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523A - High-pass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high-pass terminal and settlement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High-pass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high-pass terminal and settlement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523A
KR20140102523A KR1020130015973A KR20130015973A KR20140102523A KR 20140102523 A KR20140102523 A KR 20140102523A KR 1020130015973 A KR1020130015973 A KR 1020130015973A KR 20130015973 A KR20130015973 A KR 20130015973A KR 20140102523 A KR20140102523 A KR 20140102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terminal
mobile terminal
lan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9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41481B1 (en
Inventor
양문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5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481B1/en
Publication of KR2014010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5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4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2Contactless payments by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3Payments by cards read by M-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pass terminal and a settlement method thereof. The Hi-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pass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re collection system which is installed in the entrance and exit of a toll road, transmits and receives road usage information, and settles the fare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and the Hi-pass terminal which mutually transmit and receive the stored road usage information through noncontact communications by receiving and storing the road usage information.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이의 결제 방법{High-pass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high-pass terminal and settlement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이의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가 연동하여 각 장치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교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으며, 하이패스 단말기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이의 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and a payment method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and a hig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and a payment method therefor.

종래 고속도로 등과 같은 유료도로의 통행료 징수방법은 도로 진입 톨게이트에서 선불카드 또는 통행권을 발급받은 후에 진출 톨게이트에서 요금징수원이 수동으로 통행료를 징수하거나, 어떤 구간에서는 도로 진입 톨게이트에서 요금징수원이 수동으로 통행료를 징수하고 있다. Conventional toll roads such as freeways are a method of collecting tolls manually from a toll gate on a tollgate entering a road after entering a prepaid card or a passport, or manually charging a toll gate on a road toll road in some sections We collect tolls.

이는 요금징수를 위하여 톨게이트에 정차하는 차량들로 인한 차량정체가 가중되며, 요금징수원의 배치에 따른 인건비 증가와 선불카드 또는 통행권 발급에 따른 비용지출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This is due to the vehicle congestion caused by the vehicles stopping on the toll gate for the collection of tolls, the increase of the personnel cost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toll collectors, and the cost incurred by issuing the prepaid card or the toll pas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통행료 징수에 따른 불편과 교통지체현상의 최소화를 지향하고, 요금징수 전산화를 위한 목적으로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도입하여, 현재 고속도로와 일부 구간에서 톨게이트에 통행료 자동징수를 위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설치하고, 이 무선 송수신과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통행료를 자동으로 정산하기 위한 하이패스 단말기(OBU)를 차량에 탑재하여 차량의 고속주행중에도 자동으로 통행료를 징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패스(HIGHPASS) 시스템이 구현되어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the above problems have been solved,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toll collection and the minimization of the transportation delay phenomenon has been introduced, and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computerization of the toll collection, and automatic collection of tolls on the toll- (OBU) for automatic settlement of tolls according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vehicle, so that the toll can be collected automatically even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high speed, A HIGHPASS system has been implemented and used.

일반적으로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이 구현되어 있다.In general,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high-pass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is implemented.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은 모바일장치에 장착하는 USIM 또는 내장된 eSE 모듈에 하이패스 카드의 결재 기능만을 추가하여 일반차로의 전자지불(TCS) 또는 Touch-and-go 지불 방식만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이패스 차로 이용이 불가능하다.The high-pass system using the mobile high-pass terminal adds only the payment function of the high-pass card to the USIM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or the built-in eSE module to provide only the electronic payment (TCS) or touch-and-go payment It is impossible to use it as high pass car.

즉, 운전자는 고속도로 진입 시 일반차로로 진입하여 통행권을 발급받아 고속도로를 이용하고, 고속도로 출구 이용시에도 일반차로를 이용하여, 통행권과 함께 요금지불수단으로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하여 요금을 지불한다.That is, the driver enters the general lane when entering the expressway, uses the expressway to receive a right of passage, and uses the ordinary highway to use the mobile high-pass terminal as a fare payment means along with the passport when using the expressway exit.

또한,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구차로가 없는 개방식 요금소를 이용할 경우,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를 요금소 게이트에 설치된 Touch-and-go 장치에 터치하여 요금을 처리한다.Also, when using an open-type tollgate without an entrance lane using a mobile high-pass terminal, the mobile high-pass terminal is touched by a touch-and-go device installed at the toll gate to process the fee.

