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643A -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643A
KR20140097643A KR1020130009226A KR20130009226A KR20140097643A KR 20140097643 A KR20140097643 A KR 20140097643A KR 1020130009226 A KR1020130009226 A KR 1020130009226A KR 20130009226 A KR20130009226 A KR 20130009226A KR 20140097643 A KR20140097643 A KR 20140097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frequency signal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0826B1 (ko
Inventor
문성운
문성억
양은식
최주영
김정호
채성제
한성일
김미현
Original Assignee
(주)인터랙티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랙티비 filed Critical (주)인터랙티비
Priority to KR20130009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82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사 시스템을 통해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표시장치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상품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상품정보와 관련하여 입찰순서에 따른 상품 상세정보를 노출하는 광고 노출부, 및 상기 노출된 상품 상세정보에서 선택된 상품 상세정보와 관련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COMMERCI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광고를 노출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공중파 방송을 제공할 때, 방송국에서는 드라마, 오락, 스포츠 등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중간중간에 광고방송을 노출한다. 이러한, 광고방송은 기업체에서 방송국에 광고내용을 전달하고, 방송국에서 계약을 통해 정한 시간대에 광고방송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는 중간중간에 광고방송을 제공하는 것은, 시청자들에게 소정의 관심이나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지역, 시간대 및 환경에 따라 그런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는 흔치 않으며, 오히려 광고방송 자체가 시청자들로 하여금 짜증을 유발하여 공해로 취급될 때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방송 프로그램 내에 PPL(Product PLacement)이라 하여, 간접광고를 하고 있다. 이 경우,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는 중간에 제공하는 광고방송보다 광고효과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 TV의 보급으로 현재 노출되고 있는 광고방송의 상품을 바로 구매하려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홈쇼핑 광고가 아닌 이상 노출되는 상품을 바로 구매하기 쉽지 않고, 상품이 노출되는 시간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광고방송 중에 바로 상품 구매로 이어지는 일은 매우 드물다. 특히, 드라마 내에 배우가 들고 있는 가방, 의류, 신발 등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방송국과 제휴가 된 일부 판매자들의 상품정보만을 제공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광고주들에게는 텔레비젼을 통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시청자들의 집중도가 높은 상태에서 광고를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상품을 홍보할 수 있고, 상품 구매로 이어질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선정된 대역의 저주파 신호를 방송 콘텐츠에 상품정보로서 포함시켜, 표시장치로 출력함으로써, 저주파 신호를 인지한 외부기기로 편리하게 출력된 저주파 신호에 매칭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리모컨, 스마트 기기와 같은 외부기기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와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판매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방송 콘텐츠와 함께 노출되는 상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스마트 기기 내 어플리케이션이 상품정보로서 출력된 저주파 신호를 인식하여,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상품 상세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방송중인 상품을 구매하거나, 판매처에서 스마트 기기로 상품 광고를 위한 전화를 연결할 수 있는,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시스템은 방송사 시스템을 통해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표시장치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상품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상품정보와 관련하여 입찰순서에 따른 상품 상세정보를 노출하는 광고 노출부, 및 상기 노출된 상품 상세정보에서 선택된 상품 상세정보와 관련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상품정보로서 선정된 대역의 저주파 신호를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하여,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광고 노출부는 상기 저주파 신호와 매칭되는 상품 상세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에 노출하거나, 상기 저주파 신호와 매칭되는 상품 상세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광고 노출부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위치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장치에 사전에 저장된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와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판매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고 노출부는 상기 저주파 신호에 의해 스마트 기기 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품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은 상품 노출영역별로 상이한 광고비용에 따라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상품 상세정보를 입찰받는 광고 입찰부, 상품정보별 입찰된 상품 상세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상품정보와 연관된 저주파 신호를 부여하는 저주파 관리부, 및 상기 부여된 저주파 신호 및 상기 저주파 신호가 부여된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저주파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방법은 방송사 시스템을 통해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표시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상품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상품정보와 관련하여 입찰순서에 따른 상품 상세정보를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된 상품 상세정보에서 선택된 상품 상세정보와 관련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선정된 대역의 저주파 신호를 방송 콘텐츠에 상품정보로서 포함시켜, 표시장치로 출력함으로써, 저주파 신호를 인지한 외부기기로 편리하게 출력된 저주파 신호에 매칭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컨, 스마트 기기와 같은 