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158A -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 Google Patents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158A
KR20140094158A KR1020130006512A KR20130006512A KR20140094158A KR 20140094158 A KR20140094158 A KR 20140094158A KR 1020130006512 A KR1020130006512 A KR 1020130006512A KR 20130006512 A KR20130006512 A KR 20130006512A KR 20140094158 A KR20140094158 A KR 20140094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connection
joint
pipe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옥수
김동윤
Original Assignee
강옥수
김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옥수, 김동윤 filed Critical 강옥수
Priority to KR1020130006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4158A/ko
Publication of KR20140094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에 있어서, 저부와 네 측벽을 가지고 전면의 접근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한 내부수용부를 형성하여 상기 보일러의 하부 벽면에 매립되며,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통된 배관공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체결숫나사부를 갖는 복수의 보호관접속체결부를 갖는 매립함본체와; 상기 전면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며 복수의 연결공을 갖는 외부커버와; 상기 체결숫나사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보호관을 상기 보호관체결부에 연결시키는 보호관체결캡과;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서 상기 배관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도입된 급수배관에 접속되는 급수조인트와;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서 상기 배관공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도입된 적어도 하나의 급탕배관에 접속되는 급탕조인트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급수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를 향한 급수연결배관에 접속되는 급수연결조인트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급탕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로부터 급탕연결배관에 접속되는 급탕연결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의해, 내부배관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BOILER PIPE FOR LANDFILL BOX}
본 발명은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에 관한 것이다.
가옥이나 아파트 등의 보일러실에 설치된 보일러의 하부에는 보일러를 향한 배관과, 보일러에서 외부로 분배되는 배관이 설치되어 있다. 보일러를 향하는 배관으로서는 외부로부터 급수를 공급하는 급수배관과 난방온수의 환수배관이 있고, 보일러에서 외부로 분배되는 배관은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분배하는 온수배관과 난방을 위해 난방 분배기로 분배되는 난방배관이 있다. 이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서 응축수배관 등이 더 연결되기도 한다. 온수배관이나 난방배관 등은 각각의 분기배관을 통해 각기 다른 곳으로 분배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보일러에 연결되는 여러 배관들과 그들의 분기배관들이 보일러의 하부에 어지러이 배속되어 있기 때문에, 보일러실의 공간활용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외관상 번잡하여 시각적으로 적잖이 불편을 주고, 유지보수 등의 작업 효율성도 떨어뜨린다. 그래서 최근에서는 배관들을 벽면에 매립하여 시각적인 불편을 줄이고, 이들 배관을 매립함에 집결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종래의 매립함은 그 조립 및 매립작업과 배관의 결속, 유지보수 등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외부에 노출된 부위가 많아 시각적으로 안정감이 부족하다. 또한 배관의 보수 및 교체도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립함의 조립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관의 보수가 용이하며, 노출부위를 최소화한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에 있어서, 저부와 네 측벽을 가지고 전면의 접근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한 내부수용부를 형성하여 상기 보일러의 하부 벽면에 매립되며,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통된 배관공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체결숫나사부를 갖는 복수의 보호관접속체결부를 갖는 매립함본체와; 상기 전면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며 복수의 연결공을 갖는 외부커버와; 상기 체결숫나사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보호관을 상기 보호관체결부에 연결시키는 보호관체결캡과;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서 상기 배관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도입된 급수배관에 접속되는 급수조인트와;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서 상기 배관공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도입된 적어도 하나의 급탕배관에 접속되는 