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341A - 디지털 컨텐츠 선택 경로 분석을 통한 연관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컨텐츠 선택 경로 분석을 통한 연관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341A
KR20140099341A KR1020130010634A KR20130010634A KR20140099341A KR 20140099341 A KR20140099341 A KR 20140099341A KR 1020130010634 A KR1020130010634 A KR 1020130010634A KR 20130010634 A KR20130010634 A KR 20130010634A KR 20140099341 A KR20140099341 A KR 20140099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association
degre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656B1 (ko
Inventor
정규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0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65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9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Abstract

본 명세서는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컨텐츠 선택 이전에 선택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는 연관 컨텐츠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는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와;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컨텐츠 선택 경로 분석을 통한 연관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METHOD TO RECOMMEND ASSOCIATED DIGITAL CONTENTS VIA ANALYSIS OF CONTENTS SELECTION PATH AND APPARATUS THEREFOR}
본 명세서는 디지털 컨텐츠 선택 형태 분석을 통한 연관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경로를 분석하여 최적의 연관 컨텐츠를 선정하고, 이러한 연관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전문 제작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도 충분히 자체 제작이 가능한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온라인 상에 존재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수와 종류가 무수히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디지? 컨텐츠(앱, 비디오, 오디오, eBook) 등을 제공하는 마켓의 규모가 커져갈 수록 사용자의 선택권은 높아지는데 반해 사용자의 관심사나 취향과 관련성이 높은 컨텐츠의 발견이 어려워진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서는 특정 컨텐츠 페이지에서 해당 컨텐츠와 관련이 있는 연관 컨텐츠를 제시한다. 이 때, 기존 서비스의 연관 컨텐츠는 현재 사용자가 조회하고 있는 컨텐츠만의 정형/비정형 메타 정보를 활용하여 미리 구축된 연관 규칙(Association Rule)에 따라 연관 컨텐츠를 제시한다. 즉, 사용자가 A->B->C를 통해 현재 C 컨텐츠를 조회하는 경우와 X->Y->C의 경로로 C컨텐츠를 조회 하는 경우에 대해 C의 연관 컨텐츠가 동일하게 제시된다. 하지만 위의 두 경로 상에 있는 각각의 컨텐츠는 사용자의 선호 혹은 관심사에 대한 판단을 통해 조회된 것이므로 두 경우에 후속으로 조회 하도록 제시할 연관 컨텐츠는 경로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기존의 연관 규칙의 경우에도 연관규칙의 경우에도 입력 조합의 길이를 다양하게 하여 A->B->C의 경우 (A,B)-> C를 생성할 수 있으나 모든 가능한 길이의 모든 조합에 대한 규칙을 생성하는 것이 수 십만 건의 컨텐츠를 보유한 서비스에서는 엄청난 비용을 요구하게 되며, 순차연관분석의 경우에는 기존에 발생하지 않았던 경로에 대해서는 올바른 후속 연관 컨텐츠를 제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개선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명세서는 디지털 컨텐츠 선택 경로 분석을 통한 연관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즉, 사용자의 연속된 컨텐츠 조회, 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다양한 경로를 통해 도달한 현재 조회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컨텐츠 선택 이전에 조회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컨텐츠 선택 이전에 선택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는 연관 컨텐츠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는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와;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각각과 상기 제1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제2 연관 컨텐츠 각각과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는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의 경우, 하기의 수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갱신할 수 있다.
[수식]
갱신 관련도 = (기 설정된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는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만 포함된 컨텐츠의 경우, 하기의 수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로 추가할 수 있다.
