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525A -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525A
KR20120034525A KR1020100096142A KR20100096142A KR20120034525A KR 20120034525 A KR20120034525 A KR 20120034525A KR 1020100096142 A KR1020100096142 A KR 1020100096142A KR 20100096142 A KR20100096142 A KR 20100096142A KR 20120034525 A KR20120034525 A KR 20120034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file
content
keyword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4398B1 (ko
Inventor
우종현
Original Assignee
(주)나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무소프트 filed Critical (주)나무소프트
Priority to KR102010009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3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4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컨텐츠 추천 장치는 파일에 대해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이벤트의 종류를 포함하는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이벤트 획득부, 활용 이벤트 메시지에 따른 이벤트의 종류가 열람인 경우, 파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를 포함하는 질의문을 생성하고, 로컬의 저장 매체 및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질의문을 전송하여 연관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추천부; 및 연관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AND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추천 기술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접근하는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를 추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PC, 스마트 폰 등의 하드웨어 스팩이 향상되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을 통해 많은 컨텐츠를 습득할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단말을 통해 사용자들이 생성한 컨텐츠의 양이 방대해지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찾기 위해 검색 엔진이나 단말 내부(로컬)에 구비된 검색 모듈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에 접근하기 위해 로컬에 구비된 검색 모듈을 통해 로컬에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타 단말(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해 포탈 업체 등에서 제공하는 검색 엔진을 이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상술한 과정을 통해서만 컨텐츠를 검색하여 접근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별도의 검색 과정 없이는 특정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가 검색 없이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단말의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파일 탐색기를 통해 컨텐츠를 이용하기 때문에, 해당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특정 컨텐츠 이용에 따라 해당 컨텐츠에 연관된 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일에 대해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의 종류를 포함하는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이벤트 획득부;상기 활용 이벤트 메시지에 따른 이벤트의 종류가 열람인 경우, 상기 파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질의문을 생성하고, 로컬의 저장 매체 및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질의문을 전송하여 연관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추천부; 및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컨텐츠 추천 장치가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파일에 대해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의 종류를 포함하는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활용 이벤트 메시지에 따른 이벤트의 종류가 열람인 경우, 상기 파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질의문을 생성하는 단계; 로컬의 저장 매체 및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질의문을 전송하여 연관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이용하는 도중, 별도의 검색식 작성을 통한 검색 없이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도 1은 컨텐츠 추천 장치와 컨텐츠 추천 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를 간략히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컨텐츠 추천 장치가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컨텐츠 추천 장치의 이벤트 획득부가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4는 컨텐츠 추천 장치가 컨텐츠를 추천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를 "전송한다"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컨텐츠 추천 장치와 컨텐츠 추천 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를 간략히 예시한 블록도이다. 이 때,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70)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타 단말들이 제공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엔진(171), 지정된 그룹의 사용자들이 컨텐츠를 저장하여 공유하는 EDMS(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172), 및 트위터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73)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파일 시스템에 따라 컨텐츠를 파일로 저장하는 운영 체제가 구비된 단말이다. 