가 유리 기판인 경우에는, 상기 전극은 알루미늄 전극, 구리 전극, 몰리브덴 전극 또는 텅스텐 전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극이 알루미늄 전극인 경우에는 알루미늄만으로 형성된 전극일 수도 있고, 금속 산화물층의 표면에 알루미늄층이 적층된 전극일 수도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층의 재료로서는 3가의 금속 원소가 도핑된 산화인듐 및 3가의 금속 원소가 도핑된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가의 금속 원소로서는 Sn, Al 및 Ga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electrode provided on the member to be connected include metal electrodes such as a gold electrode, a nickel electrode, a tin electrode, an aluminum electrode, a copper electrode, a molybdenum electrode, and a tungsten electrode. When the connection target member is a flexible printed board, the electrode is preferably a gold electrode, a nickel electrode, a tin electrode, or a copper electrode. When the connection target member is a glass substrate, the electrode is preferably an aluminum electrode, a copper electrode, a molybdenum electrode, or a tungsten electrode. When the electrode is an aluminum electrode, it may be an electrode formed only of aluminum, or an electrode in which an aluminum layer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oxide layer.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metal oxide layer include indium oxide doped with a trivalent metal element and zinc oxide doped with a trivalent metal element. Examples of the trivalent metal element include Sn, Al and Ga.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입경이 3.0 ㎛인 디비닐벤젠 공중합체 수지 입자(세키스이 가가꾸 고교사 제조 「마이크로펄 SP-203」)를 준비하였다.Divinylbenzene copolymer resin particles (Micropearl SP-203,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having a particle size of 3.0 占 퐉 were prepared.

팔라듐 촉매액을 5 중량% 포함하는 알칼리 용액 100 중량부에, 상기 수지 입자 10 중량부를, 초음파 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시킨 후, 용액을 여과함으로써, 수지 입자를 취출하였다. 이어서, 수지 입자를 디메틸아민보란 1 중량% 용액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수지 입자의 표면을 활성화시켰다. 표면이 활성화된 수지 입자를 충분히 수세한 후, 증류수 500 중량부에 가하여, 분산시킴으로써, 현탁액을 얻었다.1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particles were dispersed by using an ultrasonic dispersing machine in 100 parts by weight of an alkali solution containing 5% by weight of a palladium catalyst solution, and then the solution was filtered to take out the resin particles. Subsequently, the resin particles we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 1 wt% solution of dimethylamine borane to activate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The surface-activated resin particles were sufficiently washed with water and then added to 500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followed by dispersion to obtain a suspension.

또한, 황산니켈 0.23 mol/L, 디메틸아민보란 0.92 mol/L, 시트르산나트륨 0.5 mol/L 및 텅스텐산나트륨 0.01 mol/L을 포함하는 니켈 도금액(pH8.5)을 준비하였다. 얻어진 현탁액을 60℃에서 교반하면서, 상기 니켈 도금액을 현탁액에 서서히 적하하고, 무전해 도금 전기 공정을 행하였다.Further, a nickel plating solution (pH 8.5) containing 0.23 mol / L of nickel sulfate, 0.92 mol / L of dimethylamine borane, 0.5 mol / L of sodium citrate and 0.01 mol / L of sodium tungstate was prepared. While stirring the obtained suspension at 60 占 폚, the nickel plating solution was gradually dropped into the suspension, and an electroless plating electrical process was performed.

계속해서, 디메틸아민보란 0.92 mol/L, 텅스텐산나트륨 0.01 mol/L을 포함하는 도금액(pH11.0)을 서서히 적하하고, 무전해 도금 후기 공정을 행하였다. 그 후, 현탁액을 여과함으로써 입자를 취출하여 수세하고, 건조함으로써,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텅스텐-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Subsequently, a plating solution (pH 11.0) containing 0.92 mol / L of dimethylamine borane and 0.01 mol / L of sodium tungstate was slowly added dropwise to carry out a later electroless plating step. Thereafter, the suspension was filtered to take out the particles, washed with water and dried to obtain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nickel-tungsten-boron conductive layer (thickness: 0.1 mu m)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실시예 2)(Example 2)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텅스텐산나트륨 농도를 0.12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텅스텐-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sodium tungstate was changed to 0.12 mol / L in the electrical process and the latter process, the conductivity (in which the nickel-tungsten-boron conductive layer Particles were obtained.

(실시예 3)(Example 3)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텅스텐산나트륨 농도를 0.23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텅스텐-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sodium tungstate was changed to 0.23 mol / L in the electric process and the latter process, the conductivity (in which the nickel-tungsten-boron conductive layer Particles were obtained.

(실시예 4)(Example 4)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텅스텐산나트륨 농도를 0.35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텅스텐-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sodium tungstate was changed to 0.35 mol / L in the electric process and the latter process, the conductivity (in which the nickel-tungsten-boron conductive layer Particles were obtained.

(실시예 5)(Example 5)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디메틸아민보란 농도를 2.76 mol/L로 변경한 것, 및 텅스텐산나트륨 농도를 0.35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텅스텐-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dimethylamine borane was changed to 2.76 mol / L and the concentration of sodium tungstate was changed to 0.35 mol / L in the electric and late processes, nickel -Tungsten-boron condu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1 mu m).