한편,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은 일반차로 이용 시 요금 지불을 위해 단말기에 삽입된 카드를 탈장하여 이용하거나, 카드를 내장한 단말기의 경우는 단말기 자체를 차량에서 분리하여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a high-pass system using a high-pass terminal needs to use a card inserted in a terminal for payment of a fee when using a general car, or pay a fee by detaching the terminal itself from the vehicle in the case of a terminal with a built- .

고속도로 진입 시 하이패스 차로를 이용하여 진입하였으나, 출구 이용 시 일반차로를 이용할 경우,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카드를 분리하거나 카드 내장형 하이패스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를 차량에서 분리하여 요금을 정산해야 한다.However, if you use a public lane when you use the exit, you must separate the card from the high-pass terminal or charge the fare by disconnecting the terminal from the vehicle in case of the card-embedded high-pass terminal.

이와 같이,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이패스 차로 이용이 불가하여, 고속도로 입구와 출구를 이용하는 경우, 개방식 차로를 이용하는 경우 모두 일반차로만을 이용하여야 한다.Thus, in the case of using the mobile high-pass terminal, it is impossible to use the high-pass lane. In the case of us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highway and using the open lane, all the lanes should be used.

또한, 카드 내장형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 출구차로 또는 개방식 차로 이용 시 하이패스 차로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단말기 자체를 차량에서 분리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으며, 단말기 제작시에도 차량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설계해야 한다는 제약 요인으로 작용한다.In addition, when a high-pass lane with a card built-in high pass terminal is used, or when a high pass lane can not be used when using an exit lane or an open lane, it is necessary to use the terminal itself separately from the vehicl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가 연동하여 각 장치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교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으며, 하이패스 단말기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high- And to provide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capable of variously designing high-pass terminals.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와 하이패스 단말기의 정보를 교환가능하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결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yment method of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in which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of a high-pass terminal can be exchang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은, 유료도로의 진, 출입구에 설치되어, 차로이용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금을 결제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 및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서로 비접촉식 통신을 통하여, 저장된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상호 송수신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includes: a toll collection system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a toll roa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And a high-pass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lane-usage information and mutual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tored lane-use information through non-contact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저장하는 하이패스 모듈; 및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와 비접촉식 통신을 위한 제 1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Here,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high pass module for storing the lane usage information; A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with the high-pass terminal.

한편,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는 카드 내장형 하이패스 단말기이고, 상기 카드 내장형 하이패스 단말기는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저장하는 하이패스 카드;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비접촉식 통신을 위한 제 2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high-pass terminal is a high-pass terminal with a built-in card, the high-pass terminal with a built-in card includes a high-pass card for storing the traffic information;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는 비접촉식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외장형 카드를 사용하는 카드 외장형 하이패스 단말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igh-pass terminal may be a card external high-pass terminal using an external card including a contactless communication module.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는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상기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가 비접촉식 통신을 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와 하이패스 단말기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를 각각 읽고, 두 차로이용정보 중 최근 저장된 최근 차로이용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최근 차로이용정보를 최근 차로이용정보가 저장하고 있지 않은 단말기에 저장한다.
The mobile high-pass application i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high-pass terminal perform non-contact communication, the mobile high-pass application transmits the car 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ar 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high- And selects the latest information on the latest stored car among the usage information on the two cars and stores the selected latest car use information on the terminal that does not store the latest car use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결제 방법은, 하이패스 단말기가 탑재되고,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한 운전자의 차량이 하이패스차로를 이용하여 유료도로로 진입하는 단계; 진입구에 설치된 요금 징수 시스템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로 차로이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가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수신하고, 하이패스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에 터치하여 비접촉식 통신을 통해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일반차로로 진입하여, 일반차로의 요금 징수원에게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전달하여 요금을 결제하거나, Touch-and-go 장치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터치하여 요금을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yment method of the high-pass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pass terminal is mounted and the vehicle of the driver holding the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mobile high- Entering the toll road using the high pass lan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charging system installed at an entrance to transmit usage information to the high-pass terminal; The high pass terminal receiving the lane departur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lane departure information in the high pass card; Touching the mobile terminal to the high-pass terminal to transmit the lane-usag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contactless communication, and storing the lane-usage information by the mobile terminal; And then enters the general lane to deliver the mobile terminal to the charge agent of the general lane to pay the fee or touch the mobile terminal to the touch-and-go device to settle the charge.

