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156A -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156A
KR20140104156A KR1020130017962A KR20130017962A KR20140104156A KR 20140104156 A KR20140104156 A KR 20140104156A KR 1020130017962 A KR1020130017962 A KR 1020130017962A KR 20130017962 A KR20130017962 A KR 20130017962A KR 20140104156 A KR20140104156 A KR 20140104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hysical
virtual terminal
virtual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은진
한미경
장종현
박광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17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4156A/ko
Priority to US14/099,850 priority patent/US20140236324A1/en
Publication of KR20140104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n(n은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한 n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중에서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과 설정된 기준 시간 간의 차이가 설정된 간격 시간 이내인 m(m은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 단말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가상 단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BASED ON LIVING PATTER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빙 패턴에 기반하여, 댁내에 위치하는 단말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단말이나 스마트 인터페이스를 장착한 홈 가전 제품들이 등장하고, 홈 가전 제품들이 기존 홈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동작하면서 집안에서의 홈 가전 제품의 사용이 편리해 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 편리를 위해 가전 제품의 기능이 복잡해지면서, 가전 제품을 사용하기 위한 제어 도구(예컨대, 리모컨)나 제어 인터페이스가 복잡해지고 있다. 또한, 복수의 가전 제품 동작시, 각각의 가전 제품을 일일이 제어해야 함에 따라,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가전 제품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물리 단말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가상 단말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가상 단말(또는, 가상 단말과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을 제어 함으로써, 리빙 패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물리 단말을 일괄적으로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 단말과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을 물리 단말별 확인된 사용 메뉴에 따라 동작시킴으로써, 물리 단말 뿐 아니라 물리 단말별 사용 메뉴 또한 함께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n(n은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한 n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중에서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과 설정된 기준 시간 간의 차이가 설정된 간격 시간 이내인 m(m은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 단말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가상 단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방법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n(n은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한 n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중에서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과 설정된 기준 시간 간의 차이가 설정된 간격 시간 이내인 m(m은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가상 단말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가상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리 단말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가상 단말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가상 단말(또는, 가상 단말과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을 제어 함으로써, 리빙 패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물리 단말을 일괄적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단말과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을 물리 단말별 확인된 사용 메뉴에 따라 동작시킴으로써, 물리 단말 뿐 아니라 물리 단말별 사용 메뉴 또한 함께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시스템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에서의 가상 단말 프로파일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시스템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의 단말(101),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103)(이하, '단말 제어 장치'라 칭함) 및 디스플레이 장치(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101)은 댁내에 위치하는 물리적인 단말로서, 전자제품(예컨대, 전자렌지, 전자밥솥, 로봇청소기, 전열기구 등)일 수 있다.
복수의 단말(101)은 단말 제어 장치(103)에 의해, 동작(예컨대, 전원 온(ON)/오프(OFF), 메뉴 선택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단말 제어 장치(103)는 복수의 단말(101) 각각에 대한 물리 단말 정보(예컨대, 단말의 종류)를 복수의 단말(101)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단말 제어 장치(103)는 리빙 패턴 분석부(105), 단말 가상화 관리부(107) 및 홈 서비스 관리부(109) 및 데이터베이스(111)를 포함할 수 있다.
리빙 패턴 분석부(105)는 복수의 단말(101)의 사용 이력을 분석한 리빙 패턴 프로파일(113) 및 댁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115)에 기초하여 리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단말 가상화 관리부(107)는 복수의 단말(101)에 대한 물리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프로파일(117) 및 가상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화 프로파일(119)과 연동하여 단말의 가상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홈 서비스 관리부(109)는 댁내에서 단말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을 관리하는 서비스 워크플로우(121)와 연동하여 홈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1)는 리빙 패턴 프로파일(113), 사용자 프로파일(115), 단말 프로파일(117), 가상화 프로파일(119) 또는 서비스 워크플로우(121)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제어 장치(103)는 복수의 단말(101)과 연동하여, 단말의 사용 이력을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 이력을 분석한 리빙 패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가상 단말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가상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101)을 제어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말 제어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어 장치(103)는 디스플레이 장치(123)로 상기 가상 단말 정보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23)로부터 가상 단말 정보에 기반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 명령에 따라 복수의 단말(101)을 제어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화 기반의 단말을 보다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23)는 예컨대, 월패드(wall-pad), 이동 스마트 기기일 수 있으며, 단말 제어 장치(103)로부터 가상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사용자 제어에 따른 제어 명령을 단말 제어 장치(103)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크게 물리적인 단말 및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와 가상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상기 물리적인 단말 및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로서, 예컨대, 물리 단말 사용 프로파일(S1), 사용자 프로파일(S2) 및 물리 단말 상태 프로파일(S3)을 이용할 수 있다.
