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015B1 -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015B1
KR100652015B1 KR1020050094436A KR20050094436A KR100652015B1 KR 100652015 B1 KR100652015 B1 KR 100652015B1 KR 1020050094436 A KR1020050094436 A KR 1020050094436A KR 20050094436 A KR20050094436 A KR 20050094436A KR 100652015 B1 KR100652015 B1 KR 100652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broadcasting
information
broadcast
d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영권
양규태
조삼모
정영호
이광순
안충현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9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segments of broadcast information, e.g. scenes or extracting programme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송신측에서는 재난발생 유무만을 알리는 신호(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는 DMB 방송의 동기채널을 통하여 전송하고 실제의 재난 정보는 별도의 다른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고, 한편 수신측에서는 수신기의 전원스위치가 꺼져(OFF) 있는 상태에서도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만을 검사하여 재난방송이 있음을 확인하면 재난방송 채널로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언제든지 재난방송의 수신이 가능하면서도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된 RF 방송신호를 기저대역 방송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RF 수신 수단; 상기 RF 수신 수단을 통하여 수신된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통하여 재난방송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재난방송유무 식별 수단;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의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RF 수신 수단과 상기 재난방송유무 식별 수단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재난방송유무 식별 수단에서의 재난방송유무 확인결과에 따라 재난방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시스템 전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 및 상기 기저대 역 방송신호를 분석하여 재난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재난정보 처리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재난방송 시스템 등에 이용됨.
DMB, 재난방송,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 동기채널, 재난방송유무 식별, FIC, MSC, 클럭제어, 전원 제어

Description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DMB Transmitting/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ster Broadcasting}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방송을 위한 휴대용 DMB 수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 발생부 102: 재난정보 발생부
103: 대용량 재난방송정보 발생부 110: 전송프레임 생성부
120: OFDM신호 발생부 130: 고전력 증폭부(HPA)
201: RF 수신부 202: 재난방송유무 식별부
203: 베이스밴드 재난정보 처리부 206: 재난경보 발생부
207: 전원부 208: 전원/클럭 제어부
본 발명은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신측에서는 재난발생 유무만을 알리는 신호(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는 DMB 방송의 동기채널을 통하여 전송하고 실제의 재난 정보는 별도의 다른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기의 전원스위치가 꺼져(OFF) 있는 상태에서도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만을 검사하여 재난방송이 있음을 확인하면 재난방송 채널로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언제든지 재난방송의 수신이 가능하면서도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는 아날로그 방송시스템을 통한 재난방송 기술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전원플러그가 꽂혀 있으면 전원스위치가 꺼져(OFF) 있을 때에도 재난방송이 시작되면 자동으로 재난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별도의 부가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사용된 방식은 전력소모에 큰 부담이 없기 때문에 전력소모의 문제는 크게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나, 휴대용 소형 방송단말을 통한 재난 방송의 경우에 있어서는 전력소모 문제는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로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며, 또한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전원이 꺼져(OFF) 있는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재난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요구됨에도 아직 개발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방송망을 통하여 재난발생 유무만을 알리는 매우 짧은 재난발생유무 알림신호를 DMB 전송프레임의 동기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실제의 재난방송정보는 별도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원스위치를 끈(OFF) 상태에서 일정주기로 재난방송 유무만을 검사하고 있다가 재난방송사실이 확인되면 실제의 재난 정보가 있는 채널로 이동하여 재난방송을 수신하게 함으로써, 언제든지 재난방송의 수신이 가능하면서도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송신 장치에 있어서, 재난방송이 되고 있는지 여부를 알리는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재난방송유무알림신호 발생 수단; DMB 규격에 따라 재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재난정보 발생 수단; 및 상기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와 상기 재난정보가 서로 다른 채널로 전송되도록 전송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전송프레임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된 RF 방송신호를 기저대역 방송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RF 수신 수단; 상기 RF 수신 수단을 통하여 수신된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통하여 