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441A - 내부 공동을 갖는 칫솔 손잡이 - Google Patents

내부 공동을 갖는 칫솔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441A
KR20140105441A KR1020147013700A KR20147013700A KR20140105441A KR 20140105441 A KR20140105441 A KR 20140105441A KR 1020147013700 A KR1020147013700 A KR 1020147013700A KR 20147013700 A KR20147013700 A KR 20147013700A KR 20140105441 A KR20140105441 A KR 20140105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toothbrush handle
cross
sectional area
inner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로이드 뉴먼
케이시 웬
안드레아스 비르크
안드레아스 브레쎌슈미트
앤드류 조셉 홀튼
요헨 카베라우
울리히 파이퍼
리차드 데런 세터필드
하이드룬 아니카 슈멜허
프란치스카 슈미트
옌스 우베 슈퇴르켈
조지 웨스트
틸만 빈클러
지그프리트 쿠르트 마르틴 후슈테트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40105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49/2408In-mould 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17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outside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21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12Lining or labelling outside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64Means for verifying or keeping the position of the lining or label, e.g. sensors, or attachment on mould wall
    • B29C2049/2472Means for verifying or keeping the position of the lining or label, e.g. sensors, or attachment on mould wall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56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moulds or parts thereof
    • B29C2049/4858Exchanging mould parts, e.g. for changing the mould size or geometry for making different products in the sam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6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03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 B29C45/1704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the fluid being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jected material which is still in a molten state, e.g. for produc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29C49/30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29C49/36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rotatable about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29C49/30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29C49/38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mounted on movable endless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185Moulds with more than one separat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185Moulds with more than one separate mould cavity
    • B29C49/4819Moulds with more than one separate mould cavity having different sizes or shapes of the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2Brushes
    • B29L2031/425Tooth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칫솔 손잡이는 말단 단부, 커넥터 단부, 외측 표면, 내부 공동 및 종축을 포함한다. 내부 공동은 단면적을 한정하는 표면을 갖는다. 내측 표면은 종축을 따라 2개의 보다 작은 단면적에 접하는 보다 큰 단면적, 또는 종축을 따라 2개의 보다 큰 단면적에 접하는 보다 작은 단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외측 표면은 외측 표면 단면적을 한정한다. 외측 공동 표면으로부터 내측 공동 표면까지 벽이 형성된다. 칫솔 손잡이는 하나의 단일형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외측 단면적과 내측 공동 표면 단면적 사이의 차이는 종축을 따라 칫솔 손잡이 길이의 50% 이상에 걸쳐 25% 미만으로 변한다.

Description

내부 공동을 갖는 칫솔 손잡이{TOOTHBRUSH HANDLE HAVING AN INNER CAVITY}
본 발명은 내부 공동(cavity)을 갖는 칫솔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칫솔은 전형적으로 사출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그러한 사출 성형 공정은 주형(mold)을 칫솔의 형상으로 제공하고 용융된 플라스틱을 고온 채널 노즐을 통해 주형 내로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칫솔이 냉각되고 주형으로부터 배출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845,358호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그러한 칫솔을 보여준다. 종래의 사출 성형 공정의 한계들 중 하나는 큰 직경의 손잡이, 그리고 특히 단면적이 브러시(brush)의 길이 또는 주 축(major axis)을 따라 증감하는 단면적의 상당한 변화를 갖는 큰 손잡이가, 사용된 재료의 증가된 질량에 기인하는, 증가된 재료의 비용 및 연장된 냉각 시간으로 인해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없다는 것이다. 종래의 사출 성형의 제2의 중대한 한계는 그것이 다수-구성요소 브러시를 제조하기 위해 다수의 단계, 다수의 사출 노즐 및 다수의 공동 또는 공동 세트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증가된 손잡이 직경을 갖는 칫솔은 상당한 이점을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그것은 아이들에게 증가된 파지 영역을 제공하여 아이들이 칫솔을 취급하고 사용하는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관절염과 같은 장애가 있는 사람은 때때로 그의 손의 관절을 구부리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으로 인해 칫솔을 취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한 어려움은 증가된 손잡이 직경을 갖는 칫솔에 의해 상당히 완화된다. 또한, 칫솔 상의 보다 큰 단면의 손잡이는 인체공학적 관점에서 사용자에게 더 좋다.
외측 표면 상의 제2 재료의 고-마찰 및/또는 저-듀로미터(durometer) 영역을 갖는 칫솔은 또한 파지에 있어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그의 경도가 쇼어(Shore) A 스케일에서 대략 90 미만으로 측정되는 재료와 같은 저-듀로미터 재료는 편안한 파지력의 범위 하에서 변형됨으로써 파지에 있어서 이점을 제공한다. 변형은 브러시를 손 내의 제위치에 균일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고, 또한 만족스러운 촉각 피드백을 제공한다. 고-마찰 파지 표면의 추가는 사용 동안에 브러시 강모(bristle)의 안정한 배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압착력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러나, 그의 낮은 강도로 인해, 전적으로 고-마찰, 저-듀로미터 재료로 제조된 칫솔은 종래의 파지 스타일에서 브러시에 적절한 힘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굽힘 강도를 나타낼 가능성이 낮다. 쇼어 A 20 내지 90의 경도 범위에 있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는 칫솔 및 다른 개인 케어 용품에서의 파지를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제2, 제3 또는 후속 재료이다.
브러시의 길이 또는 주 축을 따른, 보다 큰 단면적 및 보다 작은 단면적 둘 모두를 포함하는 단면적의 변화는 그것이 또한 젖어 있거나 미끄러울 수 있는 상태에서 그것이 신속하게 움직여져야 할 때, 사용 동안에 사용자가 브러시를 파지하고 취급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전술된 경도 범위에 있는 TPE를 비롯한, 젖어 있을 때 더 높은 마찰 계수를 유지하는 재료는 젖은 그립(wet-grip) 상황에서 도움을 줄 수 있다.
증가된 직경을 갖는 칫솔 손잡이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성형의 사용과 관련되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중공(hollow) 몸체를 갖는 칫솔 손잡이를 제조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유럽 특허 EP 0 668 140호 및 EP 0 721 832호는 중공의 큰 단면 손잡이를 갖는 칫솔을 제조하기 위한 공기 보조 또는 가스 보조 기술의 사용을 개시한다. 개시된 공정에서, 용융된 플라스틱이 칫솔 손잡이의 기부 부근에 사출되며, 여기서 후속하여 고온 니들이 용융된 플라스틱 내로 삽입되어 가스를 용융된 플라스틱 내로 블로잉(blowing)하여 사출 주형의 벽을 향해 팽창시킨다. 유사한 방식으로, 미국 특허 제6,818,174 B2호는 주형 공동을 단지 부분적으로 충전하도록 사전결정된 양의 용융된 플라스틱을 공동 내로 사출한 다음에, 사출 주형 내에 형성된 가스 주입 포트를 통해 가스를 주입하여 용융된 플라스틱을 주형 공동의 벽과 접촉하도록 가압시키는 것을 제시한다. 추가의 공기 주입을 사용한 그러한 사출 성형 공정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벽 두께를 갖는 중공 손잡이 몸체를 형성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으며, 따라서 최소 재료 중량으로의 최대 인체공학적 기능 및 제조 효율을 위한 손잡이의 최적화 가능성이 제한된다. 그러한 사출 성형 공정의 또 다른 단점은 가스를 위한 통기 구멍의 생성이다. 유럽 특허 EP 0 668 140호는 밀봉된 부품을 생성하기 위해 이동하는 사출 핀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하지만, 제2 샷(shot)에서 생성되는 사출 성형 압력 하에서의 이러한 시일(seal)의 완전성(integrity)은 가공 조건에 고도로 민감하며 확실하게 밀봉된 부품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통기 구멍은 용융된 플라스틱과 고압 가스의 계면(interface)에 형성되며(그리고 주형 강에 의해서가 아님) 이에 따라 예상대로 또는 고정밀도로 제조될 수 없다. 가스-보조 사출 성형을 사용하여 제조된 중공-손잡이 칫솔의 또 다른 단점은 사출 성형 또는 오버몰딩(overmolding)에 의한 칫솔에 대한 제2, 제3 또는 후속 재료의 적용 또는 설치와 관련되며, 여기서 오버몰딩된 재료는 필요한 가스 통기 구멍을 밀봉하는 과정에서 제1 가스 주입 단계에서 생성된 중공 공극(void) 내로 상당히 침입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공극 내부의 대기압에 근사한 압력과 마찰 외에는 그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유럽 특허 EP 0 721 832호는 이러한 효과를 상세히 보여준다. 이는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품을 여전히 생성할 수 있지만, 그것은 밸브 게이트와 같은 샷-크기-제한 장치의 사용을 방해하며, 부품의 비용에 크게 부가될 수 있다. 가스-보조 사출 성형은 플라스틱 용품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사출 압력 또는 용융 에너지를 현저히 감소시키지 않으며, 대부분의 가스-보조 사출 성형 종래 기술은 단지 총 부품 체적의 10 내지 50%, 그리고 보다 종종 총 부품 체적의 10 내지 25%인 공극 체적을 요구한다.
