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203A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203A
KR20140103203A KR20130015748A KR20130015748A KR20140103203A KR 20140103203 A KR20140103203 A KR 20140103203A KR 20130015748 A KR20130015748 A KR 20130015748A KR 20130015748 A KR20130015748 A KR 20130015748A KR 20140103203 A KR20140103203 A KR 20140103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mergency information
emergency
information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5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008B1 (ko
Inventor
박소라
임형수
김건
이용훈
이용태
백명선
임보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15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008B1/ko
Priority to FR1359863A priority patent/FR3002106A1/fr
Publication of KR2014010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3Code application, i.e. aspects relating to how codes are applied to form multiplexe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6Cod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지국에 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MB) 송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 긴급 정보 신호는 긴급 신호 및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의 발생을 알리는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및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에 다른 확산 코드를 할당하여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확산 신호 및 알람 확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확산 신호 및 알람 확산 신호를 전송 프레임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송신 및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및 송수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을 통한 재난 방송 기술에 있어서, 전원 플러그가 꽂혀 있으면 전원 스위치가 꺼져 있는 오프(OFF) 상태에서도 재난 방송이 시작되면 자동으로 재난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별도의 부가 장치가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스위치가 꺼져 있는 오프 상태에서 재난 방송을 수신하는 것을 수신기를 되살린다고도 한다.
그런데 휴대용 소형 방송 단말을 통한 재난 방송의 경우, 전력 소모 문제는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런데, 전송 프레임의 널(null) 위치에서 재난 방송이 있는지와 관련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재난을 인지하기 위해 적어도 2 프레임 이상의 프로세싱이 요구된다. 따라서, 적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이를 위한 종래 기술로 긴급 상황을 알리는 긴급 정보 유무 신호와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며, 긴급 상황이 아닐 경우 동일 대역 내에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재난 방송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한국 공개 특허 10-2012-0032403). 다만, 상기 종래 방식의 재난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나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분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서비스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서비스를 다중화하여 보내는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이때, 복수의 긴급 상황 서비스 신호가 하나의 채널 코딩 및 인터리빙 확산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모든 서비스들이 같은 서비스 권역 및 수신 품질을 갖게 되고, 다중에 따른 개별 서비스 수신 지연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 및 상호 상관 특성이 좋은 확산 코드 세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관련 서비스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각각 채널 코딩, 인터리빙 및 확산 코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서비스에 따른 확산 코드를 지정하여 별도의 값으로 송신함으로써 수신기에서 빠른 서비스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에 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MB) 송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 긴급 정보 신호는 긴급 신호 및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의 발생을 알리는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및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에 다른 확산 코드를 할당하여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확산 신호 및 알람 확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확산 신호 및 알람 확산 신호를 전송 프레임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방법은 상기 적어도 긴급 정보 신호의 구성 및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헤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헤더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및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에 할당된 확산 코드와 다른 확산 코드를 할당하여 전송 헤더 확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방법은 상기 긴급 정보 확산 신호, 상기 알람 확산 신호 및 상기 전송 헤더 확산 신호를 변조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신호에 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에는 제 1 세트의 확산 코드를 할당하고,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에는 제 2 확산 코드를, 상기 전송 헤더에는 제 3 할당 코드를 할당하되, 상기 제 1 세트의 확산 코드는 자기 및 상호 상관 특성이 우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세트의 확산 신호의 길이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정보는 채널 코딩, 인터리빙 및 확산 코드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정보 신호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서로 다른 서비스 목적 또는 서비스 권역을 기반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는 서로 다른 채널 코딩(channel coding) 수단 및 인터리버(interleaver)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알람 확산 신호는 상기 전송 프레임의 동기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긴급 정보 확산 신호는 상기 전송 프레임의 정보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MB) 송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 긴급 정보 신호는 긴급 신호 및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의 발생을 알리는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및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에 다른 확산 코드를 할당하여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확산 신호 및 알람 확산 신호를 생성하는 확산 신호 생성부 및 상기 긴급 정보 확산 신호 및 알람 확산 신호를 전송 프레임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단말기에 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MB) 수신 방법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의 확산 신호로부터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획득하여 긴급 정보 신호 - 긴급 정보 신호는 긴급 신호 및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 의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긴급 정보 신호 발생시 상기 확산 신호를 확산 코드를 통해 동기화하고 역확산하여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긴급 정보 알림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는 서로 다른 확산 코드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은 상기 확산 신호를 역확산하여 상기 적어도 긴급 정보 신호의 구성 및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헤더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송 헤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및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에 할당된 확산 신호와 다른 확산 코드를 통해 역확산될 수 있다.
