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689A -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689A
KR20140095689A KR1020130008346A KR20130008346A KR20140095689A KR 20140095689 A KR20140095689 A KR 20140095689A KR 1020130008346 A KR1020130008346 A KR 1020130008346A KR 20130008346 A KR20130008346 A KR 20130008346A KR 20140095689 A KR20140095689 A KR 20140095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hot air
plating
ho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보현
Original Assignee
심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보현 filed Critical 심보현
Priority to KR1020130008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5689A/ko
Publication of KR20140095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26B25/12Walls or sid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열기를 재순환시켜 히터의 전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개폐 도어를 상향 개폐 동작하도록 하여 다양한 도금 제품의 자동화 건조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한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행거 투입구를 갖는 도금건조실과, 도금건조실에 연통되어 있는 열풍도입구와 재순환용 열풍배출구를 갖는 건조 함체와; 상기 열풍도입구측에 설치되어 열풍을 도금건조실내로 투입시키는 열풍공급팬과; 상기 열풍공급팬의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열풍배출구에 연결되는 열풍회수구를 갖고 상기 열풍공급팬의 흡입구측에 연결되어 있는 열풍회수챔버와; 상기 열풍회수챔버내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발열하는 히터와; 상기 건조 함체의 상면에 상향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나란하게 설치되어 도금건조실의 행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2쌍의 건조용 도어; 및 각 쌍의 건조용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건조 함체의 일측에 설치된 한 쌍의 도어 실린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Gilding dry device having upward open and close door for energy reduction}
본 발명은 도금 제품을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도금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 열기를 재순환시켜 히터의 전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개폐 도어를 상향 개폐 동작하도록 하여 다양한 도금 제품의 자동화 건조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한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금공정은 도금시키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합성수지로 성형된 제품을 도금하는데는 합성수지 제품의 표면을 금속화하기 위해 화학도금(무전해도금)이 주로 사용된다. 이 화학도금은 도금욕 중인 금속이온을 화학 환원제의 작용에 의해 환원하여 제품 표면에 금속층을 석출하여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금공정은 일반적으로 열악한 작업환경하에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노동 강도가 높고 작업환경이 유해하여 기피되고 있는 산업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도금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장에서는 작업자의 노동 강도를 완하시키면서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작업자들이 해로운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편, 도금의 건조 방식 중 열풍 방식의 경우 한 번 사용된 열풍은 그대로 폐기됨으로써 히터의 작동 시간이 늘어나 전기 에너지의 소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공고번호 실1994-0008219호로서, 스트립(Strip)의 전, 후면에 도포된 크롬용액을 건조, 응고시키는 연속아연도금설비의 건조기에 있어서, 외피의 상부면에 사각덕트를 통해 일측이 연결되고, 중간에는 차단밸브를 갖추며, 타측이 외부공기 흡입관에 연결되는 고온공기회수관을 포함하여 스트립의 전, 후면에 분사된 고온의 공기를 재순환시켜 상기 스트립을 건조, 가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아연도금설비의 건조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전자의 배경기술은 고온을 회수하여 재순환시키는 경로를 가지고 있지만 사각 덕트에 공기된 열기를 저장하는 방법이 없어 고온의 건조 분위기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아연 판재가 연속적으로 사각덕트내를 통과하는 구조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도금 제품을 행거에 걸어 건조실에 집어넣어다 빼내는 방식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다른 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55132호로서, 도금처리가 완료된 제품의 건조를 진행하는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부, 하부, 양측 및 배면이 밀폐되도록 상면, 하면, 양측면 및 배면을 갖고, 정면상에 입구와 출구를 갖도록 중간면을 가지며, 상기 입구와 출구를 연결하는 이송공간이 내부에서 'U'자형으로 형성되는 건조 프레임과; 상기 건조 프레임의 입구와 출구를 통해 상기 'U'자형의 이송공간을 따라 타원형의 닫힌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이송라인과; 상기 건조 프레임의 상기 이송공간을 따라 상기 입구에 근접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근적외선 램프; 상기 근적외선 램프 다음에 상기 건조 프레임의 상기 이송공간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온풍 공급부 및; 상기 이송라인, 근적외선 램프, 온풍 공급부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닫힌 곡선형태로 형성된 이송라인으로 도금처리가 완료된 제품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근적외선과 온풍을 통해 순차적으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작업이 간소화되고, 작업자가 도금제품의 건조에 관여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후자의 배경기술은 이송라인의 일부를 수용하는 덕트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온풍 손실이 발생되고, 그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램프 동작 전력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120714호