전기기계 칫솔 손잡이와 같은, 증가된 단면을 갖는 칫솔 손잡이를 생성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손잡이의 개별 부품들을 사출 성형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제조한 다음에, 이들 부품을 별개의 비-사출 성형 단계에서, 또는 후속 사출 성형 단계, 또는 가장 빈번하게는 이 둘의 어떤 조합 - 이에 의해 제1 단계 또는 단계들로부터의 개별 부품들이 우선 사출 주형 내로 삽입되고 하나 이상의 추가의 재료가 그들 주위에 사출되어, 다수의 부품으로부터 중공 몸체를 생성함 - 에서 조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여전히 사출 성형에 수반되는 플라스틱의 완전한 용융, 고압 및 관련 장비를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갖고, 또한 손잡이를 위한 개별-성형된 부품들의 주형내(in-mold) 및 주형외(out-of-mold) 조립 둘 모두와 관련되는 추가된 노동 비용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개별 부품들을 생성하기 위한 사출 성형의 사용은 또한 각각의 부품이 사출-성형된 부품의 오목한 표면을 형성하는 주형 코어가 성형 후 부품으로부터 추출될 수 없게 하는 임의의 상당한 언더컷(undercut)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주형 코어는 전형적으로 냉각수가 그것을 통해 가압되는 내부 채널로서 구현되는, 열을 냉각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한 어떤 메커니즘을 전형적으로 포함하여야 하며, 따라서 10 ㎜ 미만의 직경 및 150 ㎜를 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는 대부분의 수동 칫솔에 대한 내부 기하학적 형상을 생성하거나 형성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칫솔 손잡이 상의 다수의 단면적 변화 영역에 대한 요망과 조합된 비-언더컷 손잡이 부품을 제조하는 데 요구되는 코어의 길이 및 직경과 조합된 개별 부품들 내의 언더컷의 부재는 임의의 개별-조립되는 손잡이가 다수의 정합 표면을 가질 것을 필요로 할 것이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시일이 시간 및 반복된 사용 하에서도 습기 및 잔해(debris)에 대한 장벽(barrier)을 유지할 것을 필요로 할 것이다.
중공 성형 용품에의 부드러운 촉감 또는 제2 재료의 설치는 용접, 접착, 또는 그것에 대한 부드러운 촉감의 재료의 가요성의 사용과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 주된 용품에 사전-성형된 언더컷을 파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 모두는, 특히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재료로 제조된 덜 활성인 표면을 갖는 열가소성 물질에 대한 장기적인 점착에 있어서 불리한 점을 갖는다. 소비자의 욕실과 같은 예측 불가능한 상황 및 환경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다수의 구성요소로 제조된 내구성 있는 용품은 반드시, 예를 들어 일회용 용품 또는 패키지보다 더 강건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특히 전기기계 칫솔은 조립의 문제에 민감한데, 왜냐하면 그것들이 모두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내부에 배치되어야 하는 배터리, 모터 및 관련 전기 연결 장치와 구동 구성요소를 포함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중공형이기 때문이다. 플라스틱 부품들을 함께 용접하는 문제 및 비용과 밀봉된 외측 쉘(shell)의 다수의 조립 단계를 회피하기 위해, 전기기계 칫솔을 위한 손잡이를 블로우 성형하는 것이 제시되었다. 블로우 성형된 전기기계 칫솔의 조립에서, 모터, 배터리 및 구동 시스템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손잡이의 블로우 성형된 부분을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개방 상태로 두는 것이 필요하다. 이 공정에서, 사출 성형된 손잡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최소 직경은 삽입될 모든 구성요소의 최소 선형 치수를 초과하여야 한다. 그러한 큰 개구는 내부 구성요소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비-전기기계 손잡이에서 단점일 것이며, 종래 사용의 물, 페이스트, 타액 및 다른 파편의 침입 및 수집을 막기 위해 과도하게-큰 제2 부품 또는 캡을 필요로 할 것이다. 그러한 과도하게-큰 개구는 헤드 부근에 위치되면 브러시의 인체공학적 사용을 현저히 방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정확하게 내부에 위치되어야 하는 모터, 하우징, 배터리 등을 위치시키기 위한, 공동의 내부 표면 상의 기하학적 형상에 대한 추가의 제약이 또한 전체 블로우 성형 공정에 불리할 것인데, 왜냐하면 블로우 성형된 부품의 내측 공동 표면의 대부분이 주형 표면 내의 강 또는 다른 주형 재료에 의해 직접적으로 한정될 수 없고, 대신에 패리슨(parison)의 벽 두께, 블로잉 압력 및 원래의 패리슨 또는 예비성형체 두께에 대한 최종 부품의 연신율과 조합된 손잡이의 외측 표면 상의 강 또는 다른 주형 재료에 의해 간접적으로 한정되기 때문이다. 이들 공정 변수의 그러한 제약은 필연적으로 제조 효율을 제한할 것이다.
표준 버튼 또는 기계 스위치를 통한 전기 구성요소의 작동에 협조하기 위해, 블로우 성형된 전기기계 칫솔 손잡이의 적어도 일부 부분이 손가락 또는 손 압착의 압력 하에서 현저히 휘어지기에 충분히 얇게 제조되어야 한다. 그러한 얇은-벽 구조 또는 필름-벽 구조는 필연적으로 사용 하에서 내구성 및 강성을 보장하기 위해 어떤 강화 메커니즘을 필요로 한다. 국제 공개 WO 2004/07799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내부 프레임 또는 캡이 이러한 필요한 강화 메커니즘을 전기기계 칫솔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추가의 구성요소가 적절히 기능할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 수동 브러시에 대해 추가의 비용, 복잡성 및 추가의 하중-지지 부품 면에서 단점일 것이다. 또한, 전기기계 칫솔의 모터, 전원 및 구동 샤프트의 선형 특성으로 인해, 내부 공동의 단면적에 대한 변화가 전혀 없거나 최소한의 변화가 존재하여서; 내부 공동 벽은 원하지 않는 움직임 또는 이동을 감소시키거나 없애기 위해 내부 구성요소에 기계적 지지를 제공한다.
블로우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전기기계 칫솔 손잡이는 전형적으로 양 단부에 개구를 갖는 상태로 제조된다. 원위 단부(distal end)에는 전형적으로 구동 메커니즘을 통한 칫솔 헤드로의 동력의 기계적 병진에 협조하기 위한 개구가 있고, 근위 단부(proximal end)에는 전형적으로 제조 동안에 구성요소의 삽입과 가능하게는 또한 사용자에 의한 배터리의 삽입 또는 제거에 협조하기 위한 개구가 있다. 그러한 제2 개구는 수동 칫솔에 불필요할 것이고, 추가의 시일 및 기계적 체결구의 필요 면에서 단점을 생성할 것이다. 일부 블로우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부품의 원위 및 근위 단부들에 개구를 형성하는 것은 공정에 고유하고, 이중-개방-단부 손잡이의 형성에 유익할 것이지만, 수동 칫솔 손잡이에는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칫솔 손잡이를 단면 또는 크기에 대한 변화에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중량을 보다 가볍게 만드는 것에 몇 가지 이점이 존재한다. 보다 가벼운 손잡이는 칫솔질 동안에 치아로부터 강모를 통해 헤드로 손잡이로 손으로 전달되는 힘의 더 많은 촉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가벼운 칫솔 손잡이는 또한 제조 센터로부터 그것들이 사용자에 의해 구매되는 소매 센터로 더 큰 효율로 대량으로 출하될 것이다. 강성을 유지하면서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부 칫솔 손잡이는 대나무 또는 발사 나무(balsa wood)로 제조되지만, 이들 재료는 그것들이 편안하게 파지될 수 있는 복잡한 3차원 형상으로 쉽게 형성가능하지 않다는 점에서 단점을 갖는다. 또한, 이들 재료는 이방성인데, 이는 그들이 인가되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변하는 탄성 계수 및 항복 강도 또는 극한 강도를 가짐을 의미한다. 탄소-섬유 복합체와 유리-충전된 사출-성형된 플라스틱이 보다 가볍고 보다 강한 칫솔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이방성 재료의 다른 흔한 예이다. 따라서, 이들 재료로부터 제조된 용품은 사용에 흔한 굽힘력 동안에 파단에 저항하기 위해 그의 가장 강한 축 또는 '그레인(grain)'이 용품의 주 축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상태로 형성되어야 한다. 탄소 섬유 및 유리-충전된 열가소성 복합체는 또한 연성을 거의 갖지 않고서 취성 방식으로 파손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파손은 입 안에 배치되는 장치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들 재료는 본질적으로 경량, 굽힘 강도 및 부드러운 촉감, 고-마찰 그립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특성들 모두를 갖지는 않는다. 이는 형성 또는 기계가공 전 재료의 준비 시 추가의 필요 단계를 생성한다. 그레인의 이러한 정렬은 또한 일반적으로 재료의 쪼개짐의 발생이 칫솔질 중 손에 의해 인가되는 전형적인 힘에 정렬된 방향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점에서 나무에 특정 단점을 야기할 수 있다.
칫솔 손잡이를 나무와 같은 이방성 재료에 의존함이 없이 보다 가볍게 만들기 위해, 용품은 발포형 플라스틱과 같은, 불균질하지만 등방성인 재료의 사용을 통해 보다 가볍게 제조될 수 있다. 발포형 플라스틱은 그들이 재료 배향에 상관없이 중실 플라스틱보다 높은 강도-대-중량 비(ratio)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발포형 플라스틱으로 가능한 전체 중량 절감은 제한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중량 절감을 생성하는 플라스틱 내부의 기포가 인장 강도를 심하게 감소시키고 또한 파손 전에 연성을 심하게 감소시킬 응력 집중부를 또한 생성하기 때문이다. 발포형 플라스틱이 상당한 압축 강도를 제공할 수 있지만 (그리고 압축 파쇄에 대한 저항성과 조합된 재료 중량이 중요한 문제인 패킹 재료와 같은 응용에서 정확히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됨), 인장의 취약성은 굽힘 강도에 심하게 영향을 미치고, 통상적인 사용 동안에 굽힘 강도, 강성 및 연성을 유지하여야 하는 용품에서 균일하게-발포된 플라스틱이 하중-지지 요소의 역할을 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단일-구성요소 또는 단일-재료 경량 핸드-헬드(hand-held) 용품, 예를 들어 아이들의 장난감, 예를 들어 중공 플라스틱 배트, 골프 클럽 또는 중량이 보다 가벼운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임의의 큰 플라스틱 용품을 생성하기 위해 압출 블로우 성형을 사용하는 것이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들 용품이 굽힘시 단단하고 강할 수 있지만, 그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칫솔과 같은 반-내구성(semi-durable) 클래스-I 의료 장치에서의 그의 일반적 사용을 제한할 단점을 포함한다. 첫째, 그러한 용품은 전형적으로 분할선을 따라, 또는 패리슨이 단면적에 있어서 그것이 블로잉되는 공동보다 큰 임의의 위치에서 상당한 플래시(flash)를 포함한다. 이들 위치에서, 패리슨이 공동 내에서 절첩되거나 공동 파티 링(party ling)에서 떼어내지고, 상당한 플래시가 생성된다. 둘째, 대부분의 용품이 정확하게 또는 부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는, 구멍의 형태의 어떤 상당한 블로잉 흔적을 포함한다. 그러한 흔적은 효과적으로 배출되지 않는 오염 물질의 중공 내부로의 침입 또는 진입을 막아야 하는 클래스-I 의료 장치의 상당한 결함으로 간주될 것이다. 셋째, 이들 용품의 상대적 크기가 이들 결함의 크기에 비해 크고, 용품의 전체 기능이 이들 결함에 의해 심하게 영향받지 않는다. 많은 경우에, 용품 그 자체의 크기는 결함의 최소화에 관하여 제조 공정을 더 쉽게 만든다. 플라스틱 벽 두께가 전체 단면에 비례하여 최소화될 수 있으면, 수동 칫솔 손잡이에 흔한 크기 범위 내에서 용품, 패키지 또는 병을 압출 블로우 성형하는 것은 힘들지 않다. 그러한 용품은 내부 내용물의 분배를 가능하게 하지만, 또한 그들을 칫솔로서 사용할 수 없게 또는 상당히 열등하게 만드는 실제로 매우 얇은, 변형가능한 벽을 갖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작은, 전형적으로 압착가능한 튜브 또는 병의 형태로 존재한다.
