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821A - Device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and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vice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and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821A
KR20140093821A KR1020130005586A KR20130005586A KR20140093821A KR 20140093821 A KR20140093821 A KR 20140093821A KR 1020130005586 A KR1020130005586 A KR 1020130005586A KR 20130005586 A KR20130005586 A KR 20130005586A KR 20140093821 A KR20140093821 A KR 20140093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ntainer
container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regene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66923B1 (en
Inventor
도병록
이정규
김지향
박승훈
신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림바이오셀
도병록
이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림바이오셀, 도병록, 이정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림바이오셀
Priority to KR1020130005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923B1/en
Priority to PCT/KR2014/000444 priority patent/WO2014112794A1/en
Priority to CN201480016369.XA priority patent/CN105143432B/en
Publication of KR20140093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8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9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2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mechanical forces; Stirring; Trituration; Comminu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rotat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2Continuous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4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 B04B5/0442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with means for adding or withdrawing liquid substances during the centrifugation, e.g. continuous centrifu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24Methods of sampling, or inoculating or spreading a sample; Methods of physically isolating an intact microorg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system.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system comprises: a regenerative cell separating device which is rotated by receiving rotary power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separate a tissue; and a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device for extracting a regenerative cell through a secondary centrifugation by receiving a separated object which is discharged by being separated from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ng device. Especially,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device has: a main container which forms an accommodating unit which accommodates a separation object; and a hollow access tube which is inserted into the main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smoothly guarantees the tightness and relative rotation of the devices for separating and extracting a regenerative cell and also easily solves a problem of a heat generation which is caused by a contact rotation by using a compressible sealing member, a first friction reduction member, and a second friction reduction member which are formed in a ring shape and relatively rotate by a mutual contact. Multiple protruding accommodation units, which are formed to be convex to the outside in a radial direction around the rotary shaft of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device in order to accommodate relatively heavy separated objects among separated objects which are separated from a separation object, is formed in a wave shape which continuously and alternatively arranges a convex part and a concave part in the outer circumference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by being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container.

Description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Device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and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a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직을 분리하여 세포를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방조직, 골수, 제대혈 등의 조직을 회전시켜 비중에 따른 분리를 수행하여 줄기세포와 같은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eparating tissues and extracting cel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extracting regenerated cells such as stem cells by rotating tissues such as adipose tissue, bone marrow, cord blood and the like, .

원심분리기는 물체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질을 구성성분별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분리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 있다. The centrifugal separator is a device for separating a substance into constituent components by using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when an object rotates, and various forms have been developed depending on the object to be separated.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액체와 혼합되어 있는 세포 또는 액체보다 높은 비중과 부착력을 갖는 물질을 비중에 의해 분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원심분리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혈액을 적혈구, 혈장 등의 구성성분으로 분리하거나, 지방이나 골수로부터 줄기세포를 추출하는데 원심분리기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centrifuges have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separating substances having specific gravity and adhesion higher than cells or liquids mixed with liquid by specific gravity. For example, the use of centrifuges is increasing in separating blood into components such as red blood cells and plasma or extracting stem cells from fats and bone marrow.

줄기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원심분리기는 일반적으로 분리대상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이 용기에 삽입되는 출입관을 구비한다. 용기는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되지만, 출입관은 용기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되지 않는다. 원심분리 과정에서 이물질이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기와 출입관 사이가 밀폐되어야 한다. 그러나 출입관과 용기는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고 상대회전되어야 한다. 결국, 원심분리기에서 출입관과 용기는 상대회전되면서도 이들 사이가 밀폐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밀폐성 베어링 등이 채용되기도 하지만 경제적이지 못하므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면서도 경제성이 높은 부품의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A centrifugal separator for extracting stem cells generally has a container in which an object to be separated is contained and an inlet and an outlet to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The container is rotated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outside, but the inlet and outlet pipes are not rot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tainer. In order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into the container during the centrifugation process, the space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inlet and outlet must be sealed. However, the inlet pipe and the container are not physically coupled to each other but must be relatively rotated. As a result, in the centrifuge, the inlet pipe and the container are relatively rotated and must be sealed between them. In order to satisfy such a condition, an airtight bearing is employed, but it is not economical, so its use is limited, and development of a highly economical part having a substitute effect is insufficient.

또한, 밀폐된 상태에서 상대회전을 하게 되면 회전시에 발생되는 접촉에 의해서 열이 많이 발생하는데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상대회전 부위가 녹아 버리거나 손상되는 것도 원심분리기에서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In addition, when relative rotation is performed in a sealed state, heat is generated due to contact generated during rotation, and heat dissipation is not smoothly performed, so that a relative rotation site is melted or damaged.

이에 밀폐성과 상대회전을 모두 만족하면서도, 회전시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원활히 방출할 수 있으며, 경제성이 만족되는 물리적 구조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velop a physical structure which satisfies both of the hermeticity and the relative rotation, can smoothly discharge heat generated by the contact during rotation, and satisfies economy.

한편, 줄기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원심분리기에서 중요한 요소는 분리된 줄기세포에 다른 구성성분이 얼마나 혼입되어 있는지에 대한 불순물 혼입율과, 분리대상물로부터 얼마나 많은 양의 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수율 및 일정 시간 내에 얼마나 많은 양을 추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간당 처리량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e meanti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entrifuge for extracting stem cells is the ratio of the impurity content to how much different components are incorporated into the isolated stem cells, the yield rate of how much stem cells can be extracted from the separated subject And the throughput per hour of how much can be extracted within a certain amount of time.

기존의 원심분리기는 본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본체를 회전시킨 후 정지시키면 구성성분들이 비중에 따라 층이 져서 분리되었다. 이에 줄기세포가 포함되어 있는 층에 피펫을 삽입하여 줄기세포가 포함된 층만을 선택적으로 펌핑하는 방식으로 줄기세포를 추출하였다. 줄기세포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성분이므로 하층에 배치되므로 중간에 배치된 층만을 선택적으로 펌핑하는 것에 비하여 펌핑이 용이함에도 불구하고, 줄기세포층을 선택 펌핑하는 과정에서 다른 층의 성분들이 함께 유입됨으로써 이물질이 많이 혼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Conventional centrifuges have a cylindrical shape. When the body is rotated and then stopped, the constituents are layered and separated according to the specific gravity. The stem cells were extracted by inserting a pipette into the layer containing the stem cells and selectively pumping only the layer containing the stem cells. Since the stem cells are relatively heavy, they are arranged in the lower layer. Therefore, although pumping is easier than selectively pumping only the middle layer, the components of the other layers are flow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selectively pumping the stem cell layer, There was a problem of incorpora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줄기세포가 가장 무거운 성분이라는 점을 이용하여 원심력이 최대가 되는 지점에 줄기세포만이 수용될 수 있는 용기를 형성하여 불순물 혼입율을 낮추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 경우 줄기세포 추출양이 현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reduce the impurity content by forming a container that can accommodate only stem cells at the point where the centrifugal force is maximized by using the fact that the stem cells are the heaviest componen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is significantly reduced.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출원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특허출원 제10-2010-010298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심분리기의 본체에 둘레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줄기세포의 추출량을 증대시키고 불순물 혼입량을 저하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만족할만한 성과가 도출되었다. 상기 선행 특허출원에 개시된 원심분리기의 경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줄기세포 원심분리기들 중에서 최대의 줄기세포 추출율 및 최저의 불순물 혼입율을 나타내고 있다. In the prior patent appl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nt,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s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102987, the extraction volume of stem cells is increased by forming a receiving portion convex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body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There have been attempts to reduce the amount of incorporation and satisfactory performance has been achieved. In the case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patent application, the maximum stem cell extraction rate and the lowest impurity content rate among the currently used stem cell centrifuges are shown.

그러나, 상기 선행 특허출원의 원심분리기는 일정 시간 내에 얼마나 많은 양의 지방조직을 처리하여 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간당 처리량의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약점이 있었다. 물론 다른 종래의 원심분리기에 비해서는 시간당 처리량이 월등하지만, 줄기세포 추출율과 불순물 혼입율의 성과에 비해서 처리량의 측면에서는 약점이 있다는 의미이다. However, the centrifugal separator of the prior patent application has a relatively weak point in terms of the throughput per hour as to how much fat tissue can be processed to extract stem cell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f course, the throughput per hour is superior to that of other conventional centrifuges, but it has a weak point in terms of throughput compared to the efficiency of stem cell extraction and impurity incorporation.

특히, 원심분리기를 인체와 연결하고, 인체에서 지방조직을 추출한 즉시 원심분리기에서 줄기세포를 분리해낸 후, 분리된 줄기세포를 다시 인체에 주입하는 방식의 시술을 하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내에 많은 양을 처리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Particularly, when a centrifugal separator is connected to the human body and the stem cells are separated from the centrifuge immediately after extracting adipose tissue from the human body, and then the separated stem cells are injected into the human body, It is very important whether it can be processed.

처리량을 늘리는 관점에서, 단순히 원심분리기의 사이즈를 크게 하는 것은 경제적이지 못하다. 원심분리기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장치를 사용하는데, 회전장치에는 오목하게 원심분리기 본체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착부가 마련된다. 즉, 원심분리기의 사이즈를 단순하게 늘린다면 기존의 회전장치, 특히 장착부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회전장치 전체의 구조를 변경해야 하므로 경제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throughput, simply increasing the size of the centrifuge is not economical. A rotating device is used to rotate the centrifuge, and the rota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art that can be installed by inserting the centrifuge body in concave. That is, if the size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is simply increased, it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conomical efficiency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rotating device, particularly the mounting portion, must be changed or the structure of the rotating device as a whole must be changed.