상기 전송 헤더에 포함된 전송 정보는 채널 코딩, 인터리빙 및 확산 코드 관련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전송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은 재난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선택에 따라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의 OFDM 신호를 수신 동기화하고, 복조 및 디코딩을 수행하여 기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는 제 1 세트의 확산 코드를,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는 제 2 확산 코드를, 상기 전송 헤더는 제 3 할당 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하되, 상기 제 1 세트의 확산 신호는 자기 및 상호 상관 특성이 우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정보 신호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서로 다른 서비스 목적 또는 서비스 권역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는 역확산 이후, 채널 디코딩(channel decoding), 디인터리빙(interleaving) 및 디코딩을 수행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MB) 수신 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의 확산 신호로부터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획득하여 긴급 정보 신호 - 긴급 정보 신호는 긴급 신호 및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 의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긴급 정보 알람 신호 획득부 및 상기 긴급 정보 신호 발생시 상기 확산 신호를 확산 코드를 통해 동기화하고 역확산하여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를 획득하는 긴급 정보 신호 획득부를 포함하되, 상기 긴급 정보 알림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는 서로 다른 확산 코드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송수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 긴급 정보 신호는 긴급 신호 및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의 발생을 알리는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및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에 서로 다른 확산 코드를 할당하여 확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확산 신호를 기반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의 확산 신호로부터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긴급 정보 신호의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긴급 정보 신호 발생시 상기 확산 신호를 확산 코드를 통해 동기화하고 역확산하여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를 획득하되,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를 서로 다른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각각 채널 코딩, 인터리빙 및 확산 코드로서 확산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증가시킬 때 큰 수정 없이 확산 코드의 증가로 서비스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에 따르면, 각 서비스에 해당하는 지정된 확산 코드를 별도의 값으로 송신하여 수신기에서 빠른 서비스 수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MB(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전송프레임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MB의 전송 계층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DMB 송수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재난방송 시스템의 DMB 송신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7 및 도 8은 긴급정보 알람 신호, 긴급정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확산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긴급정보 알람 신호, 긴급정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확산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OFDM 시스템에 본 발명에 따른 DMB 송수신 방법을 적용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MB 전송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서 확산 신호를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MB(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전송프레임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송 프레임은 동기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된다. 전송프레임의 길이는 일 예로 96ms일 수 있다. 데이터 채널은 FIC(Fast Information Channel)와 MSC(Main Service Channel)로 구분할 수 있다.
전송 시스템은 보통 하나의 전송방식을 사용한다. 긴급정보 신호를 전송하여 수신기와 연결하기 위하여 전송프레임의 특정 데이터 구간에서 긴급정보 신호를 전송해야 하는데,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과 긴급정보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 동일한 경우 긴급정보 신호가 기존에 전송중인 데이터율을 차지한다.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이 긴급정보 신호의 전송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여기서, 긴급정보 신호는 부가정보 신호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긴급정보는 긴급/부가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단, 데이터 구간이 아닌 동기 채널의 TII(Transmit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통해 2프레임당 한번씩 널(null) 심볼 구간에서 긴급 정보를 전송한다면 긴급정보 신호는 기존에 전송중인 데이터율을 차지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MB의 전송 계층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T-DMB 시스템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시스템에 기본을 두고 있다. 오디오 서비스(Audio Service)는 기본적으로 2 채널 또는 다중 채널의 오디오 전송이 가능하다. PAD(Program Associated Data)는 오디오 연동 부가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데, DLS(Dynamic Layer Service)는 노래 제목, 가수 정보, 교통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TDC(Transparent Data Channel)는 형식에 제한이 없는(방송 사업자가 정의하는 고유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BWS(Broadcasting Web Site)는 실시간 뉴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슬라이드 쇼(JPEG Slide Show)는 웹 카메라(Web Camera) 연동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쌍방향 서비스(Interactive Service)도 가능하다.
NPAD(Non-PAD)는 독립 채널 서비스로서 별도의 방법으로 전송되는 방법의 서비스이다.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중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은 파일을 수신기로 다운로드해주는 프로토콜로서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IP 터널링(Internet Protocol Tunneling)은 IP 패킷을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은 실시간 교통 정보 및 부가 정보 서비스할 수 있다.
특히, 고속정보 데이터 채널(FIDC: 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EWS(Emergency Warning System)는 긴급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될 수 있는 데이터 영역이다.