깃털 총채(feather duster) 및 테이프 디스펜서와 같은 단일 구성요소 반-내구성 소비재를 위한 압출- 및 사출-블로우-성형된 손잡이가 또한 알려져 있지만, 이들 용품도 또한 특히 물 또는 다른 오염 물질의 침입에 대한 필요한 블로잉 오리피스의 밀봉에 관하여, 그리고 압출 블로우 성형의 경우에, 직접적으로 입구와 접촉하거나 그에 들어갈 영역에서 용품 상의 플래시의 출현 면에서, 반-내구성 클래스 I 의료 장치에 대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것이다. 이들 용품은 또한 취성일 수 있고, 너무 많은 힘이 인가될 때, 갑자기 그리고 연성 없이 깨지거나 부러질 수 있어, 날카로운 에지를 생성하여, 그들을 구강에 사용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물병과 같은 다수-구성요소 블로우 성형된 패키지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매끄러운 블로우 성형된 병에는 주형내 라벨링 기술의 사용을 통해 고-마찰 촉각 표면이 제공되어서, 이전에 사출-성형된 텍스처화된 라벨이 압출된 플라스틱의 반-용융된 패리슨의 도입 및 블로잉 전에 주형 공동 내로 배치된다. 이들 용품은 고-마찰 텍스처화된 표면의 추가에 의해 개선되는 큰 파지 표면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이들은 본래 액체 저장 및 분배를 위해 설계된 고도로 변형가능한 또는 압착가능한 패키지이며, 칫솔로서 불충분하게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수동 칫솔을 제조하는 것이 제시되었으며, 실제로 그러한 용품을 칫솔 또는 칫솔 손잡이의 일반적 형상 및 크기로 압출 블로우 성형, 사출 블로우 성형 또는 심지어 사출-연신 블로우 성형하는 것이 힘든 것으로 판명되지 않아야 하지만, 종래 기술의 어떠한 기존 개시도 굽힘 강도, 굽힘 강성, 전체 강성, 플래시 또는 다른 날카로운 결함의 완화, 단면적 및 언더컷의 변화, 및 블로우 구멍 흔적의 차단 또는 밀봉의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 블로우 성형된 칫솔 또는 칫솔 손잡이에 있어서의 이들 결함 중 임의의 것은 용품의 유용성에 심하게 영향을 미칠 것이며, 따라서 사용 중 깨짐 없이 굽힘 시에 적합하게 강하고 단단하며 사용자에 불편한 결함을 누출하거나 제공하지 않는 균일한 벽 두께에 의해 최대화되는 재료 절감을 갖는 중공 용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선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의 이들 단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회피하는, 내부 공동을 갖는 개선된 칫솔 또는 칫솔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칫솔 손잡이가 제공되며, 이 칫솔 손잡이는 말단 단부, 커넥터 단부, 외측 표면, 내부 공동, 및 종축을 포함하며; 내부 공동은 단면적을 한정하는 표면을 갖고; 내부 공동은 칫솔의 종축을 따라 2개의 보다 작은 단면적에 접하는 보다 큰 단면적, 또는 칫솔의 종축을 따라 2개의 보다 큰 단면적에 접하는 보다 작은 단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외측 표면은 외측 표면 단면적을 한정하고; 외측 공동 표면 및 내측 공동 표면으로부터 형성되는 벽을 포함하며; 칫솔 손잡이는 하나의 단일형(unitary)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외측 표면 단면적과 내측 공동 표면 단면적 사이의 차이는 종축을 따라 칫솔 손잡이 길이의 50% 이상에 걸쳐 25% 미만으로 변한다.
칫솔 손잡이가 제공되며, 이 칫솔 손잡이는 말단 단부, 커넥터 단부, 외측 표면, 내부 공동, 및 종축을 포함하며; 내부 공동은 단면적을 한정하는 표면을 갖고; 내부 공동은 칫솔의 종축을 따라 2개의 보다 작은 단면적에 접하는 보다 큰 단면적, 또는 칫솔의 종축을 따라 2개의 보다 큰 단면적에 접하는 보다 작은 단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외측 표면은 외측 표면 단면적을 한정하고; 외측 공동 표면 및 내측 공동 표면으로부터 형성되는 벽을 포함하며; 칫솔 손잡이는 하나의 단일형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칫솔 손잡이는 2개 이상의 재료 층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손잡이의 사시도.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선 1A를 따른 도 1의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선 1B를 따른 도 1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손잡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손잡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손잡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손잡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손잡이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선 6A를 따른 도 6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선 7A를 따른 도 7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손잡이의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선 8A를 따른 도 8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손잡이의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선 9A를 따른 도 9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손잡이의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선 10A를 따른 도 10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손잡이의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선 11A를 따른 도 11의 단면도.
도 12는 분석 방법의 도해.
도 13은 분석 방법의 도해.
도 14는 굽힘 편향(deflection) 대 비중(specific gravity)을 보여주는 차트.
본 발명은 내부 공동 또는 외측 표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상에서 상이한 색, 형태, 및 표면 장식을 가질 수 있는 단일형 단일-구성요소 칫솔 손잡이와 같은, 내부 공동을 갖는 개인 케어 용품에 관한 것이다. 칫솔 손잡이는 단일 성형 단계에서 제조될 수 있다. 내부 공동은 칫솔의 길이를 따라 단면적이 변하며, 여기서 내부 공동은 본질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 셀 폼 재료에 비해 개방형이다. 칫솔 손잡이는 단일형 피스(piece)이지만, 라벨, 그립 구조체 등과 같은 별개의 비-구조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내부 공동은 칫솔 손잡이의 외측 표면에의 개방 없이 밀봉된다. 소정 실시예에서, 단일형 칫솔 손잡이는 상이한 재료의 개별 영역들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제조 공정의 일부로서 서로에 본질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된다.
개인 케어 용품은 소비자의 개인 건강, 미, 차림새, 또는 다른 신체 또는 사람 생체 시스템 케어, 유지, 향상 또는 개선에 대한 이득을 저장, 분배, 적용 또는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이템이다. 개인 케어 용품의 예는 칫솔, 칫솔 손잡이, 면도기, 면도기 손잡이, 몹(mop) 손잡이, 진공 손잡이, 화장 또는 미용 어플리케이터, 피부 케어 어플리케이터, 여성 위생 어플리케이터, 모발 케어 어플리케이터, 모발 착색제 어플리케이터, 또는 모발 케어 용품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개인 케어 용품, 즉 말단 단부(12) 및 커넥터 단부(14)를 갖는 칫솔 손잡이(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칫솔 손잡이(10)는 단일 피스로서 단일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 공동(30) 및 외측 표면(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손잡이 외측 표면(5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표면(50)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단면의 총 면적인 단면적(OSCA)이 손잡이(10) 종축(L)을 따라 변하며; 이 실시예에서, 손잡이(10)는 실질적으로 모래시계 모양인 형상을 갖는다. 내부 공동(30)은 내측 공동 표면(32)을 가지며, 여기서 내측 공동 표면(32)은 단면적(ICCA)이 손잡이 종축(L)을 따라 변한다.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실시예에서, 손잡이(10)의 내부 공동(30)은 손잡이(10)의 종축(L)을 따라 보다 큰 단면적 ICCAG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보다 작은 단면적 ICCAL1, ICCAL2에 접하는 하나 이상의 보다 큰 단면적 ICCAG을 갖는다. 손잡이(10) 내부 공동(30)은 또한 손잡이(10)의 종축(L)을 따라 보다 작은 단면적 ICCAL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보다 큰 단면적 ICCAG1, ICCAG1에 접하는 보다 작은 단면적 ICCAL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실시예에서, 내측 공동 표면(32) 단면적의 제곱근은, 내부 공동(30)이 밀봉되는 칫솔 손잡이의 말단(12) 및 커넥터 단부(14) 부근의 영역을 제외하고는, 손잡이(10)의 종축(L)을 따라 외측 표면(50) 단면적의 제곱근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내측 공동 표면 단면적의 제곱근은, 칫솔 손잡이의 말단 및 커넥터 단부 부근의 영역을 제외하고는, 손잡이(10)의 종축(L)을 따라 외측 표면 단면적의 제곱근의 변화에 비례하여 5% 미만으로 변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칫솔 손잡이 벽의 두께, 칫솔 손잡이 외측 표면과 내측 공동 표면 사이의 거리는 외측 표면 단면적의 제곱근에 반비례하여 변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외측 표면 단면적(OSCA)과 내측 공동 표면 단면적(ICCA) 사이의 차이는 종축을 따라 칫솔 손잡이 길이의 50%, 70%, 80%, 90% 이상에 걸쳐 약 25%, 20% 15%, 10%, 5% 미만으로 변한다. 예를 들어, 이들 실시예에서, 보다 큰 외측 표면 단면적을 갖는 칫솔 손잡이의 영역은 (보다 작은 외측 표면 단면적을 갖는 영역과 비교해) 더 얇은 벽을 가질 것인데, 그 이유는 압출 블로우 성형 공정 동안에 재료가 더 큰 정도까지 연신되었기 때문이다.
