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501A - 의료용 공구,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공구를 위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공구,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공구를 위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501A
KR20140095501A KR1020147013507A KR20147013507A KR20140095501A KR 20140095501 A KR20140095501 A KR 20140095501A KR 1020147013507 A KR1020147013507 A KR 1020147013507A KR 20147013507 A KR20147013507 A KR 20147013507A KR 20140095501 A KR20140095501 A KR 20140095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otion
rotational motion
dental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379B1 (ko
Inventor
칼하인즈 에더
미카엘 로텐밴더
요셉 스피트자우어
Original Assignee
베 운트 하 덴탈베르크 뷔르무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 운트 하 덴탈베르크 뷔르무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 운트 하 덴탈베르크 뷔르무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95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8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oscillating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7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vibratory drive, e.g.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5Drives or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5/00Gearings or mechanisms with other special functional features
    • F16H35/02Gearings or mechanisms with other special functional feature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yclically varying velocity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4Force
    • F04C2270/042Force radial
    • F04C2270/0421Controlled or regul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intermittent unidirectional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료 장치(14, 25, 25A)의 공구 고정 장치(23)가 다방향 운동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왕복·회전 운동 또는 왕복·요동 회전 운동으로 감속된 속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모터 구동기로부터 수득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다방향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다양한 기계식 구동 장치(1, 1A), 기계식 기어(4, 29, 30), 이들의 조합 및 의료용 치료 장치, 특히 그러한 기계식 구동 장치(1, 1A) 또는 기어(4, 29, 30)를 가진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25, 25A)를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공구,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공구를 위한 구동 장치{DRIVE DEVICE FOR A MEDICAL TOOL, IN PARTICULAR FOR A DENTAL OR SURGICAL TOOL}
본 발명은 단방향 회전 운동을 다방향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공구를 이 다방향 운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공구를 위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방향 회전 운동을 동시적이거나 중첩된 리프팅과 감속된 회전 운동 형태의 다방향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 장치가 특허 출원 WO 2011/089348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휘어진 핸드피스 내에 배치되는 이 구동 장치는, 모터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구동 샤프트와,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다단 유성 기어와, 감속된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와, 리프팅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편심 샤프트를 포함한다.
이 구동 장치는 많은 단점을 갖고 있다.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현저히 감속하기 위해, 다수의 유성 기어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예컨대, 3개의 유성 기어가 제공되며, 이로 인해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큰 공간의 필요성 때문에, 휘어진 핸드피스의 헤드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만곡부 또는 절곡부에 의해 분리된 핸드피스의 후방부에만 유성 기어들이 배열될 수 있다(WO 2011/089348 A1의 도 1 참조). 그러나, 이 경우에도, 2개의 기어, 즉, 유성 기어의 감속된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1 기어와 회전 운동을 편심 샤프트에 전달하기 위한 제 2 기어를 핸드피스의 만곡부에 배치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유성 기어의 사용은 다양한 개별 부품들을 필요로 하며, 그에 따라 높은 제조 및 조립 비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단방향 회전 운동을,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이거나 중첩된, 리프팅 및 회전 운동 형태의 다방향 운동으로 변환하고,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가 바람직하게 변화되는, 특히 감속되는, 전술한 단점이 없는 구동 장치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구동 장치는 가능한 한 콤팩트하여야 하며,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소수의 개별 부분들로 구성되며, 회전 속도의 큰 감속을 허용하고, 바람직하게는, 휘어진 핸드피스의 헤드부와 절곡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어야 한다.
다방향 회전 운동 형태의 다방향 운동을 생성하는 다른 구동 장치가 미국 특허 6,293,795 B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구동 장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며, 특히,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치수용 파일과 같은 공구를 구비한 치수용 핸드피스를 포함한다. 파일이 요동 회전 운동 형태의 다방향 회전 운동을 실시하도록,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 전자 제어 유닛이 전기 모터를 작동시킨다. 요동 회전 운동은 제 1 회전 방향으로 제 1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과, 반대 방향인 제 2 회전 방향으로 제 2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을 교대로 포함하며, 제 1 회전 각도와 제 2 회전 각도는 크기가 다르다. 요동 회전 운동으로 인하여,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의 공구의 회전에 의해, 조직이 제거되며, 특히, 치근관 내의 조직이 제거되며, 이 조직은, 바람직하게는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의 공구의 회전에 의해, 치관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구동 장치의 하나의 단점은 공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 전기 제어 유닛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히, 공압식으로만 작동되는 치료 장치를 보유한 사용자들에게는, 요동 회전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상당한 추가적인 기술적 및 금융적 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의료용 공구,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공구의 요동 회전 운동을 유발하고, 특히, 공압식으로만 작동되는 치료 장비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 대안적인 구동 장치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는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구동 샤프트와,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회전·리프팅 동작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치료 장치의 헤드부에 배치된 공구를 고정하기 위한 공구 고정 장치와 아울러, 상기 공구 고정 장치가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회전·리프팅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단방향 회전 운동을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리프팅 및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된 기계식 기어 배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배열체는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를 가지며, 편심 기어를 또한 갖는다.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어는 회전축을 구비한 입력 샤프트와, 상기 공구 고정 장치에 연결된 출력 샤프트와, 상기 입력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중심축을 갖고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연장부와, 복수의 치형을 갖고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된 제 1 치열과, 복수의 치형을 갖고 상기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며 회전가능하게 배열된 제 2 치열과,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제 1 단부에 제 3 치열을 가지며 제 2 단부에 제 4 치열을 가진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입력 샤프트와 관련하여 상기 출력 샤프트의 회전 속도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제 3 치열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이 상기 제 1 치열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과 맞물리며 상기 제 4 치열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이 상기 제 2 치열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치열과 상기 제 2 치열 사이에 배치된다.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기어는 매우 콤팩트하며 작은 공간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에, 특히 핸드피스 또는 콘트라-앵글 핸드피스에 보다 용이하게 통합될 수 있다. 이는 비교적 소수의 개별 부분들로 구성되며, 특히 광범위한 회전 속도 감속을 허용하고, 예컨대, 1:25에서 시작하여, 예컨대, 1:900 또는 심지어 그 이상까지의 매우 높은 감속비를 허용한다.
이 치료 장치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한다.
- 상기 연장부 상에 배치된 상기 슬리브가 상기 연장부와 관련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에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장치가 제공되며, 특히,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는 상기 공구 고정 장치의 방향으로 상기 베어링 장치를 넘어 지지되지 않고 자유롭게 연장하는 자유 단부로서 설계된다.
-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의 중심축과 상기 입력 샤프트의 회전축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대략 5°내지 15°에 이른다.
-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와 상기 입력 샤프트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대략 5°내지 15°에 이른다.
- 상기 중심축에 기초하면,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의 축방향 길이는 대략 3 내지 7㎜이다.
-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 상의 상기 베어링 장치는 롤러 베어링으로 설계되며, 특히 볼 베어링 또는 슬라이딩 베어링으로 설계된다.
- 상기 베어링 장치는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를 둘러싼다.
- 상기 베어링 장치는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상에 배치된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배치된다.
- 상기 치료 장치 또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어는 제 1 표면 영역과 상기 제 1 표면 영역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 2 표면 영역을 구비한 디스크형 또는 판형 캐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된 제 1 치열은 그 치형들이 상기 제 2 치열의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표면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표면 영역은 상기 입력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 요소를 위한, 특히 롤러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을 위한, 베어링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설계된다.
- 상기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된 제 1 치열은 상기 판형 캐리어와 일체로 설계된다.
- 상기 판형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견부(shoulder) 또는 대응하는 견부 상의 요입부 또는 상기 치료 장치 상의 대응하는 돌출부에 의해, 상기 치료 장치의 회전 불가능한 부품에 부착되며, 특히 상기 치료 장치의 외부 슬리브에 부착된다.
- 상기 베어링 요소는 상기 제 2 표면 영역 상에 직접 지지된다.
- 상기 판형 캐리어는 보어홀,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하는 중앙 홀을 가지며, 즉,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의 입력 샤프트,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샤프트,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 특히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 예컨대, 편심 핀에 연결된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하는 중앙 홀을 갖는다.
- 상기 편심 기어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어를 통과하는 샤프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는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 예컨대, 편심 핀 또는 편심 핀용 리셉터클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를 위한 홀은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어의 다음과 같은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 상에, 즉, 상기 입력 샤프트 상에, 상기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된 제 1 치열 상에, 상기 제 1 치열을 구비한 판형 캐리어 상에,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연장부 상에, 상기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고 회전가능하게 배열된 제 2 치열 상에, 상기 공구 고정 장치에 연결된 출력 샤프트 상에 제공된다.
-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어와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는 본질적으로 동심으로 배치된다.
-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연장부의 중심축과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대략 5°내지 15°에 이른다.
-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연장부와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대략 5°내지 15°에 이른다.
-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는,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베어링에 의해, 상기 출력 샤프트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 상기 출력 샤프트 및/또는 상기 연장부 및/또는 상기 입력 샤프트는,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가 수용되는 중공 샤프트로 설계된다.
- 상기 입력 샤프트 및/또는 상기 연장부는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에, 예컨대, 프레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들은 조인트 샤프트 및/또는 조인트 기어에 의해 유리한 방식으로 운동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 상기 연장부를 구비한 입력 샤프트와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는 상호 관련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특히 상이한 회전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 상기 입력 샤프트,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 및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된 제 1 치열은 서로 동심으로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 상기 제 2 치열 및 상기 출력 샤프트는 모두 서로 동심으로 배치된다.