도 3은 DMB 송수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 송수신 시스템은 DMB 송신 장치(300) 및 DMB 수신 장치(350)와 상기 송신 및 수신 장치(300, 35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장치(300)는 기지국일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350)는 단말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DMB 송신 장치(300)는 제어부(310), 긴급 정보 신호 발생부(312), 긴급 정보 알람 신호 발생부(314), 기존 신호 발생부(316) 및 송신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긴급 정보가 발생하면, 제어부(310)는 긴급 정보 신호 발생부(312) 및 긴급 정보 알람 신호 발생부(314)에서 각각 긴급 정보 신호 및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긴급 정보 신호 발생부(312)는 서로 다른 긴급 정보 신호를 서로 다른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확산하여 긴급 정보 확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긴급 정보 신호 발생부(312)와 긴급 정보 알람 신호 발생부(314)는 서로 다른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확산을 수행함으로써 긴급 정보 확산 신호 및 알람 확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긴급 정보 확산 신호 및 알람 확산 신호는 송신부(320)를 통해 기존 신호 발생부(316)에서 생성된 기존 신호와 함께 수신 장치(350)로 전송될 수 있다. 기존 신호 발생부(316)는 긴급 정보 발생 이전부터 전송되고 있던 기존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네트워크(340)는 DMB 송신 장치(300)와 DMB 수신 장치(350)의 연결을 위한 구성요소로서,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네트워크(340)는 방송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MB 수신 장치(350)는 수신부(360), 긴급 정보 신호 검출부(362), 긴급 정보 알람 신호 검출부(364) 및 기존 신호 획득부(36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360)는 DMB 송신 장치(300)로부터 긴급 정보 확산 신호 및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포함하는 DMB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부(360)는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분류하여 긴급 정보 알람 신호 검출부(364)로 전송하고,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통해 긴급 정보가 발생했는지 유무를 판단한다.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통해 긴급 정보 신호의 발생을 파악한 경우, 긴급 정보 신호 검출부(362)는 긴급 정보 확산 신호의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수행하여 긴급 정보 신호를 획득한다. 기존 신호 획득부(366)는 재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이용 선택에 따라 기존 신호를 수신할 것을 선택하였을 시, 기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재난방송 시스템의 DMB 송신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재난방송 시스템과 같은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DMB 송신 장치는 긴급정보 알람 신호 발생부(410), 긴급정보 신호 발생부(412), 대용량 긴급정보 신호 발생부(414), 전송프레임 생성부(420),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 발생기(430), 및 고전력증폭기(440)를 포함한다.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신 장치는 방송망을 통하여 재난발생과 같은 긴급정보 신호의 유무만을 알리는 매우 짧은 긴급정보 알람 신호를 DMB 전송 프레임의 동기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고, 세부 정보를 포함한 긴급 정보는 별도의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긴급정보 알람 신호 발생부(410)는 지상파 DMB의 전송 프레임의 동기채널의 널 채널을 통하여 긴급정보 신호의 발생 여부를 알릴 수 있도록, 긴급정보 알람 신호를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긴급정보 신호 발생부(412)는 긴급정보 알람 신호의 발생주기 및 코드 정보, 재난방송과 같은 긴급정보의 종류, 긴급정보의 레벨, 재난발생지역 위치, 재난방송 메시지, 주 재난방송 채널 번호 등을 DMB 방송 규격에 맞게 생성한다. 이 긴급정보 신호는 FIC의 FIDC(특히, EWS)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생성되는 긴급 정보 신호의 구성 및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 헤더가 제공될 수 있다. 전송 헤더는 긴급 정보 알람 신호 및 긴급 정보 신호와 다른 확산 코드를 통해 확산될 수 있다.
대용량 긴급정보 신호 발생부(414)는 필요에 따라 대용량 긴급정보 신호를 생성한다. 이 정보는 MSC 채널(426)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전송 프레임 생성부(420)는 상기 신호들이 별개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DMB 전송 프레임을 생성한다. 즉, 긴급정보 알람 신호는 동기채널의 널 채널(422), 긴급정보 신호는 FIC의 FIDC(422), 그리고 대용량 긴급정보 신호는 MSC(426)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DMB 전송 프레임을 생성한다. 이후, OFDM 신호 발생부(430)가 DMB 전송 프레임을 변조하여 OFDM 신호를 생성하면, 고전력 증폭부(High Power Amplifier;HPA)(440)는 OFDM 신호를 일정한 전력으로 증폭하여 전송한다.
