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730A - 용존산소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용존산소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730A
KR20140095730A KR1020130008469A KR20130008469A KR20140095730A KR 20140095730 A KR20140095730 A KR 20140095730A KR 1020130008469 A KR1020130008469 A KR 1020130008469A KR 20130008469 A KR20130008469 A KR 20130008469A KR 20140095730 A KR20140095730 A KR 20140095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water
dissolving
dissolu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성
이호재
Original Assignee
마송현대자동차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송현대자동차공업(주) filed Critical 마송현대자동차공업(주)
Priority to KR1020130008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5730A/ko
Publication of KR2014009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0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 B01F33/408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 B01F23/21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 B01F23/21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using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존산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산소 용해도를 사용자의 용이하게 조절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산소의 용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용존산소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1차 산소용해탱크와 2차 산소용해탱크 사이에 용존산소수의 일부를 산소용해도조절공급관을 통하여 1차 산소용해탱크로 공급하는 산소용해도조절부가 구비되고, 2차 산소용해탱크에 산소용해도조절부의 제어를 위한 산소농도를 감지하는 산소농도센서가 구비되며, 1, 2차 산소용해탱크의 내부에 산소가 믹싱되어 공급되는 산소 믹싱수를 탱크내부로 분사하여서 산소가 나노화 용해되게 하는 산소용해유도노즐이 구비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1 차 산소용해탱크와 2차 산소용해탱크 사이에서 용존산소수의 일부를 1 차 산소용해탱크로 재공급하게 구성함으로써 산소용해도의 조절이 용이되며, 산소 믹싱수를 노즐을 이용하여 분사함으로써 산소가 나노화되어 그 용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존산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존산소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1차 산소용해탱크와 2차 산소용해탱크 사이에 용존산소수의 일부를 산소용해도조절공급관을 통하여 1차 산소용해탱크로 공급되는 산소용해도조절부를 구비되고, 2차 산소용해탱크에 산소용해도조절부의 제어를 위한 산소농도를 감지되는 산소농도센서를 구비되며, 1, 2차 산소용해탱크의 내부에 산소가 믹싱되어 공급되는 산소 믹싱수를 탱크내부로 분사하여서 산소가 나노화되어 용해되게 되는 산소용해유도노즐을 구비하여 구성하여서, 산소 용해도를 사용자의 용이하게 조절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산소의 용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존산소수 제조장치{Manufacturing equipment of Dissolved Oxygen Water}
본 발명은 용존산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존산소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1차 산소용해탱크와 2차 산소용해탱크 사이에 용존산소수의 일부를 산소용해도조절공급관을 통하여 1차 산소용해탱크로 공급되는 산소용해도조절부가 구비되고, 2차 산소용해탱크에 산소용해도조절부의 제어를 위한 산소농도를 감지되는 산소농도센서가 구비되며, 1, 2차 산소용해탱크의 내부에 산소가 믹싱되어 공급되는 산소 믹싱수를 탱크내부로 분사하여서 산소가 나노화되어 용해되게 하는 산소용해유도노즐이 구비되게 하여서, 산소 용해도를 사용자의 용이하게 조절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산소의 용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존산소수 제조장치는 용해산소(DO)함량을 증가시킨 용존산소수를 제조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용존산소수 제조장치에 의하여 산소가 함유된 용존산소수는 물고기나 기타 수중 생물의 생명을 보존할 뿐만 아니라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호전시키고, 폐수를 정화되며,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세척수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용존산소수 제조장치는 특허 등록954454호와 같이 물공급부와 산소공급부를 통해 각각 공급된 산소와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수용되는 제 1수용공간이 마련된 제 1용기와, 제 1용기의 배출구와 연통되며, 제 1용기의 외주면을 복수회 감아 혼합물이 이동하면서 용해되는 유로를 제공되는 제 1관로와, 제 1용기 및 제 1관로를 내부에 수용되고 제 1관로의 단부로부터 배출된 혼합물이 수용되는 제 2수용공간을 제공되는 제 2용기와, 제 2용기의 배출구와 연통되며, 제 2용기의 외주면을 복수회 감아 혼합물이 이동하면서 용해되는 유로를 제공되는 제 2관로를 구비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관로를 통해 산소 및 물이 유동되는 유로를 확장하므로 장치 내에 유입되는 물의 산소와의 접촉시간을 연장시켜 다량의 산소가 용해되어 있는 용존산소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용존산소수 제조장치는 관로를 따라 물이 순환되는 과정에 물과 산소의 접촉시간을 늘려 용해 산소를 증가시킨 것으로서, 산소 용해율이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용존산소수 