- 상기 치료 장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핸들 요소, 예컨대, 치수 치료용으로 특수하게 설계된 직선형 핸드피스 또는 콘트라-앵글 핸드피스를 포함한다.
- 상기 치료 장치, 특히 상기 콘트라-앵글 핸드피스는 헤드 근방부와 상기 헤드 근방부에 대해 휘어지거나 만곡되도록 배열된 후방부를 가진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어는 상기 헤드 근방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 상기 기어 배열체는, 상기 공구 고정 장치가 요동 회전 운동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된 추가적인 기계식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요동 회전 운동은 제 1 회전 방향으로 제 1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과, 상기 제 1 회전 방향과는 본질적으로 반대인 제 2 회전 방향으로 제 2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을 교대로 바람직하게 포함하며, 제 1 회전 각도와 제 2 회전 각도는 바람직하게 크기가 다르다. 이에 따라, 상기 공구 고정 장치가 유도될 수 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리프팅 및 회전 운동에서의 회전 운동은 특히 요동 회전 운동을 포함한다.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는 바람직하게 회전 속도를 감속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는 상기 공구 고정 장치 상에 바람직하게 제공된 상기 편심 기어와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 사이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는 상기 후방부에 제공되며,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는 상기 치료 장치의, 특히, 콘트라-앵글 핸드피스의, 상기 후방부에 대해 휘어지거나 만곡된 헤드 근방부에 제공된다.
-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는 상기 구동 샤프트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선회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를 포함하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를 포함한다.
-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에 상기 공구 고정 장치를 연결하는 출력 샤프트는, 요동 운동,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과 단방향 회전 운동이 상기 출력 샤프트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요소 및/또는 상기 제 2 요소에 연결된다.
- 상기 편심 기어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를 통해 및/또는 상기 출력 샤프트를 통해 연장하는,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 특히, 상기 기어의 중앙 기어휠은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홀을 포함한다.
-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에 상기 공구 고정 장치를 연결하는 출력 샤프트는,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가 수용되는 중공 샤프트로 설계된다. 상기 출력 샤프트와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는 특히 상이한 회전 속도로 작동될 수 있다.
- 상기 구동 샤프트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는 (추가적인) 편심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는 복수의 기어휠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공구를 고정하기 위한 공구 고정 장치와, 상기 공구가 요동 회전 운동하게 유도하도록 설계된 공구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요동 회전 운동은 제 1 회전 방향으로 제 1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과, 상기 제 1 회전 방향과는 본질적으로 반대인 제 2 회전 방향으로 제 2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을 교대로 바람직하게 포함하며, 제 1 회전 각도와 제 2 회전 각도는 바람직하게 크기가 다르고, 상기 구동 장치는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설계된 구동 샤프트 배열체와, 출력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출력 샤프트에 전달하도록 설계된 기계식 기어와, 상기 공구 고정 장치가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리프팅 및 요동 회전 운동으로 유리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공구 고정 장치와 협력하는 편심 기어를 갖는다.
이 치료 장치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한다.
- 상기 공구 고정 장치와 협력하는 편심 기어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를 통과하는, 특히, 상기 기계식 기어의 중앙 기어휠을 통과하는,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 특히, 상기 기어의 중앙 기어휠은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홀을 포함한다.
-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에 상기 공구 고정 장치를 연결하는 출력 샤프트는 중공 샤프트로 설계되거나,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가 수용되는 보어홀을 갖는다. 상기 출력 샤프트와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는 특히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또는 상이한 회전 속도로 작동될 수 있다.
-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의 구동 샤프트는 중공 샤프트로 설계되거나,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가 수용되는 보어홀을 갖는다.
-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의 구동 샤프트는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에, 예컨대, 프레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2개의 샤프트들은 공통 구동 샤프트 및/또는 공통 기어에 의해 유리한 방식으로 운동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의 구동 샤프트와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는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특히 상이한 회전 속도로 작동될 수 있다.
- 상기 치료 장치는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전달하고/또는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 상기 회전 속도를 전달하고/또는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의 적어도 일부분, 특히, 상기 기어의 기어휠은,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와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 샤프트 배열체가 상기 회전 속도를 전달하고/또는 변화시키기 위한 기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함께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 상에 직접 배치되고/또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 샤프트 배열체 상에 배치된다.
- 상기 회전 속도를 전달하고/또는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는 회전축을 구비한 입력 샤프트와, 상기 공구 고정 장치에 연결된 출력 샤프트와, 상기 입력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중심축을 갖고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연장부와, 복수의 치형을 갖고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된 제 1 치열과, 복수의 치형을 갖고 상기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며 회전가능하게 배열된 제 2 치열과,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제 1 단부에 제 3 치열을 가지며 제 2 단부에 제 4 치열을 가진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입력 샤프트에 대한 상기 출력 샤프트의 회전 속도 변화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 3 치열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이 상기 제 1 치열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과 맞물리며 상기 제 4 치열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이 상기 제 2 치열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치열과 상기 제 2 치열 사이에 배치된다.
- 상기 연장부 상에 배치된 상기 슬리브가 상기 연장부와 관련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에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는 상기 공구 고정 장치의 방향으로 상기 베어링 장치를 넘어 지지되지 않고 자유롭게 연장하는 자유 단부로서 설계된다.
-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와 상기 입력 샤프트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대략 5°내지 15°에 이른다.
- 상기 중심축에 기초하면,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의 축방향 길이는 대략 3 내지 7㎜에 이른다.
-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 상의 상기 베어링 장치는 롤러 베어링으로 설계되며, 특히 볼 베어링 또는 슬라이딩 베어링으로 설계된다.
- 상기 베어링 장치는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를 방사상으로 둘러싼다.
- 상기 베어링 장치는 상기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상에 배치된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배치된다.
- 상기 치료 장치 또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어는 제 1 표면 영역과 상기 제 1 표면 영역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 2 표면 영역을 구비한 디스크형 또는 판형 캐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된 제 1 치열은 그 치형들이 상기 제 2 치열의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표면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표면 영역은 상기 입력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 요소를 위한 베어링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설계된다.
- 상기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된 제 1 치열은 상기 판형 캐리어와 일체로 설계된다.
- 상기 판형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견부 또는 대응하는 견부 상의 요입부 또는 상기 치료 장치 상의 대응하는 돌출부에 의해, 상기 치료 장치의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부품에 부착되며, 특히 상기 치료 장치의 외부 슬리브에 부착된다.
- 상기 베어링 요소는 상기 제 2 표면 영역 상에 직접 지지된다.
- 상기 판형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배치되며, 다음과 같은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하는 보어홀을 가지며, 즉,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의 입력 샤프트,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샤프트,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 특히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 예컨대, 편심 핀에 연결된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하는 보어홀을 갖는다.
-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는 상기 공구 고정 장치 상에 바람직하게 제공된 상기 편심 기어와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전달하고/또는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 사이에 제공된다.
- 상기 치료 장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핸들 요소, 예컨대, 치수 치료용으로 특수하게 설계된 직선형 핸드피스 또는 콘트라-앵글 핸드피스를 포함한다.
- 상기 치료 장치, 특히 상기 콘트라-앵글 핸드피스는 공구 고정 장치가 구비된 헤드부와 핸들부를 가지며, 상기 핸들부는 헤드 근방부와 상기 헤드 근방부에 대해 휘어지거나 만곡되도록 배열된 후방부를 갖고,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는 상기 헤드 근방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전달하고/또는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는 상기 후방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전달하고/또는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의 적어도 일부분이 설치되는 제 1 구동 샤프트와,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가 설치되는 제 2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구동 샤프트들은 기어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2개의 구동 샤프트들을 연결하는 기어는 감속 기어로서 또는 1:1 기어로서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구동 샤프트는 본질적으로 상기 후방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구동 샤프트는 본질적으로 상기 헤드 근방부에 설치된다.
- 상기 2개의 구동 샤프트들은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되며/또는 상기 편심 기어의 일부분이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편심 기어 구동 샤프트는 상기 제 1 구동 샤프트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다.
-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는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와,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를 포함한다.
- 상기 출력 샤프트는, 요동 운동,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과 단방향 회전 운동이 상기 출력 샤프트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요소 및/또는 상기 제 2 요소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 즉,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공구를 위한 구동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공구의 요동 회전 운동을 유도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요동 회전 운동은 제 1 회전 방향으로 제 1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과, 상기 제 1 회전 방향과는 본질적으로 반대인 제 2 회전 방향으로 제 2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을 교대로 포함하며, 제 1 회전 각도와 제 2 회전 각도는 바람직하게 크기가 다르고, 상기 구동 장치는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설계된 구동 샤프트 배열체와, 출력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출력 샤프트에 전달하도록 설계된 기계식 기어를 포함한다.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식 기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구동 장치는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독립되며, 특히 전기 모터 구동 및/또는 전기 제어로부터 독립됨으로써, 임의의 치료 장치들과 함께, 특히 공압식 치료 장치들과도 함께,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구동 장치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한다.
- 상기 기계식 기어는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와,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를 포함한다.
- 상기 출력 샤프트는, 요동 운동,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과 단방향 회전 운동이 상기 출력 샤프트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요소 및/또는 상기 제 2 요소에 연결된다.
-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는 편심 기어를 포함한다.
- 상기 편심 기어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기계식 기어의 내부 기어 또는 내부 기어휠 상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기어는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와 관련하여 회전가능하게 설계된다.
- 상기 제 2 요소는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기어휠을 포함한다.