송신기는 긴급정보의 발생 유무만을 알리는 긴급정보 알람 신호는 DMB 방송의 동기 채널의 널 채널(422)을 통하여 전송하고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정보 신호는 별도의 채널인 FIDC(424)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수신기는 수신기의 전원 스위치가 꺼져있는 상태에서도 긴급정보 알람 신호만을 검사하고, 긴급정보가 있음을 확인하면 긴급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채널로 이동함으로써, 언제든지 긴급정보의 수신이 가능하면서도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전송프레임의 널 심볼 구간을 이용하여 긴급정보 알람 신호를 전송하고(TII를 전송하는 경우 TII가 포함되지 않은 널 심볼 구간을 이용한다), FIDC(424)를 이용하여 간단한 재난사항을 알리며, 자세한 사항은 MSC(426)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FIDC(424)를 통해 긴급 정보를 전달할 때 기존의 FIDC(424)를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를 중지하여야 한다.
FIDC(424)를 통해 긴급 정보 신호가 전달되고 있으므로, 수신기의 모든 동작(예를 들면, 동기화 및 복조)이 정상 작동된 이후에 FIDC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수신기의 모든 동작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수신기의 수신 전계 강도가 기존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최소 수신 전계 강도 이상이 되어야 한다.
긴급정보 알람 신호가 널 심볼 구간을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 특히, TII를 이용한 전송에 있어서 TII가 포함되지 않은 널 심볼 구간을 통해서 긴급 정보 알람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임의의 시점에서 긴급 정보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 프레임의 프로세싱이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존 신호(Source: 510-1,..., 510-N)를 기반으로 OFDM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를 확산시켜 긴급 정보 확산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 전송 헤더(514)를 확산시키는 구성, 긴급 정보 알람 신호(516)를 확산시켜 알람 확산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 및 상기 신호를 합산하여 고주파 변환을 통해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기존 신호(510-1,..., 510-N)는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의 발생 전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존 신호(510-1,..., 510-N)는 채널에 따라 복수의 방송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은 별도의 서로 다른 소스 코덱(source codec)을 통해 부호화되고, 서로 다른 채널 코딩 수단 및 인터리버에 의해 채널 코딩 및 인터리빙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과한 적어도 하나의 기존 신호(510-1,..., 510-N)는 먹스(mux: multiplexer)를 통해 다중화되고 FIC 싱크(synch)와 함께 OFDM 변조기를 통해 변조된 후, 업컨버터(upconverter) 및 고주파 증폭기(HPA)를 통해 수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먹스는 소스 코덱과, 채널코딩 및 인터리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가 발생하면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 전송 헤더(514) 및 긴급 정보 알람 신호(516)를 확산한 신호와 더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호일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서비스 목적 또는 서비스 권역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긴급 정보 신호 1(512-1)은 서비스 권역을 반경 1km로, 긴급 정보 신호 2(512-2)는 서비스 권역을 반경 2km로, 긴급 정보 신호 3(512-1)은 서비스 권역을 반경 4km로 하는 등 서로 다른 서비스 권역을 갖는 긴급 정보 신호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의 목적을 달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는 서로 다른 소스 코덱(source codec)을 통해 부호화되고, 서로 다른 채널 코딩 수단 및 인터리버에 의해 채널 코딩 및 인터리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과한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에 대해 서로 다른 확산 코드(522-1,..., 522-N)를 할당할 수 있다. 확산 코드는 PN(Pesudo Noise) 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할당되는 서로 다른 확산 코드(522-1,..., 522-N)는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는 확산 코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 코드(522-1,..., 522-N)는 자기 및 상호 상관 특성이 우수한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확산 코드(522-1,..., 522-N)의 길이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확산 코드(522-1,..., 522-N)의 길이는 성능에 따라 변경 가능하고, 동기 신호의 길이와 출현 간격을 인지한 상태에서, 이를 기반으로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확산 코드(522-1,..., 522-N)를 통해 확산을 수행하여 긴급 정보 확산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기존 신호와는 별도로 전송되므로 기존 방송과 관련된 전송은 그대로 유지하고 추가적으로 긴급 정보 확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MB 송신 장치는 전송 헤더(514)를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와 같이 전송할 수 있다. 전송 헤더(514)는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의 구성과 관련된 정보 및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 각각의 서비스에 따른 전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송 정보는 각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의 채널 코딩, 인터리빙 및 확산 코드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신 장치에서는 확산 코드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간단하게 긴급 정보 확신 신호에 대한 역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장치는 전송 헤더(514)에 대해 소스 코덱을 통해 부호화하고, 인터리버를 통해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그리고는 확산 코드(524)를 이용하여 확산을 수행한다. 