제조장치는 물과 산소의 접촉시간을 길게 하기 위하여 관로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그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오염에 대한 대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제0954454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용존산소수 제조 장치가 그 구조가 복잡되고 산소의 용해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산소 용해율의 조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용존산소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1차 산소용해탱크와 2차 산소용해탱크 사이에 용존산소수의 일부를 산소용해도조절공급관을 통하여 1차 산소용해탱크로 공급하는 산소용해도조절부가 구비되고, 2차 산소용해탱크에 산소용해도조절부의 제어를 위한 산소농도를 감지하는 산소농도센서가 구비되며, 1, 2차 산소용해탱크의 내부에 산소가 믹싱되어 공급되는 산소 믹싱수를 탱크내부로 분사하여서 산소가 나노화 용해되게 하는 산소용해유도노즐이 구비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1 차 산소용해탱크와 2차 산소용해탱크 사이에서 용존산소수의 일부를 1 차 산소용해탱크로 재공급하게 구성함으로써 산소용해도의 조절이 용이되며, 산소 믹싱수를 노즐을 이용하여 분사함으로써 산소가 나노화되어 그 용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전체 구성 예시도.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산소용해탱크 예시도.
도 4 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산소나노화블록을 구비한 예시도.
도 5 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산소나노화블록을 다공성블록으로 구비한 예시도.
도 6 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산소블록에 샤워배관을 구비한 예시도.
도 7 와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산소용해노즐이 회전되게 구성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산소 용해도를 사용자의 용이하게 조절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산소의 용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 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와 물을 믹싱 공급되는 산소 믹싱공급관(10)과, 상기 산소 믹싱공급관(10)에서 공급된 산소 믹싱수에 믹싱된 산소가 용해되게 되는 1, 2차 산소용해탱크(20,30)로 구성된 용존산소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1차 산소용해탱크(20)와 2차 산소용해탱크(30) 사이에 용존산소수의 일부를 산소용해도조절공급관(43)을 통하여 1차 산소용해탱크로 공급되는 산소용해도조절부(42)가 구비되고, 2차 산소용해탱크(30)에 산소용해도조절부(42)의 제어를 위한 산소농도를 감지하는 산소농도센서(44)가 구비되며, 1, 2차 산소용해탱크(20,30)의 내부에 산소가 믹싱되어 공급되는 산소 믹싱수를 탱크내부로 분사하여서 산소가 나노화되어 용해되게 하는 산소용해유도노즐(51)이 구비되며, 산소믹싱부(41)의 산소 공급과 산소용해도조절부(42)를 제어하는 산소용해컨트롤러(70)이 구비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1, 2차 산소용해탱크의 산소용해유도노즐(51)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용해탱크에 수용되게 구성되고, 상기 내부용해탱크(61)의 상부에는 부상산소를 나노화 배출할 수 있게 다공체로 이루어진 산소나노화블록(64)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용해탱크(61)의 하부에는 산소용해유도노즐(51)에서 분사되어 생성된 용존산소수를 산소용해탱크로 배출하는 내부용해탱크 배출부(6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산소나노화블록(64)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의 크기가 다르게 천공된 다수의 판을 적층 하여 실시하거나,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블록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해탱크 배출부(62)에서 배출되는 용존산소수를 산소나노화블록(64)의 상측으로 공급하여 산소나노화블록(64)에서 나노화 배출되는 산소가 용존산소수에 더욱 용해 잘되게 용존산소수샤워배관부(63)가 구비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용해유도노즐(51)은 노즐연결부(52)가 회전되게 구성되고, 상기 산소용해유도노즐(51)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산소용해유도노즐(51)에서 분사되는 산소믹싱수의 압력에 의하여 회전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1, 2차 산소용해탱크(20,30)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100)에는 산소용해탱크가 외부로 노출되게 밀폐되는 도어(110)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110)에는 산소공급압과 용존산소의 농도가 표시되게 실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산소믹싱부(41)로 공급되는 물은 상수관의 수압에 의하여 공급되게 하거나 별도의 급수펌프(80)에 의하여 공급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용존산소수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존산소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1차 산소용해탱크(20)와 2차 산소용해탱크(30) 사이에 용존산소수의 일부를 산소용해도조절공급관(43)을 통하여 1차 산소용해탱크로 공급하는 산소용해도조절부(42)가 구비되고, 2차 산소용해탱크(30)에 산소용해도조절부(42)의 제어를 위한 산소농도를 감지하는 산소농도센서(44)가 구비되며, 1, 2차 산소용해탱크(20,30)의 내부에 산소가 믹싱되어 공급되는 산소 믹싱수를 탱크내부로 분사하여서 산소가 나노화되어 용해되게 하는 산소용해유도노즐(51)이 구비되며, 산소믹싱부(41)의 산소 공급과 산소용해도조절부(42)를 제어하는 산소용해컨트롤러(70)가 구비된 본 발명에 의한 용존산소수 제조과정은 산소믹싱부(41)에서 산소가 공급되어 믹싱된 산소믹싱수가 산소 믹싱공급관(10)을 통하여 1차 산소용해탱크(20)의 내부에 구비된 산소용해유도노즐(51)에서 분사된다.