외부기기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와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판매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방송 콘텐츠와 함께 노출되는 상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 내 어플리케이션이 상품정보로서 출력된 저주파 신호를 인식하여,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상품 상세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방송중인 상품을 구매하거나, 판매처에서 스마트 기기로 상품 광고를 위한 전화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장치에서 상품 노출영역별로 상이한 광고비용에 따라 상품정보를 입찰받음으로써, 사용자 눈에 잘 띄는 영역은 광고비용을 높게 책정하고, 사용자 눈에 잘 띄지 않는 영역은 광고비용을 낮게 책정할 수 있어 광고주는 보다 합리적인 광고비용을 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 내에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된 상품 카테고리, 상품 알림 시간, 관심 상품 등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인지한 저주파 신호에 매칭되는 상품 상세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 상품 광고에 따른 구매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광고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상품정보를 입찰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입찰된 상품에 대해 저주파 신호를 부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방송 콘텐츠에 상품정보를 노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통해 노출된 상품을 구매하는 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통해 노출된 상품을 구매하는 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광고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방송, 광고를 보면서 표시장치 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또는 연동된 스마트 기기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양방향 상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광고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광고주 단말기(기타 광고주, 영상광고 광고주, On/Offline 광고주)는 광고 관리 시스템으로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 상세정보를 등록하기를 요청할 수 있다(A-1). 예컨대, 상기 광고주 단말기는 '피자'라는 상품정보에 대하여, '피자헛', '도미노 피자'에 해당하는 다양한 상품 상세정보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은 상품정보별 상품 상세정보를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광고 광고주는 상품정보에 대한 영상광고를 제작하는 광고주로서, 새로운 영상광고가 나온경우,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으로 상품정보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B-1).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 내 저주파 관리부는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정보 중 매칭되는 상품정보에 대한 저주파 신호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B-2). 이 경우, 상기 저주파 관리부는 상품정보 별로 고유한 상품 아이디를 발급하고, 발급된 상품 아이디별로 저주파 신호를 부여할 수 있다(B-3). 즉, 상기 저주파 관리부는 상기 요청된 상품정보가 '피자'인 경우,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피자'라는 상품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피자'라는 상품정보에 대해 저주파 신호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은 저주파 신호별 상품정보를 저주파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동시에 또는 선행적으로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은 저주파 신호를 발급받은 영상광고 광고주를 포함한 모든 광고주로부터 상품 상세정보를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저주파 신호를 삽입한 상품정보가 업데이트되면, 광고주 단말기는 업데이트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광고가 방송될 때 매칭하여 노출할 상품을 입찰을 통해 등록할 수 있다. 즉,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은 A-1과 B-1 내지 B-3까지 동시 수행하거나, A-1이 선행된 후, B-1 내지 B-3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은 상기 부여된 저주파 신호와 상기 저주파 신호에 매칭되는 상품정보를 방송사 시스템에 제공함으로써, 방송 콘텐츠에 상품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B-4). 상기 방송 콘텐츠는 방송국(broadcasting[radio TV] station)에서 송출하는 모든 음성, 이미지, 영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상기 방송 콘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이거나, 광고방송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방송사 시스템은 방송 콘텐츠 중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이 노출되는 부분 또는 광고 방송에 상품정보를 알려주는 저주파 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주파 신호는 사용자 귀에 들리지 않는 비가청대역에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보내는 기술로 20~22Khz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송사 시스템은 상기 상품정보가 저주파 신호 및 화면표시 형태로 포함된 방송 콘텐츠를 표시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B-5).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방송 콘텐츠와 함께 상품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표시장치 및 외부기기는 상기 출력된 상품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B-6). 상기 표시장치는 저주파 신호가 삽입된 방송 콘텐츠가 송출될 때, 구비된 음성인식 마이크가 저주파 신호를 인지하거나, 연동된 외부기기인 스마트 기기의 쇼핑 애플리케이션이 저주파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장치는 스마트 TV,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는 리모컨, 스마트 기기, 노트북,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를 인지한 상기 외부기기는 상품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상품 상세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B-7)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선택된 상품정보와 관련하여 입찰순서에 따른 상품 상세정보를 상기 표시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B-8). 만약, 상기 외부기기로서 스마트 기기가 이용된 경우,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기기 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품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B-8). 상기 표시장치 및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상품 상세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B-9).
