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679A - 이온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이온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679A
KR20140099679A KR1020130012394A KR20130012394A KR20140099679A KR 20140099679 A KR20140099679 A KR 20140099679A KR 1020130012394 A KR1020130012394 A KR 1020130012394A KR 20130012394 A KR20130012394 A KR 20130012394A KR 20140099679 A KR20140099679 A KR 20140099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ircuit
cover
ai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661B1 (ko
Inventor
이양화
신진혁
정의경
전훈철
이성화
박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2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61B1/ko
Priority to PCT/KR2014/000921 priority patent/WO2014119970A1/en
Priority to CN201480013278.0A priority patent/CN105026842B/zh
Publication of KR20140099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이 높고 안전한 이온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는, 고전압을 발생하는 회로; 상기 회로를 감싸는 회로케이스; 상기 회로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에서 발생한 고전압에 의하여 방전하여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하는 전극; 상기 전극과 상기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상기 회로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전선커버; 및 상기 전선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전극의 주변 일부에 배치되는 전극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온발생장치 {Ionizer}
본 발명은 이온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이 높고 안전한 이온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팽창밸브 및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즉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공기를 부유하는 먼지 등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집진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이물질을 대전하여 포집하는 전기 집진장치가 이용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효율이 높은 이온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안전한 이온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는, 고전압을 발생하는 회로; 상기 회로를 감싸는 회로케이스; 상기 회로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에서 발생한 고전압에 의하여 방전하여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하는 전극; 상기 전극과 상기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상기 회로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전선커버; 및 상기 전선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전극의 주변 일부에 배치되는 전극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는, 고전압을 발생하는 회로; 상기 회로를 감싸는 회로케이스; 상기 회로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에서 발생한 고전압에 의하여 방전하여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하는 전극; 상기 전극과 상기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상기 회로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전선커버; 및 상기 전선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전극의 공기 유동되어 오는 방향 측을 커버하는 전극커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온발생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고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을 전극커버가 효율적으로 커버하여 사용자의 감전을 방지하고 이물질이 전극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도 있다.
둘째,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하는 전극을 전극커버가 효율적으로 커버하여 이온 발생량을 높이는 장점도 있다.
셋째, 이온발생장치를 모듈화 하여 다양한 공기조화기에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넷째, 이온을 발생하는 전극이 최소 공간을 차지하여 풍량 저감을 최소화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집진장치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온발생장치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이온발생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이온발생장치에 대한 일부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이온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유동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집진장치(120)와,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장치(130)와, 송풍장치(13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열교환기(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조화기(100)는 스탠드형 실내기인 경우이다.
캐비닛(110)은, 캐비닛 본체(111)와, 캐비닛 본체(111) 전면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캐비닛 커버(114)와,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며 외부의 공기가 캐비닛(1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부(116)가 형성된 전면 하부 패널(113)과,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며 캐비닛(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부(115가 형성된 전면 상측패널(112)을 포함한다.
집진장치(120)는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하여 발생된 이온에 의하여 이물질을 대전하고 대전된 이물질을 집진한다. 집진장치(1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송풍장치(130)는 캐비닛(110) 내에 배치된다. 송풍장치(130)는 캐비닛(110) 외부의 공기가 캐비닛(110) 내부로 흡입되어 집진장치(120) 및 열교환기(140)를 통과하여 캐비닛(1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유동한다. 송풍장치(13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32)와 모터(132)에 의하여 회전하는 송풍팬(131)를 포함한다.
열교환기(140)는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한다. 열교환기(140)에서 냉매가 증발하면 공기가 냉각되고, 냉매가 응축되면 공기가 가열된다. 열교환기(140)는 냉매가 유동하는 파이프(미도시)와 파이프에 결합되는 냉각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140)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모터(132)가 회전하여 송풍팬(131)을 회전시키면 외부의 공기가 공기흡입부(116)를 통하여 캐비닛(110) 내부로 유입된다. 캐비닛(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집진장치(12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송풍팬(131)의 회전에 따라 열교환기(140)로 이동한다. 열교환기(140)에서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되거나 가열된다. 열교환된 상기 공기는 공기토출부(115를 통하여 캐비닛(110) 외부로 토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집진장치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120)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집진케이스(121)와,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하여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발생장치(122)와, 이온발생장치(122)가 발생한 이온이 수집되는 접지된 이온트랩(123)과, 이온발생장치(122)에서 발생한 이온에 의하여 대전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대전된 집진필터(124)를 포함한다.
