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485A -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485A
KR20140103485A KR1020130016909A KR20130016909A KR20140103485A KR 20140103485 A KR20140103485 A KR 20140103485A KR 1020130016909 A KR1020130016909 A KR 1020130016909A KR 20130016909 A KR20130016909 A KR 20130016909A KR 20140103485 A KR20140103485 A KR 20140103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touch
output
source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639B1 (ko
Inventor
윤주선
이경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멤버피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멤버피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멤버피플
Priority to KR1020130016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639B1/ko
Priority to US14/646,391 priority patent/US20150301789A1/en
Priority to JP2015557946A priority patent/JP2016513986A/ja
Priority to CN201480003138.5A priority patent/CN104854538A/zh
Priority to PCT/KR2014/001260 priority patent/WO2014126428A1/ko
Publication of KR2014010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6Digital picture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가 포함된 사진(10)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111)가 내측에 마련된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진(10)이 포개지는 형태로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사진(10)의 상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터치셀(121)로 이루어진 터치패널(120); 상기 터치패널(12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인물이미지(I1)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 정보 및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별로 매칭된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와, 상기 음원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30);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판독하며,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 내에 포함된 터치셀(121)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음원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매칭되는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음원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원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160);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Photo Frame Having Sound Source Output Func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Generating Sound Source Outputting Source Data}
본 발명은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자에 수용된 사진의 인물 이미지를 터치하면 각 인물별로 관련된 음원데이터가 자동 출력되는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상기 음원출력 기능이 구현되도록 상기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기념일이나 특정장소 방문 등의 이벤트를 오랫동안 기억하기 위해 카메라로 현장의 모습들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사진으로 인화하여 액자에 끼워넣고 수시로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진액자의 경우에는 영상이미지를 시각적으로만 열람할 수 있어 보는 사람의 기억에 의존하여 당시의 현장을 추억할 수 있었기 때문에 현장감을 느끼기에 부족한 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동영상 등을 지원하는 디지털액자가 출시되고 있으나, 동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고가의 액정패널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조단가가 과대해지며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액정패널의 구동전원이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85541호(2010.07.29), 디지털액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자에 수용된 사진의 인물 이미지를 터치하면 각 인물별로 관련된 음원데이터가 자동 출력되는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상기 음원출력 기능이 구현되도록 상기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가 포함된 사진(10)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111)가 내측에 마련된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진(10)이 포개지는 형태로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사진(10)의 상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터치셀(121)로 이루어진 터치패널(120); 상기 터치패널(12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인물이미지(I1)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 정보 및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별로 매칭된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와, 상기 음원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30);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판독하며,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 내에 포함된 터치셀(121)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음원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매칭되는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음원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원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160);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사진(10)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버튼이미지(I2)가 포함되되,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터치패널(12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제어버튼이미지(I2)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 정보와 상기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별로 매칭된 제어신호의 제어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와, 상기 제어신호가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 내에 포함된 터치셀(121)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과 매칭되는 제어신호의 내용에 따른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사진액자는, 상기 터치패널(120)의 상부에 안착된 사진(1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사진(10)과 포개지는 형태로 상부에 안착되며,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미지(I3)가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스킨시트부(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터치패널(12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아이콘이미지(I3)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3) 정보와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3)별로 매칭된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와, 상기 음원데이터가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3) 내에 포함된 터치셀(121)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음원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음원출력 터치영역(R3)과 매칭되는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음원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진액자(100)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가 포함된 사진(10)의 이미지데이터를 독출하여 인터페이스 장치(20)의 화면 상에서 터치패널(120)의 설정된 터치영역 범위 내에 상기 사진(10)의 이미지를 배치하는 이미지 배치 단계(S210);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의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사진(10)의 이미지가 배치된 터치패널(120)의 터치영역 내에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인물이미지(I1)의 형태와 매칭되는 음원출력 터치영역(R1)을 설정하는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20);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기저장된 음원데이터 중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별로 매칭되는 음원데이터를 설정하는 출력음원 설정 단계(S230); 및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20) 및 출력음원 설정 단계(S230)를 통해 설정된 각 설정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 생성 단계(S240);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사진액자와 같이 인화된 이미지만을 열람하다가 사용자가 사진의 인물 이미지를 터치하면 해당 인물의 육성이나 좋아하는 음악 등의 관련된 음원데이터가 자동 출력되므로 시각적 효과뿐만 아니라 청각적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며, 당시의 현장감을 보다 생생하게 추억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액정패널없이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진에 포함된 여러 인물별로 해당 인물에 관련된 음원데이터가 매칭되어 저장 및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인물의 음원을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된다.