본 발명은 건조 열기를 재순환시켜 히터의 전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개폐 도어를 상향 개폐 동작하도록 하여 다양한 도금 제품의 자동화 건조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한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행거 투입구를 갖는 도금건조실과, 도금건조실에 연통되어 있는 열풍도입구와 재순환용 열풍배출구를 갖는 건조 함체와;
상기 열풍도입구측에 설치되어 열풍을 도금건조실내로 투입시키는 열풍공급팬과;
상기 열풍공급팬의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열풍배출구에 연결되는 열풍회수구를 갖고 상기 열풍공급팬의 흡입구측에 연결되어 있는 열풍회수챔버와;
상기 열풍회수챔버내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발열하는 히터와;
상기 건조 함체의 상면에 상향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나란하게 설치되어 도금건조실의 행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2쌍의 건조용 도어와;
각 쌍의 건조용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건조 함체의 일측에 설치된 한 쌍의 도어 실린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2쌍의 건조용 도어는 각기 건조 함체의 상단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지지되어 있는 도어축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도어축에는 아암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아암의 타단에는 한 쌍의 도어실린더의 각 작동로드의 선단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있는 개폐링크가 힌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금건조실의 하부에는 도금건조실과 연통된 다수개의 집열구멍을 갖는 격판이 설치되고, 격판과 건조 함체의 바닥면 사이에는 열풍회수구에 연통되어 있는 폐집열실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에 따르면, 건조 열기를 열풍회수챔버를 통해 재순환시켜 히터의 전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건조함체의 상단에 설치된 개폐 도어를 상향 개폐 동작하도록 하여 다양한 도금 제품의 자동화 건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개폐 도어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건조실 내부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건조를 진행할 수 있어 히터의 전력 소모가 줄어들고 도금 제품의 건조 속도가 높아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 건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서 개폐도어가 하향으로 닫아진 작동상태도를 나타내는 요부확대도.
도 4는 도 1에서 개폐도어가 상향으로 열려진 작동상태도를 나타내는 요부확대도.
도 5는 도 2의 도어실린더와 건조용 도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요부확대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사각 박스 형태의 건조 함체(12)가 구비된다. 건조 함체(12)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한 쌍의 행거 투입구(12a,12a)를 갖는 도금건조실(11)과, 도금건조실(11)에 연통되어 있는 열풍도입구(12b)와 재순환용 열풍배출구(12c)를 갖는다. 따라서 건조 함체(12)는 열풍도입구(12b)를 통해 고온의 열풍이 도입되어 도금건조실(11)에 유입된 후 재순환용 열풍배출구(12c)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때 열풍도입구(12b)는 건조 함체(12)의 중앙 일측에 배치되고, 재순환용 열풍배출구(12c)는 열풍도입구(12b)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여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열풍은 건조 함체(12)의 평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태로 하여 도금건조실(11)을 순환하여 고르게 도금 제품(미도시)에 접촉된다.
열풍도입구(12b)측에 열풍공급팬(14)이 설치되어 있다. 열풍공급팬(14)은 히터(20)에서 발생된 열풍을 도금건조실(12)내로 투입시킨다.
열풍공급팬(14)은 구동모터(16)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열풍공급팬(14)의 회전축(14a)과 구동모터(16)의 출력축은 풀리(15a,15b)와 벨트(17)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건조 함체(12)에는 열풍회수챔버(18)가 연결되어 있다. 열풍회수챔버(18)는 열풍배출구(12c)에 연결되는 열풍회수구(18a)와, 열풍공급팬(14)의 흡입구측에 연결되는 팬접속구(18b)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금건조실(11)내로 유입된 열풍은 재순환용 열풍배출구(12c)를 통해 배출되어 열풍회수챔버(18)내를 경유하여 열풍공급팬(14)으로 흡입되게 된다.
열풍회수챔버(18)의 내부에는 전기적으로 발열하는 히터(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히터(20)는 열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히터(20)는 건조 온도에 필요한 적정한 발열 용량의 것이 선택된다.
상기 건조 함체(12)의 상면에는 2쌍의 건조용 도어(22a,22a)(22b,22b)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2쌍의 건조용 도어(22a,22a)(22b,22b)는 상향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금건조실(12)의 행거 투입구(12a,12a)를 각기 개폐시키게 되어 있다.
각 쌍의 건조용 도어(22a,22a)(22b,22b)를 개폐시키도록 건조 함체(12)의 일측에 한 쌍의 도어 실린더(24a)(24b)가 설치된다.
이때 2쌍의 건조용 도어(22a,22a)(22b,22b)는 각기 건조 함체(12)의 상단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지지되어 있는 도어축(23a,23a)(23b,23b)에 연결되어 있고, 도어축(23a,23a)(23b,23b)에는 아암(27a,27a)(27b,27b)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아암(27a,27a)(27b,27b)의 타단에는 한 쌍의 도어실린더(24a)(24b)의 각 작동로드의 선단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있는 개폐링크(25a,25a)(25b,25b)가 힌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개폐링크(25a,25a)(25b,25b)는 V자 형태의 자세로 도어 실린더(24a)(24b)의 작동로드에 연결된다.