이때, 상기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가 비접촉식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wh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high-pass terminal perform non-contact communication, the mobile high-pass application reads the lane-us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high-pass terminal and stores the read lane usage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결제 방법은, 하이패스 단말기가 탑재되고,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한 운전자의 차량이 일반차로를 이용하여 유료도로로 진입하는 단계; 진입구에 설치된 요금 징수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차로이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수신하고, 하이패스 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에 터치하여 비접촉식 통신을 통해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가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하이패스차로를 이용하여 출입구를 통과하면서, 출입구에 설치된 요금 징수 시스템과 상기 차로이용정보가 저장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가 연동되어, 요금을 자동으로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yment method of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harging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high- Entering the toll road using this general lane; Charging the toll collection system installed at the entrance to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by the mobile terminal, the lane departure information and storing it in a high pass module; Touching the mobile terminal to the high-pass terminal to transmit the lane-usage information to the high-pass terminal through contactless communication, and storing the lane-usage information by the high-pass terminal; And a high-pass lane, the fare collecting system installed at an entrance and the high-pass terminal storing the lane-usage information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the fare is automatically paid.

이때, 상기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가 비접촉식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차로이용정보를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wh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high-pass terminal perform noncontact communication, the mobile high-pass application reads the car 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read car usage information to the high-pass terminal, And stores it in the pass terminal.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가 서로 차로이용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유료도로 진입 시 이용한 차로가 하이패스차로든 일반차로이든 무관하게, 출입구를 통과 시, 하이패스차로와 일반차로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bile terminal and the high-pass terminal can transmit / receive usage information to / from each other, regardless of whether the lane used for entering the toll road is a high-pass lane or a general lane, All public lanes are available.

따라서, 하이패스차로와 일반차로의 이용에 제약이 없어,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Therefore,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use of the high-pass lanes and the general lanes,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user.

또한, 하이패스 단말기가 카드 내장형인 경우, 일반차로 이용시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하여 처리가 가능하므로, 하이패스 단말기를 분리형뿐만 아니라 고정형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하이패스 단말기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igh-pass terminal is a card built-in type, since the high-pass terminal can be installed in a fixed form as well as a separate type, the high-pass terminal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yment method of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yment method of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Further,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high- FIG.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payment method of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은 서로 연동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하이패스 단말기(200)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와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는 톨게이트의 요금 징수 시스템(300)과 각각 무선 연결된다.1,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igh-pass system using a high-pass terminal include a mobile terminal 100 and a high-pass terminal 200 that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high-pass terminal 200 ar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toll bill collection system 300, respectively.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는 차량 운전자가 소지한 채로 차량에 탑승하여 마련되며,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는 차량 내부에 장착된다.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vehicle while being carried by the driver, and the high-pass terminal 200 is mounted inside the vehicle.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는 하이패스 모듈(110), 제 1 통신 모듈(120)을 내장하고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high-pass module 110 a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상기 하이패스 모듈(110)은 하이패스 카드 기능을 하며, eSe 또는 USIM 모듈일 수 있으며, 요금 징수 시스템(300) 또는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차로이용정보를 저장한다.The high-pass module 110 functions as a high-pass card, and may be an eSe or a USIM module. The high-pass module 110 stores lane-us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oll collection system 300 or the high-pass terminal 200.

또한, 상기 제 1 통신 모듈(120)은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와 비접촉식 통신을 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에 내장된다.Als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is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perform non-contact communication with the high-pass terminal 200.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에는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상기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의 하이패스 카드(210)에서 차로이용정보를 읽거나,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이패스 모듈(110)의 차로이용정보를 하이패스 카드(210)에 쓰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탑재되며, 이에 더하여, touch-and-go 기능을 수행한다.
The mobile high-pass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obile high-pass application reads the usage information from the high-pass card 210 of the high-pass terminal 200, Pass function of the high pass module 110, and further performs a touch-and-go function.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는 카드 내장형 하이패스 단말기 또는 카드 외장형 하이패스 단말기일 수 있다.The high pass terminal 200 may be a card built-in high-pass terminal or a card external high-pass terminal.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가 카드 내장형 하이패스 단말기인 경우,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는 하이패스 카드(210), 제 2 통신 모듈(220)을 내장하고 있다.When the high pass terminal 200 is a card built-in high pass terminal, the high pass terminal 200 includes a high pass card 210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상기 하이패스 카드(210)는 eSE 또는 SIM 형식의 내장형 하이패스 카드로서, 요금 징수 시스템(300)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차로이용정보를 저장한다.The high-pass card 210 is an embedded high-pass card of eSE or SIM format, and stores the toll us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oll collection system 300 or the mobile terminal 100. [