- 상기 기어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출력 샤프트 상에 바람직하게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특히 상기 제 1 요소에 의해 발생된 요동 운동은 상기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 이 적어도 하나의 기어휠을 통해 상기 출력 샤프트에 전달될 수 있다.
-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의 기어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부 기어 내에 배치된다.
- 상기 내부 기어는 상기 내부 기어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기어휠과 맞물리는 내부 기어 치형을 갖는다.
-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에 또는 상기 출력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어휠, 바람직하게는 주연 기어휠은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에 또는 상기 출력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연결된 제 1 기어휠, 바람직하게는 중앙 기어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어휠은 상기 내부 기어의 내부 기어 치형과 맞물린다.
-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는 제 1 구동 샤프트와 제 2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구동 샤프트는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의 제 1 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구동 샤프트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의 제 2 요소에 연결된다.
- 상기 제 1 구동 샤프트와 상기 제 2 구동 샤프트는, 이들이 동일한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분배기 기어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 바람직하게, 상기 기계식 기어 상에 토크 제한 장치, 예컨대, 상기 공구로 전달될 수 있는 토크를 제한하기 위한 마찰 클러치가 제공된다.
- 상기 출력 샤프트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에, 특히, 상기 제 2 요소의 기어휠들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및/또는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 상기 출력 샤프트는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에 직접 및/또는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특히 상기 편심 기어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요소의 일부분, 특히 상기 편심 기어, 예컨대, 편심 요소 또는 리셉터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연 기어휠의 캐리어 상에, 예컨대, 연결 요소 상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 바람직하게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핸들 요소가 제공되며, 이들은 치수 치료용으로 특수하게 설계되고,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바와 같은 구동 장치, 특히 구동 샤프트 배열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를 출력 샤프트에 전달하도록 설계된 기계식 기어를 가진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치료 장치 또는 상기 핸들 요소는, 상기 기계식 기어를 둘러싸는 베어링, 특히 상기 기계식 기어,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계식 기어의 편심 기어, 특히 상기 기계식 기어의 편심 기어의 내부 기어가 상기 치료 장치 또는 상기 핸들 요소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베어링 또는 니들 베어링을 구비한 슬리브를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 바람직하게는 치수 치료용으로 특수하게 설계된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핸들 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는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설계된 구동 샤프트와, 공구를 고정하기 위한 공구 고정 장치와, 상기 공구 고정 장치에 상기 구동 샤프트를 연결하며, 복수의, 바람직하게는 3개의 기계식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샤프트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에 비해 감속된 회전 속도로 상기 공구 고정 장치가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리프팅 및 요동 회전 운동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샤프트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변환하도록 설계된 기어 배열체를 포함한다. 상기 요동 회전 운동은 제 1 회전 방향으로 제 1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과, 상기 제 1 회전 방향과는 본질적으로 반대인 제 2 회전 방향으로 제 2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을 교대로 바람직하게 포함하며, 제 1 회전 각도와 제 2 회전 각도는 바람직하게 크기가 다르다. 상기 기어 배열체는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기어와, 편심 기어와, 상기 구동 샤프트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된 기어를 포함한다. 이 3개의 전술한 기어들은 전술한 구체적인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을 바람직하게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 또는 핸들 요소의 바람직한 용도 실시예는 치수 치료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식 기어를 가진 구동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식 기어를 가진 구동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는 구동 장치의 기계식 기어의 편심 기어의 부분이 되는 기어가 내부에 형성된 내부 기어의 2개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각각 평면도와 배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식 기어를 가진 구동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요동 회전 운동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식 기어를 구비한 구동 장치가 제공된 의료용, 특히 치과용 핸들 요소를 가진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치료 장치의 공구 고정 장치가 변화된 회전 속도로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리프팅 및 회전 운동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와 편심 기어를 가진 기어 배열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도 12의 기어 배열체를 확대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치료 장치의 공구 고정 장치가 변화된 회전 속도로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리프팅 및 요동 회전 운동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와, 편심 기어와, 구동 샤프트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된 기어를 가진 기어 배열체를 구비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5 내지 도 7은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의 바람직하게는 치수용 공구를 위한 구동 장치(1, 1A)들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이 2개의 구동 장치(1, 1A)들의 공통된 부품들 및/또는 기능들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 장치(1, 1A)들은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된 기계식 기어(4)를 각각 갖는다. 요동 회전 운동은 제 1 회전 방향으로 제 1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과, 상기 제 1 회전 방향과는 본질적으로 반대인 제 2 회전 방향으로 제 2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을 교대로 포함하는 회전 운동을 의미하며, 제 1 회전 각도와 제 2 회전 각도는 바람직하게 크기가 다르다. 즉, 요동 회전 운동은, 예컨대, 기계식 기어(4)에 연결된 샤프트 요소 또는 공구가 제 1 회전 각도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제 2 회전 각도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하는 운동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각도들은 바람직하게 크기가 다르다. 대체로, 이러한 운동 시퀀스는 다른 크기의 회전 각도들 때문에 우선적인 방향이나 작업 방향으로 샤프트 요소 또는 공구의 회전 운동을 발생시키며, 샤프트 요소 또는 공구는 다른 회전 방향들 때문에 요동 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요동 회전 운동은 준비 영역, 특히 치근관으로부터의 조직의 제거와, 예컨대, 치관 또는 기계식 기어(4)의 방향으로, 준비 영역으로부터 멀리 제거된 조직의 반송을 교대로 허용한다.
구동 장치(1, 1A)들은 기어(4)와 아울러, 구동 샤프트 배열체(2)와 출력 샤프트(3)를 가지며, 이들은 모두 기어(4)와 함께 작동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 배열체(2)는 모터 구동기, 예컨대, 공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모터 또는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될 수 있다. 모터 구동기는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의해 기어(4)로 전달되거나 기어(4)가 이용할 수 있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단방향 회전 운동을 생성한다. 도 1 내지 도 7은 적어도 2개의 구동 샤프트(11, 12)를 바람직하게 가진 구동 샤프트 배열체(2)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출력 샤프트(3)는 기어(4)에 의해 발생된 요동 회전 운동을 공구 및/또는 공구 고정 장치로 전달한다.
기계식 기어(4)는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5)와,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6)를 포함한다. 특히, 출력 샤프트(3)는, 요동 운동과 단방향 회전 운동이 출력 샤프트(3)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제 1 요소(5) 및/또는 제 2 요소(6)에 연결된다.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5)는 바람직하게 편심 기어(5A)를 포함한다. 편심 기어(5A)는 편심 요소(88), 예컨대, 편심 핀 또는 편심 디스크와 아울러, 편심 요소(88)를 위한 리셉터클(17)을 포함한다. 리셉터클(17)은 편심 요소(88)를 위한 그루브, 슬롯, 채널, 언더컷 또는 가이드로서 설계될 수 있다. 편심 요소(88)는 특히 구동 샤프트 배열체(2)의 회전축과 관련하여, 특히 제 1 구동 샤프트(11)의 회전축과 관련하여, 편심되게 배치된다. 편심 요소(88), 특히 핀형 편심 요소(88)에는 바람직하게, 예컨대, 롤러 베어링, 니들 베어링 또는 슬라이딩 베어링이 제공될 수 있다.
편심 기어(5A)의 제 1 부분, 바람직하게 편심 요소(88)(예컨대, 도 3 참조)가 구동 샤프트 배열체(2) 상에, 특히 구동 샤프트 배열체의 제 1 구동 샤프트(11) 상에 제공되지만, 구동 샤프트 배열체(2) 상에 편심 요소(88)를 위한 리셉터클(17)의 배치가 이러한 방식으로 정밀하게 가능하다. 편심 기어(5A)의 추가적인 부분, 예컨대, 리셉터클(17) 또는 편심 요소(88)는 기어(4) 자체 상에, 특히 기계식 기어(4)의 내부 기어(7) 상에 제공된다(도 3 재참조). 내부 기어(7) 상에는 내부 기어(7)의 재킷(7A)으로부터 연장하는 벽부(7B) 또는 편심 요소용 캐리어가 제공되며, 이에 따라, 편심 기어(5A)의 추가적인 부분이 상기 캐리어 또는 벽부 상에 배치된다. 특히, 벽부(7B) 또는 캐리어는, 특히 재킷(7A)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기어(7)의 내부 공간 속으로, 재킷(7A)의 에지 또는 단부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구동 샤프트(11)는 벽부(7B) 또는 캐리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내부 기어(7)는 구동 샤프트 배열체(2)와 관련하여, 특히 제 1 구동 샤프트(11)와 관련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예컨대, 피벗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내부 기어(7)는 그 내부에, 특히 재킷(7A)의 내부에 내부 기어 치형(10)을 가지며, 이 치형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6)는 복수의 기어휠(8, 8A, 9, 9A)을 포함한다. 특히,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6)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휠(8, 8A, 9, 9A)은 내부 기어(7)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내부 기어(7) 내에 배치된다. 구동 샤프트 배열체(2)가 단방향 회전 운동을 기어휠(8, 8A, 9, 9A)로 전달하여 이들을 회전시키도록, 기어휠(8, 8A, 9, 9A)이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특히 구동 샤프트 배열체의 제 2 구동 샤프트(12)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기어휠(8, 8A, 9, 9A)들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특히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샤프트 배열체의 제 2 구동 샤프트(12)에 연결된다.