셋째, 주변의 음파를 취합하여 전기적 신호 형태의 음원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부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사용자의 육성이나 음악 등을 녹음할 수 있고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특정 인물의 음원데이터로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음원데이터와 해당 인물의 이미지를 상호 매칭시키는 과정이 보다 용이해진다.
넷째,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노트북 및 PC 등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설치 및 구동시키며, 상기 사진액자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를 연동시켜 화면상에서 사진에 포함된 각 인물별로 음원출력 터치영역을 설정하고 원하는 음원데이터가 매칭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진액자에 수용되는 사진이 바뀌더라도 해당 사진의 인물에 따라 음원출력 기능의 설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의 외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와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호 연결되어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사진액자에 입력 및 저장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인터페이스 장치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되는 화면창을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배치 단계를 통해 터치영역창에 사진의 이미지가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를 통해 상기 터치영역창 상에서 인물 이미지에 매칭되는 음원출력 터치영역을 설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력음원 설정 단계를 통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별로 음원데이터가 매칭되어 설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10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100)는 액자에 수용된 사진(10)의 인물이미지(I1)를 터치하면 각 인물별로 관련된 음원데이터가 자동 출력되는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100)로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 터치패널(120), 메모리부(130), 제어부(140), 인터페이스부(150) 및 스피커부(16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외부 형상을 이루며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가 포함된 사진(10)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111)가 내측에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상기 케이스(110)는 터치패널(120)의 배면을 지지하여 터치패널(120)을 통한 터치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판(113)과, 수용된 사진(10)의 이미지가 외부로 표출되도록 중앙이 개구된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터치패널(120)의 상면에 안착된 사진(10)이 고정되도록 테두리가 지지판(113)의 둘레에 체결되는 전면커버(11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13)의 배면에는 사진액자(100)가 세워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받침부(114)가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사진(10)은 인화용지에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 제어버튼이미지(I2) 및 아이콘이미지(I3)가 인화된 인쇄물로서, 사진관에서 인화되는 인화지이거나 칼라프린터 등의 인쇄수단을 통해 인쇄된 인쇄지일 수 있으며, 사진(10)의 상면을 통해 터치패널(120)의 상부를 터치할 때 터치패널(120)의 터치셀(121)이 터치반응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터치패널(120)은 사진(10)의 상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터치셀(121)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로서,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사진(10)이 포개지는 형태로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어부(140)와 신호연결되어 감지된 터치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100)는, 상기와 같이 사진(10)이 상면에 안착되는 터치패널(120)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동작은 감지하면서도 안착된 사진(10)을 통해 원하는 이미지를 외부로 표출할 수 있어 종래의 디지털액자의 액정화면과 같은 영상표출수단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사진액자(100)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비용이나 이미지를 표출하기 위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함에 있어서, 저항막 방식 및 감압 방식 등과 같이 사진(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눌려진 위치를 감지하는 가압방식 또는, 사용자의 손 등의 미세 인체전류 등의 정전압을 감지하는 정전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전 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사진(10)의 상부면 또는 스킨시트부(40)의 상부면에 인가되는 정전압이 사진(10)을 통해 터치패널(1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사진(10) 및 스킨시트부(40)는 상기 정전압을 터치패널로 전달할 수 있는 전기전달 물질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 방식 및 정전 방식 이외에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및 광학 방식 등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터치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널의 감지방식이면 어떠한 방식이든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3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100)를 구동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터치패널(12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인물이미지(I1)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 정보 및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별로 매칭된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와, 상기 음우원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터치패널(120)을 구성하는 다수의 터치셀(121)이 갖는 각각의 위치좌표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저장된 위치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 정보는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셀(121)의 위치한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구분되어 지정된 터치영역에 대한 설정정보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인물이미지(I1)의 외형과 매칭되어 설정된다. 