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037A - 지주용 도로표지판 - Google Patents

지주용 도로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037A
KR20140101037A KR1020130013798A KR20130013798A KR20140101037A KR 20140101037 A KR20140101037 A KR 20140101037A KR 1020130013798 A KR1020130013798 A KR 1020130013798A KR 20130013798 A KR20130013798 A KR 20130013798A KR 20140101037 A KR20140101037 A KR 20140101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nd
clamping band
pie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상구
Original Assignee
권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상구 filed Critical 권상구
Priority to KR102013001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1037A/ko
Publication of KR2014010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전방측으로 원호의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양측면 가장자리 부근에 관통된 밴드삽입부가 구성된 표지판이 전주, 가로등 등과 같은 지주에 설치되는 지주용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의 밴드삽입부에 관통 삽입되고 일측면에 일정간격 돌출 구성되는 래치가 구성된 띠형의 클램핑밴드와; 상기 클램핑밴드의 일측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일부가 개방된 개방구가 구성되고, 상부면은 관통된 원형의 돌기홈이 구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장방형의 몸체와, 몸체의 양측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일측에 돌출된 고정편과, 안전편과 이격되고, 안전편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원주형의 안전돌기와, 고정편과 이격되고 회전축에 돌출 구성되는 회전부와, 회전부의 일측면에 돌출 구성되는 안전편으로 구성된 클램프버클로 구성되어; 고정편과 안전편이 각각 클램핑밴드의 래치에 밀착되어 클램핑밴드가 이중으로 걸림되고, 돌기홈에 안전돌기의 삽입에 의하여 고정편 및 안전편의 역회전이 방지되어 클램핑밴드의 걸림 해제가 이중으로 방지되고, 토션스프링이 노후화되어도 안전돌기가 돌기홈에 삽입 고정되어 고정편 및 안전편의 역회전이 방지되고, 안전돌기가 돌기홈에 원터치결합되어 안전돌기와 돌기홈의 결합이 편리하고 결합이 확실한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주용 도로표지판 {A road sign board for suppor}
본원 발명은 지주용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변에 설치된 전주 및 가로등 등과 같은 지주에 설치되는 지주용 도로표지판을 클램핑밴드와 이중 걸림 기능 및 이중 해제 방지 기능이 있는 클램프버클을 이용하여 지주에 안전하게 결착하고 스스로 풀림이 방지되는 지주용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지판은 어떤 사실을 알리기 위하여 그 내용을 적거나 그려 놓은 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중에서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도로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사항이나 도로의 진행방향, 거리, 장소와 같은 도로 이용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을 도로표지판이라 한다.
상기의 도로표지판 중에서 인근의 각종 건물이나 소로에 대한 명칭 등을 나타내기 위한 도로, 특히 보도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지주용 도로표지판은 그 대부분이 일정높이를 갖는 지주 상단에 설치되어 보행자나 운전자로 하여금 목적하는 건물 등을 쉽게 찾을수 있도록 가로등주에 도로명 및 일련번호가 표시된 표찰을 부착하여 운행중인 차량의 길안내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표찰 즉, 지주용 도로표지판과 관련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9336호(2011.10.05)의 가로등주 표찰은
배면을 가로등주의 원호면에 밀착되어 부착되도록 곡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정면은 표지판이 부착되는 정면부가 있으며,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하며, 녹이슬지 않는 알루미늄판으로 제작한 표찰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판의 정면부는 상기 알루미늄판의 테두리를 보강하여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각면의 테두리에 정면으로 돌출된 긴 막대형 돌기와; 상기 알루미늄판 배면은 밴드가 상기 알루미늄판 양단에 끼워지도록 상기 알루미늄판 배면 양단에 배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밴드끼움부와; 상기 밴드끼움부에 가로등주에 착탈할 수 있는 밴드가 끼워진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가로등주 표찰은 알루미늄판 테두리를 돌기로 보강하여 테두리 및 알루미늄판 전체가 강도가 상승되고 밴드를 이용하여 표찰을 가로등주에 고정하나 가로등주의 정비를 위해 교체하거나 페인트를 칠 할 경우 버클에 해제하는 구성이 불비되어 표찰의 분리를 위하여 밴드를 절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1407호(2012.02.29)의 표지판용 지주 클램프는 도로명을 표시하는 표지판이 설치되는 봉 형상의 걸이구와 결합되어 지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다수개의 클램핑 밴드가 서로 결합되는 표지판용 지주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밴드는, 원형의 지주와의 접촉을 