또한, 기어휠(8, 8A, 9, 9A)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기어휠이 내부 기어(7)의 내부 기어 치형(10)과 맞물림으로써, 회전 운동과 토크가 내부 기어(7)와 기어휠(8, 8A, 9, 9A)들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음을 도 1 내지 도 7에서 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어휠(8, 8A, 9, 9A)은 하나 이상, 예컨대, 2개 또는 3개의 주연 기어휠(8, 8A)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기어휠(9, 9A)을 포함한다. 중앙 기어휠(9, 9A)은 적어도 하나의 주연 기어휠(8, 8A)과 맞물리며, 이에 따라, 회전 운동과 토크가 중앙 기어휠(9, 9A)과 적어도 하나의 주연 기어휠(8, 8A)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주연 기어휠(8, 8A)은 내부 기어(7)의 내부 기어 치형(10)과 맞물린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주연 기어휠(8, 8A)은 샤프트부(18)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 배열체(2)는 제 1 구동 샤프트(11)와 제 2 구동 샤프트(12)를 포함하며, 제 1 구동 샤프트(11)는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4)의 제 1 요소(5)에 연결되고, 제 2 구동 샤프트(12)는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4)의 제 2 요소(6)에 연결된다. 2개의 구동 샤프트(11, 12)들이 공통의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개의 구동 샤프트(11, 12)들을 서로 연결하는 분배기 기어(13)가 제공된다. 분배기 기어(13)는, 예컨대, 서로 맞물리는 기어휠(13A, 13B)들로 형성되며, 각각의 기어휠(13A, 13B)은 구동 샤프트(11, 12) 상에 각각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2개의 기어휠(13A, 13B)들은 감속 또는 증속 기어를 형성하도록 서로 다른 개수의 치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2개의 구동 샤프트(11, 12)들은 서로 다른 회전 속도 및/또는 토크로 회전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4)의 제 1 요소(5)에 연결된 제 1 구동 샤프트(11)는 분배기 기어(13)에 의해 공통 모터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4)의 제 2 요소(6)에 연결된 제 2 구동 샤프트(12)는 공통 모터의 회전 운동을 분배기 기어(13)를 이용하여 제 1 구동 샤프트(11)로 전달한다.
바람직하게, 구동 샤프트 배열체(2)의 회전축(19A), 특히 구동 샤프트(11, 12)들 중 하나의 회전축(19A) 및/또는 출력 샤프트(3)의 회전축(19B)은 기계식 기어(4)의 적어도 일부분, 특히 기어휠(8, 8A, 9, 9A)들 중 하나, 특히 중앙 기어휠(9, 9A) 및/또는 내부 기어(7)의 중심축 및/또는 회전축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제 1 구동 샤프트(11)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여기서, 각각의 제 1 구동 샤프트(11)는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4)의 제 1 요소(5)에 연결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동 장치(1)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모터 구동기가 활성화된 후, 모터 구동기는 단방향 회전 운동을 발생시키며, 단방향 회전 운동은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특히 2개의 구동 샤프트(11, 12)들 중 하나에 전달되고, 분배기 모터(13)에 의해 2개의 구동 샤프트(11, 12)들 중 다른 하나에 전달됨으로써, 양 구동 샤프트(11, 12)들이, 특히 반대 방향으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구동 샤프트(1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연결된 중앙 기어휠(9)도 회전하도록 설정되며, 맞물림 결합으로 인해 주연 기어휠(8)들(즉, 도 1 내지 도 4에서 그들 중 3개)을 구동시킨다. 중앙 기어휠(9)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정된 주연 기어휠(8)들의 회전 방향은 중앙 기어휠(9) 및 제 2 구동 샤프트(12)의 회전 방향과 반대이다. 샤프트부(18)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주연 기어휠(8)들은 내부 기어(7)의 내부 기어 치형(10)과 맞물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기어(7)의 내벽을 따라 움직인다. 이에 따라, 주연 기어휠들은 내부 기어(7) 내부에서 또는 그 내벽을 따라 회전 운동을 실시한다. 각각의 주연 기어휠(8) 또는 각각의 샤프트부(18)가 연결 요소(20), 예컨대 아암 또는 웨브에 의해 출력 샤프트(3)에 연결됨으로써, 주연 기어휠(8)들의 회전 운동이 출력 샤프트(3)로 전달된다. 따라서, 기어휠(8, 9)들은 구동 샤프트 배열체(2)로부터의 단방향 회전 운동을 출력 샤프트(3)에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6)의 부분이다. 여기서, 구동 샤프트 배열체(2)와 출력 샤프트(3)의 회전 방향은 동일한 방향이다. 기어 휠(8, 9)들의 기어 치형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바람직하게, 기어(4)의 제 2 요소(6)가 감속 또는 증속 기어로서 또는 증속 또는 감속 기어비가 없는 1:1 기어로서 설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역시 단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구동 샤프트(11)는, 동시에, 즉 단방향 회전 운동이 제 2 요소(6)에 의해 출력 샤프트(3)로 전달될 때, 제 1 요소(5), 즉 기어(4)의 편심 기어(5A)를 구동시킨다. 내부 기어(7)의 리셉터클(17)에 편심 요소(88)가 맞물리기 때문에, 그리고 구동 샤프트(11)의 회전 운동과 그에 따른 편심 요소(88)의 회전 운동 때문에, 내부 기어(7)는 회전축(19A, 19B)을 중심으로 한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유도된다. 이에 따라, 구동 샤프트 배열체(2) 또는 샤프트(3, 11, 12)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설계된 내부 기어(7)가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교대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요동하게 된다.
기계식 기어(4)의 제 2 요소(6)에 의한 단방향 회전 운동의 전달과, 기어(4)의 제 1 요소(5)에 의해 유도되어 주연 기어휠(9)이 내부 기어(7)와 관련하여 움직이게 되는 내부 기어(7)의 요동 운동이 전술한 바와 같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단방향 회전 운동이 요동 운동에 의해 중첩된다. 특히, 기어휠(8, 8A, 9, 9A)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 샤프트(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요소(5), 특히 내부 기어(7)에 의해 발생되는 요동 운동이, 출력 샤프트(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휠(8, 8A, 9, 9A)에 의해, 출력 샤프트(3)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어휠(8, 8A, 9, 9A)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 샤프트(3) 상에, 특히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람직하게, 제 1 요소(5)에 의해 발생되는 요동 운동이 출력 샤프트(3)에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휠(8, 8A, 9, 9A)에 의해 출력 샤프트(3)로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연 기어휠(8)의 회전 운동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내부 기어(7)의 운동은 제 1 방향으로, 특히 전술한 우선적인 방향이나 작업 방향으로 출력 샤프트(3)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공구 또는 출력 샤프트(3)의 회전을 유도하고/또는 공구 또는 출력 샤프트(3)의 큰 제 1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운동을 유도한다. 따라서, 주연 기어휠(8)의 회전 운동과 반대인 내부 기어(7)의 운동은 제 2 반대 방향으로, 특히 우선적인 방향이나 작업 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이나 재설정 방향으로 출력 샤프트(3)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공구 또는 출력 샤프트(3)의 회전을 유도하고/또는 공구 또는 출력 샤프트(3)의 작은 제 2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운동을 유도한다.
바람직하게, 회전축(19A)으로부터 편심 요소(88)의 상이한 거리들 때문에, 요동 운동 중에 내부 기어(7)의 각속도가 달라진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제 2 방향으로, 특히 우선적인 방향이나 작업 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이나 복원 방향으로 공구 또는 출력 샤프트(3)가 운동할 때의 내부 기어(7)의 각속도가, 제 1 방향으로, 특히 우선적인 방향이나 작업 방향으로 공구 또는 출력 샤프트(3)가 운동할 때의 각속도보다 더 커지도록, 편심 기어(5A)가 설계된다.
중첩된 단방향 회전 운동과 요동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출력 샤프트(3)와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 공구의 요동 회전 운동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으며: 출력 샤프트(3) 또는 공구는 제 1 회전 방향(21)(물질이 제거되는 우선적인 방향이나 작업 방향이라고도 전술함)으로 제 1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회전과, 제 1 회전 방향(21)과는 본질적으로 반대인 제 2 회전 방향(22)(제거된 물질이 멀리 반송되는, 상기 우선적인 방향이나 작업 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이며, 역방향이라고도 전술함)으로 제 2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회전을 교대로 실시하며, 제 1 회전 각도와 제 2 회전 각도는 바람직하게 크기가 다르다. 본원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제 1 회전 방향(21)의 회전 각도는 대략 150°이고, 제 2 회전 방향(22)의 회전 각도는 대략 30°이다. 명백하게, 회전 각도들의 크기가 다르기만 한다면, 예컨대, 대략 45°와 20°, 180°와 90°, 270°와 90°, 450°와 180°와 같은 임의의 다른 회전 각도 값들도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회전 방향도 단지 예에 불과하며,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2개의 회전 방향(21, 22)들의 회전 방향을 역전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회전 방향(21)이 반시계 방향이 되고 회전 방향(22)이 시계 방향이 될 것이다.
출력 샤프트(3) 또는 공구의 요동 운동의 주파수는 대략 3 내지 50㎐의 범위, 특히 대략 5 내지 20㎐의 범위, 예컨대, 특히 대략 10㎐이다.
