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931A -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931A
KR20140105931A KR1020130019748A KR20130019748A KR20140105931A KR 20140105931 A KR20140105931 A KR 20140105931A KR 1020130019748 A KR1020130019748 A KR 1020130019748A KR 20130019748 A KR20130019748 A KR 20130019748A KR 20140105931 A KR20140105931 A KR 20140105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order information
invoice number
inform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도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도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도소프트
Priority to KR102013001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5931A/ko
Publication of KR2014010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이 구비된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품의 송장번호를 스캔하여 자동으로 입력하고 등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유무선 통신망을 거쳐 쇼핑몰관리시스템의 관리서버를 통해 쇼핑몰관리자의 로그인과 더불어 해당 쇼핑몰의 주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관리서버는 주문정보DB로부터 해당 쇼핑몰의 주문정보를 검색한 후에 주문정보를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고,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전송받은 주문정보 리스트를 화면에 표출하며, 제어모듈은 화면에 표출된 주문정보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모듈은 어느 하나의 주문정보가 선택되면 촬영모듈에 의해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모듈을 구동시켜 카메라모듈에 의하여 해당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주문정보가 포함된 코드정보가 스캔되도록 하고, 제어모듈은 카메라모듈의 스캔에 의하여 획득된 코드정보를 인식모듈에서 디코딩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모듈은 디코딩된 코드정보로부터 송장번호를 추출하여 주문정보와 송장번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관리서버는 제어모듈에서 수신된 주문정보와 송장번호를 주문정보DB에 갱신 및 저장한 후에 모바일단말기로 갱신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전송하여 모바일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모듈로 배송할 상품에 부착된 송장번호가 포함된 코드정보를 스캔하여 송장번호가 쇼핑몰의 주문리스트에 자동으로 입력 및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배송할 상품의 송장번호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품의 배송에 따른 인력,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송장번호의 입력오류를 해결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 Number of Invoice using Application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품의 송장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모듈이 구비된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품의 송장번호를 스캔하여 자동으로 입력하고 등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발송하는 발송인이 수취인에게 배송하는 화물에는 수취인이 화물을 손쉽게 인수할 수 있도록 포장단위마다 화인(貨印, Shipping Mark)이 부착된다. 이러한 화인에는 특정의 기호, 송장번호, 목적지, 취급주의 문구 등이 표시된다. 이러한 화인에는 화물의 분류나 배송추적 등의 편의를 위하여 주문번호나 송장번호 등이 표시된다. 송장번호는 통상 화물, 즉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회사마다 배송추적시스템이 구비되어 있고, 배송중인 물품이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언제 도착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인식표의 하나이다. 이러한 송장번호는 판매자나 발송인이 해당 물품의 배송을 위하여 택배회사에 배송을 의뢰하면 택배회사는 해당 물품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번호를 지정해주고 구매자나 수취인은 택배회사의 웹사이트에서 배송조회를 통해 물품이 어디에 있는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종래에 택배회사에서 물품을 배송하기 위하여 발행된 송장번호를 해당 물품의 주문자나 수취인이 간단히 조회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에 입력한다. 즉 하기의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1은 인터넷쇼핑몰에서 제품공급업체에 배송을 의뢰하면, 제품공급업체는 포장 및 송장번호 입력을 통해 출고준비를 한다.