상기 사용자는 상기 상품 상세정보를 보고,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상세정보를 선택함으로써,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B-10). 이 경우,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선택된 상품 상세정보와 관련된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B-11).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상품 상세정보 선택이 표시장치에서 이루어진 경우, 표시장치 플랫폼을 통해 결제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상품 상세정보 선택이 스마트 기기에서 이루어진 경우,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광고 관리 시스템(200)은 저주파 관리부(210), 저주파 데이터베이스(220), 콘텐츠 제공부(230), 상품 데이터베이스(240), 광고 입찰부(250), 광고 노출부(260), 판매처 데이터베이스(270), 및 결제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입찰부(250)는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 상세정보 등록을 요청받으면, 상품 노출영역별로 상이한 광고비용에 따라 상품 상세정보를 입찰받을 수 있다. 광고 입찰부(250)는 상품정보 별로 복수의 상품 상세정보를 입찰할 수 있다. 광고 입찰부(250)는 입찰된 상품 상세정보를 상품정보별로 상품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주파 관리부(210)는 상품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상품정보와 연관된 저주파 신호를 부여할 수 있다. 저주파 관리부(210)는 상기 부여된 저주파 신호를 저주파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상품정보를 입찰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XX마켓, 00번가, 경매 등의 온라인, 오프라인 광고주 단말기는 광고 관리 시스템에 로그인하여(310), 상품 상세정보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320).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은 등록되는 모든 상품에 대해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고유의 상품 아이디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 입찰부(250)는 상품 모델명, 상품명,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자동 분류하여, 등록 요청된 상품을 매칭할 수 있다(330). 만약,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에 미등록된 상품이 있는 경우, 광고 입찰부(250)는 심사에 의해 상품 아이디를 추가 발급함으로써, 상품 등록을 승인할 수 있다(350). 광고 입찰부(250)는 상기 승인이 되어야, 상품 데이터베이스(240)에 상기 등록 요청한 상품 상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340).
도 4는 입찰된 상품에 대해 저주파 신호를 부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저주파 관리부(210)는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정보에 매칭하여 상품정보별로 저주파 신호를 부여할 수 있다(410). 실시예로, 상기 저주파 관리부는 20~22KHz의 주파수대역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 방식을 적용한 저주파를 적용할 수 있다. 저주파 관리부(210)는 기(旣)설정된 패턴의 저주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기설정된 패턴은 음파의 주파수와 진폭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기설정된 음파의 파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패턴의 음파는 고주파음과 저주파음이 번갈아 반복되는 파형을 가진 음파가 될 수도 있고, 큰 소리(높은 진폭)의 음과 작은 소리(낮은 진폭)의 음이 번갈아 반복되는 파형을 가진 음파가 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저주파 관리부는 이중 저주파 음파를 저주파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방송 콘텐츠에 연관된 상품정보는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일반 광고주들이 상품 입찰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420).
