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784U -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784U
KR20170000784U KR2020150005615U KR20150005615U KR20170000784U KR 20170000784 U KR20170000784 U KR 20170000784U KR 2020150005615 U KR2020150005615 U KR 2020150005615U KR 20150005615 U KR20150005615 U KR 20150005615U KR 20170000784 U KR20170000784 U KR 201700007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ube puzzle
image
type frame
c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희
김순주
조구연
Original Assignee
이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희 filed Critical 이상희
Priority to KR2020150005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784U/ko
Publication of KR20170000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7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는 다수개의 단위블럭이 서로 연결되어 다양한 육면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각 육면체의 노출된 면에는 단위블럭 상의 이미지들이 모여 특정 이미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액자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고, 큐브퍼즐식 액자와 모바일 단말기가 연동되어 큐브퍼즐식 액자의 변화상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서 다양한 이미지나 동영상 및 음원을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에 의하면, 다양하게 변화하는 큐브퍼즐식 액자의 노출면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진이나 이미지를 노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연동되어 특정 이미지나 음원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CUBE PUZZLE TYPE PICTURE FRAME LINKED WITH 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큐브퍼즐의 조립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사진 내용과 연동되어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내용에 대해 확장성을 갖도록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원 및 영상을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나무, 플라스틱, 철재 등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특정 이미지나 사진을 끼워서 진열하도록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액자는 프레임 내에 진열되는 이미지나 사진만 보여지기 때문에 여러 장의 사진을 보기 위하여는 주기적으로 교체하거나 다량의 액자를 준비해야 되며, 그로 인해 불필요한 장소를 차지하게 되는 것과 같은 유지관리상 불편한 점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엘씨디나 엘이디 등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패널에 복수개의 화상이미지를 저장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지털 액자가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 액자는 슬라이드 기능에 따라 복수개의 화상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동영상이 아닌 단순한 정지 화상만을 표현하고 있고 다양한 정보나 음원 등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액자에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 재생장치나 음원 장치 등을 추가로 구비해야 하나, 이러한 부수장치들이 부가되면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실질적으로 경쟁력이 없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752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57639호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사진, 또는 동영상과 음원 등의 다양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큐브퍼즐식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는 다수개의 단위블럭의 모서리 중 일부가 이웃하는 단위블럭의 특정 모서리와 연결되어 다수개의 특정 육면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육각형 큐브퍼즐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럭의 하나 이상의 면에 이미지가 형성되어 상기 특정 육면체의 노출면에 특정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이미지, 영상, 또는 소리를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위블럭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NFC칩 또는 QR 코드에 의해 인터넷 사이트와 연결되도록 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위블럭은 이웃하는 단위블럭과 포개어지는 면에 구비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접촉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태에 따라 특정 이미지, 영상, 또는 소리를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위블럭은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에 의하면, 큐브퍼즐식 액자가 다양한 형태의 육면체로 변화하여 각각 다른 사진이나 이미지를 노출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어 큐브퍼즐식 액자에서 노출되는 사진이나 이미지의 내용에 따라 특정 이미지, 영상, 또는 음원을 재생하여 볼 수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의 변화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사시도.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고안에 의한 큐브퍼즐식 액자는 육면체의 각면이 다수의 정사각형으로 분할된 다수의 단위블럭으로 구성되고, 각 단위블럭의 특정 모서리가 인접하는 단위블럭의 특정 모서리와 부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여러 가지 형태의 육면체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하는 육면체의 각면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사진이나 이미지를 부가하여, 육면체의 변화형태에 따라 다양한 사진이나 이미지가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퍼즐식 액자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어 육면체의 변화형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거나 특정 음원이 재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의 구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큐브퍼즐식 액자(100)는 외면에 문자나 도형이 인쇄된 정육면체의 다수개의 단위블럭(110)들이 서로 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단위블럭(110)의 모서리 중 일부는 이웃하는 단위블럭(110)의 특정 모서리와 연결되어 모서리를 기준으로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즉, 단위블럭(110)의 일부 모서리는 이웃하는 단위블럭(110)의 일부 모서리와 연결되고, 나머지 모서리는 이웃하는 단위블럭(110)의 모서리와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큐브퍼즐식 액자(100)가 다양한 형태의 육면체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 도 4, 도 6, 및 도 8에는 단위블럭(110)의 연결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육면체가 형성되는 것을 각각 보여준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큐브퍼즐식 액자(100)는 정육면체로 형성되고, 6개의 각면(1면 내지 6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육면체의 6개의 각면에는 4개의 단위블럭(110)의 일면이 서로 모여 하나의 면을 형성하는데 단위블럭(110)의 일면에는 각각 특정 사진이 연결되어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큐브퍼즐식 액자(100)의 육면체의 6개의 각면에는 각각 다른 사진이 형성되어 큐브퍼즐식 액자(100)의 배치상태에 따라 다양한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큐브퍼즐식 액자(100)는 단위블럭(110)의 연결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육면체가 형성되는데, 육면체의 변화 형태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6개의 각면에도 서로 다른 사진이 형성됨으로써 큐브퍼즐식 액자(100)의 배치상태에 따라 다양한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큐브퍼즐식 액자(100)의 단위블럭(110)의 연결상태에 따라 특정면에는 하나의 이미지를 형성하지 못하는 면이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큐브퍼즐식 액자(100)의 서로 다른 각면에는 별도의 링크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120)는 NFC 칩 또는 QR 코드와 같은 것으로 구성되어 모바일 단말기(200)와 접촉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200)가 특정 인터넷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120)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200)가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게 되고, 해당 사이트에서 특정 이미지와 음원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에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특정 이미지와 음원이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이미지는 단순한 정지 이미지부터 특정 동영상 또는 홍보 문구 등이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큐브퍼즐식 액자(100)의 단위블럭(110) 중 일부에는 접촉센서(1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센서(130)는 단위블럭(110) 중 서로 맞대어 포개어지는 2개의 단위블럭(110)의 대응위치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단위블럭(110)끼리 서로 접촉되는 상태를 센싱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센서(130)에 의해 단위블럭(110) 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하고, 센싱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접촉센서(130) 간의 접촉상태에 따라 특정 이미지나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즉, 단위블럭(110)들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큐브퍼즐식 액자(100)가 특정 육면체로 변경되고 특정 육면체의 특정 면이 디스플레이되면, 외부로 노출된 면에 나타난 이미지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0)가 특정 이미지나 특정 음원을 재생함으로써 생동감있고 인터렉티브한 이벤트를 연출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큐브퍼즐식 액자(100) 내부에 스피커(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커는 큐브퍼즐식 액자(100)의 접촉센서(130)의 접촉상태에 따라 특정 음원이나 목소리 등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와 연동되어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는 음원과 큐브퍼즐식 액자(100) 내부의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음원이 하나의 음원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음원을 연출할 수 있다(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에서 배경음악이 재생되고, 퍼즐식 액자에서 가수의 노래나 연주곡이 재생되는 형태).
그리고, 큐브퍼즐식 액자(100)의 단위블럭(110)의 특정면에는 큐브퍼즐식 액자(1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도시되지 않음), 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 또는 전원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단위블럭(110)의 특정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는 큐브퍼즐식 액자(100)의 각 면에 나타나는 사진이나 이미지 내용에 따라 특정 불빛을 내거나 특정 이미지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큐브퍼즐식 액자 110 : 단위블럭
120 : 링크부 130 : 접촉센서
200 : 모바일 단말기