또한, 상기 제 2 통신 모듈(22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와 비접촉식 통신을 하기 위하여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에 내장된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is embedded in the high-pass terminal 100 to perform non-contact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한편,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가 카드 외장형 하이패스 단말기인 경우, 외장형 카드 자체에 비접촉식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에 별도의 비접촉식 통신 모듈이 불필요하다.If the high-pass terminal 200 is a card external high-pass terminal, a separate contactless communication module is not required for the high-pass terminal 200 because the external card itself includes the contactless communication module.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와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는 제 1 및 제 2 통신 모듈(120, 220)을 통해 비접촉식 통신이 가능하며, 비접촉식 통신을 통하여, 각각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high-pass terminal 200 can perform the contact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20 and 220, .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에 탑재되는 상기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와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가 비접촉식 통신을 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이패스 모듈(110)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와 하이패스 단말기(200)의 하이패스 카드(210)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를 각각 읽고, 두 차로이용정보 중 최근에 저장된 최근 차로이용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최근 차로이용정보를 최근 차로이용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단말기에 저장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high-pass terminal 200 perform noncontact communication, the mobile high-pass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high-pass module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lane-us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high-pass card 210 of the high-pass terminal 200, respectively, selects the latest lane-use information stored recently among the lane-usage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a terminal that does not store usage information as a recent car.

예를 들어, 하이패스 단말기(200)의 하이패스 카드(210)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가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이패스 모듈(110)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보다 최근에 저장된 경우, 상기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은 하이패스 카드(210)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를 하이패스 모듈(110)에 저장한다.
For example, when the car 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high pass card 210 of the high pass terminal 200 is stored more recently than the car 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high pass module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application stores the road 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high pass card 210 in the high pass module 110.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300)은 차량이 유로도로의 진, 출입구에 설치된 요금 정산소를 통과할 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 또는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로 차로이용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 또는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로부터 차로이용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바탕으로 요금을 결제한다.The fare collection system 30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usag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high pass terminal 200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a toll collection center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roadway, (100) or the high-pass terminal (200), and makes a paymen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상기 차로이용정보는 영업소 정보, 차로정보, 통행료 정보, 차량속도를 포함하여 통행료 및 진입 톨게이트와 진출 톨게이트를 파악히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하여 통행료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며, 통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lane-usage information includes the toll information including the sales office information, the lane information, the toll information, the vehicle speed, and information for grasping the toll and the toll gate for entering the toll gate and the entrance toll gate so that the toll can be calculated and the toll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

이때,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3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 또는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와 RF 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oll collection system 30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high-pass terminal 200 by an RF method or an infrared metho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유료도로 진입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 또는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는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300)으로부터 차로이용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모듈(120, 220)을 통해 비접촉식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를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로 전송하거나,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ntering the toll road,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high-pass terminal 200 receives the car use information from the toll collection system 300 and stores it, Contact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to transmit the lan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high pass terminal 200 or to use the lane information stored in the high pass terminal 200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결제 방법의 일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2, an example of a payment method of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하이패스 단말기가 탑재되며,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한 운전자의 차량이 하이패스차로를 이용하여 유로도로로 진입하는 경우(S10), 진입구에 설치된 요금 징수 시스템(300)은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로 차로이용정보를 전송하고(S20),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는 차로이용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하이패스 카드(210)에 저장한다(S30).When the driver's vehicle having the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high-pass application is loaded into the highway road using the high-pass lane (S10), the fare collection system 300 installed at the entry- (S20). The high-pass terminal 200 receives the car use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high-pass card 210 (S30).