(실시예 6)(Example 6)

(1) 팔라듐 부착 공정(1) palladium deposition process

입경이 5.0 ㎛인 디비닐벤젠 수지 입자(세키스이 가가꾸 고교사 제조 「마이크로펄 SP-205」)를 준비하였다. 이 수지 입자를 에칭하고, 수세하였다. 다음으로, 팔라듐 촉매를 8 중량% 포함하는 팔라듐 촉매화액 100 mL 중에 수지 입자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그 후, 여과하고, 세정하였다. pH6의 0.5 중량% 디메틸아민보란액에 수지 입자를 첨가하여, 팔라듐이 부착된 수지 입자를 얻었다.And a divinylbenzene resin particle (Micropearl SP-205,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u m was prepared. The resin particles were etched and washed with water. Next, resin particles were added to 100 mL of a palladium catalyzed solution containing 8 wt% of palladium catalyst and stirred. Thereafter, it was filtered and washed. Resin particles were added to a 0.5 wt% dimethylamine borane solution having a pH of 6 to obtain resin particles having palladium attached thereto.

(2) 코어 물질 부착 공정(2) Core material deposition process

팔라듐이 부착된 수지 입자를 이온 교환수 300 mL 중에서 3분간 교반하고, 분산시켜, 분산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금속 니켈 입자 슬러리(평균 입경 100 nm) 1 g을 3분간 걸쳐 상기 분산액에 첨가하여, 코어 물질이 부착된 수지 입자를 얻었다.The resin particles having palladium attached thereto were stirred and dispersed in 300 mL of ion-exchanged water for 3 minutes to obtain a dispersion. Subsequently, 1 g of metallic nickel particle slurry (average particle diameter 100 nm) was added to the above dispersion for 3 minutes to obtain resin particles having a core material attached thereto.

(3) 무전해 니켈 도금 공정(3) Electroless nickel plating process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텅스텐-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nickel-tungsten-boron conductive layer (thickness of 0.1 mu m)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were obtained.

(실시예 7)(Example 7)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텅스텐산나트륨 농도를 0.35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텅스텐-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sodium tungstate was changed to 0.35 mol / L in the electrical process and the latter process, conductivity (in which the thickness of 0.1 탆 of nickel-tungsten-boron conductive layer) Particles were obtained.

(실시예 8)(Example 8)

(1) 절연성 입자의 제조(1) Preparation of insulating particles

4구 세퍼러블 커버, 교반익, 삼방 코크, 냉각관 및 온도 프로브가 부착된 1000 mL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메타크릴산메틸 100 mmol과, N,N,N-트리메틸-N-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1 mmol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이염산염 1 mmol을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고형분율이 5 중량%가 되도록 이온 교환수에 칭취(秤取)한 후, 200 rpm에서 교반하여, 질소 분위기하 70℃에서 24시간 중합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동결 건조하여, 표면에 암모늄기를 갖고, 평균 입경 220 nm 및 CV값 10%의 절연성 입자를 얻었다.100 mmol of methyl methacrylate and 100 mmol of N, N, N-trimethyl-N-2-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were added to a 1000-mL separable flask equipped with a four-necked separable cover, stirrer, three-way cock, A monomer composition comprising 1 mmol of roile oxyethylammonium chloride and 1 mmol of 2,2'-azobis (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was weighed into ion-exchange water so that the solids content would be 5% by weight ), The mixture was stirred at 200 rpm, and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at 70 캜 for 24 hours in a nitrogen atmosphere.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the resultant was lyophilized to obtain insulating particles having an ammonium group on the surface and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20 nm and a CV value of 10%.

절연성 입자를 초음파 조사하에서 이온 교환수에 분산시켜, 절연성 입자의 10 중량% 수 분산액을 얻었다.The insulating particles were dispersed in ion-exchanged water under ultrasonic irradiation to obtain a 10 wt% aqueous dispersion of insulating particles.

실시예 6에서 얻어진 도전성 입자 10 g을 이온 교환수 500 mL에 분산시켜, 절연성 입자의 수 분산액 4 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3 ㎛의 메쉬 필터로 여과한 후, 추가로 메탄올로 세정하고, 건조하여, 절연성 입자가 부착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10 g of the conductive particles obtained in Example 6 were dispersed in 500 mL of ion-exchanged water, 4 g of an aqueous dispersion of insulating particles was added,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6 hours. The mixture was filtered with a 3 탆 mesh filter, then washed with methanol, and dried to obtain conductive particles having insulating particles adhered thereto.

주사 전자 현미경(SEM)에 의해 관찰한 바, 도전성 입자의 표면에 절연성 입자에 의한 피복층이 1층만 형성되어 있었다. 화상 해석에 의해 도전성 입자의 중심으로부터 2.5 ㎛의 면적에 대한 절연성 입자의 피복 면적(즉 절연성 입자의 입경의 투영 면적)을 산출한 바, 피복율은 30%였다.As a result of observation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only one coating layer composed of insulating particles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he coated area of the insulating particles (i.e., the projected area of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insulating particles) from the cen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o the area of 2.5 占 퐉 was calculated by image analysis, and the coating rate was 30%.

(실시예 9)(Example 9)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텅스텐산나트륨 농도를 0.46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텅스텐-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sodium tungstate was changed to 0.46 mol / L in the electrical process and the latter process, conductivity (in which the nickel-tungsten-boron conductive layer Particles were obtained.

(실시예 10)(Example 10)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디메틸아민보란 농도를 4.60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텅스텐-붕소 도전층(두께 약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A nickel-tungsten-boron conductive layer (thickness of about 0.1 mu m) wa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dimethylamine borane was changed to 4.60 mol / L in the electric and late processes Conductive particles were obtain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전기 공정에서, 니켈 도금액에 있어서의 디메틸아민보란 0.92 mol/L을, 차아인산나트륨 0.5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과 텅스텐과 인을 포함하는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electric process, nickel, tungsten and phosphorus were contain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92 mol / L of dimethylamine borane in the nickel plating solution was changed to 0.5 mol / L of sodium hypophosphite (Thickness: 0.1 mu m) wa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니켈 도금액에 있어서의 텅스텐산나트륨 0.01 mol/L을 이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과 붕소를 포함하는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01 mol / L of sodium tungstate in the nickel plating solution was not used in the electrical process and the later process, a conductive layer containing nickel and boron (having a thickness of 0.1 mu m ) Was disposed on the conductive particles.