집진케이스(121)는 공기흡입부(116)로 흡입된 공기가 송풍장치(130)로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집진케이스(121)는 공기흡입부(116)와 송풍장치(130)가 연통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집진케이스(121)는 대향되는 면이 개구된 육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집진케이스(121)는 복수로 구획되며 이온발생장치(122)는 구획된 일부분에 배치된다. 이온발생장치(122)는 집진케이스(121) 하부의 집진영역(127)의 가운데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발생장치(122)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는 세균을 제거하는 제균필터(128) 및/또는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129)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균필터(128)와 탈취필터(129)는 집진케이스(121) 상부에 배치된다.
즉, 집진케이스(121)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구획되어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일부 구획인 집진영역(127)에는 이온발생장치(122)와 집진필터(124)와 이온트랩(123)이 배치되고, 다른 일부 구획에는 제균필터(128)가 배치되고, 또 다른 일부 구획에는 탈취필터(129)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온발생장치(122)와 제균필터(128)와 탈취필터(129)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나 실시예에 따라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제균필터(128)와 탈취필터(129)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그 후에 이온발생장치(122)가 배치될 수 있다.
집진케이스(121)의 집진영역(127)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따라, 이온발생장치(122)와 이온트랩(123)과 집진필터(124)가 순서대로 구비된다.
이온발생장치(122)는 고전압을 발생시켜 전극에서 방전하여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한다. 이온발생장치(122) 에서 발생한 이온은 이물질을 대전한다. 이온발생장치(122)는 집진영역(127)의 가운데에 배치된다. 이온발생장치(12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온트랩(123)은 이온발생장치(122)가 발생한 이온을 수집한다. 이온트랩(123)은 접지된 금속체로 형성되어 이온이 수집된다. 이온트랩(123)은 금속재질의 매쉬형태로 형성된다. 이온트랩(123)에서 이온은 환원된다. 이온트랩(123)은 이물질을 대전시키지 못한 이온을 수집하고 제거하여 이온이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등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다.
이온트랩(123)은 공기의 유동방향에 따라 이온발생장치(122)의 후방에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라 이온트랩(123)은 집진필터(124)의 후방에 배치되거나, 복수의 집진필터(1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온트랩(123)은 이온발생장치(122)의 방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이온발생장치(122)와 적정하게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진필터(124)는 대전된 이물질이 집진된다. 집진필터(124)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따라 이온트랩(123)의 후방에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라 집진필터(124)는 이온발생장치(122)와 이온트랩(1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필터(124)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작은 유로가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집진필터(124)는 양극 및/또는 음극으로 대전된다. 집진필터(124)의 양극으로 대전된 부분은 음극으로 대전된 이물질을 포집하고, 음극으로 대전된 부분은 양극으로 대전된 이물질을 포집한다.
집진필터(124)는 이온트랩(123)에 근접하여 이격될 수 있다. 이온발생장치(122)와 이온트랩(123) 사이의 간격은 집진필터(124)와 이온트랩(123)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이온트랩(123)은 생략되고 금속 재질의 열교환기(140)가 이를 대신할 수 있다. 즉, 열교환기(140)를 접지하여 접지된 열교환기(140)가 이온을 수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온발생장치에 대한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이온발생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이온발생장치에 대한 일부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122)는, 고전압을 발생하는 회로(122c)와, 회로(122c)를 감싸는 회로케이스(122d)와, 회로케이스(122d)의 외부에 배치되어 회로(122c)에서 발생한 고전압에 의하여 방전하여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하는 전극(122a)과, 전극(122a)과 회로(122c)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122b)과, 회로케이스(122d)로부터 돌출되어 전선(122b)을 지지하는 전선커버(122e)와, 전선커버(122e)와 연결되어 전극(122a)의 주변 일부에 배치되는 전극커버(122g)를 포함한다.