이때, 도면에는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이 인물이미지(I1)의 외형을 개괄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블록영역인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 인물이미지(I1)의 외부형상과 동일하게 굴곡진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음원설정 정보는 각각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에 포함된 터치셀(121)로부터 터치신호가 생성되면 기저장된 특정 음원데이터가 스피커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각 음원출력 터치영역(R1)와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가 상호 매칭된 설정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터치패널(120)를 구성하는 다수의 터치셀(121)이 갖는 각각의 위치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120)로부터 생성된 터치신호에 따라 기설정된 음원데이터가 스피커부(160)를 통해 자동출력되도록 중앙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입력되거나 저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판독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 내에 포함된 터치셀(121)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음원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매칭되는 음원데이터가 스피커부(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음성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100)에는 3명의 인물이미지(I1)가 포함된 사진(10)이 사진액자(100)에 수용되고,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각 인물별로 구분되는 3개의 음원출력 터치영역(R1)이 설정되며, 사용자가 사진(10) 상에서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 중 임의의 음원출력 터치영역(R1) 내에서 임의의 위치를 가압하게 되면, 가압된 위치에 배치된 터치패널(120)의 터치셀(121)이 가압에 의해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각 터치셀(121)별 위치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통해 터치패널(120)의 전체 터치영역에서 터치동작이 이루어진 터치위치를 판단하며, 판단된 터치위치 즉, 해당 터치셀(121)의 위치좌표가 기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에 포함될 경우, 해당 음원출력 터치영역(R1)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데이터를 메모리부(130)로부터 독출하여 스피커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해당 인물이미지(I1)에 대한 음원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인터페이스 장치(20)와 신호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전기적 커넥팅 수단으로서, 상기 터치패널(12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인물이미지(I1)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 정보 및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별로 매칭된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와 상기 음원데이터가 입력되며, 입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와 음원데이터는 메모리부(130)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는 사용자가 운용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진액자(100)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되는 클라이언트 단말이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생성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저장된 외부 메모리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전자적 통신장치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는 스마트폰(20a), PC(20b) 및, 노트북(20c) 등과 같이 구동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창(30)과 사용자 입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이 구비된 단말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메모리에는 USB 스틱(20d), SD카드, DVD, CD 등의 데이터 저장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신호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장치(20)에 따라 USB포트, 5핀, 8핀, 20핀 등의 커넥터, DVD롬 및 CD롬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부(170)는, 사용자가 음성의 음파를 취합하여 그 진동에 따른 전기적 신호 형태의 음원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마이크부(170)에서 생성된 음원데이터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마이크부(10)를 통해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임의로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매칭되도록 설정하여,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 내에 포함된 터치셀(121)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녹음된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부(10)의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육성이나 음악 등을 인터페이스 장치(20)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실시간으로 녹음할 수 있고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특정 인물의 음원데이터로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음원데이터와 해당 인물의 이미지를 상호 매칭시키는 과정이 보다 용이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10)에는 사진액자(100)의 음원데이터 출력 제어를 위해 사용자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버튼을 케이스(110)에 배치하지 않고 터치패널(120)의 터치영역 내에 사용자의 임의대로 제어버튼 영역을 형성하여 사진액자(100)의 각종 조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사진(10)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버튼이미지(I2)가 