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945A -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945A
KR20140097945A KR1020130010736A KR20130010736A KR20140097945A KR 20140097945 A KR20140097945 A KR 20140097945A KR 1020130010736 A KR1020130010736 A KR 1020130010736A KR 20130010736 A KR20130010736 A KR 20130010736A KR 20140097945 A KR20140097945 A KR 20140097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stick
elastic mold
base
main body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하일
Original Assignee
(주)레이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이덱스 filed Critical (주)레이덱스
Priority to KR102013001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7945A/ko
Publication of KR2014009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A47G29/083Devices for suspending handbags from tables, chairs or the like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몰드 본체의 내면에 립스틱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형성하여 길이방향의 강도를 보강하므로 탄성몰드의 확장시 초기에 일시적으로 반경이 축소되어 립스틱의 표면에 스크랫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되어 립스틱의 표면에 스크랫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유통구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유통구와 연통되어 유체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이 주입되고 외면은 원뿔대 형상이고 내면은 립스틱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중심방향으로 경사부가 하향경사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탄성몰드;를 포함하는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Assembly for molding lipstic}
본 발명은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몰드 본체의 내면에 립스틱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형성하여 길이방향의 강도를 보강하므로 탄성몰드의 확장시 초기에 일시적으로 반경이 축소되어 립스틱의 표면에 스크랫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립스틱은 봉형상을 갖는 고상의 립스틱과 솔을 이용하여 입술에 도포하는 액상의 립스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하지만 보존이 편리하고 휴대에 간편한 고상의 립스틱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봉형을 갖는 고상의 립스틱은 원재료로 유지나 왁스를 조합한 유성의 기재에 착색료를 혼합하여 제조되고 있다. 상기 고상의 립스틱은 플라스틱 등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몰드를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즉, 소정의 유지와 왁스를 혼합한 유성의 기재를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착색료가 되는 색재를 첨가한 후 분산시켜 립스틱 원재료를 만든다. 이 립스틱 원재료를 고온 상태일 때 플라스틱 몰드에 충전한다. 다음으로 플라스틱 몰드에 충전된 고체상태의 점성을 갖는 원재료는 냉각수단에 의해서 고체상태가 되어 봉형상을 갖는 립스틱이 성형된다.
여기에 성형된 봉형상을 갖는 고상의 립스틱은 립스틱 용기에 장착되고 립스틱 표면에 광택을 부여하기 위해서 표면을 녹여 매끄럽게 하는 플레이밍 처리 후 시장에 판매된다.
하지만 고상의 립스틱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플라스틱 몰드는 딱딱하기 때문에 고온의 원재료와 냉각을 위하여 저온의 냉각장치를 반복적으로 접하게 될 경우 쉽게 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연질재료로 이루어진 탄성몰드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탄성몰드가 설치되는 립스틱 성형 몰드가 국내 등록특허 제56300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함)에 의해 개시되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립스틱 성형 몰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종래의 립스틱 성형 몰드는 립스틱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실리콘 등의 연질재료로 이루어진 탄성몰드와, 이 탄성몰드가 안착되도록 구비되고 측면에 공기가 유통되는 에어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캐비티가 형성되는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탄성몰드는 유체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이 주입되는 본체와 탄성몰드를 조립하기 위하여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로 이루어지며, 본체의 선단에는 립스틱의 형상에 대응되는 평면의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선단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경사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대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이와 같은 종래의 립스틱 성형 몰드를 이용하여 고상의 립스틱을 성형하는 방법은 유체상태의 립스틱 원재료를 탄성몰드에 충진하고 냉각수단으로 액상의 립스틱을 고화시킨다. 여기서 충진과 고화는 필요에 따라 수차례 반복할 수 있다. 일단 립스틱이 고화되면 봉상의 립스틱 성형물 상부에 립스틱 용기를 위치시키고 순간적으로 탄성몰드의 외측에 에어를 불어 넣은 후 바로 공기를 흡입하여 탄성몰드의 외측면과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에어를 순간적으로 불어 넣은 후 진공을 형성하면 봉상의 립스틱 성형물은 관성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립스틱 용기의 내부로 진입하고, 후에 탄성몰드의 외측에 형성된 진공은 탄성몰드를 외측으로 팽창되도록 잡아당겨 탄성몰드와 립스틱 성형물이 분리되록 한다.
