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320A -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320A
KR20140094320A KR1020130007013A KR20130007013A KR20140094320A KR 20140094320 A KR20140094320 A KR 20140094320A KR 1020130007013 A KR1020130007013 A KR 1020130007013A KR 20130007013 A KR20130007013 A KR 20130007013A KR 20140094320 A KR20140094320 A KR 20140094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replacement
guide tube
housing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호츠 와타루
박문규
이진원
임수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7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4320A/ko
Priority to US14/159,946 priority patent/US20140206938A1/en
Publication of KR2014009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8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mea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e.g. by using a sanitary sh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4Suction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내시경 장치는, 조작부에 연결되어 인체에 삽입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교체 가능하게 제공되는 교체용 튜브 및 하우징을 관통하여 고정되며, 교체용 튜브가 삽입되는 가이드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시경 장치는,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내시경 장치는 인체삽입부와 인체 미 삽입부로 구획되고, 인체삽입부에는 한번 사용 후 제거되는 교체 가능한 튜브부가 제공되어 인체 미 삽입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시경 장치{ENDOSCOPE DEVICE}
본 발명은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술 시 발생되는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은 위, 대장, S자 결장, 기관지 등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를 직접 볼 수 있고 진단할 수 있게 만든 장치로서, 내시경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최근 들어 건강검진 등에 빠지지 않고 사용되고 있는 장치이다. 내시경은 피 시술자의 입, 항문 또는 신체 일부의 절개를 통해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진단을 하게 된다. 이러한 내시경의 경우, 피 검사자에게 사용한 후, 다른 피 검사자에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약품 등을 통해 피 검사자에게 삽입되는 부분을 살균한 후 재사용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내시경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내시경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내시경을 단순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내시경(10)은 선단으로 노즐이 제공되는 하우징(11)의 내측으로 채널튜브(11)와, 석션튜브(13), 채널튜브(11)에서 석션튜브(13) 및 외부와 분기되는 와이브랜치(Y-branch, 14), 흡입을 조절하는 석션밸브(15) 등으로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내시경(10)은 피 검사자의 인체로 삽입되는 부분(이하에서'A부분' 이라고 함.)과, 인체로 삽입되지 않는 부분(이하에서'B 부분'이라고 함.)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내시경(10)은 피 검사자에게 사용한 후, 다른 피 검사자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사용된 내시경(10)을 소독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내시경(10) 중 인체로 삽입되는 A부분의 경우, 피 검사자의 인체로 삽입됨으로써, 피 검사자의 내용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됨으로 내용물이 A부분에 남아있지 않도록 다른 피 검사자에게 사용하기 전에 소독해야 한다. 또한, 피 검사자의 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없는 B부분의 경우, 채널튜브(12)나 석션튜브(13), 와이브랜치(14) 또는 석션밸브(15) 들 사이로 피 검사자의 신체에서 석션된 내용물이 부착되거나 남아있게 됨으로써, 이 부분도 다른 피 검사자에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독을 해야한다. 그러나, 채널튜브(12) 또는 석션튜브(13)의 모서리나 분기되는 부분 또는 석션밸브(15)들 사이, 또는 채널튜브(12)나 석션튜브(13) 내측면으로는 소독이 용이하지 않는 부분으로 소독을 조금만 소홀히 해도 내용물이 고착되거나 쌓이게되어, 멸균작업을 수행한다고 하여도 오염물질이 제거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내시경의 구조에 따라 각 구성들의 틈 사이로 유입된 오염물은 소독이 행해진다고 하여도 멸균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시경의 사용에 따른 오염을 방지하기 멸균을 위한 소독작업이 행해지나, 내시경의 선단에 제공되는 카메라 모듈로 인해 고온의 멸균 소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시경의 멸균 소독을 위한 멸균 작업을 사용자가 일일이 해주어야 함으로써 인건비가 증가하거나, 멸균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고,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내용물이 이동되는 튜브 내측의 세척을 위해 클리닝 밸브가 별도로 구비됨으로써 내시경의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클리닝 밸브에 따른 또 다른 오염원이 발생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오염된 내시경을 피 검사자에게 사용하는 경우, 알지 못하는 사이 피 검사자는 질병에 노출되거나 오염되거나 진단 결과의 오류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은 뻔한 일이다.