포함되며, 상기 메모리부(130)는 터치패널(12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제어버튼이미지(I2)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 정보와 상기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별로 매칭된 제어신호의 제어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와, 상기 제어신호가 더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 내에 포함된 터치셀(121)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과 매칭되는 제어신호의 내용에 따른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프로그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물이미지(I1)의 터치에 따른 음원데이터가 출력된 후, 다시 같은 음원데이터를 출력하고자 할 때 또는 하나의 인물이미지(I1)에 복수 개의 음원데이터가 매칭되어 설정되는 경우 복수 개의 음원데이터 중 원하는 음원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듣고자 할 때에는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이 필요한데, 사용자는 사진(10) 상에 인물이미지(I1)와 함께 원하는 형태의 제어버튼이미지(I2)를 별도의 편집프로그램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버튼이미지(I2)가 배치된 터치패널(120)의 터치영역 즉,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에 원하는 기능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출력되는 음원데이터의 앞에 배치된 음원데이터를 출력시키는 프론트 제어버튼 이미지, 현재 출력되는 음원데이터의 실행시키거나 멈추게 하기 위한 플레이 멈춤 제어버튼 이미지, 현재 출력되는 음원데이터의 뒤에 배치된 음원데이터를 출력시키는 백 제어버튼 이미지 등 다양한 제어기능을 매칭시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인물이미지(I1)를 터치하여 해당 인물이미지(I1)와 매칭되는 음원데이터가 출력된 후, 상기 제어버튼 이미지를 터치함으로써 음원데이터의 출력상태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푸쉬버튼과 같은 입력버튼을 케이스(110) 상에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터치패널(120) 상에 동일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영역을 지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입력버튼을 사진액자(100)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지며 상기 입력버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12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임의대로 제어버튼이미지(I2)를 배치하여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을 지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별로 독창적인 형태의 사진액자(100)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100)는, 상기 인물이미지(I1)와는 별개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데이터를 임의로 원하는 음원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사진(10)에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미지(I3)가 포함되며,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터치패널(12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아이콘이미지(I3)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3) 정보와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3)별로 매칭된 음워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와, 상기 음원데이터가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3) 내에 포함된 터치셀(121)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음원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음원출력 터치영역(R3)과 매칭되는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음원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사진(10) 상에 인물이미지(I1)와 함께 원하는 형태의 아이콘이미지(I3)를 별도의 편집프로그램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이미지(I3)가 배치된 터치패널(120)의 터치영역 즉, 음원출력 터치영역(R3)을 매칭시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세지 형태의 아이콘이미지(I3)를 터치하게 되면 상기 인물이미지(I1)를 터치했을 때와는 별개로 음성메세지 형태로 미리 저장된 메세지 음성이 출력될 수 있으며, 케익 형태의 아이콘이미지(I3)를 터치하게 되면 생일축하 노래나 음악이 출력되는 등 아이콘이미지(I3)와 매칭되는 소정의 음원데이터를 임의로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인물이미지(I1)에 따른 음원데이터와는 별개로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이미지(I3) 및 음원데이터를 사진 상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출력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음원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어 사진액자(100)의 활용도 및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사진액자(100)는 원하는 인물이미지(I1) 및 아이콘이미지(I3)와 매칭되는 음원데이터를 출력시키거나 제어버튼이미지(I2)와 매칭되는 제어신호로 기능을 실행시키려면 사진(10)의 상부면을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을 이용하여 가압 또는 터치하여야 하며, 사진(10)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에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10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120)의 상부에 안착된 사진(1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사진(10)과 포개지는 형태로 상부에 안착되는 스킨시트부(4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킨시트부(40)는, 사진(10)의 이미지가 외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에서는 제어버튼이미지(I2) 및 아이콘이미지(I3)가 사진(10)에 인물이미지(I1)와 함께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어버튼이미지(I2) 또는 아이콘이미지(I3)를 상기 스킨시트부(40)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10)의 상부에 안착된 스킨시트부(4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 1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볼 때에는 상기 사진(10)에 