이때, 산소용해유도노즐(51)에 산소믹싱수가 분사되는 과정에 산소가 나노화되어서 물에 용해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산소용해유도노즐(51)에 의하여 나노화되어 산소가 용해된 용존산소수는 2차 산소용해탱크(30)에 구비된 산소용해유도노즐(51)에서 다시 한번 나노화 분사되면서 용해되지 않은 산소가 완전히 용해되어 용존산소수화 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2차 산소용해탱크(30)에서 배출되는 용존산소수의 용존 산소량을 산소농도센서(44)가 감지하여 용존 산소의 농도가 낮을 경우 산소용해컨트롤러(70)가 산소용해도조절부(42)를 제어하여서 1차 산소용해탱크(20)에서 2차 산소용해탱크(30)로 공급되는 용존산소수 중 일부를 산소용해도조절공급관(43)으로 바이패스시켜서 1차 산소용해탱크(20)로 연결되는 산소 믹싱공급관(10)으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산소 믹싱공급관(10)으로 산소가 용해된 용존산소수를 재공급하게 되면 1차 산소용해탱크(20)에서 추가적인 산소의 용해가 이루어져 용존산소수의 용존 산소 농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1, 2차 산소용해탱크(20,30)의 내부에 내부용해탱크(61)를 구비되고 상기 내부용해탱크(61)의 내부에 산소용해유도노즐(51)이 구비되게 실시되고, 상기 내부용해탱크(61)의 상부에는 부상산소를 나노화 배출할 수 있게 다공체로 이루어진 산소나노화블록(64)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용해탱크(61)의 하부에는 용존산소수를 산소용해탱크로 배출되는 내부용해탱크 배출부(62)가 구비되게 실시하면, 내부용해탱크(61)에서 산소의 용해가 이루어지고 용해되지 않은 산소는 산소나노화블록(64)를 통하여 나노화시켜서 내부용해탱크(61)로 배출시켜서 용존산소수에 용해되게 하여 산소의 용해가 신속되고 명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산소나노화블록(64)의 상측에 내부용해탱크(61)에서 생성된 용존산소수를 분무하는 용존산소수샤워배관부(63)가 구비되면, 산소나노화블록(64)에 의하여 나노화된 산소와 용존산소수의 충돌에 의하여 산소의 용해가 더욱 잘 이루어져 용존산소수의 산소농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산소용해유도노즐(51)가 회전되게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산소용해유도노즐(51)에서 분사되는 산소믹싱수가 회전 분사되면서 와류를 유발하여서 상호 충돌에 의한 나노화가 잘 이루어지고 물에 더욱 용해되어 용존산소수의 산소농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10 : 산소 믹싱공급관
20 : 1차 산소용해탱크 30 : 2차 산소용해탱크
41 : 산소믹싱부 42 : 산소용해도조절부
43 : 산소용해도조절공급관
44 : 산소농도센서
51 : 산소용해유도노즐
52 : 노즐연결부
61 : 내부용해탱크 62 : 내부용해탱크 배출부
63 : 용존산소수샤워배관부 64 : 산소나노화블록
70 : 산소용해컨트롤러
80 : 순환펌프
100 : 몸체 110 : 도어

Claims (4)

  1. 산소와 물을 믹싱 공급되는 산소 믹싱공급관(10)과, 상기 산소 믹싱공급관(10)에서 공급된 산소 믹싱수에 믹싱된 산소가 용해되게 되는 1, 2차 산소용해탱크(20,30)로 구성된 용존산소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1차 산소용해탱크(20)와 2차 산소용해탱크(30) 사이에 용존산소수의 일부를 산소용해도조절공급관(43)을 통하여 1차 산소용해탱크로 공급하는 산소용해도조절부(42)가 구비되고, 2차 산소용해탱크(30)에 산소용해도조절부(42)의 제어를 위한 산소농도를 감지하는 산소농도센서(44)가 구비되며, 1, 2차 산소용해탱크(20,30)의 내부에 산소가 믹싱되어 공급되는 산소 믹싱수를 탱크내부로 분사하여서 산소를 나노화 용해하는 산소용해유도노즐(51)이 구비되며, 산소믹싱부(41)의 산소 공급과 산소용해도조절부(42)를 제어하는 산소용해컨트롤러(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되는 용존산소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용해탱크의 산소용해유도노즐(51)은 내부용해탱크에 수용되게 구성되고, 상기 내부용해탱크(61)의 상부에는 부상산소를 나노화 배출할 수 있게 다공체로 이루어진 산소나노화블록(64)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용해탱크(61)의 하부에는 산소용해유도노즐(51)에서 분사되어 생성된 용존산소수를 산소용해탱크로 배출되는 내부용해탱크 배출부(6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되는 