소정 실시예에서, 도 2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0)는 별개의 목부(neck)(150) 및 헤드(160)와 함께 칫솔(100)의 일부일 수 있다. 손잡이(110)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종축(L), 말단 단부(112), 커넥터 단부(114), 외측 표면(116) 및 내부 공동(118)을 포함한다.
또한, 손잡이(110)는 목부(150) 내의 상호보완적인 커넥터(152)와 맞물려 칫솔(100)을 형성하는 커넥터(120)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20, 152)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식으로 손잡이(110)와 목부(150) 사이의 해제가능한 또는 영구적인 연결을 허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20, 152)에는 나사결합 나사산과 같은 연결 특징부가 제공될 수 있어서, 2개의 커넥터(120, 152)는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커넥터(120, 152) 중 하나는 상대 커넥터(120, 152)의 암형(female) 부분 내의 정합 언더컷에 대응하는 벌지(bulge), 리브(rib), 또는 후크(hook)와 같은 연결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 스냅 끼워맞춤(snap fit)을 사용해 그 부분을 부착시키기 위함 -. 베이어닛 피팅(bayonet fitting)이 또한 마찰 또는 간섭 피팅 또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른 일반적인 플라스틱 부속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에 추가해 또는 그 대신에, 접착제, 용융, 초음파 용접 또는 마찰 용접과 같은 연결 수단이 손잡이와 목부를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중공 손잡이 내의 커넥터는 전형적으로 중실형인, 사출 성형을 사용해 제조된 커넥터에 비해 이점을 제공하는 연결 특징부를 갖는다. 첫째, 연결 특징부가 일반적인 열가소성 물질로부터 제조되는 경우, 수형(male) 삽입 특징부와 같은 연결 특징부는 중실형으로 제조되는 때보다 중공형으로 제조될 때 직경이 물리적으로 더 클 수 있다. 연결 특징부가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서 더 크게 제조될 때, 부품이 주형 내에서 냉각되는 시간은 직경의 제곱에 대략 비례하여 증가하며, 일관된 기하학적 형상을 유지하는 능력은 보다 어려워진다. 또한, 내부 공동이 커넥터 내로 연장되는 경우, 내측 공동 표면은, 예를 들어 목부 내의 보완 커넥터가 커넥터 내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나사결합 또는 마찰 피팅과 같은 커넥터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수 밀리미터 초과의 두께인 사출 성형된 부품은 또한 싱크 마크(sink mark)가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열가소성 부품의 응고-기반 수축의 징후이다. 싱크 마크는 제어하기가 어려우며 그렇기 때문에 정밀 기하학적 형상이 요구되는 임의의 위치, 예를 들어 스냅-끼워맞춤 또는 나사-끼워맞춤 연결 영역, 또는 수밀 시일(water-tight seal)을 생성하기 위해 간섭 끼워맞춤에 의존할 임의의 영역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중공 연결 특징부는 사출 성형에서, 그리고 심지어 사출 성형된 칫솔 손잡이에서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들은 말단 단부로부터 생성되거나 코어링(coring)되어야 하며, 커넥터 단부에서 단일 오리피스로부터 중공형 및 언더컷으로 될 수 없다. 커넥터 단부에서 중공형인 사출 성형된 부품은 반드시 연결 지점에서 그의 최대 내경을 가질 것이며, 이에 따라 기하학적 형상이 심하게 제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60)는 강모 또는 강모의 터프트(tuft)(162)와 같은 복수의 세정 요소를 지지한다. 강모 또는 강모의 터프트는 나일론, PBT, 및 TPE를 포함할 수 있다. 강모 또는 강모의 터프트에 더하여, 본 발명의 칫솔 헤드는 구강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세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적합한 세정 요소는 탄성중합체 마사지 요소, 탄성중합체 세정 요소, 마사지 요소, 혀 세정기, 연조직 세정기, 경질 표면 세정기,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한다. 헤드는 다양한 세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 특징부를 통해 커넥터 단부에서 손잡이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헤드는 강모, 연마 탄성중합체 요소, 특정 배향 또는 배열의 탄성중합체 요소, 예를 들어 선회 핀, 프로피 컵(prophy cu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세정 요소 및/또는 마사지 요소의 일부 적합한 예가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251040호; 제2004/0154112호; 제2006/0272112호; 및 미국 특허 제6,553,604호; 제6,151,745호에 기술되어 있다. 세정 요소는 테이퍼 형성되거나, 노치 형성되거나, 주름이 잡혀있거나, 패여 있거나 등일 수 있다. 이들 세정 요소 및/또는 마사지 요소의 일부 적합한 예가 미국 특허 제6,151,745호; 제6,058,541호; 제5,268,005호; 제5,313,909호; 제4,802,255호; 제6,018,840호; 제5,836,769호; 제5,722,106호; 제6,475,553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080794호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세정 요소는 칫솔 헤드 상에 임의의 적합한 방식 또는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200)은 헤드(214)에 연결된 목부(212) 및 손잡이(210)를 포함할 수 있거나, 다른 소정 실시예에서, 칫솔(230)은 분리된 손잡이(232), 목부(234), 및 헤드(236)를 포함할 수 있다 - 이 분리된 부품들은 상기에 열거된 연결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해 연결될 수 있음 -.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에서, 칫솔 손잡이는, 예를 들어 상이한 촉각 표면을 생성하도록 다수의 재료 층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재료의 층은 칫솔 손잡이 외측 표면 상에 또는 그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층 실시예에서, 내측 또는 기재 층은 주된 하중-지지 재료인 제1 재료로부터 제조되며 전형적으로 후속 외측 층보다 두껍고; 외측 층은 젖은 또는 건조한 피부와의 더 높은 마찰 계수, 또는 다른 개선된 촉각 특징부를 가질 수 있는 보다 연질의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다층 개인 칫솔 손잡이(300)의, 도 6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 실시예에서, 재료의 층들은 완전히 동심형(concentric)일 수 있으며, 여기서 내측 재료 층(320)의 외측 표면(332)의 전부 또는 거의 전부는 외측 재료 층(330)의 내측 표면(331) 전체 또는 거의 전체에 일체적으로 인접하게 놓여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도 7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의 층들은 칫솔 손잡이(400)의 외측 표면(420)의 둘레 주위에서 반경방향으로 변하여, 예를 들어 칫솔 손잡이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층 재료(430) - 이는 제1 층 재료(410)와는 상이한 색, 경도, 듀로미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음 - 의 스트립 또는 스트립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00) 상의 재료 층들은 반경방향 및 축방향 둘 모두로 변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재료의 하나 이상의 층은 손잡이(500)의 종축(L)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 또는 스트립들(530)로 보일 수 있다. 스트립 또는 스트립들(530)은 내부 공동(510)을 포함 및 형성하는 재료의 내측 층(520)을 덮는다. 소정 실시예에서, 칫솔 손잡이의 외측 표면 상에 또는 그 내에 존재하는 제2 재료의 외측 층은, 칫솔 손잡이 외측 표면 상에 또는 그 내에 또한 존재하는 제1 층 재료와 비교해, 작고 칫솔 손잡이 외측 표면의 원주의 50%, 40%, 30%, 20%, 20%, 또는 5% 미만을 점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더 연질인 또는 더 높은 마찰 재료로부터 제조된 촉각 층이 칫솔 손잡이 외측 표면 원주의 50% 이상을 점유할 수 있다.
다층 칫솔 손잡이의 소정 실시예에서, 재료 층 두께는 칫솔 손잡이 종축, 원주, 또는 둘 모두를 따라 변할 수 있다. 압출 블로우 성형의 경우에, 이는 단일 부품의 압출 과정에 걸쳐 압출 오리피스의 상류측에서 둘 이상의 재료의 유량 및/또는 상대적 압출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도 9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재료 층(620) 및 제2 재료 층(630)의 두께는 칫솔 손잡이(600)의 종축(L)을 따라 변할 수 있다. 칫솔 손잡이(700)의 소정 실시예에서, 도 10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재료 층(730)은 제2 재료 층(730)을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1 재료 층(720)을 통해 부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료 층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투명하거나 반투명일 수 있다. 제1 재료 층(720)은 칫솔 손잡이(700)의 원주 주위에서 두께가 변할 수 있어, 제2 재료 층(730)은 다른 부분과 비교해 칫솔 손잡이(700)의 부분들을 따라 외측 표면(710)에 더 가깝다. 제2 재료 층(730)이 눈에 띄게 제1 재료 층(720)과는 상이한 경우, 예를 들어 상이한 색, 재료, 또는 텍스처의 경우, 그 차이는 제2 재료 층(730)이 외측 표면(710)에 더 가까운 칫솔 손잡이(700)의 부분에서 보다 뚜렷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재료 층이 착색되어 있고 제1 재료 층이 반투명인 경우, 제2 층 재료의 색은 그것이 외측 표면에 더 가까운 칫솔 손잡이의 부분에서 보다 뚜렷하거나 보다 선명할 것이다.