이에 기존의 회전장치의 규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원심분리기의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이 요구된다.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throughput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while maintaining the standard of the conventional rotary devic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대회전과 밀폐성이 보장되면서도 회전시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열을 원활하게 방출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 제조가능한 재생성 세포 추출 장치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and system which can reliably discharge heat generated by contact during rotation while ensuring relative rotation and hermeticity, And an extraction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회전장치의 구성과 규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시간당 지방조직을 처리할 수 있는 양이 증대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in which the amount of fat tissue per hour can be increased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e and specification of a conventional rotat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는,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분리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용기; 일단부는 상기 메인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용기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 용기와 상대회전되는 중공형의 출입관; 고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출입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마찰저감부재; 상기 메인 용기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마찰저감부재와 대응되게 고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공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마찰저감부재와 밀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회전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의 날개부를 구비하는 제2마찰저감부재; 및 상기 메인 용기의 관통공 내주면과 상기 출입관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도록 상기 메인 용기와 출입관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A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tainer rotatably provided with a rotational force from outside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 object to be separated; A hollow type inlet / outlet pipe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main container so that one end thereof is disposed inside the main container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outside the main container and relatively rotated with the main container; A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surround the inlet / outlet pipe; A main body rotatable together with the main container and formed in an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so as to surround the through hole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A second frictional reduc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wings which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surface of the body;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main container and the outlet pipe so as to seal the gap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hole of the main contain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let pip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링부재는 압축성 고무 소재로 상기 메인 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용기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2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실링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용기와 함께 회전된다. 특히, 상기 제1마찰저감부재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마찰저감부재는 카본 소재로 이루어져 제1마찰저감부재와 제2마찰저감부재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상대회전되더라도 열이 적게 발생된다. 무엇보다도, 제2마찰저감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공기의 급격한 흐름(바람)을 형성하여 제1마찰저감부재와 제2마찰저감부재에서 발생된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main container with a compressible rubber material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main container, and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ealing member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main container. Particularly, the first frictional reducing member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and the second frictional reducing member is made of a carbon material so that even when the first frictional reducing member and the second frictional reducing member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do. Above all, when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rotates, the plurality of vanes may form a sudden flow (air) of air to easily release heat generated from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and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는, 상기 분리대상물로부터 분리된 분리물들 중 상대적으로 무거운 분리물이 수용되도록 상기 메인 용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돌출수용부가 상기 메인 용기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메인 용기의 외주면은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교대로 연속배치되는 파동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the regenerated cell from the separated object, the regenerated cell extractor being convex out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main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rotruding storage portions formed are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is formed in a wave shape in which convex portions and concave port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continuously.

그리고, 상기 메인 용기는 상기 수용부 및 돌출수용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기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수용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메인 용기 수용부의 하단부와 상기 돌출수용부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container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projecting portion are formed, and a lid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to seal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lower end of the projecting accommod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wer end And a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a gap between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은, 조직(tissue)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조직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 용기와, 일단부는 상기 서브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서브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서브 용기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출입관과, 상기 출입관과 연결되어 흡인력을 제공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 및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출입관을 통해 배출된 분리물을 이송받아 2차 원심분리를 통해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system for separating tissues, comprising: a sub container provided with a space portion rotatably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receive tissue, and one end portion of the sub container, And a pump connected to the inlet pipe and providing a suction force, the regeneration cell separation device comprising: a regeneration cell separation device having a hollow inlet / outlet pipe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b container so that the other end thereof is disposed outside the sub container; And a regeneration cell extracting apparatus for extracting the regeneration cells from the regeneration cell separating apparatus through the secondary centrifugation by receiving the separated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tubes,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조직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일정 크기 이상의 덩어리가 상기 용기의 하단부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기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재를 구비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container is provided with a screen member installed in the space of the container so as to prevent a lump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form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tissue from desce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do.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서브 용기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걸림부재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서브 용기의 상측 중앙부로부터 상기 용기의 하측 외곽부를 향해 휘어지도록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Wherein the screen member has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formed outwardly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sub container, wherein the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bent toward the outer frame portion.

또한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는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와 마찬가지로, 고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출입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마찰저감부재와, 상기 서브 용기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마찰저감부재와 대응되게 고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공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마찰저감부재와 밀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회전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의 날개부를 구비하는 제2마찰저감부재 및 상기 서브 용기의 관통공 내주면과 상기 출입관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도록 상기 서브 용기와 출입관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구비한다.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includes a first frictional reducing member that is annularly formed to surround the inlet and outlet pipes, and a second frictional reducing member that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ub-container and is adapt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rictional reduc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wing parts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urface of the body part. 2 frictional reducing member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ub container and the outlet pipe so as to seal the gap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sub contain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let pip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은, 상기한 구성의 지방성 세포 추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직으로부터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에 상기 지방 조직과 세척액을 투입하여 상기 지방 조직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지방 조직을 세척 후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로부터 혈액, 체액을 포함하는 무거운 성분을 튜브를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하되 노란색의 지방 조직이 배출되면 포토 센서를 이용하여 노란색을 감지하여 배출을 중지시키는 단계;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에 콜라게나제를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를 회전시켜 상기 지방 조직을 분해하는 단계; 상기 지방 조직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의 하부에 가라앉은 재생성 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로부터 배출시켜 상기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로 이송시키되, 상기 포토 센서에서 노란색의 성숙 지방세포가 감지되면 배출을 중지시키는 단계; 상기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를 회전시켜 상기 재생성 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원심분리되게 함으로써, 상기 재생성 세포는 상기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의 메인 용기 내주면에 부착되게 하며 나머지 가벼운 성분은 메인 용기의 하부에 수용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로부터 상기 나머지 가벼운 성분을 먼저 배출시킨 후, 세척액을 상기 메인 용기에 투입하고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재생성 세포를 상기 메인 용기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메인 용기의 하부로 떨어지게 한 후 상기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로부터 배출 및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Meanwhile, the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ed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ed cells from tissue using an aliphatic cell extracting system having the above-mentioned constitution, Washing the tissue; And then discharging the heavy component including blood and body fluid continuously through the tube from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ng apparatus after the washing of the fatty tissue, if yellow fat tissue is discharged, stopping the discharge by sensing yellow using a photosensor; Decomposing the adipose tissue by rotating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ng device while the collagenase is put in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ng devic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regenerated cells separated from the adipose tissue and submerg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is discharged from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through the tube and transferred to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or, Stopping the discharge when mature adipocytes are detected;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is rotated to centrifuge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regenerative cells so that the regenerative cells adher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of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and the remaining light components are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step; And separating the regenerative cell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by causing the remaining light component to be first discharged from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or and then injecting the cleaning liquid into the main container and rotating the detergent cell to fal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And discharging and recovering the sample from the cell extracting apparatus.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및 추출시스템에서는 상대회전과 밀폐성이 보장되면서도 열 방출이 원활하여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제조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The regeneration cell extracting apparatus and the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dvantageous in that they are relatively durable and economic as well as smoothly dissipating heat while ensuring relative rotation and hermeticity.

특히, 제2마찰저감부재에 형성된 날개부가 회전함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제1마찰저감부재와 제2마찰저감부재의 회전 접촉에 의해 발생된 열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호 접촉되는 제1마찰저감부재 및 제2마찰저감부재는 예컨대 세라믹과 카본을 소재로 하여 마찰개수가 낮으므로 열 발생 자체가 저하된다는 이점이 있다.Particular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flow of air can be formed as the wing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rotates to easily discharge the heat generated by the rotational contact between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and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The first friction-reducing member and the second friction-reducing member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have an advantage that heat generation itself is lowered because the number of friction is low, for example, ceramic and carbon are used as material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은 분리장치와 추출장치의 2개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2차의 분리과정을 통해 재생성 세포를 추출한다.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의 분리장치에는 스크린부재가 장착되어 콜라겐과 같은 거대 조직을 필터링할 수 있어 지방조직의 분리효율 및 수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Meanwhile,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units of a separating device and an extracting device, and extracts the regenerating cells through a second separating process. The separating device of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system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creen member can be installed to filter large tissues such as collagen, thereby improving separation efficiency and yield of adipose tissue.

특히,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는 기존의 회전장치의 구성과 규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지방조직 또는 재생성 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시간당 처리할 수 있는 양 증대되는 이점이 있으며, 줄기세포가 부착될 수 있는 면적이 증대하여 줄기세포의 수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Particularly,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has an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dipose tissue or regenerated cells can be treated per hour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e and specification of the conventional rotating apparatus, and the area where the stem cells can be attached And the yield of stem cells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은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은 상태의 순수한 재생성 세포만을 추출할 수 있는 능력이 증대되며, 지방조직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양의 재생성 세포를 추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extract only pure regenerated cells in a state in which no impurities are incorporated, and extract as many regenerated cells as possible from adipose tissu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에 채용된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에서 모음부재와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분리물을 수집 및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generative cell separation apparatus employed in a regenerative cell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I-II in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shown in FIG.
6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llecting and discharging a separated material using a vaginal member and a guide member in a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은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와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를 포함한다.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와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는 펌프 및 튜브들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또한,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 및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는 회전 지그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속도로 회전되면서 원심 분리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generative cell separation device and a regenerative cell extraction device.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on device and regenerative cell extraction device are interconnected by pumps and tubes. In addition,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and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or are installed in the rotary jig and perform centrifugal separation while being rotated at a predetermined speed.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 regenerative cell separator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에 채용된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도 2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generative cell separation apparatus employed in a regenerative cell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I-II in FIG. 2, III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100)는 지방조직(fat tissue)등과 같은 재생성 세포를 포함하고 있는 조직을 회전시켜 비중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브 용기(10)와 출입관(90)을 구비한다. 1 to 3,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100 is for separating the tissue containing regenerated cells such as fat tissue according to the specific gravity by rotating the tissue, And a tube (90).

서브 용기(10)는 지방조직을 회전시켜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브 용기(10)는 볼(11,bowl)과 볼(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12)을 구비한다. 볼(11)과 캡(12)이 결합되면, 그 내부에는 지방조직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13)가 형성된다. The subcontainer 10 is for rotating and separating the adipose tissue and the subcontainer 10 has a bowl 11 and a cap 12 coupled to the top of the ball 11. When the ball 11 and the cap 12 are coupled, a space portion 13 in which the fat tissue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therein.

볼(11)의 몸통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거나 일정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볼(11)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볼(11)의 최하단부에는 오목하게 홈부(14)가 형성된다. The body of the ball 11 is formed to have a smaller or constant diameter as it goes downward. However, the lower portion of the ball 11 has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decreases sharply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groove portion 14 is formed concavely at the lowermost end of the ball 11.

캡(12)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며, 관통공(15)의 외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벽부(16)가 형성된다. A through hole 15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ap 12 and a protruding wall portion 16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15. [

또한 볼(11)의 하부의 내측벽에는 교반날개(17)가 형성된다. 이 교반날개(17)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내측벽으로부터 공간부(13)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교반날개(17)는 서브 용기(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90°각도 간격으로 4개가 대칭되게 배치된다. 물론 교반날개(17)는 한 개만 있을 수도 있으며, 반드시 대칭되지 않아도 되지만, 대칭적으로 배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날개(17)는 서브 용기(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지방조직이 원활하게 교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Further, a stirring blade (17)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lower part of the ball (11). The stirring vanes 17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toward the space portion 13. The stirring vanes 17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sub container 10 at four angular intervals of 90 degrees. Of course, there may be only one stirring vane 17 and it is not necessarily symmetrical, but it is preferable to be symmetrically arranged. The stirring vanes 17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ub-container 10, thereby playing a role of smoothly stirring the fat tissue.

