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484A - 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용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484A
KR20140102484A KR1020130015853A KR20130015853A KR20140102484A KR 20140102484 A KR20140102484 A KR 20140102484A KR 1020130015853 A KR1020130015853 A KR 1020130015853A KR 20130015853 A KR20130015853 A KR 20130015853A KR 20140102484 A KR20140102484 A KR 20140102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cover
opening
cov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석
Original Assignee
장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호석 filed Critical 장호석
Priority to KR102013001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2484A/ko
Publication of KR20140102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은, 용기를 기울인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시키는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정량의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가 기울어진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되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내용물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용 뚜껑 {LID FOR 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용기를 밀폐하는 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말, 액체, 오일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로부터 소정의 양의 내용물을 얻기 위해서는, 용기를 밀폐하는 뚜껑을 용기로부터 분리시키고, 스푼과 같은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용기 내의 내용물을 떠내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정량의 내용물을 얻기 위해, 스푼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용기의 내부의 내용물을 떠내야 했으므로, 정량의 내용물을 얻기 위한 과정이 복잡하고, 내용물을 떠내어 다른 용기로 옮겨 담는 과정에서 용기의 주위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뚜껑을 분리한 상태에서 용기를 기울여 용기의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용기의 내부의 내용물이 한꺼번에 배출되면서 주위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를 기울인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시키는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정량의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용기용 뚜껑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용기의 주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용 뚜껑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가 기울어진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되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내용물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배출부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개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내용물배출용기와, 상기 내용물배출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가 기울어진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될 때 내용물의 일부를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시키는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는, 상기 내용물배출용기의 내면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서 상기 내용물배출용기의 수용공간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배출용기와 상기 커버부의 사이에는 상기 내용물배출용기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연결부의 일부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용물배출부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개구를 복개하는 복개부와, 상기 복개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개부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가 기울어질 때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용물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배출부는, 상기 개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수용부의 유입구 쪽 일단은 복개부를 향하여 굽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배출부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구획부와, 상기 커버부의 개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구획부가 상기 커버부의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가 기울어질 때, 상기 제1구획부와 함께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2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부는, 상기 개구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부와, 상기 하측부의 좌우측에 연결되는 좌측부 및 우측부와, 상기 하측부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후방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부의 전방측에 상기 용기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부는 상기 좌측부 및 상기 우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부는, 그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구획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제1부와, 상기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구획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제2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평판형상의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외주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측부는 상기 둘레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부, 상기 우측부 및 상기 후방측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측부의 일단은 상측으로 굽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배출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를 가지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개구를 복개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내용물배출용기와, 상기 내용물배출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용기가 기울어진 후 다시 원래의 자세로 복귀될 때 내용물의 일부를 수용공간의 내부에 수용시키는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배출용기의 유입구의 주위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림부 및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개구의 주위에는 상기 