최대 7개 층을 갖는 압출 블로우 성형된 용품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으며, 그러한 층들은 증기 장벽, 물 장벽, 가스 장벽, 냄새 장벽, 화학적 장벽, 재활용 콘텐츠, 저-비용 재료 콘텐츠(즉, 충전제), 또는 열 또는 특정 파장 또는 일반적인 파장의 광 - 적외광, 가시광 및 자외광을 포함 - 으로 인한 반응, 반투명, 투명, 또는 색을 경제적으로 포함하기 위한 고-비용 재료 콘텐츠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 단부 부근의 영역에서 최외측 층으로서, 예를 들어 10 내지 80의 쇼어 A 경도의, 보다 연질의 요소를 포함하는 다층 압출 블로우 성형된 칫솔 손잡이는 또한 보다 연질의 재료가 폴리프로필렌 또는 대부분의 다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더 경질의 재료에 비해 부착가능한 헤드 또는 목부에 대한 어떤 추가의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촉각 그립을 제공하기 위해, 주형내 라벨링을 통해 제조되는 다층 칫솔 손잡이의 소정 실시예에서, 고-마찰 또는 저-듀로미터 가요성 재료의 압출된 시트가 먼저 사전결정된 형상으로 다이 커팅되어 라벨 또는 쿠폰을 형성할 수 있거나, 그러한 라벨은 사출-성형, 열성형(thermoforming), 또는 다른 성형 단계를 통해 3차원 텍스처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이한 촉각 그립의 영역들 사이의 전이는 뚜렷하고, 급격하고, 정밀할 수 있다. 매우 세밀한 설계 및 형상이 라벨에 대해 가능하다. 도 11 및 도 11a는 라벨(830)이 본질적으로 내측 층(820)에 접합된 칫솔 손잡이(8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라벨은 라벨이 칫솔 손잡이의 3차원 형상 또는 윤곽을 밀접하게 따르도록 변형되기에 충분히 얇게 제조될 수 있다. 쇼어 A 30 내지 50 범위의 폴리프로필렌계 TPE로부터 제조된 라벨은 손잡이의 외측 표면의 적절한 형성을 보장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부품 벽이 1 내지 3 ㎜ 두께일 때 0.25 ㎜ 미만의 두께일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라벨은 사전-텍스처화될 수 있다.
텍스처는 매크로 구조물, 마이크로 구조물, 또는 둘 모두를 가질 수 있다. 매크로-구조물은 촉각 리브, 돌기(boss), 딤플(dimple) 또는 범프(bump)와 같은 0.1 ㎜ 초과의 길이 규모의 텍스처 또는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마이크로-구조물은 그릿-블라스트 텍스처(grit-blasted texture), 매트 텍스처(matte texture), 위트니스 라인(witness line) 또는 분할선과 같은 0.05 ㎜ 미만의 길이 규모의 텍스처 또는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소정 실시예에서, 다층 칫솔 손잡이는 칫솔 손잡이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제1 구성요소 및 칫솔 손잡이의 소부분을 형성하는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구성요소는 층의 내측 표면 또는 외측 표면 중 어느 하나에 수직으로 측정 시 두께가 0.4 ㎜ 미만이고 면적이 1 ㎠ 초과일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보다 더 높은 마찰 계수 및 더 낮은 듀로미터를 갖는 재료이고, 제2 재료를 포함하는 층의 내측 표면 또는 외측 표면 중 어느 하나에 수직으로 측정 시 실질적으로 전체에 걸쳐 0.2 ㎜ 미만의 두께를 가지며, 10 ㎠ 초과의 총 노출 표면적을 갖는다.
중공 칫솔 손잡이가 그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재료는 다음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야 한다: (1) 굽힘 및 축방향 하중에 대한 강도 또는 저항력, (2) 취성의 반대로서의 인성, (3) 클래스 I 의료 장치 요건, (4) 다양한 치약 및 그 내의 활성 화학물질과의 화학적 상용성, (5) 칫솔에 전형적으로 부착되는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어 데칼(decal), 인쇄 잉크, 라벨, 그립 요소, 헤드 또는 목부 요소 등과의 화학적 상용성, 및 (6) 압출 블로우 성형, 사출 블로우 성형 또는 사출-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최종 기하학적 형상으로 가공하는 능력. 상기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재료의 예는 폴리프로필렌, 나일론(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저밀도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페닐렌 옥사이드를 포함한다. 블로우 성형 공정이 사용되는 경우, 0.3 내지 3.0 g/10분의 용융 유동 지수를 갖는, 블로우-성형-등급 열가소성 물질을 비롯한, 이들 재료 또는 다른 열가소성 물질의 임의의 하위-유형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물질 이외에 이 요건들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재료는 거의 없지만, 블로우 성형된 금속 물체가 알려져 있으며, 지르코늄의 일부 합금이 블로우 성형 기술을 사용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칫솔의 경우, 소정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료는 바로 위에서 언급된 목록으로부터의 것이고, 제2 재료는 동일한 목록으로부터, 또는 열-활성화 점착 및 개선된 파지, 편향, 및 피부와의 마찰 계수를 허용하기 위해 어떤 분율(fraction)로 상기 목록 내의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압출 블로우 성형으로부터 제조되는 것과 같은, 내부 공동을 갖는 칫솔 손잡이의 경우, 밀봉을 허용하고 물 또는 오염 물질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칫솔 헤드 또는 목부로 유체 블로우 구멍 또는 구멍 흔적을 덮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압출 블로우 성형으로부터 제조되는 칫솔 손잡이의 경우, 블로우 구멍을 덮을 뿐만 아니라, 블로잉 전에, 압출된 패리슨 외경이 국부 주형 공동 직경보다 클 수 있는 곳에서, 공동 폐쇄 동안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임의의 플래시, 핀치(pinch) 또는 절첩 결함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결함은 또한 니들 블로우 실시예에서, 또는 교정-목부(calibrated-neck) 실시예에서, 또는 블로잉된 부품의 내측 표면을 형성하는 데 니들 또는 금속 블로잉 노즐 어느 것도 사용하지 않는 실시예에서 발생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내부 공동을 갖는 칫솔 손잡이는 칫솔질 중 개선된 기민성 또는 인체공학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통상적으로 종래의 형상의 중실 브러시에서 가능한 것에 비해 기하학적 중심보다 헤드에 보다 근접한 무게 중심을 가질 수 있거나, 무게 중심은 예를 들어 치아로부터 헤드로 손잡이로 전달되는 힘의 개선된 촉각 반응을 제공하는, 예를 들어 영구적으로-장착된 중량체(weight)를 손잡이의 중공 부분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중실 균질 브러시에서 가능한 것보다 헤드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져 놓일 수 있다. 무게 중심의 그러한 조작은 손잡이의 외면 상에 나타나는 형상, 재료 또는 색과 같은 설계 요소에 대한 손상 없이 보관 또는 칫솔질 중 취급에 추가의 이득을 제공한다. 또한, 내부 공동을 갖는 칫솔 손잡이는 임의의 원료 또는 하중-지지 요소(나무 또는 탄소 섬유와 같은, 그레인을 갖는 재료와는 대조적으로)의 특정 배열 또는 정렬의 우려 없이 심한 칫솔질 중에도 굽힘에 저항하기에 충분한 모듈러스 또는 강도를 유지하면서 소정 실시예에서 0.60 g/㎤ 미만의, 또는 플라스틱에서는 0.20 g/㎤ 또는 금속에서는 0.10 g/㎤ 미만의 비중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실질적으로 중실형이고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같은 일반적인 등방성 균질 재료로 제조되는 칫솔 손잡이에서는 달성하기 어렵다.
내부 공동을 갖는 본 발명의 칫솔은 전형적인 중실 수동 칫솔 또는 전기기계 칫솔을 사용할 때와 같은, 칫솔질 중 칫솔에 인가되는 과도한 힘의 양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대략 5.0 N 초과의 힘으로 표준 터프트형성된 수동 칫솔에 의한 지속적인 반복된 칫솔질은 시간 경과에 따라 잇몸 조직의 상실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중 이러한 힘이 초과될 때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통합된 피드백 시스템을 갖는 전기기계 칫솔이 존재한다. 이는 상당한 비율의 칫솔 사용자가 칫솔 헤드를 통해 최대 5.0 N의 힘을 인가하는 것을 암시한다. 중실 균질 등방성 재료로 제조된 균일한 직사각형 단면의 예시적인 칫솔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립에서 모델링될 수 있다. 사용 시 굽힘 중 이 그립에서 칫솔의 헤드의 편향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리고 ASTM D 790에 개시된 바와 같은 3점 굽힘에서 재료의 평평한 바아(bar)의 굴곡 탄성률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정식으로부터 근사화될 수 있다.
내부 공동을 갖는 칫솔 손잡이(중공 칫솔)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종축에 수직으로 하중이 인가될 때 굽힘에 대한 저항 또는 강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칫솔 손잡이 재료는 통상의 사용 중 심하게 굽혀지고, 부정적인 경험을 초래하거나, 치아를 적절히 세정하기에는 불충분한 힘을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최대한 경량인 칫솔 손잡이의 구성을 위한 후보 재료를 평가하기 위해, 여기서 손잡이의 굽힘 강도 대 그의 전체 비중에 대한 비를 도 13에 도시된 특정 하중 인가 경우 하에서의 측정된 편향으로 정의한다.
도 14의 차트는 등방성 균질 재료로 제조된 중실 손잡이; 복합물 또는 불균질 비-등방성 재료로 제조된 손잡이; 및 다른 등방성 균질 재료로 제조된 중공-손잡이의 단순 직사각형 비임형 근사물에 적용된 이러한 비를 예시한다. 차트의 결과는 도 13의 장치에 대한 굽힘의 분석 방정식으로부터 또는 이방성 재료와 같은, 분석 형태로 풀 수 없는 재료의 유한-요소 분석에서의 예측된 굽힘으로부터 얻어진다. 이러한 차트로부터, 등방성 균질 재료로 제조된 중실 손잡이가 가공된(engineered) 등방성 균질 중공 손잡이에 의해 달성가능한 굽힘 강도-대-중량 비를 달성할 수 없는 것이 명확하다.