물리 단말 사용 프로파일(S1)은 예컨대, 일련번호(201),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사용자 아이디(ID: identification)(203), 단말의 평균 시작 시간을 기록하는 시작 시간(205), 단말의 평균 종료 시간을 기록한 종료 시간(207), 사용된 단말 아이디(ID)(209), 사용된 단말의 세부 메뉴를 기록한 사용 메뉴 아이디(ID)(211), 단말이 특정 시간에 가상 단말로 사용된 이력이 있을 경우, 상기 특정 시간을 기록하는 가상화 처리 시간(213) 및 가상 단말로 사용된 이력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가상화 처리 여부(215)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S2)은 사용자 아이디(ID)(203), 사용자 이름(217), 사용자 성별(219), 사용자 나이(221) 및 사용자가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단말 사용 제약 사항을 기록한 사용자 핸디캡(2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리 단말 상태 프로파일(S3)은 물리 단말의 구분하기 위한 단말 아이디(ID)(209), 사용 메뉴를 구분하기 위한 사용 메뉴 아이디(ID)(211), 메뉴명(225), 사용 메뉴의 단계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 메뉴 동작 레벨(227), 메뉴 기능에 대한 설명 정보를 표시하는 메뉴 설명(229), 물리 단말을 가상 단말로 사용될 경우, 메뉴의 가상화 연결을 제한할 수 있는 메뉴 연결 제한(231) 및 물리 단말에 대한 가상 단말로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단말 연결 제한(2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상기 가상 단말에 대한 데이터로서, 가상 단말 프로파일(S4) 및 가상 단말 연결 메뉴 프로파일(S5)을 이용할 수 있다.
가상 단말 프로파일(S4)은 가상 단말을 구분하는 가상 단말 아이디(ID)(235), 가상 메뉴를 구분하기 위한 가상 메뉴 아이디(ID)(237), 메뉴 동작 방식을 기술한 메뉴 동작 방식(239), 가상 단말의 해당 메뉴의 동작 단계 정보를 가지고 있는 동작 레벨(241), 가상 단말 또는 가상 메뉴와 연결된 연결 메뉴 집합을 구분하기 위한 연결 메뉴 리스트 아이디(List ID)(243), 리빙 패턴에 기반하여 가상 단말의 시작 시간을 나타내는 가상 단말 시작 시간(245) 및 리빙 패턴에 기반하여 가상 단말의 종료 시간을 나타내는 가상 단말 종료 시간(247)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상 단말 연결 메뉴 프로파일(S5)은 연결 메뉴 리스트 아이디(243), 사용 메뉴 아이디(ID)(211), 사용 메뉴 동작 레벨(227) 및 단말 아이디(ID)(209)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300)는 인터페이스(301), 프로세서(303) 및 데이터베이스(305)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01)는 데이터베이스(305)로부터 n(n은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리딩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리 단말 사용 정보는 예컨대, 물리 단말의 아이디, 사용 메뉴의 아이디, 메뉴 연결 제한, 단말 연결 제한 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301)는 물리 단말 가상화 기능이 시작되면, 리빙 패턴을 의미하는 물리 단말 사용 프로파일을 데이터베이스(305)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단말 사용 프로파일에서 가상화 처리 여부가 '아니오(NO)'로 기재된 n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리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01)는 리딩한 n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중에서 시작 시간과 설정된 기준 시간(예컨대, 현재 시간) 간의 차이가 설정된 간격 시간(예컨대, 10분) 이내이거나, 또는 종료 시간과 설정된 기준 시간(예컨대, 현재 시간) 간의 차이가 설정된 간격 시간(예컨대, 10분) 이내인, m(m은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301)는 선택된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중에서 메뉴 연결 제한 또는 단말 연결 제한 사항이 존재하는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제외하여, 가상화에 이용할 p(p는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301)는 추출된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내 '아니오(NO)'의 가상화 처리 여부를 '예(YES)'로 변경하여 기재할 수 있다.