위해 호형으로 형성되는 바디부와;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바디부 일단에 형성되고, 상하측이 관통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의 두께보다 큰 가이드홈이 상기 삽입공에 연통 되도록 절개 형성되는 수용부와;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바디부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직경보다 적으며, 상하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밴드삽입부;로 이루어져, 상기 클램핑 밴드 다수개는 상기 밴드삽입부가 상기 수용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호간 연결되되, 상기 클램핑 밴드가 다수개 연결되어 호 형상을 이루어져 일측이 개방되는 밴드부재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삽입공의 직경보다 큰 걸림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와; 상기 밴드부재의 개방된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걸이구를 장착하도록 장착공이 전면에 형성되는 설치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표지판용 지주 클램프는 밴드부재의 개방된 양측에 장착공이 전면에 형성된 설치부재가 구성되고 장착공의 전면에 표지판이 현수되는 걸이구가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가로등주 표찰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표지판용 지주 클램프는 지주 클램프의 설치를 위하여 표지판용 지주의 외주면에 결착되는 다수개의 클램핑 밴드를 연결하여야 하므로 지주 클램프의 설치가 용이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표지판용 지주 클램프는 클램핑 밴드의 수용부의 삽입공에 다른 클램핑 밴드의 밴드삽입부를 삽입 결합하여야 하므로 삽입공과 밴드삽입부의 결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하나의 클램프버클을 이용하여 클램핑밴드를 고정하되 클램프버클에 구성되고 회동 가능한 고정편과 안전편이 각각 클램프버클에 구성된 클램핑밴드에 돌출된 래치에 밀착되게 하여 클램핑밴드를 이중으로 걸림하게 하고, 클램프버클에 구성된 토션스프링의 작용과 돌기홈에 안전돌기의 삽입에 의하여 고정편 및 안전편의 역회전이 방지되어 클램핑밴드의 걸림 해제가 이중으로 방지되게 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은 전방측으로 원호의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양측면 가장자리 부근에 관통된 밴드삽입부가 구성된 표지판이 전주, 가로등 등과 같은 지주에 설치되는 지주용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의 밴드삽입부에 관통 삽입되고 일측면에 일정간격 돌출 구성되는 래치가 구성된 띠형의 클램핑밴드와; 상기 클램핑밴드의 일측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일부가 개방된 개방구가 구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장방형의 몸체와, 몸체의 양측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일측에 돌출된 고정편과, 고정편과 이격되고 회전축에 돌출 구성된 회전부와, 회전부의 일측면에 돌출 구성되는 안전편으로 구성된 클램프버클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회전부는 안전편과 이격되고, 안전편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원주형의 안전돌기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면은 관통된 원형의 돌기홈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안전돌기는 원주의 끝단 부근에 원주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되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은 원주 직경과 요홈부 직경 사이의 직경의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회전부는 회전축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몸체의 개방구와 대응되어 개방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와, 밀폐부와 단 또는 경사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몸체의 개방구측의 상부 일부를 덮는 커버부가 구성되고; 상기 안전돌기가 커버의 하측면에 구성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지주용 도로표지판은 클램프버클의 회동 가능한 고정편과 안전편이 각각 클램핑밴드의 래치에 밀착되어 클램핑밴드가 이중으로 걸림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클램프버클에 구성된 토션스프링의 작용과 돌기홈에 안전돌기의 삽입에 의하여 고정편 및 안전편의 역회전이 방지되어 클램핑밴드의 걸림 해제가 이중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지주용 도로표지판의 장기간 설치에 의하여 토션스프링이 노후화되어도 안전돌기가 돌기홈에 삽입 고정되어 고정편 및 안전편의 역회전이 방지되어 클램핑밴드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안전돌기의 요홈에 의하여 안전돌기가 돌기홈에 원터치결합되어 안전돌기와 돌기홈의 결합이 편리하고 결합이 확실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션스프링이 부식되어 토션스프링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더라도 돌기홈과 안전돌기의 결합에 의하여 토션스프링의 기능이 부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회전부의 1회 회전으로 고정편 및 안전편이 래치에서 이탈되어 클램핑밴드의 결합 해제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본원 발명의 지주용 도로표지판의 사용상태도.
도 2: 본원 발명의 지주용 도로표지판의 사시도.
도 3: 본원 발명의 지주용 도로표지판의 분해 사시도.