(실시예 11)(Example 11)

입경이 3.0 ㎛인 디비닐벤젠 공중합체 수지 입자(세키스이 가가꾸 고교사 제조 「마이크로펄 SP-203」)를 준비하였다.Divinylbenzene copolymer resin particles (Micropearl SP-203,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having a particle size of 3.0 占 퐉 were prepared.

팔라듐 촉매액을 5 중량% 포함하는 알칼리 용액 100 중량부에, 상기 수지 입자 10 중량부를, 초음파 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시킨 후, 용액을 여과함으로써, 수지 입자를 취출하였다. 이어서, 수지 입자를 디메틸아민보란 1 중량% 용액 100 중량부에 첨가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을 활성화시켰다. 표면이 활성화된 수지 입자를 충분히 수세한 후, 증류수 500 중량부에 가하여 분산시킴으로써, 현탁액을 얻었다.1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particles were dispersed by using an ultrasonic dispersing machine in 100 parts by weight of an alkali solution containing 5% by weight of a palladium catalyst solution, and then the solution was filtered to take out the resin particles. Subsequently, the resin particles we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 1 wt% solution of dimethylamine borane to activate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The surface-activated resin particles were thoroughly washed with water and then added to 500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to disperse the suspension to obtain a suspension.

또한, 황산니켈 0.23 mol/L, 디메틸아민보란 0.92 mol/L, 시트르산나트륨 0.5 mol/L 및 몰리브덴산나트륨 0.01 mol/L을 포함하는 니켈 도금액(pH8.5)을 준비하였다.A nickel plating solution (pH 8.5) containing 0.23 mol / L of nickel sulfate, 0.92 mol / L of dimethylamine borane, 0.5 mol / L of sodium citrate and 0.01 mol / L of sodium molybdate was prepared.

얻어진 현탁액을 60℃에서 교반하면서, 상기 니켈 도금액을 현탁액에 서서히 적하하고, 무전해 도금 전기 공정을 행하였다.While stirring the obtained suspension at 60 占 폚, the nickel plating solution was gradually dropped into the suspension, and an electroless plating electrical process was performed.

계속해서, 디메틸아민보란 0.92 mol/L, 몰리브덴산나트륨 0.01 mol/L을 포함하는 도금액(pH11.0)을 서서히 적하하고, 무전해 도금 후기 공정을 행하였다. 그 후, 현탁액을 여과함으로써 입자를 취출하여 수세하고, 건조함으로써,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몰리브덴-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Subsequently, a plating solution (pH 11.0) containing 0.92 mol / L of dimethylamine borane and 0.01 mol / L of sodium molybdate was slowly added dropwise, and a later electroless plating step was carried out. Thereafter, the suspension was filtered to take out the particles, washed with water and dried to obtain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 nickel-molybdenum-boron conductive layer (thickness: 0.1 mu m)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실시예 12)(Example 12)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몰리브덴산나트륨 농도를 0.12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몰리브덴-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sodium molybdate was changed to 0.12 mol / L in the electric process and the latter process, a conductive (nickel-molybdenum-boron) Particles were obtained.

(실시예 13)(Example 13)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몰리브덴산나트륨 농도를 0.23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몰리브덴-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sodium molybdate concentration was changed to 0.23 mol / L in the electric and late processes, the conductive particles (0.1 m in thickness) in which the nickel-molybdenum-boron conductive layer Particles were obtained.

(실시예 14)(Example 14)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몰리브덴산나트륨 농도를 0.35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몰리브덴-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sodium molybdate was changed to 0.35 mol / L in the electrical process and the latter process, the conductivity (in which the nickel-molybdenum-boron conductive layer Particles were obtained.

(실시예 15)(Example 15)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디메틸아민보란 농도를 2.76 mol/L로 변경한 것, 및 몰리브덴산나트륨 농도를 0.35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몰리브덴-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dimethylamine borane was changed to 2.76 mol / L and the concentration of sodium molybdate was changed to 0.35 mol / L in the electric and late processes, nickel -Molybdenum-boron condu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1 mu m) was disposed.

(실시예 16)(Example 16)

(1) 팔라듐 부착 공정(1) palladium deposition process

입경이 5.0 ㎛인 디비닐벤젠 수지 입자(세키스이 가가꾸 고교사 제조 「마이크로펄 SP-205」)를 준비하였다. 이 수지 입자를 에칭하고, 수세하였다. 다음으로, 팔라듐 촉매를 8 중량% 포함하는 팔라듐 촉매화액 100 mL 중에 수지 입자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그 후, 여과하고, 세정하였다. pH6의 0.5 중량% 디메틸아민보란액에 수지 입자를 첨가하여, 팔라듐이 부착된 수지 입자를 얻었다.And a divinylbenzene resin particle (Micropearl SP-205,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having a particle size of 5.0 mu m was prepared. The resin particles were etched and washed with water. Next, resin particles were added to 100 mL of a palladium catalyzed solution containing 8 wt% of palladium catalyst and stirred. Thereafter, it was filtered and washed. Resin particles were added to a 0.5 wt% dimethylamine borane solution having a pH of 6 to obtain resin particles having palladium attached thereto.

(2) 코어 물질 부착 공정(2) Core material deposition process

팔라듐이 부착된 수지 입자를 이온 교환수 300 mL 중에서 3분간 교반하고, 분산시켜, 분산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금속 니켈 입자 슬러리(평균 입경 100 nm) 1 g을 3분간에 걸쳐 상기 분산액에 첨가하여, 코어 물질이 부착된 수지 입자를 얻었다.The resin particles having palladium attached thereto were stirred and dispersed in 300 mL of ion-exchanged water for 3 minutes to obtain a dispersion. Next, 1 g of a metallic nickel particle slurry (average particle diameter 100 nm) was added to the above dispersion for 3 minutes to obtain a resin particle having a core material attached thereto.