재난방송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재난방송유무 식별 수단;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의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RF 수신 수단과 상기 재난방송유무 식별 수단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재난방송유무 식별 수단에서의 재난방송유무 확인결과에 따라 재난방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DMB 수신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 및 상기 기저대역 방송신호를 분석하여 재난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재난정보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수신 장치는, 상기 베이스밴드 재난정보 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재난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상황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재난경보 발생 수단; 및 상기 베이스밴드 재난정보 처리 수단에서 처리된 재난관련정보가 전송프레임의 주서비스채널(MSC)를 통하여 전송된 대용량의 재난방송 정보인 경우, 상기 재난방송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디코딩 수단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송신 장치에 적용되는 재난방송 송신 방법에 있어서, 재난방송이 되고 있는지 여부를 알리는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재난알림신호 생성 단계; DMB 규격에 따라 재난정보 를 생성하는 재난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는 동기채널로 전송되고 상기 재난정보는 고속정보채널(FIC)로 전송되도록 DMB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전송프레임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디지털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디지털 처리부과 아날로그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아날로그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 장치에 적용되는 재난방송 수신 방법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통하여 재난방송 유무를 확인하는 재난방송유무 식별 단계; 상기 재난방송유무 식별 단계에서의 재난방송유무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처리부에 대해서는 전원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부에 대해서는 재난방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클럭 발생을 제어하는 전원/클럭 제어 단계; 및 상기 전원/클럭 제어 단계의 제어에 따라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분석하여 재난 정보를 획득하는 재난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재난정보 수신 단계에서 획득된 재난 정보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재난경보 발생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소형 이동멀티미디어방송단말(예를 들면, 지상파 DMB 단말)에서 재난방송 수신시 사용자가 재난방송정보를 언제라도 획득할 수 있도록, 일반방송을 수신하지 않기 위하여 전원스위치를 끈 상태에서도 재난방송을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게 하면서도 수신 장치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송신측에서는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동기채널을 활용하여 본래 목적의 동기 기능에는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면서 재난방송의 유무 를 일정 주기로 알려 주며, 실제 재난정보는 다른 채널(예를 면, 지상파 DMB의 FIDC 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
한편, 수신측인 방송 수신 단말에서는 사용자가 전원스위치를 끈(OFF) 경우, 일정 주기로 시스템을 구동시켜 재난방송 유무를 알리는 신호만을 조사하여, 재난방송이 있다면 실제 재난 정보가 있는 채널로 전환하여 재난정보를 분석하고 그에 상응하는 경보신호(alarm)를 발생하도록 하거나 그 재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계층화된 정보전달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긴급재난에 언제라도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신 장치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서, 그 장치 내에서 수행되는 DMB 재난방송 송신 방법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신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 발생부(101), 재난정보 발생부(102), 대용량 재난방송 정보 발생부(103), 전송프레임 생성부(110),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 발생기(120), 및 고전력증폭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신 장치는 방송망을 통하여 재난발생 유무만을 알리는 매우 짧은 재난발생유무 알림신호를 DMB 전송프레임의 동기채널을 통하여 전송하고, 실제 재난방송정보는 별도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 발생부(101)는 지상파 DMB의 전송프레임의 동기채널의 Null 채널을 통하여 알릴 수 있도록, 재난방송유무를 알리는 신호(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발생시킨다.
재난정보 발생부(102)는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의 발생주기 및 코드 정보, 재난방송의 종류, 경보의 레벨, 재난발생지역 위치, 재난방송 메시지, 주 재난방송 채널 번호 등을 DMB 방송 규격에 맞게 생성한다. 이 재난정보는 고속정보채널(FIC: Fast Information Channel)의 고속정보 데이터 채널(FIDC: Fast Information Data Channel)(EWS)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게 된다.
대용량 재난정보 발생부(103)는 필요하면 대용량 재난정보를 생성한다. 이 정보는 MSC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다.
한편, 전송프레임 생성부(110)는 상기 정보들이 별개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DMB 전송프레임을 생성한다. 즉, 재난방송유무 알림 신호는 동기채널의 NULL 채널(111), 재난정보는 FIC의 FIDC 채널(112), 그리고 대용량 재난방송정 보는 MSC 채널(113)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DMB 전송프레임을 생성한다.
이후, OFDM 신호 발생부(120)가 전송프레임을 변조하여 OFDM 신호를 생성하면, 고전력 증폭부(HPA: High Power Amplifier)(130)는 OFDM 신호를 일정한 전력으로 증폭한다.
이하,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난방송이 있을 경우는 당연히 재난방송이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그에 해당하는 코드를 주기적으로 보내고, 재난방송이 없는 경우라도 수신 측에서 재난발생유무 알림신호의 출현위치와 주기를 미리 찾아낼 수 있도록 재난방송이 없다는 코드들 주기적으로 보낸다.