이때 한 쌍의 건조용 도어(22a,22a) 또는 (22b,22b)가 닫아져 있을 때 행거(30)가 도금건조실(11) 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행거 투입구(12a)에 소정의 폭(L)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금 건조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도어 실린더(24a)(24b)가 상향 작동하여 개폐링크(25a,25a)(25b,25b)를 매개로 아암(27a,27a)(27b,27b)을 회전시켜 2쌍의 건조용 도어(22a,22a)(22b,22b)가 상향으로 열려져 개방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행거라인(30)을 따라 이송되는 도금 제품(미도시)이 건조 함체(12)의 도금건조실(11)내로 투입된다. 이후 도 3과 같이 도어 실린더(24a)(24b)가 하향 작동하여 2쌍의 건조용 도어(22a,22a)(22b,22b)가 닫히게 된다.
이때 히터(20)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기는 구동모터(16)에 의해 구동하는 열풍 공급팬(14)의 회전으로 열풍공급팬(14)으로 유입된 후 건조함체(12)의 도금건조실(11)내로 열풍이 공급되어 도금 제품의 건조가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열풍은 다시 재순환용 열풍배출구(12c)를 통해 빠져나간 후 열풍회수챔버(18)를 경유하여 다시 열풍공급팬(14)으로 재유입된다. 이때 히터(20)는 낮아진 열풍 온도를 계속적으로 보충하여 필요한 건조 온도를 유지시킨다.
이같이 열풍은 건조 함체(12)와 히터(20)가 설치된 열풍회수챔버(18)를 계속적으로 순환하게 되어 히터(20)의 발열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전기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도금 제품이 2쌍의 건조용 도어(22a,22a)(22b,22b)의 개방 후 투입되어져 한번에 건조되는 도금 제품의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후 도금 제품의 건조가 완료되면, 도어 실린더(24a)(24b)가 하향 작동하여 개폐링크(25a,25a)(25b,25b)를 매개로 아암(27a,27a)(27b,27b)을 회전시켜 2쌍의 건조용 도어(22a,22a)(22b,22b)가 도 4와 같이 상향으로 다시 열려져 개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다음 행거라인(30)에 거치되어 있던 도금 제품(미도시)이 건조 함체(12)의 도금건조실(11)내로 투입되어 동일한 작용에 의해 건조가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본 건조장치는 건조용 도어(22a,22a)(22b,22b)가 상향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여 화학약품에 노출되지 않는 다양한 도금 제품의 건조를 자동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금건조실(12)에서 고르게 열을 회수시켜 열풍회수챔버(18)로 공급시키기 위해 도 2와 같이 도금건조실(12)의 하부에는 도금건조실(12)과 연통된 다수개의 집열구멍(30a)을 갖는 격판(30)이 설치되고, 격판(30)과 건조함체(12)의 바닥면 사이에는 열풍회수구(18a)가 연통되어 있는 폐집열실(31)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집열구멍(30a)은 상호 동일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금건조실(12)에서 사용된 열기는 다수개의 집열구멍(30a)을 통해 고르게 흡입되어 폐집열실(31)로 집열된 후 열풍회수구(18a)로 배출되어 열풍회수챔버(18)내로 경유한다.