광고 입찰부(250)는 방송 중 등록된 상품이 있을 때 입점 광고주 상품과 일치하는 또는 유사한 상품을 우선 노출 할 수 있는데 이를 입찰 방식으로 하여 상품을 노출할 수 있다(430). 광고 입찰부(250)는 저주파 신호를 생성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 아이디를 가진 광고주에게 입찰 가능한 상품 리스트를 제공한다(440). 만약, 광고주가 '자동 입찰'을 선택한 경우, 광고 입찰부(250)는 입찰 가능한 상품 리스트별로 입찰이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광고 입찰부(250)는 입찰 총 예산/입찰 가능한 상품리스트 수 * 노출 시간으로 상품을 입찰할 수 있다. 또는, 광고 입찰부(250)는 상기 광고주가 입찰 체크한 상품 리스트가 있는 경우 체크된 상품 리스트 수를 가지고 총 예산에 맞춰 자동 입찰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광고주 설정에서 '수동 입찰'을 선택한 경우, 광고 입찰부(250)는 입찰 가능한 상품 리스트를 확인하고 사이트 접속 후 해당 상품에 대해 입찰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방송 콘텐츠에 상품정보를 노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콘텐츠 제공부(230)는 방송사 시스템을 통해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표시장치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스마트 TV,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TV에서 방송되는 모든 형태의 방송 콘텐츠에 상기 상품정보를 적용 할 수 있다. 즉, 방송 제작 시, 또는 제작 후 편집 시 방송 콘텐츠에 태그를 삽입하여 스마트 TV에 방송 콘텐츠가 출력될 때 다양한 방법으로 상품정보를 노출 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상품은 기본적으로 스마트 TV 내에 있는 쇼핑 애플리케이션에 상품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실시예로, 콘텐츠 제공부(230)는 스마트 커머스 상품이 연결된 방송 콘텐츠 송출 시, '팝업 푸시'의 형태로 상품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510). 이때, 상품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리모컨 연결버튼 등 다양한 형태의 팝업 제작이 이용 가능하고, 광고주가 원하는 액션을 팝업에 선택사항으로 넣어 보다 상호작용하는(Interactive) 상품정보를 노출을 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전환 시 팝업 푸시로 스마트 커머스 방송임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부(230)는 비교 상품 찾기, 상품 주문하기, 스크랩하기 등 다양한 선택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콘텐츠 제공부(230)는 스마트 커머스 상품이 연결된 방송 콘텐츠 송출 시, '스크랩 버튼'을 노출하여 정보를 스크랩하거나, 상품 주문을 바로 할 수 있도록 한다(520). 즉, 사용자가 방송 콘텐츠 시청 중 외부기기로 스크랩 버튼을 클릭하면, 표시장치에서 확인 후, 판매처 데이터베이스(270)를 참고하여 바로 상품구매할 수 있는 판매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품 구매 시, 스크랩한 상품을 확인하고 선택하여 일괄 결제 할 수 있다. 스크랩 버튼은 스마트 커머스 설정에 의해 노출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Pick 모드 설정)
또 다른 실시예로, 콘텐츠 제공부(230)는 스마트 커머스 상품이 연결된 방송 콘텐츠의 시작/중간/종료시점에 표시장치에 상품정보를 노출하고, 상품 구매 가능하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530). 이는, 보다 소극적인 스마트 커머스 상품 노출 방법으로 사용자의 거부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230)는 방송 콘텐츠 중간중간에 상품정보가 노출되는 임의의 시점을 알릴 수 있다.