급탕조인트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급수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를 향한 급수연결배관에 접속되는 급수연결조인트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급탕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로부터 급탕연결배관에 접속되는 급탕연결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급수조인트와 상기 급탕조인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배관공을 통해 유입된 배관에 접속되는 추가의 접속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서 상기 배관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도입된 난방배관에 접속되는 난방조인트와;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서 상기 배관공 중 다른 어느 하나를 통해 도입된 적어도 하나의 환수배관에 접속되는 환수조인트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난방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로부터 난방연결배관에 접속되는 난방연결조인트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환수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를 향한 환수연결배관에 접속되는 환수연결조인트를 가지며,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서 상기 배관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도입된 응축수배관에 접속되는 응축수조인트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응축수조인트에 연결되어 외부로 향한 응축수연결배관에 접속되는 응축수연결조인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커버는 상기 전면개구의 일부를 차단하는 주커버부재와 상기 주커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개구의 나머지 부분을 차단하는 부커버부재를 포함하거나, 상기 전면개구를 가지고 상기 매몰함에 결합되는 내부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커버는 상기 내부커버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 설치되는 발열부재와, 상기 발열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열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전원공급부는 온도감응형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목적은, 매립함의 조립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배관의 보수가 용이하며, 배관의 노출부위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보일러 하부에 급배수관용 매립함이 매립된 상태도이고,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매립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매립함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매립함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발열부재가 설치된 매립함의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보일러(1) 급배수관용 매립함(100)은 보일러(1) 하부 벽면에 매립되며 전면개구(110)를 가지는 박스형태의 매립함(100)이다. 도 1에 음영으로 표시된 매립함본체(101)와 보호관(300) 등은 벽면에 매립된 것을 뜻하며, 벽면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된 구성요소로는 매립함본체(101) 내로 접근을 개폐하기 위한 외부커버(500)와, 외부로 향해 돌출된 연결조인트들(412, 422, 432, 442, 452)과, 보일러와 연결된 연결배관들(212, 222, 232, 242, 252)이다.
보일러(1)로 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보일러(1) 하부의 매립함본체(101)에서 보일러(1) 방향으로 향하는 급수연결조인트(412) 및 급수연결배관(212)이 존재한다. 보일러(1)는 공급된 급수를 가열하여 급탕연결배관(222) 및 급탕연결조인트(422)를 통해 매립함본체(101) 방향으로 급탕을 공급한다. 또한 급탕연결배관(222) 및 급탕연결조인트(422) 뿐만 아니라 난방을 위해 난방연결배관(232) 및 난방연결조인트(432)로 급탕이 공급되며, 이렇게 공급된 급탕은 난방분배기로 이동한다. 그 후 급탕은 환수연결조인트(442) 및 환수연결배관(242)을 통해 다시 보일러(1) 내로 유입된다. 이 이외에도 보일러(1)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연결배관(252) 및 응측수연결조인트(452)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연결조인트들(412, 422, 432, 442, 452)은 벽면에 매립된 매립함본체(101)에서 매립되지 않은 보일러(1)로 급수를 공급하고, 보일러(1)에서 급탕을 공급받기 위하여 'L' 자형으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 연결배관(212, 222, 232, 242, 252)을 추가로 설치할 경우에는 'T' 혹은 '+' 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함본체(101)는 저부(122)와 네 측벽(124)을 가지고 있으며, 저부(122)와 네 측벽(124)에 의해 내부수용부(120)가 형성된다. 전면개구(110)는 내부수용부(120)에 설치된 매설배관(200)을 보수, 교체 또는 추가로 설치해야 할 경우에 내부수용부(120)에의 접근을 허용한다.
매립함본체(101)의 측벽(124)에 매설배관(200)이 측벽(124)을 관통하여 내부수용부(120)로 도입되도록 배관공(134)을 가지는 복수의 보호관접속체결부(130)가 형성된다. 매립함본체(101)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서 매설배관(200)의 수가 변경되기 때문에 매설배관(200)의 수에 따라 매립함(100)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보호관접속체결부(130)의 수는 여분을 두고 제작된다. 보호관접속체결부(130)는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의 체결숫나사부(132)를 가진다.