이하 컨텐츠 추천 장치(100)의 각 기능부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이하의 각 기능부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임베드(Embed)된 프로세서이거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이벤트 획득부(120), 컨텐츠 추천부(130), 컨텐츠 저장부(140), 연관어 저장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이벤트 획득부(120)는 컨텐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 파일의 열람, 생성, 수정, 삭제, 이름변경 및 닫기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함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이벤트 메시지를 커널(Kernel) 또는 쉘(Shell)을 통해 수신하거나, 어플리케이션에서 파일을 생성, 열람 및 수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iamming Interface) 함수가 실행되면서 발생하는 메시지를 후킹(hooking)한다. 이벤트 획득부(120)는 커널 또는 쉘을 통해 감지한 이벤트 또는 후킹을 통해 획득한 메시지에 따라 파일의 열람, 생성, 수정, 삭제, 이름변경 및 닫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이벤트 메시지(이하 활용 이벤트 메시지라 지칭)를 생성한다. 이 때, 이벤트 획득부(120)는 커널 또는 쉘을 통해 이벤트가 발생되거나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함수의 메시지가 후킹된 파일(즉, 열람, 생성, 수정, 삭제, 이름변경 및 닫기 중 어느 하나가 발생파일. 이하 대상 파일이라 지칭)의 확장자가 미리 지정된 확장자인 경우에만 활용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추후 도 3을 참조하여 이벤트 획득부(120)가 활용 이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벤트 획득부(120)는 대상 파일에 상응하는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컨텐츠 추천부(130)로 전송한다. 이 때, 활용 이벤트 메시지는 대상 파일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 대상 파일의 경로, 파일명 및 확장자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활용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이벤트의 종류가 열람인 경우, 대상 파일의 경로, 파일명 및 확장자에 따라 대상 파일을 컨텐츠 저장부(140)로부터 로드한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로드한 대상 파일에서 키워드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추천부(130)는 파일의 제목, 확장자명, 폴더 이름 및 경로명 등에서 단어를 추출한다. 또한 컨텐츠 추천부(130)는 추출한 확장자명이 일반적으로 수정이 되는 파일을 나타내는 경우(‘doc’, ‘txt’등의 경우), 대상 파일의 내용인 텍스트에서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정이 되는 파일의 확장자명은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추출한 단어를 해당 파일의 닫힐 때까지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추천부(130)는 추출한 단어의 빈도수를 확인하고, 빈도수를 기준으로 하는 순서에서 상위 지정된 수의 단어를 키워드로 선정한다. 또한 컨텐츠 추천부(130)는 대상 파일의 확장자가 MP3 등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의 확장자 일 경우, 해당 메타데이터에서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추출한 각 단어의 빈도수 이외에 각 단어의 출처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추천부(130)는 파일의 제목에 가중치 5, 파일의 내용(예를 들어, 문서 파일의 텍스트나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단어에 가중치 1을 설정하고 각 단어의 가중치와 빈도수를 곱하여 중요도를 산출하고, 중요도를 기준으로 하는 순서에서 상위 지정된 수의 단어를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선정한 키워드를 연관어 저장부(150)로 전송한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활용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이벤트의 종류가 수정인 경우, 대상 파일을 로딩하여 단어를 추출한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현재 추출한 단어(이하 수정 이후 단어라 지칭)와 이전 열람 이벤트에 따라 추출하였던 단어(수정 이전 단어)를 서로 비교하여, 수정 이후 단어에 포함되나 수정 이전 단어에 포함되지 않는 단어(이하 추가 단어라 지칭)와 수정 이전 단어에 포함되나 수정 이후 단어(이하 삭제 단어라 지칭)를 검출한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선정한 키워드, 추가 단어 및 삭제 단어를 연관어 저장부(150)로 전송한다.
연관어 저장부(150)는 하나 이상의 단어 중 연관성이 있는 단어끼리 그룹으로 저장하는 시소러스 맵을 저장하고, 각 단어와 상응하는 외국어를 나타내는 외국어 사전을 저장한다. 연관어 저장부(150)는 컨텐츠 추천부(130)로부터 수신한 키워드, 추가 단어 및 삭제 단어에 상응하는 외국어와, 동일 그룹에 속한 타 단어(이하 연관어라 지칭)를 시소러스 맵 및 외국어 사전으로부터 추출하여 컨텐츠 추천부(130)로 전송한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수신한 외국어 및 연관어를 키워드에 추가하고, 키워드를 포함하는 질의문을 생성하여 컨텐츠 저장부(140) 및 통신망을 통해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70)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한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질의문을 해당 키워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질의문으로 생성한다. 이 때, 키워드를 모두 포함하는 질의문은 일반적인 검색 엔진에서 각 키워드 간에 공백을 두고 입력하였을 때(예를 들어, “검색 대한민국 포탈”로 입력하였을 때) 생성되는 질의문을 의미한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추가 단어가 추출된 경우, 연관어 저장부(150)로부터 수신한 추가 단어에 대한 외국어 및 연관어를 추가 단어에 추가한다. 커텐츠 추천부(130)는 키워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질의문에 추가 단어를 정확하게 포함하는 질의 또는 추가 단어를 모두 포함하는 질의를 추가한 질의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추천부(130)는 키워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질의에 따른 검색 결과 내 추가 단어에 따른 질의를 하는 질의문을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삭제 단어가 추출된 경우, 연관어 저장부(150)로부터 수신한 삭제 단어에 대한 외국어 및 연관어를 삭제 단어에 추가한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키워드를 모두 포함하는 질의문에 삭제 단어를 제외하는 질의를 추가할 수 있다.