Claims (5)

  1. 다수개의 단위블럭의 모서리 중 일부가 이웃하는 단위블럭의 특정 모서리와 연결되어 다수개의 특정 육면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큐브 퍼즐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럭의 하나 이상의 면에 이미지가 형성되어 상기 특정 육면체의 노출면에 특정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이미지, 영상, 또는 소리를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럭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NFC칩 또는 QR 코드에 의해 인터넷 사이트와 연결되도록 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럭은
    이웃하는 단위블럭과 포개어지는 면에 구비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접촉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태에 따라 특정 이미지, 영상, 또는 소리를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럭은
    스피커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
KR2020150005615U 2015-08-21 2015-08-21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 KR201700007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15U KR20170000784U (ko) 2015-08-21 2015-08-21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15U KR20170000784U (ko) 2015-08-21 2015-08-21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84U true KR20170000784U (ko) 2017-03-02

Family

ID=5841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615U KR20170000784U (ko) 2015-08-21 2015-08-21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784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528A (ko) 2009-08-14 2011-02-22 큐넷커뮤니케이션스 유선전화기용 자동접속장치 및 전화서비스 방법
KR101457639B1 (ko) 2013-02-18 2014-11-07 주식회사 리멤버피플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528A (ko) 2009-08-14 2011-02-22 큐넷커뮤니케이션스 유선전화기용 자동접속장치 및 전화서비스 방법
KR101457639B1 (ko) 2013-02-18 2014-11-07 주식회사 리멤버피플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270347U (zh) 便携式游戏装置的壳体部件及便携式游戏装置
US10857450B1 (en) Physical-virtual game board and content delivery platform
CN103386835B (zh) 增强现实系统
US20060215476A1 (en) Manipulable interactive devices
JP2008167065A5 (ko)
JP5743994B2 (ja) 二次元コードを表示した印刷物
CN103391400B (zh) 用于增强的真实感的方法和系统
TW200301734A (en) Removable customizable inserts and faceplate for electronic devices
TW201604720A (zh) 電子裝置及儲存介質
USD955381S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U2006226156A1 (en) Manipulable interactive devices
JP5997606B2 (ja) 表示装置
JP2009183390A (ja) ジグソーパズル
CN105229515A (zh) 展示装置以及影像展示方法
KR20170000784U (ko)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되는 큐브퍼즐식 액자
CN200987413Y (zh) 具多媒体显示功能的纪念奖座
JP5997605B2 (ja) 表示装置
JP6968387B2 (ja) 迷路コードの作成方法、及び、迷路コードの作成プログラム
JP2010193079A (ja) 画像観賞方法
WO2016165358A1 (zh) 一种终端点读方法和装置、以及终端
JP202105667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菓子
TW201044314A (en) Joint dynamic image edi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3164576A5 (ko)
Rossi A hand-held 3D-printed box projector study for a souvenir from a mixed-reality experience
KR20190127356A (ko)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