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104B1 -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104B1
KR101663104B1 KR1020140092067A KR20140092067A KR101663104B1 KR 101663104 B1 KR101663104 B1 KR 101663104B1 KR 1020140092067 A KR1020140092067 A KR 1020140092067A KR 20140092067 A KR20140092067 A KR 20140092067A KR 101663104 B1 KR101663104 B1 KR 101663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coupled
tubes
in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063A (ko
Inventor
이용춘
황혜자
이누리
한창완
Original Assignee
(주)피앤에프테크
황혜자
이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앤에프테크, 황혜자, 이누리 filed Critical (주)피앤에프테크
Priority to KR1020140092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1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작업 공간을 분리시키는 벽체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본체를 매립하기 위한 후면홈 및 상기 속커버를 매립하기 위한 전면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씨디관들이 결합된 상기 본체를 상기 벽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씨디관들과 상기 결합부속들을 연결시킨 후, 상기 본체의 후면을 차폐시키는 단계; 상기 속커버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속커버에 상기 마감커버를 결합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키는 단열 물질에 의해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이 단열된다.

Description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Installation construction method for the wall water service box}
본 발명은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수명 주택의 경량벽체를 형성하는 압출 콘크리트 패널에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 외부에 접한 벽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씨디관들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등의 주거 공간을 신축이나 증축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온수관은 싱크대 하부, 붙박이장, 드레스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로 유도되고, 상기 분배기로부터 화장실이나 욕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세탁실, 보조주방 등의 각 수요처로 보내져 냉/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는 상기 냉/온수 이중관 배관방식은 대체로 벽체 내부에 오픈 수전함이 내설되고, 벽체 건축마감 후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내부 냉/온수 결합부 누수 및 노후관 교체 시 개폐되는 기능의 마감커버에 수전을 설치하여 각 수요처에 수전함을 설치하고 마감부 전면에 노출 마감되는 마감커버에 냉/온수 혼합수전과 직접 연결되어 냉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은 건물의 벽체에 매설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건물의 벽체를 시공할 때 예상되는 수전의 위치에 맞춰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매설될 위치를 형성해두고, 상기 설치 위치에서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에 냉/온수 씨디관(이중관 배관방식)들을 결합 매설하여 상기 벽체에 실내 마감을 할 때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에 내설되는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최종 마감부 마감 커버에 상기 수전을 직접 연결시키는 것이다.
최근에는 건축 구조체의 중량을 줄이고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 경량 벽체를 건축물의 벽체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상기 경량 벽체에 인입되어 설치되고 있다. 상기 경량 벽체에 단열재를 더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열재에 의해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및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과 결합되는 씨디관들도 보호되어 겨울철 상기 씨디관들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열재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씨디관들이 상기 경량 벽체 내부에 형성된 중공홀에 삽입되기만 한다. 상기 씨디관들은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경량벽체에 의해 외부 공기와 차단되나, 별도로 단열재를 구비하여 단열이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겨울철 동파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4938호
본 발명은 장수명 주택의 경량벽체를 형성하는 압출 콘크리트 패널에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 외부에 접한 벽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씨디관들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온수가 공급되는 씨디관들이 결합되고 상기 씨디관들과 연결되는 결합부속들이 내부에 구비되며, 전/후면이 관통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속커버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을 차폐시키는 본체커버 및 수전이 결합되며 상기 속커버에 결합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전방과 후방으로 작업 공간을 분리시키는 벽체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본체를 매립하기 위한 후면홈 및 상기 속커버를 매립하기 위한 전면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씨디관들이 결합된 상기 본체를 상기 벽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씨디관들과 