(3) 무전해 니켈 도금 공정(3) Electroless nickel plating process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몰리브덴-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Conductive particles in which a nickel-molybdenum-boron conductive layer (thickness: 0.1 mu m) wa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실시예 17)(Example 17)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몰리브덴산나트륨 농도를 0.35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몰리브덴-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6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sodium molybdate was changed to 0.35 mol / L in the electrical process and the latter process, the conductivity (in which the nickel-molybdenum-boron conductive layer Particles were obtained.

(실시예 18)(Example 18)

(1) 절연성 입자의 제조(1) Preparation of insulating particles

4구 세퍼러블 커버, 교반익, 삼방 코크, 냉각관 및 온도 프로브가 부착된 1000 mL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메타크릴산메틸 100 mmol과, N,N,N-트리메틸-N-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1 mmol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이염산염 1 mmol을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고형분율이 5 중량%가 되도록 이온 교환수에 칭취(秤取)한 후, 200 rpm에서 교반하여, 질소 분위기하 70℃에서 24시간 중합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동결 건조하여, 표면에 암모늄기를 갖고, 평균 입경 220 nm 및 CV값 10%의 절연성 입자를 얻었다.100 mmol of methyl methacrylate and 100 mmol of N, N, N-trimethyl-N-2-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were added to a 1000-mL separable flask equipped with a four-necked separable cover, stirrer, three- A monomer composition comprising 1 mmol of monooxyethylammonium chloride and 1 mmol of 2,2'-azobis (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was weighed into ion-exchange water so that the solid content was 5% by weight, Thereafter, the mixture was stirred at 200 rpm, and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at 70 캜 for 24 hours in a nitrogen atmosphere.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the resultant was lyophilized to obtain insulating particles having an ammonium group on the surface and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20 nm and a CV value of 10%.

절연성 입자를 초음파 조사하에서 이온 교환수에 분산시켜, 절연성 입자의 10 중량% 수 분산액을 얻었다.The insulating particles were dispersed in ion-exchanged water under ultrasonic irradiation to obtain a 10 wt% aqueous dispersion of insulating particles.

실시예 16에서 얻어진 도전성 입자 10 g을 이온 교환수 500 mL에 분산시켜, 절연성 입자의 수 분산액 4 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3 ㎛의 메쉬 필터로 여과한 후, 추가로 메탄올로 세정하고, 건조하여, 절연성 입자가 부착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10 g of the conductive particles obtained in Example 16 was dispersed in 500 mL of ion-exchanged water, 4 g of an aqueous dispersion of insulating particles was added,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6 hours. The mixture was filtered with a 3 탆 mesh filter, then washed with methanol, and dried to obtain conductive particles having insulating particles adhered thereto.

주사 전자 현미경(SEM)에 의해 관찰한 바, 도전성 입자의 표면에 절연성 입자에 의한 피복층이 1층만 형성되어 있었다. 화상 해석에 의해 도전성 입자의 중심으로부터 2.5 ㎛의 면적에 대한 절연성 입자의 피복 면적(즉 절연성 입자의 입경의 투영 면적)을 산출한 바, 피복율은 30%였다.As a result of observation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only one coating layer composed of insulating particles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he coated area of the insulating particles (i.e., the projected area of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insulating particles) from the cen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to the area of 2.5 占 퐉 was calculated by image analysis, and the coating rate was 30%.

(실시예 19)(Example 19)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몰리브덴산나트륨 농도를 0.46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몰리브덴-붕소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sodium molybdate was changed to 0.46 mol / L in the electric and late processes, the conductive particles (0.1 mu m in thickness) in which nickel-molybdenum- Particles were obtained.

(실시예 20)(Example 20)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디메틸아민보란 농도를 4.60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몰리브덴-붕소 도전층(두께 약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A nickel-molybdenum-boron conductive layer (thickness of about 0.1 mu m) wa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3,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dimethylamine borane was changed to 4.60 mol / L in the electric and late processes Conductive particles were obtained.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니켈 도금액에 있어서의 디메틸아민보란 0.92 mol/L을 차아인산나트륨 0.5 mol/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과 몰리브덴과 인을 포함하는 도전층(두께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A conductive layer containing nickel, molybdenum and phosphorus (having a thickness of 10 nm)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0.92 mol / L of dimethylamine borane in the nickel plating solution was changed to 0.5 mol / L of sodium hypophosphite 0.1 mu m) was disposed on the conductive particles.

(실시예 21)(Example 21)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몰리브덴산나트륨 0.01 mol/L을 추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텅스텐-몰리브덴-붕소 도전층(두께 약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A nickel-tungsten-molybdenum-boron conductive layer (thickness of about 0.1 mu m) wa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 except that 0.01 mol / L of sodium molybdate was added in the electrical process and the later process Conductive particles were obtained.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전기 공정 및 후기 공정에서, 몰리브덴산나트륨 0.01 mol/L을 추가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입자의 표면에 니켈-텅스텐-몰리브덴-붕소 도전층(두께 약 0.1 ㎛)이 배치된 도전성 입자를 얻었다.A nickel-tungsten-molybdenum-boron conductive layer (thickness of about 0.1 mu m) wa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particles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0.01 mol / L of sodium molybdate was added in the electrical process and the later process Conductive particles were obtained.