프로세서(303)는 인터페이스(301)에 의해, 선택된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또는 추출된 p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 단말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가상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3)는 m개 또는 p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내 각각의 시작 시간을 평균하여, 평균 시작 시간을 산출하고,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또는 p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내 각각의 종료 시간을 평균하여, 평균 종료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03)는 m개 또는 p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상기 평균 시작 시간 및 상기 평균 종료 시간을 이용하여,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데이터베이스(305)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303)는 산출된 상기 평균 시작 시간 및 상기 평균 종료 시간을, 각각 가상 단말 시작 시간 및 가상 단말 종료 시간으로 하는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303)는 복수의 물리 단말이 위치하는 댁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댁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설정된 주기 시간 경과 후에 댁내의 사용자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03)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303)는 댁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제1 현재 시간과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가상 단말 시작 시간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03)는 제1 현재 시간과 상기 가상 단말 시작 시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시간 경과에 따라 변경되는 제1 현재 시간과 상기 가상 단말 시작 시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303)는 제1 현재 시간과 상기 가상 단말 시작 시간이 일치하는 경우, 가상 단말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가상 단말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03)는 상기 확인 결과 일치하면,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을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작 요청을 수신하면,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을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303)는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연결 메뉴 리스트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단말과 연결된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 및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별 사용 메뉴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을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별 사용 메뉴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3)는 제2 현재 시간과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가상 단말 종료 시간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변경되는 제2 현재 시간과 상기 가상 단말 종료 시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303)는 제2 현재 시간과 상기 가상 단말 종료 시간이 일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로 가상 단말의 종료 여부에 대한 문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03)는 상기 문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비종료'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303)는 상기 문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종료'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03)는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연결 메뉴 리스트 아이디를 이용하여, 확인된 복수의 물리 단말 및 복수의 물리 단말별 사용 메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내 종료 시간을, 상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의 동작이 종료되는 종료 시간으로 변경 함으로써,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에서의 가상 단말 프로파일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1에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n(n은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리딩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리 단말 사용 정보는 예컨대, 물리 단말의 아이디, 사용 메뉴의 아이디, 메뉴 연결 제한, 단말 연결 제한 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리빙 패턴을 의미하는 물리 단말 사용 프로파일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단말 사용 프로파일에서 가상화 처리 여부가 '아니오(NO)'로 기재된 n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리딩할 수 있다.
단계 403에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리딩한 n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중에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이용하여,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리딩한 n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중에서 시작 시간과 설정된 기준 시간(예컨대, 현재 시간) 간의 차이가 설정된 간격 시간(예컨대, 10분) 이내이거나, 또는 종료 시간과 설정된 기준 시간(예컨대, 현재 시간) 간의 차이가 설정된 간격 시간(예컨대, 10분) 이내인, m(m은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405에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선택된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중에서 메뉴 연결 제한 또는 단말 연결 제한 사항이 존재하는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제외하여, 가상화에 이용할 p(p는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407에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추출된 p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단말 프로파일은 예컨대, 가상 단말 아이디, 가상 메뉴 아이디, 동작 레벨, 연결 메뉴 리스트 아이디, 가상 단말 시작 시간 및 가상 단말 종료 시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p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내 각각의 시작 시간을 평균하여, 평균 시작 시간을 산출하고, p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내 각각의 종료 시간을 평균하여, 평균 종료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p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상기 평균 시작 시간 및 상기 평균 종료 시간을 이용하여,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산출된 상기 평균 시작 시간 및 상기 평균 종료 시간을, 각각 가상 단말 시작 시간 및 가상 단말 종료 시간으로 하는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1에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복수의 물리 단말이 위치하는 댁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댁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단계 501로 이동하여, 댁내의 사용자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댁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 503에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제1 현재 시간과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가상 단말 시작 시간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단계 503로 이동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변경되는 제1 현재 시간과 상기 가상 단말 시작 시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일치하는 경우, 단계 505에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가상 단말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가상 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을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가상 단말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작 요청을 수신하면,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을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연결 메뉴 리스트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단말과 연결된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 및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별 사용 메뉴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을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별 사용 메뉴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다.