제어버튼이미지(I2) 및 아이콘이미지(I3)가 배치된 상태와 동일하게 보이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100)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를 통해 인터페이스 장치(20)에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되어, 인터페이스 장치(20)의 화면창(30)을 통해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가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는, 이미지 배치 단계(S210),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20), 출력음원 설정 단계(S230), 음원출력 소스데이터 생성 단계(S240),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50), 제어설정 단계(S260) 및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 생성 단계(S270)를 포함하여 컴퓨터(인터페이스 장치(2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되며, 기억된 프로그램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에 저장 및 구동되며, 해당 인터페이스 장치(20)별로 화면창(30)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수단(21)에 프로그램 화면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장치(20)를 통해 상기 사진액자(100)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장치(2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 인터페이스 장치(20)의 디스플레이 수단(3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창(30)이 표시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화면창(30)에는 터치패널(120)의 전체 터치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좌표 정보가 반영되며 상기 사진(10)의 이미지데이터가 독출되어 배치되는 터치영역창(31)과, 배치된 사진(10)의 이미지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인물이미지(I1)와 매칭되어 소정의 음원출력 터치영역(R1,R2) 및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을 설정하기 위한 항목을 표시하는 개별터치영역 설정창(32) 및,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 및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별로 매칭되는 음원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설정하기 설정하기 위한 항목을 표시하는 개별신호설정창(33) 및,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20), 출력음원 설정 단계(S230),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50) 및 제어설정 단계(S260)를 통해 설정된 각 설정사항을 저장하여 최종적인 음원출력 소스데이터 및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저장블록(34)을 포함하여 표시한다.
먼저, 상기 이미지 배치 단계(S210)는,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가 포함된 사진(10)의 이미지데이터를 독출하여 인터페이스 장치(20)의 화면창(30) 상에서 터치패널(120)의 설정된 터치영역 범위 즉 상기 터치영역창(31) 내에 상기 사진(10)의 이미지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장치(20)의 터치화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터치영역창(31)을 선택(클릭)하면 인터페이스 장치(2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에서 원하는 사진(10)의 이미지데이터를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는 검색창을 팝업하고 상기 검색창을 통해 임의의 사진(10)의 이미지데이터를 설정하면 상기 터치영역창(31)의 크기에 대응되게 해당 사진(10)의 이미지가 매칭되어 배치된다.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20)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의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사진(10)의 이미지가 배치된 터치패널(120)의 터치영역 내에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인물이미지(I1)의 형태와 매칭되는 음원출력 터치영역(R1)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장치(20)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영역창(31) 내에 배치된 사진(10)의 이미지 상에서 각 인물이미지(I1)별로 드래그하여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게 되면 터치영역창(31)에는 각 인물이미지(I1)별로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이 표시되며, 상기 터치영역창(31)의 크기에 대응되게 해당 사진(10)의 이미지가 매칭되어 배치되었기 때문에 상기 개별터치영역 설정창(32)에는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의 위치좌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장치(20)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영역창(31) 내에 배치된 사진(10)의 이미지 상에서 각 아이콘이미지(I3)별로 드래그하여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게 되면, 상기 터치영역창(31)에는 각 아이콘이미지(I3)별로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3)이 표시되며, 상기 터치영역창(31)의 크기에 대응되게 해당 사진(10)의 이미지가 매칭되어 배치되었기 때문에 상기 개별터치영역 설정창(32)에는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3)의 위치좌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출력음원 설정 단계(S230)는,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저장된 음원데이터 중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별로 매칭되는 음원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장치(20)를 이용하여 개별신호설정창(33)을 선택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에서 원하는 음원데이터를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는 검색창을 팝업하고 상기 검색창을 통해 임의의 음원데이터를 기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매칭시켜 설정하면 설정된 내용이 상기 개별신호설정창(33)에 표시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장치(20)를 이용하여 개별신호설정창(33)을 선택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에서 원하는 음원데이터를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는 검색창을 팝업하고 상기 검색창을 통해 임의의 음원데이터를 기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3)과 매칭시켜 설정하면 설정된 내용이 상기 개별신호설정창(33)에 표시된다.