상기 결합부속들을 연결시킨 후, 상기 본체의 후면을 차폐시키는 단계; 상기 속커버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속커버에 상기 마감커버를 결합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키는 단열 물질에 의해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이 단열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온수가 공급되는 씨디관들이 결합되고 상기 씨디관들과 연결되는 결합부속들이 내부에 구비되며, 전/후면이 관통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속커버와, 상기 속커버의 전면에 하나 또는 복수 개 결합되어 길이를 연장시키는 속커버 연장하우징과,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을 차폐시키는 본체커버 및 수전이 결합되며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전방과 후방으로 작업 공간을 분리시키는 벽체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작업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씨디관들이 결합된 상기 본체를 상기 벽체의 후면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씨디관들과 상기 결합부속들을 연결시킨 후, 상기 본체의 후면을 차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속커버 연장 하우징에 상기 마감커버를 결합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를 고정시키는 단열 물질에 의해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단열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씨디관들이 삽입된 경량벽체의 압출 콘크리트 패널 내부의 중공홀에 단열 물질인 발포 우레탄을 충진함으로써, 단열 물질이 경화되며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킬 뿐 아니라 상기 씨디관들에서 누수가 발생될 경우라도 다른 곳을 새는 것을 방지하고 겨울철 기온이 낮아져도 상기 씨디관들은 단열 물질인 발포 우레탄이 감싸고 있어 온도를 유지하여 단열하고 있기 때문에 동파에 의한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단열 물질인 발포 우레탄은 본체와 후면홈 사이의 이격 공간에도 충진되어 본체를 감싸기 때문에 별도의 단열부재를 설치 시공하지 않아도 겨울철 본체 내 기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 내부에 설치된 결합부속들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단열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 비용을 절약하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 방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9에는 도 1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 과정이 도시된 것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라 설치 시공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설치 시공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 과정이 도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에 의해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설치 시공되는 벽체(100)는 일명 장수명 주택용 경량 압출 콘크리트 패널들이 조적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경량 압출 콘크리트 패널은 건축 시공 현장이 아닌 제2의 장소에서 기 시공되어 상기 건축 시공 현장으로 운송되어 지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의 패널이며, 압출 콘크리트 패널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홀(101)들이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체(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경량 압출 콘크리트 패널을 복수 개 조적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경량 압출 콘크리트 패널을 기 시공할 때,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의 크기만큼 제작 시공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참고하게 될 도면에는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설치되는 상기 벽체(100)의 일부만 도시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시공 방법에 의해 설치 시공되는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은 본체(210), 속커버(220), 본체커버(230) 및 마감커버(2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10)는 냉/온수가 공급되는 씨디관(이중관 배관방식)들과 연결되는 밸브(21)와, 엘보(22)와, T형 분기관(23) 및 플렉서블 관(24)(이하, 결합부속들)이 내장된다. 상기 본체(210)는 전/후면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벽체(100)에 상기 본체(210)가 매립 설치되면 상기 본체(210)의 후면에서 상기 씨디관(201, 202)들과 상기 결합부속들(21, 22, 23, 24)의 연결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속커버(220)는 상기 본체(210)의 전면에 결합된다. 상기 본체(210)의 폭 두께는 상기 벽체(100)의 폭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데, 상기 본체(210)의 전면에 상기 속커버(220)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210)가 상기 벽체(100)에 매립 설치될 때 상기 벽체(100)의 전면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벽체(100)의 폭 두께만큼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210)보다 작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벽체(100)의 전면에서 상기 마감커버(240)가 설치되는 영역을 최소화한다.
상기 본체커버(230)는 상기 본체(210)에 상기 씨디관(201, 202)들과 상기 결합부속들을 연결 설치 후, 상기 본체(210)의 후면에 체결 결합된다. 상기 본체커버(230)가 상기 본체(210)의 후면에 체결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210)의 후면을 차폐하여 상기 결합부속들(21, 22, 23, 24)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보호한다.