도 5 내지 도 7의 구동 장치(1A)의 기능은 전술한 구동 장치(1)의 기능과 동일하다. 그러나, 제 2 구동 샤프트(12)가 주연 기어휠(8A)들에, 바람직하게는 3개의 그러한 기어휠들에 연결 요소(20)를 통해 연결되고, 출력 샤프트(3)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중앙 기어휠(9A)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구동 장치(1A)의 설계가 상이하다. 그리고, 주연 기어휠(8A)들은 제 2 구동 샤프트(12)와 관련하여 회전가능하게, 특히 연결 요소(20) 상에 장착된 샤프트부(18)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장치(1, 1A) 상에, 특히 기계식 기어(4) 상에 공구로 전달될 수 있는 토크를 제한하기 위한 토크 제한 장치, 예컨대, 마찰 클러치가 제공된다. 토크 제한 장치는, 예컨대, 구동기 단부에, 특히 구동 샤프트 배열체(2) 상에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샤프트(11, 12) 상에, 또는 출력 단부에, 특히 출력 샤프트(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는 서로 다른 리셉터클(17A, 17B)들, 특히 편심 요소(88)를 위한 그루브형 또는 슬롯형 리셉터클들을 구비한 내부 기어(7)의 실시예들의 정면도와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리셉터클(17, 17A, 17B)들은, 예컨대, 직선, 곡선, 본질적으로 S자형, 사선으로 설계될 수 있거나, 중앙에 또는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편심 기어(5A)의 리셉터클(17, 17A, 17B)들의 형상 및/또는 배향의 변화로 인하여, 예컨대, 내부 기어(7), 출력 샤프트(3) 또는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 공구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 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은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바람직하게는, 공구의 요동 회전 운동을 유도하도록 설계된 구동 장치(1, 1A)를 구비한, 치수 치료용으로 특수하게 설계된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핸들 요소(14A)를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구동 장치(1, 1A)의 기계식 기어(4)는 베어링(16), 특히 슬라이딩 베어링 또는 니들 베어링을 구비한 슬리브(15)에 의해 둘러싸이며, 기계식 기어(4), 바람직하게는 기계식 기어(4)의 편심 기어(5A),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계식 기어(4)의 편심 기어(5A)의 내부 기어(9)가 슬리브(15) 상에, 특히 베어링(16)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바람직하게, 슬리브(15)는 베어링(16), 특히 슬라이딩 베어링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 슬리브(15)는, 예컨대, 치료 장치(14) 또는 핸들 요소(14A)의 외부 슬리브 또는 그립핑 슬리브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기어(4), 바람직하게는 편심 기어(5A), 특히 편심 기어(5A)의 내부 기어(7)는 치료 장치(14) 또는 핸들 요소(14A) 내에 베어링(1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치료 장치(14) 또는 핸들 요소(14A)는 다음과 같은 부품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치료 장치(14) 또는 핸들 요소(14A)에 연결될 수 있는 공구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공구 고정 장치(23)로서, 요동 회전 운동이 공구 고정 장치(23)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동 장치(1, 1A)의 출력 샤프트(3)에 연결된 공구 고정 장치(23); 모터 구동기, 특히 전기 모터 또는 공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모터; 치료 장치(14) 또는 핸들 요소(14A)를 모터 구동기, 특히 전기 모터 또는 공압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모터에, 및/또는 제어기 및/또는 조절 장치에,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 소오스, 특히 압축 공기 소오스 또는 워터 소오스에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24); 준비 부위 및/또는 공구를 조명하기 위해 발광하는 광반도체 요소를 특별히 구비한 광원; 준비 부위로 및/또는 공구 고정 장치(23)의 방향으로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매체 라인; 치료 장치(14) 또는 핸들 요소(14A)의 식별 데이터 및/또는 치료 장치(14) 또는 핸들 요소(14A)의 작동 데이터 및/또는 디폴트 값을 저장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재기록이 가능한, 메모리 요소; 특히 공구 고정 장치(23)의 영역 내의, 온도 측정 장치; 치료 장치(14) 또는 핸들 요소(14A)의 작동 데이터 및/또는 경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도 12 및 도 14는 2개의 치료 장치(25, 25A)를, 특히 핸들 요소 또는 핸드피스 또는 콘트라-앵글 핸드피스(49, 49A)의 형태로 도시하고 있다. 이하, 2개의 치료 장치(25, 25A)와 동일한 특징들에 대해 설명한다. 치료 장치(25, 25A)는 공구 고정 장치(23)가 내부에 수용된 헤드부(27)와, 핸들부(46)를 포함한다. 공구 고정 장치(23)는 헤드부(27)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회전·리프팅 운동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공구 고정 장치(23)는 공구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설계된다. 도 12 및 도 14에 따르면, 공구는 앵글 핸드피스(49, 49A)의 헤드부(27) 밖으로 공구 리셉터클 개구(50)를 통해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핸들부(46)는 헤드 근방부(46A)와, 헤드 근방부에 대해 휘어지거나 만곡되도록 배열된 후방부(46B)를 포함한다.
구동 샤프트 배열체(2)는 치료 장치(25, 25A) 또는 핸들 요소(49, 49A)를 모터 구동기, 특히 전기 모터 또는 공압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모터에, 및/또는 제어기 및/또는 조절 장치에,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 소오스, 특히 압축 공기 소오스 또는 워터 소오스에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또는 연결 장치(24)로부터 치료 장치(25, 25A)를 통해 연장된다. 구동 샤프트 배열체(2)는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구동 샤프트(11, 12, 26, 3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단방향 회전 운동은 커플링 또는 연결 장치(24)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모터 구동기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 운동은 커플링 또는 연결 장치(24)를 통해 구동 샤프트 배열체(2)로 전달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동 샤프트(11, 12, 26, 31)는 베어링 요소(44, 55), 바람직하게는 롤러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2개의 치료 장치(25, 25A)는 공구 고정 장치(23)의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회전·리프팅 운동을 유도하기 위해 복수의 기계식 기어를 포함한 기어 배열체(28)를 추가적으로 갖는다.
치료 장치(25)의 기어 배열체(28)는 다음과 같은 부분들로 설명된다(도 12 참조): 치료 장치(25)의 기어 배열체(28)는 (모터 구동기에 의해 만들어져 적어도 하나의 구동 샤프트(26, 31)에 의해 전달되는)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어(29)와, 편심 기어(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공구 고정 장치(23)는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회전·리프팅 운동으로 유도될 수 있으며, 회전 운동은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한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전달하고/또는 변화시키기 위한 다른 기계식 기어(47)가 구동 샤프트(26)와, 상기 구동 샤프트 및/또는 편심 기어(30)를 구동하는 샤프트(45)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기어(29)의 입력 샤프트(31)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기계식 기어(47)는, 예컨대, 1:1 기어 또는 감속 기어로서 설계된다. 기어(47)는 2개의 기어휠을 포함하며, 특히 하나의 기어휠(48)이 편심 샤프트(45) 상에 및/또는 기어(29) 구동 샤프트(31) 상에 직접 배치됨으로써, 편심 샤프트(45)와 샤프트(31)가 상기 기어(47)에 의해 함께 구동될 수 있다.
치료 장치(25)의 기어 배열체(28)의 기어(29, 30)가 도 13에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29)는 회전축(32)을 구비한 입력 샤프트(31)와, 공구 고정 장치(23)에 연결된 출력 샤프트(33)와, 입력 샤프트(31)의 회전축(32)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중심축(35)을 갖고 상기 입력 샤프트(31)에 연결된 연장부(34)와, 복수의 치형을 갖고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된 제 1 치열(36)과, 복수의 치형을 갖고 상기 출력 샤프트(33)에 연결되며 회전가능하게 배열된 제 2 치열(37)과, 상기 입력 샤프트(31)에 연결된 상기 연장부(34)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제 1 단부에 제 3 치열(39)을 가지며 제 2 단부에 제 4 치열(40)을 가진 슬리브(38)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38)는, 상기 제 3 치열(39)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이 상기 제 1 치열(36)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과 맞물리며 상기 제 4 치열(40)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이 상기 제 2 치열(37)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치열(36)과 상기 제 2 치열(37) 사이에 배치된다. 연장부(34) 상에 배치된 슬리브(38)가 연장부(34)와 관련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입력 샤프트(31)에 연결된 연장부(34)에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장치(41),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롤러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이 제공된다. 연장부(34)의 일단부는 공구 고정 장치(23)의 방향으로 상기 베어링 장치(41)를 넘어 지지되지 않고 자유롭게 연장하는 자유 단부(42)로서 설계된다. 제 1 표면 영역(43A)과 제 1 표면 영역(43A)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 2 표면 영역(43B)을 구비한 판형 캐리어(43)가 제공된다.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된 제 1 치열(36)은 그 치형들이 제 2 치열(37)의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제 1 표면 영역(43A)에 제공되고, 제 2 표면 영역(43B)은 입력 샤프트(31)를 지지하는 베어링 요소(44)를 위한 베어링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설계된다. 판형 캐리어(43)는, 예컨대, 입력 샤프트(31) 또는 편심 기어(30)를 구동하는 샤프트(45)가 관통하는 보어홀(62)을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포함한다. 모든 치열(36, 37, 39, 40)들은 링형 또는 원형으로 특수하게 설계된다.
회전축(32)에 대한 대략 5°내지 15°의 연장부(34)의 경사 때문에, 연장부(34)와 연장부 상에 배치된 슬리브(38)는 작동시, 즉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할 때, 텀블링 동작으로 유도될 수 있다. 제 1 및 제 3 치열(36, 39)과 아울러 제 2 및 제 4 치열(37, 40)의 단지 소수의 치형이기는 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치형은 각각 슬리브(38)가 회전하는 동안 서로 맞물려 결합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결합부들은 슬리브(38) 회전시 치열(36, 37, 39, 40)을 따라 움직이거나 연장된다. 맞물린 치열(36, 39; 37, 40)들의 결합부들은 슬리브(38)의 경사진 배치 때문에 서로에 대해 반대로 경사지게 배열된다. 예컨대, 치열(36, 39)들의 결합부가 좌측 하단에 위치하면, 치열(37, 40)들의 결합부는 우측 상단에 위치한다(도 13 참조).