출입관(90)은 서브 용기(10)의 내측으로 물질을 이송하거나 역으로 서브 용기(10)로부터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중심관(30)과 보조관(40)을 구비한다. The outlet pipe 90 is for transferring the material to the inside of the sub-container 10 or vice versa and discharging the material from the sub-container 10. In this embodiment, the center pipe 30 and the auxiliary pipe 40 are provided do.

중심관(30)은 서브 용기(10)의 공간부(13)로 세척액, 효소 등을 이송하거나, 서브 용기(10) 내의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로로서 기능한다. 중심관(3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서브 용기(10)의 관통공(15)을 통해 서브 용기(10)에 삽입된다. 중심관(30)의 하단부는 서브 용기(10)의 바닥과 근접된 상태로 서브 용기(10)의 홈부(14)에 배치되며, 중심관(30)의 상단부는 서브 용기(10)의 상부에 배치된다. The central pipe 30 functions as a flow path for transferring the washing liquid, enzyme, etc. to the space portion 13 of the sub container 10, or discharging the substance in the sub container 10 to the outside. The center pipe 3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inserted into the sub container 10 through the through hole 15 of the sub container 10.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pipe 30 is disposed in the groove 14 of the sub container 10 in the state of being close to the bottom of the sub container 10 and the upper end of the center pipe 30 is disposed in the upper part of the sub container 10 .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조관(40)은 중심관(30)과 독립된 경로로 서브 용기(10)의 내부와 외부를 상호 연통시킨다. 특히, 보조관(40)은 서브 용기(10) 내로 공기가 유출입되는 통로로 기능한다. 따라서 보조관(40)은 서브 용기(10)의 하단부까지 삽입될 필요가 없으며, 서브 용기(10)의 상단부까지만 삽입될 수도 있다.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pipe 40 communicates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ub-container 10 with a path that is independent of the center pipe 30. Particularly, the auxiliary pipe 40 function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flows into and out of the sub-container 10. Therefore, the auxiliary pipe 40 does not need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sub-container 10, and may be inserted only up to the upper end of the sub-container 10.

중심관(30)과 보조관(40)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중심관(3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부는 꺽어져서 형성되어 있고, 보조관(40)은 중심관(3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중심관(30)을 감싸며 배치된다. 보조관(40)의 상부는 중심관(30)이 꺽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꺽어져서 형성된다. 보조관(40)의 내부, 보다 정확하게는 보조관(40)의 내주면과 중심관(3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45)를 형성한다. 그러나, 유로(45)가 반드시 공기의 유출입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혈액오염물 등의 물질 등을 배출하거나 세척액 등을 주입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물질의 유출입로로 사용될 수도 있다. The center pipe 30 and the auxiliary pipe 40 may be separately formed, but they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pipe 40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central pipe 30 and is disposed to surround the central pipe 30. The auxiliary pipe 40 is disposed in the center pipe 30,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pipe 40 is formed by being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nter pipe 30 is bent. A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pipe 40 and, more precisely,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pipe 4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ral pipe 30 forms a flow path 45 through which air can flow. However, the flow path 45 is not necessarily used only for the inflow / outflow of air, and may be used as an inflow / outflow path for various materials such as a material for blood contaminants or the like, or a cleaning liquid can be injected.

그리고 중심관(30)의 상단에는 삽입구(35)가 형성되며, 삽입구(35)에는 마개(36)가 나사결합된다. 마개(36)를 제거하면 주사기 바늘(미도시)이 삽입구(35)를 통해 중심관(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서브 용기(10)의 홈부(14)에 놓여진 액상 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주사기 바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마개(36)로 삽입구(35)를 폐쇄시켜 서브 용기(10) 내부의 공간부(13)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 삽입구(35)에는 주사기 바늘 이외에도 관이 삽입되어 서브 용기(10) 내부와 물질을 교환할 수 있다. An insertion port 35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tube 30 and a stopper 36 is screwed into the insertion port 35. When a cap 36 is removed, a syringe needle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center tube 30 through the insertion port 35 to suck the liquid material placed in the groove 14 of the sub container 10 . When the syringe needle is not used, the insertion port 35 is closed by the cap 36 to prevent the space 13 inside the sub container 10 from being contaminated. In addition, a tub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35 in addition to the syringe needle so that the substance can be exchanged with the inside of the sub-container 10.

그리고, 보조관(40)의 하측에는 차폐부재(47)가 중심관(30)에 끼워져 결합된다. 지방조직에 대한 분리를 위하여 서브 용기(10)가 회전하면, 혈액이나 세척액 등의 액상 물질이 서브 용기(10)의 상부로 급격하게 상승될 수 있으며, 이 물질들이 보조관(40)의 내부 또는 보조관(40)과 서브 용기(10)의 관통공(15)의 내주면 사이로 인입될 수 있다. 이에 차폐부재(47)로 관통공(15)과 보조관(40)을 감싸서 혈액오염물 등이 보조관(40) 등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보조관(40)은 공간부(13)와 통해 있어야 하므로, 여기서 감싼다고 하는 것은 완전히 밀폐시킨다는 것은 아니며 상부에는 공간부(13)와 통할 수 있도록 간극이 형성된다.   At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pipe 40, a shielding member 47 is fitted to the center pipe 30 to be engaged. When the sub-container 10 is rotated for separation into adipose tissue, liquid substances such as blood or washing liquid can be abruptly rai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b-container 10, And can be drawn in between the auxiliary pipe 4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5 of the sub container 10. The shielding member 47 covers the through hole 15 and the auxiliary pipe 40 to prevent blood contamination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auxiliary pipe 40 or the like. However, since the auxiliary pipe 40 is in contact with the space 13, the wrapping is not completely closed but a gap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13.

또한, 중심관(30)의 외주면에는 스파이럴 형상의 보조 교반날개(미도시)들이 형성되어, 서브 용기(10)의 하측의 교반날개(17)와 함께 지방조직을 교반할 수 있다. Spiral auxiliary stirring van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tube 30 to stir the fatty tissue together with the stirring vanes 17 on the lower side of the sub vessel 10.

한편, 서브 용기(10)는 출입관(90)에 대하여 상대회전 되어야 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이 보조관(40)이 중심관(30)을 감싸서 이중관 형태로 이루어진 출입관(90)의 경우라면, 보조관(40)과 서브 용기(10) 사이가 실링되어 서브 용기(10)의 공간부(13)는 밀폐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ub container 10 has to be rotated relative to the outlet pipe 90. For exampl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access pipe 90 having the double pipe structure, the auxiliary pipe 40 is sealed between the auxiliary pipe 40 and the sub-container 10, The space portion 13 of the housing 10 must be sealed.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성 실링부재(50)와 제1마찰저감부재(61) 및 제2마찰저감부재(65)를 채용하여, 서브 용기(10)와 출입관(90)이 상대회전되면서도 공간부(13)가 밀폐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채용된 실링부재(50)는 출입관(90)과 서브 용기(10) 사이에 개재되어 서브 용기(10) 내부의 공간을 밀폐시킨다. In this embodiment, the compressible sealing member 50,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61, and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65 are used to rotate the sub-container 10 and the outlet pipe 90 relative to each other, 13) is sealed. That is, the sealing member 50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let pipe 90 and the sub-container 10 to seal the space inside the sub-container 10.

본 실시예에서 실링부재(50)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캡(12)의 돌출벽부(16)에 끼워지며, 보조관(40)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부(48)와 캡(12) 사이에 개재된다. 실링부재(50)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보조관(40)의 플랜지부(48)와 캡(12) 사이에서 압착되면 관통공(15)과 보조관(40) 사이의 틈새는 완전히 실링가능하다. The sealing member 50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is fitted in the protruded wall portion 16 of the cap 12. The sealing member 50 is provid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48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uxiliary pipe 40 and the cap 12 . The sealing member 50 is made of an elastically compressible rubber material so that when the flange portion 48 of the auxiliary pipe 40 is compressed between the cap 12 and the through hole 15, Is fully sealable.

그러나 서브 용기(10)와 함께 실링부재(50)가 회전되면, 고무 소재의 실링부재(50)는 마찰계수가 높아 플랜지부(48)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높은 마찰열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1마찰저감부재(61)와 제2마찰저감부재(65)를 이용하여 열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였다. However, when the sealing member 5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ub-container 10, the sealing member 50 of the rubber material has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so that it is not smoothly rotated due to friction with the flange portion 48, Friction heat is gene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61) and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65) are used to minimize heat generation and improve the structure so that the generated heat can be quickly released.

우선, 제1마찰저감부재(61)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보조관(40)에 끼워지며, 플랜지부(48)의 하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마찰저감부재(65)는 제1마찰저감부재(65)와 몸체부(66)와 복수의 날개부(67)로 이루어지는데, 몸체부(66)는 제1마찰저감부재(61)에 대응되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관통공(15)을 감싸며 배치된다. 물리적으로는 실링부재(50)의 상측에 결합된다. 몸체부(66)의 상면은 제1마찰저감부재(61)의 하면과 면접촉되어 상호 밀착된다. 제2마찰저감부재(65)의 몸체부(65)와 제1마찰저감부재(61)는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상대회전된다. 날개부(67)는 몸체부(66)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몸체부(66)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된다. 또한 날개부(67)는 몸체부(66)의 회전면(일반적으로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마찰저감부재(65)가 회전시 날개부(67)는 팬(pan) 역할을 수행하여 공기의 급격한 흐름(즉, 바람)을 형성한다. 날개부(67)의 경사방향과 제2마찰저감부재(65)의 회전방향에 따라 바람은 상향 또는 하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제1마찰저감부재(61)와 제2마찰저감부재(65)가 상호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열은 날개부(67)가 만들어낸 바람에 의하여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First,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61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is fitted to the auxiliary pipe 40, and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48.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65 includes a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65 and a body portion 66 and a plurality of wing portions 67. The body portion 66 includes a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61, And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through-hole 15. As shown in Fig. And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aling member 50.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66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6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ody portion 65 of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65 and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61 are relatively rotat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wing portions 67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66 along the radial direction and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66. The wing portion 67 is also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plane (generally horizontal plane) of the body portion 66. Accordingly, when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65 rotates, the wing portion 67 acts as a pan to form a sudden flow of air (i.e., wind). The wind is formed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inclination of the wing portion 67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65. Accordingly, the heat generated while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61 and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65 are rota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quickly discharged by the wind generated by the wing 67.