림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둘레에는 복수의 내용물배출용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은, 상기 커버부 및 상기 내용물배출부를 커버하는 보호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개구에 설치되는 내용물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배출부는,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의 개구와 연통되는 관통홀을 가지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관통홀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내용물배출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은, 커버부가 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를 기울인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시키고, 커버부와 연결된 내용물배출부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정량의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은, 커버부에 연결된 내용물배출부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정량의 내용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얻는 과정에서 용기의 주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이 용기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용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용 뚜껑에서 내용물배출부가 커버부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이 도시된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5의 용기용 뚜껑에서 내용물배출부가 커버부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용기용 뚜껑에서 내용물배출부가 커버부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이 용기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용기용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용기용 뚜껑에서 내용물배출부가 커버부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이 용기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용기용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용기용 뚜껑에서 내용물배출부의 제2구획부가 커버부로부터 회전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용기용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용기용 뚜껑에서 보호커버부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용기용 뚜껑이 결합된 용기가 기울어지는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용기용 뚜껑에서 내용물배출용기가 분리되는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의 다른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6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용기용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도 21의 용기용 뚜껑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10)은, 내부에 분말, 액체, 오일 또는 점성이 있는 유체와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90)의 입구(91)에 결합되는 커버부(11)와, 커버부(11)에 설치되며, 커버부(1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가 기울어진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되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내용물배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1)는, 평판형상의 평판부(111)와, 평판부(111)의 외주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용기(90)의 입구(91)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둘레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커버부(11)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버부(11)가 용기(90)의 입구(91)를 폐쇄할 수 있다면, 커버부(1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부(12)는, 커버부(11)의 평판부(111)에 형성된 개구(113)의 둘레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31)이 형성되는 내용물배출용기(13)와, 내용물배출용기(13)와 연결되어 용기(90)가 원래의 자세로 복귀될 때 내용물의 일부를 수용공간(131)의 내부에 수용시키는 구획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용물배출용기(13)는 일단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수용공간(131) 쪽으로 유입되는 유입구(132)를 가진다. 내용물배출용기(1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내용물배출용기(13)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의 형태라면, 내용물배출용기(1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용기(13)은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용물배출용기(13)에는 사용자가 내용물배출용기(13)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배출용기(13)는 나사결합방식 또는 끼워맞춤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개구(113)를 복개하도록 커버부(1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획부(14)는 내용물배출용기(13)의 유입구(132)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용기(13)의 수용공간(131)의 내부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구획부(14)는 내용물배출용기(1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구획부(14)는 내용물배출용기(13)의 유입구(132)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내용물배출용기(13)의 유입구(132)의 내면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141)와, 고정부(141)의 단부에서 내용물배출용기(13)의 수용공간(131)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41)와 연장부(1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획부(14)의 연장부(142)가 내용물배출용기(13)의 수용공간(131)의 내부에 배치됨에 따라, 내용물배출용기(13)의 수용공간(131)이 서로 연통되는 두 개의 공간으로 나뉘며, 두 개의 공간 중 제1공간(131a)은 내용물배출용기(13)의 유입구(132) 및 커버부(11)의 개구(113)를 통하여 용기(90)의 내부공간과 직접적으로 연통되며, 제2공간(131b)은 구획부(14)의 고정부(141)에 의하여 용기(90)의 내부공간과 직접적으로 연통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제1공간(131a)은 커버부(1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가 기울어졌을 때, 용기(90)의 내부의 내용물이 내용물배출용기(13)의 수용공간(131)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공간(131b)은, 용기(90)가 원래의 자세로 복귀되었을 때, 내용물배출용기(13)의 수용공간(131)의 내부에 수용되었던 내용물의 일부가 구획부(14)에 의하여 유입구(132)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 차단되어 수용되는 공간이 된다. 