상기 음원출력 소스데이터 생성 단계(S240)는,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20) 및 출력음원 설정 단계(S230)를 통해 설정된 각 설정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사용자는 터치영역창(31) 및 개별터치영역 설정창에 표시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R3)의 설정된 내용과, 개별신호설정창(33)에 표시된 음원데이터 설정내용을 확인한 후 상기 화면창(30)에 포함된 저장블록(34)을 선택하게 되면, 각 설정된 항목이 저장되면서 인물이미지(I1)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 정보 및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별로 매칭된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생성되며, 동시에 각 아이콘이미지(I3)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3) 정보 및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3)별로 매칭된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생성된다.
생성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는 인터페이스 장치(20)에 저장되며,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와 사진액자(100)를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상호 신호연결시킨 상태에서 생성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사진액자(100)의 메모리부(130)에 입력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가 스마트폰(20a), PC(10b) 또는 노트북(20c)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일 경우 외부메모리(20d)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연결시켜 생성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외부메모리(20d)로 이동시켜 저장할 수 있으며, 반면에 외부메모리(20d)를 상기 사진액자(100)의 인터페이스부(150)에 연결시켜 저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메모리부(130)에 직접 입력 및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50)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의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사진(10)의 이미지가 배치된 터치패널(120)의 터치영역 내에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버튼이미지(I2)의 형태와 매칭되는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장치(20)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영역창(31) 내에 배치된 사진(10)의 이미지 상에서 각 제어버튼이미지(I2)별로 드래그하여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게 되면 터치영역창(31)에는 각 제어버튼이미지(I2)별로 설정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이 표시되며, 상기 터치영역창(31)의 크기에 대응되게 해당 사진(10)의 이미지가 매칭되어 배치되었기 때문에 상기 개별터치영역 설정창(32)에는 설정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의 위치좌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설정 단계(S260)는,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별로 매칭되는 제어신호를 설정하는 단계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장치(20)를 이용하여 개별신호설정창(33)을 선택하면 상기 음원데이터를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는 검색창과 별개로 사진액자(100)에 조작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제어신호를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는 검색창을 팝업하고, 상기 검색창을 통해 임의의 제어신호를 기설정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과 매칭시켜 설정하면 설정된 내용이 상기 개별신호설정창(33)에 표시된다.
상기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 생성 단계(S270)는,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50) 및 제어설정 단계(S260)를 통해 설정된 각 설정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사용자는 터치영역창(31) 및 개별터치영역 설정창(32)에 표시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의 설정된 내용과, 개별신호설정창(33)에 표시된 제어신호 설정내용을 확인한 후 상기 화면창(30)에 포함된 저장블록(34)을 선택하게 되면, 각 설정된 항목이 저장되면서 제어버튼이미지(I2)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별로 매칭된 제어신호의 제어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가 생성된다.
생성된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는 인터페이스 장치(20)에 저장되며,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와 사진액자(100)를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상호 신호연결시킨 상태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를 사진액자(100)의 데이터베이스(141)에 입력 및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와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가 각각 구분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20), 출력음원 설정 단계(S230),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50) 및 제어설정 단계(S260)를 거쳐 음원데이터와 제어신호에 대한 모든 설정사항을 마친 후에, 상기 화면창(30)에 포함된 저장블록(34)을 선택함으로써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와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가 동시에 생성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100) 및, 이 사진액자(100)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를 통해,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사진액자와 같이 인화된 이미지만을 열람하다가 사용자가 사진(10)의 인물이미지(I1)를 터치하면 해당 인물의 육성이나 좋아하는 음악 등의 관련된 음원데이터가 자동 출력되므로, 당시의 현장감을 보다 생생하게 추억할 수 있으며 고가의 액정패널없이 이미지를 열람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사진(10)에 포함된 여러 인물별로 해당 인물에 관련된 음원데이터가 매칭되어 저장 및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인물의 음원을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된다.