보호관접속체결부(130)는 보호관(300)과 매립함본체(101)의 사이에 연결된다. 매설배관(200)을 벽면에 바로 매립되지 않게 하기 위해 매설배관(200)은 보호관(300) 내에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매설배관(200)의 유지, 보수 또는 교체를 원할 때에 내부수용부(120)를 통해 매설배관(200)을 빼낸 후 보수 또는 교체하여 다시 내부수용부(120)를 통해 보호관(300)으로 장입시킬 수 있다.
보호관(300)이 보호관접속체결부(130)에 의해 매립함본체(101)와 체결되기 위해 보호관체결캡(140)과 결합 되어있다. 보호관체결캡(140)과 보호관(300)의 결합을 위해 보호관체결캡(140)에는 보호관(300)이 통과 가능하도록 보호관통과공(144)이 형성되며, 보호관통과공(144)의 내측연부에는 미늘형태의 일방향 걸림턱(142)이 존재한다. 일방향 걸림턱(142)은 보호관(300)이 삽입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관접속체결부(130)와 보호관체결캡(140)을 이용하여 벽체에 미리 매립된 보호관(300)에 매립함본체(101)를 설치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보호관체결캡(140)의 체결숫나사부(132)와 보호관접속체결부(130)의 암나사부가 서로 체결되며, 억지끼움 결합 등 다양한 결합방법을 사용 가능하다.
매설배관(200)은 외부 수도관과 연결되어 내부수용부(120)를 지나 보일러(1) 내로 급수를 공급하는 급수배관(210)과, 보일러(1)에 의해 가열된 급탕을 배출하는 급탕배관(2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가능하도록 난방분배기로 향하는 난방배관(230) 및 온수가 배관들을 돌고난 후 다시 들어오는 환수배관(240)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보일러(1) 내에 응축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응축수배관(250) 또한 존재한다.
급수배관(210)은 보호관접속체결부(130)에 존재하는 배관공(13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도입되어 내부수용부(120)에 설치된 급수조인트(410)에 접속부(414)에 접속되며, 급탕배관(220)은 배관공(134)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내부수용부(120)에 도입되며 내부수용부(120)에 설치된 급탕조인트(420)의 접속부(414)에 접속된다. 급수조인트(410) 및 급탕조인트(420)는 복수의 접속부(414)를 가지고 있는데 어느 하나의 접속부(414)는 측벽(124)을 향하여 급수배관(210) 및 급탕배관(220)과 접속되며, 다른 하나의 접속부(414)는 전면개구(110)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급수조인트(410) 및 급탕조인트(420)는 'L'자 형으로 되어있으나, 매설배관(200) 추가 설치를 위해 접속부(414)를 갖는 경우 급수조인트(410) 및 급탕조인트(420)는 'T' 또는 '+'자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배관(210) 및 급탕배관(220)이 접속되어 있는 급수조인트(410) 및 급탕조인트(420)는 전면개구(110) 방향으로 향하는 접속부(414)에는 급수연결조인트(412) 및 급탕연결조인트(422)가 접속된다.
보일러(1)에서 가열된 온수를 난방분배기로 배출하기 위한 난방배관(230)이 존재하며, 난방배관(230)은 배관공(13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내부수용부(120)에 도입된다. 내부수용부(120)에 도입된 난방배관(230)은 난방조인트(430)의 접속부(414)와 연결되며, 난방조인트(430)의 타 측의 접속부(414)에는 난방연결조인트(432)와 연결된다.
난방배관(230)을 지나 난방분배기를 통해 난방에 이용된 온수는 다시 보일러(1) 내로 들어가 가열되기 위해 환수배관(240)을 통해 매립함(100) 내로 유입된다. 환수배관(240)은 매립함(100)의 내부수용부(120) 내로 도입되기 위해 배관공(134) 중 다른 어느 하나를 지난다. 도입된 환수배관(240)은 내부수용부(120) 내에 존재하는 환수조인트(440)와 접속되며, 환수조인트(440)는 보일러(1)를 향하는 환수연결배관(242)에 접속되는 환수연결조인트(442)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보일러(1)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를 매립함(100)을 지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보일러(1)와 응축수조인트(450) 사이에 응축수배관(2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응축수조인트(450)와 매립함(100)의 응축수연결조인트(452) 사이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응축수연결배관(2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관들 이외에도 급수배관(210)에서 공급된 급수가 보일러(1)를 거치치 않고 급수가 필요한 곳으로 이동하기 위한 냉수배관(260)을 더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냉수배관(260)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함(100)의 전면개구(110)를 연결조인트(412, 422, 432, 442, 452)들이 존재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차단하도록 연결공(502)을 가진 외부커버(500)가 존재한다.