하지만 다품종 소량생산의 추세에 따라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탄성몰드를 바꿀 경우 탄성몰드의 외면과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에어갭이 수시로 변하므로 제품 품질이 편차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몰드는 두께가 대체적으로 동일함에 따라 길이방향의 인장강도가 원주방향의 인장강도보다 약하므로 팽창시 원주방향으로 내경이 커지기 전에 길이방향으로 먼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초기에 탄성몰드의 내경이 축소되어 봉상의 립스틱이 립스틱 용기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탄성몰드의 내면이 봉상의 립스틱 표면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탄성몰드가 동시에 같은 크기로 팽창하지 못하고 불균일하게 팽창되므로 수명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랜지 부분의 두께 또한 본체의 두께와 대체로 동일하므로 탄성몰드의 상단이 순간적으로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1. 국내 등록특허 제563006호(2006. 03. 15.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품종 소량생산의 추세에 따라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탄성몰드를 교체할 경우에도 탄성몰드와 하우징 사이의 에어갭이 일정한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몰드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의 인장강도가 유사하도록 구비하여 탄성몰드가 각 방향으로 동시에 팽창되도록 구비된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립스틱 성형물의 탈거를 위하여 탄성몰드를 팽창시킬 경우 초기의 내경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봉상의 립스틱이 립스틱 용기로 이동하는 동안 탄성몰드의 내면에 의해 봉상의 립스틱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몰드가 각 방향으로 동시에 균일하게 팽창되도록 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된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몰드의 상단이 팽창 초기에 순간적으로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체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유통구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유통구와 연통되어 유체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이 주입되고 외면은 원뿔대 형상이고 내면은 립스틱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중심방향으로 경사부가 하향경사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탄성몰드;를 포함하는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몰드는 상기 플랜지의 두께가 상기 본체의 두께보다 2배 내지 4배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의 유통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립스틱 용기를 세울 수 있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몰드는 상단에 상기 립스틱 용기의 선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환상의 트렌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플랜지에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상면에 상기 복수의 관통구와 대응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관통구와 상기 복수의 홀을 고정시키는 핀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플랜지와 원주면이 마주치는 모서리의 하부에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는 탄성몰드 본체의 외주면이 립스틱 형상과 관계없이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다른 품목의 립스틱을 성형할 경우에도 하우징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하우징의 교체로 인한 생산시간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는 상기와 같이 다른 품목의 립스틱을 성형할 경우에도 하우징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품목별로 별도의 하우징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는 탄성몰드의 외부형상이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의 형상이 본체가 립스틱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부가 보강되므로 탄성몰드의 길이방향 인장강도와 원주방향 인장강도가 유사함에 따라 각 방향으로 동시에 팽창하게 되어 립스틱 성형물을 탈거하기 위한 팽창 초기의 이동시 립스틱 성형물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는 상기와 같이 탄성몰드가 각 방향으로 동시에 팽창하게 됨에 따라 수명이 연장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는 상기 플랜지의 두께가 상기 본체의 두께보다 2배 내지 4배로 구비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긴장과 이완을 하는 플랜지 부분을 보강해 줌으로서 탄성몰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는 본체의 플랜지에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상면에 상기 복수의 관통구와 대응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관통구와 상기 복수의 홀을 고정시키는 핀이 삽입되므로 탄성몰드가 제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는 탄성몰드의 플랜지와 본체의 원주면이 마주치는 모서리의 하부에 홈이 형성되어 탄성몰드의 플랜지가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립스틱 성형 몰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의 탄성몰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이용한 립스틱의 성형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의 탄성몰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이용한 립스틱의 성형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의 탄성몰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이용한 립스틱의 성형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유통구(12)가 형성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립스틱 내용물이 충진되어 성형되는 탄성몰드(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전방충전(frond filling)방법으로 탄성몰드(20)를 이용하여 립스틱 성형물을 성형한 후 립스틱 용기의 전방에서 가압하는 방식이다.