또한 내시경의 멸균이나 오염방지를 위해 다양한 구성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일본특개2004-016393(공개일: 2004.01.22), 일본특개2003-284675(공개일: 2003.10.07)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내시경의 외부로 시스 또는 드레이프를 장착하여, 진단하고자 하는 곳으로 삽입하여 내시경의 삽입부에 발생되는 오염을 방지하거나, 석션튜브나 채널을 외부에 구비되도록 하여 1회용으로 사용되도록 한다.
그러나, 시스 또는 드레이프를 장착하는 내시경의 경우, 시스나 드레이프를 별도로 내시경에 장착되어 커버되어야 함은 물론 내시경에 장착된 상태로 진단하고자 하는 위치로 삽입 시 삽입의 어려움이 발생하며, 내시경 선단에 제공되어 진단부위를 외부에서 시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도 함께 커버됨으로써, 진단부위의 진단이 명확하게 파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시스 또는 드레이프는 내시경 중 진단부위로 삽입되는 A부분을 커버함으로써, A부분의 오염은 방지할 수 있으나, 내용물이 흡입되는 튜브의 내측부분이나 B부분의 오염은 방지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멸균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석션튜브나, 채널 튜브를 외부로 구비시켜 한번만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 채널튜브나 석션튜브를 내시경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하면 피 검사자의 인체 내부로 내시경의 삽입 시 피 검사자에게 고통이 동반되거나 내시경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피 검사자의 진단부에 삽입되는 내시경의 단부 형상이'O'형이 아님으로써 채취한 조직의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시경의 단면의 형상이'O'형을 유지하여 그 내측으로 석션튜브나 채널튜브 등이 배치되도록 하여 진단하고자 하는 위치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내시경의 삽입에 따른 사용자의 고통을 저감시키는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내시경 중 오염이 용이한 구성물을 1회 사용 후 새것으로 교체함으로써 다른 피 사용자에게 새것을 사용함으로써, 내시경 전체의 오염발생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시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조작부에 연결되어 인체에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교체 가능하게 제공되는 교체용 튜브;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교체용 튜브가 삽입되는 가이드 튜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에 제공되며, 상기 교체용 튜브의 선단을 압입하여 상기 교체용 튜브의 선단을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에 밀폐시키는 압입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압입부는, 상기 가이드 튜브 선단에 제공되며 내측으로 압입홈이 형성된 디스탈엔드; 및 상기 압입홈에 장착되고, 상기 교체용 튜브의 선단을 상기 압입홈에 밀착하여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을 통해 상기 교체용 튜브를 삽입하면, 상기 교체용 튜브는 상기 가이드 튜브를 따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이 상기 압입홈에 위치되면,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 내측에 위치시켜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을 상기 디스탈엔드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 튜브에 실링되어 장착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압입홈에서 이탈시킨 후,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을 통해 상기 교체용 튜브를 잡아당기면, 상기 교체용 튜브는 상기 가이드 튜브에서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내시경 장치는;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장치는 인체삽입부와 인체 미 삽입부로 구획되고, 상기 인체삽입부에는 한번 사용 후 제거되는 교체 가능한 튜브부가 제공되어 상기 인체 미 삽입부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체삽입부는, 상기 인체 미 삽입부와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가이드 튜브; 및 상기 가이드 튜브로 삽입 및 일탈되어 교체 가능하게 제공되는 교체용 튜브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교체용 튜브의 선단부를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에 밀착시켜 상기 가이드 튜브와 상기 교체용 튜브의 선단부를 실링하는 압입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압입부는, 상기 가이드 튜브 선단에 실장되며, 내측으로 압입홈이 형성된 디스탈엔드; 및 상기 압입홈에 장착되고, 상기 교체용 튜브의 선단을 상기 압입홈에 밀착하여 상기 교체용 튜브와 상기 가이드 튜브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을 통해 상기 교체용 튜브를 삽입하면, 상기 교체용 튜브는 상기 가이드 튜브를 따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이 상기 압입홈에 위치되면,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 내측에 위치시켜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을 상기 디스탈엔드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 튜브에 실링되어 장착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인체 미 삽입부는, 상기 하우징이 연결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교체용 튜브의 후단부와 연결되는 석션튜브; 및 상기 조작부에 탈, 부착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석션튜브와 상기 교체용 튜브를 연결하는 