이후, 운전자가 하이패스차로를 이용하여 진입한 것과는 달리, 일반차로를 이용하여 출입구를 통과하는 경우, 운전자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하이패스 단말기(200)에 터치하여 제 1 및 제 2 통신 모듈(120, 220)을 이용한 비접촉식 통신을 통해 하이패스 단말기(200)의 하이패스 카드(210)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를 읽어와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이패스 모듈(110)에 저장되도록 한다(S40).When the driver passes the entrance through the general lane, unlike the driver using the high-pass lane, the driver touches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high-pass terminal 200, Acc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high pass card 210 of the high pass terminal 200 through the contactless communication using the access points 120 and 220 and is stored in the high pass module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S40).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에 탑재되는 상기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와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가 비접촉식 통신을 하는 경우, 하이패스 단말기(200)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차로이용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에 저장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high-pass terminal 200 perform noncontact communication, the mobile high-pass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acc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high- And stores the usage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100 by the read car.

이후, 운전자가 일반차로의 요금 징수원에게 모바일 단말기(100)를 전달하여 결제하거나, Touch-and-go 장치에 모바일 단말기(100)를 터치하여 요금을 결제한다(S50).Thereafter, the driver transfers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charging agent of the general lane or touches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touch-and-go device (S50).

따라서, 하이패스차로를 이용하여 유료도로에 진입하였으나, 일반차로를 이용하여 출입구를 통과하는 경우,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카드를 분리하거나, 하이패스 단말기를 차량에서 분리하여 결제할 필요가 없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enters the toll road using the high-pass lane, when the user passes through the entrance through the general lan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the card from the high-pass terminal or to separate the high-pass terminal from the vehicle.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결제 방법의 다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3, another example of a payment method of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하이패스 단말기(200)가 탑재되며,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기(100)를 소지한 운전자의 차량이 일반차로를 이용하여 유료도로로 진입하는 경우(S100), 진입구에 설치된 요금 징수 시스템(300)은 모바일 단말기(100)로 차로이용정보를 전송하고(S200),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는 차로이용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하이패스 모듈(110)에 저장한다(S300).When the driver's vehicle having the mobile terminal 100 mounted with the mobile high pass application enters the toll road using the general lane (S100), the high-pass terminal 200 is installed, and the toll collection system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usag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 operation S2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the usage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stores the usage information in the high pass module 110 in operation S300.

이후, 운전자가 일반도로를 이용하여 진입한 것과는 달리, 하이패스차로를 이용하여 출입구를 통과하는 경우, 운전자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하이패스 단말기(200)에 터치하여 제 1 및 제 2 통신 모듈(120, 220)을 이용한 비접촉식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이패스 모듈(110)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를 읽어와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의 하이패스 카드(210)에 저장되도록 한다(S400).Thereafter, when the driver passes through the entrance using the high-pass lane, unlike the case where the driver uses the public road, the driver touches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high-pass terminal 200, Acc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high pass module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contactless communication using the access points 120 and 220 and stored in the high pass card 210 of the high pass terminal 200 S400).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에 탑재되는 상기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와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가 비접촉식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차로이용정보를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200)에 저장한다.At this time, the mobile high-pass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car 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high-pass terminal 200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high- And transmits the usage information to the high pass terminal 200 by the read car, and stores the usage information in the high pass terminal 200.

이후, 운전자가 하이패스차로를 이용하여 출입구를 통과하는 경우, 출입구에 설치된 요금 징수 시스템(300)과, 차로이용정보가 저장된 하이패스 단말기(200)가 연동되어, 통상의 하이패스 요금 처리방법에 따라 자동으로 결제된다(S500).Thereafter, when the driver passes through the entrance using the high-pass lane, the fare collection system 300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the high-pass terminal 200 stored with the lane usage information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500).

따라서, 종래에는 일반차로를 이용하여 유료도로로 진입한 경우, 출입구를 통과할 때 일반차로를 이용하여야만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차로를 이용하여 유로도로 진입하였더라도, 출입구를 통과 시 하이패스차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past, when entering a toll road by using a general lane, it was necessary to use a general lane when passing through a doorway.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entering a lane road using a general lane, .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와 하이패스 단말기(200)가 서로 차로이용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유료도로 진입 시 이용한 차로가 하이패스차로든 일반차로이든 무관하게, 출입구를 통과 시, 하이패스차로와 일반차로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high-pass terminal 200 can transmit / receive usage information to / from each other, regardless of whether the lane used when entering the toll road is a high-pass lane or a general lane, Both highpass and regular lanes are available.