도 4: 본원 발명의 클램프버클과 클램핑밴드의 결합사시도.
도 5: 본원 발명의 클램프버클에 클램핑밴드의 삽입사시도.
도 6: 본원 발명의 클램프버클의 해제 단면도.
도 7: 본원 발명의 클램프버클의 잠금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원 발명의 3중 필름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본원 발명의 지주용 도로표지판의 사용상태도, 도 2의 본원 발명의 지주용 도로표지판의 사시도, 도 3의 본원 발명의 지주용 도로표지판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본원 발명의 클램프버클과 클램핑밴드의 결합사시도, 도 5의 본원 발명의 클램프버클에 클램핑밴드의 삽입사시도, 도 6의 본원 발명의 클램프버클의 해제 단면도 및 도 7의 발명의 클램프버클의 잠금 단면도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지주용 도로표지판(1)은 도로변에 설치된 전주 및 가로등 등과 같은 지주에 설치된 표지판(10)에 클램핑밴드(20)를 끼우는 밴드삽입부(11)를 구성하고 클랭핑밴드(21)를 밴드삽입부(11)에 끼운 상태에서 클램프버클(30)을 이용하여 지주의 외주면에 밴딩시키면 표지판(10)이 지주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표지판(10), 클램핑밴드(20), 클램프버클(30) 및 토션스프링(40)의 큰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표지판(10)에는 밴드삽입부(11)의 작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클램핑밴드(20)에는 밴드(21) 및 래치(22)의 작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클램프버클(30)에는 몸체(31), 체결구(34), 회전축(35), 작동레버(), 고정편(37), 안전편(38), 안전돌기(39)의 작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몸체(31)에는 돌기홈(33)의 작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토션스프링(40)은 코일부(41), 제1연장부(42), 제2연장부(43) 등의 작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표지판(10)은 스테인레스판 또는 알루미늄판으로 구성되고 전방측으로 원호의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판형으로 구성되고 양측면 가장자리 부근에 관통된 밴드삽입부(11)가 구성된다.
상기 표지판(10)은 횡단면이 곡선 형상 즉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면이 도로의 진행방향, 거리, 장소와 같은 도로 이용에 관한 정보나 각종 위험사항이나 주차금지, 견인구역과 같은 각종 경고 사항 등이 인쇄되어 있고, 배면이 전주, 가로등 등과 같은 지주의 원호 면에 밀착 부착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지판(10)을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의 재질로 하는 이유는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이 내부식성이 강하고 표지판이 외부에 노출되어 비 또는 눈 등에 의하여 녹이 슬지 않게 하게 하면서 가볍고 가공성이 양호하기 때문이다.
상기 표지판(10)의 밴드삽입부(11)는 클램핑밴드(20)가 관통 삽입되는 곳으로서 클램핑밴드(20)의 횡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편적으로 장방형으로 구성되고, 양측면 가장자리 부근에 관통되어 1쌍으로 구성되거나 양측면 가장자리 부근에 상하 관통되는 2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주에 표지판(10)의 밀착 상태를 위해서 2쌍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삽입부(11)에 다수의 래치(22)가 형성되어 있는 띠 형상의 클랭핑밴드(21)를 삽입하여 표지판(10)의 배면이 지주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클랭핑밴드(21)를 당겨서 결속 기능을 갖는 클램프버클(30)을 이용하여 클랭핑밴드(21)를 결속하게 되면 표지판(10)이 지주에 밀착된다
상기 클랭핑밴드(21)를 일측 끝단을 표지판(10)의 정면에서 일측의 밴드삽입부(11)를 관통하여 표지판(10)의 배면 방향으로 통과시킨 후 타측의 밴드삽입부(11)의 배면 방향에서 정면으로 인출하게 하여 즉 클램핑밴드(20)를 밴드삽입부(11)에 끼운 상태에서 지주에 밀착한 후 밴드삽입부(11)의 끝을 클램프버클(30) 내부로 통과시켜 클램프버클(30)의 결속 작용에 의하여 클램핑밴드(20)가 클램프버클(3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어 표지판(10)이 지주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 클랭핑밴드(21)는 표지판(10)의 밴드삽입부(11)에 관통 삽입되고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같고 폭에 비하여 길이가 훨씬 긴 띠 형상의 밴드(21)와, 밴드(21)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연속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래치(22)로 구성되며, 밴드(21)의 배면 즉 래치(22)가 형성되지 아니한 면이 지주의 외주면에 접한 상태가 된다.