확산 코드(524)는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에 사용되었던 확산 코드(512-1,..., 512-N)와 다른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DMB 송신 장치는 긴급 정보 알람 신호(516)를 확산시켜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긴급 정보 알람 신호(516)를 확산 코드(526)를 이용하여 확산시킨 후 전송할 경우, 널 심볼 구간을 통해 전송되지 않으므로, 2 프레임의 프로세싱이 요구되지 않는다. 긴급 정보 알람 신호(516)의 확산에 사용되는 확산 코드(526)는 상기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 및 전송 헤더(514)의 확산에 사용되었던 확산 코드(522-1,...,522-N, 524)와는 다른 코드일 수 있다.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긴급 정보 신호(512-1,..., 512-N)에 대한 확산 신호, 전송 헤더(514)에 대한 확산 신호 및 긴급 정보 알람 신호(516)에 대한 확산 신호를 더하여 확산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기존 신호(OFDM 신호)에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송되는 확산 신호는 기존의 OFDM 신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전력을 가지며, 기존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부분에 추가하는 등 기존 시스템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추가되는 신호 중 일부에는 다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 수신 장치는 수신 RF 모듈(610), 기존 신호를 획득하는 구성, 긴급 신호의 인지를 위한 구성 및 긴급 정보 신호 획득을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신 모듈(610)은 확산 신호를 포함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는, 긴급 정보와 관련된 신호(긴급 정보 신호, 긴급 정보 알람 신호 및 전송 헤더를 포함할 수 있음)가 없는 경우, 방송 신호와 관련된 OFDM 신호를 수신하여 일반적인 프로세스에 따라 수신 동기, OFDM 복조, 서비스 선택에 따른 채널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을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소스 디코덱을 통해 소스 복호화를 수행하여 기존 신호를 획득한다(620). 긴급 정보와 관련된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수신 모듈(610)은 기존 신호를 확산 신호와 구별하여, 확산 신호는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하고, OFDM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재난 서비스 선택에 따라 채널 복호화 및 디인터리빙을 수행한 후, 소스 복호화하여 특정 채널의 기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620).
긴급 정보와 관련된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OFDM 신호를 수신하는 것과 동시에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통해 긴급 정보 신호의 발생을 인지한다. 긴급 정보 신호의 발생을 인지한 경우, 확산 코드 동기와 수신 동기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재난 서비스의 선택을 받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재난 서비스 선택을 통해 기존 신호를 계속 수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긴급 정보 신호의 수신 프로세스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확산 코드 동기가 수행된 후, 수신 장치는 확산 신호를 역확산하고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전송 헤더(614)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송 헤더(614)에는 긴급 정보 신호의 구성 및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의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전송 정보(채널 코딩 정보, 인터리빙 관련 정보 및 확산 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 헤더를 통해 서비스를 선택한 후, 선택된 긴급 정보 확산 신호의 확산 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역확산을 수행하고, 채널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 동작을 수행하며, 소스 복호화를 수행하여 원하는 긴급 정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61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헤더(614)의 획득 및 서비스 선택 과정 없이도,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확산 신호에 대한 역확산을 수행하여 긴급 정보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확산 신호를 서로 다른 지정된 확산 코드를 가지고 있고, 이 값은 전송 헤더를 통해 별도로 송신될 수 있으며, 수신 장치는 상기 별도로 송신된 확산 코드 관련 정보를 통해 빠른 서비스 수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긴급정보 알람 신호, 긴급정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확산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송신기에서 PN(Pseudo Noise) 코드(code) 생성기는 한 개의 PN 코드를 생성한다. 바이폴라 컨버터(bipolar converter)를 통해 메시지 데이터와 PN 코드를 각각 변환한 후 곱하여 확산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확산 신호를 수신기가 수신한 후, 이 값을 PN 코드를 바이폴라 컨버터로 변환한 값과 곱한 후 적분기로 적분하고, 메시지 데이터 복호기로 복호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얻는다.
예를 들어, 메시지 데이터가 ‘1,0’인 경우 바이폴라 컨버터를 통하여 변환한 결과 ‘1,-1’이고, PN 코드가 ‘0,1,0,1’인 경우 바이폴라 컨버터를 통하여 변환한 결과가 ‘-1,1,-1,1’이다. 변환 결과를 각각 곱하면 ‘-1,1,-1,1’ 및 ‘1,-1,1,-1’을 얻는다. 여기에 앞서 생성한 PN 코드 ‘0,1,0,1’을 바이폴라 컨버터로 변환한 ‘-1,1,-1,1’을 곱하면, ‘1,1,1,1’ 및 ‘-1,-1,-1,-1’을 얻을 수 있고, 적분기로 적분하면 ‘4,-4’를 얻을 수 있다. 이를 메시지 데이터 복호기로 복호하면 최초 메시지 데이터인 ‘1,0’을 얻을 수 있다.