또한, 제1마찰저감부재(61)와 제2마찰저감부재(65)는 마찰개수가 낮은 세라믹 또는 카본 소재로 이루어지며 마찰면이 평평하게 가공되므로 마찰열 자체의 발생이 저감되고, 이들 소재는 열전달율이 높아 방열에서도 이점이 있다.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61 and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65 are made of a ceramic or carbon material having a low number of friction and the frictional surface is flattened so that the generation of frictional heat itself is reduced. Which is advantageous in heat dissip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보조관(40)의 플랜지부(48)와 서브 용기(10)는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데, 고무 소재의 실링부재(50)는 압축되어 관통공(15)과 보조관(40) 사이의 틈새가 폐쇄되며, 제1마찰저감부재(61)와 제2마찰저감부재(65)도 상호 밀착되어 서브 용기(10)가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용기(10)가 회전하면 제1마찰저감부재(61)와 제2마찰저감부재(65) 사이에 상대회전이 일어나지만, 제1마찰저감부재(61) 및 제2마찰저감부재(65)는 마찰열의 발생이 적고, 열전달이 빠를 뿐만 아니라, 날개부(67)가 공기의 급격한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원활하게 열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과 같은 원심분리기에서 중요한 요소인 밀폐성과 원활한 상대회전이 함께 보장되며, 접촉 회전에 따른 열발생에 따른 원심분리기의 손상이나 내구성 저하에도 대처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밀폐성 베어링이나 리테이너링을 사용하던 것에 비하여 매우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The flange portion 48 of the auxiliary pipe 40 and the subcontainer 10 are pressed toward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 sealing member 50 of the rubber material is compressed and the through holes 15, The clearance between the auxiliary pipe 40 is closed and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61 and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65 are also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ub container 10 can be sealed. When the sub container 10 rotates, relative rotation occurs between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61 and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65, but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61 and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65 generate little frictional heat and heat transfer is fast, and the wing portion 67 forms a sudden flow of air, so that heat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erefore,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ble to cope with the damage and durability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due to the generation of heat due to the contact rotation.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in a very economical manner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a hermetic bearing or a retainer ring.

지금까지 회전구조를 설명하면서, 제1마찰저감부재는 출입관(90)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제2마찰저감부재(65)는 실링부재(5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로 서브 용기(10)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실링부재가 보조관(40)의 플랜지부(48) 하측에 설치되고, 실링부재의 하면에 제1마찰저감부재가 부착되며, 제2마찰저감부재는 서브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앞에서와 달리 실링부재는 회전하지 않지만, 앞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즉, 압축성 실링부재와, 상호 밀착되는 제1마찰저감부재 및 제2마찰저감부재에 의하여 서브 용기의 밀폐성이 보장되며, 제1마찰저감부재와 제2마찰저감부재의 소재 및 날개부의 구성에 의하여 방열성이 보장될 수 있으면 된다. The first frictional reducing member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outlet pipe 90 while the second frictional reducing member 65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ing member 50 and the sub container 10 ), But this configur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is provided below the flange portion 48 of the auxiliary pipe 40,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and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ub- . In this configuration, the sealing member does not rotate, unlike the previous case, but the same effect as that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That is, the hermeticity of the sub-container is ensured by the first frictional reducing member and the second frictional reducing member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mpressible sealing member, and by the constitution of the material and the wing portion of the first frictional reducing member and the second frictional reducing member Heat dissipation can be ensured.

한편, 상기 중심관(30)은 연결튜브(미도시)에 의하여 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중심관(30)을 통해 서브 용기(10)로 효소, 세척액 등의 물질을 제공하거나, 서브 용기(10)로부터 지방세포나 폐액 등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액 등의 물질을 서브 용기(10)로 유입 및 유출시켜야 하므로 펌프는 양방향으로 흡인력을 제공해야 한다. 이에 펌프는 양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흡인력을 제공하는 페리스테틱 펌프(peristaltic pump)를 사용한다. The central tube 30 is connected to a pump (not shown) by a connection tube (not shown) to supply a substance such as enzyme and cleaning solution to the sub-container 10 through the central tube 30, And discharges adipocytes or waste fluid from the container 10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since a substance such as a cleaning liquid must be introduced into and out of the sub-container 10, the pump must provide suction force in both directions. The pump uses a peristaltic pump that provides suction force while being rotated in both directions.

상기한 구성의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에서 지방조직과 세척액을 투입한 후 서브 용기(10)를 회전시켜 지방조직을 세척하거나, 지방조직을 분해하기 위하여 콜라게나제 효소를 투입한 후 서브 용기(10)를 회전시키면, 지방조직으로부터 콜라겐이 분리된다. 이렇게 배출된 콜라겐들은 상호 뭉치면서 큰 덩어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콜라겐 덩어리가 서브 용기(10)의 홈부(14) 등으로 유입되면 중심관(30) 또는 보조관(40)을 폐쇄시킬 수 있다. After the adipose tissue and washing solution are introduced into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ng apparatus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ubcontainer 10 is rotated to wash the adipose tissue, or the collagenase enzyme is added to decompose the adipose tissue, (10) is rotated, collagen is separated from adipose tissue. The discharged collagens can form a large lump with each other. When the collagen lumps are introduced into the grooves 14 of the sub container 10, the central tube 30 or the auxiliary tube 40 can be clos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콜라겐 덩어리가 중심관(30) 또는 보조관(40)을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스크린부재(70)를 구비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member 70 is provided to prevent the collagen mass from closing the central tube 30 or the auxiliary tube 40.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부재(70)는 지지부재(71)와 복수의 걸림부재(72)를구비한다. 지지부재(71)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중심관(30) 및 차폐부재(47)를 감싸며 배치되며, 캡(12)의 밑면에 결합된다. 복수의 걸림부재(72)는 지지부재(7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서브 용기(10)의 외측으로 휘어져서 서브 용기(10)의 바닥면 또는 내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creen member 70 includes a support member 71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members 72. [ The support member 71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so as to surround the central tube 30 and the shielding member 47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12. [ The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72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71 and are bent and bent outward of the sub-container 10 to be held in contact with the bottom or inner surface of the sub-container 1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걸림부재(72)들을 위에서 바라보게 되면 이 걸림부재(72)들은 서브 용기(10)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형성되며, 원주방향(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심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3, when the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72 are viewed from above, the engaging members 72 are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sub-container 10, and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In the radial direction as a whole.

복수의 걸림부재(72) 사이의 간격은 대략 1~5mm의 범위로 형성되는데, 이는 콜라겐 덩어리가 걸림부재(72) 사이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위 간격은 조직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72 is approximately 1 to 5 mm in order to prevent the collagen mass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interlocking members 72. However, the above interval may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kind of tissue and the like.

또한, 복수의 걸림부재(72)들 중 복수의 교반날개(17)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걸림부재(72)의 하단부에는 슬릿(73)이 형성된다. 이 슬릿(73)에는 판상의 교반날개(17)가 끼워져 결합된다. 걸림부재(72)는 상하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가요성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A slit 73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member 72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tirring vanes 17 among the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72. The slit 73 is fitted with a plate-shaped stirring vane 17. The latching member 72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it can b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FIG.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200)는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로부터 일차적으로 원심분리되어 줄기세포를 포함하고 있는 수용액을 전달받아, 이 수용액으로부터 줄기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와 함께 사용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지방조직으로부터 직접 줄기세포를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4 to 6,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centrifugal separation from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ng apparatus 100 to receiv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stem cells, To extract the cells. However, when it is not used together with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100 and used alone, it can be used for extracting stem cells directly from adipose tissue.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200)는 메인 용기(210), 출입관(290)을 구비한다. The regeneration cell extracting apparatus 200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 includes a main container 210 and an access pipe 290.

메인 용기(210)는 본체부(211)와 덮개(212)를 구비하여, 그 내부에 지방조직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 등 분리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부(213)가 형성된다. 본체부(211)의 하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거나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특히 수용부(213)의 최하단부에는 오목하게 홈부(214)가 형성된다. The main container 210 includes a main body 211 and a lid 212. The main body 210 has a receptacle 213 in which an object such as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dipose tissue or stem cells is receive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1 is formed to be gradually narrow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r formed to have a constant diameter. In particular, the recess 214 is form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3.

덮개(210)의 상면 중앙에는 상면과 하면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215)이 형성되며, 관통공(215)의 외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환형의 돌출벽부(216)가 형성된다. A through hole 21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of the lid 210 so as to pass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d an annular protruding wall portion 216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215.

또한 메인 용기(210)의 외측에는 볼록하게 돌출수용부(217)가 형성된다. 즉, 돌출수용부(217)는 메인 용기(210)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메인 용기(210)의 외측으로 볼록하며, 메인 용기(210)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길게 형성된다는 것은 돌출수용부(217)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수용부(213)의 하부와 상부에 배치되도록 길게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a protruding receiving portion 217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container 210 in a convex manner. That is,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217 is convex outwardly of the main container 210 along the radial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main container 210, and is formed lo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in container 210. The longer length means that the lower end port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217 are elongated so as to b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213, respectively.

또한 돌출수용부(217)는 메인 용기(210)의 외벽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메인 용기(210)의 외주면은 볼록한 부분(돌출수용부)과 오목한 부분이 교대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므로 전체적으로 파동형으로 형성된다. Also,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s 217 ar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outer wall of the main container 210. [ Therefo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210 is formed in a wave form as a whole because the convex portion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are alternately and continuously arranged.

또한 메인 용기(210)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돌출수용부(217)는 메인 용기(210)에 대칭되게 배치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용기(210)의 회전중심축(c)을 기준으로 45°각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8군데 배치된다.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217 should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main container 210 so as not to affect the rotation of the main container 210. In this embodiment, Are symmetrically arranged at eight angular intervals at an angle of 45 deg.

메인 용기(210)가 회전되면 분리대상물은 중량별로 분리되면서, 무거운 성분은 메인 용기(210) 내에서 외측에 배치되고 가벼운 성분은 내측에 배치된다. 돌출수용부(217)는 메인 용기(2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최외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장 무거운 성분의 분리물이 돌출수용부(217)에 수용된다. 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줄기세포는 다른 성분들에 비하여 무거우므로 원심분리시 돌출수용부(217)에 수용된다. When the main container 210 is rotated, the separated objects are separated by weight, and the heavy components are disposed on the outer side in the main container 210 and the light components are disposed on the inner side. Since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217 is disposed at the outermost peripher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main container 210, the heaviest component separation is accommodated in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217. Stem cells isolated from adipose tissue are heavier than other components and are accommodated in the protruding receptacle 217 during centrifugation.