이러한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는 DMB 전송프레임 동기를 위한 Null 심볼 의 본래 목적을 수행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시간영역에서는 에너지가 무시할 정도로 작도록 하고, 시간영역의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였을 경우에는 주파수 영역의 각기 다른 일정위치(재난방송 유무에 따라서는 위치가 다르나, 예를 들어 재난방송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는 일정한 위치)에 일정패턴(재난방송이 있다는 코드나 재난방송이 없다는 코드)이 나타나게 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수신부(수신 장치)에서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방송을 위한 휴대용 DMB 수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재난방송을 위한 휴대용 DMB 수신 장치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서, 그 수신장치 내에서 수행되는 DMB 재난방송 수신 방법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 다.
재난방송을 위한 휴대용 DMB 수신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수신부(201), 재난방송유무 식별부(202), 베이스밴드 재난정보처리부(203), 멀티미디어 디코더(204), 디스플레이/메시지저장부(205), 재난경보 발생부(206), 전원부(207), 전원/클럭 제어부(2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난방송을 위한 휴대용 DMB 수신 장치는 사용자가 전원스위치를 OFF시킨 상태에서 재난방송 유무만을 조사하고 있다가, 재난이 발생한 경우 재난 정보가 있는 채널로 이동하여 재난방송을 수신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RF 수신부(201)는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기저대역신호로 처리하고, 재난방송유무 식별부(202)는 주기적으로, RF 수신부(201)를 통하여 수신되는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통하여 재난방송 유무를 확인한다. 또한, 재난방송유무 식별부(202)는 일반방송을 수신하면서 RF 수신부(201)를 통하여 수신한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분석하여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의 발생지점이나 발생주기를 사전에 획득하여 전원 스위치/클럭 제어부(210)에게 제공한다.
전원/클럭 제어부(208)는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의 발생 정보(발생 지점, 발생 주기)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RF 수신부(201)와 재난방송유무 식별부(202)를 구동시키면서, 재난방송유무 식별부(202)에서의 재난방송유무 확인결과에 따라 재난방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시스템 전체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시스템(DMB 수신 장치) 전체의 구동은 DMB 수신 장치의 모든 구성요소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가능하 게 할 수 있으나, DMB 수신 장치를 '아날로그 처리부'(예를 들면 RF 수신부가 이에 해당하나, 각각 구성요소에는 아날로그 프로세싱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들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기로 함)과 '디지털 처리부'(재난방송유무 식별부, 베이스밴드 재난정보처리부, 멀티미디어 디코더 등에서 디지털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부분만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기로 함)으로 구분하여, 아날로그 처리부는 전원을 제어하고, 디지털 처리부는 전원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클럭만을 제어하는 방식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방식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클럭 제어부(208)는 전원스위치(209), 전원스위치/클럭 제어부(210), 및 클럭 발생부(2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전원스위치/클럭 제어부(210)는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의 발생지점마다 일정 시간(발생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전후를 포함하는 시간)동안 RF 수신부(201)로 전원이 연결되게 하고 재난방송유무 식별부(202)로는 클럭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면서, 그로 인하여 재난방송유무 식별부(202)에서 확인된 재난방송 유무에 따라 아날로그 처리부와 관련하여 전원 스위치(209)를 제어하고 디지털 처리부와 관련해서는 클럭 발생부(21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재난방송 유무 정보가 재난방송 있음을 알리는 정보이면, 아날로그 처리부로는 전원이 연결되고 디지털 처리부로는 클럭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며; 재난방송 유무 정보가 재난방송이 없음을 알리는 정보이면 아날로그 부분으로 전원 연결이 차단된 상태와 디지털 처리부로 클럭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전원스위치(209)는 전원스위치/클럭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아날로그 처리부와 전원부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클럭 발생부(211)는 전원스위치/클럭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DMB 수신장치의 디지털 처리부로 클럭을 제공을 한다.