와이브랜치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브랜치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탈, 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고 상기 교체용 튜브가 노출되며, 상기 와이브랜치가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브랜치 고정면; 및 상기 와이브랜치에 제공되고, 상기 교체용 튜브를 커버하며, 상기 와이브랜치 고정면에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브랜치는 상기 교체용 튜브와 함께 피 검사자에게 사용 후 교체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브랜치를 상기 조작부에서 이탈시킨 후, 상기 석션튜브 및 상기 교체용 튜브를 절단하고,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에서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압입홈에서 분리하여 상기 교체용 튜브를 잡아당기면, 상기 교체용 튜브는 상기 가이드 튜브를 따라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제거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석션튜브에는 흡입을 조절하는 석션밸브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석션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시경 장치는, 인체를 진단하면서 발생되는 직접적인 오염 및 간접적으로 오염되는 구성물을 교체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인체로 삽입되는 부분 및 인체에 삽입되지 않지만 세척이 충분이 되지 않아 멸균되지 않거나 오염된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시경 장치의 사용 후 오염으로부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이 되어도 멸균되지 않는 부분이나 세척이 어려운 부분을 교체함으로써 멸균된 상태의 내시경으로 피 검사자를 진단할 수 있으므로 피 검사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오염에 의한 전염 등으로부터 안전한 내시경 장치, 즉 별도의 세척을 하지 않아도, 항상 멸균된 상태의 내시경 장치로 피 검사자를 진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전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는 카메라 등의 구성물로 인해 멸균 작업의 한계가 발생하였으나, 튜브부의 교체만으로 멸균된 상태의 내시경 장치를 이용할 수 있어 피 검사자가 안심하고 진단받을 수 있으며, 기존에는 내시경 장치의 일부 구성으로 세척을 위한 세척부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였으나, 이러한 세척부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는 내시경 장치를 제안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의 내시경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내시경 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내시경 장치를 좀더 단순화시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내시경 장치를 단순화 시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서 내시경 장치의 선단부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4에서 내시경 장치의 선단부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4에서 교체용 튜브가 가이드 튜브에 탈,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밸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석션밸브의 구동 상태를 단순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에서 교체용 튜브, 석션튜브 및 와이브랜치 등의 교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시경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1이나, 2 등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후순위의 대상에 대해 선행하는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시경 장치(100)는 인체의 삽입으로 인한 오염 및 인체에는 삽입되지 않으나 멸균이 용이하지 않아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인체에 삽입되어 직접 오염되는 부분에 제공되는 튜브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오염원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지만 멸균 등이 용이하지 않거나 잦은 사용으로 인한 2차적으로 오염이 발생하는 부분의 구성물을 교체가 용이하게 하거나 멸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내시경 장치(100)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시경 장치(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형상화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시경 장치(100)는 인체삽입부(A)와 인체 미 삽입부(B)로 구획된다. 인체삽입부(A)는 말 그대로 내시경 장치(100) 중 인체에 삽입되어 진단부를 진단하며, 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다. 인체 미 삽입부(B)는 인체삽입부(A)와 연결되며 인체에 삽입되지 않는 부분으로, 내시경 장치(100)를 피 검사자에게 사용하는 경우 인체삽입부(A)를 조정할 수 있게 하며, 인체삽입부(A)를 구동하거나 조절하며 흡입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인체삽입부(A)에는 피 검사자의 혈액이나 조직 샘플 등을 채취하거나, 시술 도구 등이 유입되는 튜브부(120)가 제공되는데, 튜브부(120)에 교체 가능한 튜브(이하에서 후술하는'교체용 튜브(122)'를 일컬음.)가 제공되며, 또한, 인체 미 삽입부(B)에 제공되어 흡입을 위해 제공되는 석션튜브(150)나 와이브랜치(140) 등을 교체 가능하게 구비하거나 탈, 부착되게 하여 멸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이러한 인체삽입부(A)는 하우징(110)과, 교체용 튜브(122) 및 가이드 튜브(121)를 포함한다.