상기 마감커버(240)는 상기 벽체(100)의 전면에서 상기 속커버(220)와 체결결합된다. 상기 마감커버(240)는 상기 벽체(100)의 전면에서 상기 속커버(220)와 체결 결합되어 전면에서 보았을 때, 외관이 미려해 보이도록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커버(240)에 수전이 결합되는 수전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전 결합홀을 통해 상기 플렉서블 관(24)과 상기 수전(미도시)이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 과정은, 먼저 상기 벽체(100)에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속커버(220)가 삽입되는 후면홈(110) 및 전면홀(130)을 형성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S205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0)와 상기 속커버(220)는 상기 벽체(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매설된다. 따라서 상기 벽체(100)에는 상기 본체(210)와 상기 속커버(220)가 삽입될 수 있는 상기 후면홈(110) 및 상기 전면홀(130)을 형성한다.
상기 후면홈(110)은 상기 벽체(100)의 후면에서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깊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전면홀(130)은 상기 벽체(100)의 전면에서 상기 후면홈(110)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후면홈(110)과 상기 전면홀(130)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후면홈(110)의 크기가 상기 전면홀(13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후술되겠지만, 상기 후면홈(110)을 통해서 상기 속커버(220)가 결합된 상기 본체(210)가 삽입되어 설치되므로, 상기 속커버(220)가 결합된 상기 본체(210)의 인출입이 자유롭도록 상기 후면홈(110)은 상기 본체(21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한다.
상기 후면홈(110)과 상기 전면홀(130)을 형성한 후에는, 상기 주입홀(103)을 형성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S210 단계) 상기 주입홀(103)은 후술되는 단열 물질인 발포 우레탄을 충진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주입홀(103)은 상기 벽체(100)의 후면에 형성된다. 상기 후면홈(110)으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벽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중공홀(101)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주입홀(10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공홀(101)과 상기 주입홀(103)이 연통된다.
상기 주입홀(103)은 상기 각 중공홀(101)이 형성된 위치에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본체(210)에 삽입될 때, 상기 본체(210)에 결합되는 상기 씨디관(201, 202)들이 삽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중공홀(101)에 연통되게 상기 주입홀(103)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는 4개의 상기 주입홀(10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주입홀(103)이 복수 개 형성된 것은 어느 하나의 상기 주입홀(103)을 통해 상기 단열 물질인 발포 우레탄을 주입하면서 상기 단열 물질인 발포 우레탄이 상기 중공홀(101)에 채워지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상기 주입홀(103)이 형성되면, 상기 본체(210)를 상기 후면홈(110)을 통해 설치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S215 단계) 한편, 상기 설치에 앞서 상기 본체(210)는 상기 속커버(220) 및 상기 씨디관(201, 202)들과 결합시킨다. 상기 본체(210)의 전면에 상기 속커버(220)를 체결부재(볼트)를 사용하여 체결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속커버(220)가 결합된 상기 본체(210)를 상기 벽체(100)의 후방에서 상기 후면홈(110)으로 삽입시킨다.
한편, 상기 본체(210)에는 상기 속커버(220) 뿐 아니라, 상기 씨디관(201, 202)들도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210)을 상기 후면홈(110)에 삽입할 때에는, 먼저 상기 각 씨디관(201, 202)들을 상기 벽체(100)에 형성된 상기 각 중공홀(101)을 따라 삽입시키면서 상기 속커버(220)을 상기 전면홀(130)로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210)을 상기 후면홈(210)에 삽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씨디관(201, 202)들과 상기 속커버(220)가 결합된 상기 본체(210)을 삽입한 후에는 상기 단열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S220 단계) 상기 단열 물질은 우레탄(U)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입홀(103)을 통해 주입하는 상기 단열 물질로 발포 우레탄(U)을 사용한다. 상기 발포 우레탄(U)은 상기 주입홀(103)을 통해 주입이 되는데, 젤(gel) 상태의 발포 우레탄이 상기 주입홀(103)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주입되면 상기 발포 우레탄(U)은 상기 각 씨디관(201, 202)들이 삽입된 상기 중공홀(101)을 충진한다. 