본 발명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수용부(217)를 메인 용기(210)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배치한 이유는 시간당 처리량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본 출원인에 의한 선행특허에서는 메인 용기에 4군데에만 대칭되게 돌출수용부를 형성하였는 바, 시간당 처리량이 작았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용기의 중심으로부터 돌출수용부의 정점까지의 거리는 선행특허와 동일하지만, 즉 메인 용기의 최외곽부까지의 직경은 동일하지만, 돌출수용부(217)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메인 용기를 파동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메인 용기(210) 내에 수용할 수 있는 수용액의 양을 훨씬 증대시켰다. A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son why the projecting accommodating portions 217 are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210 is to increase the throughput per hour. In the prior patent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projecting accommodating portion was formed symmetrically in only four places in the main container, and the throughput per hour was smal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main container to the vertex of the projecting accommodating por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prior patent, that is, the diameter to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is the same, but the projecting accommodating portion 217 is continuously arranged, The amount of the aqueous solution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main container 210 is greatly increased.

기존의 원심분리기의 경우 15cc를 채워서 처리하였다면,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기는 80cc를 채워서 처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줄기세포가 부착될 수 있는 돌출수용부(217)의 면적 역시 2배 이상으로 증대되면서 줄기세포의 추출율도 함께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If the conventional centrifugal separator is filled with 15 cc,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lled with 80 cc. In addition, the area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217 to which the stem cells can be attached is also increased more than two times, and the extraction rate of the stem cells is also increased.

이는 단순하게 돌출수용부(217)의 개수를 늘렸다기보다는, 동일한 회전지그를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수용액의 양과 줄기세포 추출율을 최대화시켰다는 공정 효율의 측면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특히, 인체에서 분리된 조직을 처리 대상물로 하므로 동일한 시간 내에 얼마나 많은 양의 대상물을 처리하고, 그로부터 얼마나 많은 타겟물질(줄기세포)을 추출할 수 있는지는 의료 시술의 측면에서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회전지그를 그대로 사용하여 설비를 보충하거나 변경하지 않는 수준에서, 원심분리기 메인 용기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최대의 경제적 효과가 발휘되도록 하였다. This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process efficiency of maximizing the amount of aqueous solution that can be treated using the same rotating jig and the extraction rate of stem cells, rather than simply increasing the number of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s 217. Particularly, since the tissue separated from the human body is treated as an object to be treated, how many objects to be treated in the same time and how many target substances (stem cells) can be extracted therefrom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medical treatment .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economic effect is achieved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main vessel of the centrifuge at a level that does not supplement or change facilities by using the rotary jig as it is.

한편, 돌출수용부(217)의 하단부는 차단부재(240)에 의하여 가로 막혀 있다. 차단부재(240)는 원심분리의 초기인 회전속도를 증대시키는 과정과, 원심분리의 종료기인 회전속도를 줄여 정지시키는 과정에서 줄기세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217 is blocked by the blocking member 240. The blocking member 240 serves to prevent the stem cells from being lost during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rotation speed, which is the initial stage of centrifugation, and stopping the rotation by reducing the rotation speed which is the end of the centrifugation.

원심분리에 의하여 돌출수용부(217)에는 줄기세포가 수용되어야 하는데, 돌출수용부(217)의 하단부가 메인 용기의 하단부와 상호 연통되어 있으면, 원심분리 초기에 회전속도를 증대시키는 과정에서 분리대상물이 메인 용기(210)의 하단부로부터 돌출수용부로 올라오게 된다. 더욱이 수용액이 치고 올라오면서 돌출수용부(217)에 부착되어 있는 줄기세포가 유실될 수도 있다. 즉 차단부재(240)는 돌출수용부(217)에 기부착된 줄기세포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하여 줄기세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차단부재(240)에는 상면과 하면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수용부(213)의 하부로부터 원심력을 받아 메인 용기의 내벽을 따라 올라오는 줄기세포들이 통과될 수 있다. 즉, 급격하게 분리대상물이 돌출수용부로 치고 올라오는 것은 방지하지만 원심력을 받아 하부로부터 상부로 밀려 올라오는 소량의 줄기세포들은 돌출수용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When the lower end of the projecting accommodating portion 217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main container, stem cells are accommodated in the projecting accommodating portion 217 by centrifugal separation.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rotation speed at the initial stage of centrifugal separation, The upper end of the main container 210 comes up to the projecting receiving portion. In addition, stem cells attached to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217 may be lost as the aqueous solution rises. That is, the blocking member 240 is provided to stably accommodate stem cells attached to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217 to prevent loss of stem cells. The blocking member 240 is formed with a hole (not shown) passing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213. The blocking member 240 receives centrifugal for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213 and allows the stem cells com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main container to pass therethrough . That is, although the separation object is prevented from being abruptly lifted up by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a small amount of stem cells that are pushed up to the upper portion from the lower portion under centrifugal force can be introduced into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그리고, 차단부재(240)는 원심분리의 종료 과정에서 돌출수용부(217)에 부착되어 있던 줄기세포를 보존하는 역할도 한다. 즉, 원심분리가 끝난 후 메인 용기를 감속시키는 과정에서 원심력이 떨어지면 돌출수용부(217)에 부착되었던 줄기세포들이 중력의 영향을 더 크게 받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일부의 줄기세포들은 돌출수용부(217)의 내벽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려 가게 된다. 차단부재(240)는 원심분리가 끝난 후 메인 용기를 정지시키는 과정에서 줄기세포가 돌출수용부(217)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The blocking member 240 also serves to preserve the stem cells attached to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217 during the termination of the centrifugation. That is, when the centrifugal force is reduced in the process of decelerating the main container after the centrifugal separation, the stem cells attached to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217 are more affected by gravity, ) Along the inner wall of the bottom. The blocking member 240 also prevents the stem cell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217 in the course of stopping the main container after centrifugal separation.

출입관(290)은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을 구비한다.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은 모두 메인 용기(210)의 수용부(213)와 메인 용기(210)의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은 상호 독립된 경로를 형성한다.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은 메인 용기(210)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데, 제1배출관(220)은 길게 형성되어 그 하단부가 메인 용기(210)의 하단부, 보다 정확하게는 홈부(214)에 배치되지만, 제2배출관(230)은 짧게 형성되어 그 하단부가 메인 용기(210)의 상단부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The outlet pipe 290 has a first outlet pipe 220 and a second outlet pipe 230.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are for communicating the receiving portion 213 of the main container 210 with the outside of the main container 210.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The discharge pipes 230 form mutually independent paths.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are disposed coaxially with the main container 210.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is elongated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container 210,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is formed in a short shap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container 210. [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을 통해 유동되는 물질은 사용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제1배출관(220)을 통해서는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로부터 분리된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 및 세척액 등이 유입될 수 있으며, 메인 용기(210)로부터 추출된 줄기세포나, 세척액 등이 배출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배출관을 통해서는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으며, 사용 후의 세척액 등이 배출될 수도 있다. The material flowin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 mode.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is separated from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100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stem cell, a washing solution, etc. may be introduced, and stem cells extracted from the main container 210, a washing solution and the like may be discharged. In addition, air can flow in and out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ipe, and the cleaning liquid or the like after use can be discharged.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200)의 출입관(290)의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의 출입관(90)과 그 구성이 완전히 동일하다. 즉,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200)의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의 구체적 구성은 각각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에서의 중심관(30)과 보조관(40)과 완전히 동일하다. 그리고 제2배출관(230)의 내주면과 제1배출관(22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 공기, 세척액 등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235)를 형성하는 점도 동일하다. 삽입공(237), 캡(236)의 구성도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의 삽입구(35) 및 마개(36)와 동일하다.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stitution of the access tube 290 of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200 is completely the same as the constitution of the access tube 90 of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10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of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200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entral tube 30 and the auxiliary tube 40 in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100, same. Als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forms a flow path 235 through which fluids such as air and cleaning fluid can flow. The configuration of the insertion hole 237 and the cap 236 is the same as that of the insertion port 35 and the cap 36 of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on devic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메인 용기(210)는 출입관(290)에 대하여 상대회전 되어야 하며, 출입관(290)과 메인 용기(210) 사이는 실링되어 메인 용기(210)의 수용부(213)는 밀폐되어야 한다. Meanwhile, the main container 210 is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inlet / outlet pipe 290, and the space between the outlet pipe 290 and the main container 210 is sealed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213 of the main container 210 is sealed .

본 발명에서는 압축성 실링부재(250), 제1마찰저감부재(261) 및 제2마찰저감부재(265)를 이용하여 밀폐성, 상대회전, 발열의 문제를 모두 해결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에서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설명의 명료성과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간단하게만 설명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s of hermeticity, relative rotation, and heat generation are all solved by using the compressible sealing member 250,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261 and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265. This configuration is completely the same as that of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on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the descrip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only for the sake of clarity and redundancy.

즉, 압축성 실링부재(250)는 고리형으로 메인 용기(210) 상부의 돌출벽부(216)에 끼워져 설치되며, 압축성 실링부재(250)의 상부에는 고리형의 제2마찰저감부재(265)가 결합된다. 그리고 출입관(구체적으로는 제2배출관)에는 플랜지부(248)가 형성되며, 고리형의 제1마찰저감부재(261)는 제2배출관(240)을 감싸며 플랜지부(248)에 부착된다. 제1마찰저감부재(261)의 하면과 제2마찰저감부재(265)의 몸체부(266) 상면은 상호 면접촉되어 밀착된 상태로 상대회전된다. 제2마찰저감부재(265)의 날개부(267)는 바람을 형성하여 제1마찰저감부재와 제2마찰저감부재 사이의 회전 접촉에 따른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의 실링부재(50), 제1마찰저감부재(61) 및 제2마찰저감부재(65)와 완전히 동일하다. 이에 따라, 밀폐성과 상대회전의 보장 및 열발생에 따른 방열의 문제도 완전히 해결될 수 있다. That is, the compressible sealing member 250 is annularly fitted to the protruding wall portion 216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210, and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265 in the form of an annular ring is formed on the compressible sealing member 250 . A flange portion 248 is formed in the inlet pipe (specifically, the second discharge pipe), and the first frictional reducing member 261 in the form of a ring surrounds the second outlet pipe 240 and is attached to the flange portion 248.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26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66 of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265 are mutually contacted and relatively rotat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wing portion 267 of the second frictional reducing member 265 forms a wind to allow the heat due to the rotational contact between the first frictional reducing member and the second frictional reducing member to be released easily. This configuration is completely the same as the sealing member 50, the first frictional reducing member 61 and the second frictional reducing member 65 of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problem of hermeticity, guarantee of relative rotation, and heat radiation due to heat generation can be completely solv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원심분리를 위해 메인 용기(210)가 회전하는 동안에 줄기세포 이외의 세척액 등을 제2배출관(230)을 통해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용기(21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메인 용기(210)의 하부로부터 제1배출관(220)을 통해 세척액 등을 배출시킬 수도 있지만, 메인 용기(210)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후술할 모음부재(270) 및 가이드부재(280)에 의하여 세척액 등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during the rotation of the main container 210 for centrifugation, a cleaning liquid other than stem cell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to provide.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of the main container 210 may be stopped and the cleaning liquid may be discharg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210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However, during the rotation of the main container 210 The cleaning liquid or the lik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vowel member 270 and the guide member 280 to be described later.

