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815A - 방수 접속함 - Google Patents

방수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815A
KR20140095815A KR1020130008677A KR20130008677A KR20140095815A KR 20140095815 A KR20140095815 A KR 20140095815A KR 1020130008677 A KR1020130008677 A KR 1020130008677A KR 20130008677 A KR20130008677 A KR 20130008677A KR 20140095815 A KR20140095815 A KR 20140095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terminal
cap
power
waterproof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하창완
Original Assignee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8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5815A/ko
Publication of KR2014009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02B1/0523Mounting on rails locked into position by a slid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방수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수 접속함을 통해 작업자가 1차 전원과 2차 전원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수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수 접속함은 하부케이스 외측에 외부 전원이 유입되는 인입소켓과, 인입소켓으로 유입된 전원을 가로등에 공급하는 인출소켓과, 인입소켓으로 유입된 전원을 인접한 가로등 방수 접속함에 공급하는 연결소켓을 구비한 방수 접속함에 있어서, 단락점을 구비하여 상기 인입소켓과 연결소켓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전함; 상기 배전함의 단락점에 설치된 터미널; 상기 하부케이스와 체결되었을 때 상기 터미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홀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홀을 밀폐하는 캡; 상기 캡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촉하는 접촉단자; 상기 접촉단자를 통전시키는 컨덕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방수 접속함 {Waterproof ytpe a power distributor}
본 발명은 도로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방수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수 접속함을 통해 작업자가 1차 전원과 2차 전원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수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과 도로에 설치된 가로등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어두운 밤을 밝혀 보행자와 야간도로의 차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가로등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 1과 같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방수 접속함(100)을 구비하는데, 상기 방수 접속함(100)은 캡(107), 인입소켓(103), 인출소켓(104), 연결소켓(105), 차단기 방수커버(106), 케이스(101)(102)가 방수처리되어 외부로부터 물기가 스며들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 접속함(100)에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면 방수 접속함(100)을 통해 가로등의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고, 방수 접속함(100)에 공급된 전원은 인접한 가로등의 방수 접속함(100)으로 공급되어 인접한 가로등을 밝히며, 인접한 가로등의 방수 접속함(100)으로 공급된 전원은 인접한 또 다른 가로등의 방수 접속함(100)으로 공급되어 가로등을 밝히도록 구성된다.
도 2의 좌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가로등, 제2가로등, 제3가로등이라고 명명한다면, 각 가로등에는 도 1과 같은 방수 접속함(100)이 설치된다.
제1가로등의 방수 접속함(10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선이 인입소켓(103)에 연결되고, 인입소켓(103)으로 공급된 전원은 인출소켓(104)을 통해 가로등으로 공급되며, 인입소켓(103)을 통해 공급된 전원 중 일부는 연결소켓(105)을 통해 인접한 제2가로등의 방수 접속함(100)의 인입소켓(103)으로 연결되어 제2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2와 같이 방수 접속함(100)을 통해 각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로등을 밝히도록 구성되는데, 특정 가로등이 고장나거나 누전이 발생하면 고장난 가로등을 찾거나 검사하기 위해 작업자가 가로등에 설치된 방수 접속함(100)의 캡(107)을 열어 점검기로 점검하여야 한다.
작업자가 가로등의 방수 접속함(100) 캡(107)을 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홀(108)을 통해 각각 터미널(110)에 볼트로 체결된 버스바(111)가 노출된다.
작업자는 홀(108)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버스바(111)를 터미널(110)에 고정하는 볼트를 풀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111)를 회전시켜서 1차 전원과 2차 전원을 단락시킨 후 점검기를 통해 1차 전원과 2차 전원을 테스트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버스바(111)는 터미널(110)을 연결하여 인입소켓(103)을 통해 들어오는 1차 전원과 연결소켓(105)을 통해 나가는 2차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작업자는 드라이버로 캡(107)을 상부케이스(101)에 고정하는 나사를 풀고, 버스바(111)를 터미널(110)에 고정하는 각각의 볼트를 다 풀고 난 후, 버스바(111)를 회전시켜 점검한 후에 다시 버스바(111)를 회전시켜 볼트로 터미널(1100에 일일이 조여 고정시킨 후 캡(107)을 씌워야 하므로 직렬로 연결된 수많은 가로등 중 문제가 발생한 가로등 지점을 찾기 위해 각각의 가로등 방수 접속함(100)을 점검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194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가로등에 설치된 방수 접속함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방수 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수 접속함은 하부케이스 외측에 외부 전원이 유입되는 인입소켓과, 인입소켓으로 유입된 전원을 가로등에 공급하는 인출소켓과, 인입소켓으로 유입된 전원을 인접한 가로등 방수 접속함에 공급하는 연결소켓을 구비한 방수 접속함에 있어서, 단락점을 구비하여 상기 인입소켓과 연결소켓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전함; 상기 배전함의 단락점에 설치된 터미널; 상기 하부케이스와 체결되었을 때 상기 터미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홀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홀을 밀폐하는 캡; 상기 캡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촉하는 접촉단자; 상기 접촉단자를 통전시키는 컨덕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캡의 내면에는 단부에 스토퍼가 구비된 슬라이드바가 돌출형성되고, 접촉단자가 돌출 형성된 컨덕터의 홀에 상기 슬라이드바가 삽입되어 컨덕터가 슬라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캡과 컨덕터 사이에는 스프링이 형성되어 컨덕터를 탄력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수 접속함은 작업자가 방수 접속함으로부터 캡을 분리한 뒤에 다른 작업을 할 필요 없이 곧바로 점검기를 통해 이상유무를 점검할 수 있고, 재조립시 캡을 씌우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자가 점검을 매우 간편하고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방수 접속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방수 접속함을 통해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도.