따라서, 하이패스차로와 일반차로의 이용에 제약이 없어,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Therefore,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use of the high-pass lanes and the general lanes,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user.

또한, 하이패스 단말기(200)가 카드 내장형인 경우, 일반차로 이용시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하여 처리가 가능하므로, 하이패스 단말기를 분리형뿐만 아니라 고정형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하이패스 단말기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igh pass terminal 200 is a card built-in type, the high pass terminal can be installed not only in a detached manner but also in a fixed form, since it can be processed in cooperation with a mobile terminal when using a general lane.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이의 결제 방법을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the high-pass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yment method thereof are described according to the limit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모바일 단말기
110 : 하이패스 모듈
120 : 제 1 통신 모듈
200 : 하이패스 단말기
210 : 하이패스 카드
220 : 제 2 통신 모듈
300 : 요금 징수 시스템
100: mobile terminal
110: high pass module
120: first communication module
200: High-pass terminal
210: High Pass Card
220: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00: Toll Collection System

Claims (9)

유료도로의 진, 출입구에 설치되어, 차로이용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금을 결제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 및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서로 비접촉식 통신을 통하여, 저장된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상호 송수신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A toll collection system installed at the exit of the toll road to transmit and receive usage information by car and to settle the charges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high-pass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that receives and stores the lane-usage information and mutually transmits and receives the stored lane-use information through contact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저장하는 하이패스 모듈; 및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와 비접촉식 통신을 위한 제 1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high pass module for storing the lane usage information; And
A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with the high-pass terminal, and a high-pass system using the high-pass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는 카드 내장형 하이패스 단말기이고,
상기 카드 내장형 하이패스 단말기는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저장하는 하이패스 카드;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비접촉식 통신을 위한 제 2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igh-pass terminal is a card built-in high-pass terminal,
Wherein the card built-in high pass terminal comprises: a high pass card for storing the lane usage information; And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system using the high-pass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는 비접촉식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외장형 카드를 사용하는 카드 외장형 하이패스 단말기인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igh-pass terminal is a card external high-pass terminal using an external card including a contact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는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상기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가 비접촉식 통신을 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와 하이패스 단말기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를 각각 읽고, 두 차로이용정보 중 최근 저장된 최근 차로이용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최근 차로이용정보를 최근 차로이용정보가 저장하고 있지 않은 단말기에 저장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mobile high-pass applica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high-pass terminal perform non-contact communication, the mobile high-pass application reads the vehicle-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ehicle-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high-pass terminal,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for selecting usag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selected latest lane-usage information in a terminal that does not store the latest lane-usage information.
하이패스 단말기가 탑재되고,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한 운전자의 차량이 하이패스차로를 이용하여 유료도로로 진입하는 단계;
진입구에 설치된 요금 징수 시스템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로 차로이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가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수신하고, 하이패스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에 터치하여 비접촉식 통신을 통해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일반차로로 진입하여, 일반차로의 요금 징수원에게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전달하여 요금을 결제하거나, Touch-and-go 장치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터치하여 요금을 결제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결제 방법.
A step in which a driver's vehicle having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high pass terminal and equipped with a mobile high pass application enters a toll road using a high pass lan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charging system installed at an entrance to transmit usage information to the high-pass terminal;
The high pass terminal receiving the lane departur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lane departure information in the high pass card;
Touching the mobile terminal to the high-pass terminal to transmit the lane-usag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contactless communication, and storing the lane-usage information by the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that enters a general lane and transfers the mobile terminal to a charge collector of a general lane to charge a fee, a mobile terminal that charges a fee by touching the mobile terminal with a touch-and-go device, The payment method of the pass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가 비접촉식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결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obile high-pass application reads the lane us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high-pass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high-pass terminal perform non-contact communication, and stores the read lane usage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And payment method of high pass system using high pass terminal.
하이패스 단말기가 탑재되고,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한 운전자의 차량이 일반차로를 이용하여 유료도로로 진입하는 단계;
진입구에 설치된 요금 징수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차로이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수신하고, 하이패스 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에 터치하여 비접촉식 통신을 통해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가 상기 차로이용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하이패스차로를 이용하여 출입구를 통과하면서, 출입구에 설치된 요금 징수 시스템과 상기 차로이용정보가 저장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가 연동되어, 요금을 자동으로 결제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결제 방법.
A step in which a driver's vehicle having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high pass terminal and equipped with a mobile high pass application enters into a toll road using a general lane;
Charging the toll collection system installed at the entrance to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by the mobile terminal, the lane departure information and storing it in a high pass module;
Touching the mobile terminal to the high-pass terminal to transmit the lane-usage information to the high-pass terminal through contactless communication, and storing the lane-usage information by the high-pass terminal; And
A high-pass system using a high-pass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for automatically charging a fee, which is interlocked with a high-pass terminal storing the lane-use information, and a toll collection system installed at an entrance while passing through an entrance through a high- Payment Metho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하이패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가 비접촉식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차로이용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차로이용정보를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에 저장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결제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high-pass terminal perform non-contact communication, the mobile high-pass application reads the vehicle-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read-in car usage information to the high- A method for payment of a high-pass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high-pass terminal.
KR1020130015973A 2013-02-14 2013-02-14 High-pass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high-pass terminal and settlement method thereof KR1018414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973A KR101841481B1 (en) 2013-02-14 2013-02-14 High-pass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high-pass terminal and settlement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973A KR101841481B1 (en) 2013-02-14 2013-02-14 High-pass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high-pass terminal and settlement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523A true KR20140102523A (en) 2014-08-22
KR101841481B1 KR101841481B1 (en) 2018-03-23