한편, 베이스밴드 재난정보 처리부(203)는 재난방송유무 식별부(203)로부터 재난방송이 되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 FIC/FIDC 채널을 분석하여 재난정보(재난 방송 종류, 경보레벨, 재난방송 메시지, 재난방송 채널번호 등)를 획득한다. 그리고, 재난정보에 포함된 재난방송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시에는 채널 전환을 수행하며, 주서비스채널(MSC)를 통하여 전송되는 대용량의 재난방송 정보를 획득하여 멀티미디어 디코더(204)로 전달한다. 여기서, FIC/FIDC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재난정보와 주서비스채널(MSC)를 통하여 전송되는 대용량의 재난방송 정보를 포함하여 '재난관련정보'라 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재난정보 처리부(203)는 재난 방송이 되기 전에 송신측으로부터 FIC/FIDC 채널을 통하여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의 발생주기나 발생지점(재난방송유무 식별부가 찾아낼 수도 있음) 및 코드정보를 수신하여 재난방송유무 식별부(202)나 전원스위치/클럭 제어부(210)에서 이용하게 한다.
멀티미디어 디코더(204)는 대용량의 재난방송 정보를 디코딩하고, 이는 디스플레이/메시지저장부(205)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거나 저장된다.
그리고, 재난경보 발생부(206)는 베이스밴드 재난정보 처리부(203)에서 출력되는 재난정보(FIC/FIDC 채널을 통행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상황에 따라 적 절한 경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하, 수신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방송수신 전원스위치(209)를 끌(OFF) 경우에 대비해, 일반방송수신시에 재난방송유무 식별부(202)에서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가 발생하는 지점을 미리 알아낸다.
둘째, 사용자가 방송수신 전원스위치(209)를 끄(OFF)면, RF 수신부(201)를 포함한 아날로그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모든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고, 디지털처리부에 대해서는 전원스위치/클럭 제어부(210)를 제외하고 모든 클럭을 정지시켜서 전력소모를 줄인다.
셋째, 전원스위치/클럭 제어부(210)는 재난방송유무 식별부(202)가 찾은 재난발생유무 알림신호가 발생하는 위치(지점)마다 짧은 일정시간(시간이 많이 지나감에 따라 송수신 시스템의 사용 클럭의 차이로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가 발생하는 점(위치)이 약간 변동하거나 아날로그 처리부의 전원스위치가 ON 되었을 때의 RF 수신부 안정화시간 등을 고려하여,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가 나타나는 시간길이 보다 앞뒤로 약간 길게 설정함이 바람직함) 동안 RF 수신부(201)의 전원을 ON하고, 재난발생유무 식별부(202)의 클럭을 정상적으로 높이고 신호처리를 통하여 재난방송유무를 알아낸다. 이때 일정한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 발생 위치에서 반복되어 전송되는 동일한 재난방송유무 알림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수신 정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재난방송신호가 없으면 다시 RF 수신부(201)의 전원을 OFF하고 재난발생유무 식별부(202)의 클럭을 정지시킨다.
넷째, 재난방송이 있다는 것이 확인 되었을 경우에는 모든 아날로그 처리부의 전원스위치를 ON하고 모든 디지털 처리부의 클럭을 정상으로 자동 셋팅한다. 이로 인해, 베이스밴드 재난정보처리부(203)에서는 FIDC의 EWS 채널을 분석한다. 그에 따라, 재난경보 발생부(206)는 경보의 레벨, 경보의 종류 등에 부합하는 재난경보신호를 발생시킨다(예를 들면, 매우 긴급한 사항인 경우는 재난을 알리는 큰 경보음을 울려서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덜 긴급한 경우에는 경보음은 울리지 않게 함).
멀티미디어 디코더(204)가 FIDC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재난정보를 디코딩하면, 디스플레이/메시지저장부(205)는 디코딩된 재난정보를 디스플레이하든지, 아니면 저장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는 위와 같은 계층화된 단계로 재난방송을 수신하도록 하여 일반방송수신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항시 재난방송 수신이 가능하면서도 수신기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지상파 DMB 단말 등과 같은 휴대용 소형 방송수신단말의 경우, 사용자가 방송을 수신하지 않는 상태에서 단말의 전력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해당 재해신호가 존재하는 곳이라면 언제 어디서라도 긴급재난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날로그 처리부는 전원 제어를 하고, 디지털 처리부는 클럭제어를 함으로써, 재난 방송을 신속히 수신하면서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송신 장치에 있어서,
    재난방송이 되고 있는지 여부를 알리는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재난방송유무알림신호 발생 수단;
    DMB 규격에 따라 재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재난정보 발생 수단; 및
    상기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와 상기 재난정보가 서로 다른 채널로 전송되도록 전송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전송프레임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방송유무알림신호 발생 수단은,
    시간영역의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할 경우 재난방송 유무에 따라 각기 다른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패턴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신호를, 상기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는,
    상기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의 발생주기 및 코드 정보, 재난방송의 종류, 경보 레벨, 재난발생지역, 재난방송 메시지, 재난방송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신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프레임 생성 수단은,
    상기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는 동기채널, 상기 재난정보는 고속정보채널(FIC)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대용량의 재난방송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대용량방송정보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프레임 생성 수단은,
    상기 대용량 재난방송정보가 주서비스 채널(MSC)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신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방송유무 알림 신호는,
    상기 동기채널의 NULL심볼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신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는,
    고속정보채널(FIC)의 고속정보 데이터 채널(FIDC)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신 장치.