이렇게, 상품정보가 방송 콘텐츠에 포함되어 노출되는 경우, 광고 노출부(260)는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노출된 상품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상품정보와 관련하여 입찰순서에 따른 상품 상세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540). 상품 상세정보는 상기 상품정보와 달리, 상품명, 이미지, 상품가격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상세정보는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정보에 대한 것일 수도 있고, 하나의 상품정보에 대해 복수의 판매처에서 판매하는 정보일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통해 노출된 상품을 구매하는 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표시장치에 방송 콘텐츠가 출력될 때, 표시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로 저주파 신호를 인지하여 커머스 에이전트에서 화면에 팝업 아이콘을 노출할 수 있다(610). 팝업 아이콘은 주문 아이콘, 직접 상품 노출, 광고문구 등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다. 아이콘의 종류에 따라 화면에서 또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구매를 위한 커머스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광고 노출부(260)는 저주파 신호와 매칭되는 상품정보를 입찰 순서에 따라 화면에 노출한다(620). 외부기기인 '리모컨'을 이용하여 표시장치의 화면에서 '주문하기'를 클릭한 경우, 결제 제어부(280)는 선택한 상품 상세정보와 관련된 결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품 결제까지 모두 진행할 수 있다. 또는, '다른 매장정보보기'를 클릭한 경우, 결제 제어부(280)는 외부기기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판매처 정보를 순서대로 제공할 수 있다.
외부기기가 '스마트 기기'인 경우, 광고 노출부(260)는 표시장치의 화면에 전화번호 입력을 요청하여 입력된 전화번호의 스마트 기기로 상품정보를 전송하거나, 사전에 페어링한 스마트 기기에 상품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630).
정보 전송 시, 광고 노출부(260)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의 위치를 체크하여 가까운 위치의 이용 가능한 판매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640). 이때, 광고 노출부(260)는 표시장치나 스마트 기기에서 상품정보가 선택되었을 때, 최고가 광고비용을 제시한 1개의 판매처 정보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 노출부(260)는 "다른매장 정보보기"를 선택한 경우, '670'과 같은 상기 광고비용보다 적은 광고비용을 지불한 복수의 판매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한 기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광고 노출부(260)는 상기 스마트 기기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판매처로 전화번호를 전송하여, 판매처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화를 걸도록 할 수 있다(650). 또는,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기기로 판매처로 바로 전화연결할 수도 있다(660). 이 경우,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은 상품 주문당 수익(CPO: COST Per Oder)이 발생한 부분에 있어서 일정수수료를 상기 판매처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광고 노출부(260)는 입찰여부, 근거리 기준으로 판매처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670).
도 7를 참고하면, 표시장치에 방송 콘텐츠가 출력될 때, 표시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고(710), 광고 노출부(260)는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상기 저주파 신호를 받으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720).
이때, 설정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관심 카테고리, 관심 상품, 알림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정보를 선별적으로 노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한 기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광고 노출부(260)는 상기 스마트 기기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판매처로 전화번호를 전송하여, 판매처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화를 걸도록 할 수 있다(730). 또는,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기기로 판매처로 바로 전화연결할 수도 있다(740). 또는, 광고 노출부(260)는 입찰여부, 근거리 기준으로 판매처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750).
도 8 및 도 9는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통해 노출된 상품을 구매하는 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표시장치에 방송 콘텐츠가 출력될 때, 표시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고(810), 결제 제어부(280)는 '주문하기'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저주파 신호에 매칭되는 상품에 대한 판매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820). 또는, 결제 제어부(280)는 입찰여부, 근거리 기준으로 복수의 타 판매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830, 840).
결제 제어부(280)는 상기 판매처 정보에서 '주문하기'가 선택된 경우, 전화기 기능이 있는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바로 전화 주문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는 인터넷 전화기능이 탑재된 리모컨일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표시장치에 방송 콘텐츠가 출력될 때, 표시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고, 화면에 팝업정보(상품정보, 주문하기 등)를 노출할 수 있다(910). 결제 제어부(280)는 상기 팝업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저주파 신호에 매칭되는 상품에 대한 판매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920). 또는, 결제 제어부(280)는 입찰여부, 근거리 기준으로 복수의 타 판매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930, 940).