모음부재(270)는 제1배출관(220)에 끼워져 설치되며, 후술할 가이드부재(280)에 의하여 가이드된 분리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수집부(27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음부재(270)는 오목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다. 모음부재(270)는 메인 용기(210)의 상부에 배치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제2배출관(230)의 하단부에 밀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모음부재(270)의 직경은, 모음부재(270)의 외주면이 메인 용기(210)의 내주면(오목한 부분을 연결한 면)과 근접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된다. The vowel member 270 is fitted to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and is formed with a collecting portion 271 concavely so as to temporarily receive the separated product guided by the guide member 28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wel member 270 is formed in a concave disc shape. The vowel member 270 i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210, more precisely,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The diameter of the vowel member 270 is set to a size such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owel member 270 can be close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concave portion connecting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210.

가이드부재(280)는 모음부재(270) 상에 배치되어 메인 용기(210)의 내부에서 원심분리된 상태로 회전되고 있는 분리물을 모음부재(270)의 수집부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280)는 모음부재(27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모음부재(270) 상에 90°각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4개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부재(280)는 모음부재(270)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쪽으로 형성되되 곡선으로 휘어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모음부재(270) 상에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부재(280)는 전체적으로 회오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guide member 280 is disposed on the vowel member 270 to guide the separated product that is being centrifugally rotated in the main container 210 to the collection portion of the vowel member 270.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member 28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vowel member 270, and is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owel member 270 at 90 degree angular intervals. The plurality of guide members 280 are formed so as to be curved toward the center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owel member 270.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guide members 280 disposed on the vowel member 270 are formed in a whirling manner as a whole.

물론 이 가이드부재(280)가 반드시 곡선으로 휘어지게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직선 형태일 수도 있으며, 모음부재(270)의 반경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분리물과 접촉되는 부분에 짧은 절편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재의 개수도 하나에서 복수 개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Of course, the guide member 28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urved, but may be straight, and may be formed in a short section at a portion that is not formed over the entire radius of the vowel member 270, It can be in various forms such as water supply. Also, the number of guide members may be variously selected from one to a plurality.

메인 용기(210)에 수용된 분리대상물은 메인 용기(210)가 회전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리면서 함께 회전되는데,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무거운 성분인 줄기세포 등은 돌출수용부(217)에 수용되며, 세척액 등의 가벼운 성분은 메인 용기(2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메인 용기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분리대상물은 함께 회전되면서 메인 용기(2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수위를 높이게 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부재(270)의 상부까지 수위가 높아진 분리물은 가이드부재(280)와 접촉 및 간섭되면서 가이드부재(280)를 따라 모음부재(270)의 중앙측으로 가이드된다. 펌프로부터 제2배출관(230)에 흡인력이 인가되면, 모음부재(270)의 중앙부로 가이드된 분리물은 이 흡인력에 의하여 제2배출관(2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ion object accommodated in the main container 21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centrifugal force by the centrifugal force as the main container 210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stem cells and the like, which are heavy components, And a light component such as a cleaning solution maintains a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210. When the main container starts to rotate, the separation object is rotated together to raise the water level from the lower part of the main container 210 to the upper part. As shown in FIG. 7, the separated water having a raised water level to the upper part of the vowel member 270 And is guided along the guide member 280 to the center side of the vowel member 27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and interfering with the guide member 280. When the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from the pump, the separated substance guided to the center of the vowel member 27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by the suction force.

또한, 모음부재(270)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유통홀(272)이 형성되는데, 이 유통홀(272)은 모음부재(27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하시키고 급격하게 많은 양의 분리물이 유입될 때 분리물의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한다. A plurality of flow holes 272 ar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vowel member 270. The flow holes 272 lower the pressure applied to the vowel member 270 so that a large amount of separated water Thereby preventing the overflow of the separated product.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200)는 흡입장치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펌프(미도시)와 제2펌프(미도시)를 구비한다. 제1펌프는 연결튜브에 의하여 제1배출관(220)에 연결되어, 제2펌프(292)도 연결튜브에 의하여 제2배출관(230)과 연결되어, 각각 제1배출관(220) 및 제2배출관(230)을 통해 유체를 유출입시킨다. Meanwhile,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ction device. In this embodiment, a first pump (not shown) and a second pump (not shown) are provided. The first pump is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by the connecting tube and the second pump 292 is also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by the connecting tube so that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220, (Not shown).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배출관 및 제2배출관을 통해 각각 유체를 유입 및 배출시켜야 하므로 펌프로는 양방향으로 흡인력을 제공하는 페리스테틱 펌프를 사용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luid must be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ipe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respectively, the pump uses a peristaltic pump that provides suction force in both directions.

한편,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의 중심관(30)과 연결된 연결튜브에는 포토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이 포토센서는 연결튜브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색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로부터 중심관(30)을 통해 노란색의 지방조직 지방세포가 배출되면, 노란색을 감지하여 지방세포 또는 지방조직이 배출되고 있다는 신호를 후술할 콘트롤러(미도시)로 송출한다. Meanwhile, a photo sensor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tube connected to the central tube 30 of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100. The photosensor can sense the color of the fluid flowing along the connection tube. In particular, when the yellow adipose fat cells are discharged from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100 through the central tube 30, Or a signal that the adipose tissue is being discharged to a controller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의 중심관(30)과 연결된 연결튜브에는 덩어리 상태의 콜라겐과 같은 거대 조직을 필터링할 수 있는 다중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tube connected to the central tube 30 of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on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with a multi-filter capable of filtering large tissues such as collagen in a lump state.

또한,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200)의 제1배출관(220)과 연결된 연결튜브 및 제2배출관(230)과 연결된 연결튜브에는 이 연결튜브들을 통해 공기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며, 특히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200)로부터 제1배출관(220) 및 제2배출관(230)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콘트롤러로 송출한다. The connection tube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and the connection tube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of the regeneration cell extractor 200 are provided with a sensor for sensing the flow of air through the connection tubes, It senses that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cell extract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한편, 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에는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와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200), 회전지그(미도시) 및 각종 밸브 등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미도시)가 마련되며, 이 콘트롤러에 의하여 모든 동작이 제어된다.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system includes a regenerative cell separator 100, a regenerative cell extractor 200, a rotary jig (not shown),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mponents such as various valves , All operations are controlled by this controller.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ed cells using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 will be described.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과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200)는 복수의 연결튜브들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튜브들은 또한 세척액이 보관된 저장백, 효소가 보관된 저장백, 세척된 지방조직이 저장되는 저장백, 사용 후의 폐약이 수용되는 저장백 및 줄기세포가 저장되는 저장백 등의 다양한 저장백들과 연결된다. 저장백은 상기한 것들 이외에도 지방세포가 저장되는 저장백이나 추출된 줄기세포를 냉동보관하기 위한 저장백 들 다양한 저장백과 연결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generation cell separation apparatus 100 and the regeneration cell extraction apparatus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connection tubes. The connection tubes are also connected to a storage bag in which a washing solution is stored, , A storage bag in which washed fat tissue is stored, a storage bag in which the used medicine is stored, and a storage bag in which stem cells are stored.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storage bag may be connected to a storage bag in which adipose cells are stored or a storage bag for storing the extracted stem cells in a cryopreservation manner.

우선 분리대상이 되는 지방조직을 중심관(30)을 통해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 내부로 유입시킨다. 예컨대, 주사기를 통해 인체로부터 지방조직을 선추출한 후, 다시 지방조직을 분리장치(100)로 유입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송과정에서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체에 직접 주사기 바늘을 꼽고 주사기 주사기와 연결된 튜브 등을 중심관(30)에 연결한 상태에서, 펌프를 이용하여 서브 용기(10)의 내부를 음압분위기로 형성하면 지방조직 인체로부터 직접 서브 용기(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First, the adipose tissue to be separated is introduced into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central tube 30. For example, the fat tissue may be preliminarily extracted from a human body through a syringe, and then the fat tissue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apparatus 100 again. However, in order to prevent contamination during the transferring process, a syringe needle is directly inserted into a human body, a tube connected to the syringe injector is connected to the central tube 30, The fat tissue can b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sub-container 10 from the human body.

상기한 바와 같이, 지방조직이 서브 용기(10)로 유입되면, 밸브를 열고 펌프를 작동시켜 세척액을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로 이송한다. 회전지그를 작동시켜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에 대한 회전 및 정지를 반복한다. 이렇게 회전 및 정지를 일정 주기로 반복하면 지방조직과 세척액이 상호 교반되면서 원심분리되며, 혈액 유래 오염물과 함께 유입된 지방조직은 세척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dipose tissue is introduced into the sub-container 10, the valve is opened and the pump is operated to transfer the washing solution to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on device 100. The rotation jig is operated to repeat the rotation and stop of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100. When the rotation and the stopping are repeated at regular intervals, the fat tissue and the washing liquid are centrifuged while being stirred with each other, and the adipose tissues flowing along with the blood-derived contaminants are washed.

서브 용기(1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대략 1분 정도 정치시키면, 서브 용기(10)의 하부에는 세척액, 혈액, 체액 등의 무거운 성분들이 배치되고, 이들 상부에 세척된 지방조직이 배치되고, 오일 성분은 최상층에 배치된다. When the sub container 10 is left stationary for about one minute, heavy components such as a cleaning liquid, blood, body fluids, and the like are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sub container 10, The ingredients are placed on the top layer.

다시 펌프를 작동시켜 중심관(30)을 통해 서브 용기(10)의 하부에 있는 혈액, 세척액 등을 배출시킨다. 세척액 등이 모두 배출되면 노란색을 띠는 지방조직이 중심관(30)을 통해 배출되는데, 연결튜브에 설치되어 있는 포토센서는 지방조직의 색채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신호를 송출한다. 콘트롤러에서는 펌프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한 과정을 3~4회 정도 반복하면서 지방조직이 완전히 세척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ump is operated again to discharge the blood, the washing liquid, etc. in the lower part of the sub container 10 through the central pipe 30. When the washing liquid is exhausted, the yellow fatty tissue is discharged through the central tube 30. The photosensor installed in the connecting tube senses the color of the fatty tissue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In the controller, the operation of the pump is stopped, and the above procedure is repeated three to four times to allow the fat tissue to be completely cleaned.