치열(36, 37, 39, 40)에서 치형의 개수는, 예컨대, 대략 10 내지 30개이며, 원하는 감속 또는 증속비는 실제 개수의 함수로서 조절가능하다. 입력 샤프트(31)의 회전 속도(R1)와 출력 샤프트(33)의 회전 속도(R2)의 비는 다음의 관계식으로 규정되며, R2/R1 = 1 - (A*B)/(C*D), 여기서, A는 제 1 치열(36)의 치형의 개수이고, B는 제 4 치열(40)의 치형의 개수이며, C는 제 2 치열(37)의 치형의 개수이고, D는 제 3 치열(39)의 치형의 개수이다.
공구 고정 장치(23)에 출력 샤프트(33)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출력 샤프트(33)와 공구 고정 장치(23) 사이에 기어형 연결부(59)가 제공된다. 기어형 연결부(59)는 출력 샤프트(33) 상의 기어휠(60)과, 공구 고정 장치(23), 특히 공구 고정 장치(23)의 부싱 또는 슬리브 상의 기어휠(61)을 포함한다.
편심 기어(30)는,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부싱(54) 내에 장착된 편심 핀(53)과, 바람직하게는 공구 고정 장치(23) 상에 장착된, 편심 핀(53)을 위한 리셉터클 또는 요입부(51)를 포함한다. 편심 기어(30)를 구동시키기 위해, 샤프트(45)가 구동 샤프트(26)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편심 기어(30)는 축(52)을 따라 공구 고정 장치(23)의 왕복 또는 리프팅 운동을 유도한다. 바람직하게, 편심 기어(30)의 적어도 일부분, 특히 편심 핀(53)은 샤프트(45) 상에 직접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샤프트(45)는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어(29)를 관통한다. 특히, 기어휠(60)을 포함한 출력 샤프트(33), 연장부(34) 및 입력 샤프트(31)는 중공 샤프트로 설계되며, 샤프트(45)가 수용되는 대응하는 보어홀(56, 57)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입력 샤프트(31)와 편심 샤프트(45)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이들은, 예컨대, 공통 구동 샤프트(26), 공통 기어(47) 또는 공통 모터 구동기에 의해 함께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출력 샤프트(33)와 편심 샤프트(45)는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계되며, 특히 베어링(58), 예컨대, 슬라이딩 베어링이 출력 샤프트(33)의 내부와 편심 샤프트(45)의 외부에 설치된다.
도 14에 도시된 치료 장치(25A)의 기어 배열체는 편심 기어(30)와, 특히 구동 샤프트 배열체(2, 26)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된 기어(4)와,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29)를 포함한다. 편심 기어(30)는 그 설계와 기능면에서 도 12 및 도 13의 편심 기어(30)에 대응한다. 따라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편심 기어(30)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4)는 그 설계와 기능면에서 도 1 내지 도 7의 기어에 거의 대응하며, 요동 회전 운동은 제 1 회전 방향(21)으로 제 1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과, 상기 제 1 회전 방향(21)과는 본질적으로 반대인 제 2 회전 방향(22)으로 제 2 회전 각도(22)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을 교대로 포함하며, 제 1 회전 각도(21)와 제 2 회전 각도(22)는 바람직하게 크기가 다르고,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4는 헤드 부근의 핸들부(46)의 부분(46A)에 배치된 기어(4)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어(4)를 통해, 그리고 중공 샤프트로 설계된 출력 샤프트(3)를 통해 편심 샤프트(45)가 연장된다. 따라서, 기어(4), 특히 기어(4)의 중앙 기어휠(9, 9A)은 편심 샤프트(45)를 위한 보어홀(63)을 포함한다.
예컨대, 1:1 기어 또는 감속 기어로 설계되어,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전달하고/또는 변화시키기 위한 기계식 기어(47)는 기어(4)와 편심 기어(30)를 구동 샤프트(26)에 연결한다. 기어(47)는 2개의 기어휠을 포함하며, 특히 하나의 기어휠(48A)이 편심 샤프트(45) 및/또는 기어(4) 구동 샤프트(11, 12) 상에 직접 배치됨으로써, 편심 샤프트(45)와 샤프트(11, 12)가 기어(47)에 의해 함께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편심 샤프트(45)와 샤프트(11, 12)는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함께 결합된다.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29)도 그 설계와 기능면에서 도 12 및 도 13의 기어에 거의 대응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4로부터, 기어(29)가 핸들부(46)의 후방부(46B)에 배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편심 샤프트(45)가 헤드 부근의 핸들부(46)의 부분(46A)에 배치되므로, 출력 샤프트(33), 연장부(34) 또는 입력 샤프트(31)가 중공 샤프트로 설계될 필요가 없으며, 그 대신, 이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실 샤프트로 제조될 수도 있다. 기어(47)의 적어도 일부분이 헤드 부근의 출력 샤프트(33)의 단부에 배치됨으로써, 회전 속도가 감속된 단방향 회전 운동이 기어(4, 3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치료 장치(25A) 또는 핸들 요소(49A)가 구동 샤프트(26)에 의해 전달되거나 수득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변환하는 3개의 기계식 기어(4, 29, 30)를 구비한 기어 배열체(28)에 기초하여 설계됨으로써, 구동 샤프트(26)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에 비해 감속된 회전 속도를 가진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리프팅 및 요동 회전 운동으로 공구 고정 장치(23)가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대신, 본 발명의 기본적인 논리적 기능 원리를 이용하거나 포함하는 실시예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샤프트(3)가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5)에 직접 및/또는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특히 편심 기어(5A)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부 기어(7)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요소(5)의 일부분, 특히 편심 기어(5A)의 일부분, 예컨대, 편심 요소(88) 또는 리셉터클(17)이 적어도 하나의 주연 기어휠(8)의 캐리어 상에, 예컨대, 연결 요소(20) 상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리셉터클(17)은, 특히 제 1 샤프트(11)의 핀의 형태로, 편심 요소(88)와 적어도 하나의 주연 기어휠(8)의 캐리어 상에 배치된다.
또한,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의 모든 특징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특히, 본원에 설명된 여러 기계식 기어(4, 29, 30, 47)들과 그 실시예들은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서로 조합되거나, 치료 장치(14, 25, 25A)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Claims (48)

  1.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이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설계된 구동 샤프트(26)와,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리프팅 및 회전 운동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치료 장치(25, 25A)의 헤드부(27)에 배치된 공구를 고정하기 위한 공구 고정 장치(23)와, 상기 공구 고정 장치(23)가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리프팅 및 회전 운동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단방향 회전 운동을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리프팅 및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된 기계식 기어 배열체(28)로서,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29)와 편심 기어(30)를 포함하는 상기 기어 배열체(28)를 포함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어(29)는 회전축(32)을 구비한 입력 샤프트(31)와, 상기 공구 고정 장치(23)에 연결된 출력 샤프트(33)와, 상기 입력 샤프트(31)의 회전축(32)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중심축(35)을 갖고 상기 입력 샤프트(31)에 연결된 돌출부(34)와, 복수의 치형을 갖고 회전 불가능하게 배열된 제 1 치열(36)과, 복수의 치형을 갖고 상기 출력 샤프트(33)에 연결되며 회전가능하게 배열된 제 2 치열(37)과, 상기 입력 샤프트(31)에 연결된 상기 돌출부(34)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제 1 단부에 제 3 치열(39)을 가지며 제 2 단부에 제 4 치열(40)을 가진 슬리브(38)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38)는, 상기 입력 샤프트(31)와 관련하여 상기 출력 샤프트(33)의 회전 속도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제 3 치열(39)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이 상기 제 1 치열(36)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과 맞물리며 상기 제 4 치열(40)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이 상기 제 2 치열(37)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치열(36)과 상기 제 2 치열(37)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4) 상에 배치된 상기 슬리브(38)가 상기 돌출부(34)와 관련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입력 샤프트(31)에 연결된 상기 돌출부(34)에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장치(41)가 제공되며, 상기 돌출부(34)의 일단부는 상기 공구 고정 장치(23)의 방향으로 상기 베어링 장치(41)를 넘어 지지되지 않고 자유롭게 연장하는 자유 단부(42)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 1 표면 영역(43A)과 상기 제 1 표면 영역(43A)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 2 표면 영역(43B)을 구비한 판형 캐리어(43)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치열(36)은 그 치형들이 상기 제 2 치열(37)의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표면 영역(43A)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표면 영역(43B)은 상기 입력 샤프트(31)를 지지하는 베어링 요소(44)를 위한 베어링 시트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기어(30)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어(29)를 통과하는 샤프트(45)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샤프트(33) 및/또는 상기 돌출부(34) 및/또는 상기 입력 샤프트(31)는, 상기 편심 기어(30)를 구동하는 샤프트(45)가 수용되는 중공 샤프트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샤프트(31) 및/또는 상기 돌출부(34)는 상기 편심 기어(30)를 구동하는 샤프트(45)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4)와 함께 상기 입력 샤프트(31) 및 상기 편심 기어(30)를 구동하는 샤프트(45)는 상호 관련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특히 상이한 회전 속도로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샤프트(31), 상기 편심 기어(30)를 구동하는 샤프트(45), 및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불가능하게 배열된 제 1 치열(36)은 서로 동심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장치(25, 25A)는 헤드 근방부(46A)와 상기 헤드 근방부(46A)에 대해 경사지거나 만곡되도록 배열된 후방부(46B)를 가진 핸들부(46)를 포함하며,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어(29)는 상기 헤드 근방부(46A)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배열체(28)는, 상기 공구 고정 장치(23)가 요동 회전 운동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된 다른 기계식 기어(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4)는 상기 공구 고정 장치(23)에 바람직하게 제공된 상기 편심 기어(30)와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29)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4)는 상기 구동 샤프트(26; 2)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5)와,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4)에 상기 공구 고정 장치(23)를 연결하는 출력 샤프트(3)는, 요동 운동,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과 단방향 회전 운동이 상기 출력 샤프트(3)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요소(5) 및/또는 상기 제 2 요소(6)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기어(30)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4)를 통해 연장하며/또는 상기 출력 샤프트(3)를 통해 연장하는 샤프트(45)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2)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5)는 편심 기어(5A)를 포함하며,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6)는 복수의 기어휠(8, 8A, 9, 9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 25A).