또한, 특허문헌2는 쇼핑몰에 상품을 등록하고 판매하는 판매자들은 쇼핑몰에 로그인하여 주문정보를 다운받고 다운받은 주문내역에 따라 고객들에게 상품을 배송한 후 각 쇼핑몰에 로그인하여 실제 배송한 주문에 대해 운송장번호를 입력한 후에 쇼핑몰서버에 등록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 쇼핑몰이나 제품공급업체 등에서 상품을 배송할 때에 발행된 송장번호를 쇼핑몰의 웹사이트에 등록을 하기 위하여 일일이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과 더불어 송장번호를 잘못 기재하는 경우에는 배송추적이 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0022호(2002.01.04.공개); 인터넷의 웹페이지를 이용한 물류 중개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1004호(2008.05.09.공개); 운송장번호를 이용한 쇼핑몰 배송 처리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품의 송장번호를 자동으로 입력하고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단말기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카메라모듈로 상품에 부착되어 송장번호 정보가 포함된 QR코드나 바코드를 스캔하면 쇼핑몰 웹사이트에 해당 주문정보가 즉시 전송 및 갱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유무선 통신망을 거쳐 쇼핑몰관리시스템의 관리서버를 통해 쇼핑몰관리자의 로그인과 더불어 해당 쇼핑몰의 주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관리서버는 주문정보DB로부터 해당 쇼핑몰의 주문정보를 검색한 후에 주문정보를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고,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전송받은 주문정보 리스트를 화면에 표출하며, 제어모듈은 화면에 표출된 주문정보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모듈은 어느 하나의 주문정보가 선택되면 촬영모듈에 의해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모듈을 구동시켜 카메라모듈에 의하여 해당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주문정보가 포함된 코드정보가 스캔되도록 하고, 제어모듈은 카메라모듈의 스캔에 의하여 획득된 코드정보를 인식모듈에서 디코딩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모듈은 디코딩된 코드정보로부터 송장번호를 추출하여 주문정보와 송장번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관리서버는 제어모듈에서 수신된 주문정보와 송장번호를 주문정보DB에 갱신 및 저장한 후에 모바일단말기로 갱신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전송하여 모바일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c)에서, 코드정보는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QR코드는 모바일단말기의 인식모듈에 포함된 QR코드모듈에 의하여 코드정보를 인식하고, 바코드는 모바일단말기의 인식모듈에 포함된 바코드모듈에 의하여 코드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b)에서, 주문정보 리스트에는 입금확인과 배송준비를 조회할 수 있는 항목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배송준비 항목에서 배송단계의 자동 변경설정 및 택배회사 변경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모듈로 배송할 상품에 부착된 송장번호가 포함된 코드정보를 스캔하여 송장번호가 쇼핑몰의 주문리스트에 자동으로 입력 및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배송할 상품의 송장번호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품의 배송에 따른 인력,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송장번호의 입력오류를 해결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표출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 모바일단말기(10)는 휴대가 용이한 것으로 화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12)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좋다. 모바일단말기(10)는 태블릿PC나 노트북PC가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모바일단말기(10)에는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앱 또는 어플)이 설치되어 있다.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나 앱마켓 등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제작 및 제공하는 웹사이트에서 직접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20)은 제어모듈(22), 촬영모듈(24) 및 인식모듈(26)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모듈(22)은 애플리케이션의 전체적인 기능 흐름과 데이터 처리를 관리 및 제어하고 모바일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영역 및 사용자인터페이스(UI)를 관리 및 제어하며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서버 등과 통신을 관리 및 제어하는 것이다. 촬영모듈(24)은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모듈(12)을 활성화시켜 영상, 즉 상품에 부착된 QR코드나 바코드를 촬영하는 것이다. 또한, 인식모듈(26)은 촬영모듈(24)에서 촬영한 이미지영상을 QR코드모듈(27)이나 바코드모듈(28)에 각각 적용시켜 인식한 결과값, 즉 송장번호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모바일단말기(10)에는 HTML5와 JASON의 postMassage를 사용하여 비동기식으로 통신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포함되어 있다. API는 모바일단말기(10)의 운영체제(OS), 즉 안드로이드나 iOS 등과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20)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의 하나이다. API는 송장번호와 연결할 주문정보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처리를 위한 관리자정보 및 인증, 구매자가 신청한 상품명과 배송정보가 포함된 주문내역에 관한 주문정보, 그리고 구매자가 배송추적 등과 같이 배송관련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송장번호에 관한 송장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쇼핑몰관리시스템(30)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모바일단말기(10)가 접속되어 쇼핑정보, 관리자정보, 배송정보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쇼핑몰관리시스템(30)의 관리서버(32)는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모바일단말기(10)의 접속과 쇼핑과 관련된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관리 및 제어하는 것이다. 