모든 중공 용품이 엄지손가락-받침점과 브러시 헤드 사이에서 칫솔에 인가되는 것에 전형적인 거리를 두고 주 축에 수직으로 인가되는 5 N의 굽힘력을 견디기에 충분한 굽힘 강도를 갖지는 않는다. 분명히, 모든 블로우 성형된 용품이 임의의 하중 상황에서 그러한 힘을 견딜 수 있지는 않으며: 물병과 같은 많은 블로우 성형된 패키지는 팰릿에 적층하기 전에 충전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그들이 그들 위에 있는 수개의 빈 병의 중량 하에서도 상당히 압축 변형할 정도로 그의 벽이 충분히 얇기 때문이다. 칫솔 및 칫솔 손잡이를 그들이 가능하게는 불투명한 재료 또는 다른 장식의 사용으로 인해 강하게 보이도록, 대체로 약한 재료의 사용을 통해 또는 극히 얇은 벽의 제조를 통해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손잡이로부터 제조된 칫솔은 중력 또는 약한 힘 하에서 찌부러지지 않을 것이고, 패키징 상태에서 또는 비-사용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강건하게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의도한 대로 사용하기에 또는 구강 건강을 유지하는 데 충분한 칫솔질 힘을 전달하기에 불만족스럽거나 불가능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모가 장착되는 표면 상에 헤드에 수직으로 인가되는 5.0 N 힘 하에서 40 ㎜ 초과로 변형되는 칫솔 또는 칫솔 손잡이는 사용 시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소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칫솔 손잡이는 강모가 장착되는 표면 상에 헤드에 수직으로 인가되는 5.0 N 힘 하에서 약 40 ㎜ 미만으로 변형된다. 소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칫솔 손잡이는 강모가 장착되는 표면 상에 헤드에 수직으로 인가되는 5.0 N 힘 하에서 약 20 ㎜ 미만으로 변형된다. ASTM D 790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하중 하에서 굽혀지는 샘플은 도 12에 도시된 하중 지점에서의 편향에 대해 굽혀지고 측정되는 샘플만큼 많이 하중 지점에서 대략 25% 편향되어야 해서, 5.0 N의 인가된 하중 하에서 10 ㎜ 초과로 편향되는 ASTM D 790에서 굽혀지는 샘플은 너무 약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소정 실시예에서, 5.0 N의 인가된 하중 하에서 5 ㎜ 초과로 편향되는 샘플은 너무 약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등방성 불균질 재료는 이 차트로부터 또한 경량 손잡이에 대한 후보로 보이지만, 이들 재료는 발포 공정의 결과인 기포로 인한 응력 집중으로 인해 본질적으로 부서지기 쉽다. 전술된 차트는 하중 하에서의 예측된 또는 이론적인 편향만을 예시하며, 재료의 극한 강도를 고려하지 않는다. 도시된 발포체로 제조되는 칫솔은 전형적인 칫솔질 중 사용되는 것보다 훨씬 작은 하중에서의 굽힘 상태에서 인장력을 받는 표면에서 파단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균일한 벽 두께를 갖는 중공 칫솔 손잡이는 재료를 그것이 최소 필요 강도로 최대 굽힘 모멘트를 지탱할 수 있는 최외측 직경부 또는 굽힘 축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재료의 최소 사용으로 굽힘에 대한 원하는 저항을 제공한다. 재료의 이러한 선택적인 배치는 굽힘 모멘트에 의해 유발되는, 재료 요소에 인가되는 축방향 힘을 자연적으로 감소시키고, 손잡이가 중실 재료로 제조되거나 주로 중립 축에 배치된 재료를 갖는 경우보다 인가된 수직력 또는 굽힘 모멘트의 단위당 재료 요소에 대한 더 작은 변형률을 생성한다. I-비임이 중립 축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진 재료의 선택적 배치의 일반적인 예이지만, I-비임은 상이한 축을 중심으로 굽혀질 때 매우 상이하게 굽힘에 저항한다. 중공 칫솔과 같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또는 심지어 대략 둥근 중공 부품이 다양한 축을 중심으로 하는 굽힘 시 적절한 강도를 제공할 것이며, 이는 핸드 헬드형이고 많은 상이한 배향으로 규칙적으로 사용되며 거의 임의의 굽힘 축을 중심으로 하중을 지탱하여야 하는 칫솔과 같은 개인 케어 용품에 필요하다.
그러나, 모든 중공 칫솔 설계가 위에서 편향-대-비중 비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굽힘에 대한 충분한 저항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칫솔의 벽이 굽힘에 대한 적절한 저항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두껍도록 칫솔을 제조하는 것보다 매우 얇은 가요성 벽을 갖는 압출 블로우 성형된 칫솔을 제조하는 것이 더 쉽다. 모든 압출 블로우 성형된 용품의 경우, 용품의 외부 표면 내에 현저한 절첩부 또는 플래시 라인의 생성 없이 생성될 수 있는 벽의 두께의 상한이 존재한다. 이러한 상한은 중공형으로 만들어지도록 의도되는 용품의 부분의 최소 외주, 블로잉 전 압출된 재료의 출발 두께, 및 블로잉된 섹션의 초기 원주 대 블로잉된 섹션의 최종 원주의 비에 의해 좌우된다. 출발 재료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그의 보다 많은 부분이 정합되도록 의도되는 주형 표면 사이에 포획되어, 흔히 플래시로 알려져 있는, 성형된 용품의 전부 또는 일부 주위에 평평한 섹션을 생성할 수 있다. 적은 양의 플래시라도 그러한 플래시를 갖는 중공 칫솔 손잡이는 특히 플래시가 작을수록 그것이 더 날카로워지거나 그의 촉감이 더 날카롭게 느껴지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불만족스러울 것이다.
재료의 탄성 및 강도가 또한 굽힘에 대한 저항의 한 요인이 되는데: 예를 들어 충분한 강성을 갖고 PET-G와 같은 비교적 강한 재료로 제조되는 블로우 성형된 칫솔은 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 및 벽 두께로 성형될 때 유용한 것으로 고려되기에 너무 약할 수 있다. LDPE와 폴리프로필렌 사이에서도, 폴리프로필렌 칫솔이 사용자에 의해 눈에 띄게 더 강성인 것과 같이,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 및 벽 두께로 성형될 때 LDPE 칫솔보다 충분히 더 강할 수 있다.
충분한 굽힘 강도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벽 두께는 재료 탄성 계수뿐만 아니라 칫솔 축방향 중심선으로부터의 벽의 그 섹션의 거리에 따라 변할 것이다. 제1 근사치까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 칫솔은 동일한 굽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다 작은 벽 두께를 필요로 할 것이지만, 벽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찌부러짐 또는 압착에 의한 치명적인 굽힘에 관한 가능성이 가능하게 되어서, 매우 큰 단면 또는 직경에서도 벽 두께에 대한 하한이 또한 존재한다. 칫솔에 대한 근사 평균 벽 두께를, 플라스틱에 의해 점유되는 체적을 중공 손잡이의 내측 표면적 및 외측 표면적의 평균으로 나눈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평균 벽 두께는 0.3 ㎜ 내지 5.0 ㎜, 또는 1.0 ㎜ 내지 3.0 ㎜일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둘 이상의 층을 갖는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칫솔 손잡이 벽의 두께 및 개별 층들의 두께는 칫솔 손잡이 종축을 따라 약 20%, 10% 또는 5% 미만으로 변한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에서, 그의 길이가 60 ㎜ 내지 180 ㎜이고, 7.0 g 내지 12.0 g의 중량을 가지며 재료가 중공 부분의 벽 주위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는 폴리프로필렌 칫솔 손잡이는 0.5 g/㎤ 미만의 전체 비중을 갖는다.
굽힘 강도에 더하여, 중공 칫솔 손잡이 제조 시 편리성 및 강성이 어떤 유용한 또는 장식적인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비-점유된 내부 체적을 사용하는 것의 이점이다. 그러한 요소는 주로 전자 시스템, 전기기계 시스템, 주로 기계 시스템, 및 장식 요소와 같은 조립된 중공 브러시에 일반적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타이머, 알람, 변환기, 가속도계, 라이트, 스피커, 증폭기, 저항기, 커패시터, 인덕터, 트랜지스터, 회로, 회로 기판, 인쇄 전자장치, 전자 잉크 및 기판, 솔더(solder), 와이어, 및 유사한 구성요소와 같은 전자 요소가 기능 또는 부분-기능 시스템 내에 사전-조립될 수 있고, 중공 칫솔 손잡이 내의 공극 영역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움직임의 제한을 제공하기 위해 언더컷에 맞대어진 또는 그 부근의 배치 또는 위치에 의해, 특히 손잡이 내의 언더컷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은 또한 시스템에 통합된 요소들 사이의 또는 칫솔 공동 외부의 요소에 대한 전기 절연 또는 전도성 또는 반-전도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층 시스템의 내측 층을 이용할 수 있다. 이의 예는 손잡이의 내부에 위치된 와이어의 코일의 배치 및 작동에 의해 외부 전기장으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하는 유도 충전 시스템일 것이다. 이는 전동 칫솔을 사용하지 않을 때 재충전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이들 시스템 및 요소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치아의 칫솔질 중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타이머, 칫솔질 중 과도한 힘의 사용을 막기 위한 힘 센서, 칫솔의 예상 수명이 도달될지도 모를 때 사용자에게 알리는 지시기 요소, 칫솔질 중 노래 또는 게임을 하기 위한 라이트 또는 소리, 내부에 생성된 일정 소리를 공명 또는 감쇠시키기 위한 중공 공극의 기하학적 특성의 사용, 시스템을 고전위 또는 저전위 전압으로 충전시키기 위한 정전기 발생기, 우수한 칫솔질 습관이 유지되면 잘 자랄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고통받거나 죽을 '전자 애완 동물(electronic pet)' 또는 다마고치(tamagotchi)의 생성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회전 모터, 선형 모터, 영구-자석 직류 모터, 압전 변환기, 버튼, 토글 스위치, 임시 스위치, 자석, 리드 스위치와 같은 전기기계 시스템이 또한 독립적으로, 또는 좀 더 가능성이 많게는 사용자에게 추가의 이득 또는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전기 요소 및 시스템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는 진동 촉각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한 모터의 사용, 칫솔질 중 기계 에너지를 획득하고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피에조-변환기 또는 유도 전기 시스템의 사용, 전기 또는 전기기계 시스템을 작동 및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의 사용, 유도 시스템 내의 요소로서의 또는 외부 전기 시스템에 대한 검출을 제공하기 위한 자석의 사용, 측정 및 피드백하기 위한 변형률 게이지의 사용 또는 브러시 내의 임의의 점에서 만족스러운 촉감을 생성하기 위한 진동-유도 모터 또는 오프셋-웨이트 모터(offset-weight motor)의 사용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기계 스위치의 사용을 위해, 추가의 단계에서 밀봉되어야 하는 오리피스를 생성함이 없이 내부-장착된 스위치의 단단한 벽을 통한 편향을 허용할 수 있는 변형가능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칫솔 손잡이의 벽을 전부가 아닌 일부 영역에서 선택적으로 얇게 만드는 것이 또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고체, 액체, 기체, 콜로이드, 자석, 살아 있는 또는 유기 요소, 상-변화 또는 화학-전이 요소, 색-변화 요소, 감온 변색(thermochromatic) 요소 등과 같은 주로 기계 시스템이 중공 칫솔 손잡이 내에 소비를 위해 후속 분배의 의도로 또는 영구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소비가능한 충전 요소의 예는 치약, 오랄 린스, 미백제, 브레스 프레쉬너(breath freshener)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고체의 예는 고체 형태의 철, 아연 또는 다른 금속과 같은, 장치에 중량 또는 무게를 추가하도록 형상화 및 설계된 용품; 단색 또는 다색의 실리카 또는 다른 입상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액체로부터 제조되는 용품은 에멀전, 혼합물, 용액, 및 오일 및 물과 같은, 쉽게 분리되는 위의 것들의 조합을 비롯한 물, 오일, 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장치 내에 배치된 자석은 철 재료 또는 용품, 예를 들어 가구류 하드웨어 또는 냉장고 또는 가전 제품 도어에 대한 연결/상호작용 또는 보관의 이점을 추가할 수 있다. 자석은 또한 그들이 헤드가 임의의 욕실 또는 다른 보관 영역 표면과 접촉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해서 칫솔을 똑바로 세우기 위해 칫솔 외부의 자석과 상호작용하도록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사람 체온보다 약간 아래에 맞추어진 상-변화 또는 색 변화 요소 또는 시스템이 예를 들어 비-전기 타이머를 생성하도록 투명 외측 층을 갖는 중공 칫솔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칫솔이 손 안에 파지된 충분한 시간 후에 색을 변화시키도록 허용할 것이다.