상기 각 씨디관(201, 202)들은 상기 중공홀(101)에 충진되는 상기 우레탄(U)이 발포 경화되면서 고정되기도 하지만, 경화된 상기 우레탄(U)이 상기 씨디관(201, 202)들을 감싸면서 이중관 배관이 단열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발포 우레탄(U)은 상기 중공홀(101)에만 충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후면홈(110)에도 충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면홈(110)에 삽입 설치된 상기 본체(210)와 상기 후면홈(110) 사이의 공간에도 상기 우레탄(U)이 충진되는 것이다. 상기 후면홈(110)에 충진되는 상기 우레탄(U)은 상기 중공홀(101)에 충진될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후면홈(110)에 삽입된 상기 본체(210)를 고정시킬 뿐 아니라, 상기 본체(210)의 단열 하는 효과도 갖는다. 상기 단열물질은 상기 후면홈(110)을 완전히 메우도록 충전되지 않는데, 상기 단열물질이 경화되면 상기 단열물질과 상기 후면홈(110)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에 실리콘을 충진하여 방수함으로써, 상기 본체(210)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발포 우레탄(U)이 경화지면서 상기 본체(210)가 고정이 되면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상기 씨디관(201, 202)들과 연결되는 상기 결합부속들(21, 22, 23, 24)을 설치한 후, 상기 본체(210)의 후면을 차폐시키는 단계가 이루어진다.(S225 단계) 상기 씨디관(201, 202)들을 상기 수전(미도시)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씨디관(201, 202)들에 결합부속들(21, 22, 23, 24)을 연결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결합부속들(21, 22)은 예시적으로 일자형 이형 T 부속 및 엘보 등을 포함하여 상기 씨디관(201, 202)들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씨디관(201, 202)들로부터 공급되는 냉/온수의 유동로가 되며, 상기 결합부속들(21) 사이에는 T형 분기관(23)이 연결되어 상기 씨디관(201, 202)들로부터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를 상기 수전(미도시)을 향해 분기시킨다. 상기 플렉서블 관(24)은 상기 T형 분기관(23)에 연결되어 상기 T형 분기관(23)과 상기 수전(미도시)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속(21, 22, 23, 24)들이 연결 설치되면, 상기 본체(210)의 후면을 차폐하는데 상기 본체커버(230)가 체결부재(B,볼트)에 의해 상기 본체(210)와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본체커버(230)로 상기 본체(210)의 후면을 차폐함으로써, 상기 본체(2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결합부속(21, 22, 23, 24)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210)의 후면을 차폐한 후, 상기 벽체(210)의 전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면홀(130)에 삽입된 상기 속커버(220)와 상기 전면홀(130) 사이의 이격공간을 채우는 단계가 이루어진다.(S230 단계) 상기 전면홀(130)은 상기 속커버(220)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속커버(220)가 상기 전면홀(130)에 삽입될 때 상기 전면홀(130) 끼어 부서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설정된 크기만큼 좀 더 크게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전면홀(130)에 상기 속커버(220)가 삽입되면 상기 전면홀(130)과 상기 속커버(22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이격 공간을 상기 단열 물질로 충진하여 채운다. 상기 단열 물질로 상기 이격 공간을 충진하여 채운 후 시간이 지나 상기 단열 물질이 경화되면 상기 속커버(220)가 고정된다. 상기 단열 물질을 충진한 후에는, 전술에서 상기 후면홈(110)에 실리콘을 충진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홀(130)에도 실리콘을 충진하여 방수함으로써 상기 속커버(220)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 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전과 연결되는 상기 마감커버(240)를 체결부재(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속커버(220)와 체결 결합시키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커버(240)는 예시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마감커버(240)을 상기 속커버(220)에 체결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속커버(220)를 차폐시켜 내부의 상기 결합부속(21, 22, 23, 24)들을 보호할 수 있고 상기 벽체(100)의 전방에서 보여지는 심미성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에 의해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시공된 상태가 도시된 것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 과정이 도시된 것이다.
