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496A -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496A
KR20140103496A KR1020130016929A KR20130016929A KR20140103496A KR 20140103496 A KR20140103496 A KR 20140103496A KR 1020130016929 A KR1020130016929 A KR 1020130016929A KR 20130016929 A KR20130016929 A KR 20130016929A KR 20140103496 A KR20140103496 A KR 20140103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level
resource blocks
output
rbs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동
이기형
최형수
Original Assignee
세원텔레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원텔레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원텔레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6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3496A/ko
Publication of KR20140103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Abstract

본 발명은 OFDM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 RB)의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를 최적화하여, 무선통신시스템 출력레벨의 적정성 확보와 시스템의 출력 제한 및 자동 이득 보상 등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통신시스템의 최대 출력레벨은 전송 대역폭 내 리소스 블록(RB)의 수가 최대일 경우이므로, 현재 피크 출력레벨 및 RMS 출력레벨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기준으로 현재 전송 대역폭 내의 리소스 블록(RB)의 수에 관계 없이 현재 전송 대역폭 내의 리소스 블록(RB)의 수가 최대일 때의 출력레벨을 이용하여, 시스템 이득 설정 및 ALC(Automatic Level Control), AGC(Automatic Gain Control)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Method for monitoring peak-to-average-ratio of the number of resource blocks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출력레벨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OFDM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RB)의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를 최적화하여, 무선통신시스템 출력레벨의 적정성 확보와 시스템의 출력 제한 및 자동 이득 보상 등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전력 증폭기 종단의 실효전압 레벨 검출기(RMS level detector)의 측정값으로 현재 출력레벨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기준으로 시스템 이득 설정 및 ALC(Automatic Level Control), AGC(Automatic Gain Control)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출력레벨 감시 및 조정 방법은 트래픽에 관계없이 일정한 PAR(Peak-to-Average Ratio)을 유지하는 CDMA, WCDMA 신호에서는 사용상에 문제가 없으나, OFDM신호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더 이상 유용하지 않다.
OFDM 방식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방식으로 송신 데이터를 다수의 반송파(서브 캐리어)로 분할하고, 이 반송파들을 동기시켜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각 반송파를 직교 함수계를 사용하여 반송파 간 간섭을 최소화한 다중방식이다. 4세대 통신인 LTE(TD-LTE) 서비스 및 디지털 TV, 무선 인터넷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그 활용도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OFDM 방식은 트래픽 환경에 따른 출력레벨 모니터링의 편차가 크게 발생하는 관계로, 종래의 출력레벨 감시 및 조정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출력 설정에 오류가 발생하여 출력 전력 증폭기의 선형성을 회손하게 되어 불요파를 발생시키고, 무선통신시스템 장치에 손상을 일으킴으로써 서비스의 장애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OFDM 신호는 도 1과 같이 채널 대역폭에 따라 다수의 리소스 블록(RB) 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채널 대역폭에 따라 다수의 리소스 블록(RB)으로 구성되어 있는 OFDM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OFDM 방식에서 다운링크(Downlink) 신호는 LTE downlink physical layer 규격에 의하며, 다운링크 전송대역폭에 의해 제한을 받지만 실제 사용하는 리소스 블록(RB)의 수는 가변적으로서, 하기의 표 1에 채널 대역폭에 따른 리소스 블록(RB)의 수를 나타내었고, 그 최소와 최대 범위는
Figure pat00001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위와 같이, OFDM 방식에서는 다운링크 경로(Downlink path)를 통해서 전송되는 리소스 블록(RB)의 수가 가변적이므로 리소스 블록(RB)의 수에 따라 실제 출력되는 신호의 실효값(RMS)이 다르다. 이러한 실효값의 변화량은 약 12dB까지 예상되며, 다운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과 중계기의 최대 출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RB)의 개수에 따라 실제 출력 전력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장치 설치 및 운용 시에 시스템 출력 설정을 적절하게 조정하기가 어렵고, 출력레벨과 관련된 자동이득 조정 및 출력 제한 기능이 오동작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각각 10MHz 채널 BW_0리소스 블록(RB) 출력 스펙트럼과 10MHz 채널 BW_50리소스 블록(RB) 출력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10MHz 대역폭을 갖는 시스템에서 0리소스 블록(RB)(트래픽이 없는)일 경우와 50리소스 블록(RB)(트래픽이 최대)일 경우의 스펙트럼 파형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OFDM 통신 시스템에서 PAR은 크게 2가지의 요인에 의해서 변화하는데, 하나는 시스템 최대 출력 보다 낮은 출력으로 시스템을 운용하는 경우이고, 나머지 하나는 전송 대역 내 사용 리소스 블록(RB)의 수가 변화하는 경우이다.
