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777A - 견인 기능을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견인 기능을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777A
KR20140097777A KR1020130010257A KR20130010257A KR20140097777A KR 20140097777 A KR20140097777 A KR 20140097777A KR 1020130010257 A KR1020130010257 A KR 1020130010257A KR 20130010257 A KR20130010257 A KR 20130010257A KR 20140097777 A KR20140097777 A KR 20140097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ike
bicycle
sl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6131B1 (ko
Inventor
유태일
임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셜테크
Priority to KR2013001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13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1/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 B61C11/02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tractive effort applied to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3/00Shunting or short-distance haulage devices; Similar devices for hauling trains on steep gradients or as starting aids; Car propelling devices therefor
    • B61J3/04Car shunting or haulage devices with cable traction or endless-chain driving mean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구간에서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경사구간을 더욱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을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주행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의 경사진 부분에 설치되는 경사운행부(300)를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경사운행부(300)는 궤도부(320), 걸기부(310) 및 동력부(33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경사운행부는 와이어형 궤도부(321), 집게형 걸기부(360), 동력부(3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 위를 주행하는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 포함하는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견인 기능을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the tracklink driving system with the funtion of towing}
본 발명은 경사구간에서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경사구간을 더욱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을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레일바이크(rail bike)는 철로 위에서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철로 위를 움직이는 탈것의 하나로,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철로 위에 설치되어 놀이기구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레일바이크로는 하나의 레일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모노형 레일바이크와 두 개의 레일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4륜형 레일바이크가 있다.
일반적인 레일바이크는 탑승자가 페달을 밟음으로써 구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평지에 설치된 레일 상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큰 무리가 없지만, 상방 경사로 및 하방경사로에 설치된 레일 상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다소 힘이 들며, 자칫 레일바이크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경사가 급한 구간에서는 사실상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올라가는 것은 무리가 있기 때문에, 전력을 공급하여 인력에 의하지 않고서도 레일바이크가 경사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일바이크를 전력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구조에서도 급경사에서는 레일바이크의 하중으로 인해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는 없었으며, 이에 따라 상방 경사로 또는 하방 경사로, 특히 급경사로를 주행하는 경우 레일바이크의 후방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개선된 구조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고자 하며,
또한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 탑승자가 상방 경사로 및 하방경사로에 설치된 레일 상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힘이 많이 드는 것을 경감시키며,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를 전력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구조에서도 급경사에서는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의 하중으로 인해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며, 이에 따라 상방 경사로 또는 하방 경사로, 특히 급경사로를 주행하는 경우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의 후방 미끄러짐을 방지하고자 하는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주행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의 경사진 부분에 설치되는 경사운행부(300)를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경사운행부(300)는 궤도부(320), 걸기부(310) 및 동력부(33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경사운행부는 와이어형 궤도부(321), 집게형 걸기부(360), 동력부(3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 위를 주행하는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 포함하는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 탑승자가 상방 경사로 및 하방경사로에 설치된 레일 상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힘이 많이 드는 것을 경감시키며,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현저히 방지하는 효과가 창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를 전력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구조에서도 급경사에서는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의 하중으로 인해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며, 이에 따라 상방 경사로 또는 하방 경사로, 특히 급경사로를 주행하는 경우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의 후방 미끄러짐을 현저히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의 하나의 실시예의 골격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레일바이크가 레일 위에 장착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의 경사운행부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운행부의 걸기부의 작동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운행부의 걸기부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운행부의 와어어형 궤도부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운행부의 집게형 걸기부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운행부의 집게형 걸기부의 세부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레일을 이용하는 자전거 등),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 주행 시스템의 경사구간에서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경사구간을 더욱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을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은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주행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경사진 부분에 설치되며 궤도부, 궤도부에 형성된 걸기부가 구성되고, 궤도부를 운동하게 하는 동력부가 있는 경사운행부를 구비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레일은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운행할 수 있는 선로를 의미한다. 따라서 1차선의 선로 또는 2차선의 선로 모두 포함되는 개념이다.
상기한 바처럼 본 발명에서 레일 바이크의 의미는 레일(궤도)을 이용한 자전거 또는 차량 형태의 운행수단을 의미하며, 상기한 레일은 하나 또는 2개의 레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레일 바이크는 상기한 자전거, 레일썰매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안정적인 운행을 할 수 있는 2개의 레일을 운행하는 레일 바이크를 선호한다.
그 하나의 실시예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레일바이크는 몸체(100)와, 레일에 안착되어 운행할 수 있는 전륜(110) 및 후륜(120)을 구비하고, 전륜과 후륜의 동력전달은 인력 또는 전기 등에 의하여 구동된다.