Family

ID=5174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973A KR101841481B1 (en) 2013-02-14 2013-02-14 High-pass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high-pass terminal and settlement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48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274A (en) 2014-12-31 2016-07-08 김호식 Mobile hi-pass system using smart terminal
KR20160081276A (en) 2014-12-31 2016-07-08 김호식 Lbs based mobile hi-pass system using smart terminal
KR20180083014A (en) 2017-01-11 2018-07-20 주식회사 이노카 Hi-pass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1237A (en) * 2008-09-01 2010-03-18 Fujitsu Ten Ltd In-vehicle settlement system, in-vehicle settlement device, and in-vehicle settlement communication interface car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274A (en) 2014-12-31 2016-07-08 김호식 Mobile hi-pass system using smart terminal
KR20160081276A (en) 2014-12-31 2016-07-08 김호식 Lbs based mobile hi-pass system using smart terminal
KR20180083014A (en) 2017-01-11 2018-07-20 주식회사 이노카 Hi-pass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481B1 (en) 2018-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41369B (en) A kind of vehicle toll method, system and electronic tag
CN101819685A (en) ETC electronic tag device and method for realizing path information submission
KR100920746B1 (en) Parking collect system using of high-pass card
KR101841481B1 (en) High-pass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high-pass terminal and settlement method thereof
KR20120124759A (en) Payment apparatus of hipass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0887984B1 (en) Toll fee calculation de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8734798A (en) Taxi non-parking charge and ticket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CN105046755A (en) Motor vehicle passing method and system, mobile terminal, and charging system
KR20140034388A (en) Hi-pass terminal and the method charge a toll of an express highway using a smart phone
KR101012512B1 (en) pay for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hipass card.
KR20130104253A (en) Apparatus and method of settling an toll account using an mobile phone
KR101540362B1 (en) System for high-pas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BU, and method therefor
KR20160006470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ling an USIM secured in mobile terminal by communicating with virtual toll gate
KR20130123714A (en) Toll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telematics unit
KR20120076576A (en) Hi-pass by using a bluetooth of a smart phone
KR100728053B1 (en) Toll fee calculation de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WI288369B (en) Vehicle positioning system and architecture of a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KR101791491B1 (en) A hi-pass system being associated with broadb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333588B1 (en) Toll payment system using mobile device
KR101611259B1 (en) Electronic payment device system for using wave module of car obu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0832815B1 (en) Installable payment card for Onboard-Unit and Onboard-Unit using the same
KR20090083169A (en) Apparatus for integrated terminal of on board unit and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using the same
KR100838709B1 (en) The Multifunctional Storage Means for Toll Collection function
KR101459240B1 (en) Automatic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using a cap followe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a portable device
KR20100128429A (en) Method for charging an on-board unit with service fees and the on-board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