결제 제어부(280)는 상기 판매처 정보에서 '주문하기'가 선택된 경우, 주문자 정보(010-123-1234)를 입력받아, 선택된 상품을 주문할 수 있도록 한다(950). 이 경우, 상기 광고 관리 시스템은 상품 주문당 수익이 발생한 부분에 있어서 일정수수료를 상기 판매처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단계 S10에서, 광고 관리 방법은 방송사 시스템을 통해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표시장치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광고주 단말기(기타 광고주, 영상광고 광고주, On/Offline 광고주)는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 상세정보를 등록하기를 요청하고, 상기 광고 관리 방법은 상품정보별로 상기 등록 요청된 상품 상세정보를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광고 광고주는 상품정보에 대한 영상광고를 제작하는 광고주로서, 새로운 영상광고가 나온 경우 상품정보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광고 관리 방법은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정보 중 매칭되는 상품정보에 대한 저주파 신호가 있는지 확인하여, 상품정보별로 저주파 신호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광고 관리 방법은 저주파 신호별 상품정보를 저주파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저주파 신호를 삽입한 상품정보가 업데이트되면, 광고주 단말기는 업데이트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광고가 방송될 때 매칭하여 노출할 상품을 입찰을 통해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광고 관리 방법은 상기 부여된 저주파 신호와 상기 저주파 신호에 매칭되는 상품정보를 방송사 시스템에 제공함으로써, 방송 콘텐츠에 상품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방송 콘텐츠는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모든 음성, 이미지, 영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상기 방송 콘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이거나, 광고방송일 수 있다.
단계 S20에서, 상기 광고 관리 방법은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상품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광고 관리 방법은 도 5와 같이, '팝업 푸시', '스크랩 버튼'이 외부기기에 의해 선택되거나, 방송 콘텐츠의 시작/중간/종료시점에 노출되는 상품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광고 관리 방법은 단계 S30을 수행하고, 상기 상품정보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광고 관리 방법은 단계 S1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30에서, 상기 광고 관리 방법은 상기 상품정보와 관련하여 입찰순서에 따른 상품 상세정보를 노출한다. 상기 상품 상세정보는 상기 상품정보와 달리, 상품명, 이미지, 상품가격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상세정보는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정보에 대한 것일 수도 있고, 하나의 상품정보에 대해 복수의 판매처에서 판매하는 정보일 수도 있다.
단계 S40에서, 상기 광고 관리 방법은 상기 노출된 상품 상세정보에서 선택된 상품 상세정보와 관련된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사용자는 전화기능이 있는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바로 상품 주문을 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는 인터넷 전화기능이 탑재된 리모컨이거나,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광고 관리 시스템
210: 저주파 관리
220: 저주파 데이터베이스
230: 콘텐츠 제공부
240: 상품 데이터베이스
250: 광고 입찰부
260: 광고 노출부
270: 판매처 데이터베이스
280: 결제 제어부

Claims (12)

  1. 방송사 시스템을 통해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표시장치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상품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상품정보와 관련하여 입찰순서에 따른 상품 상세정보를 노출하는 광고 노출부; 및
    상기 노출된 상품 상세정보에서 선택된 상품 상세정보와 관련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광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상품정보로서 선정된 대역의 저주파 신호를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하여,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광고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노출부는,
    상기 저주파 신호와 매칭되는 상품 상세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에 노출하거나,
    상기 저주파 신호와 매칭되는 상품 상세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광고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노출부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위치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장치에 사전에 저장된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와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광고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노출부는,
    상기 저주파 신호에 의해 스마트 기기 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품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광고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품 노출영역별로 상이한 광고비용에 따라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상품 상세정보를 입찰받는 광고 입찰부;
    상품정보별 입찰된 상품 상세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상품정보와 연관된 저주파 신호를 부여하는 저주파 관리부; 및
    상기 부여된 저주파 신호 및 상기 저주파 신호가 부여된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저주파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광고 관리 시스템.