여기에서, 제2공간(131b)의 체적은 구획부(14)의 형상, 특히, 고정부(141)가 유입구(132)를 폐쇄하는 면적 또는 연장부(142)가 수용공간(131)의 내부에서 연장되는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141)의 면적 또는 연장부(142)가 연장되는 폭이 커질수록 제2공간(131b)의 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구획부(14)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을 통하여, 제2공간(131b)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기(90)가 원래의 자세로 복귀되었을 때, 내용물배출용기(13)의 내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내용물배출용기(13)의 수용공간(131)의 내부로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용기(90)가 기울어지는 각도는 용기(9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용기(9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용기(90)가 기울어지는 각도가 작고, 용기(90)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양이 적은 경우에는, 용기(90)가 기울어지는 각도가 작다. 예를 들면, 용기(9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용기(90)는 거의 180도로 반전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10)에 의하면, 커버부(1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가 기울어질 때, 용기(90)의 내부의 내용물이 커버부(11)의 개구(113), 내용물배출용기(13)의 유입구(132) 및 제1공간(131a)을 통하여 수용공간(13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커버부(1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가 원래의 자세로 복귀될 때, 내용물배출용기(13)의 수용공간(131)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일부는 제1공간(131a), 내용물배출용기(13)의 유입구(132) 및 커버부(11)의 개구(113)를 통하여 용기(90)의 내부로 유출되어 수용되지만, 내용물배출용기(13)의 수용공간(131)의 내부에 수용되었던 내용물의 다른 일부는 구획부(14)에 의하여 유입구(132)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이 차단되어 제2공간(131b)에 잔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용물배출용기(13)을 커버부(11)로부터 분리한 후, 내용물배출용기(13)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내용물을 내용물배출용기(13)의 유입구(132)를 통하여 배출시키면, 제2공간(131b)의 체적에 상당하는 양을 가지는 내용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10)에 의하면, 커버부(1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를 기울인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시키고, 커버부(11)와 결합된 내용물배출부(12)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정량의 내용물을 용기(90)로부터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커버부(11)에 결합된 내용물배출부(12)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정량의 내용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용기(90)로부터 내용물을 얻는 과정에서 용기(90)의 주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20)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90)의 입구(91)에 결합되는 커버부(21)와, 커버부(21)에 설치되며, 커버부(2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가 기울어진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되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내용물배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1)는, 평판형상의 평판부(211)와, 평판부(211)의 외주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용기(90)의 입구(91)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둘레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커버부(21)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버부(21)가 용기(90)의 입구(91)를 폐쇄할 수 있다면, 커버부(2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부(22)는, 커버부(21)의 평판부(211)에 형성된 개구(213)의 둘레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25)와, 연결부(25)와 연통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231)이 형성되는 내용물배출용기(23)와, 내용물배출용기(23)와 연결되어 용기(90)가 원래의 자세로 복귀될 때 내용물의 일부를 수용공간(231)의 내부에 수용시키는 구획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20)에는, 내용물배출용기(23)와 커버부(21)를 연결하는 연결부(25)가 구비된다. 연결부(25)는 나사결합방식 또는 끼워맞춤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개구(213)를 복개하도록 커버부(2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25)는 양단이 개방되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버부(21)의 개구(213)와 연결되어 내용물이 내용물배출용기(23)로 유입되는 유입구(252)를 가진다.
내용물배출용기(2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내용물배출용기(23)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의 형태라면, 내용물배출용기(2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용기(23)는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배출용기(23)는 나사결합방식 또는 끼워맞춤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연결부(25)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획부(24)는 내용물배출용기(23)에 결합되거나, 연결부(25)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배출용기(23)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내용물배출용기(23)가 연결부(25)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구획부(24)가 내용물배출용기(23)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배출용기(23)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내용물배출용기(23)가 결합된 상태로 연결부(25)가 커버부(21)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구획부(24)가 연결부(2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획부(24)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획부(24)가 구비됨 따라, 내용물배출용기(23)의 수용공간(231)이 구획된다. 즉, 내용물배출용기(23)의 수용공간(231)은, 용기(90)가 기울어진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되었을 때, 내용물이 잔류되지 않는 제1공간(231a)과, 내용물이 잔류되는 제2공간(231b)으로 나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공간(231b)의 체적은 구획부(24)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구획부(24)가 연장되는 폭이 증가할수록 제2공간(231b)의 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구획부(24)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을 통하여, 제2공간(231b)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기(90)가 기울어진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되었을 때, 제2공간(231b)에 잔류하는 내용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연결부(25)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연결부(25)에 연결된 내용물배출용기(23)가 횡방향으로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배출용기(23)가 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용기(90)가 원래의 자세로 복귀된 후에 내용물배출용기(23)에 잔류하는 내용물의 양이 달라진다.