회로(122c)는 전극(122a)이 방전할 수 있도록 고전압을 발생하는 회로이다. 회로는 고전압의 교류전류, 양극 또는 음극 직류전류, 펄스 직류전류등을 발생하여 전극(122a)에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 회로(122c)는 음극 직류전류를 발생하는 정전압 회로이다. 회로(122c)는 -7kVp ± 8%의 출력전압과 100Hz ± 10%의 출력 주파수와, 15 ~ 25% Duty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122c)는 회로기판과 각종 전자소자들을 포함한다.
회로케이스(122d)는 회로(122c)를 보호하고 회로(122c)에서 누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로(122c)를 감싼다. 회로케이스(122d)는 플라스틱 소재의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케이스(122d)는 회로(122c)를 보호하기 위하여 내부를 실리콘 고무로 몰딩할 수 있다.
전선(122b)은 회로케이스(122d)로부터 돌출되어 전극(122a)과 연결된다. 전선(122b)은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은 회로케이스(122d)와 연결되고 타단에는 전극(122a)이 구비된다. 전선(122b)은, 회로(122c)에서 발생한 고전압을 전극(122a)에 전달하는 도선과, 도선의 외부를 감싸는 플라스틱 재질의 피복체를 포함한다. 전선(122b)은 회로(122c)와 전극(122a)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전선(122b)은 전극(122a)의 개수에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선(122b)은 회로케이스(122d)의 둘레에 4개가 이격하여 배치된다. 전선(122b)은 전선커버(122e)에 의하여 지지된다.
전극(122a)은 방전하여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한다. 회로(122c)에서 발생한 고전압이 전선(122b)을 통하여 전극(122a)에 인가되면 전극(122a)은 방전하여 공기 중의 분자가 이온화하여 이온이 발생된다. 전극(122a)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OH-, O- 등의 음이온 또는 H+ 등의 양이온이 발생한다.
전극(122a)은 카본 파이버로 형성된다. 극세의 카본 파이버를 전극(122a)으로 하여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이온을 발생한다. 전극(122a)은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직경을 갖는 극세의 카본 파이버가 수백개가 전선(122b)에 묶인 브러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122a)은 직격 7 ㎛의 카본 파이버가 1000개 정도 모인 브러시 형태이다.
카본 파이버의 묶음인 브러시 형태의 전극(122a)은 수백개의 카본 파이버 중 한개만 방전된다. 실시예에 따라 전극(122a)은 바늘 형태로 형성되거나 패턴을 가지는 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122a)은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배치된다.
복수의 전극(122a)은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전극(122a)은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한 가상의 평면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122a)은 전선(122b)에 의하여 회로케이스(122d)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다.
전극(122a)에서 발생한 이온은 이물질을 대전한다. 음이온은 이물질에 전자를 제공하여 이물질을 음극으로 대전시키며, 양이온은 이물질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이물질을 양극으로 대전시킨다.
전선커버(122e)는 회로케이스(122d)로부터 돌출되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다. 전선커버(122e)는 회로케이스(122d)외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회로케이스(122d)와 연결될 수 있다. 전선커버(122e)의 일측은 회로케이스(122d)와 연결되며 타측은 전극커버(122g)와 연결된다. 전선커버(122e)는 전선(122b)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4개가 구비된다.
전선커버(122e)는 막대 형태의 전선의 둘레를 감싸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전선커버(122e)는 전선(122b) 둘레의 일부만 감싸도록 측면 일부가 개구되어 대략 반원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선커버(122e)는 공기가 유동되어 오는 방향이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선(122b)의 일부는 공기가 유동되어 오는 방향이 전선커버(122e)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다.