본 발명의 레일 바이크의 몸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1개의 레일 또는 2개의 레일에서 운행되는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차량형태의 운행수단의 몸체를 의미하며, 사람이 탑승하여 조종하고 구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전륜과 후륜은 레일 바이크의 몸체에 장착되어 레일을 운행하기 위한 수단을 의미하며, 통상의 레일에서 운행하는 바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한 레일바이크의 전륜은 앞바퀴축(16)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되고 또한 후륜은 뒷바퀴축(25)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앞바퀴축과 뒷바퀴축은 전륜과 후륜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에서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레일(200)에 장착되어 있는 무한 궤도 주행 시스템의 개념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레일바이크를 포함한, 즉, 자전거, 레일썰매 등이 주행하는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주행하는 레일에 경사운행부(3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주행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경사운행부(300)는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주행하는 레일(선로, 200)의 경사진 부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은 상기한 본 발명의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무한궤도 주행시스템의 의미는 레일 등을 이용한 주행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레일의 경사진 부분이라 함은 레일의 오르막 경사 및 내리막 경사 부분을 의미한다.
특히 레일의 오르막 경사 부분에서는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의 운행자가 너무 많은 힘을 필요로 하고 내리막 경사 부분에서는 중력 가속도에 의한 과속으로 안전상에 위험이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하나의 실시 예로 본 발명의 경사운행부(300)는 궤도부(320), 걸기부(310) 및 동력부(33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경사운행부의 궤도부(320)는 레일의 경사진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레일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경사도를 가지면서 형성되거나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이 궤도부(320)는 금속이나 고분자 물질의 재질로 제조된 무한궤도, 와이어(wire) 또는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걸기부(310)는 궤도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궤도부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기능을 하며,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의 앞 바퀴축(16) 또는 뒷 바퀴축(25)를 걸어서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를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걸기부는 궤도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궤도부의 총 길이에 따라 그 개수는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력부(330)는 상기한 궤도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 또는 수단으로서 통상의 모터, 엔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에서의 경사운행부의 걸기부가 상기한 레일바이크의 앞 바퀴축(16) 또는 뒷 바퀴축(25)을 걸어서 작동하는 상태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걸기부가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의 앞 바퀴축(16) 또는 뒷 바퀴축(25)에 잘 걸려서 운행될 수 있도록 앞 바퀴축(16) 또는 뒷 바퀴축(25)에 걸기회전부(340)를 구성할 수 있다.
걸기회전부는 레일바이크의 앞 바퀴축(16) 또는 뒷 바퀴축(25)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축에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 또는 기능을 가진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5에서 보는 것처럼 그 하나의 예로 다각형 또는 원통형의 몸체부(341)와 접촉부(342)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접촉부는 베어링 등으로 구성하여 바퀴축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걸기회전부의 기능으로 경사운행부(300)의 걸기부가 용이하게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를 걸게 하고 또 용이하게 이탈하게 하는 작용을 함에 따라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의 운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경사운행부에 자동제어부(350)를 구성하여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경사운행부에 도착했을 때 경사운행부를 작동하게 하고,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경사운행부를 떠났을 때 경사운행부의 작동을 중지하게 하여 동력 절감을 할 수 있다.
자동제어부는 통상의 MCU, CPU 등의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고, 메모리, 정보전송 및 수신장치 등의 하드웨어를 구비하며 감지센서(351, 352)를 구비하는 제어장치 또는 수단으로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사운행부의 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경사운행부의 궤도부(320)는 와이어형 궤도부(321)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와이어형 궤도부(321)는 금속, 또는 합성고분자 물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와이어(322)가 궤도를 형성하며 회전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동력부(330)가 와이어에 동력을 전달하여 와이어를 회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 궤도부(321)에는 걸기부(310)가 집게형 걸기부(3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집게형 걸기부는 상기한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의 몸체에 구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집게형 걸기부(311)는 회전하는 와이어를 잡아서 고정하는 고정부(361), 집게작용부(36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부(361)는 와이어 궤도부의 와이어(322)를 잡아서 고정시켜 와이어와 함께 집게형 걸기부가 이동을 하게 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정부는 와이어에 대하여 일정한 마찰력을 형성하는 패드(pad) 또는 마찰판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집게작용부(362)는 상기한 고정부를 와이어에 잡아서 고정을 시키거나 풀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집게작용부는 상기한 고정부에 일정한 힘을 전달하게 하는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것처럼 고정부를 와이어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게 하거나 풀어주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집게작용부는 인력 또는 동력에 의한 힘을 작용받게 된다.