따라서, 연결부(25)의 절곡된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용기(90)로부터 얻을 수 있은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절곡된 각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연결부(25)를 구비하고, 연결부(25)를 교체하는 것을 통하여 내용물배출용기(23)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연결부(25) 또는 연결부(25)의 일부를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연결부(25) 또는 연결부(25)의 일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연결부(25)의 절곡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용물배출용기(23)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연결부(25) 또는 연결부(25)의 일부가 자바라 형상(벨로우즈 형상)을 가지거나, 내경이 서로 다른 관이 다단으로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25) 또는 연결부(25)의 일부가 합성수지 등의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내용물배출용기(23)와 연결부(25)가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배출용기(23)와 연결부(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부(2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20)에 의하면, 커버부(2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가 기울어질 때, 용기(90)의 내부의 내용물이 커버부(21)의 개구(213) 및 연결부(25)를 통하여 수용공간(23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용기(90)가 원래의 자세로 복귀될 때, 내용물배출용기(23)의 수용공간(231)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일부가 연결부(25)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고 구획부(24)에 의하여 규정된 제2공간(231b) 내에 잔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배출용기(23)을 연결부(25)로부터 분리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배출용기(23)가 결합된 연결부(25)를 커버부(21)로부터 분리한 후, 내용물배출용기(23)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내용물배출용기(23)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면, 제2공간(231b)의 체적에 상당하는 양을 가지는 내용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20)에 의하면, 커버부(2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를 기울인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시키고, 내용물배출용기(23)를 커버부(21)로부터 분리한 후, 내용물배출용기(23)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정량의 내용물을 용기(90)로부터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용기(20)의 주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20)에 의하면, 내용물배출용기(20)의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용기(90)로부터 얻을 수 있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30)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90)의 입구(91)에 결합되는 커버부(31)와, 커버부(31)에 설치되며, 커버부(3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가 기울어진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되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내용물배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31)는, 평판형상의 평판부(311)와, 평판부(311)의 외주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용기(90)의 입구(91)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둘레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커버부(31)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버부(31)가 용기(90)의 입구(91)를 폐쇄할 수 있다면, 커버부(3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부(32)는, 커버부(31)에 형성된 개구(31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용물배출부(32)는 개구(313)에 끼워맞춤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부(32)는, 개구(313)를 복개하는 복개부(321)와, 복개부(321)에 결합되어 복개부(321)가 개구(313)를 폐쇄한 상태에서 용기(90)가 기울어질 때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24) 및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325)을 형성하는 내용물수용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개부(321)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수용부(322)가 복개부(321)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유입구(324) 및 수용공간(325)가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부(32)가 개구(31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복개부(321)는 개구(313)를 폐쇄하며, 내용물수용부(322)의 측면은 개구(313)의 내면에 밀착되게 끼워진다. 