상기 베이스(10)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으로 유체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유통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몰드(20)를 베이스(10)에 거치한 후 고정할 수 있도록 커버블록(1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커버블록(18)은 서로 밀착과 동시에 착탈이 편리하도록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10a, 18a)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상면에 후술하는 탄성몰드(20)의 플랜지(24)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안착단(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단(14)에는 핀(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홀(16)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몰드(20)는 상기 베이스(10)의 유통구(12)로부터 유체상태의 립스틱이 주입되는 본체(22)와, 상기 본체(22)의 상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몰드(20)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22)는 중심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유체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이 주입된 후 냉각되어 고상의 립스틱 성형물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2)의 내면에는 립스틱의 선단이 점이나 선모양으로 형성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도록 중심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부(2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22)는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진다. 따라서 상기 본체(22)는 길이방향의 인장강도가 보강되어 립스틱의 성형 후 립스틱 성형물을 반출하기 위해 탄성몰드(20)를 팽창시킬 경우 본체(22)가 길이방향으로 늘어나 본체(22) 상부의 직경이 순간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22) 상부의 직경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립스틱 성형물의 외주면에 스크랫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플랜지(24)는 상기 본체(22)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10) 상면의 안착단(14)에 안착된다. 더불어 상기 플랜지(24)는 베이스(10)에 안착된 후 커버블록(18)이 밀착되므로 베이스(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24)는 그 두께가 상기 본체(22)의 두께보다 2배 내지 4배가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긴장과 이완을 하는 플랜지(24) 부분을 보강해 줌으로서 탄성몰드(20)의 전체적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몰드(20)의 플랜지(24)와 본체(22)의 원주면이 마주치는 모서리의 하부에 홈(2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몰드(20)의 플랜지(24)가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24)는 상기 베이스(10)의 안착단(14)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구(25)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0)의 안착단(14)에 형성된 홀(16)과 이에 대응하는 탄성몰드(20) 플랜지(24)의 관통구(25)에는 핀(30)이 끼워져 상기 탄성몰드(20)가 제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이용한 립스틱의 성형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에 장착된 탄성몰드(20)의 본체(22)에 유체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을 충진한다. 이 때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베이스(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커버블록(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립스틱 내용물이 충진되면 립스틱 내용물이 냉각시켜 응고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상의 립스틱 성형물(L1)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상부에 위치한 커버블록(18)을 탈거시킨 후 립스틱 용기(C1)를 뒤집어서 베이스(10)의 유통구(12) 상부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몰드(20)의 하부에 하우징(6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60)의 내면과 상기 탄성몰드(20)의 본체(22) 외면 사이에는 공기와 유통할 수 있도록 에어갭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0)에 형성된 공기유통구(62)를 통해 순간적으로 에어를 불어넣어 립스틱 성형물이 가압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 때 불어 넣은 에어에 의해서 상방으로 립스틱 성형물(L1)이 상방으로 일단 이동하게 되면 관성에 의해서 립스틱 용기(C1)에 도달한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탄성몰드의 재질이나 형상에 따라 립스틱 용기(C1)를 립스틱 성형물(L1)에 바로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0)의 공기유통구(62)를 통해 순간적으로 에어를 불어넣어 후 하우징(60)의 내부에 진공을 형성한다. 따라서 관성에 의해서 립스틱 성형물은 립스틱 용기로 이동하지만 탄성몰드(20)의 본체(22)는 진공에 의해서 팽창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몰드(20)는 길이방향으로 인장강도를 보강하였으므로 동시에 각 방향으로 탄성몰드(20)의 본체(22)가 팽창된다. 따라서 립스틱 성형물의 외주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스틱 성형물(L1)이 립스틱 용기(C1)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반출된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의 탄성몰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이용한 립스틱의 성형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는 유체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유통구(42)가 형성된 베이스(40)와, 상기 베이스(40)에 설치되어 립스틱 내용물이 충진되어 성형되는 탄성몰드(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후방충전(back filling)방법으로 립스틱 용기(C)를 세운 상태에서 립스틱 용기(C)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립스틱 내용물을 탄성몰드(50)에 주입하여 성형하는 방식이다.