  16.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이며,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공구를 고정하기 위한 공구 고정 장치(23)와, 상기 공구가 요동 회전 운동하게 유도하도록 설계된 공구 구동 장치(1, 1A)를 포함하며, 상기 요동 회전 운동은 제 1 회전 방향(21)으로 제 1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과, 상기 제 1 회전 방향(21)과는 본질적으로 반대인 제 2 회전 방향(22)으로 제 2 회전 각도(22)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을 교대로 포함하며, 제 1 회전 각도(21)와 제 2 회전 각도(22)는 바람직하게 크기가 다르고, 상기 구동 장치(1, 1A)는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설계된 구동 샤프트 배열체(2; 26)와, 출력 샤프트(3)를 포함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2; 26)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2; 26)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출력 샤프트(3)에 전달하도록 설계된 기계식 기어(4)와, 상기 공구 고정 장치(23)가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리프팅 및 요동 회전 운동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공구 고정 장치(23)와 협력하는 편심 기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기어(30)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4)를 통과하는, 특히, 상기 기계식 기어(4)의 중앙 기어휠(9, 9A)을 통과하는 샤프트(45)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샤프트(3) 및/또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4)의 구동 샤프트(11, 12)는 상기 편심 기어(30)를 구동하는 샤프트(45)가 수용되는 중공 샤프트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전달하고/또는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29; 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속도를 전달하고/또는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47)의 적어도 일부분, 특히, 상기 기어(47)의 기어휠(48A)은 직접, 상기 편심 기어(30)를 구동하는 샤프트(45) 상에 배치되고/또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4)를 구동시키는 구동 샤프트 배열체(2, 11, 12) 상에 배치되어, 상기 편심 기어(30)를 구동하는 샤프트(45)와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4)를 구동시키는 구동 샤프트 배열체(2, 11, 12)가 상기 기어(47)의 적어도 일부분(48A)에 의해 함께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속도를 전달하고/또는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29)는 회전축(32)을 갖는 입력 샤프트(31)와, 상기 공구 고정 장치(23)에 연결된 출력 샤프트(33)와, 상기 입력 샤프트(31)의 회전축(32)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중심축(35)을 갖고 상기 입력 샤프트(31)에 연결된 돌출부(34)와, 복수의 치형을 갖고 회전 불가능하게 배열된 제 1 치열(36)과, 복수의 치형을 갖고 상기 출력 샤프트(33)에 연결되며 회전가능하게 배열된 제 2 치열(37)과, 상기 입력 샤프트(31)에 연결된 상기 돌출부(34)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제 1 단부에 제 3 치열(39)을 가지며 제 2 단부에 제 4 치열(40)을 가진 슬리브(38)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38)는, 상기 입력 샤프트(31)와 관련하여 상기 출력 샤프트(33)의 회전 속도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제 3 치열(39)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이 상기 제 1 치열(36)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과 맞물리며 상기 제 4 치열(40)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이 상기 제 2 치열(37)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치열(36)과 상기 제 2 치열(37)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4) 상에 배치된 상기 슬리브(38)가 상기 돌출부(34)와 관련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입력 샤프트(31)에 연결된 상기 돌출부(34)에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장치(41)가 제공되며, 상기 돌출부(34)의 일단부는 상기 공구 고정 장치(23)의 방향으로 상기 베어링 장치(41)를 넘어 지지되지 않고 자유롭게 연장하는 자유 단부(42)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제 1 표면 영역(43A)과 상기 제 1 표면 영역(43A)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 2 표면 영역(43B)을 포함한 판형 캐리어(43)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치열(36)은 그 치형들이 상기 제 2 치열(37)의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표면 영역(43A)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표면 영역(43B)은 상기 입력 샤프트(31)를 지지하는 베어링 요소(44)를 위한 베어링 시트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4)는 상기 공구 고정 장치(23)에 바람직하게 배치된 상기 편심 기어(30)와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전달하고/또는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29; 47)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
  25.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2)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전달하고/또는 변화시키기 위한, 특히, 감속하기 위한 기어(29; 47)의 적어도 일부분이 설치되는 제 1 구동 샤프트(26)와,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4)가 설치되는 제 2 구동 샤프트(11, 12)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구동 샤프트(11, 12; 26)들은 기어(47)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구동 샤프트(11, 12; 26)들은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되며/또는 상기 편심 기어(30)를 구동하는 샤프트(45)는 상기 제 1 구동 샤프트(26)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
  27. 제16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4)는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5)와,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샤프트(3)는, 요동 운동,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과 단방향 회전 운동이 상기 출력 샤프트(3)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요소(5) 및/또는 상기 제 2 요소(6)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A).
  29.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A), 바람직하게는 치수 치료용으로 특수하게 설계된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핸들 요소(49A)이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설계된 구동 샤프트(26)와, 공구를 고정하기 위한 공구 고정 장치(23)를 포함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A)에 있어서,
    상기 공구 고정 장치(23)에 상기 구동 샤프트(26)를 연결하며, 복수의, 바람직하게는 3개의 기계식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샤프트(26)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에 비해 감속된 회전 속도로 상기 공구 고정 장치(23)가 바람직하게는 동시적인 리프팅 및 요동 회전 운동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샤프트(26)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변환하도록 설계된 기어 배열체(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A, 49A).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배열체(28)는 단방향 회전 운동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기어(29; 47)와, 편심 기어(30)와, 상기 구동 샤프트(26)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된 기어(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25A, 49A).
  31. 치수 치료를 위한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25, 25A)의 용도.
  32.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공구를 위한 구동 장치(1, 1A)이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공구의 요동 회전 운동을 유도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요동 회전 운동은 제 1 회전 방향으로 제 1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과, 상기 제 1 회전 방향과는 본질적으로 반대인 제 2 회전 방향으로 제 2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한 공구의 회전을 교대로 포함하며, 제 1 회전 각도와 제 2 회전 각도는 바람직하게 크기가 다르고, 상기 구동 장치(1, 1A)는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설계된 구동 샤프트 배열체(2)와 출력 샤프트(3)를 포함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공구를 위한 구동 장치(1, 1A)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출력 샤프트(3)에 전달하도록 설계된 기계식 기어(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공구를 위한 구동 장치(1, 1A).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기어(4)는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5)와,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A).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샤프트(3)는, 요동 운동,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과 단방향 회전 운동이 상기 출력 샤프트(3)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요소(5) 및/또는 상기 제 2 요소(6)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A).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5)는 편심 기어(5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A).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기어(5A)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기계식 기어(4)의 내부 기어(7) 상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기어(7)는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2)와 관련하여 회전가능하게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A).
  37.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6)는 복수의 기어휠(8, 8A, 9, 9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A).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휠(8, 8A, 9, 9A)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출력 샤프트(3) 상에 바람직하게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특히 상기 제 1 요소(5)에 의해 발생된 요동 운동은 상기 출력 샤프트(3)에 연결된 이 적어도 하나의 기어휠(8, 8A, 9, 9A)을 통해 상기 출력 샤프트(3)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A).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6)의 기어휠(8, 8A, 9, 9A)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부 기어(7)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A).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어(7)는 상기 내부 기어(7)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기어휠(8, 8A, 9, 9A)과 맞물리는 내부 기어 치형(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A).
  41. 제37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또는 상기 출력 샤프트(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주연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어휠(8, 8A, 9, 9A)은,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또는 상기 출력 샤프트(3)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배치된 제 1 기어휠(8, 8A, 9, 9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어휠(8, 8A, 9, 9A)은 상기 내부 기어(7)의 내부 기어 치형(10)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A).
  42. 제32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2)는 제 1 구동 샤프트(11)와 제 2 구동 샤프트(1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구동 샤프트(11)는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선회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4)의 제 1 요소(5)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구동 샤프트(12)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기계식 기어(4)의 제 2 요소(6)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A).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샤프트(11)와 상기 제 2 구동 샤프트(12)는, 이들이 공통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분배기 기어(13)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A).
  44. 제32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계식 기어(4) 상에 제공되는, 상기 공구로 전달되는 토크를 제한하기 위한 토크 제한 장치, 예컨대, 마찰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A).
  45. 제32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샤프트(3)는 상기 단방향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요소(6)에 직접 및/또는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특히, 상기 제 2 요소(6)의 기어휠(8, 8A, 9, 9A)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A).
  46. 제32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샤프트(3)는 상기 구동 샤프트 배열체(2)에 의해 전달된 단방향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특히, 요동 진자 운동 또는 피벗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요소(5)에 직접 및/또는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특히 상기 편심 기어(5A)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기어(7)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요소(5)의 일부분, 특히 상기 편심 기어(5A), 예컨대, 편심 요소(88) 또는 리셉터클(17)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연 기어휠(8)의 캐리어 상에, 예컨대, 연결 요소(20)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A).