상술한 단어를 모두 포함하는 질의, 단어를 모두 정확하게 포함하는 질의, 단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질의, 단어를 제외하는 질의는 구글 등의 일반적인 검색 포탈의 고급 검색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질의문을 전송할 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질의문을 전송할 대상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추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컨텐츠 저장부(140)는 운영 체제의 파일 시스템에 따른 형식의 파일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100)의 로컬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컨텐츠 저장부(140)는 컨텐츠 추천부(130)로부터 질의문을 수신하는 경우, 질의문에 따라 대상 파일과 연관된 컨텐츠에 해당하는 파일을 검색한다. 컨텐츠 저장부(140)는 검색된 파일들에 대한 정보인 연관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컨텐츠 추천부(130)로 전송한다. 이 때, 연관 컨텐츠 정보는 경로, 식별 정보, 파일 제목, 용량 등의 대상 파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70)는 컨텐츠 추천부(130)로부터 통신망을통해 질의문을 수신하는 경우, 질의문에 따른 컨텐츠 검색을 수행하고, 대상 파일에 대한 연관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추천부(13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검색 엔진(171)은 질의문을 수신하는 경우, 질의문에 따라 웹 상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에 상응하는 연관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추천부(130)로 전송한다. EDMS(172)는 질의문을 수신하는 경우, 시스템 내에 저장된 파일 중 질의문에 따라 대상 파일과 연관된 파일에 대한 연관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 추천부(130)로 전송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73)는 질의문을 수신하는 경우, 질의문에 따라 사용자의 공개 정보(예를 들어, 사진, 주소, 자기 소개문, 트윗 등)를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추천부(130)로 전송한다. 이 때,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70)에서 제공하는 연관 컨텐츠 정보는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70) 종류에 따라 상이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엔지(171) 및 EDMS(172)는 대상 파일로 엑세스 가능한 URL을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73)는 사용자의 공개 정보를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부(130)는 컨텐츠 저장부(140) 및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70)로부터 수신한 연관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연관 컨텐츠 정보를 출력부(160)로 전송한다.
출력부(160)는 컨텐츠 추천부(130)로부터 수신한 연관 컨텐츠 정보를 출력한다. 이 때, 출력부(160)는 연관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로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후, 도 2를 참조하여,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컨텐츠 추천 장치가 대상 파일에서 추출한 단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저장부(140) 또는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70)로부터 연관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컨텐츠 추천 장치가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고, 질의문을 전송할 대상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컨텐츠 추천 장치가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추천 장치(100)의 출력부(160)는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210)와는 별도의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220)는 가젯(Garget) 형태의 인터페이스 또는 별도의 윈도우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220)에서는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체크 박스(23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인터페이스(220)의 체크 박스(2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질의문을 전송할 대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컨텐츠 추천 장치(100)의 컨텐츠 추천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체크 박스(220)에서 체크된 장치로만 컨텐츠 정보 요청을 전송하여 연관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연관 컨텐츠 정보를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이벤트 획득부(120)의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컨텐츠 추천 장치의 이벤트 획득부가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벤트 획득부(120)는 운영 체제의 커널로부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분석하여 대상 파일이 열람, 생성, 수정, 닫기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것을 확인한다. 이벤트 획득부(120)는 확인 사항에 따라 열람, 생성, 수정, 닫기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 종류를 포함하는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 추천부(130)로 전송한다. 커널은 각 파일의 열람, 생성, 수정, 닫기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를 나타내는 이벤트 메시지를 이벤트 획득부(120)로 전송한다. 이하 커널에서 생성한 이벤트 메시지를 커널 이벤트 메시지(301)라 지칭하도록 한다. 이 때, 커널은 각 파일 중 지정된 단위(예를 들어, 512바이트)의 데이터마다 하나 이상의 커널 이벤트 메시지(301)를 생성한다. 즉, 커널은 1024 바이트의 대상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열람되는 경우, 512 바이트마다 열람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벤트 획득부(120)는 한 번의 파일 열람에 따라 복수의 열람을 나타내는 커널 이벤트 메시지(301)들을 수신한다. 이벤트 획득부(120)는 지정된 단위 시간 동안 수신한 커널 이벤트 메시지(301)들 중 미리 지정된 확장자를 포함하는 커널 이벤트 메시지(301)를 선정한다. 이벤트 획득부(120)는 단위 시간 동안 동일한 파일에 대해 동일한 이벤트의 발생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이 한번의 이벤트 발생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이벤트 획득부(120)는 대상 파일에 대한 열람 이벤트를 나타내는 커널 이벤트 메시지(301)를 단위 시간 동안 4회 수신한 경우, 대상 파일의 열람 이벤트가 1회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벤트 획득부(120)는 한번 발생된 것으로 간주된 이벤트에 대한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 추천부(130)로 전송한다.