PN 코드가 한 개만 생성되므로 PN 코드의 각 코드셋 간의 상관관계(cross correlation)는 중요하지 않고 자기 자신과의 자기상관관계(auto correlation) 성능이 중요하다. 자기상관관계 특성이 좋으면 수신기에서 PN 코드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어 다중경로 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코드 셋은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에 할당되기에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에 할당되는 1 세트의 확산 코드는 자기 및 상호 상관 특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다만, 긴급 정보 신호 및 긴급 정보 알람 신호 간, 긴급 정보 신호와 전송 헤더 간 및 긴급 정보 알람 신호와 전송 헤더 간의 확산 코드로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를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도 7 및 도 8의 확산 신호 생성 방법을 실수부(real part) 및 허수부(imaginary part)에 각각 적용하여 확산 신호를 생성한다.
도 9 및 도 10은 긴급정보 알람 신호, 긴급정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확산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송신기에서 PN 코드 생성기는 메시지 데이터로부터 4개의 서로 다른 PN 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신기는 PN 코드를 바이폴라 컨버터로 변환한 값과 수신한 결과를 곱한 후 적분기로 적분하고, 메시지 데이터 복호기로 복호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얻는다.
예를 들어, 메시지 데이터가 ‘00,01,10,11’중 하나일 때, PN 코드 생성기는 4개의 서로 다른 PN코드 ‘1,1,1,1’, ‘1,-1,1,-1’, ‘1,1,-1,-1’ 및 ‘1,-1,-1,1’중 하나를 생성하고 확산 신호로 전송한다. 즉, 메시지 데이터가 ‘00’이면 PN 코드는‘1,1,1,1’이고, 메시지 데이터가 ‘01’이면 PN 코드는 ‘1,-1,1,-1’이고, 메시지 데이터가 ‘10’이면 PN 코드는 ‘1,1,-1,-1’이고, 메시지 데이터가 ‘11’이면 PN코드는 ‘1,-1,-1,1’이다. 이와 같은 PN 코드들은 일 예일 뿐이며, 다른 코드의 조합으로 PN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메시지 데이터가 ‘01’이라면 송신기는 PN 코드 생성기에서 PN 코드‘1,-1,1,-1’를 생성하여 확산신호를 전송하고, 수신기에서는 확산신호 ‘1,-1,1,-1’을 수신한다. 수신기에서 PN 코드 생성기1 내지 PN 코드 생성기4로부터 각각 PN 코드 ‘1,1,1,1’, ‘1,-1,1,-1’, ‘1,1,-1,-1’ 및 ‘1,-1,-1,1’을 생성하고 수신한 확산신호와 각각의 PN 코드의 값을 곱한다. 그 결과, ‘1,-1,1,-1’, ‘1,1,1,1,’ ‘1,-1,1,-1’ 및 ‘1,1,-1,-1’을 얻는다. 적분기로 적분하면, 각각 ‘0’, ‘4’, ‘0’ 및 ‘0’이다. PN 코드 생성기2로부터 생성한 PN 코드로부터만 0이 아닌 값을 얻은바, 메시지 데이터 복호기로 복호하면 메시지 데이터가 ‘01’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4개의 코드 패밀리를 이용한 방법은 생성된 코드셋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코드셋 간의 상관특성이 좋을수록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0일 때 가장 좋다). 따라서 수신기에서 디코딩을 위한 블록이 코드셋만큼 필요하다.
이를 본 발명에 적용하면,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에 할당되는 한 세트의 확산 코드는 상호 상관 및 자기 상관 특성이 우수한 것이 좋으므로, 상기와 같은 방식의 코드 셋(또는 코드 패밀리)을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확산 코드의 길이는 가변적일 수 있는데, 코드의 길이가 늘어날수록 상관특성이 나빠지므로 코드길이를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1은 OFDM 시스템에 본 발명에 따른 DMB 송수신 방법을 적용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송신기에서는 메시지 데이터와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확산 신호를 생성한 후 기존의 OFDM 신호와 함께 전송한다. 수신기에서는 OFDM 신호와 확산 신호를 함께 수신하고,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확산 신호를 역확산한 후 적분하여 긴급정보 알람 신호, 긴급정보 신호 및 전송 헤더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MB 전송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송 프레임(transmission frame)은 싱크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FIC 및 MSC로 구성되며, 싱크 채널의 널 심볼을 비롯하여 76개의 심볼로 구성된다. 각각의 심볼은 가드 구간(guard interval) 및 심볼 데이터 구간을 포함한다. 심볼 1에는 PRS(Phase Reference Symbol)이 전송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서 확산 신호를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송 프레임을 싱크(Synch)부분과 데이터(Data)부분으로 나누어 긴급정보 알람 신호를 싱크 부분에 추가하여 전송하고, 긴급 정보 신호 및 전송 헤더는 데이터 부분에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 프레임의 전체 부분에 걸쳐 싱크 및 데이터 부분을 보낼 수 있다. 이때, 추가되는 신호의 전송 프레임을 기존 DMB에 맞출 수도 있고 맞추지 않을 수도 있다.