도 3은 종래의 방수 접속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캡을 연 상태의 종래 방수 접속함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버스바를 회전시킨 상태의 종래 방수 접속함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수 접속함 캡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수 접속함 캡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수 접속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방수 접속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방수 접속함을 통해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방수 접속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캡을 연 상태의 종래 방수 접속함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버스바를 회전시킨 상태의 종래 방수 접속함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수 접속함 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수 접속함 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의 방수 접속함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01)와 하부케이스(102)로 접속함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02)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인입소켓(103)과,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출소켓(104)과, 인접한 다른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소켓(105)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소켓(103)은 하부케이스(102)의 배전함(109)을 통해 연결소켓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전함(109)은 전선(미도시)과, 누전차단기(미도시)를 통해 인출소켓(104)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소켓(103)과 연결소켓(105)의 전기적 연결은 배전함(109)을 통해 연결되되,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인입소켓(103)과 연결소켓(105)이 연결된 터미널(11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버스바(111)가 상기 터미널(110)과 접촉함으로써 인입소켓(103)과 연결소켓(105)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인입소켓(103)과 연결소켓(105)을 배전함(109)이 단락점을 구비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배전함(109)의 단락점에는 터미널(110)을 형성하고, 버스바(111)를 통해 터미널(110)을 통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01)를 하부케이스(102)에 체결하였을 때 상기 버스바(111)가 위치하는 상부의 상부케이스(101)에 홀(108)을 형성하고, 상기 홀(108)에 캡(107)을 덮어 물이나 이물질이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가로등이 고장나거나 누전이 발생하면 고장난 가로등을 찾거나 검사하기 위해 작업자가 가로등에 설치된 방수 접속함(100)의 캡(107)을 열어 점검기로 터미널(110)을 통해 인입소켓(103)측의 1차 전원 또는 연결소켓(105)측의 2차 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점검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방수 접속함(100)은 이상유무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로 캡(107)을 상부케이스(101)에 고정하는 볼트를 풀어 캡(107)을 분리하고 드라이버로 터미널(110)의 나사를 풀어 버스바(111)를 회전시켜 1차전원(인입소켓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과 2차전원(연결소켓을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락시키면서 터미널(110)을 노출하여 점검기로 상기 터미널(110)을 통해 점검하여야만 한다.
즉, 종래의 방수 접속함(100)은 점검하기 위해서는 캡(107)을 분리하고, 터미널(110)에 체결된 버스바(111)를 풀어 회전시켜 단락시킨 후 터미널(110)을 노출시켜야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 접속함(100)은 상기와 같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 없이 상부케이스(101)에 체결된 캡(120)만 분리하면 점검기로 바로 점검할 수 있도록 방수 접속함(100)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수 접속함(100)은 도 3 및 도 5의 종래 방수 접속함(100)의 구성에서 터미널(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111)를 제거하고, 홀(108)을 밀폐하는 캡(120)의 내면에 터미널(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촉단자(122)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수 접속함(100)이 구성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20)의 내면에 터미널(110)과 접촉하는 접촉단자(122)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단자(122)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컨덕터(121)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캡(120)을 방수 접속함(100)의 상부케이스(101)에 볼트 체결하면 캡(120)이 홀(108)을 밀폐함과 동시에 캡(120)의 내면에 돌출된 접촉단자(122)가 터미널(110)과 접촉하여 인입소켓(103)과 연결소켓(10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된다.
작업자가 방수 접속함(100)을 점검할 때는 상부케이스(101)에 체결된 캡(120)을 열기만 하면 캡(120) 내부의 접촉단자(122)가 터미널(110)에서 분리되면서 1차전원과 2차전원이 단락됨과 동시에 터미널(110)이 홀(108)을 통해 노출되므로 작업자는 다른 작업을 할 필요 없이 캡(120)을 연 후 곧바로 점검기로 터미널(110)을 통해 이상유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점검이 끝난 후 다른 작업을 할 필요 없이 캡(120)을 닫기만 하면 캡(120) 하부에 돌출된 접촉단자(122)가 하부케이스(102)의 터미널(110)에 접촉하면서 인입소켓(103)과 연결소켓(105)이 전기적으로 통전되므로 점검이 끝난 작업자는 캡(120)을 닫는 작업 외의 다른 작업이 필요 없다.
도 7은 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에 스토퍼(124)를 구비한 슬라이드바(123)를 돌출시키고, 접촉단자(122)가 돌출된 컨덕터(121)가 상기 슬라이드바(123)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하며, 캡(120)의 내면과 컨덕터(121) 사이에 스프링(125)을 삽입하여 캡(120)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캡(120)은 스프링(125)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접촉단자(122)가 하부케이스(102)의 터미널(110)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통전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수 접속함(100)은 작업자가 캡(120)을 탈착한 뒤에 곧바로 점검기를 통해 점검할 수 있고, 재조립시 캡(120)을 씌우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자가 점검을 매우 간편하고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방수형 가로등 접속함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방수 접속함
101 : 상부케이스
102 : 하부케이스
103 : 인입소켓
104 : 인출소켓
105 : 연결소켓
106 : 차단기 방수커버
107 : 캡
108 : 홀
109 : 배전함
110 : 터미널
111 : 버스바
112 : 홈
120 : 캡
121 : 컨덕터
122 : 접촉단자
123 : 슬라이드바
124 : 스토퍼
125 : 스프링