먼저, 실효치 검출기 기준으로 트래픽과 관계없이 시스템의 최대 출력에 비해 낮은 출력레벨로 시스템이 운용되는 경우는, CFR(Crest Factor Reduction, 파고율 저감 기법)이 적용되는 레벨보다 낮은 입력 레벨에 의해 PAR이 높게 측정되는 경우이다. 이때의 PAR의 변화는 도 3과 같다. 도 3은 CFR 동작에 의한 출력레벨 변동에 따른 PAR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송 대역폭이 허용하는 최대 수의 리소스 블록(RB)가 사용된다는 조건에서 실효치 레벨 기준으로 A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최대 출력레벨이며, B는 출력 제한 레벨을 의미하고, ①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CFR의 영향을 받지 않는 출력레벨일 경우의 최대 PAR을 의미하며, ②는 CFR을 최대로 적용했을 경우의 PAR을 의미한다. 이때, PAR은 대역폭이나 무선통신시스템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값을 정의하지는 않았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송 대역폭이 허용하는 최대 수의 리소스 블록(RB)이 사용된다는 조건에서는 출력에 따른 PAR이 정성적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전송 대역폭 내 리소스 블록(RB)의 수에 따른 PAR변화는 도 4에 도시한 그래프와 같다. 도 4는 리소스 블록(RB)의 증가에 따른 PAR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운링크 전송 대역 범위 내에서 최대 리소스 블록(RB)를 적용했을 때의 PAR이 A지점에서 ②레벨이므로, 이때 PAR이 최소가 된다. 마찬가지로, 다운링크 전송 대역 범위 내에서 최소 리소스 블록(RB)일 경우가 ①지점의 PAR이며, 이때가 PAR이 최대인 경우이다. 주로 PAR이 변화하는 것은 위의 2가지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대역 내 사용 리소스 블록(RB)의 수가 변화함으로써 PAR가 변화하므로,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RB)의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를 최적화하여, 무선통신시스템 출력레벨의 적정성 확보와 시스템의 출력 제한 및 자동 이득 보상 등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RB)의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를 최적화할 수 있는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OFDM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RB)의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를 최적화하여 무선통신시스템 출력레벨의 적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OFDM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RB)의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를 최적화하여 무선통신시스템의 출력 제한 및 자동 이득 보상 등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은, OFDM 통신시스템의 출력레벨 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OFDM 통신시스템의 입력단 및 출력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피크 검출기(Peak level detector) 및 RMS 검출기(RMS level detector)로 구성되는 출력레벨감시부가 현재 피크 출력레벨 및 RMS 출력레벨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한 피크 출력레벨 및 RMS 출력레벨을 기준으로 현재 전송 대역폭 내의 리소스 블록(RB)의 수가 최대일 때의 출력레벨을 산출하여, 시스템 이득 설정 및 ALC(Automatic Level Control), AGC(Automatic Gain Control)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의 상기 출력레벨감시부는, 상기 OFDM 통신시스템의 입력단 및 출력단의 저잡음 증폭기(LNA)의 출력단 및 전력 증폭기(HPA)의 