[수식]
생성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만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는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되지 않은 컨텐츠의 경우, 기 설정된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부는 변경 전 제1 연관 컨텐츠 및 상기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제외하고 상기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컨텐츠 선택 이전에 선택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각각과 상기 제1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제2 연관 컨텐츠 각각과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의 경우, 하기의 수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갱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수식]
갱신 관련도 = (기 설정된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만 포함된 컨텐츠의 경우, 하기의 수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로 추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수식]
생성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만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되지 않은 컨텐츠의 경우, 기 설정된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유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변경 전 제1 연관 컨텐츠 및 상기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를 함께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제외하고 상기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컨텐츠 선택 이전에 선택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와;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제공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관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로 연관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가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컨텐츠 선택 이전에 선택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컨텐츠 추천 장치에 의해 추천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컨텐츠 조회, 선택한 이력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하게 정교하게 연관 컨텐츠를 제공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컨텐츠 추천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으며, 적절한 연관 컨텐츠 제시를 통해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누적하여 보다 적합한 연관 추천 제공할 수 있는 간단하고 빠른 연관규칙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연관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연관 컨텐츠 정보 수집부(101),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102), 연관 컨텐츠 제공부(1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특정 사용자의 디지털 컨텐츠(애플리케이션,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 선택 정보(구매 정보, 조회 정보 등)을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시할 연관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관 컨텐츠를 개인 맞춤형 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현재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이전 컨텐츠 선택 경로와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시점에서 최적의 연관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컨텐츠의 선택 정보(특히 컨텐츠 선택 순서)로부터 도출한 연관 컨텐츠를 선정하기 위하여,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특정 사용자가 수행한 컨텐츠를 선택이력(history)을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연관 컨텐츠 정보 수집부(101)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선택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1 이상의 컨텐츠, 선택 순서(경로), 각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 각 연관 컨텐츠들의 관련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가 서버 등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 수집부(101)는 해당 서버 등으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연관 컨텐츠 정보 수집부(101)는 사용자가 임의의 제1 시점에서 선택한 컨텐츠(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시점보다 이전 시점(제2 시점)에서 선택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1 시점의 직전 시점이거나, 그 이전 시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각각과 상기 제1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포함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제2 연관 컨텐츠 각각과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컨텐츠(이전 선택 컨텐츠)를 C1이라 한다면,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연관 컨텐츠들의 집합인 (C2, C6, C9) 및 C1과 C2, C6, C9의 관련도인 (0.5, 0.7, 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텐츠(현재 선택 컨텐츠)를 C2이라 한다면,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연관 컨텐츠들의 집합인 (C1, C6, C3) 및 C2와 C1, C6, C3의 관련도인 (0.5, 0.4, 0.5)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 및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일 예로 나타낸 표이다.

컨텐츠
연관 컨텐츠 정보
연관 컨텐츠 관련도 연관 컨텐츠 관련도 연관 컨텐츠 관련도
C1 C2 0.5 C6 0.7 C9 0.2
C2 C1 0.5 C6 0.4 C3 0.5
C3 C2 0.5 C4 0.3 C8 0.3
상기 표 1의 예시와 같은 연관 컨텐츠 및 관련도는 기 설정되어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가 수집되면,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102)는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예시와 같이 제2 컨텐츠를 C1이라 한다면,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102)는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인 {(C2, C6, C9), (0.5, 0.7, 0.2)}를 제1 컨텐츠 C2의 연관 컨텐츠의 정보인 {(C1, C6, C3), (0.5, 0.4, 0.5)}와 비교한 결과 및/또는 C2-C1 간의 관련도를 반영하여 변경(또는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관 컨텐츠 정보를 변경하는 방식은 다음에 설명하는 방식들을 하나 이상 택하여 결정될 수 있다.
(1)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는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갱신한다. 즉, 현재 선택 컨텐츠와 이전 선택 컨텐츠에 모두 연관된 컨텐츠에는 이전 선택 컨텐츠와의 관련성을 추가하여 새로 관련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때, 일 예로서 하기의 수식이 사용될 수 있다.
갱신된 관련도 = (기 설정된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상기 표 1의 예를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C1 선택 후 C2를 선택하면 (C1?C2), 제1 컨텐츠는 C2이고, 제1 연관 컨텐츠는 (C1, C6, C3)이다.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에 기 설정된 관련도(변경 전 관련도)는 (0.5, 0.4, 0.5)이며, 제1 연관 컨텐츠 중에서 제2 컨텐츠(이전 선택 컨텐츠, C1)의 연관 컨텐츠(C2, C6, C9)에도 포함된 C6의 관련도는 아래와 같이 변경(갱신)된다.