도 11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은, 상기 벽체(100`)의 후방에 단열부재(300)가 설치될 때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을 설치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은 전술한 일 실시예의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구성인 본체(210), 속커버(220), 본체커버(230) 및 마감커버(240) 외에도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은 상기 속커버(220)의 전면에 결합되어 길이를 상기 마감커버(240)가 결합되는 위치까지 길이를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은 상기 속커버(220)의 전면에 하나만 결합되거나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이 복수 개 연속적으로 결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을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벽체(100`)에 상기 벽체(100`)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작업홀(110`)을 형성한다. 상기 작업홀(110`)은 상기 벽체(100`)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의 크기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0)를 상기 벽체(110`)의 후면에 설치한다. 상기 본체(210)를 상기 벽체(110`)의 후면에 설치하기 전, 상기 본체(210)에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220)를 먼저 결합한다. 상기 본체(210), 상기 속커버(220)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본체(210)를 상기 벽체(110`)의 후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220)를 상기 작업홀(110`)로 삽입한다.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220)를 상기 작업홀(110`)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속커버(220)와 결합된 상기 본체(210)는 자연스럽게 상기 벽체(100`)의 후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220)를 고정시키면 상기 속커버(220)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이 결합된 상기 본체(210)가 상기 벽체(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220)를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 작업홀(110`)과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220)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단열 물질을 주입하여 상기 이격 공간을 충진함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단열 물질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우레탄을 포함한다.
상기 이격 공간에 상기 단열물질을 주입하여 상기 이격 공간을 충진하면 상기 단열물질이 시간이 지나 경화하면서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22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단열 물질은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220)를 감싸 단열하여 열 손실을 차단함으로써 겨울철 기온이 낮아져도 상기 본체(210), 상기 속커버(220)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의 내부에 구비된 결합부속(미표기)들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는다. 그리고 실리콘을 더 충진함으로써, 방수 효과를 향상시켜 상기 본체(210), 상기 속커버(220) 및 사익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속커버(220)의 후면, 즉 상기 본체(210)와 결합되는 면에는 단열시트(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속커버(220)의 후면에 단열시트를 부착한 후 상기 본체(210)와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단열시트가 상기 본체(210) 내부의 열 손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210)가 설치되면, 상기 본체(210)에 결합된 상기 씨디관(201, 202)들과 연결되는 결합부속(미표기)들을 설치하고, 본체커버(230)로 상기 본체(210)의 후면을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벽체(110`)의 후방에 단열부재(300)를 설치한다. 상기 단열부재(300)는 건축물을 단열하여 열 손실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단열부재(300)가 상기 벽체(100`)의 후방에 설치 시,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씨디관(201, 202)들을 감싸면서 설치되어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씨디관(201, 202)을 단열하여 겨울철 동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벽체(100`)의 전면으로 이용하여 수전이 결합되는 상기 마감커버(240)를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250)에 결합하면서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을 마무리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 : 벽체
110: 후면홈 130: 전면홀
101: 중공홀 103: 주입홀
210: 본체 220: 속커버
230: 본체커버 240: 마감커버
201, 202: 씨디관들
110`: 작업홀
250: 속커버 연장하우징 300 : 단열부재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냉/온수가 공급되는 씨디관들이 결합되고 상기 씨디관들과 연결되는 결합부속들이 내부에 구비되며, 전/후면이 관통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속커버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을 차폐시키는 본체커버 및 수전이 결합되며 상기 속커버에 결합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전방과 후방으로 작업 공간을 분리시키는 벽체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본체를 매립하기 위한 후면홈 및 상기 속커버를 매립하기 위한 전면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씨디관들이 결합된 상기 본체를 상기 벽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씨디관들과 상기 결합부속들을 연결시킨 후, 상기 본체의 후면을 차폐시키는 단계;
    상기 속커버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속커버에 상기 마감커버를 결합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키는 단열 물질에 의해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이 단열되고,