제 1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커버(500)는 전면개구(110)의 일부를 차단하는 주커버부재(510)와, 주커버부재(510)와 연결되어 전면개구(110)의 나머지 부분을 차단하는 부커버부재(520)로 이루어져 있다. 주커버부재(510)는 연결공(5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공(502)에 의해 전면개구(110)를 전영역을 차단하지 않고 일부를 차단한다. 주커버부재(510)를 사용할 경우 전면개구(110)의 상단 부분을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부커버부재(520)를 더 사용한다. 이러한 주커버부재(510)와 부커버부재(520)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며, 전면개구(110)로의 접근이 필요할 때에는 나사를 푼 후 주커버부재(510)와 부커버부재(520)를 전면개구(110)에서 분리한다. 경우에 따라서 부커버부재(510)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2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개구(110)를 가지고 매립함(100)에 결합되는 내부커버(530)를 더 포함한다. 내부커버(530)의 일 측은 매립함(100)의 전면개구(110)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타 측은 기존의 전면개구(110)보다 폭이 좁은 전면개구(5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커버(530)를 전면개구(110)에 설치할 경우, 기존의 전면개구(110)보다 폭이 좁은 전면개구(532)가 형성된다. 전면개구(532)의 폭이 좁아지면 외부에서 보여지는 전면개구(532)의 크기가 작아져 미관상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개구(532)를 차단하기 위해 외부커버(500)가 내부커버(530)의 전면개구(532)에 결합되며, 결합나사 등을 이용하여 전면개구(532)에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수용부(120)에는 매설배관(200)의 동파방지를 위해 발열부재(600)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발열부재(6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열전원공급부(610)를 함께 포함하고 있다. 발열부재(600)는 내부수용부(120)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 가능하며, 열효율의 높이기 위해 각각의 매설배관(200)에 둘러싸는 형태로도 설치 가능하다. 발열부재(600)는 열선 또는 히터 등과 같은 열이 발생하는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부수용부(120)에는 온도감음형 전원스위치(620) 설치하여 여름 같이 온도가 높을 때에는 온도를 감지하여 발열부재(600)가 발열하지 않고, 겨울에 온도가 낮을 때에는 전원스위치(620)가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발열부재(600)가 발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보일러(1) 급배수관용 매립함(100)을 사용할 경우 배관들이 벽체에 매립되어 미관상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매설배관(200)은 벽체에 바로 매립되지 않고 보호관(300)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1: 보일러 100: 매립함
101: 매립함본체 110: 전면개구
120: 내부수용부 122: 저부
124: 측벽 130: 보호관접속체결부
132: 체결숫나사부 134: 배관공
140: 보호관체결캡 142: 걸림턱
144: 보호관통과공 200: 매설배관
210: 급수배관 212: 급수연결배관
220: 급탕배관 222: 급탕연결배관
230: 난방배관 232: 난방연결배관
240: 환수배관 242: 환수연결배관
250: 응축수배관 252: 응축수연결배관
260: 냉수배관 270: 온수배관
410: 급수조인트 412: 급수연결조인트
414: 접속부 420: 급탕조인트
422: 급탕연결조인트 430: 난방조인트
432: 난방연결조인트 440: 환수조인트
442: 환수연결조인트 450: 응축수조인트
452: 응축수연결조인트 500: 외부커버
502: 연결공 510: 주커버부재
50: 부커버부재 530: 내부커버
532: 접근개구

Claims (8)

  1.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에 있어서,
    저부와 네 측벽을 가지고 전면의 전면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한 내부수용부를 형성하여 상기 보일러의 하부 벽면에 매립되며,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통된 배관공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체결숫나사부를 갖는 복수의 보호관접속체결부를 갖는 매립함본체와;
    상기 전면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며 복수의 연결공을 갖는 외부커버와;
    상기 체결숫나사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보호관을 상기 보호관접속체결부에 연결시키는 보호관체결캡과;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서 상기 배관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도입된 급수배관에 접속되는 급수조인트와;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서 상기 배관공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도입된 적어도 하나의 급탕배관에 접속되는 급탕조인트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급수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를 향한 급수연결배관에 접속되는 급수연결조인트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급탕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로부터 