출력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RB)의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를 최적화함으로써, 무선통신시스템 출력레벨의 적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의 출력 제한 및 자동 이득 보상 등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채널 대역폭에 따라 다수의 리소스 블록(RB)으로 구성되어 있는 OFDM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각각 10MHz 채널 BW_0리소스 블록(RB) 출력 스펙트럼과 10MHz 채널 BW_50리소스 블록(RB) 출력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CFR 동작에 의한 출력레벨 변동에 따른 PAR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리소스 블록(RB)의 증가에 따른 PAR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종래의 무선 송수신 중계 시스템과 디지털 광 무선 중계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의 일례로서, 입력단에 출력레벨 검출기를 구성한 무선통신시스템의 다운링크 경로의 블록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의 일례로서, 출력단에 출력레벨 검출기를 구성한 무선통신시스템의 다운링크 경로의 블록구성도,
도 8은 RMS 출력레벨과 피크출력레벨의 편차(PAR)와 전송 대역폭 내의 리소스 블록(RB) 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을 적용한 개선 ALC 동작 프로세스와 기존 ALC 동작 프로세스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을 적용한 개선 AGC 동작 프로세스와 기존 AGC 동작 프로세스를 각각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종래의 무선 송수신 중계 시스템과 디지털 광 무선 중계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기존의 무선 송수신을 기능을 가지는 무선중계 시스템의 다운링크 경로의 블록구성도로서, 통상적으로 출력단에 실효치 레벨 검출기(RMS level detector) 하나로 출력을 모니터링 하는 구조이다.
도 5b는 기존의 입력 신호를 광 신호로 수신하는 디지털 광중계기 시스템의 다운링크 경로의 블록구성도로서, 출력 모니터링은 무선 송수신 무선 중계 시스템과 동일하게 출력단에 실효치 레벨 검출기 하나로 출력을 모니터링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무선 송수신 중계 시스템과 디지털 광 무선 중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출력레벨 모니터링 방법은 송신 출력 신호를 하나의 실효치 레벨 검출기만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어, 전술한 LTE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의 변화량에 대해 ALC 및 AGC 기능이 오동작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시스템의 최초 출력 설정 및 운용 중 출력 설정의 오류로 인해 최종 출력을 위한 전력 증폭기가 포화되어 무선 규격을 만족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타 대역에 대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안된,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을 이하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의 일례로서, 각각 입력단에 출력레벨감시부를 구성한 경우와, 출력단에 출력레벨감시부를 구성한 경우의 무선통신시스템의 다운링크 경로의 블록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은 출력레벨감시부가 피크 검출기(Peak level detector)와 RMS 검출기(RMS level detector) 2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출력레벨감시부의 위치는 저잡음 증폭기(LNA)의 다음단 또는 전력 증폭기(HPA)의 출력단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 구성상 필요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 둘 수 있다.