상기 클랭핑밴드(21)가 표지판(10)의 밴드삽입부(11)을 통하여 일부구간이 표지판(10)의 정면 즉 표지판(10)의 가장자리와 밴드삽입부(11)까지의 표지판(10)의 정면에 접하고 나머지 구간은 지주의 외주면에 접한 상태에서 클램프버클(30)의 작용에 의하여 래치(22)가 결속됨으로써 표지판(10)이 자주에 고정된다.
상기 클랭핑밴드(21)는 일측면에 일정간격 연속으로 일체형의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래치(22)에 의하여 지주의 직경에 상관없이 밴드(21)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되면서 동시에 밴드(21)의 걸림상태의 해제에 따른 동작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상기 래치(22)는 클랭핑밴드(21)의 횡단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구성되고 클랭핑밴드(21)의 종단방향의 단면이 일측면이 직각으로 구성되고 후면이 곡선으로 돌출 구성되거나 나사산과 같은 형상으로 연속하게 구성되어 밴드(21)의 일측면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래치(22)의 면이 다음에 설명하는 고정편(37) 및 안전편(38)과 밀착되는 경우에 클랭핑밴드(21)가 걸림 상태가 된다.
상기 래치(22)는 밴드(21)의 폭 중앙에 형성되어 래치(22)의 양측 끝단과 밴드(21)의 양측 가장자리는 일정한 폭의 평면으로 형성되며 밴드(21)의 자유단 끝에서 클램프버클(30)과 결합되는 밴드(21)의 타측 끝까지 구성할 수 있으나 생산성과 지주의 직경 등을 감안하여 자유단에서 일정 거리까지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래치(22)의 종단 형상은 고정편(37) 및 안전편(38)과 밀착되는 면은 직각으로 구성되고 밀착되지 아니하는 면 즉 곡선면은 나사산과 같이 경사면 등으로 구성하여도 무관하다.
상기 클램프버클(30)은 클램핑밴드(20)의 일측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일부가 개방된 개방구(32)가 구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장방형의 몸체(31)가 구성된다.
상기 몸체(31)는 장방형 기둥과 같은 형상에서 좌에서 우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되고 상부면의 중앙 일부가 절취되어 관통되어 상부면의 관통된 곳이 개방구(32)로 구성되어 개방 구가 밀폐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개방구(32)를 통하여 몸체(31) 내부의 관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몸체(31)의 양측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35)이 구성되는데, 회전축(35)은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그 길이가 몸체의 내부 폭보다 약간 작게 구성되고 양끝단에는 회전축의 축심과 같은 평면에 원주형의 돌기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35)의 돌기가 몸체(31)의 양측면에 관통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회전축(35)이 몸체 내에 안치되고 몸체 내에서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즉 자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35)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고정편(37)이 구성되는데, 고정편(37)은 회전체()의 일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의 일체형으로 돌출 구성되되 회전축(35)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 형성 즉, 고정편(37)의 길이가 회전축(35)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편(37)은 회전축(35)의 중심축과 같은 평면에 돌출 구성되고 래치(22)에 밀착되는 면이 수직으로 구성되고 래치(22)에 밀착되지 않는 면 즉 후면은 경사 또는 곡선으로 구성되어도 무관하고, 고정편(37)의 길이는 래치(22)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편(37)의 길이가 래치(22)의 길이 보다 짧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고정편(37)과 래치(22)가 약간의 어긋남이 있는 경우에는 래치(22)의 밀착면이 그만큼 감소하게 된다.