따라서, 내용물수용부가 개구(31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내용물수용부(322)의 내부의 수용공간(325)은 유입구(324)를 통하여 용기(90)의 내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한편, 복개부(321)는 개구(313)의 폭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고, 내용물수용부(322)는 개구(313)에 밀착되게 삽입될 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경우, 내용물배출부(32)가 개구(313)에 삽입될 때, 내용물수용부(322)는 커버부(31)의 내부에 위치되지만 복개부(321)는 커버부(31)의 외부에 돌출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내용물배출부(32)가 커버부(31)로부터 분리될 때, 복개부(321)의 측면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용기(90)가 기울어진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되는 경우, 수용공간(325)의 내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수용공간(325)으로부터 쉽게 유출되지 않도록, 내용물수용부(322)의 유입구(324) 쪽 일단(323)은 복개부(321)를 향하여 굽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30)에 의하면, 커버부(3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가 기울어질 때, 용기(90)의 내부의 내용물이 유입구(324)를 통하여 내용물수용부(322)의 수용공간(325)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용기(90)가 원래의 자세로 복귀될 때, 내용물수용부(322)의 수용공간(325)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일부가 유입구(324)를 통하여 용기(90)의 내부공간으로 유출되지 않고 잔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용물배출부(32)를 개구(313)로부터 분리한 후, 내용물배출부(32)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내용물을 배출시키면, 내용물수용부(322)의 단부(323)에 의하여 규정되는 수용공간(325)의 체적에 상당하는 양을 가지는 내용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30)에 의하면, 커버부(3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를 기울인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시키고, 내용물배출부(32)를 커버부(31)로부터 분리한 후, 내용물배출부(32)로부터 내용물을 배출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정량의 내용물을 용기(90)로부터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용기(90)의 주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40)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90)의 입구(91)에 결합되는 커버부(41)와, 커버부(41)에 설치되며, 커버부(3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가 기울어진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되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내용물배출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41)는, 평판형상의 평판부(411)와, 평판부(411)의 외주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용기(90)의 입구(91)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둘레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커버부(41)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버부(41)가 용기(90)의 입구(91)를 폐쇄할 수 있다면, 커버부(4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부(45)는, 커버부(41)에 형성된 개구(413)를 포함하도록 커버부(4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구획부(42)와, 커버부(41)의 개구(41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커버부(41)의 개구(413)를 폐쇄한 상태에서 용기(90)가 기울어질 때, 제1구획부(42)와 함께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28)을 제공하는 제2구획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획부(42)는, 개구(413)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부(421)와, 하측부(421)의 좌우측에 연결되는 좌측부(422) 및 우측부(423)와, 하측부(421)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후방측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구획부(42)에 의하여 개구(413)의 하부에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수용공간(428)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부(421)의 전방측에는 수용공간(428)과 용기(90)의 내부공간과 연통시키는 개방부(4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구획부(42)는 커버부(4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하측부(421), 좌측부(422), 우측부(423) 및 후방측부(424)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구획부(42)는 커버부(41)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후방측부(424)는 커버부(41)의 둘레부(4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구획부(43)는 좌측부(422) 및 우측부(42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구획부(42)의 좌측부(422) 및 우측부(423)에 각각 힌지구멍(426)이 형성될 수 있고, 제2구획부(43)의 양측에는 힌지구멍(426)에 각각 삽입되는 힌지축(43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구획부(43)는 힌지축(436)에 의하여 규정되는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개구(413)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좌측부(422) 및 우측부(423)에 각각 힌지축이 형성될 수 있고, 제2구획부(43)의 양측에는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구획부(43)는 절곡된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구획부(43)는, 그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연장되어, 제2구획부(43)의 회전에 의하여 커버부(41)의 개구(413)를 개폐하는 제1부(431)와,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연장되어 제2구획부(43)의 회전에 의하여 개방부(425)를 개폐하는 제2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용기(90)가 기울어져서 용기(90)의 내부의 내용물이 수용공간(428)의 내부로 수용되는 과정에서는, 제1부(431)가 개구(413)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용기(90)가 원래의 자세로 복귀된 후, 제2구획부(43)가 회전되면, 제1부(431)가 개구(413)를 개방하되 제2부(432)가 개방부(425)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2구획부(43)의 회전에 의하여 개구(413)가 개방된 상태에서, 용기(90)를 기울이는 경우에도, 용기(90)의 내부의 내용물이 개방부(425) 및 개구(41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용기(90)로부터 커버부(41)를 분리하지 않아도, 수용공간(428)의 내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얻을 수 있다.