다운링크 LTE 신호의 경우, 무선통신시스템의 최대 출력일 경우의 RMS 검출기(RMS LEVEL DETECTOR)의 출력레벨을 검출하고, 피크 검출기(Peak level detector)의 피크 출력레벨을 검출한다. 이때, LTE 신호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시스템이 최대 출력에 대한 일정 비율의 PAR 규격을 기준으로 이 기준 내에서 시스템을 운용하는데, 이를 PAR_max라고 가정한다. PAR_max는 RMS 검출기(RMS LEVEL DETECTOR)의 출력레벨이 무선통신시스템의 최대 출력일 경우의 PAR을 의미하며,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3
Ppeak: 피크 검출기 모니터링 레벨
PRMS: RMS 검출기 모니터링 레벨
다운링크 전송대역 범위 내에서 최대 리소스 블록(RB)일 경우의 PAR을 PARRB_max, 다운링크 전송대역 범위 내에서 최소 리소스 블록(RB)일 경우의 PAR을 PARRB_min이라고 하면 항상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Figure pat00004
리소스 블록(RB) 수가 최소(RB_min)일 경우 PAR이 가장 크며, 리소스 블록(RB) 수가 증가하면서 점진적으로 PAR값이 낮아지고 리소스 블록(RB) 수가 최대(RB_max)일 경우의 PAR이 최소값이 된다. 이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은 RMS 출력레벨과 피크출력레벨의 편차(PAR)와 전송 대역폭 내의 리소스 블록(RB) 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리소스 블록(RB) 수가 최대(RB_max)일 경우의 PAR은 시스템 시험에서 알아낸 고정 값의 범위로 이때의 PAR을 기준값으로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리소스 블록(RB) 수가 최소(RB_min)일 경우와 리소스 블록(RB) 수가 최대(RB_max)일 경우의 RMS 출력레벨의 편차는 약 12.6dB이다. 이 값은 전송 대역폭에 따라 다르며, 전송대역폭의 최대 리소스 블록(RB)에 따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피크 출력레벨은 어느 정도 고정된 값이므로 RMS 출력레벨과 피크출력레벨의 편차(PAR)를 이용하여 실제 어느 정도의 리소스 블록(RB)이 존재하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실제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리소스 블록(RB) 수가 최대(RB_max)가 되었을 때 출력 전력을 예상할 수 있다.
주요사항은 현재 전송 대역폭 내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관계 없이 전송 대역폭 내 리소스 블록(RB)수가 최대일 때의 출력레벨을 유저 인터페이스에 전달해 주는 것이다. 이득 제어 및 ALC, AGC 레벨 설정을 할 때 전송 대역폭 내 리소스 블록(RB) 수는 유동적이지만, 전력 증폭기의 최대 출력레벨은 리소스 블록(RB) 수가 최대일 경우이기 때문에 시스템의 리소스 블록(RB) 수가 최대일 때의 시스템 출력을 사용자가 알 필요가 있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에 의하여 시스템의 출력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전송되는 리소스 블록(RB) 수가 최소일 경우의 PAR(PARRB _ min)과 PRMS, 전송되는 리소스 블록(RB) 수가 최대일 경우의 PAR(PARRB _ max), PRMS는 계측기를 통한 실제 측정 및 시스템 출력 특성의 측정을 통해 상수값으로 정의가 가능하다.
따라서 NRB는 하기의 수학식 3으로 산출이 가능하다. PARcurrent 는 실측된 시스템의 현재 PAR이다.
Figure pat00005
리소스 블록(RB) 수의 증가에 따른 RMS 출력레벨 값의 변화는 하기의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NRB)은 리소스 블록(RB)의 수가 최소(6)에서 증가하는 리소스 블록(RB)의 수를 의미한다.
피크 출력레벨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RMS 출력레벨 변화에 의한 PAR은 하기의 수학식 5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입력레벨 변동 및 이득제어에 의한 RMS 출력레벨 변동분은 제외한다. 그러므로 전송 대역폭 내 리소스 블록(RB) 수가 최대일 경우의 시스템 출력은 하기의 수학식 6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8
PRB _ full: 전송 대역폭 내 리소스 블록(RB) 수가 최대일 때의 시스템 출력레벨
PRMS: RMS 검출기의 모니터링 출력레벨
NRB _ full: 전송 대역폭 내 전송 가능한 최대 리소스 블록(RB)의 수
NRB: 전송 대역폭 내 현재 전송되고 있는 리소스 블록(RB)의 수
전술한 바와 같이 PRB _ full을 기준으로 ALC 동작 및 AGC 동작을 최적화 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와, 도 10a 및 도 10b에 개선 및 기존의 ALC의 동작 프로세스와 개선 및 기존의 AGC의 동작 프로세스를 각각 나타내었다.
먼저,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을 적용한 개선 ALC 동작 프로세스와 기존 ALC 동작 프로세스를 각각 나타내었다.