상기 고정편(37)과 이격되고 회전체()에 돌출 구성된 회전부(36)가 구성되는데, 회전부(36)는 회전축(35)의 축심과 같은 평면에 돌출 구성되거나 회전축(35)의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법선 방향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36)가 회전축(35)의 축심과 같은 평면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몸체(31)의 개방구(32)의 높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기 어렵고 회전축(35)의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몸체(31)의 개방구(32)의 높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기 어러우나 회전부(36)의 상면과 몸체(31)의 상면의 비슷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6)는 회전축(35)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몸체의 개방구(32)와 대응되어 개방구(32)를 밀폐하는 밀폐부(36-1)와, 밀폐부(36-1)와 단 또는 경사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몸체(31)의 개방구(32) 측의 상부 일부를 덮는 커버부(36-2)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36)는 개방구(32)에 대응되게 구성되어 즉 회전부(36)의 외형과 개방구(32)의 외형이 유사하게 구성되어 회전부(36)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부(36)가 개방구(32)을 밀폐하거나 개방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전부(36)가 몸체(31)의 개방구(32)를 밀폐하면서 몸체(31)의 상부면 일부를 덮게 되는 구성으로서 회전축(35)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므로 회전축(35)의 외경의 높이가 몸체(31)의 상부면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되므로 회전부(36)의 전체가 회전축(35)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평면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회전부(36)가 몸체(31)의 상부면 일부를 덮개되게 되면 개방구(32)와 간격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밀폐부(36-1)와 커버부(36-2)를 단 또는 경사로 분리하면서 커버부(36-2)의 높이를 밀폐부(36-1)의 높이보다 높게 하여 밀폐부(36-1)가 개방구(32)를 밀폐하게 구성하고 커버부(36-2)가 몸체(31)의 상부 일부면을 덮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안전편(38)이 회전부(36)의 일측면에 돌출 구성되는데, 안전편(38)은 회전부(36)에서 개방구(32)를 밀폐하는 부분에서 하측 방향 즉 몸체(31)의 내부 방향으로 구성되어 래치(22)의 수직면과 접촉된다.
상기 안전편(38)은 회전부(36)에 구성되므로 고정편(37)보다 길게 구성 즉, 회전축(35)의 직경에 고정편(37)의 높이를 합한 정도의 길이의 내외로 길게 돌출된다.
상기 안전편(38)은 래치(22)에 밀착되는 면이 수직으로 구성되고 래치(22)에 밀착되지 않는 면 즉 후면은 경사 또는 곡선으로 구성되어도 무관하고, 안전편(38)의 폭은는 래치(22)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편(38)의 폭이 래치(22)의 길이 보다 짧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안전편(38)과 래치(22)가 약간의 어긋남이 있는 경우에는 래치(22)의 밀착면이 그만큼 감소하게 된다.
상기 스테인레스 판을 냉간에서 주름살(wrikle)이 발생하지 아니하면서 두께의 손실이나 파손되는 것이 없이 소요 깊이(폭)으로 드로잉이 가능하기 때문에 회전부(36)가 스테인레스의 판형일 경우에는 안전편을 드로잉(drawing)에 의한 가공으로 안전편(38)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프버클(30)의 회동 가능한 고정편(37)과 안전편(38)이 클램핑밴드(20)에 구성된 각각의 래치(22)에 밀착되어 클램핑밴드(20)가 이중으로 걸림되어 걸림 완전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36)는 안전편(38)과 이격되고 안전편(38)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원주형의 안전돌기(39)가 커버()의 하측면에 돌출 구성되고, 몸체(31)의 상부면은 관통된 원형의 돌기홈(33)이 구성된다.
상기 돌기홈(33)은 회전부(36)가 몸체(31)의 상부를 덮개될 때 안전돌기(39)와 대응되는 몸체(31)의 상부면에 관통 형성되어 안전돌기(39)가 돌기홈(33)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안전돌기(39)는 돌기홈(3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외부의 힘이 가하지 아니하면 이탈되지 아니하게 되어 즉 스스로 분리되지 않게 되어 안전돌기(39)가 돌기홈(33)에 삽입 상태가 되면 회전부(36)에 구성된 안전편(38)이 래치(22)의 수직면에 밀착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축(35)에 구성된 고정편(37)도 다른 래치(22)의 수직면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전돌기(39)가 돌기홈(33)의 결합에 의하여 회전부(36)의 회전이 되지 않게 됨으로써 즉, 안전돌기(39)가 돌기홈(33)에 삽입 고정되어 고정편(37) 및 안전편(38)의 역회전이 2중으로 방지되어 클램핑밴드(20)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안전돌기(39)는 원주의 끝단 부근에 원주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되는 요홈부(39-1)가 형성되고, 돌기홈(33)은 원주 직경과 요홈부(39-1) 직경 사이의 직경의 크기로 구성된다.
상기 요홈부(39-1)는 일측이 안전돌기(39)의 외주면과 일치된 상태에서 안전돌기(39)의 외주면에서 요홈부(39-1)의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감소되고 타측이 요홈부(39-1)의 중앙에서 안전돌기(39)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증가하면서 안전돌기(39)의 외주면과 일치하게 된다.
