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491A - 방호물 조립체 - Google Patents

방호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491A
KR20140094491A KR1020140080996A KR20140080996A KR20140094491A KR 20140094491 A KR20140094491 A KR 20140094491A KR 1020140080996 A KR1020140080996 A KR 1020140080996A KR 20140080996 A KR20140080996 A KR 20140080996A KR 20140094491 A KR20140094491 A KR 20140094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support
hole
base plate
assembly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치언
Original Assignee
안치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치언 filed Critical 안치언
Priority to KR102014008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4491A/ko
Publication of KR20140094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전면에 확보도 인도로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방호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동시에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지지대의 외표면에 접합되는 외피를 완충효과가 우수한 합성수지로 피복한 것으로 색상을 다양하게 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함과 아울러 설치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방호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돌기의 내측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통공이 형성된 플렌지부를 갖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나선부가 형성된 심재와, 이 심재의 외측에 부가된 연결과, 이 연결편의 외측에 외측면이 일체로 성형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외표면에 2cm ~5cm내외의 두께로 피복되는 외피를 포함하는 고정부재와;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된 보강편의 외표면에는 중앙에 착탈이 가능한 캡을 포함하는 외피를 피복한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방호물 조립체 {Protective structure assembly}
본 발명은 건물의 전면에 확보도 인도로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방호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동시에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지지대의 외표면에 접합되는 외피를 완충효과가 우수한 합성수지로 피복한 것으로 색상을 다양하게 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방호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전면에는 사람이 보행할 수 있는 보행로가 확보되어 있으며, 이 보행로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없도록 천연석을 특정형태로 가공한 방호석이 설치되어있다.
이러한 방호석은 중량이 매우 무겁기 때문에 이의 가공 및 운반 그리고 시공이 매우 어려울뿐만이 아니라 보행자에게 위화감을 유발하게 되고, 더욱이 이 방호석과 충돌하여 부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건물의 전면에 시공되는 방호물은 석재를 가공한 제품만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
하기의 특허문헌은 본건과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으나 넓은 의미에서 상호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선행기술문헌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 대한민국 특허등록제384679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지적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금속재로 성형된 지지대의 외표면에 완충기능을 우수한 외피를 일체로 접합하여 차량의 진입을 차단함은 물론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호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주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색상을 다양하게 하여 보행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으면서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호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이 간편한 구조를 갖는 방호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안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돌기의 내측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통공이 형성된 플렌지부를 갖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나선부가 형성된 심재와, 이 심재의 외측에 부가된 연결과, 이 연결편의 외측에 외측면이 일체로 성형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외표면에 2cm ~5cm내외의 두께로 피복되는 외피를 포함하는 고정부재와;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된 보강편의 외표면에는 중앙에 착탈이 가능한 캡을 포함하는 외피를 피복한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지지대의 외표면에 피복되는 외피는 내구성, 내열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부재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심재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하부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마감부재는 보강편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심재를 구성하는 나선부에 나사결합되는 상부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재로 성형된 지지대는 방호물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지지대의 외표면에 피복된 외피는 보행자가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므로서 부상을 입지 않게 되는 것이다.
뿐만이 아니라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외피의 색상을 다양하게 하므로서 위화감이 없고 또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으며, 전체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시공이 편리할 뿐만이 아니라 사용도중에 외피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위만을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결합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사각형상을 이루는 지지대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지지대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사각형태로 성형된 외피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원통형태로 성형된 외피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사각형상을 이루는 방호물의 사시도
도 8은 원통형상을 이루는 방호물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결합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사각형상을 이루는 지지대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지지대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사각형태로 성형된 외피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원통형태로 성형된 외피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사각형상을 이루는 방호물의 사시도, 도 8은 원통형상을 이루는 방호물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호구조물(40)은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20)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부재(3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돌출된 돌기(2)와, 이 돌기(2)의 내측중앙에 통공(3a)이 부가되며 상면에 고정부재(20)의 하단부를 안착하기 위한 수용부(3)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2)의 외측에는 고정볼트(9)를 체결하기 위한 통공(7a)이 형성된 플렌지부(7)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20)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지지대(15)와, 이 지지대(10)의 외표면에 피복되는 외피(18)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지지대(1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이는 심재(11)와, 이 심재(11)의 외측에 부가되는 4개의 연결편(14) 및 이 연결편(14)의 단부에는 외측편(13)이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상기 심재(11)의 중앙에는 하부볼트(B1)와 상부볼트(B2)를 체결하기 위한 나선부(11a)가 형성되고, 외측편(13)에는 외부로 돌출된 체결돌기(13a)가 더 부가된 구조이다.
이러한 지지대(15)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가해져도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각면의 길이는 대략 20cm정도이며, 높이는 60cm내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5)의 외표면에 피복되는 외피(18)는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두께는 2cm~5cm 내외로 성형되며, 이의 외경을 23cm이상이고, 높이는 20cm내외로 성형된다.
이 외피(18)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구성 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우레탄재질로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외피(18)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이는 고정부재(20)와 별도로 성형하여 이를 커버부재(30)에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외피(18)는 내측에 고정부재(20)를 구성하는 지지대(15)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삽입공(18a)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18a)의 외측면에는 수직장홈(18b)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수직장공(18b)이 지지대(15)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돌기(13a)에 정합되어 요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더욱이 외피(18)는 다수개로 분할 성형하여 이를 지지대(15)에 순차적으로 결합하므로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피(18)의 색상을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하여 하나의 방호구조물에 여러 색상을 조합하므로서 주변 환경을 밝게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도중에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외피(18)가 파손되는 경우, 이 파손된 것만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외피(18)는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내외측으로 반분하여 내측은 경질재(18c)로 외측은 쿠션감이 우수한 연질재료로 이중 성형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이렇듯 내측을 경질재(18c)로 성형하면, 지지대(15)에 외피(18)의 결합 및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구성이며 고정부재(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커버부재(30)는 보강편(21)과, 이 보강편(21)의 외부에 피복되어지는 외피(24) 및 캡(28)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보강편(21)도 상술한 지지대(15)와 마찬가지로 금속재로 성형된 것으로 중앙에는 상부볼트(B1)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21a)이 형성된다.
또한 외피(24)도 상술한 고정부재(20)를 구성하는 외피(18)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중앙에는 캡(28)을 결합하기 위한 요홈(24a)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외피(24)에 형성된 요홈(24a)에 캡(28)을 결합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와 고정부재(20) 및 커버부재(30)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즉 외표면에 외피(18)가 결합된 고정부재(20)의 하부를 베이스플레이트(10)에 형성된 수용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에서 하부볼트(B1)를 체결하여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하부볼트(B1)는 수용부(3)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3a)으로 삽입하여 지지대(15)를 구성하는 심재(11)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11a)에 나사결합하므로서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부재(20)의 상면에 커버부재(30)를 접합시킨 상태에서 보강편(21)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21a)에 상부볼트(B2)를 삽입하여 외측의 나선부가 지지대(15)를 구성하는 심재(11)에 형성된 나선부(11a)에 체결되므로서 이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베이스플레이트(10)와 고정부재(20) 및 커버부재(30)가 일체로 결합된 방호구조물(40)은 몰타르로 양생한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서, 이는 지면의 상면에 베이스플레이트(1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플렌지부(7)에 형성된 통공(7a)에 볼트(9)를 체결하므로서 건물의 전면에 확보된 도로상에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시공된 본 발명의 방호구조물(40)은 시공이 간편하고, 또 외피(18)의 색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도중에 외피(18)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위만을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방호물의 높이를 지지대(15)와 외피(18)의 개수를 조정하여 시공환경에 따라 20cm,40cm,60cm의 높이를 갖는 방호물의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해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다른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2 : 돌기 3 : 수용부 7 : 플렌지부 10 : 베이스플레이트
11a : 나선부 11 : 심재 13a : 체결돌기 13 : 외측편 15 : 지지대
18a : 삽입공 18b : 수직장홈 18 : 외피 20 : 고정부재
21 : 보강편 24 : 외피 28 : 마감캡 30 : 커버부재
40 : 방호물 조립체