도 6은 도 4에서 내시경 장치의 선단부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후술하는 인체 미 삽입부(B)에 제공되는 조작부(130)에 연결되어 인체에 삽입된다. 하우징(110)은'O'형으로 형성되어 인체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형성된다.'O'형의 하우징(110)에는 피 검사자의 진단부 상태를 검사자가 관찰할 수 있도록 카메라(C)나 라이트(L1, L2) 등이 제공되고, 혈액을 흡입하거나, 조직을 검출하는 등의 다양한 시술을 할 수 있는 도구가 유입되는 튜브부(120)가 제공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선단에는 압입부(160)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교체용 튜브(122)가 가이드 튜브(121)에 고정되게 함은 물론 교체용 튜브(122)와 가이드 튜브(121) 사이를 실링하여, 가이드 튜브(121)의 오염을 방지한다. 압입부(160)의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후술한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튜브부(120),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가이드 튜브(121) 및 교체용 튜브(122)가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타측, 구체적으로 하우징(110) 후단과 연결된 조작부(130)에는 후술하나, 교체용 튜브(122)가 외부로 노출되게 돌출되며 와이브랜치(140)를 고정시키는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이 형성된다.
튜브부(120)는 가이드 튜브(121)와 교체용 튜브(122)를 포함한다. 가이드 튜브(121)는 카메라(C)나 라이트(L1, L2) 등이 실장된 위치에 이웃하여 하우징(110)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가이드 튜브(121)는 하우징(110)에 고정되어 밀착된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가이드 튜브(121)는 원통형상으로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관통형성되며, 후술하는 교체용 튜브(122)가 가이드 튜브(121)에 끼워지거나 제거되도록 교체 가능하게 탈, 부착되는 구성이다.
교체용 튜브(122)는 가이드 튜브(121)에 착,탈 가능하게 가이드 튜브(121)에 제공되는 구성으로 피 검사자의 혈액이자 조직 등의 채취를 가능하게 하도록 교체용 튜브(122)의 내측은 중공으로 형성된다. 교체용 튜브(122)가 가이드 튜브(121)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 검사자를 진단하게 되면, 교체용 튜브(122)는 피 검사자의 진단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됨으로써 피 검사자의 혈액이나 조직 등의 채취 등으로 오염된다. 이에, 한번 사용된 교체용 튜브(122)는 가이드 튜브(121)에서 제거하고, 새로운 교체용 튜브(122)를 가이드 튜브(121)에 장착하여 오염되지 않은 멸균된 상태의 교체용 튜브(122)로 다른 피 검사자를 진단할 수 있게 된다. 즉, 피 검사자에게 사용한 내시경 장치(100)의 교체용 튜브(122)가 제거되고, 새로운 교체용 튜브(122)가 내시경 장치(100)에 장착됨으로써 다른 피 검사자의 진단 시, 오염으로부터 안정성이 확보된 상태, 즉 멸균된 상태의 내시경 장치(100)를 통해 진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4에서 내시경 장치의 선단부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4에서 교체용 튜브가 가이드 튜브에 탈,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압입부(160)는 디스탈엔드(distal end, 161)와, 실링부재(162)를 포함한다. 디스탈엔드(161)는 가이드 튜브(121) 선단에 제공되고, 하우징(110)의 선단에 고정된다. 이러한 디스탈엔드(161)의 선단부 내측에는 단차지게 제공되는 압입홈(161a)이 형성된다. 압입홈(161a)은 디스탈엔드(161)의 후단 내측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에, 후술하는 실링부재(162)가 압입홈(161a)에 장착되면, 실링부재(162)는 교체용 튜브(122)를 압입홈(161a)에 밀착시킴은 물론 교체용 튜브(122)와 가이드 튜브(121) 사이를 실링하여, 교체용 튜브(122)와 가이드 튜브(121) 사이로 오염 물질이 유입되지 못하게 실링한다. 실링부재(162)는 압입홈(161a)에 맞물려 안착되는 구성으로, 실링부재(162)는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압입홈(161a)의 크기에 맞물리게 형성된다. 이러한 실링부재(162)는 페룰(ferrule)을 포함하여, 반 압입 방식으로 압입홈(161a)에 장착된다. 그러나, 실링부재(162)는 이에 한정되는 구성은 아니며, 가이드 튜브(121)와 교체용 튜브(122) 사이로 피 검사자의 혈액이나 조직 등의 추후 오염될 수 있는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내시경 장치(100), 구체적으로 인체삽입부(A)의 경우, 교체용 튜브(122)가 디스탈엔드(161)를 통해 가이드 튜브(121)를 따라 하우징(110)의 후단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된다. 이에, 교체용 튜브(122)는 하우징(110), 구체적으로 가이드 튜브(121)에 실장된다. 교체용 튜브(122)가 가이드 튜브(121)에 삽입된 후, 교체용 튜브(122)의 선단은 가이드 튜브(121)의 선단, 구체적으로 디스탈엔드(161)의 압입홈(161a)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실링부재(162)를 압입홈(161a)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안착시키면, 교체용 튜브(122)는 디스탈엔드(161)의 내측면 구체적으로 압입홈(161a)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가이드 튜브(121)와 교체용 튜브(122) 사이가 실링된다. 이에, 인체삽입부(A)의 선단이 피 검사자의 진단을 위해 삽입되는 경우, 교체용 튜브(122)와 가이드 튜브(121) 사이를 통해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이드 튜브(121)의 내측에 발생될 수 있는 오염은 방지된다.