또한, 사진액자(100)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노트북 및 PC 등의 인터페이스 장치(20)에 설치 및 구동시키며, 상기 사진액자(100)의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를 연결시켜 화면상에서 사진(10)에 포함된 각 인물별로 음원출력 터치영역(R1)을 설정하고 원하는 음원데이터가 매칭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진액자(100)에 수용되는 사진(10)이 바뀌더라도 해당 사진(10)의 인물에 따라 음원출력 기능의 설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사진 20...인터페이스 장치
30...화면창 31...터치영역창
32...개별터치영역 설정창 33...개별신호설정창
100...사진액자 110...케이스
120...터치패널 121...터치셀
130...메모리부 140...제어부
150...인터페이스부 160...스피커부
170...마이크부 I1...인물 이미지
I2....제어버튼이미지 I3...아이콘이미지
R1,R3...음원출력 터치영역 R2...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Claims (4)

  1.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가 포함된 사진(10)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111)가 내측에 마련된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진(10)이 포개지는 형태로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사진(10)의 상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터치셀(121)로 이루어진 터치패널(120);
    상기 터치패널(12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인물이미지(I1)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 정보 및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별로 매칭된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와, 상기 음원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30);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판독하며,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 내에 포함된 터치셀(121)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음원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매칭되는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음원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원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160);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10)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버튼이미지(I2)가 포함되되,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터치패널(12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제어버튼이미지(I2)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 정보와 상기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별로 매칭된 제어신호의 제어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와, 상기 제어신호가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 내에 포함된 터치셀(121)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과 매칭되는 제어신호의 내용에 따른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액자는, 상기 터치패널(120)의 상부에 안착된 사진(1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사진(10)과 포개지는 형태로 상부에 안착되며,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미지(I3)가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스킨시트부(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터치패널(12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아이콘이미지(I3)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3) 정보와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3)별로 매칭된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와, 상기 음원데이터가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3) 내에 포함된 터치셀(121)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음원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음원출력 터치영역(R3)과 매칭되는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음원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진액자(100)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가 포함된 사진(10)의 이미지데이터를 독출하여 인터페이스 장치(20)의 화면 상에서 터치패널(120)의 설정된 터치영역 범위 내에 상기 사진(10)의 이미지를 배치하는 이미지 배치 단계(S210);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의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사진(10)의 이미지가 배치된 터치패널(120)의 터치영역 내에서 터치셀(12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인물이미지(I1)의 형태와 매칭되는 음원출력 터치영역(R1)을 설정하는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20);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기저장된 음원데이터 중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별로 매칭되는 음원데이터를 설정하는 출력음원 설정 단계(S230); 및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20) 및 출력음원 설정 단계(S230)를 통해 설정된 각 설정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 생성 단계(S240);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KR1020130016909A 2013-02-18 2013-02-18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KR10145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909A KR101457639B1 (ko) 2013-02-18 2013-02-18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US14/646,391 US20150301789A1 (en) 2013-02-18 2014-02-17 Photograph frame having sound source output function, and storage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which produces sound source output source data to be input in photograph frame