Claims (7)

  1. 돌기의 내측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통공이 형성된 플렌지부를 갖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나선부가 형성된 심재와, 이 심재의 외측에 부가된 연결과, 이 연결편의 외측에 외측면이 일체로 성형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외표면에 2cm ~5cm내외의 두께로 피복되는 외피를 포함하는 고정부재와;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된 보강편의 외표면에는 중앙에 착탈이 가능한 캡을 포함하는 외피를 피복한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중에서 어느 하나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수직장홈이 형성된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외표면에 피복되는 외피는 내구성, 내열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중에서 어느 하나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내측은 박형의 경질재로 외측은 쿠션감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부재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심재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하부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마감부재는 보강편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심재를 구성하는 나선부에 나사결합되는 상부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 조립체.
KR1020140080996A 2014-06-30 2014-06-30 방호물 조립체 KR20140094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996A KR20140094491A (ko) 2014-06-30 2014-06-30 방호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996A KR20140094491A (ko) 2014-06-30 2014-06-30 방호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491A true KR20140094491A (ko) 2014-07-30

Family

ID=5174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996A KR20140094491A (ko) 2014-06-30 2014-06-30 방호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44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0878A (zh) * 2014-10-31 2015-04-01 上海电机学院 一种声光人行道路障杆
US11629524B2 (en) * 2018-11-30 2023-04-18 Paul V. Galla Collar for installation of barriers onto existing bollar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0878A (zh) * 2014-10-31 2015-04-01 上海电机学院 一种声光人行道路障杆
US11629524B2 (en) * 2018-11-30 2023-04-18 Paul V. Galla Collar for installation of barriers onto existing bollar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707B2 (en) Rear trim ring for a vandal resistant luminaire
US10246891B2 (en) Sheathed frame pool
KR20140094491A (ko) 방호물 조립체
KR100800595B1 (ko) 보행자 보호용 조립식 휀스
US20060213530A1 (en) Post cover sleeve with cigarette receptacle
KR101009538B1 (ko) 충격흡수 안전휀스
US20070194293A1 (en) Electrically insulated fence
KR200417926Y1 (ko) 차량 진입 방지용 경계석
DK2189189T3 (en) Trampoline
CA2772794A1 (en) Baluster bracket assembly
US11358665B2 (en) Support for two-wheeled vehicles
KR101141580B1 (ko) 볼라드 충격흡수용 조립식 커버
KR100907304B1 (ko) 탄성볼라드
KR20100100207A (ko) 맨홀 뚜껑의 진동 흡수부재
US20060113515A1 (en) Post cover sleeves and spacers therefor
US8782980B1 (en) Protective device for covering the tip of a beam on which air conditioning equipment is installed
KR101928042B1 (ko) 펜스
CN108463607A (zh) 梯子组件
ES1064176U (es) Parachoques para vehiculos medio-pesados.
KR20000013963U (ko) 밴드체결식 전주보호판
KR102155784B1 (ko) 포스트 분리 타입의 파손 방지형 안전 표시 삼각콘
AU2015100326A4 (en) Post Protector
ES1067783U (es) "escalera".
KR20150100179A (ko) 미관성을 향상시킨 수목보호대
KR102653037B1 (ko)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