인체 미 삽입부(B)는 조작부(130), 석션튜브(150), 와이브랜치(1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인체 미 삽입부(B)에는 인체삽입부(A)를 통해 유입되는 혈액이나 조직 등의 채취나, 세척을 위한 기기 등이 구비된다. 조작부(130)는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구성이며, 조작부(130)에는 후술하는 와이브랜치(140)나 석션튜브(150)가 실장되며, 검사자가 조작부(130)를 통해 피 검사자에게 삽입되는 인체삽입부(A)의 구동을 조절한다. 이러한 조작부(130)에는 후술하는 와이브랜치(140)가 탈부착되도록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이 구비된다.
와이브랜치(140)는 교체용 튜브(120)와 석션튜브(150)를 연결하며, 조작부(130)에 탈, 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와이브랜치의 경우, 교체용 튜브(120)와 석션튜브(150)가 연결된 부분 외의 분기된 분기부(141)를 통해 외부에서 다양한 시술도구 등을 교체용 튜브(120) 내측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와이브랜치(140)는 조작부(130)에 교체 가능하게 탈, 부착되는 구성으로, 와이브랜치(140)를 조작부(130)에 탈, 부착하는 고정장치(170)가 제공된다. 이러한 고정장치(170)는 하우징(110)에 제공되는 와이브랜치 고정면(171)과, 와이브랜치(140)에 제공되는 결합부(17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은 반 원통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결합부(172)는 반 원통형상의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에 맞물려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게, 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부(172)가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에 원 터치 방식으로 탈, 부착되게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원 터치 방식은, 도시되진 않았으나, 예를 들어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의 주변 둘레에 홈이 형성되고, 와이브랜치(140)에는 홈에 탄성적으로 인입, 인출 가능한 돌기가 형성되고, 와이브랜치(140)가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에 안착되면,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으로 교체용 튜브(122)가 와이브랜치(140)의 내측을 통해 석션튜브(150)와 연결된 상태로 돌기가 홈에 안착되어 걸려 고정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와이브랜치(140)를 누르거나, 돌리는 등의 힘을 가하면, 홈에 걸려있던 돌기가 이탈됨으로써 와이브랜치(140)가 하우징(110)에서 탈착되는 구성이다. 즉, 간단한 작동만으로 와이브랜치(140)가 하우징(110)에서 탈, 부착하는 구성으로 와이브랜치(140)가 하우징(110)에 탈, 부착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상기의 형태를 갖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브랜치(140)가 하우징(110)에 탈, 부착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그 형태나 구성 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석션튜브(150)는 후술하는 와이브랜치(140)를 통해 교체용 튜브(122)의 후단부와 연결되어, 피 검사자의 진단위치에서 혈액이나 조직이 채취되는 경우, 석션튜브(150)로 혈액이나 조직을 흡입하고 및 흡입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석션튜브(150)는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의 일측에 교체 가능하게 제공되는 와이브랜치(14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실장된다. 이에, 석션튜브(150)도 하우징(110)에서 교체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즉, 추후 와이브랜치(140)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연결된 석션튜브(150)를 절단시킴으로써 석션튜브(150)가 와이브랜치(140)에서 제거되어 교체 가능하게 구비됨은 물론, 추후 후술하는 와이브랜치(140)도 하우징(110)에서 이탈되어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직접적으로 오염 및 간접적으로 오염되는 구성물, 구체적으로 교체용 튜브(122), 석션튜브(150) 및 추후 후술하나 하우징(110)에서 탈, 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와이브랜치(140)는 내시경 장치(100)에서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내시경 장치(100)를 피 검사자에게 사용한 