관리서버(32)에는 관리자나 회원들의 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회원정보DB(34)가 포함되고, 상품의 주문 및 배송 등의 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주문정보DB(36)가 포함된다. 또한, 쇼핑몰관리시스템(30)의 운영과 배송을 위하여 필요한 DB가 더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되는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에 관하여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우선, 모바일단말기(10)는 앱스토어나 앱마켓 등에서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모바일단말기(10)는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1). 도 3a는 모바일단말기(10)에서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초기화면이다. 여기에서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을 위하여 쇼핑몰관리자는 회원으로 등록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회원으로 등록된 쇼핑몰관리자는 로그인을 수행한다(S2). 즉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의 초기화면에서 '바로이용' 버튼을 누르면 도 3b의 로그인을 위한 화면이 제공된다. 로그인을 위한 화면에서 해당 쇼핑몰의 운영 도메인의 로그인과 더불어 ID 및 패스워드 등을 입력함으로써 로그인이 이루어진다. 이는 모바일단말기(10)가 유무선 통신망을 거쳐 쇼핑몰관리시스템(30)의 관리서버(32)에 접속하여 회원정보DB(34)에 저장된 회원정보로부터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쇼핑몰관리자의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해당 운영 도메인의 주문정보를 요청한다(S3). 즉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20)의 제어모듈(22)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운영 도메인을 쇼핑몰관리시스템(30)의 관리서버(32)에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서버(32)는 주문정보DB(36)에 저장된 해당 쇼핑몰의 주문정보를 검색한다(S4). 주문정보DB(36)에서 검색된 주문정보를 관리서버(32)가 유무선 통신망을 거쳐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한다(S5). 모바일단말기(10)에 설치된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20)의 제어모듈(22)은 관리서버(32)로부터 전송받은 주문정보 리스트를 화면에 표출한다(S6). 제어모듈(22)은 화면에 표출된 주문정보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한다(S7). 즉 도 3c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송장번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주문정보 리스트 중에서 해당하는 주문정보를 선택하는 것이다. 더욱이 주문정보 리스트에는 상품 구매자의 입금확인과 배송준비를 조회할 수 있는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제어모듈(22)은 배송준비 항목에서 배송단계의 자동 변경설정과 택배회사 변경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서버(32)를 통해 주문정보DB(36)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모듈(22)은 해당하는 주문정보가 선택되면 촬영모듈(24)에 의해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모듈을 구동시킨다(S8). 도 3d에서, 카메라모듈(12)에 의하여 해당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주문정보가 포함된 코드정보가 스캔되도록 한다(S9). 코드정보는 QR코드이거나 바코드 또는 송장번호가 포함된 다양한 형상이나 형태의 코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어모듈(22)은 카메라모듈(12)의 스캔에 의하여 획득된 코드정보를 인식모듈(26)에서 디코딩하도록 한다(S10). QR코드는 모바일단말기(10)의 인식모듈(26)에 포함된 QR코드모듈(27)에 의하여 코드정보를 인식하고, 바코드는 모바일단말기(10)의 인식모듈(26)에 포함된 바코드모듈(28)에 의하여 코드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제어모듈(22)은 디코딩된 코드정보로부터 송장번호를 추출하여 주문정보와 송장번호를 관리서버(32)로 전송한다(S12). 관리서버(32)는 제어모듈(22)에서 수신된 주문정보와 송장번호를 주문정보DB(36)에 갱신 및 저장한다(S13). 송장번호가 주문정보DB(36)에 갱신되면 관리서버(32)는 모바일단말기(10)로 갱신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전송하여 모바일단말기(10)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S14). 이때, 해당 쇼핑몰의 주문정보 리스트의 해당 주문정보에는 송장번호가 표시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모바일단말기 12: 카메라모듈 20: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 22: 제어모듈 24: 촬영모듈 26: 인식모듈 27: QR코드모듈 28: 바코드모듈 30: 쇼핑몰관리시스템 32: 관리서버 34: 회원정보DB 36: 주문정보DB

Claims (4)