또한 이벤트 획득부(120)는 쉘로부터 쉘 이벤트 메시지(302)를 수신할 수 있다. 쉘은 하나의 파일에 대해 발생한 한번의 이벤트에 대해 한번의 쉘 이벤트 메시지(302)를 생성한다. 따라서, 이벤트 획득부(120)는 쉘 이벤트 메시지(302)를 수신할 경우, 쉘 이벤트 메시지(302)에 포함된 이벤트 종류, 대상 파일의 경로, 이름, 확장자를 포함하는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 추천부(130)로 전송한다.
이벤트 획득부(120)는 상술한 커널 또는 쉘로부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각 커널 또는 쉘에서 제공하는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벤트 획득부(120)는 커널 또는 쉘 이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대상 파일에 발생한 이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벤트 획득부(120)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파일의 열람, 생성, 수정을 위해 사용하는 함수에서 발생되는 메시지(이하 어플리케이션 메시지라 지칭)를 후킹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을 위해 운영체제에 구비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함수 중 파일을 열람하는 함수(ReadFile())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함수가 수행되면서 어플리케이션 메시지(303)가 발생한다. 이벤트 획득부(120)는 파일을 열람하는 함수에서 발생된 어플리케이션 메시지(303)가 후킹하는 경우, 후킹된 어플리케이션 메시지(303)에 따라 대상 파일이 열람되었음을 인지하고, 대상 파일에 상응하는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텐츠 추천부(130)로 전송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메시지(303)는 커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번의 이벤트에 대해 하나 이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벤트 획득부(120)는 지정된 단위 시간동안 후킹한 어플리케이션 메시지(303)에 대해 커널의 경우와 동일한 과정으로 한번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이벤트 획득부(120)는 커널, 쉘,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함수에서 발생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였지만, 대상 파일의 수정시간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컨텐츠 추천 장치가 컨텐츠를 추천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각 단계는 컨텐츠 추천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기능부에 의해 수행되는 과정이지만,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주체를 컨텐츠 추천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310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대상 파일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였다.
단계 320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활용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대상 파일의 확장자가 미리 지정된 확장자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대상 파일의 확장자가 미리 지정된 확장자(‘pdf’, ‘html’, ‘mov’, ‘mp3’, ‘doc’ 등)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확장자인지 확인한다.
미리 지정된 확장자가 아닌 경우,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컨텐츠를 추천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미리 지정된 확장자인 경우, 단계 330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활용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이벤트의 종류가 무엇인지 확인한다.
이벤트의 종류가 열람일 경우, 단계 335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대상 파일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 중 빈도수 및 가중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선정한다. 이 때, 추출된 단어는 대상 파일이 닫힐 때까지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이벤트의 종류가 수정일 경우, 단계 340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대상 파일에서 추가 단어 및 삭제 단어 중 하나 이상을 추출한다. 이 때,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이벤트의 종류가 수정일 경우는 이벤트의 종류가 열람인 다음에 발생하기 때문에 이전 열람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단계 335에서 추출한 수정 이전 단어와 현재 대상 파일에서 추출한 수정 이후 단어를 비교하여 추가 단어 및 삭제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350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단계 340 에서 추출된 키워드, 추가 단어 및 삭제 단어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연관어 및 외국어를 추출하여 각 키워드, 추가 단어, 삭제 단어에 추가한다. 이 때,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저장된 시소러스 맵과 외국어 정보를 이용하여 연관어 및 외국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360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질의문을 생성하여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70) 및 로컬 저장 매체인 컨텐츠 저장부(140)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한다.