상기한 바와 같이, 인체로부터 추출된 지방조직으로부터 혈액 오염물, 체액 및 오일 성분들을 분리해내고 지방조직이 완전히 세척된 후, 필요하다면 세척된 지방조직을 세척된 지방조직의 일부를 저장백으로 이송시켜 보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lood contaminants, body fluids, and oil components are separated from the fat tissue extracted from the human body, and after the fat tissue has been completely washed, the washed fat tissue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bag, if necessary, Can be stored.

이후, 펌프를 작동시키면서 밸브를 열어 효소 저장백으로부터 콜라게나제를 중심관(30)을 통해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로 이송한다. 콜라게나제가 서브 용기(10)에 유입되면,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서브 용기(10)를 대략 30분 정도 회전 및 교반시킨다. 이 때 회전지그 등 회전수단을 통해 서브 용기(10)의 온도를 37℃ 정도로 유지한다. 콜라게나제는 지방조직을 분해하며, 분해된 성분들은 서브 용기(10)의 회전으로 원심분리된다. 서브 용기(1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1분 정도 정치시키면,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은 상대적으로 무거운 성분이므로 서브 용기(10)의 하부에 배치되며, 그 위에 성숙 지방세포(matured fat cell)와 오일성분이 놓여진다.Thereafter, the valve is opened while operating the pump to transfer the collagenase from the enzyme storage bag to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100 through the central tube 30. When the collagenase enters the sub-container 10, the operation of the pump is stopped and the sub-container 10 is rotated and agitated for approximately 30 minutes.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sub container 10 is maintained at about 37 캜 through a rotating means such as a rotary jig. The collagenase degrades adipose tissue, and the degraded components are centrifuged by rotation of the sub-container 10. When the rotation of the sub-container 10 is stopped and left to stand for 1 minute,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adipose-derived stem cells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b-container 10 because it is a relatively heavy component, and matured fat cells ) And the oil component.

펌프를 다시 작동시켜 중심관(30)을 통해 줄기세포가 포함된 수용액을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200)로 이송한다. 이송시에는 펌프와 제2펌프가 함께 작동한다. 그리고 포토센서에서 다시 노란색이 감지되면, 줄기세포가 포함된 수용액은 모두 배출된 후 지방세포가 배출되는 것이므로 펌프들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성숙 지방세포를 별도의 저장백에 보관할 수 있다. The pump is operated again to transfer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stem cells to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central tube 30. During transfer, the pump and the second pump work together. When the yellow sensor is detected again by the photosensor,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stem cells is exhausted and then the fat cells are discharged. And, if necessary, mature adipocytes can be stored in separate storage bags.

상기한 바와 같이 줄기세포를 포함한 수용액이 모두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200)의 메인 용기(210)로 유입되면, 줄기세포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모음부재(270)와 가이드부재(280)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When the aqueous solution including the stem cells is introduced into the main container 210 of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200 as described above, the stem cells are extracted. The vowel member 270 and the guide member 280 It may or may not be used.

우선 모음부재(270)와 가이드부재(28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모든 밸브를 닫고, 펌프들도 작동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메인 용기(210)를 대략 5분 정도 회전시킨 후 자연 감속시킨다. 줄기세포를 포함한 수용액은 이 과정에서 원심분리되는데, 상대적으로 무거운 줄기세포는 원심력에 의하여 가압되어 수용돌출부(217)의 내벽에 부착되고, 체액, 세척액, 효소 등은 메인 용기(210)의 하부에 수용된다. 중요한 사항은 메인 용기(210)의 회전을 중지시킬 때 인위적으로 감속시키지 말고 자연감속 시키는 것이다. 인위적으로 회전에 브레이크를 걸면 수용돌출부(217)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던 줄기세포들이 메인 용기(210) 하부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First, when the vowel member 270 and the guide member 280 are not used, all the valves are closed and the main container 210 is rotated for about five minutes in a state in which the pumps are also stopped. A relatively heavy stem cell is pressurized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rotrusion 217, and a body fluid, a washing liquid, an enzyme, and the like are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container 210 . An important point is to naturally decelerate the main container 210 without artificially decelerating the rotation of the main container 210. The stem cell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rotrusion 217 may fal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210 when the brake is artificially rotated.

원심분리가 완료되면 제1펌프를 가동시켜 제1배출관(220)을 통해 체액 등의 수용액을 폐액 저장백으로 이송한다. 제1배출관(220)에 연결된 연결튜브에 설치된 센서에서 공기가 감지되면, 수용액이 모두 배출된 것이므로 제1펌프의 작동을 중지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When the centrifugal separation is completed, the first pump is operated to transfer the aqueous solution such as body fluid to the waste liquid storage ba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When air is detected in the sensor installed in the connection tube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is stopp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since the aqueous solution is discharged.

한편, 모음부재(270)와 가이드부재(28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인 용기(210)의 회전과 함께 제2펌프를 작동시켜 제2배출관(230)을 통해 흡인력을 제공한다. 메인 용기(210)가 회전되면서 줄기세포가 포함된 수용액도 함께 회전되고, 줄기세포는 돌출수용부(217)의 내벽에 부착된다. 줄기세포를 제외한 나머지 수용액은 회전되면서 계속 수위를 높이게 된다. 수용액이 모음부재(270)의 상부까지 이동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는 수용액이 가이드부재(280)와 간섭되면서, 가이드부재(280)를 따라 모음부재(270)의 중심쪽으로 유도된다. 모음부재(270)의 중앙부 상측에는 제2배출관(230)이 배치되므로, 제2펌프(292)의 흡인력에 의하여 수요액은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 사이의 유로(2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폐액 저장백으로 이송된다. 이 때에도 제2배출관(230)과 연결된 연결튜브에 설치된 센서에서 공기가 감지되면 수용액이 모두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펌프의 작동을 중지한다. 이후 메인 용기(210)를 자연감속하여 정지시키면 메인 용기(210) 내부에는 줄기세포만이 돌출수용부(217)의 내벽에 부착된 상태로 존재한다. 일부 수용액이 배출되지 않고 메인 용기(210)의 하부에 잔존하는 경우에는 제1펌프를 가동하여 제1배출관을 통해 폐액 저장백으로 이송하면 된다. When the vowel member 270 and the guide member 280 are used, the second pump is oper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container 210 to provide a suction forc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As the main container 210 is rotated,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stem cells is also rotated, and the stem cells are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217. The rest of the aqueous solution except the stem cells continues to rise in water level. When the aqueous solution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owel member 270, the rotating aqueous solution is guided along the guide member 280 toward the center of the vowel member 270 while interfering with the guide member 280 do. The second supply pipe 230 is disposed above the central portion of the vowel member 270 so that the demanded liquid is supplied to the flow path 235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ip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econd pump 292, And is transported to the waste liquid storage bag. At this time, when air is sensed by a sensor installed in the connection tube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ipe 230, it is determined that the aqueous solution has been discharged, and the operation of the pump is stopped. Thereafter, when the main container 210 is naturally decelerated and stopped, only the stem cells are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217 in the main container 210. If some aqueous solution is not discharged and remains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container 210, the first pump may be operated and transferred to the waste liquid storage ba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ipe.

상기한 바와 같이, 줄기세포를 포함한 수용액에 대한 원심분리가 완료된 후, 돌출수용부(217)의 내벽에 부착된 줄기세포를 세척하기 위해서, 미량의 세척액을 메인 용기(210)로 투입하고, 메인 용기에 대한 회전과 정지를 5회 정도 반복한 후, 재차 원심분리를 하며 메인 용기(210)를 감속시킨다. 이렇게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메인 용기를 가속 및 감속시키면, 돌출수용부(217)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던 줄기세포들이 메인 용기(210)의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줄기세포 추출과정을 수 회 반복하여 수행하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줄기세포에 이물질이 최소한으로 포함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fter centrifugation o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stem cells is completed, a small amount of washing solution is put into the main container 210 to wash the stem cell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protrusion receiving part 217, After rotating and stopping the vessel about 5 times, the main container 210 is decelerated again by centrifugal separation. When the main container is accelerated and decelerated while repeating the rotation and stopping, the stem cell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217 fall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210. If the above-described stem cell extraction process is repeated several times, the stem cells finally obtained may contain at least the foreign material.

마지막으로 메인 용기(210)의 하부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를 제1배출관(220)을 통해 줄기세포 저장백으로 이송함으로써 줄기세포 추출과정이 완료된다. Finally, the stem cells existing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container 210 are transferred to the stem cell storage ba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tube 220, thereby completing the stem cell extraction process.

상기한 전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정확하고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이 밀폐된 조건에서 이루어지므로 오염의 문제점도 발생하지 않는다. Since the entire process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regeneration cell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only accurate and efficient, but also does not cause contamination problems because the entire system is performed under a closed condition.

무엇보다도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100)에서 1차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줄기세포를 포함한 농축액을 형성하고,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200)에서는 농축액에 대해서 2차 원심분리를 수행함으로써, 추출작업이 효율적이고 추출 수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First of all, a primary centrifugation is performed in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100 to form a concentrate containing stem cells. In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or 200, secondary centrifugation is performed on the concentrate, so that the extraction operation is effici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xtraction yield is improved.