설치된 요소와는 별개로, 그리고 중공 칫솔 손잡이의 이점은 칫솔 손잡이의 몸체를 통해 사용자와의 접촉으로부터 격리되는 내부 표면 상에 반투명 또는 투명 손잡이를 장식하는 능력이다. 이들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격리된 층의 온도 상승의 어느 정도의 지연을 생성하기 위해, 즉 대략 어떤 설정 시간 후 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감온 변색 페인트에 대해 장식 층을 사람과의 접촉으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외부 표면 상에 페인팅되거나 전사되고 기계적 마모 및 화학적 부식을 받는 표면과는 대조적으로, 마모의 발생의 감소가 유리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 및 값은 언급된 정확한 수치 값으로 엄격하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대신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각각의 그러한 치수는 언급된 값 및 그 값 부근의 기능적으로 등가인 범위 둘 모두를 의미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40 ㎜"로 개시된 치수는 "약 40 ㎜"를 의미하고자 한다.
임의의 상호 참조되거나 관련된 특허 또는 출원을 포함한,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문헌은 명확히 배제되거나 달리 제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다. 어떠한 문헌의 인용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거나 청구된 임의의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인 것으로 인정하는 것이 아니거나, 그 자체 또는 임의의 다른 참고문헌 또는 참고문헌들과의 임의의 조합인 인용이 임의의 이러한 발명을 교시, 제안 또는 개시한다는 것으로 인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헌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포함되는 문헌의 동일한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상충되는 경우에는, 본 문헌의 용어에 부여된 의미 또는 정의가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 및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1)

  1. 칫솔 손잡이로서,
    a) 말단 단부, 커넥터 단부, 외측 표면, 내부 공동(cavity), 및 종축을 포함하며;
    b) 상기 내부 공동은 단면적을 한정하는 표면을 갖고; 상기 내부 공동은 상기 칫솔의 상기 종축을 따라 2 개의 보다 작은 단면적에 접하는 보다 큰 단면적, 또는 상기 칫솔의 상기 종축을 따라 2 개의 보다 큰 단면적에 접하는 보다 작은 단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c) 상기 외측 표면은 외측 표면 단면적을 한정하고;
    d) 상기 칫솔 손잡이는 상기 외측 공동 표면 및 상기 내부 공동 표면으로부터 형성되는 벽을 포함하며;
    e) 상기 칫솔 손잡이는 하나의 단일형(unitary)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표면 단면적과 상기 내부 공동 표면 단면적 사이의 차이는 상기 종축을 따라 상기 칫솔 손잡이 길이의 50 % 이상에 걸쳐 25 % 미만으로 변하는 칫솔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표면 단면적의 제곱근은 상기 칫솔의 상기 종축을 따라 상기 내부 공동 단면적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변하는 칫솔 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동 표면 단면적의 제곱근은 상기 칫솔 손잡이의 상기 종축을 따라 상기 외측 표면 단면적의 제곱근에 있어서의 변화에 비례하여 5% 미만으로 변하는 칫솔 손잡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 손잡이 벽의 두께는 상기 외측 표면 단면적의 제곱근에 반비례하여 변하는 칫솔 손잡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균 벽 두께는 약 0.5 내지 약 5.0 ㎜인 칫솔 손잡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동은 상기 칫솔 손잡이의 상기 외측 표면에 개방되는 칫솔 손잡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동은 밀봉되며 상기 칫솔 손잡이 외측 표면에 개방되지 않는 칫솔 손잡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를 갖는 칫솔 손잡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동은 상기 커넥터 내로 연장되는 칫솔 손잡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 0.60 g/㎤ 미만의 비중(specific gravity)을 가지며, ASTM D 790 에 의해 결정 시 가해지는 5.0 N 의 힘 하에서 약 10 ㎜ 미만으로 변형되는 칫솔 손잡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개 이상의 재료 층들을 포함하는 칫솔 손잡이.
KR1020147013700A 2011-11-22 2012-11-21 내부 공동을 갖는 칫솔 손잡이 KR201401054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62675P 2011-11-22 2011-11-22
US61/562,675 2011-11-22
PCT/US2012/066316 WO2013078355A2 (en) 2011-11-22 2012-11-21 Toothbrush handle having an inner cav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441A true KR20140105441A (ko) 2014-09-01

Family

ID=472785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700A KR20140105441A (ko) 2011-11-22 2012-11-21 내부 공동을 갖는 칫솔 손잡이
KR1020147013696A KR20140107204A (ko) 2011-11-22 2012-11-21 내부 공동을 갖는 칫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696A KR20140107204A (ko) 2011-11-22 2012-11-21 내부 공동을 갖는 칫솔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510669B2 (ko)
EP (6) EP2782475B1 (ko)
KR (2) KR20140105441A (ko)
CN (6) CN103998205B (ko)
AU (2) AU2012340602A1 (ko)
BR (6) BR112014012227B1 (ko)
CA (6) CA2856427A1 (ko)
ES (1) ES2646449T3 (ko)
HK (1) HK1199187A1 (ko)
IN (6) IN2014DN03460A (ko)
MX (6) MX350950B (ko)
PL (1) PL2782475T3 (ko)
RU (2) RU2014119134A (ko)
WO (6) WO201307835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3593B2 (en) 2011-11-22 2016-10-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756931B2 (en) 2011-11-22 2017-09-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420877B2 (en) 2011-11-22 2016-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510664B2 (en) 2011-11-22 2016-12-06 The Procter & Gamble Co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20140137349A1 (en) * 2012-11-21 2014-05-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brush handle having an inner cavity
WO2015137180A1 (ja) * 2014-03-10 2015-09-17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用のハンドル体及びその成形方法並びに歯ブラシ
MX2017007842A (es) 2014-12-23 2017-09-19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el cuidado bucal con un mango de componentes multiples.
USD780457S1 (en) 2014-12-23 2017-03-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3574799B1 (en) 2014-12-23 2021-03-1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BR112017012630A2 (pt) 2014-12-23 2018-04-24 Colgate-Palmolive Company instrumento para higiene bucal tendo cabo com múltiplos componentes
MX2017007626A (es) 2014-12-23 2017-09-18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el cuidado bucal.