단계 370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70) 및 로컬 저장 매체인 컨텐츠 저장부(14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연관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연관 컨텐츠 정보를 미리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따라서,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사용자가 현재 편집한 내용에 대하여 더욱 정확한 질의문을 작성하여 연관 컨텐츠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연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파일에 대해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의 종류를 포함하는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이벤트 획득부;
    상기 활용 이벤트 메시지에 따른 이벤트의 종류가 열람인 경우, 상기 파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질의문을 생성하고, 로컬의 저장 매체 및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질의문을 전송하여 연관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추천부; 및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는 검색 엔진, EDMS(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파일 서버 및 DB 서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천부는 상기 파일의 확장자가 미리 지정된 확장자인 경우에만 상기 질의문을 생성 및 전송하여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단어 중 연관성이 있는 단어끼리 그룹으로 저장하는 시소러스 맵 및 상기 각 단어에 상응하는 외국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연관어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추천부는 상기 시소러스 맵에서 상기 키워드와 연관성이 있는 단어 또는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외국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연관어 저장부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연관성이 있는 단어 또는 외국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키워드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천부는 상기 파일의 제목, 확장자, 경로, 폴더명 및내용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천부는 상기 이벤트의 종류가 수정인 경우, 상기 파일에 추가된 추가 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질의문에 상기 추가 단어에 대한 질의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획득부는 상기 파일에 대해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커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쉘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함수에서 발생한 메시지를 후킹(hooking)으로 획득한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파일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8. 컨텐츠 추천 장치가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파일에 대해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의 종류를 포함하는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활용 이벤트 메시지에 따른 이벤트의 종류가 열람인 경우, 상기 파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질의문을 생성하는 단계;
    로컬의 저장 매체 및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질의문을 전송하여 연관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는 검색 엔진, EDMS(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파일 서버 및 DB 서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확장자가 미리 지정된 확장자인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활용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내지 상기 연관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파일의 확장자가 미리 지정된 확장자인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와 연관성이 있는 단어 또는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외국어 중 하나 이상을 시소러스 맵 또는 외국어 사전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연관성이 있는 단어 또는 외국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키워드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파일의 제목, 확장자, 경로, 폴더명 및 내용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종류가 수정인 경우, 상기 파일에 추가된 추가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문에 상기 추가 단어에 대한 질의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에 대하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파일에 대해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커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쉘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함수에서 발생한 메시지를 후킹(hooking)으로 획득한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파일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
KR1020100096142A 2010-10-01 2010-10-01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1174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142A KR101174398B1 (ko) 2010-10-01 2010-10-01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142A KR101174398B1 (ko) 2010-10-01 2010-10-01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525A true KR20120034525A (ko) 2012-04-12
KR101174398B1 KR101174398B1 (ko) 2012-09-13

Family

ID=4613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142A KR101174398B1 (ko) 2010-10-01 2010-10-01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3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341A (ko) * 2013-01-30 2014-08-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선택 경로 분석을 통한 연관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WO2014137414A1 (en) * 2013-03-07 2014-09-12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US11233664B2 (en) 2012-11-07 2022-01-2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identify media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3664B2 (en) 2012-11-07 2022-01-2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identify media
KR20140099341A (ko) * 2013-01-30 2014-08-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선택 경로 분석을 통한 연관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WO2014137414A1 (en) * 2013-03-07 2014-09-12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US9510049B2 (en) 2013-03-07 2016-11-29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US10356475B2 (en) 2013-03-07 2019-07-16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US10904621B2 (en) 2013-03-07 2021-01-26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US11546662B2 (en) 2013-03-07 2023-01-03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398B1 (ko)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6908B2 (en) Generating highly realistic decoy email and documents
US8683311B2 (en) Generating structured data objects from unstructured web pages
US10817613B2 (en) Access and management of entity-augmented content
CN102959542B (zh) 用于管理视频内容的方法和装置
US988098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niquely identifying digital content for eDiscovery
US9304979B2 (en) Authorized syndicated descriptions of linked web content displayed with links in user-generated content
US863109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inding a mobile and non-mobile page pair
US9100434B2 (en) Web page falsific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303398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gical chunking and restructuring websites
US20210141852A1 (en) Content management systems for providing automated generation of content suggestions
US20210141790A1 (en) Content management systems providing automated generation of content summaries
US20210326310A1 (en) System for tracking and displaying changes in a set of related electronic documents
KR101647087B1 (ko) 자연어 처리에 기반한 재화 제공 서버 및 방법
KR20140047226A (ko) 이슈 일지를 제공하는 단말기, 이슈 일지를 생성하는 서버 및 이슈 일지 제공 및 생성 방법
WO2018145637A1 (zh) 上网行为记录方法、装置及用户终端
CN111666383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174398B1 (ko)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JP6147629B2 (ja) ページコンテンツについて注目箇所を直ぐに表示するページサイト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20110106810A1 (en) Aggregating Content from Multiple Content Contributors
US20090112833A1 (en) Federated search data normalization for rich presentation
CN113656737B (zh) 网页内容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US8892596B1 (en) Identifying related documents based on links in documents
CN108886631B (zh) 电子数据检查系统、电子数据检查方法和存储介质
KR101583073B1 (ko) 기사 요약 서비스 서버 및 방법
KR20130103239A (ko) 번역 기능을 구비한 웹 브라우징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