후,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오염이 발생되는 부분이 교체됨으로써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내시경 장치(100)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교체용 튜브(122)와 추후 와이브랜치(140)의 일측에 연결된 석션튜브(150)를 절단시킴으로써 와이브랜치(140)는 하우징(110)에서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9a, 도 9b의 석션밸브의 구동 상태를 단순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석션튜브(150)에는 피 검사자의 조직이나 혈액 등의 흡입을 조절하는 석션밸브(155)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석션밸브(155)는 석션튜브(150)를 온/오프시키면서 석션튜브(150) 내측으로 유입되는 혈액이나 체액 또는 조직 등과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하지 않도록 석션튜브(150)의 외측에 제공된다. 석션밸브(155)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와이브랜치(140)에서 분기된 석션밸브(155)의 외측면을 온/오프 가능하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는 석션튜브(150)의 외주연을 가압하거나 감압하여 석션튜브(150)를 온/오프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자석 밸브의 경우, 석션튜브(150)의 외주연을 가압 및 감압하는 구성으로, 석션튜브(150)의 내측면과는 전혀 접촉이 되지 않는다. 이에, 석션밸브(155)는 석션튜브(150)의 내측면에 발생될 수도 있는 오염에 노출되지 않아, 별도의 멸균 작업을 수행을 요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석션밸브(155)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자식 밸브라면 그 구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에서 교체용 튜브, 석션튜브 및 와이브랜치 등의 교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와이브랜치(140)는 하우징(110)의 후단부, 구체적으로 교체용 튜브(122)가 노출되는 위치에 제공되며,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실장되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석션튜브(150)와 하우징(110)의 내측에 제공되는 교체용 튜브(122)를 연결한다. 이러한 와이브랜치(140)의 결합부(172)가 하우징(110)의 후단부에 제공되는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에 결합되거나 이탈됨으로써, 와이브랜치(140)는 조작부(130)에 탈, 부착되는 것이다. 즉,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은 상술했듯이 하우징(110)의 후면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의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결합부(172)의 돌기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결합부(172)는 고정면에 맞물리게 제공되고, 결합부(172)가 고정면과 맞물리면 교체용 튜브(122)가 와이브랜치(140) 내측에 안착되고, 석션튜브(150)와 연결되어 분기된다. 또한, 결합부(172)에는 홈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돌기가 탄성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와이브랜치(140)가 하우징(110)에 탈, 부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에, 와이브랜치(140)는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으로 돌출된 교체용 튜브(122)를 감싸면서 와이브랜치(140)의 돌기가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의 홈에 맞물리면서 부착된다. 또한, 돌기가 홈에 안착되어 걸림된 상태에서, 돌기와 홈의 위치를 누르거나 회전시킴으로써, 탄성적으로 구비된 돌기가 홈에서 이탈되면서 와이브랜치(140)는 하우징(110), 구체적으로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이러한 와이브랜치(140)는 직접적으로 인체에 접촉하지 않으나, 내시경 사용 중에 발생되는 간접적인 오염이나, 내시경을 사용하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오염물질이 깨끗하게 멸균되지 않고 남게되는 오염물질들이 와이브랜치(140)에 발생되는 경우, 와이브랜치(140)도 교체할 수 있어, 의료기기인 내시경 장치(100)가 멸균된 상태로 피 검사자를 진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내시경 장치(100), 즉 인체삽입부(A) 및 인체 미 삽입부(B)로 분리 구획되는 내시경 장치(100)의 사용하기 위한 조립 및 사용된 후 교체되는 구성들의 동작과정을 살펴본다(도 8 및 도 11을 참조).