상기 요홈부(39-1) 전후의 안전돌기(39)의 형상은 아령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안전돌기(39)가 돌기홈(33)에 원터치 결합되고 결합 후에는 안전돌기(39)가 돌기홈(33)에서 분리되기 어렵게 구성된다.
상기 지주용 도로표지판(1)은 한번 설치되면 내구성이 다하거나 표지판(10)에 인쇄된 내용 즉 도로명 등의 정보가 변경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교체가 되지 아니하므로 안전돌기(39)와 돌기홈(33)의 결합 후 분리가 쉽게 되지 않게 하여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35)에 코일부(41)가 삽입되는 토션스프링(40)이 구성되며, 토션스프링(40)은 다수회의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코일부(41)와 코일부(41)의 일측 및 타측 끝단에서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42) 및 제2연장부(43)가 구성된다.
상기 토션스프링(40)은 나선형으로 중첩되게 감긴 코일부(41)와 이 코일부(41) 양쪽으로 대칭되는 제1,2연장부(52,53)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일부(41)의 일측 끝단에 제1연장부(42)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코일부(41)의 타측 끝단에 제2연장부(43)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일부(41)는 나선형의 다수 회로 감겨져 상하로 중첩되어 권선 구조로 되어 나선형으로 몇 회로 감겨져 상하로 중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제1연장부(42) 및 제2연장부(43)의 위치를 변경 즉 뒤집어서 사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코일부(41)와 제1,2연장부(52,53)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고, 소선의 단면이 원형으로서 원통형 토션스프링(40)으로 구성되며 제1,2연장부(52,53)는 회전부(36)의 일측 외면 및 몸체(31)의 내부 저면에 구성된 슬롯(도면 미도시)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제1,2연장부(52,53)에 토션이 균등하게 작용하도록 제1,2연장부(52,53)의 길이가 일정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토션스프링(40)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부(36)의 외면 및 몸체(31)의 내부 저면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40)은 설계상에서 제1,2연장부(52,53)의 길이 즉 리드길이, 제1,2연장부(52,53)의 사이각 즉 리드사이각, 스프링직경 즉 선경에 의해서 토션값이 결정되며 리드길이가 짧을수록, 리드사이각이 작을수록, 선경이 클수록 토션값이 증가하므로 이들의 결정에 의하여 토션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6)의 외면 및 몸체(31)의 내부 저면에 구성되고 회전축(35)과 이격된 슬롯이 구성되고, 제1연장부(42) 및 제2연장부(43)는 회전부(36)의 하측면 및 몸체(31)의 내부 저면에 형성된 각각 슬롯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42)와 제2연장부(43)의 끝은 각각 절곡되어 제1,2연장부(52,53)와 직각으로 돌출 구성된 연장편(44)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연장편(44)이 회전부(36) 외면 및 몸체(31)의 내면과 접촉하게 되며 연장편(44)이 접촉하는 회전부 ()의 외면 및 몸체(31)의 내부 저면의 슬롯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회전부(36) 및 몸체(31)의 슬롯을 양측으로 돌출된 돌기로 형성하여 각각의 2개의 돌기 사이에 제1연장부(42) 또는 제2연장()을 안치하여 토션스프링(40)이 토션 작용을 할 수 있으나 슬롯은 몸체(31) 및 회전부(36)의 제작시 약간의 홈을 형성할 수 있고 돌기를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한다.
상기 돌기가 회전부(36) 및 몸체(31)가 스테인레스판인 경우에는 회전부(36) 및 몸체(31)의 반대 방향에서 드로잉가공을 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제작상의 편리성을 감안할 때 돌기보다 슬롯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장부(42)가 회전부(36)의 하측의 몸체(31) 내면의 슬롯에 끼워져 고정되면 제2연장부(43)가 회전()의 외부면의 슬롯에 끼워져 고정되어 토션스프링(40)이 회전부(36)의 외부면 및 몸체(31)의 내부 저면 사이에서 지지된 상태에서 토션이 작용한다.
상기 돌기홈(33)에 안전돌기(39)의 삽입 고정에 의하여 회전부(36)의 회전이 되지 않게 되어 회전부(36)에 구성된 안전편(38)이 역회전되지 않게 되고, 회전부(36)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회전축(35)이 회전되지 않게 되어 회전축(35)에 구성된 고정편(37)이 역회전이 방지되어 클램핑밴드(20)의 걸림 해제가 2중으로 방지되어 클램핑밴드(20)의 이탈이 방지된다.