단계 507에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제2 현재 시간과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가상 단말 종료 시간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단계 507로 이동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변경되는 제2 현재 시간과 상기 가상 단말 종료 시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일치하는 경우, 단계 509에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가상 단말의 종료 여부에 대한 문의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문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종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511에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상기 문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종료'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연결 메뉴 리스트 아이디를 이용하여, 확인된 복수의 물리 단말 및 복수의 물리 단말별 사용 메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내 종료 시간을, 상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의 동작이 종료되는 종료 시간으로 변경 함으로써,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513에서,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는 상기 문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비종료'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달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시스템
101: 복수의 단말
103: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123: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4)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n(n은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한 n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중에서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과 설정된 기준 시간 간의 차이가 설정된 간격 시간 이내인 m(m은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 단말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가상 단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내 각각의 시작 시간을 평균하여, 평균 시작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내 각각의 종료 시간을 평균하여, 평균 종료 시간을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평균 시작 시간 및 상기 평균 종료 시간을, 각각 가상 단말 시작 시간 및 가상 단말 종료 시간으로 하는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중에서 메뉴 연결 제한 또는 단말 연결 제한 사항이 존재하는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제외한 p(p는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p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댁내에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현재 시간과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가상 단말 시작 시간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일치하면, 상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을 동작시키는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연결 메뉴 리스트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단말과 연결된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 및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별 사용 메뉴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을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별 사용 메뉴에 따라 동작시키는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2 현재 시간과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가상 단말 종료 시간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일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가상 단말의 종료 여부에 대한 문의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비종료'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의 동작을 유지하는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2 현재 시간과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가상 단말 종료 시간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일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가상 단말의 종료 여부에 대한 문의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종료'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의 동작을 종료하고,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 및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별 사용 메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내 종료 시간을,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의 동작이 종료되는 종료 시간으로 변경하는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8. 데이터베이스로부터 n(n은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한 n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중에서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과 설정된 기준 시간 간의 차이가 설정된 간격 시간 이내인 m(m은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가상 단말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가상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내 각각의 시작 시간을 평균하여, 평균 시작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내 각각의 종료 시간을 평균하여, 평균 종료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평균 시작 시간 및 상기 평균 종료 시간을, 각각 가상 단말 시작 시간 및 가상 단말 종료 시간으로 하는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중에서 메뉴 연결 제한 또는 단말 연결 제한 사항이 존재하는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제외한 p(p는 자연수)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p개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는,
    댁내에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
    제1 현재 시간과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가상 단말 시작 시간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일치하면, 상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을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을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연결 메뉴 리스트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단말과 연결된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 및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별 사용 메뉴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을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별 사용 메뉴에 따라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을 동작시키는 단계는,
    제2 현재 시간과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가상 단말 종료 시간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일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가상 단말의 종료 여부에 대한 문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비종료'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의 동작을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을 동작시키는 단계는,
    제2 현재 시간과 상기 가상 단말 프로파일 내 가상 단말 종료 시간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일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가상 단말의 종료 여부에 대한 문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종료'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가상 단말에 연관된 복수의 물리 단말의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 및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별 사용 메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물리 단말 사용 정보 내 종료 시간을, 상기 복수의 물리 단말의 동작이 종료되는 종료 시간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방법.
KR1020130017962A 2013-02-20 2013-02-20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104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962A KR20140104156A (ko) 2013-02-20 2013-02-20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US14/099,850 US20140236324A1 (en) 2013-02-20 2013-12-0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based on living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962A KR20140104156A (ko) 2013-02-20 2013-02-20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156A true KR20140104156A (ko) 2014-08-28

Family

ID=5135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962A KR20140104156A (ko) 2013-02-20 2013-02-20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236324A1 (ko)
KR (1) KR201401041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4492A (zh) * 2017-11-20 2018-03-09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287166A (zh) * 2019-05-31 2019-09-27 北京大米科技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0505345B (zh) * 2019-08-23 2022-01-2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终端解锁方式切换管理方法、终端及切换服务器
CN111880847B (zh) * 2020-06-30 2021-03-30 上海万位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工作状态的自调整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36324A1 (en)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396B1 (ko)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97259A1 (en) System and method of appropriate services detection for a smart building
US9842491B2 (en) Universal remote control
EP3474517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iot device to correspond to state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1262761A (zh) 用于控制智能家庭系统的方法和电子设备
US104768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heterogeneous platforms
US10411467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KR20140104156A (ko) 리빙 패턴 기반의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881016A (zh) 一种智能家居设备控制方法和智能家居控制器
CN106662848B (zh) 用于联网的家用器具的通用的操控元件
KR102079916B1 (ko) 과금 기간 내 누진 요율 및 시간대별 소비 전력 패턴을 고려한 가전 기기의 효율적 사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N114019807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922809B1 (ko) 에너지 절약 보상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TWI501110B (zh) 通訊協定系統及其自動更新資料的方法
CN110794701B (zh) 基于空调机器人的环境控制方法和装置
CN111722600A (zh) 一种基于设备空间关系的遥控方法、装置和遥控设备
US20160202672A1 (en) Thing cooper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modeling tool thereof
US20160012555A1 (en) Combination desirability determination apparatus, method for determining desirability of combinatio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KR20190044199A (ko) 제어 명령 분석 기반 IoT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5714067B2 (ja)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15605B1 (ko) IoT 장치를 이용한 이상 상황 감시 방법 및 장치
KR102291735B1 (ko) 수면 품질 향상을 위한 가전기기의 맞춤형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KR101829135B1 (ko) 스마트폰 제어 가능한 지능형 멀티탭
CN112526890A (zh) 智能家居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366416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