  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된 RF 방송신호를 기저대역 방송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RF 수신 수단;
    상기 RF 수신 수단을 통하여 수신된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통하여 재난방송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재난방송유무 식별 수단;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의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RF 수신 수단과 상기 재난방송유무 식별 수단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재난방송유무 식별 수단 에서의 재난방송유무 확인결과에 따라 재난방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DMB 수신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 및
    상기 기저대역 방송신호를 분석하여 재난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재난정보 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수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재난정보 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재난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상황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재난경보 발생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수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재난정보 처리 수단에서 처리된 재난관련정보가 전송프레임의 주서비스채널(MSC)를 통하여 전송된 대용량의 재난방송 정보인 경우, 상기 재난방송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디코딩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수신 장치.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의 발생지점마다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RF 수신 수단으로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재난방송유무 식별 수단으로 클럭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재난방송유무 식별 수단에서 확인된 재난방송 유무에 따라 전원 스위칭 수단과 클럭 발생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스위칭/클럭 제어 수단;
    상기 전원스위칭/클럭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DMB 수신장치의 아날로그 처리부와 전원부와의 연결을 개폐하기 위한 상기 전원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전원스위칭/클럭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DMB 수신장치의 디지털 처리부로 클럭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클럭 발생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수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칭/클럭 제어 수단은,
    상기 재난방송 유무 정보가 재난방송 있음을 알리는 정보이면, 상기 아날로그 처리부로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디지털 처리부로는 클럭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재난방송 유무 정보가 재난방송이 없음을 알리는 정보이면 상기 아날로그 처리부로 전원 연결이 차단된 상태와 상기 디지털 처리부로 클럭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수신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재난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재난 방송 유무 식별 수단으로부터 '재난방송이 있음'을 통보받으면, 고속정보채널(FIC)을 분석하여 재난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수신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방송유무 알림 신호의 발생 정보는,
    재난발생 유무 알림신호의 발생지점과 발생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을 위한 DMB 수신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발생 유무 알림신호의 발생지점은,
    상기 재난방송유무 식별 수단이 일반방송을 수신하면서 상기 RF 수신 수단을 통하여 수신한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분석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 난방송을 위한 DMB 수신 장치.
  1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송신 장치에 적용되는 재난방송 송신 방법에 있어서,
    재난방송이 되고 있는지 여부를 알리는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재난알림신호 생성 단계;
    DMB 규격에 따라 재난정보를 생성하는 재난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는 동기채널로 전송되고 상기 재난정보는 고속정보채널(FIC)로 전송되도록 DMB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전송프레임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DMB 재난방송 송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대용량의 재난방송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대용량방송정보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프레임 생성 단계는,
    상기 대용량 재난방송정보가 주서비스 채널(MSC)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전송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재난방송 송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방송유무 알림 신호는,
    상기 동기채널의 NULL심볼을 이용하여 전송하며;
    상기 재난정보는,
    고속정보채널(FIC)의 고속정보 데이터 채널(FIDC)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재난방송 송신 방법.