상기 베이스(40)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으로 유체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유통구(42)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40)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40)의 상부에 립스틱 용기(C)를 세울 수 있도록 가이드홀(48b)이 형성된 가이드블록(48)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블록(48)과 상기 베이스(40)는 서로 밀착과 동시에 착탈이 편리하도록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40a, 48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40)는 상면에 후술하는 탄성몰드(50)의 플랜지(54)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안착단(4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단(44)에는 핀(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홀(46)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몰드(50)는 상기 베이스(40)의 유통구(42)로부터 유체상태의 립스틱이 주입되는 본체(52)와, 상기 본체(52)의 상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5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몰드(50)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52)는 중심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유체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이 주입된 후 냉각되어 고상의 립스틱 성형물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52)의 내면에는 립스틱의 선단이 점이나 선모양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부에 중심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부(5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52)는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진다. 따라서 상기 본체(52)는 길이방향의 인장강도가 보강되므로 립스틱의 성형 후 립스틱 성형물을 반출하기 위해 탄성몰드(50)를 팽창시킬 경우 본체(52)가 길이방향으로 늘어나 본체(52) 상부의 직경이 순간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52) 상부의 직경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립스틱 성형물의 외주면에 스크랫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플랜지(54)는 상기 본체(52)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40) 상면의 안착단(44)에 안착된다. 더불어 상기 플랜지(54)는 베이스(40)에 안착된 후 커버블록(48)이 밀착되므로 베이스(4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54)는 그 두께가 상기 본체의 두께보다 2배 내지 4배가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긴장과 이완을 하는 플랜지(54) 부분을 보강해 줌으로서 탄성몰드(5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 또한 상기 플랜지(54)는 상기 베이스(40)의 안착단(44)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46)과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구(55)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40)의 안착단(44)에 형성된 홀(46)과 이에 대응하는 탄성몰드(50) 플랜지(54)의 관통구(55)에는 핀(30)이 끼워져 상기 탄성몰드(50)가 제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작용한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54)의 상단에는 립스틱 용기(C)의 선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트렌치(56)가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를 이용한 립스틱의 성형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40)의 안착단(44)에 탄성몰드(50)의 플랜지(54)를 안착시킨 후 베이스(40)의 상부에 가이드블록(48)을 위치시킨 후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록(48)에 형성된 가이드홀(48a)에 립스틱 용기(C)를 거꾸로 세운 후 립스틱 용기(C) 내부의 통로를 통하여 유체 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을 탄성몰드(50)의 본체(52) 내부에 충진한다. 상기 립스틱 내용물이 충진되면 냉각수단으로 립스틱 내용물 냉각시켜 고상의 립스틱 성형물(L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냉각수단에 의해 탄성몰드(50) 본체(52) 내부의 립스틱 내용물이 고화되어 고상의 립스틱 성형물(L2)이 형성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몰드(50)의 하부에 하우징(60)을 설치한다. 이 때 상기 하우징(60)의 내면과 상기 탄성몰드(50) 본체(52)의 외면 사이에는 공기와 유통할 수 있도록 에어갭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0)에 형성된 공기유통구(62)를 통해 순간적으로 에어갭에 진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에어갭에 진공이 형성되면 탄성몰드(50)의 본체(22)는 진공에 의해서 팽창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몰드(50)의 본체(52)는 길이방향으로 인장강도가 보강되었기 때문에 동시에 탄성몰드(50) 본체(52)가 각 방향으로 팽창된다. 따라서 립스틱 성형물(L2)의 외주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스틱 성형물(L2)이 립스틱 용기(C1)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반출된다.
10, 40 : 베이스
20, 50 : 탄성몰드
22, 52 : 본체
24, 54 : 플랜지
30 : 핀
56 : 트렌치
60 : 하우징
C, C1 : 립스틱 용기
L1, L2 : 립스틱 성형물

Claims (6)

  1. 유체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유통구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유통구와 연통되어 유체상태의 립스틱 내용물이 주입되고 외면은 원뿔대 형상이고 내면은 립스틱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중심방향으로 경사부가 하향경사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탄성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몰드는 상기 플랜지의 두께가 상기 경사부가 형성되기 전의 본체 원주면 두께보다 2배 내지 4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유통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립스틱 용기를 세울 수 있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몰드는 상단에 상기 립스틱 용기의 선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환상의 트렌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플랜지에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상면에 상기 복수의 관통구와 대응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관통구와 상기 복수의 홀을 고정시키는 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몰드의 플랜지와 본체의 원주면이 마주치는 모서리의 하부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
KR1020130010736A 2013-01-30 2013-01-30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 KR20140097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736A KR20140097945A (ko) 2013-01-30 2013-01-30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736A KR20140097945A (ko) 2013-01-30 2013-01-30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945A true KR20140097945A (ko) 2014-08-07

Family

ID=5174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736A KR20140097945A (ko) 2013-01-30 2013-01-30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794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0838A (zh) * 2016-10-27 2018-05-08 中微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等离子体处理装置及硅片温度测量方法
KR101954337B1 (ko) 2017-12-13 2019-03-05 주식회사 엠씨맥스 립스틱 성형물의 이형장치
KR20190097959A (ko) 2018-02-13 2019-08-21 (주)아모레퍼시픽 폴리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o/w 화장품 경도 증가용 조성물
KR102038326B1 (ko) * 2018-10-26 2019-10-30 고광옥 립스틱 실리콘 몰드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립스틱 실리콘 몰드의 제조방법
KR20190137208A (ko) 2018-05-31 2019-12-11 최형근 립스틱 성형용 몰드
CN110916337A (zh) * 2019-08-01 2020-03-27 广东蕾琪化妆品有限公司 一种口红灌装方法
IT201900004843A1 (it) * 2019-04-01 2020-10-01 Rigam Engineering Srl Soc Unipersonale Apparecchiatura e metodo perfezionati per la produzione di mine per matite cosmetiche, rossetti e simili.