CN113197418A (zh) 2014-12-23 2021-08-03 高露洁-棕榄公司 口腔护理器具
EP3622853B1 (en) 2014-12-23 2021-08-0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1291293B2 (en) 2014-12-23 2022-04-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3223658B1 (en) 2014-12-23 2022-09-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U2014414812B2 (en) 2014-12-23 2018-07-1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BR112017010946A2 (pt) 2014-12-23 2018-07-03 Colgate Palmolive Co instrumento para higiene bucal com cabo de múltiplos componentes
US10743646B2 (en) 2014-12-23 2020-08-1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9802347B2 (en) 2015-02-02 2017-10-31 Colgate-Palmolive Company Method of forming an oral care implement
CN105047354A (zh) * 2015-06-24 2015-11-11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多功能磁性套
USD777446S1 (en) 2015-07-23 2017-01-3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ndle
WO2017012109A1 (en) 2015-07-23 2017-01-2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CN105857196A (zh) * 2016-04-14 2016-08-17 广东东箭汽车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行李架、制备方法及其应用
US10414058B2 (en) 2016-08-11 2019-09-17 The Gillette Company Llc Handle for a razor
US11130247B2 (en) 2016-08-11 2021-09-28 The Gillette Company Llc Handle for a razor
US10940598B2 (en) * 2016-08-11 2021-03-09 The Gillette Company Llc Handle for a razor
JP2018033510A (ja) * 2016-08-29 2018-03-0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の製造方法
CN106476245A (zh) * 2016-10-14 2017-03-08 宁波志达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双色出气管的加工设备和制备方法
US10709533B2 (en) 2017-12-12 2020-07-1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handle and refill head thereof
US10631964B2 (en) 2017-12-12 2020-04-2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0925384B2 (en) 2018-04-16 2021-02-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CN112533511A (zh) * 2018-08-03 2021-03-19 联合利华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刷子
USD891784S1 (en) 2018-12-18 2020-08-04 Colgate-Palmolive Company Electric toothbrush handle
US11350729B2 (en) 2019-12-03 2022-06-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1800924B2 (en) 2019-12-03 2023-10-3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971608S1 (en) 2019-12-03 2022-12-06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CN112045970A (zh) * 2020-08-09 2020-12-08 应嘉迪 一种塑性物体吹塑成型冷却设备
USD960582S1 (en) 2020-12-10 2022-08-1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refill head
US11877645B2 (en) 2021-05-14 2024-01-23 Colgate-Palmolive Company Personal care im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91546A (fr) * 1966-07-01 1967-08-11 Const Mecaniques Et Aeronautiq Procédé pour la fabrication de récipients en matière thermoplastique, outillage pour sa mise en oeuvre et produit en résultant
JPS606429A (ja) * 1983-06-27 1985-01-14 Ekuseru Kk 異径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4802255A (en) 1987-08-10 1989-02-07 Gillette Canada Inc. Novel brush filaments
GB8807673D0 (en) * 1988-03-31 1988-05-05 Lingner & Fischer Gmbh Novel article
US5350483A (en) * 1990-12-21 1994-09-27 Avery-Dennison Corporation In-mold labeling insertion apparatus and method
US5268005A (en) 1991-06-17 1993-12-07 Gillette Canada Inc. Method for ring-dyeing nylon filaments with indigotine dye for tooth-brushes
DE4136537C1 (ko) 1991-11-06 1993-01-21 Johnson & Johnson Ag, Spreitenbach, Ch
DE4229152A1 (de) 1992-09-01 1994-03-03 Jordan As Oslo Zahnbürste sowie Herstellungsverfahren für Zahnbürsten
US5313909A (en) 1992-11-05 1994-05-24 Gillette Canada Inc. Brush filaments
CN2160251Y (zh) * 1993-02-26 1994-04-06 鍾建新 握捏式喷射牙刷
DE4404672A1 (de) 1994-02-15 1995-08-17 Schiffer Fa M & 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ürsten
GB2288564B (en) * 1994-04-19 1998-09-23 Boucherie Nv G B A molding machine for injection molding of tooth brushes
GB2289236B (en) * 1994-05-09 1997-08-06 Boucherie Nv G B A brush making machine
DE19500138A1 (de) 1995-01-04 1996-07-11 Schiffer Fa M & C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hältnismäßig dickwandigen Bürstenkörpern, insbesondere von Zahnbürst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5722106B1 (en) 1995-02-01 2000-06-06 Gillette Canada Tooth polishing brush
CN1143562A (zh) * 1995-05-29 1997-02-26 宇部兴产株式会社 吹塑成型方法及吹塑成型机
US5804127A (en) * 1995-05-29 1998-09-08 Ube Industries, Ltd. Blow molding method
DE19531368A1 (de) 1995-08-25 1997-02-27 Hanns Aumueller Mundpflegevorrichtung
US5987688A (en) 1995-11-09 1999-11-23 Gillette Canada Inc. Gum-massaging oral brush
GB9608019D0 (en) * 1996-04-18 1996-06-19 Segal Sheema Disposable article
JPH1016037A (ja) 1996-06-28 1998-01-20 Ippei Uchiyama 合成樹脂刷子植毛母体へのボルト挿入中空成型法
US6058541A (en) 1996-07-03 2000-05-09 Gillette Canada Inc. Crimped bristle toothbrush
US5836769A (en) 1996-12-03 1998-11-17 Gillette Canada Inc. Toothbrush, method of making a toothbrush, and method of brushing teeth
KR100219654B1 (ko) 1997-08-25 1999-09-01 윤종용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조립체
US5845358A (en) 1998-01-02 1998-12-08 Woloch; Heather N. Combination toothbrush and tongue scraper
US6018840A (en) 1998-03-09 2000-02-01 Gillette Canada Inc. Notched dental hygiene article
US20010003600A1 (en) 1998-07-10 2001-06-14 Gordon G. Guay Method of manufacturing a textured toothbrush bristle
US6553604B1 (en) 2000-03-16 2003-04-29 Gillette Canada Company Toothbrush
DE10023725A1 (de) * 2000-05-17 2001-11-22 Edgar Becker Zahnbürste
US20020074698A1 (en) 2000-12-19 2002-06-20 Morawski Linda Mary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oothbrush
EP1420934A1 (en) * 2001-04-20 2004-05-26 ISPA, Inc. Extrusion molding process
JP4764565B2 (ja) * 2001-06-01 2011-09-07 株式会社フコク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からなる中空体の製造方法、該中空体の製造装置
DE60211162T8 (de) * 2001-06-01 2007-06-14 Meridian Automotive Systems, Inc., Dearborn Verfahren zum formen thermoplastischer teile unter verwendung eines formwerkzeuganordnungen tragenden revolverkopfs
GB2380702B (en) 2001-10-11 2004-12-08 Mcdougall Gregory J Electric toothbrushes
US7360270B2 (en) * 2002-08-09 2008-04-22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JP3994142B2 (ja) * 2002-09-30 2007-10-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容器
US7934284B2 (en) 2003-02-11 2011-05-03 Braun Gmbh Toothbrushes
AU2004222737B2 (en) * 2003-03-14 2007-09-20 The Gillette Company Llc Toothbrush
US20060272112A9 (en) 2003-03-14 2006-12-07 The Gillette Company Toothbrush
US20040177462A1 (en) 2003-03-14 2004-09-16 The Gillette Company Toothbrush head
CN1579248A (zh) * 2003-08-04 2005-02-16 张�成 海带营养液及其加工方法
DE10337062A1 (de) * 2003-08-12 2005-03-03 Trisa Holding Ag Zahnbürste mit Zahnbürstenkörper und Zahnpastabehälter
EP1559529A3 (en) 2004-02-02 2005-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forms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CN2756064Y (zh) * 2004-06-11 2006-02-08 赵学润 方便牙刷
EP1639913B1 (de) * 2004-09-22 2011-11-23 Trisa Holding AG Bürste, insbesondere Zahnbürs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01035449A (zh) 2004-10-20 2007-09-12 宝洁公司 牙刷
RU2371069C1 (ru) * 2005-07-27 2009-10-27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Средство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содержащее эластомерный полипропиленэтиленовый сополимер
DE102005036301A1 (de) * 2005-08-02 2007-02-08 M + C Schiffer Gmbh Zahnbürste
US20070231052A1 (en) * 2006-03-30 2007-10-04 Rah-Zah Latour Brush rite
CN102166064A (zh) 2011-05-13 2011-08-31 尤松 牙刷的一种空心刷柄及其生产方法
US9510664B2 (en) * 2011-11-22 2016-12-06 The Procter & Gamble Co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20140137349A1 (en) * 2012-11-21 2014-05-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brush handle having an inner ca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4006102A (es) 2014-06-23
BR112014012227A2 (pt) 2017-05-30
MX350950B (es) 2017-09-26
HK1199187A1 (en) 2015-06-26
EP2782738A2 (en) 2014-10-01
WO2013078359A2 (en) 2013-05-30
ES2646449T3 (es) 2017-12-13
MX347278B (es) 2017-04-20
BR112014012228A2 (pt) 2017-05-30
WO2013078358A3 (en) 2013-11-07
CN103998205A (zh) 2014-08-20
CA2856185A1 (en) 2013-05-30
CA2855453A1 (en) 2013-05-30
US20140047656A1 (en) 2014-02-20
EP2782474B1 (en) 2018-10-10
IN2014DN03472A (ko) 2015-06-05
CA2856298C (en) 2016-08-02
WO2013078358A2 (en) 2013-05-30
US9510669B2 (en) 2016-12-06
MX2014006105A (es) 2014-06-23
CN103998205B (zh) 2016-05-25
CA2856185C (en) 2017-10-24
CA2855454A1 (en) 2013-05-30
BR112014012212A2 (pt) 2017-06-13
WO2013078360A2 (en) 2013-05-30
IN2014DN03477A (ko) 2015-06-05
CN104053533B (zh) 2016-12-07
BR112014012212B1 (pt) 2021-06-22
EP2782740B1 (en) 2022-06-22
EP2782739B1 (en) 2018-10-10
WO2013078356A3 (en) 2013-10-10
RU2014119135A (ru) 2015-12-10
IN2014DN03480A (ko) 2015-06-05
EP2782473A2 (en) 2014-10-01
WO2013078360A3 (en) 2013-09-26
WO2013078356A2 (en) 2013-05-30
RU2014119134A (ru) 2015-12-27
MX2014006106A (es) 2014-06-23
MX2014006104A (es) 2014-06-23
EP2782475A2 (en) 2014-10-01
CA2856300A1 (en) 2013-05-30
CN104053533A (zh) 2014-09-17
CN104010547B (zh) 2016-08-24
IN2014DN03460A (ko) 2015-06-05
MX2014006107A (es) 2014-06-23
WO2013078357A2 (en) 2013-05-30
AU2012340602A1 (en) 2014-06-12
CN103945733A (zh) 2014-07-23
EP2782738B1 (en) 2018-09-19
KR20140107204A (ko) 2014-09-04
BR112014012228B1 (pt) 2020-12-22
EP2782475B1 (en) 2017-08-23
CN103945732B (zh) 2016-06-22
CN104010547A (zh) 2014-08-27
IN2014DN03475A (ko) 2015-06-05
BR112014012221B1 (pt) 2020-06-30
WO2013078355A2 (en) 2013-05-30
CA2856298A1 (en) 2013-05-30
IN2014DN03489A (ko) 2015-06-05
BR112014012050A2 (pt) 2017-05-30
WO2013078357A3 (en) 2013-11-07
EP2782474A2 (en) 2014-10-01
MX2014006103A (es) 2014-11-10
EP2782740A2 (en) 2014-10-01
PL2782475T3 (pl) 2018-01-31
CN103945733B (zh) 2016-09-14
WO2013078359A3 (en) 2013-10-03
BR112014012227B1 (pt) 2020-09-29
BR112014012221A2 (pt) 2017-05-30
WO2013078355A3 (en) 2013-10-03
CN104039525A (zh) 2014-09-10
BR112014012449A2 (pt) 2017-06-06
CN103945732A (zh) 2014-07-23
CA2856427A1 (en) 2013-05-30
MX365259B (es) 2019-05-24
EP2782739A2 (en) 2014-10-01
AU2012340601A1 (en) 2014-06-12
BR112014012050B1 (pt)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5441A (ko) 내부 공동을 갖는 칫솔 손잡이
US20140137349A1 (en) Toothbrush handle having an inner cavity
US9510664B2 (en)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756931B2 (en)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463593B2 (en)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RU255580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ых щеток с универсальным сердечником
US2012022719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oothbrushes with common c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