널 심볼에서는 데이터 부분을 전송할 수 있으며, 싱크 부분을 전송할 수도 있다.
수신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분에서는 긴급정보 알람 신호 또는 긴급정보 신호를 크게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긴급 정보 신호는 복수 개일 수 있으므로, 복수의 긴급 정보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가 전송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에 중복하여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싱크 부분은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에 모두 포함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데이터 중 일부에만 포함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와 중복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긴급정보 알람 신호를 추가하는 것은 수신기를 위한 신호뿐만 아니라 확산 코드를 이용하는 데이터에 대한 동기 신호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송 프레임을 싱크 부분과 데이터, 헤더 부분으로 나누어 긴급정보 알람 신호를 싱크 부분에 추가하여 전송하고 긴급정보 신호는 데이터 부분에 추가하여 전송하되, 중요한 신호를 전송하는 심볼에는 긴급정보 알람 신호 또는 긴급정보 신호를 추가하지 않고 특정 부분에만 싱크 부분 및 데이터 부분으로 나누어 긴급정보 알람 신호 또는 긴급정보 신호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수신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분만 긴급정보 알람 신호 또는 긴급정보 신호를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전송하며, 이 경우 DMB 수신의 성능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동기 신호의 길이와 위치는 성능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기 및 수신기는 각각 동기 신호의 길이와 출현 간격을 알고 있어야 한다.
상기 도 13에서 웨이크-업(Wake-up)으로 별도의 확산코드를 사용하고, 데이터나 전송 프레임 정보를 위해 다른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중첩할 수 있다. 이때, 확산 코드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 또는 CDD(Code Division Duplex)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TDD 및 CDD를 혼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기지국에 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MB) 송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 긴급 정보 신호는 긴급 신호 및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의 발생을 알리는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및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에 다른 확산 코드를 할당하여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확산 신호 및 알람 확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확산 신호 및 알람 확산 신호를 전송 프레임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긴급 정보 신호의 구성 및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헤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헤더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및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에 할당된 확산 코드와 다른 확산 코드를 할당하여 전송 헤더 확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정보 확산 신호, 상기 알람 확산 신호 및 상기 전송 헤더 확산 신호를 변조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신호에 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에는 제 1 세트의 확산 코드를 할당하고,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에는 제 2 확산 코드를, 상기 전송 헤더에는 제 3 할당 코드를 할당하되,
    상기 제 1 세트의 확산 코드는 자기 및 상호 상관 특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확산 신호의 길이는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정보는 채널 코딩, 인터리빙 및 확산 코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정보 신호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서로 다른 서비스 목적 또는 서비스 권역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는 서로 다른 채널 코딩(channel coding) 수단 및 인터리버(interleaver)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확산 신호는 상기 전송 프레임의 동기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긴급 정보 확산 신호는 상기 전송 프레임의 정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방법.
  1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MB) 송신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 긴급 정보 신호는 긴급 신호 및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의 발생을 알리는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및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에 다른 확산 코드를 할당하여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확산 신호 및 알람 확산 신호를 생성하는 확산 신호 생성부;
    상기 긴급 정보 확산 신호 및 알람 확산 신호를 전송 프레임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
  11. 단말기에 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MB) 수신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의 확산 신호로부터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획득하여 긴급 정보 신호 - 긴급 정보 신호는 긴급 신호 및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 의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긴급 정보 신호 발생시 상기 확산 신호를 확산 코드를 통해 동기화하고 역확산하여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긴급 정보 알림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는 서로 다른 확산 코드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신호를 역확산하여 상기 적어도 긴급 정보 신호의 구성 및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헤더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송 헤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및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에 할당된 확산 신호와 다른 확산 코드를 통해 역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헤더에 포함된 전송 정보는 채널 코딩, 인터리빙 및 확산 코드 관련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전송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재난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선택에 따라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의 OFDM 신호를 수신 동기화하고, 복조 및 디코딩을 수행하여 기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는 제 1 세트의 확산 코드를,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는 제 2 확산 코드를, 상기 전송 헤더는 제 3 할당 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하되,
    상기 제 1 세트의 확산 신호는 자기 및 상호 상관 특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정보 신호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서로 다른 서비스 목적 또는 서비스 권역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는 역확산 이후, 채널 디코딩(channel decoding), 디인터리빙(interleaving) 및 디코딩을 수행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MB) 수신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의 확산 신호로부터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획득하여 긴급 정보 신호 - 긴급 정보 신호는 긴급 신호 및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 의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긴급 정보 알람 신호 획득부;
    상기 긴급 정보 신호 발생시 상기 확산 신호를 확산 코드를 통해 동기화하고 역확산하여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를 획득하는 긴급 정보 신호 획득부를 포함하되,
    상기 긴급 정보 알림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는 서로 다른 확산 코드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19.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 긴급 정보 신호는 긴급 신호 및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의 발생을 알리는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 및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에 서로 다른 확산 코드를 할당하여 확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확산 신호를 기반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의 확산 신호로부터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긴급 정보 신호의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긴급 정보 신호 발생시 상기 확산 신호를 확산 코드를 통해 동기화하고 역확산하여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를 획득하되, 상기 긴급 정보 알람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정보 신호를 서로 다른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수신 시스템.