상술했듯이, 교체용 튜브(122)가 디스탈엔드(161)를 통해 가이드 튜브(121)를 따라 하우징(110)의 후단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하우징(110)의 후단으로 조작부(130)에 제공되는 와이브랜치(140)를 통해 석션튜브(150)와 연결된다. 또한, 교체용 튜브(122)가 가이드 튜브(121)에 삽입된 후, 교체용 튜브(122)의 선단으로 실링부재(162)를 억지 끼움방식으로 압입홈(161a)에 안착시켜 가이드 튜브(121)와 교체용 튜브(122) 사이가 실링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타측에 제공되는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으로 와이브랜치(140)가 결합되면,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으로 돌출되는 교체용 튜브(122)를 감싸면서 교체용 튜브(122)는 석션튜브(150)로 분기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새로운 교체용 튜브(122), 와이브랜치(140), 석션튜브(150)가 제공되어 오염없는 내시경 장치(100)를 통해 피 검사자를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새로운 교체용 튜브(122)와, 와이브랜치(140) 및 석션튜브(150)를 통해 피 검사자를 검사한 내시경 장치(100), 구체적으로 교체용 튜브(122), 와이브랜치(140) 및 석션튜브(150)는 인체에 접촉으로 인한 오염 및 비접촉임에도 멸균이 용이하지 않아 오염이 발생한다. 이에, 다른 피 검사자를 진단하기 위해서 오염된 부분의 구성물을 교체하면 된다. 이들의 교체 과정을 살펴보면, 와이브랜치 고정면(171)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와이브랜치(140)를 하우징(110)에서 이탈시킨다. 이에, 교체용 튜브(122)와 석션튜브(150)가 연결된 상태에서 와이브랜치(140)는 하우징(110)에서 이탈되고, 와이브랜치(140)의 일측, 타측에 제공되는 석션튜브(150) 및 교체용 튜브(122)를 절단하면, 와이브랜치(140)는 하우징(110)에서 이탈된다. 이에, 와이브랜치(140)를 교체하거나, 와이브랜치(140) 만을 멸균한 후 재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와이브랜치(140)의 양측에 제공되는 석션튜브(150) 및 교체용 튜브(122)를 절단하고 와이브랜치(140)를 하우징(110)에서 이탈시킨 후, 하우징(110)의 전단부에 압입된 실링부재(162)를 압입부(160)에서 이탈시킨다. 이에, 압입부(160)의 이탈과 함께, 교체용 튜브(122)를 하우징(110)의 선단, 구체적으로 가이드 튜브(121)의 선단으로 잡아당겨 교체용 튜브(122)를 가이드 튜브(121)에서 제거한다. 이렇게 하우징(110)에서 제거된 교체용 튜브(122) 석션튜브(150) 및 와이브랜치(140)는 교체되거나 멸균하여 하우징(110)에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피 검사자에게 사용함으로써 오염된 내시경 장치(100)의 교체용 튜브(122)와 석션튜브(150) 및 와이브랜치(140)를 교체하여 새로운 또는 멸균된 교체용 튜브(122)와 석션튜브(150) 및 와이브랜치(140)를 장착한 내시경 장치(100)를 통해 다른 피 검사자에게 사용할 수 있어 안정적인 내시경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내시경 장치 A: 인체삽입부
B: 인체 미 삽입부 110: 하우징
120: 튜브부 121: 가이드 튜브
122: 교체용 튜브 130: 조작부
140: 와이브랜치 141: 분기부
150: 석션튜브 160: 압입부

Claims (17)

  1.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조작부에 연결되어 인체에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교체 가능하게 제공되는 교체용 튜브;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교체용 튜브가 삽입되는 가이드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에 제공되며, 상기 교체용 튜브의 선단을 압입하여 상기 교체용 튜브의 선단을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에 밀폐시키는 압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는,
    상기 가이드 튜브 선단에 제공되며 내측으로 압입홈이 형성된 디스탈엔드; 및
    상기 압입홈에 장착되고, 상기 교체용 튜브의 선단을 상기 압입홈에 밀착하여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을 통해 상기 교체용 튜브를 삽입하면, 상기 교체용 튜브는 상기 가이드 튜브를 따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이 상기 압입홈에 위치되면,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 내측에 위치시켜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을 상기 디스탈엔드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 튜브에 실링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압입홈에서 이탈시킨 후,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을 통해 상기 교체용 튜브를 잡아당기면, 상기 교체용 튜브는 상기 가이드 튜브에서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6.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장치는 인체삽입부와 인체 미 삽입부로 구획되고,
    상기 인체삽입부에는 한번 사용 후 제거되는 교체 가능한 튜브부가 제공되어 상기 인체 미 삽입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삽입부는,
    상기 인체 미 삽입부와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가이드 튜브; 및
    상기 가이드 튜브로 삽입 및 일탈되어 교체 가능하게 제공되는 교체용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용 튜브의 선단부를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에 밀착시켜 상기 가이드 튜브와 상기 교체용 튜브의 선단부를 실링하는 압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는,
    상기 가이드 튜브 선단에 실장되며, 내측으로 압입홈이 형성된 디스탈엔드; 및