  1. (a)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유무선 통신망을 거쳐 쇼핑몰관리시스템의 관리서버를 통해 쇼핑몰관리자의 로그인과 더불어 해당 쇼핑몰의 주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관리서버는 주문정보DB로부터 해당 쇼핑몰의 주문정보를 검색한 후에 주문정보를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고,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송장번호 등록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전송받은 주문정보 리스트를 화면에 표출하며, 제어모듈은 화면에 표출된 주문정보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모듈은 어느 하나의 주문정보가 선택되면 촬영모듈에 의해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모듈을 구동시켜 카메라모듈에 의하여 해당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주문정보가 포함된 코드정보가 스캔되도록 하고, 제어모듈은 카메라모듈의 스캔에 의하여 획득된 코드정보를 인식모듈에서 디코딩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모듈은 디코딩된 코드정보로부터 송장번호를 추출하여 주문정보와 송장번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관리서버는 제어모듈에서 수신된 주문정보와 송장번호를 주문정보DB에 갱신 및 저장한 후에 모바일단말기로 갱신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전송하여 모바일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코드정보는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는 모바일단말기의 인식모듈에 포함된 QR코드모듈에 의하여 코드정보를 인식하고, 바코드는 모바일단말기의 인식모듈에 포함된 바코드모듈에 의하여 코드정보를 인식하는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주문정보 리스트에는 입금확인과 배송준비를 조회할 수 있는 항목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배송준비 항목에서 배송단계의 자동 변경설정 및 택배회사 변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
KR1020130019748A 2013-02-25 2013-02-25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 KR20140105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748A KR20140105931A (ko) 2013-02-25 2013-02-25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748A KR20140105931A (ko) 2013-02-25 2013-02-25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931A true KR20140105931A (ko) 2014-09-03

Family

ID=5175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748A KR20140105931A (ko) 2013-02-25 2013-02-25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59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313A (ko) 2017-06-02 2018-12-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정보 코드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313A (ko) 2017-06-02 2018-12-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정보 코드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0179B2 (en) Intelligent pre-processing and fulfillment of mixed orders
US9117231B2 (en) Ordering method and system for restaurants
US84440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action-related communication using machine-readable encoded information
US201602105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detailed delivery tracking
Muyumba et al. A Web based Inventory Control System using Cloud Architecture and Barcode Technology for Zambia Air Force
US10402891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thermal printing for order fulfillment
US11301193B2 (en) Methods and system for wireless thermal printing for order fulfillment
KR102444679B1 (ko) 전자 영수증 발행 방법
JP2015153218A (ja) 電子機器
KR20160004211A (ko)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660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products
US10068262B1 (en) Application for transaction information delivery
KR102239936B1 (ko) Rf 인식 기반 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
JP2021012675A (ja) 固有識別子を用いた荷物配送システム及び配送方法
KR20150064768A (ko) 상품정보 등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05931A (ko) 모바일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송장번호 입력 방법
JP5330142B2 (ja) Ediサーバコンピュータ及びediシステム
US20200118111A1 (en) Displaying electronic change objects
US20130311252A1 (en) Electronic display sign and merchanise pairing
KR2014005673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중고부품 판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US10515420B2 (en) Method, system and software program for handling and storing purchase transactions between a user and a point-of-sale
KR102491508B1 (ko) 복지 용구 사무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US20180330426A1 (en) Consolidation of personal items into gift orders
KR102293247B1 (ko)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30222476A1 (en) Method of issuing electronic receip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