(평가)(evaluation)

(1) 도전층 전체 100 중량% 중의 니켈, 붕소,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함유량(1) Content of nickel, boron, tungsten, and molybdenum in 100 wt% of the entire conductive layer

60% 질산 5 mL와 37% 염산 10 mL와의 혼합액에, 도전성 입자 5 g을 가하고, 도전층을 완전히 용해시켜,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용액을 이용하여, 니켈, 붕소,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함유량을 ICP-MS 분석기(히다치 세이사꾸쇼사 제조)에 의해 분석하였다. 또한, 실시예의 도전성 입자에 있어서의 도전층은 인을 포함하고 있지 않았다.5 g of conductive particles was added to a mixture of 5 mL of 60% nitric acid and 10 mL of 37% hydrochloric acid to completely dissolve the conductive layer to obtain a solution. Using the obtained solution, the contents of nickel, boron, tungsten and molybdenum were analyzed by an ICP-MS analyzer (manufactured by Hitachi, Ltd.). In addition, the conductive layer in the conductive particles of the examples did not contain phosphorus.

(2) 도전층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 함유량(2)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uctive layer

도전층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함유량의 분포를 측정하였다. 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의 두께의 도전층 부분에서, 니켈, 붕소,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각 함유량을 평가하였다.And the distribution of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uctive layer was measured. The respective contents of nickel, boron, tungsten and molybdenum were evaluated in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 nm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도전층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함유량의 분포(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의 두께의 도전층 부분에서의 각 성분의 함유량)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평가하였다.The content distribu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uctive layer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in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5 nm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was evaluated as follows Respectively.

집속 이온빔을 이용하여, 얻어진 도전성 입자의 박막 세그먼트를 제작하였다. 투과형 전자 현미경 FE-TEM(니혼 덴시사 제조 「JEM-2010 FEF」)을 이용하여, 에너지 분산형 X선 분석 장치(EDS)에 의해, 도전층에 있어서의 니켈, 붕소,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각 함유량을 측정하였다.Using the focused ion beam, thin film segments of the obtained conductive particles were produced. The respective contents of nickel, boron, tungsten, and molybdenum in the conductive layer were measured by an energy dispersive X-ray analyzer (EDS) using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FE-TEM ("JEM-2010 FEF" Were measured.

(3) 용출한 니켈 이온 농도(3) Eluted nickel ion concentration

복수의 도전성 입자 10 중량부를 5 중량% 시트르산 수용액 100 중량부에 25℃에서 1분간 침지하였다. ICP 발광 분석 장치(호리바사 제조 「울티마2」)를 이용하여, 침지 후의 액 중에 용출한 니켈 이온 농도를 측정하였다. 도전성 입자의 단위 표면적당의 용출한 니켈 이온 농도(ppm/㎠)를 구하였다.10 parts by weight of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were immersed in 100 parts by weight of 5 wt% citric acid aqueous solution at 25 캜 for 1 minute. The concentration of nickel ions eluted into the liquid after immersion was measured using an ICP emission spectrometer ("Ultima 2" manufactured by Horiba, Ltd.). And the eluted nickel ion concentration (ppm / cm 2) per unit surface area of the conductive particles was determined.

(4) 도금 상태(4) Plating condition

얻어진 도전성 입자 50개의 도금 상태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였다. 도금 깨짐 또는 도금 박리 등의 도금 얼룩짐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도금 얼룩짐이 확인된 도전성 입자가 4개 이하인 경우를 「양호」, 도금 얼룩짐이 확인된 도전성 입자가 5개 이상인 경우를 「불량」이라고 판정하였다.The plating state of the obtained 50 conductive particles was observ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lating unevenness such as plating cracking or plating peeling was observed. &Quot; Good " when no plating unevenness was observed, and " Bad " when there were five or more conductive particles whose plating unevenness was confirmed.

(5) 응집 상태(5) Coagulation state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미쯔비시 가가꾸사 제조 「에피코트 1009」) 10 중량부와, 아크릴 고무(중량 평균 분자량 약 80만) 40 중량부와, 메틸에틸케톤 200 중량부와, 마이크로 캡슐형 경화제(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사 제조 「HX3941HP」) 50 중량부와, 실란 커플링제(도레이 다우 코닝 실리콘사 제조 「SH6040」) 2 중량부를 혼합하여, 도전성 입자를 함유량이 3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분산시켜, 이방성 도전 재료를 얻었다.10 parts by weight of a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Epikote 1009"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4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ubber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bout 800,000), 200 parts by weight of methyl ethyl ketone, , And 2 parts by weight of a silane coupling agent (" SH6040 ", manufactured by Toray Dow Corning Silicone Co., Ltd.) were mixed and dispersed to prepare a conductive particle having a content of 3 wt% An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was obtained.

얻어진 이방성 도전 재료를 25℃에서 72시간 보관하였다. 보관 후에, 이방성 도전 재료에 있어서 응집한 도전성 입자가 침강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평가하였다. 응집한 도전성 입자가 침강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양호」, 응집한 도전성 입자가 침강하고 있는 경우를 「불량」이라고 판정하였다. The obtained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was stored at 25 DEG C for 72 hours. After storage, it was evaluated whether or not the agglomerated conductive particles in the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were precipitated. &Quot; Good " when the agglomerated conductive particles were not precipitated, and " Bad " when the agglomerated conductive particles were precipitated.