KR1020130015748A 2013-02-14 2013-02-14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KR102067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748A KR102067008B1 (ko) 2013-02-14 2013-02-14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FR1359863A FR3002106A1 (fr) 2013-02-14 2013-10-10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transmission et la reception de radiodiffusion numerique multimedia et systeme pour la transmission et la reception de radiodiffusion numerique multimed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748A KR102067008B1 (ko) 2013-02-14 2013-02-14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203A true KR20140103203A (ko) 2014-08-26
KR102067008B1 KR102067008B1 (ko) 2020-01-17

Family

ID=5126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748A KR102067008B1 (ko) 2013-02-14 2013-02-14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7008B1 (ko)
FR (1) FR300210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742A (ko) * 2004-07-26 2006-02-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성 디엠비의 파일럿 채널을 이용한 부가정보전송 시스템및 방법
KR101065642B1 (ko) * 2003-03-06 2011-09-2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확산 스펙트럼 통신망의 코드 공간을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5181A (ko) * 2010-05-12 2011-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20032403A (ko) * 2010-09-28 2012-04-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송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015B1 (ko) * 2005-10-07 2006-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JP4806665B2 (ja) * 2007-06-19 2011-11-0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送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20100133573A (ko) * 2009-06-12 2010-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망 기반의 재난 정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642B1 (ko) * 2003-03-06 2011-09-2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확산 스펙트럼 통신망의 코드 공간을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09742A (ko) * 2004-07-26 2006-02-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성 디엠비의 파일럿 채널을 이용한 부가정보전송 시스템및 방법
KR20110125181A (ko) * 2010-05-12 2011-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20032403A (ko) * 2010-09-28 2012-04-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송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02106A1 (fr) 2014-08-15
KR102067008B1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2388B2 (en) Modulation device and demodulation device
KR100651939B1 (ko) 방송 수신기 및 디코딩 방법
KR101558008B1 (ko) 디지털 무선 신호의 품질을 검출하는 방법 및 수신기
EP1135969B1 (en) Digital wireless loudspeaker system
US7042949B1 (en) Robust data transmission using broadcast digital television signals
KR100595208B1 (ko) Dmb 수신기 및 소비 전력 절감 방법
US20040223622A1 (en) Digital wireless loudspeaker system
JP2001156681A (ja) 符号分割多重伝送方式と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20060125088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시 긴급 서비스 송수신을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송수신기
JP439151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混合多重送信/受信装置及び方法
KR20140103203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KR20120032403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송신 방법 및 장치
JP4459260B2 (ja) 中継装置、受信装置および無線伝送システム
KR101920304B1 (ko)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50027408A (ko) 디지털 방송시스템에서의 부가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3345557B2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放送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101127695B1 (ko) 송신기 식별 정보를 이용한 저전력 모드의 dmb 방송 제공 방법, 및 그 송신기와 수신기
KR100831357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송신방법 및 수신방법
KR100983338B1 (ko) 재난 경보 서비스를 위한 시그날링 장치 및 시그날링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3499502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サーチ方法
Ratliff Digital audio broadcasting going firm-the emerging standard
KR20030090826A (ko) 디지털 라디오의 데이터 송신/수신 장치 및 그의 데이터제어 시스템과 데이터 제어 방법
JP5563368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100710372B1 (ko) 이동형 방송 수신기에서의 통화 연동 방법
CN102447519A (zh) 数字多媒体广播的发送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