갱신된 관련도 = (기 설정된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 (기존 C2-C6간 관련도) + {(C2-C1간 관련도)*(C1-C6간 관련도)}= 0.4+0.5*0.7 = 0.75
(2)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만 포함된 컨텐츠의 경우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집합에 추가한다. 즉, 이전 선택 컨텐츠에만 연관된 컨텐츠도 현재 선택 컨텐츠으 연관 컨텐츠로 추가함으로써, 연관 컨텐츠를 더 풍부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새로이 연관 컨텐츠로 추가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하기의 수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식]
생성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만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상기 표 1의 예를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C1 선택 후 C2를 선택하면 (C1?C2), 제2 연관 컨텐츠(C1과의 연관 컨텐츠) (C2, C6, C9)에만 포함된 C9의 관련도는 아래와 같이 계산되어 C1의 연관 컨텐츠로 추가된다.
생성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만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 (C2-C1간 관련도)*(C1-C9간 관련도) = 0.5*0.2 = 0.1
(3)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되지 않은 컨텐츠의 경우, 기 설정된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유지한다. 즉, 현재 선택 컨테츠에만 연관된 컨텐츠는 기존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표 1의 예를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C1 선택 후 C2를 선택하면 (C1?C2), 제1 연관 컨텐츠(C2과의 연관 컨텐츠)인 (C1, C6, C3) 중에서 이전 컨텐츠(C1)과는 관련이 없는 C3 에 대한 관련도(0.5)는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102)는 상술한 (1)~(3)의 방식을 이용하여 현재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들의 정보를 변경한다. 만약 상기 (1)~(3)의 방식을 모두 적용하면 제1 컨텐츠(C2)의 연관 컨텐츠 정보(제1 연관 컨텐츠 정보)는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
연관 컨텐츠: (C1, C6, C3, C9), 관련도: (0.5, 0.75, 0.5, 0.1)
C6의 관련도는 변경되었고, C9는 연관 컨텐츠로 추가되었다.
만약 사용자가 C2를 선택한 다음 C3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하고(즉. C2의 연관 컨텐츠 정보가 위와 같이 변경된 후 C2?C3로 이동), 상기 (1)-(3) 과정을 적용해 보면,
C3의 연관 컨텐츠는 (C2, C4, C8), 관련도는 (0.5, 0.9, 0.3)에서,
C2: 직전 선택 컨텐츠 이므로 변경없음.
C4, C8: C2의 연관 컨텐츠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관련도 유지.
그리고, C2에만 연관된 컨텐츠인 C1, C6, C9는 C3의 연관 컨텐츠로 추가하고 관련도는,
C1: (C3-C2간의 관련도) * (C2-C1간의 관련도) = 0.5*0.5=0.25
C6: (C3-C2간의 관련도) * (C2-C6간의 관련도) = 0.5*0.75=0.375
C9: (C3-C2간의 관련도) * (C2-C9간의 관련도) = 0.5*0.1=0.05
와 같이 결정된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102)에 의해 제1 연관 컨텐츠(현재 선택 컨텐츠의 연관 컨텐츠)의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부(103)는 변경 후의 연관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항상 고정된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했던 경로를 참조하여 연관 컨텐츠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부(103)는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 정보 중에 기 선택했던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 선택 컨텐츠(제2 컨텐츠)를 제외하고 상기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는 선택 경로가 길어졌을 때 연관 컨텐츠가 지나치게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미 사용자가 상세히 살펴봤을 가능성이 큰 기 선택 컨텐츠를 중복하여 제시하는 낭비를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C1->C2-C3 경로로 컨텐츠를 선택하였다면, C3의 연관 컨텐츠 제공시에 기존 선택 컨텐츠인 C1과 C2는 제외하는 것이다.