  7. 방송사 시스템을 통해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표시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상품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상품정보와 관련하여 입찰순서에 따른 상품 상세정보를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된 상품 상세정보에서 선택된 상품 상세정보와 관련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를 표시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정보로서 선정된 대역의 저주파 신호를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하여,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상세정보를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저주파 신호와 매칭되는 상품 상세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에 노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저주파 신호와 매칭되는 상품 상세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품 상세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위치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장치에 사전에 저장된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와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판매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관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상세정보를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저주파 신호에 의해 스마트 기기 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품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관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품 노출영역별로 상이한 광고비용에 따라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상품 상세정보를 입찰받는 단계;
    상품정보별 입찰된 상품 상세정보를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정보와 연관된 저주파 신호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여된 저주파 신호 및 상기 저주파 신호가 부여된 상품정보를 저주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관리 방법.
KR20130009226A 2013-01-28 2013-01-28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90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9226A KR101490826B1 (ko) 2013-01-28 2013-01-28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9226A KR101490826B1 (ko) 2013-01-28 2013-01-28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643A true KR20140097643A (ko) 2014-08-07
KR101490826B1 KR101490826B1 (ko) 2015-02-10

Family

ID=5174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9226A KR101490826B1 (ko) 2013-01-28 2013-01-28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8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153B1 (ko) * 2016-07-20 2017-02-17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광고플랫폼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장치
KR20220095716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유즈플레이스 Iptv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260B1 (ko) * 2015-12-28 2018-05-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초음파 통신을 이용한 TV 시청률 조사 혹은 실시간 T-Commerce 연동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0337A (ja) 2000-05-10 2001-11-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音響信号伝達方法および音響信号伝達装置および記憶媒体
KR20070072773A (ko) * 2006-01-02 2007-07-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방송노출상품 구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0326B1 (ko) * 2008-05-16 2010-07-15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의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JP2012155706A (ja) * 2011-01-07 2012-08-16 Yamaha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識別情報解決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153B1 (ko) * 2016-07-20 2017-02-17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광고플랫폼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장치
KR20220095716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유즈플레이스 Iptv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렌탈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826B1 (ko) 201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2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commerce in network broadcasting
CN106971336A (zh) 在线购物的方法及装置
KR20150105484A (ko) 콘텐츠 배달 시스템에서 이미지 매칭을 통하여 거래들을 촉진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98815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audio and projected visual content
US20150178788A1 (en) Media service recommendation and selection
KR101753160B1 (ko) 인터넷 홈쇼핑 시스템 장치
KR101533670B1 (ko) 오픈 마켓 시스템의 멀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490826B1 (ko)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77299A (ko) 인터넷을 통한 오픈마켓에서의 생방송 판매 서비스를 위한ui 시스템 및 방법.
US20120053999A1 (en) Delivering Highly 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a Coupon-Exchanging System
KR101213234B1 (ko) 광고 경매 방법, 이에 적합한 기록 매체 그리고 광고 경매시스템
JP7302820B2 (ja) ポイントシステム
KR101667373B1 (ko) 광고 영상을 방송하는 광고상품에 대한 광고중개서버의 중개방법 및 그 광고중개서버
KR101265761B1 (ko) Iptv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장치 및 그 방법
JP3670205B2 (ja) 広告商品情報配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200065893A1 (en) Method for auctioning bidding product, linked with product sales volume
KR101731386B1 (ko) 광고 오픈 마켓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장치
JP2003299122A (ja) 広告効果測定方法および広告効果測定プログラム
KR102569947B1 (ko) 지역 기반 라이브 커머스 시스템
KR102192158B1 (ko) 상품 판매량과 연동되는 비딩상품 경매 방법
AU2011200098A1 (en) An Offer Amalgamation system
KR101069070B1 (ko) Tv 홈쇼핑 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8969A (ko) 사운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확인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상품 거래 지원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90075685A (ko) 실시간 방송 주파수의 매칭을 통한 광고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200065217A (ko) 게임 콘텐츠 기반 상품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