도 9a 및 도 9b를 비교 참조하면, RMS 출력레벨에 의한 PRMS 모니터링 만에 의존하여 ALC를 조정하던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을 적용한 개선 ALC 동작 프로세스는 피크 출력레벨 및 RMS 출력레벨에 의하여 산출한 PRB _ full을 기준으로 ALC를 조정함으로써, ALC 동작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을 적용한 개선 AGC 동작 프로세스와 기존 AGC 동작 프로세스를 각각 나타내었다.
도 10a 및 도 10b를 비교 참조하면, RMS 출력레벨에 의한 PRMS 모니터링 만에 의존하여 AGC를 조정하던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을 적용한 개선 AGC 동작 프로세스는 피크 출력레벨 및 RMS 출력레벨에 의하여 산출한 PRB _ full을 기준으로 AGC를 조정함으로써, AGC 동작을 최적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RB)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은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RB)의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를 최적화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무선통신시스템 출력레벨의 적정성 확보와 시스템의 출력 제한 및 자동 이득 보상 등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2)

  1. OFDM 통신시스템의 출력레벨 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OFDM 통신시스템의 입력단 및 출력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피크 검출기(Peak level detector) 및 RMS 검출기(RMS LEVEL DETECTOR)로 구성되는 출력레벨감시부가 현재 피크 출력레벨 및 RMS 출력레벨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한 피크 출력레벨 및 RMS 출력레벨을 기준으로 현재 전송 대역폭 내의 리소스 블록(RB)의 수가 최대일 때의 출력레벨을 산출하여, 시스템 이득 설정 및 ALC(Automatic Level Control), AGC(Automatic Gain Control)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레벨감시부는,
    상기 OFDM 통신시스템의 입력단 및 출력단의 저잡음 증폭기(LNA)의 출력단 및 전력 증폭기(HPA)의 출력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
KR1020130016929A 2013-02-18 2013-02-18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 KR20140103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929A KR20140103496A (ko) 2013-02-18 2013-02-18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929A KR20140103496A (ko) 2013-02-18 2013-02-18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496A true KR20140103496A (ko) 2014-08-27

Family

ID=5174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929A KR20140103496A (ko) 2013-02-18 2013-02-18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34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7013B2 (en) Radio communications using scheduled power amplifier backoff
US10582506B2 (en) Adaptation of subcarrier frequency spacing based on energy efficiency indicator
JP5746979B2 (ja) 帯域幅及び遅延広がりに基づく自動利得制御
KR2009012204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JP5233820B2 (ja) モバイル直交周波数分割多元接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自動利得制御方法及び装置
US20090207888A1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and Transmission System
EP2961082B1 (en) Relay control station, repeat er, and method for repressing interference
JP2014099679A (ja) 分散型無線通信基地局システム、信号処理装置、無線装置、及び分散型無線通信基地局システムの動作方法
US9900847B2 (en) Headend device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070081381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JP3679014B2 (ja) 無線通信装置
US20030091123A1 (en) Method of clipping sig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carriers transmitted by the same non-linear amplifier
KR20140103496A (ko) Ofdm 신호의 리소스 블록 수에 따른 출력레벨 감시 방법
EP3275095B1 (en) Digital repeater system
US86391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performance coherent peak compression estimation
JP6223216B2 (ja) 中継制御局、中継器および干渉回避方法
US8699591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quantification noise for transmitting a multi-carrier signal
KR101495113B1 (ko) 디지털 게인 자동컨트롤 방법
KR102216715B1 (ko) 광대역 신호 송신이득 조절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JPWO2009044431A1 (ja) Zero−IF方式により直交周波数分割多重された信号を受信する受信機及び受信方法
US9467951B2 (en) Uplink transmit power control
JP6461881B2 (ja) 受信装置
JP562643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送信電力制御方法
KR20090060841A (ko) 이동국의 자동 수신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
JP544554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送信電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