전선커버(122e)는 개구된 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22f)가 형성된다. 지지돌기(122f)는 전선(122b)을 지지한다. 지지돌기(122f)는 전선(122b)의 일부가 전선커버(122e) 내에 배치되도록 전선(122b)을 고정한다.
전선커버(122e)의 지지돌기(122f)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의 일부에 지지돌기 대응홀(122h)이 형성된다. 지지돌기 대응홀(122h)은 전선커버(122e)의 사출시 지지돌기(122f)를 형성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전극커버(122g)는 전선커버(122e)와 연결되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다. 전극커버(122g)는 복수의 전극(122a)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4개가 구비된다. 복수의 전극커버(122g)는 적절하게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커버(122g)는 전선커버(122e)에 의하여 회로케이스(122d)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다.
전극커버(122g)는 전극(122a)의 공기 유동되어 오는 방향 측을 커버한다. 전극커버(122g)는 공기가 유동되어 나가는 방향의 일부가 개구되어 전극 개구부(122i)가 형성된다. 전극 개구부(122i)는 전선커버(122e)의 개구된 측과 반대측에 형성된다. 전극(122a)의 일부는 공기가 유동되어 나가는 방향이 전극커버(122g)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다.
전극커버(122g)의 종단은 전극(122a)의 종단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종단의 전선(122b) 또는 전선커버(122e)의 길이방향에 대한 끝부분을 의미한다. 전극커버(122g)의 종단과 전극(122a)의 종단 사이의 간격(G)은 대략 1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122a)의 종단은 전극커버(122g)의 종단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커버(122g)는 사용자가 공기흡입부(116)를 통하여 도체성 물질을 집어 넣었을 때 전극(122a)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유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전극(122a)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전극(122a)은 공기가 유동되어 나가는 부분이 개구됨에 따라 이온을 발생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캐비닛 120: 집진장치
121: 집진케이스 122: 이온발생장치
122a: 전극 122b: 전선
122c: 회로 122d: 회로케이스
122e: 전선커버 122f: 지지돌기
122g: 전극커버 123: 이온트랩
124: 집진필터 130: 송풍장치
140: 열교환기

Claims (10)

  1. 고전압을 발생하는 회로;
    상기 회로를 감싸는 회로케이스;
    상기 회로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에서 발생한 고전압에 의하여 방전하여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하는 전극;
    상기 전극과 상기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상기 회로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전선커버; 및
    상기 전선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전극의 주변 일부에 배치되는 전극커버를 포함하는 이온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커버는 측면 일부가 개구되어 반원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온발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커버는 상기 전선 둘레의 일부만 감싸는 이온발생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커버는 개구된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이온발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커버는 상기 지지돌기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의 일부에 지지돌기 대응 홀이 형성되는 이온발생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커버는 상기 전선커버의 개구된 측과 반대측의 일부가 개구된 전극 개구부가 형성되는 이온발생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커버는 공기가 유동되어 오는 방향이 개구되는 이온발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커버는 종단이 상기 전극의 종단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이온발생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커버는 공기가 유동되어 나가는 방향의 일부가 개구된 전극 개구부가 형성되는 이온발생장치.
  10. 고전압을 발생하는 회로;
    상기 회로를 감싸는 회로케이스;
    상기 회로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에서 발생한 고전압에 의하여 방전하여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하는 전극;
    상기 전극과 상기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상기 회로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전선커버; 및
    상기 전선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전극의 공기 유동되어 오는 방향 측을 커버하는 전극커버를 포함하는 이온발생장치.