일반적으로 지주용 도로표시판()은 한번 설치되면 오랜기간 동안 교체가 되지 아니하게 되어 클램프버클(30)에 구성된 토션스프링(40)은 비, 눈 및 대기의 오염 등에 의하여 즉 외부 환경에 의하여 오랜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부식이 되어 그 기능을 상실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토션스프링(40)의 부식에 대비하여 돌기홈(33)과 안전돌기(39)를 구성하여 토션스프링(40)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더라도 돌기홈(33)과 안전돌기(39)의 결합에 의하여 토션스프링(40)의 기능을 부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주용 도로표지판(1)은 한번 설치되면 내구성이 다하거나 표지판(10)에 인쇄된 내용 즉 도로명 등의 정보가 변경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교체가 되지 아니하므로 안전돌기(39)와 돌기홈(33)의 결합 후 분리가 쉽게 되지 않게 하여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밴드(21)의 자유단을 표지판(10)의 좌우에 관통된 밴드삽입부(11)를 통하여 차례로 삽입하여 반대쪽으로 빼내어 밴드(21)를 표지판(10)에 삽입한 상태에서 지주에 설치하고자하는 위치에 표지판(10)을 밀착하여 회전부(36)를 누르지 않은 상태 즉 래치(22)의 수직면에 회전편()과 안전편(38)이 위치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여 이때 토션스프링(40)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부(36)가 개방구(32)가 회전하려고 하므로 손 등을 사용하여 회전부(36)가 회전되지 않게 즉 토션스프링(40)이 작용되지 않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밴드(21)의 자유단을 클램프버클(30)에 삽입하여 자유단을 당겨서 밴드(21)가 지주에 밀착되게 한 후 회전부(36)를 자유스럽게 하면 토션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부(36)가 회전되면서 개방구(32)를 밀폐하면서 몸체(31)의 상면 일부를 덮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고정편(37)과 안전편(38)은 밴드(21)의 래치(22)의 수직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되어 밴드(21)가 몸체(31)의 외부로 즉 후퇴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밴드(21)가 지주의 외주면에 밀착이 덜된 경우에는 밴드(21)의 자유단을 당기게 되면 래치(22)가 자유단의 삽입방향의 앞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밴드(21)의 당김에 따라 해치()가 전진하게 되면서 밴드(21)의 조임이 더욱 확실하게 되면서 고정편(37)과 안전편(38)은 밴드(21)의 래치(22)에 의하여 걸림 작용을 하게 되고 풀림이 정지되어 밴드(21)는 클램프버클(30)에 자유단을 더 삽입은 할 수 있지만 인출은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상기 밴드(21)가 클램프버클(30)에 더 이상 삽입이 곤란한 경우 즉 밴드(21)의 배면과 지주의 외주면의 밀착이 확실하게 되면 회전부(36)를 눌러 안전돌기(39)가 돌기홈(33)에 삽입시켜 지주용 도로표지판(1)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토션스프링(40)의 제1,2연장부(52,53)는 몸체(31) 및 회전부(36)의 슬롯에 안치되어 슬롯의 홈에 의하여 슬롯 외부로 이탈하지 아니하면서 회전부(36)에 탄성작용을 하게 되어 회전부가 스스로 개방부()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본원 발명의 지주용 도로표지판(1)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전부(36)를 개방하여 즉 안전돌기(39)를 돌기홈(33)에서 이탈시켜 회전부(36)를 상승한 상태에서 다시 말하면 고정편(37)과 안전편(38)이 래치(22)와 밀착이 해제된 상태에서 밴드(21)를 클램프버클(30)에서 인출하면 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인하여 본원 발명은 고정편(37)과 안전편(38)이 각각 클램핑밴드(20)의 래치(22)에 밀착되어 클램핑밴드(20)가 이중으로 걸림되고, 돌기홈(33)에 안전돌기(39)의 삽입에 의하여 고정편(37) 및 안전편(38)의 역회전이 방지되어 클램핑밴드(20)의 걸림 해제가 이중으로 방지되고, 토션스프링(40)이 노후화되어도 안전돌기(39)가 돌기홈(33)에 삽입 고정되어 고정편(37) 및 안전편(38)의 역회전이 방지되고, 안전돌기(39)가 돌기홈(33)에 원터치결합되어 안전돌기(39)와 돌기홈(33)의 결합이 편리하고 결합이 확실한 등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지주용 도로표지판 10: 표지판
11: 밴드삽입부 20: 클램핑밴드
21: 밴드 22: 래치
30: 클램프버클 31: 몸체
32: 개방구 33: 돌기홈
34: 체결구 35: 회전축
36: 회전부 36-1: 밀폐부
36-2: 커버부 37: 고정편
38: 안전편 39: 안전돌기
39-1: 요홈부 40: 토션스프링
41: 코일부 42: 제1연장부
43: 제2연장부 44: 연장편

Claims (4)

  1. 전방측으로 원호의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양측면 가장자리 부근에 관통된 밴드삽입부가 구성된 표지판이 전주, 가로등 등과 같은 지주에 설치되는 지주용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의 밴드삽입부에 관통 삽입되고 일측면에 일정간격 돌출 구성되는 래치가 구성된 띠형의 클램핑밴드와;