상술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경로가 반영된 새로운 연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컨텐츠 선택 이전에 선택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하여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로서, 예컨대 이동단말 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은, 특정 가입자에 의해 일련의 로그인 과정을 거쳐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즉 연관 컨텐츠가 제공되면, 연관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접속정보를 바로 표시할 수 있고, 또는 가입자가 표시를 선택하면 연관 컨텐츠의 컨텐츠 접속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게 특정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10) 또는 컨텐츠 서버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사용자 단말(10)은 상기 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의 사전 동의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특정 사용자의 디지털 컨텐츠(애플리케이션,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 선택 정보(구매 정보, 조회 정보 등)을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시할 연관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관 컨텐츠를 개인 맞춤형 컨텐츠로서 추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현재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이전 컨텐츠 선택 경로와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시점에서 최적의 연관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컨텐츠의 선택 정보(특히 컨텐츠 선택 순서)로부터 도출한 연관 컨텐츠를 선정하기 위하여,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특정 사용자가 수행한 컨텐츠를 선택이력(history)을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선택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1 이상의 컨텐츠, 선택 순서(경로), 각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 각 연관 컨텐츠들의 관련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가 서버 등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해당 서버 등으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임의의 제1 시점에서 선택한 컨텐츠(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시점보다 이전 시점(제2 시점)에서 선택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1 시점의 직전 시점이거나, 그 이전 시점일 수 있다.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가 수집되면,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표1의 예시와 같이 제2 컨텐츠를 C1이라 한다면,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인 {(C2, C6, C9), (0.5, 0.7, 0.2)}를 제1 컨텐츠 C2의 연관 컨텐츠의 정보인 {(C1, C6, C3), (0.5, 0.4, 0.5)}와 비교한 결과 및/또는 C2-C1 간의 관련도를 반영하여 변경(또는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관 컨텐츠 정보를 변경하는 방식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연관 컨텐츠(현재 선택 컨텐츠의 연관 컨텐츠)의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변경 후의 연관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항상 고정된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했던 경로를 참조하여 연관 컨텐츠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 정보 중에 기 선택했던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 선택 컨텐츠(제2 컨텐츠)를 제외하고 상기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는 선택 경로가 길어졌을 때 연관 컨텐츠가 지나치게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미 사용자가 상세히 살펴봤을 가능성이 큰 기 선택 컨텐츠를 중복하여 제시하는 낭비를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C1->C2-C3 경로로 컨텐츠를 선택하였다면, C3의 연관 컨텐츠 제공시에 기존 선택 컨텐츠인 C1과 C2는 제외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상술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은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특정 사용자의 디지털 컨텐츠(애플리케이션,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 선택 정보(구매 정보, 조회 정보 등)을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시할 연관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관 컨텐츠를 개인 맞춤형 컨텐츠로서 추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현재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이전 컨텐츠 선택 경로와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시점에서 최적의 연관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컨텐츠의 선택 정보(특히 컨텐츠 선택 순서)로부터 도출한 연관 컨텐츠를 선정하기 위하여,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특정 사용자가 수행한 컨텐츠를 선택이력(history)을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선택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1 이상의 컨텐츠, 선택 순서(경로), 각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 각 연관 컨텐츠들의 관련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가 서버 등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관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해당 서버 등으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임의의 제1 시점에서 선택한 컨텐츠(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S31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시점보다 이전 시점(제2 시점)에서 선택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20). 이때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1 시점의 직전 시점이거나, 그 이전 시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각각과 상기 제1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포함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제2 연관 컨텐츠 각각과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컨텐츠(이전 선택 컨텐츠)를 C1이라 한다면,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연관 컨텐츠들의 집합인 (C2, C6, C9) 및 C1과 C2, C6, C9의 관련도인 (0.5, 0.7, 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텐츠(현재 선택 컨텐츠)를 C2이라 한다면,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연관 컨텐츠들의 집합인 (C1, C6, C3) 및 C2와 C1, C6, C3의 관련도인 (0.5, 0.4, 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 1(도 1의 설명 참조)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 및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일 예로 나타낸 표이다.
상기 표 1의 예시와 같은 연관 컨텐츠 및 관련도는 기 설정되어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가 수집되면,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S330). 즉, 상기의 예시와 같이 제2 컨텐츠를 C1이라 한다면,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인 {(C2, C6, C9), (0.5, 0.7, 0.2)}를 제1 컨텐츠 C2의 연관 컨텐츠의 정보인 {(C1, C6, C3), (0.5, 0.4, 0.5)}와 비교한 결과 및/또는 C2-C1 간의 관련도를 반영하여 변경(또는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관 컨텐츠 정보를 변경하는 방식은 다음에 설명하는 방식들을 하나 이상을 택하여 결정될 수 있다.