Claims (2)

  1. 하부케이스(102) 외측에 외부 전원이 유입되는 인입소켓(103)과, 인입소켓(103)으로 유입된 전원을 가로등에 공급하는 인출소켓(104)과, 인입소켓(103)으로 유입된 전원을 인접한 가로등 방수 접속함(100)에 공급하는 연결소켓(105)을 구비한 방수 접속함(100)에 있어서,
    단락점을 구비하여 상기 인입소켓(103)과 연결소켓(10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전함(109);
    상기 배전함(109)의 단락점에 설치된 터미널(110);
    상기 하부케이스(102)와 체결되었을 때 상기 터미널(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홀(108)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01);
    상기 상부케이스(101)의 홀(108)을 밀폐하는 캡(120);
    상기 캡(120)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110)과 접촉하는 접촉단자(122);
    상기 접촉단자(122)를 통전시키는 컨덕터(12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접속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120)의 내면에는 단부에 스토퍼(124)가 구비된 슬라이드바(123)가 돌출 형성되고,
    접촉단자(122)가 돌출 형성된 컨덕터(121)의 홀에 상기 슬라이드바(123)가 삽입되어 컨덕터(121)가 슬라이드바(123)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캡(120)과 컨덕터(121) 사이에는 스프링(125)이 형성되어 컨덕터(121)를 탄력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가로등 접속함.
KR1020130008677A 2013-01-25 2013-01-25 방수 접속함 KR20140095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677A KR20140095815A (ko) 2013-01-25 2013-01-25 방수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677A KR20140095815A (ko) 2013-01-25 2013-01-25 방수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815A true KR20140095815A (ko) 2014-08-04

Family

ID=5174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677A KR20140095815A (ko) 2013-01-25 2013-01-25 방수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58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342B1 (ko) 2022-12-20 2023-05-12 주식회사 이너스텍 가로등 방수 접속함
KR102587067B1 (ko) 2023-04-19 2023-10-10 주식회사 이너스텍 가로등 방수 접속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342B1 (ko) 2022-12-20 2023-05-12 주식회사 이너스텍 가로등 방수 접속함
KR102587067B1 (ko) 2023-04-19 2023-10-10 주식회사 이너스텍 가로등 방수 접속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1366B2 (en) Meter socket bypass disconnect device
CN103181030B (zh) 电气穿墙端子
CN103477532B (zh) 不间断电源的维修进入点
US8036005B2 (en) Switching apparatus for grounding an inverter
KR20140095815A (ko) 방수 접속함
JP2008226621A (ja) 分岐付ケーブル
CN101855787A (zh) 接地端子座故障指示器
KR101344929B1 (ko) 부스바 키트
JP5106579B2 (ja) 端子台装置
KR101395091B1 (ko)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KR101859083B1 (ko) 가로등 분전함의 모듈형 분기장치
KR102621358B1 (ko) 변류기의 시험용 단자 분리대
KR200468427Y1 (ko) 휴대용 릴레이 검사장치
KR101834907B1 (ko) 가로등주의 접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
US10908215B2 (en)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n electrical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comprising such a monitoring unit
JP2016163362A (ja) 分電盤
KR101591373B1 (ko)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
KR101464455B1 (ko) 전원 회로 차단 장치
KR100186353B1 (ko) 부하 개폐기의 검정장치
CN206506161U (zh) 一种带熔断指示的新能源汽车高压配电盒
US20160064880A1 (en) Quick Connection Identification Module Junction Box
GB2063589A (en) Fuse carrier
CN202474744U (zh) 配电箱
CN107561394B (zh) 一种测试车载充电机低压供电的系统
KR20110041731A (ko) 도로시설물용 방수형 전선 접속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