    상기 클램핑밴드의 일측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일부가 개방된 개방구가 구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장방형의 몸체와, 몸체의 양측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일측에 돌출된 고정편과, 고정편과 이격되고 회전축에 돌출 구성된 회전부와, 회전부의 일측면에 돌출 구성되는 안전편으로 구성된 클램프버클로 구성되어;
    상기 클램프버클의 회동 가능한 고정편과 안전편이 클램핑밴드에 구성된 각각의 래치에 밀착되어 클램핑밴드가 이중으로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도로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안전편과 이격되고, 안전편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원주형의 안전돌기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면은 관통된 원형의 돌기홈이 구성되어;
    상기 안전돌기가 돌기홈에 삽입 고정되고 고정편 및 안전편의 역회전이 방지되어 클램핑밴드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도로표지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돌기는 원주의 끝단 부근에 원주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되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은 원주 직경과 요홈부 직경 사이의 직경의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안전돌기가 돌기홈에 원터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도로표지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회전축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몸체의 개방구와 대응되어 개방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와, 밀폐부와 단 또는 경사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몸체의 개방구측의 상부 일부를 덮는 커버부가 구성되고;
    상기 안전돌기가 커버의 하측면에 구성되어;
    상기 안전돌기가 돌기홈에 삽입 고정되어 고정편 및 안전편의 역회전이 방지되어 클램핑밴드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도로표지판.
KR1020130013798A 2013-02-07 2013-02-07 지주용 도로표지판 KR20140101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798A KR20140101037A (ko) 2013-02-07 2013-02-07 지주용 도로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798A KR20140101037A (ko) 2013-02-07 2013-02-07 지주용 도로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037A true KR20140101037A (ko) 2014-08-19

Family

ID=5174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798A KR20140101037A (ko) 2013-02-07 2013-02-07 지주용 도로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10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2961A (zh) * 2019-12-31 2020-05-05 广西路建工程集团有限公司 远距离水准测量游标砧板及其应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2961A (zh) * 2019-12-31 2020-05-05 广西路建工程集团有限公司 远距离水准测量游标砧板及其应用方法
CN111102961B (zh) * 2019-12-31 2024-01-30 广西路建工程集团有限公司 远距离水准测量游标砧板及其应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8298B2 (en) Tie device for elongate articles
US6899053B2 (en) Flag clamping device for automobile antenna
US8117875B2 (en) Retractable wheel lock
US9558686B2 (en) Combination mounting and storing device for a vehicle safety flag
US7458175B2 (en) Retractable display apparatus
KR20140101037A (ko) 지주용 도로표지판
CA2611641C (en) Closure means for holding closed a door
JP4471869B2 (ja) 区画用ベルト装置
CA2584541C (en) Gasket package
EP2138991A1 (en) System and device for attaching information elements to a post and use of said system and device
JP5889989B1 (ja) 丁張り用標示体
AU2009100399A4 (en) Barrier Tape Housing Assembly
US20150162733A1 (en) Grommet with spreader mounting feature
US7639123B2 (en) Fasten device for tire pressure alarm transmitter
JP2009074636A (ja) 長尺部材のバンドクランプ
KR101315603B1 (ko) 와이어 권취용 드럼
JP3080698U (ja) 安全標識用具
KR200391818Y1 (ko) 안전표지 걸이대
JPH052651Y2 (ko)
JP3008432U (ja) 標識用取付金具
JP6473486B1 (ja) 車止め用カバーユニット
JP3732402B2 (ja) 支線引張具
JP6431859B2 (ja) バンド締付具
JP2002081028A (ja) 方向表示具の取り付け具
KR200443572Y1 (ko) 현수막 양단 지지용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