그 하나의 실시예로 집게작용부가 인력에 의한 힘을 작용받는 구조로 작용줄(363)을 이용한 것을 들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작용줄(363)은 레일바이크의 몸체에 장착되어 있는 가동장치(364)에 의하여 당겨지거나 풀어지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가동장치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 사람의 힘으로 상하로 움직여서 상기한 작용줄을 당기거나 풀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한 집게 작용부(362)에는 탄성부(365)가 구비될 수 있어 고정부가 와이어를 잡고 난 후에 힘이 풀렸을 때 용이하게 고정부를 와이어에서 이탈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탄성부는 통상의 스프링 등의 현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견인 기능을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견인기능을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레일을 이용한 운행수단을 생산, 제공, 유통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자전거, 레일썰매, 레일 바이크, 레일 카 등을 이용한 관광산업 및 운송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6 : 레일바이크 앞바퀴축 25 : 레일바이크 뒷바퀴축
100 : 몸체 110 : 전륜
120 : 후륜 200 : 레일
300 : 경사운행부 310 : 걸기부
320 : 궤도부 321 : 집게형 궤도부
322 : 와이어 330 : 동력부
340 : 걸기회전부 341 : 걸기회전부 몸체부
342 : 접촉부 350 : 자동제어부
351, 352 : 감지센서
360 : 집게형 걸기부 361 : 고정부
362 : 집게작용부 363 : 작용선
364 : 가동장치

Claims (4)

  1.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가 주행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의 경사진 부분에 설치되는 경사운행부(300)를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경사운행부(300)는 궤도부(320), 걸기부(310) 및 동력부(33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경사운행부는 와이어형 궤도부(321), 집게형 걸기부(360), 동력부(3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자전거, 레일썰매 또는 레일바이크 포함하는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
KR20130010257A 2013-01-30 2013-01-30 견인 기능을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 KR101496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0257A KR101496131B1 (ko) 2013-01-30 2013-01-30 견인 기능을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0257A KR101496131B1 (ko) 2013-01-30 2013-01-30 견인 기능을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777A true KR20140097777A (ko) 2014-08-07
KR101496131B1 KR101496131B1 (ko) 2015-02-26

Family

ID=5174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0257A KR101496131B1 (ko) 2013-01-30 2013-01-30 견인 기능을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8905A1 (en) * 2018-11-12 2020-05-22 Wiegand.Waterrides Gmbh Acceleration section for a water slid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7951A (ja) * 1997-02-04 1998-08-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運搬設備
JP4198444B2 (ja) 2002-11-12 2008-12-17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ケーブルカーの接続装置
JP5384238B2 (ja) 2009-07-21 2014-01-08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傾斜地輸送設備の予備駆動システム
KR101098524B1 (ko) 2011-04-18 2011-12-26 (주)한국에이앤지 급경사지에서 운행가능한 레일바이크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8905A1 (en) * 2018-11-12 2020-05-22 Wiegand.Waterrides Gmbh Acceleration section for a water slide
CN112601591A (zh) * 2018-11-12 2021-04-02 威岗水上游乐设施公司 用于水滑道的加速段
US11338213B2 (en) 2018-11-12 2022-05-24 Frank Heimes Acceleration section for a water slide
CN112601591B (zh) * 2018-11-12 2023-09-05 威岗水上游乐设施公司 用于水滑道的加速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131B1 (ko)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2057B2 (en) Vehicle
US5595121A (en) Amusement ride and self-propelled vehicle therefor
JP6666760B2 (ja) 電動式軌道台車
CN105774766B (zh) 一种重型单车防溜车装置及其控制方法
US9579578B2 (en) Zip line trolley retriever system
JP2004505738A5 (ko)
US10933943B2 (en) Uphill slope hold and start assistance for electric vehicles
JPH08150982A (ja) 電動自転車の駆動制御装置
JP2008013154A (ja) ショルダーベルト牽引型台車
KR101496131B1 (ko) 견인 기능을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
CN106185207A (zh) 一种可调速的楼梯运输装置及方法
CN1886314B (zh) 轨道运送工具的重力运输系统以及该运输系统的应用
JP2011235865A (ja) 台車スケーター
KR101503267B1 (ko) 급곡선 및 급구배의 운행이 가능한 레일 바이크
CN105311820B (zh) 一种代步的滑行鞋
US3831526A (en) Viaduct for small, powered, passenger vehicles
JP2016168901A (ja) 二輪車搭載用索道搬器
CN211281167U (zh) 一种刹车机构及包括该刹车机构的手推车
CN204222536U (zh) 一种用于爬楼的车轮
KR101538459B1 (ko) 지상주행 및 공중주행이 가능한 레져용 차량장치
US11033801B2 (en) Detachable powered push carts
JPH05131920A (ja) 軌条走行併用ハイブリツド型循環式索道
CN206704427U (zh) 一种行走电动自行车
KR101658215B1 (ko) 레일 자전거
CN212220481U (zh) 一种山地滑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