용존산소수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해탱크 배출부(62)에서 배출되는 용존산소수를 산소나노화블록(64)의 상측으로 공급하여 산소나노화블록(64)에서 나노화되어 배출되는 산소가 용존산소수에 더욱 용해 잘되게 하는 용존산소수샤워배관부(6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되는 용존산소수 제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용해유도노즐(51)은 노즐연결부(52)가 회전되게 구성되고, 상기 산소용해유도노즐(51)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산소용해유도노즐(51)에서 분사되는 산소믹싱수의 압력에 의하여 회전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되는 용존산소수 제조장치.
KR1020130008469A 2013-01-25 2013-01-25 용존산소수 제조장치 KR20140095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469A KR20140095730A (ko) 2013-01-25 2013-01-25 용존산소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469A KR20140095730A (ko) 2013-01-25 2013-01-25 용존산소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730A true KR20140095730A (ko) 2014-08-04

Family

ID=5174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469A KR20140095730A (ko) 2013-01-25 2013-01-25 용존산소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57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9146A (zh) * 2022-01-11 2022-04-15 全球通(浙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溶氧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9146A (zh) * 2022-01-11 2022-04-15 全球通(浙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溶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766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고효율 오존분해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637531B1 (ko) 무인방제장치
JP2008237996A (ja) 微細気泡発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洗浄装置、シャワリング装置、生簀
JP2006320899A (ja) 炭酸ガス含有濃度制御が可能な炭酸ガス含有殺菌水生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6239573A (ja) 気泡発生装置
KR20140095730A (ko) 용존산소수 제조장치
KR20140066073A (ko) 가압형 오존 용해 처리 장치
AU2017318181B2 (en) Intelligent oxygen control in sea cages
WO2013084603A1 (ja) 炭酸泉生成装置
KR200486839Y1 (ko) 양어장용 산소 공급장치
JP2020168610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101024323B1 (ko) 가스 용해반응장치
JP2010155213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10001744A (ja) エゼクタおよびイオン交換装置
KR102346100B1 (ko) 샤워장치
US20080084784A1 (en) Mixing device for tub
JP5839349B2 (ja) 液体混合機構
JP2020116498A (ja) プール形水槽に併設した水素ガス投入装置、水素ガス投入装置を備えたプール形水槽及びプール形水槽への水素ガス投入方法
KR20150085862A (ko) 수처리용 기액혼합 장치
JP2013123675A (ja) 溶解液生成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器具用洗浄装置
KR101458915B1 (ko) 염소투입장치
US9364389B1 (en) Hygienic water jet assembly
JP2014166609A (ja) 水素水供給装置
EP1908443A1 (en) Mixing device for tub
KR102221231B1 (ko) 나노버블발생용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