(1)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는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갱신한다. 즉, 현재 선택 컨텐츠와 이전 선택 컨텐츠에 모두 연관된 컨텐츠에는 이전 선택 컨텐츠와의 관련성을 추가하여 새로 관련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때, 일 예로서 하기의 수식이 사용될 수 있다.
갱신된 관련도 = (기 설정된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상기 표 1의 예를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C1 선택 후 C2를 선택하면 (C1?C2), 제1 컨텐츠는 C2이고, 제1 연관 컨텐츠는 (C1, C6, C3)이다.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에 기 설정된 관련도(변경 전 관련도)는 (0.5, 0.4, 0.5)이며, 제1 연관 컨텐츠 중에서 제2 컨텐츠(이전 선택 컨텐츠, C1)의 연관 컨텐츠(C2, C6, C9)에도 포함된 C6의 관련도는 아래와 같이 변경(갱신)된다.
갱신된 관련도 = (기 설정된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 (기존 C2-C6간 관련도) + {(C2-C1간 관련도)*(C1-C6간 관련도)}= 0.4+0.5*0.7 = 0.75
(2)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만 포함된 컨텐츠의 경우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집합에 추가한다. 즉, 이전 선택 컨텐츠에만 연관된 컨텐츠도 현재 선택 컨텐츠으 연관 컨텐츠로 추가함으로써, 연관 컨텐츠를 더 풍부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새로이 연관 컨텐츠로 추가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하기의 수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식]
생성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만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상기 표 1의 예를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C1 선택 후 C2를 선택하면 (C1?C2), 제2 연관 컨텐츠(C1과의 연관 컨텐츠) (C2, C6, C9)에만 포함된 C9의 관련도는 아래와 같이 계산되어 C1의 연관 컨텐츠로 추가된다.
생성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만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 (C2-C1간 관련도)*(C1-C9간 관련도) = 0.5*0.2 = 0.1
(3)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되지 않은 컨텐츠의 경우, 기 설정된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유지한다. 즉, 현재 선택 컨테츠에만 연관된 컨텐츠는 기존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표 1의 예를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C1 선택 후 C2를 선택하면 (C1?C2), 제1 연관 컨텐츠(C2과의 연관 컨텐츠)인 (C1, C6, C3) 중에서 이전 컨텐츠(C1)과는 관련이 없는 C3 에 대한 관련도(0.5)는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102)는 상술한 (1)~(3)의 방식을 이용하여 현재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들의 정보를 변경한다. 만약 상기 (1)~(3)의 방식을 모두 적용하면 제1 컨텐츠(C2)의 연관 컨텐츠 정보(제1 연관 컨텐츠 정보)는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
연관 컨텐츠: (C1, C6, C3, C9), 관련도: (0.5, 0.75, 0.5, 0.1)
C6의 관련도는 변경되었고, C9는 연관 컨텐츠로 추가되었다.
만약 사용자가 C2를 선택한 다음 C3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하고(즉. C2의 연관 컨텐츠 정보가 위와 같이 변경된 후 C2?C3로 이동), 상기 (1)-(3) 과정을 적용해 보면,
C3의 연관 컨텐츠는 (C2, C4, C8), 관련도는 (0.5, 0.9, 0.3)에서,
C2: 직전 선택 컨텐츠 이므로 변경없음.
C4, C8: C2의 연관 컨텐츠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관련도 유지.