  19. 디지털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디지털 처리부과 아날로그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아날로그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 장치에 적용되는 재난방송 수신 방법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를 통하여 재난방송 유무를 확인하는 재난방송유무 식별 단계;
    상기 재난방송유무 식별 단계에서의 재난방송유무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처리부에 대해서는 전원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부에 대해서는 재난방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클럭 발생을 제어하는 전원/클럭 제어 단계; 및
    상기 전원/클럭 제어 단계의 제어에 따라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분석하여 재난 정보를 획득하는 재난정보 수신 단계
    를 포함하는 DMB 재난방송 수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 수신 단계에서 획득된 재난 정보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재난경보 발생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MB 재난방송 수신 방법.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방송유무 식별 단계는,
    재난방송유무 알림신호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재난방송 유무를 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재난방송 수신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클럭 제어 단계는,
    상기 재난방송유무 확인결과, 재난방송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아날로그 처리부로는 전원이 연결되게 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부로는 클럭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방송유무 확인결과, 재난방송 없음이 확인되면, 상기 아날로그 처리부로의 전원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부로는 클럭이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MB 재난방송 수신 방법.
KR1020050094436A 2005-10-07 2005-10-07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652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436A KR100652015B1 (ko) 2005-10-07 2005-10-07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436A KR100652015B1 (ko) 2005-10-07 2005-10-07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015B1 true KR100652015B1 (ko) 2006-12-01

Family

ID=3773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436A KR100652015B1 (ko) 2005-10-07 2005-10-07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0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338B1 (ko) 2008-04-11 2010-09-2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경보 서비스를 위한 시그날링 장치 및 시그날링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259107B1 (ko) 2006-05-24 201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재난 정보 수신 장치
KR101320544B1 (ko) 2009-11-30 2013-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방송 중계 장치
KR101341045B1 (ko) 2009-12-21 2013-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화기능을 구비한 터널용 지상파 디엠비 재난 방송 장치 및 방법
FR3002106A1 (fr) * 2013-02-14 2014-08-15 Korea Electronics Telecomm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transmission et la reception de radiodiffusion numerique multimedia et systeme pour la transmission et la reception de radiodiffusion numerique multimedia
US10659947B1 (en) 2018-11-12 2020-05-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helte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TSC 3.0,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shelte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TSC 3.0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107B1 (ko) 2006-05-24 201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재난 정보 수신 장치
KR100983338B1 (ko) 2008-04-11 2010-09-2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경보 서비스를 위한 시그날링 장치 및 시그날링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320544B1 (ko) 2009-11-30 2013-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방송 중계 장치
KR101341045B1 (ko) 2009-12-21 2013-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화기능을 구비한 터널용 지상파 디엠비 재난 방송 장치 및 방법
FR3002106A1 (fr) * 2013-02-14 2014-08-15 Korea Electronics Telecomm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transmission et la reception de radiodiffusion numerique multimedia et systeme pour la transmission et la reception de radiodiffusion numerique multimedia
US10659947B1 (en) 2018-11-12 2020-05-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helte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TSC 3.0,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shelte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TSC 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015B1 (ko) 재난방송을 위한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N1909696B (zh) 移动通信系统和移动终端设备
US61672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a selective call device about a broadcast
CN101018095B (zh) 紧急信息快报系统
US8841990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broadcast messages with selectivity to radio, television, computers and smart phones
KR102384207B1 (ko) 재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6104342A3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a plurality of services via one channel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2003517784A (ja) 低出力モードの無線受信器及びテレビ受像機に緊急警報を放送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8698640B1 (en) Monitored weather and emergency alert system
NO20020024L (no) Fremgangsmåte og anordning for bruk sammen med e-post
CN100559860C (zh) 能够接收紧急告警信号的电视信号接收机的遥控设备
GB2418803A (en) Emergency digital broadcast message transmitter system
KR100738338B1 (ko) 재난방송 수신을 위한 통신/방송 통합 단말 장치 및 그방법
WO2006035242A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smitting emergency messages into a region such as a tunnel or a bridge
KR100984059B1 (ko) 복수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재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EP2348669A1 (e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of emergent broadcasting
KR100977984B1 (ko) 디지털 재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691950B1 (ko) 긴급재난 경보 알림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 및 그의 경보알림 방법
KR100636378B1 (ko) Tii신호를 이용하는 재난방송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1796B1 (ko) Dmb를 이용한 재난 방송용 중계기
JP2017511010A (ja) 情報通信システム
KR102115760B1 (ko) 스마트폰의 fm 라디오 데이터 방송을 통한 재난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75991A (ko) 지상파 dmb 수신기의 재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355275B1 (ko) Uhd 재난 방송 수신 장치
KR20080075992A (ko) 지상파 dmb 수신기의 재난 알림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