    상기 압입홈에 장착되고, 상기 교체용 튜브의 선단을 상기 압입홈에 밀착하여 상기 교체용 튜브와 상기 가이드 튜브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을 통해 상기 교체용 튜브를 삽입하면, 상기 교체용 튜브는 상기 가이드 튜브를 따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이 상기 압입홈에 위치되면,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 내측에 위치시켜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을 상기 디스탈엔드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 튜브에 실링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미 삽입부는,
    상기 하우징이 연결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교체용 튜브의 후단부와 연결되는 석션튜브; 및
    상기 조작부에 탈, 부착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석션튜브와 상기 교체용 튜브를 연결하는 와이브랜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브랜치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탈, 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고 상기 교체용 튜브가 노출되며, 상기 와이브랜치가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브랜치 고정면; 및
    상기 와이브랜치에 제공되고, 상기 교체용 튜브를 커버하며, 상기 와이브랜치 고정면에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브랜치는 상기 교체용 튜브와 함께 피 검사자에게 사용 후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브랜치를 상기 조작부에서 이탈시킨 후, 상기 석션튜브 및 상기 교체용 튜브를 절단하고, 상기 가이드 튜브의 선단에서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압입홈에서 분리하여 상기 교체용 튜브를 잡아당기면, 상기 교체용 튜브는 상기 가이드 튜브를 따라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튜브에는 흡입을 조절하는 석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KR1020130007013A 2013-01-22 2013-01-22 내시경 장치 KR20140094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013A KR20140094320A (ko) 2013-01-22 2013-01-22 내시경 장치
US14/159,946 US20140206938A1 (en) 2013-01-22 2014-01-21 Endoscop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013A KR20140094320A (ko) 2013-01-22 2013-01-22 내시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320A true KR20140094320A (ko) 2014-07-30

Family

ID=5120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013A KR20140094320A (ko) 2013-01-22 2013-01-22 내시경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206938A1 (ko)
KR (1) KR20140094320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6694A (en) * 1996-05-16 1998-05-05 Wilk; Peter J. Endoscope biopsy channel liner and associated method
WO2005110199A1 (en) * 2004-05-13 2005-11-24 Stryker Gi Ltd. Method for cutting and sealing of disposable multilumen tubing
AU2005278827A1 (en) * 2004-09-03 2006-03-09 Stryker Gi Ltd. Control system for supplying fluid medium to endoscope
JP2006087535A (ja) * 2004-09-22 2006-04-06 Pentax Corp 内視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06938A1 (en)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6154A (en) Endoscope
JP5838189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2000171730A (ja) バッテリ式携帯内視鏡装置
JP2007105395A (ja) 内視鏡
JP2021520929A (ja) 内視鏡検査を無汚染で実行する装置及び方法
EP3329830A1 (en) Endoscope
JP2007236812A (ja) 内視鏡、及び内視鏡装置
CN111065313A (zh) 内窥镜
US9907460B2 (en) Endoscope cleaning brush apparatus
US20130150675A1 (en) Transparent Speculum Apparatus and System
KR19980025075U (ko) 1회용의 의료용 내시경 감염방지기구
JP4458258B2 (ja) 内視鏡のチャンネル洗浄アダプタ
KR20140094320A (ko) 내시경 장치
US20060116551A1 (en) Single-use system and method for endoscopy pre-cleaning
JP2016010727A (ja) 内視鏡システム
JP4307957B2 (ja) 超音波内視鏡装置
KR101614939B1 (ko)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
WO2012065940A1 (en) Medical device for using an endoscopic instrument for diagnostic or operating purposes, particularly in urology and gynecology
JPH09154803A (ja) 内視鏡装置
US10314467B2 (en) Endoscope
KR101881226B1 (ko)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
JP5322448B2 (ja) 検診用内視鏡
CN202218865U (zh) 用于内窥镜的一次性灭菌透视护套
JP3727096B2 (ja) 体腔内の観察装置
KR102615955B1 (ko) 내시경 2 채널 동시 자동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