급탕연결배관에 접속되는 급탕연결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인트와 상기 급탕조인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배관공을 통해 유입된 배관에 접속되는 추가의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서 상기 배관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도입된 난방배관에 접속되는 난방조인트와;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서 상기 배관공 중 다른 어느 하나를 통해 도입된 적어도 하나의 환수배관에 접속되는 환수조인트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난방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로부터 난방연결배관에 접속되는 난방연결조인트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환수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를 향한 환수연결배관에 접속되는 환수연결조인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서 상기 배관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도입된 응축수배관에 접속되는 응축수조인트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응축수조인트에 연결되어 외부로 향한 응축수연결배관에 접속되는 응축수연결조인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버는 상기 전면개구의 일부를 차단하는 주커버부재와 상기 주커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개구의 나머지 부분을 차단하는 부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개구를 가지고 상기 매몰함에 결합되는 내부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커버는 상기 내부커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 설치되는 발열부재와, 상기 발열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열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전원공급부는 온도감응형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KR1020130006512A 2013-01-21 2013-01-21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KR20140094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512A KR20140094158A (ko) 2013-01-21 2013-01-21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512A KR20140094158A (ko) 2013-01-21 2013-01-21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158A true KR20140094158A (ko) 2014-07-30

Family

ID=5173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512A KR20140094158A (ko) 2013-01-21 2013-01-21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41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871A (ko) * 2018-02-06 2019-08-14 강옥수 매립 배관 연결 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871A (ko) * 2018-02-06 2019-08-14 강옥수 매립 배관 연결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29672A1 (en) Method of constructing cold and hot water piping system
DK172362B1 (da) Varmeelement til et gulv
KR20140094158A (ko) 보일러 급배수관용 매립함
KR100940277B1 (ko) 난방코일 분배기와 냉온수 분배기용 배관연결구조
KR101954317B1 (ko)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
CN106088251A (zh) 一种建筑给水管路集成分配箱
KR200461358Y1 (ko) 온수분배기의 결합구조
KR101174752B1 (ko)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KR101468671B1 (ko) 온도제어밸브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1300522B1 (ko) 매립 배관 연결 유니트
KR101173886B1 (ko) 개선된 부분매립형 분배기
KR101266163B1 (ko) 수전 분리용 동파방지 계량기 보호통
JP2008064454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101188809B1 (ko) 냉,온수 분배기
CN206477393U (zh) 一种建筑给水管路集成分配箱
GB2434638A (en) Heat a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KR200339247Y1 (ko) 배관의 동파방지구조
KR100584654B1 (ko) 상수도 파이프 동파 방지장치
KR100728264B1 (ko) 화장실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GB2521239A (en) Leak detection system
KR200287849Y1 (ko) 배관의 동파방지 구조
KR100807145B1 (ko) 벽체 매립형 냉,온수용연질관의 분기 및 합침이 용이한와이형분배관의 구조
KR101663104B1 (ko)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KR200415979Y1 (ko) 수도 계량기 동파 방지 장치
KR20190116784A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