(6) 초기의 접속 저항(6)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접속 구조체의 제조:Preparat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미쯔비시 가가꾸사 제조 「에피코트 1009」) 10 중량부와, 아크릴 고무(중량 평균 분자량 약 80만) 40 중량부와, 메틸에틸케톤 200 중량부와, 마이크로 캡슐형 경화제(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사 제조 「HX3941HP」) 50 중량부와, 실란 커플링제(도레이 다우 코닝 실리콘사 제조 「SH6040」) 2 중량부를 혼합하여, 도전성 입자를 함유량이 3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분산시켜,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10 parts by weight of a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Epikote 1009"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4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ubber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bout 800,000), 200 parts by weight of methyl ethyl ketone, , And 2 parts by weight of a silane coupling agent (" SH6040 ", manufactured by Toray Dow Corning Silicone Co., Ltd.) were mixed and dispersed to prepare a conductive particle having a content of 3 wt% To obtain a resin composition.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한쪽 면이 이형 처리된 두께 50 ㎛의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도포하고, 70℃의 열풍으로 5분간 건조하여,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이방성 도전 필름의 두께는 12 ㎛였다.The obtained resin composition was applied to a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占 퐉 on one side of which had been subjected to release treatment and dried for 5 minutes by hot air at 70 占 폚 to prepare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The thickness of the resulting anisotropic conductive film was 12 占 퐉.

얻어진 이방성 도전 필름을 5 mm×5 mm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이방성 도전 필름을, 한편에 저항 측정용의 연결선을 갖는 알루미늄 전극(높이 0.2 ㎛, L/S=20 ㎛/20 ㎛)을 갖는 유리 기판(폭 3 cm, 길이 3 cm)의 알루미늄 전극측의 거의 중앙에 첩부하였다. 이어서, 동일 알루미늄 전극을 갖는 2층 플렉시블 인쇄 기판(폭 2 cm, 길이 1 cm)을, 전극끼리가 중첩되도록 위치 정렬을 하고 나서 접합시켰다. 이 유리 기판과 2층 플렉시블 인쇄 기판과의 적층체를 10N, 180℃ 및 20초간의 압착 조건으로 열 압착하여, 접속 구조체를 얻었다. 또한, 폴리이미드 필름에 알루미늄 전극이 직접 형성되어 있는 2층 플렉시블 인쇄 기판을 이용하였다.The obtained anisotropic conductive film was cut into a size of 5 mm x 5 mm. The cut anisotropic conductive film was placed on the aluminum electrode side of a glass substrate (width 3 cm, length 3 cm) having an aluminum electrode (height 0.2 μm, L / S = 20 μm / 20 μm) In the middle. Subsequently, a two-layer flexible printed substrate (2 cm wide, 1 cm long) having the same aluminum electrode was positioned and aligned so that the electrodes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laminate of the glass substrate and the two-layer flexible printed substrate was subjected to thermocompression bonding under conditions of 10 N, 180 占 폚 and 20 seconds to obtain a connection structure. Further, a two-layer flexible printed substrate having an aluminum electrode directly formed on a polyimide film was used.

접속 저항의 측정:Measurement of connection resistance:

얻어진 접속 구조체의 대향하는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을 4단자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초기의 접속 저항을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opposing electrodes of the resulting connection structure was measured by the four-terminal method. 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was determin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초기의 접속 저항의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of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 접속 저항이 2.0Ω 이하○○: Connection resistance is 2.0Ω or less

○: 접속 저항이 2.0Ω 초과 3.0Ω 이하○: Connection resistance is more than 2.0Ω and less than 3.0Ω

△: 접속 저항이 3.0Ω 초과 5.0Ω 이하?: Connection resistance is more than 3.0? 5.0?

×: 접속 저항이 5.0Ω 초과×: Connection resistance exceeded 5.0Ω

(7) 고온 고습 시험 후의 접속 저항(7) Connection resistance aft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est

상기 (6) 초기의 접속 저항의 평가에서 얻어진 접속 구조체를 85℃ 및 습도 85%의 조건에서 100시간 방치하였다. 방치 후의 접속 구조체의 전극 사이의 접속 저항을 사단자법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진 측정치를 고온 고습 시험 후의 접속 저항으로 하였다. 또한, 고온 고습 시험 후의 접속 저항을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6) The connection structure obtained in the evaluation of 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was allowed to stand at 85 캜 and 85% humidity for 100 hours.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connection structure after being left standing was measured by a division method, and the obtained measured value was regarded as a connection resistance after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est. Also, the connection resistance after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est was judged by the following criteria.

〔고온 고습 시험 후의 접속 저항의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of Connection Resistance after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Test]

○○: 접속 저항이 2.0Ω 이하○○: Connection resistance is 2.0Ω or less

○: 접속 저항이 2.0Ω 초과 3.0Ω 이하○: Connection resistance is more than 2.0Ω and less than 3.0Ω

△: 접속 저항이 3.0Ω 초과 5.0Ω 이하?: Connection resistance is more than 3.0? 5.0?

×: 접속 저항이 5.0Ω 초과×: Connection resistance exceeded 5.0Ω

(8) 내충격성(8) Impact resistance

상기 (6) 초기의 접속 저항의 평가에서 얻어진 접속 구조체를 높이 70 cm의 위치에서 낙하시켜 도통을 확인함으로써 내충격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초기 저항치로부터의 저항치의 상승률이 50% 이하인 경우를 「양호」, 초기 저항치로부터의 저항치의 상승률이 50% 초과인 경우를 「불량」이라고 판정하였다.The impact resistance was evaluated by confirming continuity by dropp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btained in the evaluation of 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6) at a height of 70 cm. The case where the rising rate of the resistance value from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was 50% or less was judged as " good ", and the case where the rising rate of the resistance value from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was more than 50% was judged as " defective ".