그리고, C2에만 연관된 컨텐츠인 C1, C6, C9는 C3의 연관 컨텐츠로 추가하고 관련도는,
C1: (C3-C2간의 관련도) * (C2-C1간의 관련도) = 0.5*0.5=0.25
C6: (C3-C2간의 관련도) * (C2-C6간의 관련도) = 0.5*0.75=0.375
C9: (C3-C2간의 관련도) * (C2-C9간의 관련도) = 0.5*0.1=0.05
와 같이 결정된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제1 연관 컨텐츠(현재 선택 컨텐츠의 연관 컨텐츠)의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변경 후의 연관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40). 즉, 항상 고정된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했던 경로를 참조하여 연관 컨텐츠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 정보 중에 기 선택했던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 선택 컨텐츠(제2 컨텐츠)를 제외하고 상기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는 선택 경로가 길어졌을 때 연관 컨텐츠가 지나치게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미 사용자가 상세히 살펴봤을 가능성이 큰 기 선택 컨텐츠를 중복하여 제시하는 낭비를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C1->C2-C3 경로로 컨텐츠를 선택하였다면, C3의 연관 컨텐츠 제공시에 기존 선택 컨텐츠인 C1과 C2는 제외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연관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은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특정 사용자의 디지털 컨텐츠(애플리케이션,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 선택 정보(구매 정보, 조회 정보 등)을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시할 연관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관 컨텐츠를 개인 맞춤형 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현재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이전 컨텐츠 선택 경로와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시점에서 최적의 연관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컨텐츠의 선택 정보(특히 컨텐츠 선택 순서)로부터 도출한 연관 컨텐츠를 선정하기 위하여,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특정 사용자가 수행한 컨텐츠를 선택이력(history)을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이때 상기 컨텐츠 선택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1 이상의 컨텐츠, 선택 순서(경로), 각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 각 연관 컨텐츠들의 관련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가 서버 등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해당 서버 등으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임의의 제1 시점에서 선택한 컨텐츠(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S42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시점보다 이전 시점(제2 시점)에서 선택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430). 이때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1 시점의 직전 시점이거나, 그 이전 시점일 수 있다.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가 수집되면,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S440). 즉, 상기 표1의 예시와 같이 제2 컨텐츠를 C1이라 한다면,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인 {(C2, C6, C9), (0.5, 0.7, 0.2)}를 제1 컨텐츠 C2의 연관 컨텐츠의 정보인 {(C1, C6, C3), (0.5, 0.4, 0.5)}와 비교한 결과 및/또는 C2-C1 간의 관련도를 반영하여 변경(또는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관 컨텐츠 정보를 변경하는 방식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연관 컨텐츠(현재 선택 컨텐츠의 연관 컨텐츠)의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변경 후의 연관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450, 460). 즉, 항상 고정된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했던 경로를 참조하여 연관 컨텐츠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는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 정보 중에 기 선택했던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 선택 컨텐츠(제2 컨텐츠)를 제외하고 상기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는 선택 경로가 길어졌을 때 연관 컨텐츠가 지나치게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미 사용자가 상세히 살펴봤을 가능성이 큰 기 선택 컨텐츠를 중복하여 제시하는 낭비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
101 : 연관 컨텐츠 정보 수집부
102 :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
103 : 연관 컨텐츠 제공부

Claims (16)

  1.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컨텐츠 선택 이전에 선택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는 연관 컨텐츠 정보 수집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는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각각과 상기 제1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제2 연관 컨텐츠 각각과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는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의 경우, 하기의 수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
    [수식]
    갱신 관련도 = (기 설정된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는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만 포함된 컨텐츠의 경우, 하기의 수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
    [수식]
    생성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만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 변경부는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되지 않은 컨텐츠의 경우, 기 설정된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부는 변경 전 제1 연관 컨텐츠 및 상기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제외하고 상기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
  8.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컨텐츠 선택 이전에 선택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각각과 상기 제1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제2 연관 컨텐츠 각각과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의 경우, 하기의 수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갱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수식]
    갱신 관련도 = (기 설정된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만 포함된 컨텐츠의 경우, 하기의 수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로 추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수식]