한편, 좌측부(422), 우측부(423) 및 후방측부(424)는 커버부(41)의 상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수용공간(428)으로부터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좌측부(422), 우측부(423) 및 후방측부(424)는 내용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용기(90)가 원래의 자세로 복귀될 때 수용공간(428)의 내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수용공간(428)으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개방부(425)에 위치하는 하측부(421)의 일단(427)은 상측으로, 즉, 개구(413)를 향하여 굽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40)에 의하면, 커버부(4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가 기울어질 때, 용기(90)의 내부의 내용물이 내용물배출부(45)의 수용공간(428)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용기(90)가 원래의 자세로 복귀될 때, 내용물배출부(45)의 수용공간(428)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일부가 하측부(421)에 차단되어 용기(90)의 내부공간으로 유출되지 않고 잔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용공간(428)이 개구(413)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구획부(43)를 회전시키면, 제1부(431)가 개구(413)를 개방시키는 것과 동시에 제2부(432)가 개방부(425)를 폐쇄한다. 이때, 커버부(41)를 용기(90)로 분리한 후 커버부(41)를 기울이거나, 커버부(4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로 용기(90)를 기울이면, 내용물배출부(45)의 수용공간(428)의 내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40)에 의하면, 커버부(4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를 기울인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시키고, 내용물수용부(45)의 내부의 수용공간(428)을 개구(413)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시킨 후, 내용물수용부(45)로부터 내용물을 배출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정량의 내용물을 용기(90)로부터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용기(90)의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50)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90)의 입구(91)에 결합되는 커버부(51)와, 커버부(51)에 설치되며, 커버부(5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가 기울어지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내용물배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51)는, 평판형상의 평판부(511)와, 평판부(511)의 외주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용기(90)의 입구(91)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둘레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커버부(51)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버부(51)가 용기(90)의 입구(91)를 폐쇄할 수 있다면, 커버부(5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부(52)는, 커버부(51)의 평판부(5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용기(9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연결공간(551)과 연결공간(551)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552)를 가지는 돌출부(55)와, 돌출부(55)의 개구(552)를 복개하도록 돌출부(55)의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531)이 형성되는 내용물배출용기(53)와, 내용물배출용기(53)와 연결되며 용기(90)가 기울어진 후 다시 원래의 자세로 복귀될 때 내용물의 일부를 수용공간(531)의 내부에 수용시키는 구획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55)는 커버부(51)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돌출부(55)는 나사결합방식 또는 끼워맞춤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커버부(5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용기(53)는 돌출부(55)의 개구(552)와 연통되어 내용물이 수용공간(531)으로 유입되는 유입구(532)를 가진다.
내용물배출용기(53)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내용물배출용기(53)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의 형태라면, 내용물배출용기(5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용기(53)는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수용공간(531)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내용물배출용기(53)에는 눈금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배출용기(53)가 돌출부(55)의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내용물배출용기(53)의 유입구(532)의 주위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림부(537)와 걸림돌기(53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55)의 개구(552)의 주위에는, 림부(537)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557)과, 걸림돌기(538)가 삽입되는 걸림부(558)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림부(537)가 삽입홈(557)에 삽입된 후, 걸림돌기(538)가 걸림부(558)에 걸리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배출용기(53)가 돌출부(55)의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배출용기(53)는 나사결합방식 또는 끼워맞춤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돌출부(55)의 측면에 탈착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55)의 둘레에는 복수의 내용물배출용기(53a, 53b)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내용물배출용기(53a, 53b)의 수용공간(531a, 531b)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얻고자 하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복수의 내용물배출용기(53a, 53b)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구획부(54)는 내용물배출용기(53)의 유입구(532)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내용물배출용기(5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획부(54)가 구비됨에 따라, 내용물배출용기(53)의 수용공간(531)이 구획된다. 즉, 내용물배출용기(53)의 수용공간(531)은, 용기(90)가 기울어진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되었을 때, 내용물이 잔류되지 않는 제1공간(531a)과, 내용물이 잔류되는 제2공간(531b)로 나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공간(531b)의 체적은 구획부(54)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구획부(54)가 연장되는 폭이 증가할수록 제2공간(531b)의 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구획부(54)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을 통하여, 제2공간(531b)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기(90)가 기울어진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되었을 때, 제2공간(531b)에 잔류하는 내용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용기용 뚜껑(50)에는 커버부(51), 돌출부(55) 및 내용물배출용기(53)를 커버하여 이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부(59)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커버부(59)는 커버부(51) 또는 용기(9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호커버부(59)에 의하여 용기용 뚜껑(50)이 결합된 용기(90)를 운반하는 경우 커버부(51), 돌출부(55) 및 내용물배출용기(53)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부(59)의 상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용기용 뚜껑(50)이 결합된 용기(90)가 상하로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어, 용기(90)의 운반에 있어 유리하다. 