JP2015557946A JP2016513986A (ja) 2013-02-18 2014-02-17 音源出力機能を備えた写真額縁、及びこの写真額縁に入力されるための音源出力ソースデータを生成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CN201480003138.5A CN104854538A (zh) 2013-02-18 2014-02-17 具有声源输出功能的相框及记录有生成用于向该相框输入的声源输出源数据的程序的记录介质
PCT/KR2014/001260 WO2014126428A1 (ko) 2013-02-18 2014-02-17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억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909A KR101457639B1 (ko) 2013-02-18 2013-02-18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485A true KR20140103485A (ko) 2014-08-27
KR101457639B1 KR101457639B1 (ko) 2014-11-07

Family

ID=5135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909A KR101457639B1 (ko) 2013-02-18 2013-02-18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301789A1 (ko)
JP (1) JP2016513986A (ko)
KR (1) KR101457639B1 (ko)
CN (1) CN104854538A (ko)
WO (1) WO20141264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058A (ko) 2015-02-27 2016-09-06 이진성 휴대폰을 이용한 사진앨범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WO2023149604A1 (ko) * 2022-02-07 2023-08-10 전광표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39721A1 (en) * 2014-11-14 2016-05-19 Hallmark Cards, Incorporated Recordable photo frame with user-definable touch zones
US11027571B2 (en) 2014-11-14 2021-06-08 Hallmark Cards, Incorporated Recordable greeting card with user-definable touch zones
KR20170000784U (ko) 2015-08-21 2017-03-02 이상희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
CN108874357B (zh) * 2018-06-06 2021-09-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提示方法及移动终端
KR102273321B1 (ko) * 2020-06-11 2021-07-06 김병욱 장착 프레임 구조체를 구비하는 음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798A (ko) * 2002-07-04 2004-01-13 유니실버(주) 대화형 디지털 액자
US20070019932A1 (en) * 2005-07-19 2007-01-25 Konica Minolta Technology U.S.A., Inc. Digital photo album producing apparatus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KR20080097518A (ko) * 2007-05-02 2008-11-06 주식회사 디엠테크놀로지 상호 링크된 이미지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전자액자 및 그 출력방법
US20100164836A1 (en) * 2008-03-11 2010-07-01 Truview Digital, Inc. Digital photo album, digital book, digital reader
KR101457404B1 (ko) * 2008-06-13 201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액자 및 그의 이미지 표시방법
KR20100097256A (ko) * 2009-02-26 2010-09-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물 인식 디지털 전화 액자
CN201812496U (zh) * 2010-09-09 2011-04-27 王其健 可录放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058A (ko) 2015-02-27 2016-09-06 이진성 휴대폰을 이용한 사진앨범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WO2023149604A1 (ko) * 2022-02-07 2023-08-10 전광표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01789A1 (en) 2015-10-22
KR101457639B1 (ko) 2014-11-07
CN104854538A (zh) 2015-08-19
WO2014126428A1 (ko) 2014-08-21
JP2016513986A (ja)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639B1 (ko)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KR102536097B1 (ko)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760241B1 (en) Tactile interaction with content
CN101512470B (zh) 信息输出装置
JP6334968B2 (ja) 触覚及びジェスチャ駆動型ペーパーシミュレーション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577066B (zh) 电子装置和使用电子装置的电子笔记系统
CN103365592B (zh) 执行显示器上的对象的方法和设备
JP6654743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操作制御方法および操作制御プログラム
US9489089B2 (en) Touch-sensitive panel
EP2076007A2 (en) Touch control electronic display
US20090222756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howing page flip effect and method thereof
KR20170054919A (ko) 응답 메시지를 추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EP2800025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tecting a displayed object
KR20200045241A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콘텐츠의 다단 표시 방법
CN103970451B (zh) 用于控制内容播放的方法和设备
JP2017111462A (ja) 触感呈示装置及び触感呈示方法
KR2021003815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10021863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컨텐츠 생성 방법
CN108509127A (zh) 启动录屏任务的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KR2021004589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캡쳐 운용 방법
JP6488081B2 (ja) 表示画面を備えた端末装置を用いた周囲雑音による注意散漫の低減
CN110286811A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2011028409A (ja) タッチパネル型情報処理端末、及びキー入力方法
KR101269854B1 (ko)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단말기용 입력보조장치
KR20150079445A (ko) 표면 피쳐를 생성하기 위해 주름형 테셀레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