    생성 관련도 =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 간의 관련도)*(상기 제2 컨텐츠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만 포함된 컨텐츠 간의 관련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연관 컨텐츠 중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에 포함되지 않은 컨텐츠의 경우, 기 설정된 상기 제1 컨텐츠와의 관련도를 유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변경 전 제1 연관 컨텐츠 및 상기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제외하고 상기 변경된 제1 연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15.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컨텐츠 선택 이전에 선택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제공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16. 사용자 단말이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로 연관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가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컨텐츠 선택 이전에 선택한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2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연관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컨텐츠 추천 장치에 의해 추천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KR1020130010634A 2013-01-30 2013-01-30 디지털 컨텐츠 선택 경로 분석을 통한 연관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102088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634A KR102088656B1 (ko) 2013-01-30 2013-01-30 디지털 컨텐츠 선택 경로 분석을 통한 연관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634A KR102088656B1 (ko) 2013-01-30 2013-01-30 디지털 컨텐츠 선택 경로 분석을 통한 연관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341A true KR20140099341A (ko) 2014-08-12
KR102088656B1 KR102088656B1 (ko) 2020-04-14

Family

ID=51745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634A KR102088656B1 (ko) 2013-01-30 2013-01-30 디지털 컨텐츠 선택 경로 분석을 통한 연관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65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0032A (ja) * 2006-11-24 2008-06-05 Sharp Corp コンテンツ抽出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0225051A (ja) * 2009-03-25 2010-10-07 Nec Corp コンテンツメタ情報付与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テンツ検索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10032303A (ko) * 2009-09-22 2011-03-30 주식회사 케이티 군집 예측을 통한 콘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0098A (ko) * 2010-07-19 2012-02-02 주식회사 씨앤피테크놀로지 사용자 맞춤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34525A (ko) * 2010-10-01 2012-04-12 (주)나무소프트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20092457A (ko) * 2011-02-11 2012-08-2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JP2012208604A (ja) * 2011-03-29 2012-10-25 Sony Corp コンテンツ推薦装置、推薦コンテンツの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0032A (ja) * 2006-11-24 2008-06-05 Sharp Corp コンテンツ抽出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0225051A (ja) * 2009-03-25 2010-10-07 Nec Corp コンテンツメタ情報付与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テンツ検索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10032303A (ko) * 2009-09-22 2011-03-30 주식회사 케이티 군집 예측을 통한 콘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0098A (ko) * 2010-07-19 2012-02-02 주식회사 씨앤피테크놀로지 사용자 맞춤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34525A (ko) * 2010-10-01 2012-04-12 (주)나무소프트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20092457A (ko) * 2011-02-11 2012-08-2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JP2012208604A (ja) * 2011-03-29 2012-10-25 Sony Corp コンテンツ推薦装置、推薦コンテンツの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656B1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597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and social networking enhanced retail shopping
US8806519B2 (en) Method to evaluate the geographic popularity of geographically located user-generated content items
US20130110915A1 (en) Correlated information recommendation
US10887664B2 (en) Controlling start times at which skippable video advertisements begin playback in a digital medium environment
WO2017038947A1 (ja) アイテム推薦システム、アイテム推薦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50660B1 (ko) 검색 이력 기반 디지털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CA2830622A1 (en) Synchronizing digital content
US10162864B2 (en) Reader application system utilizing article scoring and clustering
JP2010113557A (ja) レコメンデーション装置、レコメンデーション方法およびレコメンデ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15201157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データを使用する動的コンテンツ推奨システム
JP2009252179A (ja) レコメンド情報評価装置およびレコメンド情報評価方法
KR102131791B1 (ko) 추천 컨텐츠 및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TW201421396A (zh) 廣告服務系統和方法
US10621262B2 (en) Configurable feed for display with a web page
US9569432B1 (en) Evaluating content in a computer networked environment
CN106980666B (zh) 一种推荐视频的方法和装置
JP7427692B2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補足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動的な統合
KR20150020390A (ko) 컨텐츠 추천 방법과 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US20160379252A1 (en) Dynamic generation of advertisement based upon user need
US10373207B2 (en) Managing advertising associated with dynamically-expanding content
US87450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content via a computer network
US10217142B1 (en) Selective solicitation of user feedback for digital goods markets
JP2015022561A (ja) 端末装置、広告配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341172B (zh) 视频收益计算建模装置与方法及视频推荐装置与方法
US10037310B1 (en) Evaluating content in a computer networked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