한편, 이러한 보호커버부(59)는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50)뿐만 아니라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10, 20, 30, 40)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20)에 따르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5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가 기울어질 때, 용기(90)의 내부의 내용물이 돌출부(55)의 연결공간(551) 및 개구(552)를 통하여 내용물배출용기(53)의 수용공간(53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90)가 원래의 자세로 복귀될 때, 내용물배출용기(53)의 수용공간(531)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일부가 용기(90)의 내부로 배출되지 않고 구획부(54)에 의하여 규정된 제2공간(531b) 내에 잔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538)가 걸림부(558)로부터 이탈되고 림부(537)가 삽입홈(557)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내용물배출용기(53)에 힘을 가하여, 내용물배출용기(53)를 돌출부(55)의 측면으로부터 분리한 후, 내용물배출용기(53)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내용물배출용기(53)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면, 제2공간(531b)의 체적에 상당하는 양을 가지는 내용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50)에 의하면, 커버부(5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를 기울인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시키고, 내용물배출용기(53)를 돌출부(55)의 측면으로부터 분리한 후, 내용물배출용기(53)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정량의 내용물을 용기(90)로부터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용기(90)의 주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제6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60)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90)의 입구(91)에 결합되는 커버부(61)와, 커버부(61)의 개구(613)에 설치되는 내용물배출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61)는, 평판형상의 평판부(611)와, 평판부(611)의 외주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용기(90)의 입구(91)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둘레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커버부(61)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버부(61)가 용기(90)의 입구(91)를 폐쇄할 수 있다면, 커버부(6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부(62)는, 커버부(61)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66)과, 가이드레일(66)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커버부(61)의 개구(613)와 연통되는 관통홀(672)을 가지는 이동블록(67)과, 이동블록(67)의 관통홀(672)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631)을 가지는 내용물배출용기(6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66)은 커버부(61)의 개구(613)의 주위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커버부(6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블록(67)은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가이드레일(66)에는 이동블록(67)의 폭방향 양단이 삽입되는 가이드홈(66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블록(67)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이동블록(67)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7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토퍼(673)에 의하여 이동블록(67)의 이동이 제한되며, 이에 따라, 내용물배출용기(63)가 이동블록(67)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용기(63)는 끼워맞춤방식 또는 나사결합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관통홀(672)이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내용물배출용기(63)가 관통홀(672)에 연결됨에 따라 이동블록(67)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내용물배출용기(63)의 수용공간(631)이 유입구(632)를 통하여 용기(90)의 내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제6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60)에 의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31)가 용기(90)에 결합되고, 이동블록(67)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내용물배출용기(63) 내의 수용공간(631)이 용기(90)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상태에서, 용기(90)가 기울어질 때, 용기의 내부의 내용물이 내용물배출용기(63)의 유입구(632)룰 통하여 수용공간(631)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23에서는 용기(90)가 180도로 반전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용기(90)를 180도에 비하여 작은 각도로 기울어 내용물배출용기(63)의 수용공간(631)의 내부로 내용물을 수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블록(67)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관통홀(672)이 형성되지 않은 이동블록(67)의 일부분이 커버부(61)의 개구(613)를 폐쇄하는 것과 함께 관통홀(672)에 연결된 내용물배출용기(63)가 이동블록(67)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용물배출용기(63)를 이동블록(67)의 관통홀(672)로부터 분리하면, 내용물배출용기(63)의 수용공간(631)의 체적에 상당하는 양을 가지는 내용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배출용 뚜껑(60)에 의하면, 커버부(61)가 용기(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90)를 기울인 후, 이동블록(67)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내용물배출용기(63)를 이동블록(67)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정량의 내용물을 용기(90)로부터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용기(90)의 주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20, 30, 40: 뚜껑 11, 21, 31, 41: 커버부
12, 22, 32, 42: 내용물배출부 14, 24: 구획부

Claims (20)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가 기울어진 후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내용물배출부를 포함하는 용기용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배출부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개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내용물배출용기와,