(9) 압흔 형성의 유무(9) presence or absence of indentation

미분 간섭 현미경을 이용하여, 상기 (6)의 평가의 접속 구조체의 제조에서 얻어진 접속 구조체의 유리 기판측에서, 유리 기판에 설치된 전극을 관찰하여, 도전성 입자가 접촉한 전극의 압흔의 형성의 유무를 하기의 판정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전극의 압흔의 형성의 유무에 대해서, 전극 면적이 0.02 ㎟가 되도록, 미분 간섭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전극 0.02 ㎟당 압흔의 개수를 산출하였다. 임의의 10개소를 미분 간섭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전극 0.02 ㎟당 압흔 개수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The electrode provided on the glass substrate was observed on the side of the glass substrate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btained in the product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evaluated in the above (6) using a differential interference microscop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dentation of the electrode,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dentation of the electrode was observed with a differential interference microscope so that the electrode area was 0.02 mm 2, and the number of indentations per 0.02 mm 2 of the electrode was calculated. 10 arbitrary points were observed with a differential interference microscope to calculate an average value of the number of indentations per 0.02 mm 2 of the electrode.

〔압흔 형성의 유무의 판정 기준〕[Criteria for judging presence or absence of indentation]

○○: 전극 0.02 ㎟당의 압흔이 25개 이상○○: 25 or more indentations per 0.02 ㎟ of electrode

○: 전극 0.02 ㎟당의 압흔이 20개 이상 25개 미만○: Indentations per electrode 0.02 ㎟ exceed 20 but less than 25

△: 전극 0.02 ㎟당의 압흔이 5개 이상 20개 미만△: Indentation per 0.02 ㎟ of electrode is 5 or more and less than 20

×: 전극 0.02 ㎟당의 압흔이 5개 미만X: Less than five indentations per 0.02 mm2 of electrode

결과를 하기의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표 1 내지 3에 있어서, 5 nm의 도전층 부분은 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 두께의 도전층 부분을 나타낸다. 용출한 니켈 이온 농도는 도전성 입자의 단위 표면적당 용출한 니켈 이온 농도를 나타낸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 to 3 below. In the following Tables 1 to 3, the 5 nm-thick conductive layer portion shows a 5-nm-thick conductive layer portion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eluted nickel ion concentration represents the nickel ion concentration eluted per unit surface area of the conductive particles.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1…도전성 입자
1a…돌기
2…기재 입자
3…도전층
3a…돌기
4…코어 물질
5…절연 물질
11…도전성 입자
11a…돌기
12…제2 도전층
13…도전층
13a…돌기
21…도전성 입자
22…도전층
51…접속 구조체
52…제1 접속 대상 부재
52a…상면
52b…전극
53…제2 접속 대상 부재
53a…하면
53b…전극
54…접속부
One… Conductive particle
1a ... spin
2… Base particles
3 ... Conductive layer
3a ... spin
4… Core material
5 ... Insulating material
11 ... Conductive particle
11a ... spin
12 ...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3 ... Conductive layer
13a ... spin
21 ... Conductive particle
22 ... Conductive layer
51 ... Connection structure
52 ... The first connection object member
52a ... Top surface
52b ... electrode
53 ... The second connection object member
53a ... if
53b ... electrode
54 ... Connection

Claims (12)

기재 입자와, 상기 기재 입자의 표면 상에 배치된 도전층을 갖고,
상기 도전층이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 적어도 1종의 금속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층의 전체 100 중량% 중 니켈의 함유량이 60 중량% 이상이고,
상기 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 두께의 도전층 부분 100 중량% 중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이 5 중량%를 초과하는 도전성 입자.
A base particle and a conductive layer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base particle,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metal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tungsten, and molybdenum,
Wherein the content of nickel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is 60 wt%
Wherein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is 5% by weight or more and 100% by weight in the thickness of 5 nm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외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5 nm 두께의 도전층 부분 100 중량% 중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이 10 중량% 이상인 도전성 입자. The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of 5 nm in thicknes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toward the inner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10% by weight or mo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두께 방향으로 니켈과, 텅스텐 및 몰리브덴 중 적어도 1종의 상기 금속 성분이 편재하고 있고,
상기 도전층의 외측 부분이 상기 도전층의 내측 부분보다도 상기 금속 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도전성 입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metal components of nickel, tungsten, and molybdenum is localiz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uctive layer,
Wherein an outer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contains a larger amount of the metal component than an inner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전체 100 중량% 중 텅스텐 및 몰리브덴의 합계의 함유량이 5 중량%를 초과하는 도전성 입자. The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otal content of tungsten and molybdenum in the total of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exceeds 5 w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도전성 입자 10 중량부를 5 중량% 시트르산 수용액 100 중량부에 25℃에서 1분간 침지시켰을 때에, 용출되는 니켈 이온 농도가 도전성 입자의 단위 표면적당 100 ppm/㎠ 이하인 도전성 입자.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10 parts by weight of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are immersed in 100 parts by weight of a 5 wt% citric acid aqueous solution at 25 캜 for 1 minute,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n electric conductivity of not more than 100 ppm / cm 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환원제를 이용하는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층이 상기 환원제에서 유래되는 성분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환원제에서 유래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의 전체 100 중량% 중 상기 환원제에서 유래되는 성분의 함유량이 5 중량% 이하인 도전성 입자.
6.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by electroless nickel plating using a reducing agent,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does not contain a component derived from the reducing agent, or contains a component derived from the reducing agent, and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derived from the reducing agent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is 5 wt% or les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이 붕소를 포함하는 도전성 입자. 7. The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comprises bor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전체 100 중량% 중 붕소의 함유량이 0.05 중량% 이상 4 중량% 이하인 도전성 입자. The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ontent of boron in the entire 100 wt% of the conductive layer is 0.05 wt% or more and 4 wt% or less.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이 인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도전층이 인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의 전체 100 중량% 중 인의 함유량이 0.5 중량% 미만인 도전성 입자. 9.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does not comprise phosphorus, or the conductive layer comprises phosphorus and the content of phosphorus in the total 100% by weight of the conductive layer is less than 0.5% particl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이 외표면에 돌기를 갖는 도전성 입자. 10. The conductive p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has protrusions on the outer surface.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전성 입자와 결합제 수지를 포함하는 도전 재료. A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nd a binder resin. 제1 접속 대상 부재와, 제2 접속 대상 부재와, 상기 제1, 제2 접속 대상 부재를 접속하고 있는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부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전성 입자에 의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도전성 입자와 결합제 수지를 포함하는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접속 구조체.
A first connecting object member, a second connecting object member,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object members,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by the conductive particle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or formed by a conductive material including the conductive particles and the binder resin.
KR1020137029907A 2011-12-21 2012-12-19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KR10194172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0085 2011-12-21
JPJP-P-2011-280085 2011-12-21
PCT/JP2012/082911 WO2013094637A1 (en) 2011-12-21 2012-12-19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385A true KR20140106385A (en) 2014-09-03
KR101941721B1 KR101941721B1 (en) 2019-01-23