지금까지 본 발명이 지방조직을 분리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및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은 지방조직은 물론 다른 조직들을 잘게 분쇄한 후 이들 조직을 분리하거나, 이들로부터 줄기세포를 추출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separating adipose tissue,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and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separating adipose tissue, Cells can also be extrac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Of course.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 200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210 ... 메인 용기 211 ... 본체부
212 ... 덮개 213 ... 수용부
217 ... 돌출수용부
100 ... regenerative cell separator 200 ... regenerative cell extractor
210 ... main container 211 ... main body portion
212 ... cover 213 ... accommodating portion
217 ...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Claims (11)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분리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용기;
일단부는 상기 메인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용기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 용기와 상대회전되는 중공형의 출입관;
고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출입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마찰저감부재;
상기 메인 용기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마찰저감부재와 대응되게 고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공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마찰저감부재와 밀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회전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의 날개부를 구비하는 제2마찰저감부재; 및
상기 메인 용기의 관통공 내주면과 상기 출입관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도록 상기 메인 용기와 출입관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A main container rotatably provided with a rotational force from the outside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object to be separated;
A hollow type inlet / outlet pipe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main container so that one end thereof is disposed inside the main container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outside the main container and relatively rotated with the main container;
A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surround the inlet / outlet pipe;
A main body rotatable together with the main container and formed in an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so as to surround the through hole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A second frictional reduc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wings which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surface of the body; And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main container and the inlet and outlet tube to seal the gap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hole of the main contain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let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압축성 고무 소재로 상기 메인 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용기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2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실링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용기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l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main container with a compressible rubber material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main container,
And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ealing member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main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저감부재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마찰저감부재는 카본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Wherein the second friction reducing member is made of a carbon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상물로부터 분리된 분리물들 중 상대적으로 무거운 분리물이 수용되도록 상기 메인 용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돌출수용부가 상기 메인 용기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메인 용기의 외주면은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교대로 연속배치되는 파동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projecting portions formed to be convex out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main container are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so as to accommodate relatively heavy separates among the separated objects separated from the object to be separated ,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is formed in a wavy shape in which convex portions and concave port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success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용기는 상기 수용부 및 돌출수용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기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수용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메인 용기 수용부의 하단부와 상기 돌출수용부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ain container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and a lid portion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to seal the receiving portion,
And a blocking member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to block the lower end of the main container receiv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에는 상기 메인 용기 수용부의 하단부와 상기 돌출수용부를 연통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lock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hole for communicating the lower end of the main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with the projecting accommodating portion.
조직(tissue)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조직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 용기와, 일단부는 상기 서브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서브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서브 용기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출입관과, 상기 출입관과 연결되어 흡인력을 제공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 및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출입관을 통해 배출된 분리물을 이송받아 2차 원심분리를 통해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A subcontainer for separating tissue, comprising: a subcontainer which is rotatably received by a rotat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in which a space for receiving a tissue is formed; and one end is disposed inside the subcontainer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outside the subcontainer A regeneration cell separation device having a hollow type entrance and exit tube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b container so as to be disposed, and a pump connected to the entrance and exit and providing a suction force; And
The regenerated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for extracting regenerated cells from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through a secondary centrifugation, And an extracting device for extracting the regenerated cells from the regenerated cell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조직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일정 크기 이상의 덩어리가 상기 용기의 하단부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기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screen member installed in the space of the container so as to prevent a lump of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form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tissue from falling down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서브 용기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걸림부재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서브 용기의 상측 중앙부로부터 상기 용기의 하측 외곽부를 향해 휘어지도록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creen member has a plurality of engagement members formed outwardly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sub container,
Wherein the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bent from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sub container toward a lower outer frame portion of the contain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는,
고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출입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마찰저감부재와,
상기 서브 용기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마찰저감부재와 대응되게 고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공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마찰저감부재와 밀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회전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의 날개부를 구비하는 제2마찰저감부재 및
상기 서브 용기의 관통공 내주면과 상기 출입관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도록 상기 서브 용기와 출입관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on apparatus may further comprise:
A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surround the inlet / outlet pipe;
A body portion which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ub-container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so as to surround the through-hole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riction reducing member; A second frictional reduc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wings that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surface of the body,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ub-container and the outlet pipe so as to seal a gap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hole of the sub-contain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let pipe.
지방 조직(fat tissue)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조직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 용기와, 일단부가 상기 서브 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서브 용기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출입관과, 상기 출입관과 연결되어 흡인력을 제공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와,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출입관을 통해 배출된 분리물을 이송받아 2차 원심분리를 통해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를 구비하는 지방성 세포 추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직으로부터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에 상기 지방 조직과 세척액을 투입하여 상기 지방 조직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지방 조직을 세척 후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로부터 혈액, 체액을 포함하는 무거운 성분을 튜브를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하되 노란색의 지방 조직이 배출되면 포토 센서를 이용하여 노란색을 감지하여 배출을 중지시키는 단계;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에 콜라게나제를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를 회전시켜 상기 지방 조직을 분해하는 단계;
상기 지방 조직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의 하부에 가라앉은 재생성 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재생성 세포 분리장치로부터 배출시켜 상기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로 이송시키되, 상기 포토 센서에서 노란색의 성숙 지방세포가 감지되면 배출을 중지시키는 단계;
상기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를 회전시켜 상기 재생성 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원심분리되게 함으로써, 상기 재생성 세포는 상기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의 메인 용기 내주면에 부착되게 하며 나머지 가벼운 성분은 메인 용기의 하부에 수용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로부터 상기 나머지 가벼운 성분을 먼저 배출시킨 후, 세척액을 상기 메인 용기에 투입하고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재생성 세포를 상기 메인 용기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메인 용기의 하부로 떨어지게 한 후 상기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로부터 배출 및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
A subcontainer for separating fat tissue, comprising: a subcontainer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a rotating tissue and receiving a rotating force from the outside; A regeneration cell separation device having an entrance and exit tube of a mold and a pump connected to the entrance tube to provide a suction force;
The regenerated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for extracting regenerated cells from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through a secondary centrifugation, A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from a tissue using an aliphatic cell extraction system comprising an extraction device,
Washing the fat tissue by injecting the fat tissue and the washing liquid into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ng apparatus;
And then discharging the heavy component including blood and body fluid continuously through the tube from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ng apparatus after the washing of the fatty tissue, if yellow fat tissue is discharged, stopping the discharge by sensing yellow using a photosensor;
Decomposing the adipose tissue by rotating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ng device while the collagenase is put in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ing devic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regenerated cells separated from the adipose tissue and submerg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is discharged from the regenerative cell separator through the tube and transferred to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or, Stopping the discharge when mature adipocytes are detected;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is rotated to centrifuge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regenerative cells so that the regenerative cells adher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of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apparatus and the remaining light components are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step; And
Separating the regenerative cell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by allowing the remaining light component to be discharged first from the regenerative cell extracting device and then injecting the washing liquid into the main container and rotating the regenerative cell to fall down to the bottom of the main container, And extracting and recovering the regenerated cell from the extracting apparatus.
KR1020130005586A 2013-01-17 2013-01-17 Device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and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 KR1014669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86A KR101466923B1 (en) 2013-01-17 2013-01-17 Device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and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
PCT/KR2014/000444 WO2014112794A1 (en) 2013-01-17 2014-01-16 Device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and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same
CN201480016369.XA CN105143432B (en) 2013-01-17 2014-01-16 Device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and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86A KR101466923B1 (en) 2013-01-17 2013-01-17 Device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and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821A true KR20140093821A (en) 2014-07-29
KR101466923B1 KR101466923B1 (en) 2014-12-04

Family

ID=5120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586A KR101466923B1 (en) 2013-01-17 2013-01-17 Device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and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66923B1 (en)
CN (1) CN105143432B (en)
WO (1) WO2014112794A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3305A1 (en) * 2016-06-07 2017-12-14 주식회사 시지바이오 Vessel for centrifuge, and svf isolation method using same
WO2021172616A1 (en) * 2020-02-25 2021-09-02 (주)시지바이오 Centrifuge container
KR20220051800A (en) * 2020-10-19 2022-04-26 전민용 Blood separate tube with cell activation part
WO2022086059A1 (en) * 2020-10-19 2022-04-28 전민용 Blood separation tube comprising cell activation part
RU2817650C1 (en) * 2020-10-19 2024-04-17 Мин Ён ЧОН Blood separation tube containing cell activation por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1732B2 (en) * 2017-05-21 2021-08-17 Michael A. Scarpone Methods and devices for harvesting and processing connective tissue precursor cells from autologous fat
CN109988706B (en) * 2017-12-29 2022-10-18 肖锷 Centrifugal bottle and stem cell classification and extraction device
KR101982766B1 (en) * 2018-10-22 2019-05-28 엑셀 메디컬 센드리안 버허드 Device for separating the adipose stem cells
US11957998B2 (en) * 2019-06-06 2024-04-16 Pneumatic Scale Corporation Centrifuge system for separating cells in suspension
CN110747119A (en) * 2019-11-29 2020-02-04 安徽惠恩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Centrifugal collection device suitable for stem cell constant temperature is airtight
EP4143292A2 (en) * 2020-04-30 2023-03-08 Scicotec GmbH Automated integrated liposuction and tissu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20220135930A1 (en) * 2020-11-03 2022-05-05 The Duke Limited Fat fragmentation device and method
US20220133954A1 (en) * 2020-11-03 2022-05-05 The Duke Limited Penis augme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7534A1 (en) * 1999-06-03 2000-12-06 Haemonetics Corporation Centrifugation bowl with filter core
JP2010075066A (en) * 2008-09-24 2010-04-08 Olympus Corp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KR101679671B1 (en) * 2009-10-27 2016-11-28 도병록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KR101316573B1 (en) * 2009-10-27 2013-10-15 도병록 System and unit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KR101316574B1 (en) * 2010-11-04 2013-10-15 도병록 Multiway valve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
JP2012101138A (en) * 2010-11-05 2012-05-31 Olympus Corp Centrifugal separation vessel
KR101263820B1 (en) * 2010-12-09 2013-05-13 도병록 Device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CN202673430U (en) * 2012-03-30 2013-01-16 王兆宇 Contraposition type electromagnet cor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3305A1 (en) * 2016-06-07 2017-12-14 주식회사 시지바이오 Vessel for centrifuge, and svf isolation method using same
WO2021172616A1 (en) * 2020-02-25 2021-09-02 (주)시지바이오 Centrifuge container
KR20220051800A (en) * 2020-10-19 2022-04-26 전민용 Blood separate tube with cell activation part
WO2022086059A1 (en) * 2020-10-19 2022-04-28 전민용 Blood separation tube comprising cell activation part
RU2817650C1 (en) * 2020-10-19 2024-04-17 Мин Ён ЧОН Blood separation tube containing cell activation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43432B (en) 2017-05-24
WO2014112794A1 (en) 2014-07-24
CN105143432A (en) 2015-12-09
KR101466923B1 (en)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923B1 (en) Device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and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
KR101316573B1 (en) System and unit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8287742B2 (en) Method for separating a composite liquid into at least two components
AU596287B2 (en) Continuous blood centrifugation cell
AU597482B2 (en) Blood centrifugation cell
CA2818415C (en) Centrifuge for selectively concentrating and collecting constituents of a biologic liquid mixture
IL234115A (en) Centrifuge
KR101197908B1 (en) A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CN113414013A (en) Cell centrifugation device and cell centrifugation, cleaning and culture method
WO2022252910A1 (en) Piston-type biological liquid separation bottle having inner core and s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680136B1 (en) Centrifuge
KR20140133577A (en) Apparatus for centrifugation and methods therefore
KR101316574B1 (en) Multiway valve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
RU2766722C1 (en) Centrifuge drum for plasmapheresis
KR1013571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CN215308954U (en) Piston type biological liquid separation cup with inner core
KR101316575B1 (en) Peristaltic pump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
KR102407040B1 (en)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KR20180113401A (en) Kit for centrifuge device of regenerative cells
CN215465213U (en) Cell centrifugal device
KR101263821B1 (en) Multiway valve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
KR101911358B1 (en) Centrifuge container for divide-extraction easy by ingredient specific
CN115884829A (en) Decantation kit for easy separation and extraction of each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