    상기 내용물배출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가 기울어진 후 원래의 자세로 복귀될 때 내용물의 일부를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시키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용기용 뚜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내용물배출용기의 내면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서 상기 내용물배출용기의 수용공간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배출용기와 상기 커버부의 사이에는 상기 내용물배출용기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연결부의 일부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배출부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개구를 복개하는 복개부와, 상기 복개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개부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가 기울어질 때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용물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배출부는, 상기 개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수용부의 유입구 쪽 일단은 복개부를 향하여 굽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배출부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구획부와,
    상기 커버부의 개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구획부가 상기 커버부의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가 기울어질 때, 상기 제1구획부와 함께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2구획부를 포함하는 용기용 뚜껑.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구획부는,
    상기 개구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부;
    상기 하측부의 좌우측에 연결되는 좌측부 및 우측부; 및
    상기 하측부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후방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부의 전방측에 상기 용기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구획부는 상기 좌측부 및 상기 우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구획부는, 그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구획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제1부와, 상기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구획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제2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평판형상의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외주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측부는 상기 둘레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좌측부, 상기 우측부 및 상기 후방측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15.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측부의 일단은 상측으로 굽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배출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를 가지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개구를 복개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내용물배출용기와,
    상기 내용물배출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용기가 기울어진 후 다시 원래의 자세로 복귀될 때 내용물의 일부를 수용공간의 내부에 수용시키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배출용기의 유입구의 주위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림부 및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개구의 주위에는 상기 림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둘레에는 복수의 내용물배출용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및 상기 내용물배출부를 커버하는 보호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용 뚜껑.
  20.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개구에 설치되는 내용물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배출부는,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의 개구와 연통되는 관통홀을 가지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관통홀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내용물배출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KR1020130015853A 2013-02-14 2013-02-14 용기용 뚜껑 KR20140102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853A KR20140102484A (ko) 2013-02-14 2013-02-14 용기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853A KR20140102484A (ko) 2013-02-14 2013-02-14 용기용 뚜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944A Division KR20140112461A (ko) 2014-08-11 2014-08-11 용기용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484A true KR20140102484A (ko) 2014-08-22

Family

ID=5174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853A KR20140102484A (ko) 2013-02-14 2013-02-14 용기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24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8514A (zh) * 2018-05-02 2018-09-11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实业有限公司 一种螺旋水龙头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8514A (zh) * 2018-05-02 2018-09-11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实业有限公司 一种螺旋水龙头盖
CN108518514B (zh) * 2018-05-02 2024-01-19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螺旋水龙头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176B1 (ko) 이중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EP3040289B1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same
US9439496B2 (en) Cosmetic container
US20150298865A1 (en) Multi-chamber container
KR20140102484A (ko) 용기용 뚜껑
KR20090000299A (ko) 화장품 케이스의 파우더 배출장치
KR20140112461A (ko) 용기용 뚜껑
US9409695B2 (en) Multi-chamber container
JP6349221B2 (ja) 計量容器
KR20170027528A (ko)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
US9409696B2 (en) Multi-chamber container
JP4653392B2 (ja) 錠剤計量容器
KR101213047B1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JP4629472B2 (ja) 包装容器
KR20170000033A (ko) 물분배장치
KR101889537B1 (ko) 자분탐상검사용 자분 스프레이
KR20170007389A (ko) 내용물 보관 시스템을 가지는 용기 캡
JP2008213865A (ja) 錠剤ケース
KR101812083B1 (ko) 액상 세제 용기
KR200315702Y1 (ko) 음료용기의 마개
KR200478760Y1 (ko) 칸칸 밀폐 용기
EP2857328B1 (en) Small food storage container
KR200433650Y1 (ko) 분할용기 조립체
KR101182332B1 (ko)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JP2014037274A (ja) キャ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