이같이 다수개의 집열구멍(30a)을 갖는 격판(30)과 폐집열실(31)이 구비되는 경우 고른 열흐름에 의해 도금 제품에 고른 건조를 유도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건조함체
14: 열풍공급팬
16: 구동모터
18: 열풍회수챔버
20: 히터
22a,22a,22b,22b: 건조용 도어
23a,23a,23b,23b: 도어축
24a,24b: 도어 실린더
27a,27b: 아암
30: 격벽
31: 폐집열실

Claims (3)

  1.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행거 투입구(12a,12a)를 갖는 도금건조실(11)과, 도금건조실(11)에 연통되어 있는 열풍도입구(12b)와 재순환용 열풍배출구(12c)를 갖는 건조 함체(12)와;
    상기 열풍도입구(12b)측에 설치되어 열풍을 도금건조실(12)내로 투입시키는 열풍공급팬(14)과;
    상기 열풍공급팬(14)의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6)와;
    상기 열풍배출구(12c)에 연결되는 열풍회수구(18a)를 갖고 상기 열풍공급팬(14)의 흡입구측에 연결되어 있는 열풍회수챔버(18)와;
    상기 열풍회수챔버(18)내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발열하는 히터(20)와;
    상기 건조 함체(12)의 상면에 상향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나란하게 설치되어 도금건조실(12)의 행거 투입구(12a)를 개폐시키는 2쌍의 건조용 도어(22a,22a)(22b,22b)와;
    각 쌍의 건조용 도어(22a,22a)(22b,22b)를 개폐시키도록 건조 함체(12)의 일측에 설치된 한 쌍의 도어 실린더(24a)(24b)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2쌍의 건조용 도어(22a,22a)(22b,22b)는 각기 건조 함체(12)의 상단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지지되어 있는 도어축(23a,23a)(23b,23b)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도어축(23a,23a)(23b,23b)에는 아암(27a,27a)(27b,27b)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아암(27a,27a)(27b,27b)의 타단에는 한 쌍의 도어실린더(24a)(24b)의 각 작동로드의 선단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있는 개폐링크(25a,25a)(25b,25b)가 힌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건조실(12)의 하부에는 도금건조실(12)과 연통된 다수개의 집열구멍(30a)을 갖는 격판(30)이 설치되고, 격판(30)과 건조 함체(12)의 바닥면 사이에는 열풍회수구(18a)에 연통되어 있는 폐집열실(31)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
KR1020130008346A 2013-01-25 2013-01-25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 KR20140095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346A KR20140095689A (ko) 2013-01-25 2013-01-25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346A KR20140095689A (ko) 2013-01-25 2013-01-25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689A true KR20140095689A (ko) 2014-08-04

Family

ID=5174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346A KR20140095689A (ko) 2013-01-25 2013-01-25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568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9315A (zh) * 2020-01-14 2020-05-22 深圳市群卜鸿科技有限公司 一种除湿效果好的高效型条形木材干燥机
KR102228139B1 (ko) 2020-07-02 2021-03-17 홍민규 수직방향으로 연속공정이 이루어지는 도금체 건조장치
CN114059175A (zh) * 2021-12-13 2022-02-18 岳西县茧丰蚕桑专业合作社 一种提高烘茧效率的节能型烘茧站
CN114454413A (zh) * 2022-02-25 2022-05-1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保温功能的箱体发泡输送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9315A (zh) * 2020-01-14 2020-05-22 深圳市群卜鸿科技有限公司 一种除湿效果好的高效型条形木材干燥机
KR102228139B1 (ko) 2020-07-02 2021-03-17 홍민규 수직방향으로 연속공정이 이루어지는 도금체 건조장치
CN114059175A (zh) * 2021-12-13 2022-02-18 岳西县茧丰蚕桑专业合作社 一种提高烘茧效率的节能型烘茧站
CN114059175B (zh) * 2021-12-13 2022-10-11 岳西县茧丰蚕桑专业合作社 一种提高烘茧效率的节能型烘茧站
CN114454413A (zh) * 2022-02-25 2022-05-1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保温功能的箱体发泡输送系统
CN114454413B (zh) * 2022-02-25 2024-03-08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保温功能的箱体发泡输送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5689A (ko) 상향 개폐 도어를 갖는 에너지 저감형 도금 건조 장치
CN102052825A (zh) 镀锌件干燥床
CN213454543U (zh) 一种双循环高真空烤箱
CN104213380A (zh) 被褥烘干装置中的循环风道
CN213756907U (zh) 一种用于拖鞋生产加工的烘干定型机
CN205188662U (zh) 新型温湿度控制型干衣机
CN213631249U (zh) 一种用于中药物料干燥的热风循环烘箱
CN211503591U (zh) 一种具有自动进出物料功能的工业烤箱
CN108755045A (zh) 一种多功能集中式烘干装置
CN208170870U (zh) 热风循环箱
CN210952204U (zh) 一种绞纱烘干机
CN208443161U (zh) 一种用于色母粒干燥工序的烘箱
CN204097769U (zh) 被褥烘干装置中的循环风道
CN210952179U (zh) 一种羊毛衫加工用烘干装置
CN113418382A (zh) 一种节能管理除湿干燥组合机的控制方法
CN207849982U (zh) 一种快速摊铺烘干设备
CN207741483U (zh) 一种pcb板连续干燥装置
CN105421007A (zh) 一种温湿度控制型干衣机
CN207422781U (zh) 一种微波真空干燥机
CN207113452U (zh) 一种应用于酸洗污泥处理的热风循环烘箱
CN207478498U (zh) 一种蛋白质液体的烘干装置
CN205273978U (zh) 一种隧道式灭菌烘干装置
CN214593914U (zh) 一种网带式多层循环干燥机
CN102286874B (zh) 一种联环式湿衣物烘干电路及控制方法
CN215490866U (zh) 纺织加工用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