    상기 후면홈 및 상기 전면홀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후면홈은 상기 벽체의 후면으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깊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전면홀은 상기 벽체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후면홈을 관통 형성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4. 냉/온수가 공급되는 씨디관들이 결합되고 상기 씨디관들과 연결되는 결합부속들이 내부에 구비되며, 전/후면이 관통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속커버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을 차폐시키는 본체커버 및 수전이 결합되며 상기 속커버에 결합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전방과 후방으로 작업 공간을 분리시키는 벽체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본체를 매립하기 위한 후면홈 및 상기 속커버를 매립하기 위한 전면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씨디관들이 결합된 상기 본체를 상기 벽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씨디관들과 상기 결합부속들을 연결시킨 후, 상기 본체의 후면을 차폐시키는 단계;
    상기 속커버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속커버에 상기 마감커버를 결합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키는 단열 물질에 의해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이 단열되고,
    상기 벽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홀들이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 경량 압출 콘크리트 패널이 조적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후방에서 상기 후면홈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씨디관들이 상기 각 중공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속커버 및 상기 본체가 각각 상기 전면홀과 상기 후면홈에 동시에 삽입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5. 냉/온수가 공급되는 씨디관들이 결합되고 상기 씨디관들과 연결되는 결합부속들이 내부에 구비되며, 전/후면이 관통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속커버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을 차폐시키는 본체커버 및 수전이 결합되며 상기 속커버에 결합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전방과 후방으로 작업 공간을 분리시키는 벽체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본체를 매립하기 위한 후면홈 및 상기 속커버를 매립하기 위한 전면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씨디관들이 결합된 상기 본체를 상기 벽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씨디관들과 상기 결합부속들을 연결시킨 후, 상기 본체의 후면을 차폐시키는 단계;
    상기 속커버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속커버에 상기 마감커버를 결합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키는 단열 물질에 의해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이 단열되고,
    상기 벽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홀들이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 경량 압출 콘크리트 패널이 조적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키는 단계 이전,
    상기 벽체의 후면에 상기 후면홈과 이격되되, 상기 각 중공홀과 연통되는 주입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주입홀을 통해 상기 단열 물질을 주입하여 상기 중공홀을 충진하고, 상기 후면홈과 상기 벽체 사이의 이격 공간을 충진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7. 냉/온수가 공급되는 씨디관들이 결합되고 상기 씨디관들과 연결되는 결합부속들이 내부에 구비되며, 전/후면이 관통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속커버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을 차폐시키는 본체커버 및 수전이 결합되며 상기 속커버에 결합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전방과 후방으로 작업 공간을 분리시키는 벽체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본체를 매립하기 위한 후면홈 및 상기 속커버를 매립하기 위한 전면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씨디관들이 결합된 상기 본체를 상기 벽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씨디관들과 상기 결합부속들을 연결시킨 후, 상기 본체의 후면을 차폐시키는 단계;
    상기 속커버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속커버에 상기 마감커버를 결합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고정시키는 단열 물질에 의해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이 단열되고,
    상기 속커버를 고정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면홀과 상기 속커버 사이의 이격 공간에 상기 단열 물질을 주입하여 상기 이격 공간을 충진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물질은 우레탄을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9. 삭제
  10. 냉/온수가 공급되는 씨디관들이 결합되고 상기 씨디관들과 연결되는 결합부속들이 내부에 구비되며, 전/후면이 관통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속커버와, 상기 속커버의 전면에 하나 또는 복수 개 결합되어 길이를 연장시키는 속커버 연장하우징과,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을 차폐시키는 본체커버 및 수전이 결합되며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전방과 후방으로 작업 공간을 분리시키는 벽체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작업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씨디관들이 결합된 상기 본체를 상기 벽체의 후면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씨디관들과 상기 결합부속들을 연결시킨 후, 상기 본체의 후면을 차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속커버 연장 하우징에 상기 마감커버를 결합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를 고정시키는 단열 물질에 의해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단열되고,