KR20210004539A (ko) * 2019-07-05 2021-01-13 김창규 화장품배출 실리콘러버 지지 진공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0838A (zh) * 2016-10-27 2018-05-08 中微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等离子体处理装置及硅片温度测量方法
KR101954337B1 (ko) 2017-12-13 2019-03-05 주식회사 엠씨맥스 립스틱 성형물의 이형장치
KR20190097959A (ko) 2018-02-13 2019-08-21 (주)아모레퍼시픽 폴리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o/w 화장품 경도 증가용 조성물
KR20190137208A (ko) 2018-05-31 2019-12-11 최형근 립스틱 성형용 몰드
KR102038326B1 (ko) * 2018-10-26 2019-10-30 고광옥 립스틱 실리콘 몰드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립스틱 실리콘 몰드의 제조방법
IT201900004843A1 (it) * 2019-04-01 2020-10-01 Rigam Engineering Srl Soc Unipersonale Apparecchiatura e metodo perfezionati per la produzione di mine per matite cosmetiche, rossetti e simili.
KR20210004539A (ko) * 2019-07-05 2021-01-13 김창규 화장품배출 실리콘러버 지지 진공장치
CN110916337A (zh) * 2019-08-01 2020-03-27 广东蕾琪化妆品有限公司 一种口红灌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7945A (ko) 립스틱 성형몰드 조립체
KR101752971B1 (ko) 화장용구용 심 성형장치
JP6756464B2 (ja) ネット付き中蓋を備えた化粧料容器、ネット付き中蓋、ネット付き中蓋の製造方法、および金型
PL1737634T3 (pl) Stanowisko do rozformowywania
CN105880477B (zh) 冒口嵌件及其用途、以及铸造模具及其制造方法
CN113365530A (zh) 化妆品的涂抹装置和用于生产此化妆品的涂抹装置的方法
EP1512513A3 (en) Injection mould for obtaining bottles of plastics material
JP5285482B2 (ja) 樹脂成形金型
KR102131149B1 (ko) 상하 더블 액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금형 시스템
CN206999531U (zh) 前模斜顶注塑模具
CN106881826A (zh) 封装模具和使用该封装模具的注塑方法
CN207310423U (zh) 一种带有顶出机构的镜片模具
KR102298992B1 (ko) 화장품배출 실리콘러버 지지 진공장치
JP3777494B2 (ja) 保持具を有する成形物の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CN206765161U (zh) 标靶面盖用精密成型模具
KR200465238Y1 (ko) 립스틱 제조용 금형
CN110115637B (zh) 一种基于peek材料的牙修复体铸造方法
CN216182167U (zh) 一种汽车座椅扶手的发泡模具
CN207564822U (zh) 一种蜡基化妆品生产的真空脱模器
KR20130093309A (ko) 기둥 형상 제품을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금형
CN203317671U (zh) 一种注塑模具
JPH09123231A (ja) 離型抵抗力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KR101119938B1 (ko) 슬라이딩 방식 골프공 몰드 및 이를 이용한 골프공 자동 이형 방법
CN108673841A (zh) 防变形侧向抽芯注塑模具
CN204657266U (zh) 一种铝合金减震器外壳冲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