KR1020130012394A 2013-02-04 2013-02-04 이온발생장치 KR10201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394A KR102018661B1 (ko) 2013-02-04 2013-02-04 이온발생장치
PCT/KR2014/000921 WO2014119970A1 (en) 2013-02-04 2014-02-03 Ionizer and dust collector
CN201480013278.0A CN105026842B (zh) 2013-02-04 2014-02-03 离子发生器和集尘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394A KR102018661B1 (ko) 2013-02-04 2013-02-04 이온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679A true KR20140099679A (ko) 2014-08-13
KR102018661B1 KR102018661B1 (ko) 2019-09-05

Family

ID=5126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394A KR102018661B1 (ko) 2013-02-04 2013-02-04 이온발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18661B1 (ko)
CN (1) CN105026842B (ko)
WO (1) WO201411997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063A (ko) * 2016-07-15 201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062118A (ko) * 2020-05-25 2020-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21210700A1 (ko) * 2020-04-14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2462B (zh) * 2016-08-23 2022-03-01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正负离子发生器和空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683A (ja) * 2000-09-27 2002-04-09 Toto Ltd イオン空間システム
KR20070066555A (ko) * 2005-12-22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발생장치
KR20080039277A (ko) * 2006-10-31 2008-05-07 한라공조주식회사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JP2012017877A (ja) * 2010-07-06 2012-01-26 Mitsubishi Heavy Ind Ltd 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5114B2 (en) * 2001-03-29 2004-08-31 Illinois Tool Works Inc. Foraminous filter for use in air ionizer
KR100688945B1 (ko) * 2002-12-23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기 집진 장치
JP4114573B2 (ja) * 2003-08-13 2008-07-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オン発生部品、イオン発生ユニットおよびイオン発生装置
JP4430409B2 (ja) * 2004-01-19 2010-03-10 株式会社キーエンス 除電器
WO2009028634A1 (ja) * 2007-08-28 2009-03-05 Toshiba Carrier Corporation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1228075A (ja) * 2010-04-19 2011-11-10 Sharp Corp イオン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683A (ja) * 2000-09-27 2002-04-09 Toto Ltd イオン空間システム
KR20070066555A (ko) * 2005-12-22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발생장치
KR20080039277A (ko) * 2006-10-31 2008-05-07 한라공조주식회사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US20100175391A1 (en) * 2006-10-31 2010-07-15 Halla Climate Control Corp. Ioniz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ing the Same
JP2012017877A (ja) * 2010-07-06 2012-01-26 Mitsubishi Heavy Ind Ltd 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空気調和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063A (ko) * 2016-07-15 201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21210700A1 (ko) * 2020-04-14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062118A (ko) * 2020-05-25 2020-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10055659A (ko) * 2020-05-25 2021-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20020318A (ko) * 2020-05-25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26842B (zh) 2018-09-21
CN105026842A (zh) 2015-11-04
KR102018661B1 (ko) 2019-09-05
WO2014119970A1 (en)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055B1 (ko) 이온발생장치
KR101989098B1 (ko) 집진장치
KR101936632B1 (ko) 공기조화기
KR102102759B1 (ko) 이온발생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US10315201B2 (en) Air cleaner for air conditioner
KR20070094026A (ko) 공기조화장치
KR10208582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140099679A (ko) 이온발생장치
CN111318372A (zh) 具有使用碳纤维的静电集尘装置的电器
KR20170020102A (ko) 이온발생장치
JP2013138980A (ja) 空気清浄ユニット
JP2007107805A (ja) 空気調和機
JP2013138979A (ja) 空気清浄ユニット
KR2018002206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1623767U (zh) 带净化功能的风扇
KR2023000258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9980057008U (ko) 공조기기용 전기식 집진필터의 전리부장치
CN112855579A (zh) 带净化功能的风扇
CN112856704A (zh) 带净化功能的风幕机
KR20000055122A (ko) 공기조화기의 집진기 잔류전하 방전장치
KR19980066469A (ko) 공조기기용 전기식 집진필터의 포집장치
KR19980057007U (ko) 공조기기용 전기식 집진필터의 전리부장치
TH129976A (th) เครื่องกำเนิดโอโซน/ไอออนที่ทำให้เกิดลมโอโซนและไอออน รวมทั้งเครื่องปรับอากาศที่ติดตั้งอุปกรณ์ดังกล่าว
JP2015016412A (ja) 空気清浄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