    상기 속커버 및 상기 본체를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가 상기 작업홀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는 상기 벽체의 후면에 배치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11. 냉/온수가 공급되는 씨디관들이 결합되고 상기 씨디관들과 연결되는 결합부속들이 내부에 구비되며, 전/후면이 관통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속커버와, 상기 속커버의 전면에 하나 또는 복수 개 결합되어 길이를 연장시키는 속커버 연장하우징과,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을 차폐시키는 본체커버 및 수전이 결합되며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전방과 후방으로 작업 공간을 분리시키는 벽체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작업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씨디관들이 결합된 상기 본체를 상기 벽체의 후면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씨디관들과 상기 결합부속들을 연결시킨 후, 상기 본체의 후면을 차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속커버 연장 하우징에 상기 마감커버를 결합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결합된 상기 속커버를 고정시키는 단열 물질에 의해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단열되고,
    상기 본체의 후면을 차폐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벽체의 후방에 단열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의 열 손실을 방지하도록 상기 단열부재가 상기 본체 및 상기 씨디관들을 감싸며 설치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12.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 유지를 위한 단열시트가 부착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KR1020140092067A 2014-07-21 2014-07-21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KR101663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067A KR101663104B1 (ko) 2014-07-21 2014-07-21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067A KR101663104B1 (ko) 2014-07-21 2014-07-21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063A KR20160011063A (ko) 2016-01-29
KR101663104B1 true KR101663104B1 (ko) 2016-10-06

Family

ID=5531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067A KR101663104B1 (ko) 2014-07-21 2014-07-21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1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638Y1 (ko) 2006-03-21 2006-06-01 (주)남호건업 단열재가 부착된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100728249B1 (ko) * 2006-10-23 2007-06-14 주식회사 피아이피 단열재가 내장된 수전함
KR101425509B1 (ko) 2013-08-20 2014-08-04 (주)케이에스피아이피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938Y1 (ko) 2006-01-25 2006-04-28 우일기업 주식회사 벽면 매립형 수전박스 시공구조
KR20090019960A (ko) * 2007-08-22 2009-02-26 주식회사 피아이피 깊이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재를 갖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638Y1 (ko) 2006-03-21 2006-06-01 (주)남호건업 단열재가 부착된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100728249B1 (ko) * 2006-10-23 2007-06-14 주식회사 피아이피 단열재가 내장된 수전함
KR101425509B1 (ko) 2013-08-20 2014-08-04 (주)케이에스피아이피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063A (ko) 2016-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21620B (zh) 具有热质量辐射体的复合建筑物模块
KR100515761B1 (ko)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
US20150225931A1 (en) Plumbing supply boxes
KR200417638Y1 (ko) 단열재가 부착된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101485794B1 (ko) 건식벽체용 슬림형 매립 수전함과 그 배관연결구조
KR20180117372A (ko)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CN204418231U (zh) 一种地下混凝土外墙伸缩缝防水装置
KR101663104B1 (ko)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방법
KR101954317B1 (ko)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
KR101640432B1 (ko) 공동주택 폐쇄형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의 세대배관 설치방법
KR100877990B1 (ko) 벽체 매립 상자
KR100780798B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20080075437A (ko)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용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
CN202834424U (zh) 建筑物供暖穿墙管道的防水保温防腐结构
KR200299546Y1 (ko) 공동 주택용 방송 스피커의 배관 연결 박스 구조
KR100780797B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102058117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KR200485695Y1 (ko) 상광하협 형상의 지열전달용 연결구를 갖는 수도미터 보호통
KR101036993B1 (ko) 매립형 수전 연결구
KR101435370B1 (ko)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JP4145058B2 (ja) 垂直配管の外壁貫通構造
KR102351575B1 (ko) 배관 조립체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2351576B1 (ko) 배관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CN210890366U (zh) 一种用于预制化水电管道的管槽结构
KR200277745Y1 (ko) 수전용함 벽체매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