  47.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바람직하게는 치수 치료용으로 특수하게 설계된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핸들 요소(14A)에 있어서,
    제32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 장치(1, 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48.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바람직하게는 제47항에 따른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핸들 요소(14A)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기어(4)를 둘러싸며, 상기 기계식 기어(4),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계식 기어(4)의 편심 기어(5A), 특히 상기 기계식 기어(4)의 편심 기어(5A)의 내부 기어(7)가 통과하여 상기 치료 장치(14) 또는 상기 핸들 요소(14A)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16), 특히 슬라이딩 베어링 또는 니들 베어링을 가진 슬리브(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치료 장치(14, 14A).
KR1020147013507A 2011-11-21 2012-11-21 의료용 공구,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공구를 위한 구동 장치 KR101970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62375P 2011-11-21 2011-11-21
EP11189869 2011-11-21
EP11189869.8 2011-11-21
US61/562,375 2011-11-21
EP12159781.9 2012-03-16
EP12159781 2012-03-16
PCT/EP2012/073144 WO2013076106A2 (de) 2011-11-21 2012-11-21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medizinisches, insbesondere dentales oder chirurgisches, werk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501A true KR20140095501A (ko) 2014-08-01
KR101970379B1 KR101970379B1 (ko) 2019-04-18

Family

ID=4847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507A KR101970379B1 (ko) 2011-11-21 2012-11-21 의료용 공구,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공구를 위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89132B2 (ko)
EP (1) EP2782516B1 (ko)
JP (2) JP5878243B2 (ko)
KR (1) KR101970379B1 (ko)
CN (2) CN103945788B (ko)
WO (1) WO201307610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206A (ko) * 2014-09-29 2016-04-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감속기어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시술용 핸드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8884B1 (en) * 2010-10-06 2013-02-13 VDW GmbH Endodontic system
DE102012217851A1 (de) * 2012-09-28 2014-04-03 Sirona Dental Systems Gmbh Zahnärztliches Präparationsinstrument mit einem abwechselnd umkehrbar rotierenden Werkzeug
EP2805688B1 (de) * 2013-05-22 2016-10-05 W & H Dentalwerk Bürmoos GmbH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medizinisches, insbesondere dentales oder chirurgisches, Werkzeug
WO2014187841A2 (de) * 2013-05-22 2014-11-27 W & H Dentalwerk Bürmoos GmbH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medizinisches, insbesondere dentales oder chirurgisches, werkzeug
JP6193697B2 (ja) 2013-09-20 2017-09-06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歯科用治療装置
EP2910215B1 (de) 2014-02-20 2018-11-07 W & H Dentalwerk Bürmoos GmbH Medizinisches, insbesondere dentales Handinstrument
KR20160000320A (ko) * 2014-06-24 2016-01-04 주식회사 세양 파일 회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신경 치료용 핸드피스
DE102014226325A1 (de) * 2014-12-17 2016-06-23 Sirona Dental Systems Gmbh Zahnärztliches Instrument mit einem Getriebe zum Antrieb eines Werkzeugs
US10201398B2 (en) 2015-03-20 2019-02-12 Kaltenbach & Voigt Gmbh Dispensing material from a dental handpiece
DE102015214081A1 (de) 2015-07-24 2017-01-26 Sirona Dental Systems Gmbh Zahnärztliches Präparationsinstrument für ein abwechselnd umkehrbar rotierendes Werkzeug
US10342572B2 (en) * 2016-08-15 2019-07-09 Biosense Webster (Israel) Ltd. Gear mechanism to drive oscillating shaft
JP6775199B2 (ja) * 2017-05-18 2020-10-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JP6989479B2 (ja) * 2018-11-19 2022-01-05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歯科用治療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CN110547845B (zh) * 2019-09-29 2024-05-10 重庆西山科技股份有限公司 摆角可调的磨削手柄动力传动机构及磨削刀具
JP2021053258A (ja) * 2019-10-01 2021-04-08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歯科用ハンドピース
CN112754687B (zh) * 2020-12-30 2022-07-12 余礼建 一种可旋转牙科手机
CN113007280A (zh) * 2021-02-23 2021-06-22 常州赛乐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增速牙科弯手机
CN113584664A (zh) * 2021-09-03 2021-11-02 江苏柏琳家用纺织品有限公司 一种雪尼尔机用绒纱割断装置
CN117582263B (zh) * 2024-01-15 2024-04-19 诺美伊创医疗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医用刨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8851A (en) * 1985-11-15 1988-01-12 Kaltenbach & Voigt Gmbh & Co. Handpiece, especially for dental purposes
JPH01107312U (ko) * 1988-01-13 1989-07-19
JP2574376B2 (ja) * 1988-03-28 1997-01-22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01061862A (ja) * 1999-08-27 2001-03-13 Manii Kk 歯科用コントラアングルハンドピース
WO2011089348A1 (fr) * 2010-01-19 2011-07-28 Micro Mega International Manufactures Appareil pour entraîner en mouvement des outils utilisés en chirurgi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44611A (en) * 1941-10-08 1942-04-20 Harry Jones Andrew Improvements in appliances for machine tapping or screwing operations
US2538620A (en) * 1945-11-20 1951-01-16 Metal Seal And Products Inc Mechanical movement
US3678745A (en) * 1970-11-12 1972-07-25 Mc Donnell Douglas Corp Ballistic compression decelerator
JPS5714809Y2 (ko) * 1979-07-16 1982-03-27
JPS6047507U (ja) * 1983-09-10 1985-04-03 長田電機工業株式会社 歯科用コントラヘッド
EP0281847B1 (fr) * 1987-03-06 1991-08-07 Micro-Mega (Suisse) S.A. Pièce à main dentaire
ATE230956T1 (de) * 1993-07-30 2003-02-15 Kaltenbach & Voigt Werkzeug für ein winkelförmiges oder gerades handstück mit einer lösbaren spannvorrichtung für das werkzeug, insbesondere für medizinische zwecke
CN2194109Y (zh) * 1994-03-31 1995-04-12 刘伟南 刷程可以调节的对刷式电动牙刷
CN2402291Y (zh) * 1998-08-13 2000-10-25 廖伟文 往复摆动式电动牙刷
US6293795B1 (en) 1999-07-13 2001-09-25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Rotary handpiece for endodontic instrumentation
FR2840800B1 (fr) * 2002-06-12 2004-08-27 Micro Mega Int Mfg Sa Perfectionnement aux appareils d'entrainement, dit<<contre-angles>>, pour outils rotatifs utilises en chirurgie, notamment en chirurgie dentaire
CN100413479C (zh) * 2002-06-27 2008-08-27 颛清平 电动牙刷
GB2413267B (en) * 2004-04-19 2009-02-11 Paul Michael Clements Variable function toothbrushes
AT502358B1 (de) * 2004-08-18 2008-10-15 W & H Dentalwerk Buermoos Gmbh Medizinischer handstückkopf zur übertragung einer hubbewegung auf ein werkzeug
DE202007015345U1 (de) * 2007-11-02 2007-12-27 Teichmann, Gernot, Dr. Dr.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schraubenförmigen, insbesondere schneckenförmigen Ausnehmung in einem Knochen
DE102012217851A1 (de) * 2012-09-28 2014-04-03 Sirona Dental Systems Gmbh Zahnärztliches Präparationsinstrument mit einem abwechselnd umkehrbar rotierenden Werkzeu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8851A (en) * 1985-11-15 1988-01-12 Kaltenbach & Voigt Gmbh & Co. Handpiece, especially for dental purposes
JPH01107312U (ko) * 1988-01-13 1989-07-19
JP2574376B2 (ja) * 1988-03-28 1997-01-22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01061862A (ja) * 1999-08-27 2001-03-13 Manii Kk 歯科用コントラアングルハンドピース
WO2011089348A1 (fr) * 2010-01-19 2011-07-28 Micro Mega International Manufactures Appareil pour entraîner en mouvement des outils utilisés en chirurgi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206A (ko) * 2014-09-29 2016-04-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감속기어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시술용 핸드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76106A2 (de) 2013-05-30
EP2782516B1 (de) 2017-05-03
CN103945788A (zh) 2014-07-23
US20140318287A1 (en) 2014-10-30
KR101970379B1 (ko) 2019-04-18
JP6263505B2 (ja) 2018-01-17
WO2013076106A3 (de) 2013-09-26
EP2782516A2 (de) 2014-10-01
JP5878243B2 (ja) 2016-03-08
JP2016026592A (ja) 2016-02-18
US9989132B2 (en) 2018-06-05
CN103945788B (zh) 2017-05-24
CN106974736B (zh) 2019-06-28
JP2014533541A (ja) 2014-12-15
CN106974736A (zh)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379B1 (ko) 의료용 공구, 특히 치과용 또는 외과용 공구를 위한 구동 장치
US10350028B2 (en) Multi-directional handpiece
JP6572297B2 (ja) 医療用器具、特に歯科用又は外科用器具のための駆動装置
CN104470447B (zh) 锯、锯刀片和连接机构
BR0212384A (pt) Escova de dente elétrica
US20240164797A1 (en) Rotary oscillating surgical tool
JP2013517079A (ja) 歯科外科的治療で使用されるツールの運動を駆動するための装置
JP2013106871A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
JPS61284242A (ja) 歯科用ハンドピ−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