Family

ID=4866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907A KR101941721B1 (en) 2011-12-21 2012-12-19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3) JP5297569B1 (en)
KR (1) KR101941721B1 (en)
CN (1) CN103748635B (en)
TW (1) TWI553658B (en)
WO (1) WO201309463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267A (en) * 2014-10-29 2022-05-25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Conductive materi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9267A (en) * 2013-10-21 2015-06-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Conductive particle,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JP6397736B2 (en) * 2013-11-18 2018-09-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s, and connection structures
CN107851482B (en) * 2016-02-08 2020-03-20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Conductive particle,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KR102222105B1 (en) * 2019-07-31 2021-03-03 덕산하이메탈(주) Conductive Particle, Conductive Materials and Structure of Conn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3132A (en) 1999-02-22 2000-09-08 Nippon Chem Ind Co Ltd Conductive electroless plating powder, manufacture thereof, and conductive material made thereof
JP2009224059A (en) * 2008-03-13 2009-10-01 Sekisui Chem Co Ltd Conductive fine particle, anisotrop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JP2010027569A (en) * 2008-07-24 2010-02-04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Conductive particl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joined body and connecting method
JP2011204531A (en) * 2010-03-26 2011-10-13 Sekisui Chem Co Ltd Conductive particle, manufacturing method of conductive particle,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185A (en) * 1994-01-21 1995-08-08 Kawazumi Gijutsu Kenkyusho:Kk Coated palladium fine powder and conductive paste
JP4864195B2 (en) * 2000-08-30 2012-02-0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Coated copper powder
JP2002275511A (en) * 2001-03-15 2002-09-25 Murata Mf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powder, metal powder, conductive paste and laminated ceramic electronic parts
JP4017903B2 (en) * 2002-04-01 2007-12-05 宇部日東化成株式会社 Conductive 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962706B2 (en) * 2006-09-29 2012-06-27 日本化学工業株式会社 Conductive 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737177B2 (en) * 2006-10-31 2011-07-27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CN101210305B (en) * 2006-12-31 2011-09-28 成都深嘉机械制造有限公司 Tungsten alloy composite plating coat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139002B2 (en) * 2007-08-10 2013-02-06 株式会社東芝 Fine particle carrying method and fine particle carrying device
JP4714719B2 (en) * 2007-09-07 2011-06-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conductive fine particles
TWI467065B (en) * 2009-06-17 2015-01-01 Enthone Electrolytic deposition of metal-based composite coatings comprising nano-particles
JP4957838B2 (en) * 2009-08-06 2012-06-20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Conductive fine particles and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s
WO2011083824A1 (en) * 2010-01-08 2011-07-1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Circuit connecting adhesion film and circuit connecting structure
CN102782024B (en) * 2010-03-01 2015-04-22 新日铁住金化学株式会社 Metal nanoparticle composit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2012164454A (en) * 2011-02-04 2012-08-30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Conductive particle and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using the same
CN103650063B (en) * 2011-07-28 2016-01-20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Electroconductive particle, electric conducting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al bodies
JP5952553B2 (en) * 2011-12-14 2016-07-13 株式会社日本触媒 Conductive fine particles and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3132A (en) 1999-02-22 2000-09-08 Nippon Chem Ind Co Ltd Conductive electroless plating powder, manufacture thereof, and conductive material made thereof
JP2009224059A (en) * 2008-03-13 2009-10-01 Sekisui Chem Co Ltd Conductive fine particle, anisotrop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JP2010027569A (en) * 2008-07-24 2010-02-04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Conductive particl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joined body and connecting method
JP2011204531A (en) * 2010-03-26 2011-10-13 Sekisui Chem Co Ltd Conductive particle, manufacturing method of conductive particle,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267A (en) * 2014-10-29 2022-05-25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Conductiv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19438A (en) 2016-12-22
TWI553658B (en) 2016-10-11
JP2013232408A (en) 2013-11-14
WO2013094637A1 (en) 2013-06-27
JP6004983B2 (en) 2016-10-12
TW201337951A (en) 2013-09-16
JPWO2013094637A1 (en) 2015-04-27
KR101941721B1 (en) 2019-01-23
JP6276351B2 (en) 2018-02-07
CN103748635A (en) 2014-04-23
JP5297569B1 (en) 2013-09-25
CN103748635B (en)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602B1 (en)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JP6470810B2 (en) Conductive particles with insulating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KR101815336B1 (en) Conductive particles,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KR101953938B1 (en)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KR101987509B1 (en)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JP5636118B2 (en)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s, and connection structures
JP6276351B2 (en)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s, and connection structures
JP6084868B2 (en)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s, and connection structures
KR101953937B1 (en)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JP6687408B2 (en) Conductive particle powder, method for producing conductive particle powder,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JP6478308B2 (en)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s, and connection structures
JP6200318B2 (en)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s, and connection structures
JP7180981B2 (en)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s and connecting structures
JP6441555B2 (en)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s, and connection structures
JP2015109267A (en) Conductive particle,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